KR20180014893A - Entr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Entr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893A
KR20180014893A KR1020160097997A KR20160097997A KR20180014893A KR 20180014893 A KR20180014893 A KR 20180014893A KR 1020160097997 A KR1020160097997 A KR 1020160097997A KR 20160097997 A KR20160097997 A KR 20160097997A KR 20180014893 A KR20180014893 A KR 20180014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access
nfc
door loc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9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우규
김재진
Original Assignee
(주)시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솔 filed Critical (주)시솔
Priority to KR1020160097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4893A/en
Publication of KR20180014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8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11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07C9/00031
    • G07C9/00103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trance control system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s provided. The entrance control system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smartphone including an NFC reader; a door lock which includes an NFC tag capable of receiving a signal from an NFC reader, and receives entra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martphone through an NFC tag to release a lock device if the entra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permitted information, and transmit an entrance permission signal to the smartphone; and an entrance control server which receives information on entrance from the smartphone when the permiss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entrance control system safely.

Description

NFC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출입 통제 방법{Entr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Entr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NFC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출입 통제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NFC.

일반적인 출입 인증 시스템은 RFID카드, 도어락, RF카드리더, 출입제어기, 서버,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져있고,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RFID 카드를 가진 사용자는 RF카드리더를 통해 출입제어기나 서버의 승인을 거쳐 도어락을 열게 된다. A general access authentication system consists of an RFID card, a door lock, an RF card reader, an access controller, a server, and a database. A user with an RFID card registered in the database opens a door lock through an RF card reader do.

최근 근거리 통신망 기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이 여러 제품에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최신 스마트폰에 NFC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NFC는 기존 RF 카드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면서, 양방향 RF 통신을 지원하기 때문에, 기존 단방향 RF 통신이 갖지 못한 장점 및 기능을 가지고 있다.Recently,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various products, especially NFC technology is applied to latest smartphone. NFC uses the same frequency band as existing RF cards and supports bidirectional RF communication, so it has advantages and features that conventional unidirectional RF communication does not have.

기존 RFID 카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은 운영에 있어, RFID 카드 발급, 등록, 재발급 처리의 어려움과 직간접적인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최근 보안상의 이유로 건물에 출입통제가 보다 강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건물에서 RFID카드를 소지하지 않을 경우, 출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출입자 또는 보안 관리자들이 이를 처리하거나 관리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In the operation of the access authentication system using the existing RFID card, the RFID card issuance, registration and re-issuance process are difficult and the direct and indirect costs are incurred. In recent years, access control has been strengthened in buildings for security reasons. If the RFID card is not carried in the building, it is impossible for the accessing party or the security administrator to handle or manage the access.

또한, 이러한 시스템은 도어락 장치가 리더기이므로, RF 파워 공급에 따른 에너지 소모가 크고, 리더 장치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에서는 에너지 소모가 적고, 저비용으로 보안이 강화된 출입 통제 시스템이 요구된다.In addition, since the door lock apparatus is a reader, such a system has a problem in that energy consumption due to the supply of RF power is large, and the reader apparatus becomes complicated and expensive. Therefore, there is a need in the art for an access control system with less energy consumption and a lower cost and enhanced security.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폰 리더 또는 NFC 리더기와 태그 장치가 삽입된 도어 락 장치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출입 통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ess control system and an access control method using a door lock device in which a smart phone reader or an NFC reader and a tag device are inserted.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과 연동되는 출입 통제 시스템 및 출입 통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ess control system and an access control method that are linked to various functions of a smart phone.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은 NFC 리더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상기 NFC 리더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NFC 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NFC 태그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출입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출입 인증정보가 허가된정보인 경우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출입 허가신호를 전송하는 도어락, 및 상기 스마트폰에 상기 허가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출입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출입통제 서버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cess control system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s provided. Wherein the access control system includes a smartphone including an NFC reader and an NFC tag capable of receiving a signal from the NFC reader, receives acces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martphone through the NFC tag, A door lock for releasing a locking device and transmitting an access permission signal to the smartphone when the information is permitted, and an access control server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access from the smart phone when the permiss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mart phone May be implemented.

상기 출입 통제 방법은 NFC 리더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NFC 리더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NFC 태그를 포함하는 도어락에 출입 인증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출입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출입 인증정보가 허가된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NFC 도어락은 상기 스마트폰의 출입이 허가된 경우,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출입 허가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출입통제 서버로 출입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Wherein the access control method comprises: requesting access from a smart phone including an NFC reader by transmitting access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a door lock including an NFC tag capable of receiving a signal from the NFC reader; Determining whether the smartphone is allowed to enter or leave the access control server, checking whether the smartphone is allowed access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releasing the lock device and transmitting an access permission signal to the smartphone,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리더 또는 리더기와 태그 장치가 삽입된 도어 락 장치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출입 통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태그 장치가 삽입된 도어락 장치는 종래의 도어락에 비해, 저렴하고, 저전력으로 설계될 수 있고, 스마트폰과 연계하여 출입통제 상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므로, 안전하게 출입통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a door lock device in which a smart phone reader or reader and a tag device are inserted. The door lock device in which the tag device is inserted can be designed inexpensively and low in power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oor lock, and can provide the access control situation in real time in connection with the smart phone, so that the access control system can be constructed saf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NFC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 도어락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를 포함하는 NFC 도어락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가된 사용자가 허가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가된 사용자가 허가되지 않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NFC 태그 도어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1 schematically shows an access control system using an NFC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an NFC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chematically shows a structure of an NFC door lock including a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n authorized user to release a lock using an authorized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n authorized user to release a lock using an unauthorized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NFC tag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NFC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schematically shows an access control system 100 using an NFC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출입 통제 시스템(100)은 스마트폰 리더(110) 및 NFC 도어락(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폰 리더(110)는 어플리케이션(110)을 포함하고, 상기 NFC 도어락(150)은 NFC 태그(160) 및 도어락(17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access control system 100 includes a smartphone reader 110 and an NFC door lock 150. The smartphone reader 110 includes an application 110 and the NFC door lock 150 includes an NFC tag 160 and a door lock 170.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폰 리더(110)는 NFC 리더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의미한다. [0034] 상기 출입 통제 시스템(100)은 스마트폰 리더(110)를 NFC 도어락(150)에 접근할 때, 상기 NFC 도어락(150)의 잠김 장치가 해제됨으로써 구현된다. 상기 NFC 도어락(150)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는 스마트폰 리더(110)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120) 내에 저장되어 있어, NFC 태그(160)에 인증 가능한 핀번호(Pin Number)을 보유한 스마트폰 리더(110)를 NFC 도어락(150)에 접근시키는 것만으로도 NFC 도어락(150)의 제어가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phone reader 110 refers to a smart phone including an NFC reader. The access control system 100 is implemented by releasing the locking device of the NFC door lock 150 when the smartphone reader 110 approaches the NFC door lock 150. [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NFC door lock 150 is stored in an application 120 of the smartphone reader 110 and is transmitted to a smart phone reader having a PIN number authenticable to the NFC tag 160 110 to the NFC door lock 150, the control of the NFC door lock 150 is possible.

NFC 태그(160)는 안테나(161) 및 태그 IC(163)를 포함한다. 안테나(161)는 스마트폰 리더(110)로부터 핀번호를 수신하고, 도어락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RF-DC 전원을 수신할 수도 있다.The NFC tag 160 includes an antenna 161 and a tag IC 163. The antenna 161 may receive a PIN number from the smartphone reader 110 and may receive an RF-DC power source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the door lock.

한편, 상기 스마트폰 리더(110)는 스마트폰에서 어플리커에션을 통하여 핀 번호 또는 비밀번호, 지문 인식, 얼굴 인식, 안구 인식 등의 바이오 센싱 정보를 입력하여 본인을 인증하도록 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인 인증을 완료하고, 허가된 스마트폰을 NFC 도어락(150)에 접근할 때, NFC 도어락(150)의 잠김 장치가 해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martphone reader 110 may include a module for authenticating the user by inputting biosensing information such as pin number or password, fingerprint recognition, facial recognition, and eye recognition through an application in a smart phone have. The locking device of the NFC door lock 150 is released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and the authorized smart phone approaches the NFC door lock 150.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 도어락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a)는 태그 IC(213)에 의해 직접 모터(215)를 제어하는 NFC 도어락(210)을 나타낸다. 도 2(a)를 참조하면, NFC 도어락(210)은 안테나(211), 태그 IC(213), 모터(2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테나(211)는 스마트폰으로부터 태그 신호를 수신하여 태그 IC(213)로 전송한다. 상기 태그 신호는 전원 및 제어신호를 포함하며, 태그IC(213)는 모터(215)로 상기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모터(215)의 회전을 제어한다.2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an NFC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shows an NFC door lock 210 which controls the motor 215 directly by the tag IC 213. Fig. 2 (a), the NFC door lock 210 includes an antenna 211, a tag IC 213, and a motor 215. The antenna 211 receives the tag signal from the smart phone and transmits it to the tag IC 213. The tag signal includes a power source and a control signal, and the tag IC 213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motor 215 by transmitting the power source and control signal to the motor 215.

도 2(b)는 모터 드라이버(225)를 통하여 모터(227)를 제어하는 NFC 도어락(220)을 나타낸다. 도 2(b)를 참조하면, NFC 도어락(220)은 안테나(221), 태그 IC(223), 모터 드라이버(225), 모터(2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테나(221)는 스마트폰으로부터 태그 신호를 수신하여 태그 IC(223)로 전송한다. 상기 태그 신호는 전원 및 제어신호를 포함하며, 태그 IC(223)는 모터 드라이버(225)로 상기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모터 드라이버(225)는 수신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모터(227)를 제어한다.2 (b) shows an NFC door lock 220 that controls the motor 227 through a motor driver 225. [ Referring to FIG. 2B, the NFC door lock 220 includes an antenna 221, a tag IC 223, a motor driver 225, and a motor 227. The antenna 221 receives the tag signal from the smart phone and transmits it to the tag IC 223. The tag signal includes a power source and a control signal, and the tag IC 223 transmits the power source and control signal to the motor driver 225. [ The motor driver 225 controls the motor 227 using the received power and control signals.

도 2(c)는 전자석 제어기(235)를 통하여 전자석(237)을 제어하는 NFC 도어락(230)을 나타낸다. 도 2(c)를 참조하면, NFC 도어락(230)은 안테나(231), 태그 IC(233), 전자석 제어기(235), 전자석(23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테나(231)는 스마트폰으로부터 태그 신호를 수신하여 태그 IC(233)로 전송하고, 태그 IC(233)는 전자석 제어기(235)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전자석 제어기(235)는 수신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전자석(237)의 S, N극을 제어한다. 상기 도 2(a) 내지 도 2(c)는 별도의 전원장치 없이도 스마트폰으로부터 안테나(211, [0040] 213, 215)들에 수신되는 RF-DC 전원을 사용하여 모터 또는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여 잠김 장치를 체결 또는 해제할 수 있다.2 (c) shows an NFC door lock 230 that controls the electromagnet 237 through the electromagnet controller 235. [ Referring to FIG. 2C, the NFC door lock 230 includes an antenna 231, a tag IC 233, an electromagnet controller 235, and an electromagnet 237. The antenna 231 receives the tag signal from the smart phone and transmits it to the tag IC 233 and the tag IC 233 transmits the power and control signals to the electromagnet controller 235. The electromagnet controller 235 controls the S and N poles of the electromagnet 237 using the received power and control signals. 2 (a) to 2 (c),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or the electromagnet using an RF-DC power source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through the antennas 211, 213, and 215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device Thereby locking or releasing the locking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를 포함하는 NFC 도어락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a)는 태그 IC(213)에 의해 직접 모터(317)를 제어하는 NFC 도어락(310)을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NFC 도어락(310)은 안테나(311), 태그 IC(313), 전원장치(315), 모터(3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테나(311)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태그 신호를 수신하여 태그 IC(313)로 전송한다. 상기 태그 신호는 전원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모터(317)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 장치(315)가 필요하다. 전원 장치(315)는 모터(317)로 전원을 공급하고, 태그 IC(313)는 모터(217)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모터(215)의 회전을 제어한다.3 schematically shows a structure of an NFC door lock including a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 shows an NFC door lock 310 for controlling the motor 317 by the tag IC 213 directly. 3 (a), the NFC door lock 310 includes an antenna 311, a tag IC 313, a power supply 315, and a motor 317. The antenna 311 receives the tag signal includ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smart phone and transmits it to the tag IC 313. Since the tag signal does not include a power source, a separate power source device 315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317 is required. The power supply 315 supplies power to the motor 317 and the tag IC 313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motor 217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motor 215. [

도 3(b)는 모터 드라이버(327)를 통하여 모터(329)를 제어하는 NFC 도어락(320)을 나타낸다. 도 3(b)를 참조하면, NFC 도어락(320)은 안테나(321), 태그 IC(323), 전원 장치(325), 모터 드라이버(327), 모터(3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테나(321)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태그 신호를 수신하여 태그 IC(323)로 전송한다. 상기 태그 신호는 전원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모터(329)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 장치(325)가 필요하다. 전원 장치(325)는 모터 드라이버(327)에 전원을 공급하고, 태그 IC(323)는 모터 드라이버(327)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모터 드라이버(317)는 수신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모터(227)를 제어한다. 3 (b) shows an NFC door lock 320 that controls the motor 329 through the motor driver 327. [ 3 (b), the NFC door lock 320 includes an antenna 321, a tag IC 323, a power supply device 325, a motor driver 327, and a motor 329. The antenna 321 receives a tag signal includ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smart phone and transmits the tag signal to the tag IC 323. Since the tag signal does not include a power source, a separate power source device 325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329 is required. The power supply device 325 supplies power to the motor driver 327 and the tag IC 323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motor driver 327. [ The motor driver 317 controls the motor 227 using the received power and control signals.

도 3(c)는 전자석 제어기(337)를 통하여 전자석(339)을 제어하는 NFC 도어락(330)을 나타낸다. 도 3(c)를 참조하면, NFC 도어락(330)은 안테나(331), 태그 IC(333), 전원 장치(335), 전자석 제어기(337), 전자석(3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테나(331)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태그 신호를 수신하여 태그 IC(333)로 전송한다. 상기 태그 신호는 전원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전자석(329)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 장치(335)가 필요하다. 전원 장치(335)는 전자석 제어기(337)에 전원을 공급하고, 태그 IC(333)는 전자석 제어기(337)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모터 드라이버는 수신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전자석의 S, N극을제어한다.3 (c) shows an NFC door lock 330 that controls the electromagnet 339 through the electromagnet controller 337. 3C, the NFC door lock 330 includes an antenna 331, a tag IC 333, a power supply unit 335, an electromagnet controller 337, and an electromagnet 339. The antenna 331 receives the tag signal includ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smart phone and transmits it to the tag IC 333. Since the tag signal does not include a power source, a separate power source device 335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magnet 329 is required. The power supply unit 335 supplies power to the electromagnet controller 337 and the tag IC 333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magnet controller 337. The motor driver controls the S and N poles of the electromagnet using the received power and control signals.

상기 도 3(a) 내지 도 3(c)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아도 별도의 전원장치를 이용하여 모터 또는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여 잠김 장치를 체결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락의 개폐에 전력이 많이 소모되거나,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도 안전하게 출입 통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3 (a) to 3 (c), a power source is supplied to a motor or an electromagnet by using a separate power source device without supplying power from a smartphone, thereby locking or unlocking the locking devi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the access control system safely even when power is consumed to open / close the door lock or power supply from the smart phone is not smooth.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허가된 사용자가 출입통제가 허가된 스마트폰 또는 허가되지 않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NFC 도어락의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출입통제가 허가된 스마트폰은 NFC 도어락에 접근시키면, 도어락 장치가 동작하여 잠금장치를 해제한다. 하지만, 보안이 중요한 곳 또는 허가되지 않은 스마트폰이 접근할 경우, 출입통제를 안전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Figures 4 and 5 illustrate how an authorized us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can unlock NFC door locks using smart phones or unauthorized smart phones that have been granted access control. When a smartphone that is allowed access control approaches the NFC door lock, the door lock device operates to release the locking device. However, when security is important or when unauthorized smartphones are accessed, access control needs to be securely controll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허가된 사용자가 허가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NFC 도어락의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스마트폰은 NFC 도어락에 출입을 요청한다(S510). 출입 [0059] 요청을 받은 NFC 도어락은 허가된 스마트폰인지 여부를 확인하여(S520), 허가된 스마트폰으로 확인된 경우 잠금장치를 해제하고(S530), 출입을 허락한다(S540). 출입이 허락된 스마트폰은 출입 통제 서버에 출입 정보를 전송한다(S550). 상기 출입 정보는 사용자가 출입 통제 서버에 요청하는 경우에 스마트폰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4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by which an authorized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nlock an NFC door lock using an authorized smartphone. Referring to FIG. 5, the smartphone requests access to the NFC door lock (S510). In step S520, the NFC doorlock receiving the access request confirms whether or not the NFC door lock is an authorized smart phone in step S520, and releases the locking device in step S530 if it is confirmed as an authorized smart phone in step S540. The smartphone permitted to enter and exit transmits access information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S550). The access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a user through a smart phone or the like when the user requests the access control serv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허가된 사용자가 허가되지 않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스마트폰은 NFC 도어락에 출입을 요청한다(S605). 출입 요청을 받은 NFC 도어락은 허가된 스마트폰인지 여부를 확인하여(S610), 허가된 스마트폰이 아닌 것으로 확인된 경우, 출입의 허가에 필요한 추가 정보를 요청한다(S615). 사용자는 스마트폰에 출입의 허가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S620). 상기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만약, 스마트폰에 출입 통제 시스템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후, 추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출입의 허가에 필요한 정보는 비밀번호일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에 출입의 허가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면, 출입 통제 서버에 인증을 요청한다(S625), 인증을 요청받은 출입 통제 서버는 출입의 허가에 필요한 올바른 정보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630), 올바른 정보가 입력된 경우 스마트폰에 인증 번호를 제공한다(S635). 인증 번호를 제공받은 스마트 폰은 NFC 도어락에 출입을 다시 요청하고(S640), NFC 도어락은 인증번호가 올바른 인증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하여(S645), 올바른 인증번호인 경우, 잠금장치를 해제하고(S650), 출입을 허락한다(S655). 출입이 허락된 스마트폰은 출입 통제 서버에 출입 정보를 전송한다(S660). 상기 출입 정보는 사용자가 출입 통제 서버에 요청하는 경우에 스마트폰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5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n authorized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release a lock using an unauthorized smartphone. Referring to FIG. 6, the smart phone requests access to the NFC door lock (S605). In step S610, the NFC door lock receiving the access request confirms whether it is an authorized smart phone (S6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FC door lock is not an authorized smart phone, the NFC door lock requests additional information required for access permission (S615). The user inputs information necessary for permission to access the smartphone (S620). The information may be entered using an application. If an application for the access control system is not installed in the smartphone, after downloading the application, additional information can be input.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ermission of the access may be a password. When the user inputs information required for access to the smartphone, the access control server requests authentication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S625). The access control server requested to authenticate confirms whether or not the correct information necessary for access permission is input S630). If correct information is input, the authentication number is provided to the smartphone (S635). In step S640, the smartphone receives the authentication number, requests access to the NFC door lock (S640), checks whether the authentication number is the correct authentication number (S645), releases the locking device S650), and allows access (S655). The smartphone allowed to access access information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S660). The access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a user through a smart phone or the like when the user requests the access control server.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도어락(7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NFC 도어락(700)은 전자 장치(710), 전동 장치(730), 기계 장치(7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6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an NFC door lock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an NFC door lock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nic device 710, a transmission device 730, and a mechanical device 750.

전자 장치(710)는 NFC 태그(711)를 포함하여, NFC 리더기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부터 NFC 태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710)는 MCU(71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MCU(713)는 도어락의 개폐를 위한 핀 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핀 번호는 종래의 도어락과 마찬가지로 도어락의 키패드 등을 조작하여 핀 번호를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고, NFC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핀 번호를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핀 번호를 입력한 후, NFC 도어락(700)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NFC 태그(711)에 스마트폰을 접근시킴으로써 핀 번호를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710 may include NFC tag 711 to receive NFC tag information from a smartphone that includes an NFC reader. The electronic device 710 may further include an MCU 713, and the MCU 713 may store a pin number for opening / closing the door lock. Like the conventional door lock, the pin number can be set or changed by operating a keypad or the like of the door lock, and the pin number can be set or changed using the NFC smartphone. For example, after inputting the PIN number to the smart phone, the PIN number can be set or changed by accessing the smart phone with the NFC tag 711 within the time set in the NFC door lock 700.

전동 장치(730)는 전기에 의해 물리적인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 또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기계 장치(750)에 물리적인 힘을 가한다. 전동 장치(730)는 전자 장치(71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힘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전동장치(730)로부터 물리적인 힘을 받은 기계 장치(750)는 전동 장치(730)의 움직임에 따라, 도어락의 잠금장치를 체결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NFC 도어락(700)은 전원 장치(770)를 더 포함하여, 전동 장치(7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730 applies a physical force to the mechanical device 750 using a motor or electromagnet that can be physically generated by electricity. The transmission 730 ma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orce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710. The mechanical device 750, which has been physically powered by the transmission 730, can engage or disengage the locking device of the door lock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transmission device 730. The NFC door lock 70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770 to supply power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730.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리더 또는 리더기와 태그 장치가 삽입된 도어 락 장치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및 출입 통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태그 장치가 삽입된 도어락 장치는 종래의 도어락에 비해, 저렴하고, 저전력으로 설계될 수 있고, 스마트폰과 연계하여 출입통제 상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므로, 안전하게 출입통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a door lock device in which a smart phone reader or reader and a tag device are inserted. The door lock device in which the tag device is inserted can be designed inexpensively and low in power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oor lock, and can provide the access control situation in real time in connection with the smart phone, so that the access control system can be constructed safely.

Claims (2)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에 있어서,
NFC 리더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상기 NFC 리더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NFC 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NFC 태그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출입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출입 인증정보가 허가된 정보인 경우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출입 허가신호를 전송하는 도어락; 및
상기 스마트폰에 상기 허가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출입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출입통제 서버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In an access control system using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 smartphone including an NFC reader;
And an NFC tag capable of receiving a signal from the NFC reader, and receives acces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martphone through the NFC tag, releases the lock device if the access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permitted information, A door lock that transmits an access permission signal to the phone; And
And an access control server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access from the smartphone when the permiss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에 있어서,
NFC 리더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NFC 리더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NFC 태그를 포함하는 도어락에 출입 인증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출입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출입 인증정보가 허가된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NFC 도어락은 상기 스마트폰의 출입이 허가된 경우,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출입 허가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출입통제 서버로 출입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은 상기 출입 인증정보가 접근이 허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출입의 허가에 필요한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출입의 허가에 필요한 정보가 인증 가능한 정보인 경우, 상기 출입통제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에 인증 번호를 제공하고, 상기 도어락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인증 번호를 수신하는 경우,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출입 허가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통제 방법.
A method of access control using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Requesting access from a smartphone including an NFC reader by transmitting access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a door lock including an NFC tag capable of receiving a signal from the NFC reader;
Determining whether the access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permitted information;
Releasing the locking device and transmitting an access permission signal to the smartphone when the access of the smartphone is permitted; And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ccess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by the smartphone,
Wherein the access control server requests information required for permission to access the smartphone if the access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not permitted to access the smartphone and if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permission to access the smartphone is authenticable information, And when the door lock receives the authentication number from the smartphone, releases the locking device and transmits an access permission signal to the smartphone.
KR1020160097997A 2016-08-01 2016-08-01 Entr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1800148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997A KR20180014893A (en) 2016-08-01 2016-08-01 Entr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997A KR20180014893A (en) 2016-08-01 2016-08-01 Entr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893A true KR20180014893A (en) 2018-02-12

Family

ID=61225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997A KR20180014893A (en) 2016-08-01 2016-08-01 Entr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4893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716B1 (en) * 2019-02-27 2020-08-11 선형욱 Access control system based on RF-CARD
KR20220001240A (en) 2020-06-29 2022-01-05 주식회사 바디스앤소울스 A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using the digital door lock for controlling access according to service access authority
KR102587285B1 (en) 2023-06-08 2023-10-12 주식회사 스피드정보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enter or leav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716B1 (en) * 2019-02-27 2020-08-11 선형욱 Access control system based on RF-CARD
KR20220001240A (en) 2020-06-29 2022-01-05 주식회사 바디스앤소울스 A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using the digital door lock for controlling access according to service access authority
KR102587285B1 (en) 2023-06-08 2023-10-12 주식회사 스피드정보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enter or leav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91798A1 (en) Wireless Encrypted Control of Physical Access Systems
US20180359635A1 (en)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Via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for Wireless User and Access Devices
CN110178160B (en) Access control system with trusted third party
US9111084B2 (en) Authentication platform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KR20160006559A (en) Entr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Doorlock
US11017621B1 (en) Mobile digital locking technology
US9621702B2 (en) Control system cooperating with a mobile device
CN106373237A (en) Remote control door lock system based on Wechat
US10872484B1 (en) Mobile digital locking technology
EP3819878B1 (en) Mobile digital locking technology
KR20150056711A (en)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access card and method
KR101931867B1 (en) Entrance managing system using of a mobile device
KR20180014893A (en) Entr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JP4274283B1 (en) ID signal transmission device provided with biometric authentication means
JP2016184875A (en) Key data communication system
KR102211272B1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016244A (en) Method for Authentication between Controller and User Terminal through Near Field Communication
US20060088192A1 (en) Identification system
CN107070663B (en) Mobile terminal-based field authentication method and field authentication system
KR100597482B1 (en) Method for authenticate in/out using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JP2002300637A (en) Lock control system
KR20130126357A (en) Door lock system
KR102041926B1 (en) Visitor Certification and Control System based on Body Area Network and Method thereof
JP2024077932A (en) Authentication device, electronic lock device, electronic lock system, and locking/unlocking method
KR20090007265A (en) Access control system using finger-print ident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