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903B1 - 광원 모듈 - Google Patents

광원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903B1
KR102437903B1 KR1020200132217A KR20200132217A KR102437903B1 KR 102437903 B1 KR102437903 B1 KR 102437903B1 KR 1020200132217 A KR1020200132217 A KR 1020200132217A KR 20200132217 A KR20200132217 A KR 20200132217A KR 102437903 B1 KR102437903 B1 KR 102437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light source
transparent substrate
unit
conductive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8867A (ko
Inventor
윤금영
김형주
박윤성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200132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9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04N5/225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H04N5/2252
    • H04N5/2253
    • H04N5/2257
    • H04N5/235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도전성 입자를 함유한 도전성 잉크를 구비하는 셔터부, 상기 셔터부 하부에 위치하는 광원부, 상기 셔터부의 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부와 이격되어 있는 전자석부 및 상기 셔터부의 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부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상기 전자석부가 비자화 상태일 때, 상기 도전성 잉크는 상기 도전성 입자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광원부의 상부를 덮고, 상기 전자석부에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전자석부가 자화 상태일 때, 상기 도전성 잉크는 상기 도전성 입자와 상기 전자석부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전자석부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광원부의 상부를 개방하여 상기 광원부를 노출시킨다.

Description

광원 모듈{LIGHT SOURCE MODULE}
본 발명은 광원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전자 장치에 부착된 광원의 노출 여부를 제어하는 광원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smart phone)나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등의 휴대기기뿐만 아니라 자동차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전기전자 장치에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사진 및 동영상의 촬영 동작과 사물 인식이나 생체 인식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때와 장소에 무관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촬영 동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과 함께, 촬영 시기나 주변 환경에 따라 부족한 광을 보충하기 위한 광원 모듈 역시 구비되어 있다.
광원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광원을 구비하고 있고, 카메라 모듈의 동작에 연동하여 또는 카메라 모듈의 동작과 무관하게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의해 별도로 구동되어 광원이 점등된다.
이때, 광원은 최종적으로 원하는 부분에 빛을 조사해야 하므로, 광원 모듈이 장착된 해당 장치의 외부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광원 모듈은 주로 밤과 같이 특정 시각이나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서만 구동되므로, 카메라 모듈과 같은 다른 모듈이나 장치에 비해 동작 빈도수가 상대적으로 적다.
하지만, 이미 기술한 것처럼, 광원 모듈은 동작 여부에 무관하게 해당 장치의 외부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 해당 장치의 미관을 손상시키며, 유리와 같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광원의 노출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로 오염되어 출력되는 광량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99003호(공개일자: 2008년 11월 12일, 발명의 명칭: LED 패키지용 보조 광학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발광장치)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광학 모듈이 장착된 전기전자 장치의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광학 모듈을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광학 모듈은 도전성 입자를 함유한 도전성 잉크를 구비하는 셔터부, 상기 셔터부 하부에 위치하는 광원부, 상기 셔터부의 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부와 이격되어 있는 전자석부 및 상기 셔터부의 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부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상기 전자석부가 비자화 상태일 때, 상기 도전성 잉크는 상기 도전성 입자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광원부의 상부를 덮고, 상기 전자석부에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전자석부가 자화 상태일 때, 상기 도전성 잉크는 상기 도전성 입자와 상기 전자석부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전자석부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광원부의 상부를 개방하여 상기 광원부를 노출시킨다.
상기 전자석부는 한 개일 수 있다.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마그네트의 반대편에서 상기 마그네트와 대면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광원부와 상기 마그네트를 끊김없이 에워싸고 있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셔터부는 상기 광원부 상부에 위치하는 제1 투명기판, 상기 제1 투명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2 투명기판 및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제2 투명기판 사이에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제2 투명기판과 접하게 위치하는 간격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재는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2 투명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끊김없이 연결되게 위치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도전성 잉크는 상기 제1 투명기판, 상기 제2 투명기판 및 상기 간격재에 의해 에워싸여진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셔터부는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2 투명기판의 일 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2 투명기판에 압력을 가하는 제1 클립 및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2 투명기판의 타 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2 투명기판에 압력을 가하는 제2 클립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립과 상기 제2 클립은 각각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상기 투명 기판에 각각 장착되는 두 개의 장착부 및 상기 두 개의 장착부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가운데 부분이 꺾여 있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부의 개수는 두 개일 수 있다.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제1 투명기판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제1 전자석부 및 상기 제2 투명기판의 상부면에 상기 제1 전자석부와 대면하게 위치하는 제2 전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전자석부와 상기 제2 전자석부는 서로 대면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2 마그네트가 자화 상태일 때, 서로 대면하고 있는 상기 제1 마그네트과 상기 제2 마그네트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광학 모듈은 상기 도전성 잉크과 접하는 상기 제1 투명기판의 면과 상기 제2 투명기판의 면에 각각 위치하고, 발수성 또는 발유성의 성질을 갖는 제1 코팅막 및 제2 코팅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광학 모듈은 상기 광원부가 위치하는 베이스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광학 모듈은 상기 셔터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부는 노출시키는 창을 구비하는 상부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잉크는 불투명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광학 모듈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광학 모듈 상부에 위치한 셔터부가 광원부 상부를 덮고 있으므로, 광원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해당 전기전자 장치에의 광원의 장착 위치가 인지되지 않아, 전기전자 장치의 심미성이 향상된다.
또한, 광학 모듈이 동작되지 않는 동안 광원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먼지 등의 이물질이 광원 표면에 부착되어 광원 표면을 오염시키는 정도가 크게 줄어든다. 따라서, 광원 표면의 오염 정도에 따라 변하는 출력 광의 손실량 역시 감소하여, 광원 모듈의 동작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광원은 동작되지 않을 때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 등으로 광원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크게 줄어든다.
추가로, 광원의 노출을 방해하는 도전성 잉크의 이동성이 향상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모듈의 사시도로서, (a)는 광원부가 가려진 경우의 사시도이고, (b)는 광원부가 외부로 노출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광학 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모듈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잘랐을 때 하부 하우징을 생략하고 얻어지는 일부 단면도로서, (a)는 전자석부가 비자화 상태일 때의 단면도이고, (b)는 전자석부가 자화 상태일 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모듈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잘랐을 때 하부 하우징을 생략하고 얻어지는 일부 단면도로서, (a)는 전자석부가 비자화 상태일 때의 단면도이고, (b)는 전자석부가 자화 상태일 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모듈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잘랐을 때 하부 하우징을 생략하고 얻어지는 일부 단면도로서, (a)는 전자석부가 비자화 상태일 때의 단면도이고, (b)는 전자석부가 자화 상태일 때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모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모듈(1)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광학 모듈(1)은 하부 하우징(11), 하부 하우징(11)에 위치하는 베이스 기판(20), 베이스 기판(20)에 위치하는 전자석부(30), 베이스 기판(20)에 위치하는 마그네트(40), 베이스 기판(20)에 위치하는 광원부(50), 광원부(50) 위에 위치하는 셔터부(60), 베이스 기판(20)에 위치하는 제어부(70) 및 셔터부(60) 위에 위치하고 하부 하우징(11)과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12)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에서, 하부 하우징(11)과 상부 하우징(12)은 서로 결합하여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형성된 빈 공간 속에 광학 모듈(1)을 구성하는 구성요소(20~70)가 위치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은 대략 사각형(예,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 내부에는 하부면과 측면부로 에워싸여진 빈 공간을 구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에 베이스 기판(20)에 장착된 전자석부(30)와 광원부(50)가 위치할 수 있다.
본 예에서, 하부 하우징(11)의 일측 측부, 즉 하부 하우징(11)의 연장 방향(예, 가로 방향)(X)을 따라 서로 마주보고 있는 양 측부 중 하나는 측면으로 막혀 있지 않고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개방된 하부 하우징(11)의 측부를 통해 베이스 기판(2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0)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하부 하우징(11)의 하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기판(20)은 접착제 등을 통해 하부 하우징(11)의 하부면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기판(20)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과 같은 연성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예에서, 베이스 기판(20)은,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기판 본체(21)와 기판 본체(31)의 일측 세로변, 즉 폭 방향(Y)으로 연장된 일측 변에서 아래쪽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부(22)를 구비할 수 있다.
기판 본체(21)의 상부면에는 전자석부(30), 마그네트(40) 및 광원부(50)가 장착될 수 있다.
연결부(22)는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하우징(11)의 개방된 세로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22)는 하부 하우징(11)에 상부 하우징(12)이 결합될 때,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연결부(22)의 단부를 통해 베이스 기판(30)으로의 신호 입출력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기판(20)은, 해당 면에 위치하는 광원부(50), 전자석부(30) 및 제어부(70)와 같은 전기전자 소자 간의 전기적 및 물리적인 연결을 위해, 복수 개의 신호선 및 패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신호선과 패드 등을 통해 전기전자 소자 간의 신호 전송 및 해당 전기전자 소자에 대한 신호의 입출력 동작이 행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미 기술한 것처럼, 하부 하우징(11)의 개방된 측부에 노출된 연결부(32)를 통해 외부와 신호의 입출력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석부(30)는 제어부(7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즉, 전류)에 의해 자화 여부가 정해져, 전류가 인가되는 동안 자화 상태를 유지하여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석으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석부(30)는 이러한 자화 여부에 따라 인접하게 위치한 셔터부(60)의 동작을 제어하여, 자화 상태일 때 광원부(5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반대로 비자화 상태일 때는 광원부(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석부(30)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셔터부(60)의 가장자리부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베이스 기판(20)에 함께 위치하고 있는 광원부(50) 및 마그네트(40)와는 이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전자석부(30)는 광원부(50)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석부(30)는 연장 방향(X)을 따라 서로 마주보고 있는 베이스 기판(20)의 기판 본체(21)의 일 측부(예, 좌측부)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광원부(50)는 일 측부와 반대편에서 마주보고 있는 기판 본체(21)의 타 측부(예, 우측부)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전자석부(30)는 셔터부(60)의 외측면과 인접하게 이격되어 있으므로, 전자석부(30)는 셔터부(60)가 위치한 높이까지 돌출될 수 있다.
마그네트(40)는 전자석부(30)와 동일한 면의 베이스 기판(20), 즉, 기판 본체(21)에 위치할 수 있고, 연장 방향(X)을 따라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는 전자석부(30)와 대면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트(40)는 광원부(50)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광원부(50)는 전자석부(30)와 마그네트(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트(40)는 전자석부(30)와 달리 항상 자성을 띄고 있는 영구 자석이고, 자력의 세기는 전자석부(30)가 자화될 때의 자력의 세기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석부(30)의 상태가 자화 상태에서 비자화 상태로 전환될 때, 마그네트(40)는 자신의 자력을 이용하여 셔터부(60)의 상태를 초기 상태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셔터부(60)를 통해 광원부(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트(40)는 셔터부(60)에 장착될 수 있고 이런 경우에도 광원부(50)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광원부(50)는 제어부(70)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상태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광원(5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광원(51)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광원부(50)의 점등 여부에 따라 전자석부(30)의 자화 여부가 정해지고, 전자석부(30)의 자화 제어는 전자석부(30)를 구성하는 금속선(즉, 코일)로의 전류 인가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70)는 광원부(50)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상태에 따라 전자석부(30)로의 전류 인가를 제어할 수 있다.
셔터부(60)는 전자석부(30)의 자화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하여 하부에 위치한 광원부(50)가 외부에서 인지될 수 있도록 한다.
셔터부(60)는 하부 하우징(11)의 측면 상단에 위치할 수 있고,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 하우징(12) 아래에 차례로 위치하는 상부 투명기판(61) 및 하부 투명기판(62), 상부 투명기판(61)와 하부 투명기판(62) 사이에 위치하는 간격재(63), 그리고 상부 투명기판(61)와 하부 투명기판(62) 사이의 빈 공간에 위치하는 도전성 잉크(64)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투명기판(61)와 하부 투명기판(62)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투명한 유리나 투명한 플라스틱 등과 같은 투명하고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투명기판(61, 62)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하부 하우징(11)의 측면 상단에 위치하므로, 각 투명기판(61, 62)에서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측면의 길이는 하부 하우징(11)의 대응하는 측면(즉, 세로변에 위치하는 측면)의 연장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각 투명기판(61, 62)에서 연장 방향(X)으로 연장되는 측면의 길이는 하부 하우징(11)의 대응하는 측면(즉, 가로변에 위치하는 측면)의 연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하우징(11)의 개방된 상부 일부는 셔터부(60)로 덮여지지 않고 개방된 부분이 존재하며, 이 개방된 부분과 대응하는 기판 본체(21)의 부분에 전자석부(30)와 마그네트(40)가 위치하여 각각 대면하고 있는 셔터부(60)의 측면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마그네트(40)가 셔터부(60)에 위치하는 경우, 셔터부(40)는 하부 투명기판(52)의 한 측부, 즉 폭 방향(Y)으로 연장한 양 측부 중 광원부(50)와 인접한 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광원부(50)는 전자석부(30)와 마그네트(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 모듈(1)의 두께 방향으로 위치하여 서로 대면하고 있는 상부 투명기판(61)와 하부 투명기판(62) 사이에는 간격재(63)가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투명기판(61)와 하부 투명기판(62)은 간격재(63)의 두께에 의해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고, 이 이격 공간을 통해 도전성 잉크(64)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간격재(63)는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고 가운데 빈 공간을 구비한 사각형 등의 링(ring)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서로 대면하고 상부 투명기판(61)과 하부 투명기판(62)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셔터부(60) 내에는 서로 접하게 위치하는 상부 투명기판(61), 하부 투명기판(62) 및 간격재(63)로 에워싸여진 밀폐된 공간(이하, 밀폐된 공간은 '잉크용 공간'이라 칭함)(S60)이 발생하고, 이 잉크용 공간(S60) 속에 유동성의 도전성 잉크(64)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간격재(63)는 도전성 잉크(64)의 이동 범위를 한정하는 댐(dam)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전성 잉크(64)는 금(Au), 은(Ag), 백금(Pt), 필라듐(Pd), 구리(Cu) 또는 니켈(Ni) 등의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의 입자(641)를 구비하는 유동성 잉크일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도전성 잉크(64)는 검은색과 같은 불투명한 색상의 염료를 함유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도전성 잉크(64)는 검은색과 같은 불투명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광원부(50) 위에 도전성 잉크(64)가 위치할 때, 광원부(50)는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이러한 도전성 잉크(64)는, 전자석부(30)가 자화 상태로 되면, 내부에 함유된 도전성 물질로 인해 전자석부(30)와의 사이에서 자력(예, 인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전자석부(30)의 자력의 세기가 마그네트(40)의 자력의 세기보다 크므로, 마그네트(40)에 인접하게 위치한 도전성 잉크(64)는 상부 투명기판(61)과 하부 투명기판(62) 사이의 빈 공간으로 통해 전자석부(30) 쪽인 제1 방향(X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자석부(30)의 자화 여부에 따른 이러한 도전성 잉크(64)의 이동을 위해, 서로 대면하고 있는 상부 투명기판(61)의 내부면(예, 하부면)과 하부 투명기판(62)의 내부면(예, 상부면)에는 나노 크기 입자의 물질 등을 이용한 코팅막(611, 62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코팅막(611, 621)을 이루는 물질은 도전성 잉크(64)의 특성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잉크(64)가 물에 녹는 수성의 특성을 가지는 경우, 코팅막(611, 621)은 발수성 물질을 함유하여 발수성의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잉크(64)가 기름에 녹는 유성의 특성을 가지는 경우, 코팅막(611, 621)은 발유성 물질을 함유하여 발유성의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전성 잉크(64)가 접하는 상부 투명기판(61)과 하부 투명기판(62)의 내부면에 각각 코팅막(611, 621)이 위치함에 따라, 도전성 잉크(64)은 접해 있는 상부 투명기판(61)과 하부 투명기판(62)의 내부면에 잔여물을 남기지 않으면서 해당 방향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전성 잉크(64)와 접해 있던 상부 투명기판(61)과 하부 투명기판(62)의 해당 면은 도전성 잉크(64)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도 투명도가 저감되지 않고 초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다.
이로 인해, 도전성 잉크(64)로 가려졌던 광원부(50)는 이러한 도전성 잉크(64)의 이동에 의해 하부 투명기판(62)과 상부 투명기판(61)의 투명한 해당 부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0)에 위치한 제어부(7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전자석부(30)와 광원부(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 기판(20)을 통해 그 위에 위치하는 전자석부(30) 및 광원부(50)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하부 하우징(11)과 결합되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하우징(12)은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측면과 상부면을 구비하고 있는 사각형(예,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의 상부면에는 광원부(50)를 노출하는 창(121)을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상부 하우징(12)의 창(121)은 하부에 위치한 광원부(50)와 대면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전성 잉크(64)가 전자석부(30) 쪽으로 이동할 때, 셔터부(60)의 하부 투명기판(62)과 상부 투명기판(61)을 통해 노출된 광원부(50)는 창(121)을 통해 외부로 드러나게 되고, 광원(51)의 조사면 역시 창(12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므로 빛의 조사가 원하는 방향으로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광원 모듈(1)에서, 제어부(70)는 사용자의 동작이나 주변의 조도 등에 따라 광원부(50)의 광원(51)을 점등해야 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70)의 동작에 의해, 광학 모듈(1)의 상태가 광원부(50)의 광원(51)을 소등하는 미구동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50)는 전자석부(30)로 인가되는 신호(즉, 전류)의 인가를 중단하거나 전자석부(30)로의 전류 미인가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전자석부(30)는 미구동 상태인 비자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처럼, 전자석부(30)이 비자화 상태일 때, 광원부(50)와 인접해 있는 마그네트(40)와 도전성 잉크(64)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도전성 잉크(64)는 광원부(50) 쪽인 제2 방향(X2)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광원부(50) 상부에 불투명한 도전성 잉크(64)가 위치하므로, 도전성 잉크(64)의 우수한 차광성으로 인해, 외부에서 투명기판(52, 51) 하부에 위치한 광원부(5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도 1의 (a)].
하지만, 사용자의 동작이나 주변 환경에 따라, 광원부(50)의 광원(51)을 점등해야 하는 상태일 때, 제어부(70)는 전자석부(30)로 전류를 인가되어 전자석부(30)를 자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자석부(30)의 자화 상태에 의해, 전자석부(30)와 도전성 잉크(64) 사이에는 자력이 발생하고, 이 자력의 세기는 마그네트(40)와 도전성 잉크(64)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의 세기보다 크다. 따라서, 도전성 잉크(64)는 전자석부(30) 쪽인 제1 방향(X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광원부(50)의 상부에 위치한 도전성 잉크(64)가 전자석부(30)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광원부(50)는 그 위에 위치한 투명기판(52, 51)을 통해 노출되고, 투명기판(52, 51)을 통해 노출된 광원부(50)는 상부 하우징(12)의 창(1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도 1의 (b)].
이와 같이, 광원부(50)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제어부(70)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광원부(50)의 광원(51)이 점등되면 광원(51)에서 조사되는 빛은 창(121)을 통해 외부로 정상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처럼, 광원부(50)가 점등될 때만 전자석부(30)를 자화시켜 광원부(50)를 외부로 노출시키므로, 본 예의 광학 모듈(1)이 구비된 해당 전기전자 장치의 심미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예의 광학 모듈(1)에서, 광원부(50)는 항상 투명기판(52, 51)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빛의 조사면을 구비하고 있는 광원(51)을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본 예의 경우, 복잡한 기구적인 구조가 아닌 자력에 의해 반응하는 도전성 잉크(64)를 이용하여 광원부(50)의 노출 여부가 제어되므로, 광원 모듈(1)의 구조가 간소화된다.
대안적인 예에서, 광학 모듈(1)은 광원부(50)와 인접하게 위치한 플리커 감지부(flicker sensor)(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플리커 감지부는 제어부(70)에 연결되어,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플리커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광원(51)의 점등 동작 시 플리커 발생 여부를 판정하고, 발생된 플리커를 보정하는 구동 신호를 광원부(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플리커에 대한 보정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광원부(50)에서 조사되는 빛의 질이 향상된다.
다음, 도 4 및 도 5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모듈(1a)을 설명하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광학 모듈(1)과 비교할 때,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광학 모듈(1)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 역시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광학 모듈(1a)은 전자석부(30a)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3의 광학 모듈(1)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예의 광학 모듈(1a) 역시 하부 하우징(11), 하부 하우징(11)에 위치하는 베이스 기판(20), 베이스 기판(20)에 위치하는 전자석부(30a), 마그네트(40) 및 광원부(50), 광원부(50) 위에 위치하는 셔터부(60), 베이스 기판(20)에 위치하는 제어부(70) 및 셔터부(60) 위에 위치하고 하부 하우징(11)과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1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셔터부(60)는 상부 투명기판(61), 하부 투명기판(62), 상부 투명기판(61)과 하부 투명기판(62) 사이의 공간을 이격하는 간격재(63), 그리고 이 이격 공간 사이에 위치하여 전자석부(30a)의 자화 여부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도전성 잉크(64)를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예의 광학 모듈(1a)에서, 전자석부(30a)는 도 1 내지 도 3의 전자석부(30)와 달리, 광원부(50)와 마그네트(40)를 끊김없이 에워싸고 있는 링 형상을 갖고 있어, 금속 선이 베이스 기판(20)의 기판 본체(21)의 해당 면(예, 상부면)의 가장자리에서 링 형태로 감겨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광원부(50)와 제어부(70)는 전자석부(30a)로 에워싸여진 기판 본체(21)의 부분에 위치할 수 있고, 광원부(50)는 마그네트(40)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셔터부(60) 역시 전자석부(30a)로 에워싸여진 공간 속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석부(30a)의 금속선이 기판 본체(21)의 가장자리부에 감겨 있는 상태에서, 전자석부(30a)에 전류가 인가되면, 도전성 잉크(64)는 정해진 한 방향[즉, 제1 방향(X1) 또는 제2 방향(X2)]으로 직선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간격재(63)로 에워싸여진 상부 투명기판(61)과 하부 투명기판(62) 사이의 공간 내에서 사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5의 (a)에 도시한 것처럼, 전자석부(30a)에 전류의 인가가 이루어지지 않는 전자석부(30a)의 비자화 상태일 때,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이미 기술한 것처럼 마그네트(40)와 도전성 잉크(64) 사이의 자력에 의해 도전성 잉크(64)는 마그네트(40) 쪽 즉, 제2 방향(X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전성 잉크(64)는 마그네트(40)에 인접하게 위치한 광원부(50) 위에 위치하여 광원부(50)의 상부를 덮게 된다[도 5의 (a) 참고].
따라서, 불투명한 색상을 띄고 있는 도전성 잉크(64)로 상부가 덮여진 광원부(50)는 상부 하우징(12)의 창(1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하지만,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전자석부(30a)에 전류가 인가되어 전자석부(30)가 자화 상태일 때, 전자석부(30a)와 도전성 잉크(64) 사이에 자력이 발생하고, 전자석부(30a)와 도전성 잉크(64) 사이의 자력의 세기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마그네트(40)와 도전성 잉크(64) 사이의 자력의 세기보다 셀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트(40) 쪽으로 몰려 있던 도전성 잉크(64)는 자화 상태인 전자석부(30a)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전자석부(30a)가 셔터부(60)를 에워싸고 있으므로, 도전성 잉크(64)는 사방으로 흩어지면서 인접한 전자석부(30a) 쪽, 즉 셔터부(60)의 가장자리부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5의 (b) 참고].
이처럼, 광원부(50)의 상부에 위치한 도전성 잉크(64)가 셔터부(60)가 가장자리부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광원부(50)는 하부 투명기판(62)과 상부 투명기판(61)을 통해 노출되고, 따라서 개방된 상부 하우징(12)의 창(1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점등된 광원부(50)의 광원(51)은 창(121)을 통해 외부로 안정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비해, 전자석부(30)가 자화될 때, 도전성 잉크(64)의 이동 방향이 어느 한 방향이 아닌 여러 방향으로 정해지므로, 도전성 잉크(64)의 이동 속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추가적으로 발생한다.
다음 도 6 및 도 7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모듈(1b)을 설명한다.
본 예에 따른 광학 모듈(1b)은 도 1 내지 도 3의 광학 모듈(1)과 비교할 때, 전자석부(31, 32)와 셔터부(60b)를 제외하면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의 광학 모듈(1b)은 하부 하우징(11), 하부 하우징(11)에 위치하는 베이스 기판(20), 전자석부(31, 32), 마그네트(40) 및 광원부(50), 광원부(50) 위에 위치하는 셔터부(60b), 베이스 기판(20)에 위치하는 제어부(70), 셔터부(60b) 위에 위치하고 하부 하우징(11)과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12)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의 셔터부(60b) 역시 상부 투명기판(61), 하부 투명기판(62), 상부 투명기판(61)과 하부 투명기판(62) 사이의 공간을 이격하는 간격재(63b), 그리고 이 이격 공간 사이에 위치하여 전자석부(30b)의 자화 여부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도전성 잉크(64)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의 전자석부(31, 32)는 광학 모듈(1)의 전자석부(30)와 비교할 때 그 장착 위치 및 개수가 상이할 수 있다.
즉, 본 예의 전자석부(31, 32)는 모두 복수 개(예, 2개)일 수 있고, 이들 중 하나인 제1 전자석부(31)는 상부 투명기판(61)의 상부면에 장착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인 제2 전자석부(32)는 하부 투명기판(62)의 하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들 제1 전자석부(31)와 제2 전자석부(32)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해당 기판(61, 62)에 장착될 수 있고, 투명기판(61, 6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서 대면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들 제1 전자석부(31)와 제2 전자석부(31) 역시 베이스 기판(20)을 통해 제어부(70)에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7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자화 여부가 정해질 수 있다.
제1 전자석부(31)와 제2 전자석부(32)를 자화시킬 때, 제어부(70)는 제1 전자석부(31)로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과 제2 전자석부(32)로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서로 반대로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전자석부(31)와 제2 전자석부(32)가 자화 상태일 때, 제1 전자석부(31)에 발생되는 극성(N극 및 S극)의 위치와 제2 전자석부(32)에 발생되는 극성(N극 및 S극)의 위치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써, 투명기판(61, 6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고 있는 제1 전자석부(31)와 제2 전자석부(32)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셔터부(60b)는 이미 기술한 상부 투명기판(61), 하부 투명기판(62), 간격재(63b) 및 도전성 잉크(64) 이외에, 상부 투명기판(61)과 하부 투명기판(62)의 이격 간격을 변화시키는 제1 클립(651)과 제2 클립(652)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추가로, 셔터부(60b)의 간격재(63b)는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압축 상태가 변하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간격재(63b)의 두께는 제1 클립(651)과 제2 클립(652)의 상태에 따라 증감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격재(63b)의 두께 변화로 인해, 상부 투명기판(61)과 하부 투명기판(62) 사이의 간격 역시 증감될 수 있다.
제1 클립(651)과 제2 클립(652)은 각각 서로 상하에서 대면하게 위치하고 있는 상부 투명기판(61)과 하부 투명기판(62)의 가장자리 외측, 즉 측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클립(651)과 제2 클립(652)은 서로 반대 방향에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고, 한 예로, 제1 클립(651)은 셔터부(60b)의 일 측부인 좌측 가장자리 외측에 장착될 수 있고, 제2 클립(652)은 셔터부(60b)의 타 측부인 우측 가장자리 외측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클립(651)과 제2 클립(652)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고,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가운데 부분이 꺾인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제1 클립(651)과 제2 클립(652)은 서로 좌우 반전 형태로 해당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클립(651)과 제2 클립(652)은 각각 상부 투명기판(61) 및 하부 투명기판(62)에 각각 접하게 위치하는 두 개의 장착부(6511)와 이 두 개의 장착부(6511)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가운데 부분이 외측으로 꺾여 있는 연결부(6512)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클립(6511)과 제2 클립(6512)은 장착된 해당 위치에서 상부 투명기판(61)과 하부 투명기판(62)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따라 연결부(6512)의 꺾임 정도가 변하고 이로 인해, 상부 투명기판(61)과 하부 투명기판(62)에 압력이 변하여, 제1 클립(651)과 제2 클립(652)은 각각 상부 투명기판(61)와 하부 투명기판(62)의 이격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광학 모듈(1b)에서, 제1 전자석부(31)와 제2 전자석부(32)가 미구동 상태로 비자화 상태일 때, 제1 전자석부(31)와 제2 전자석부(32) 사이에는 어떠한 자력도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부 투명기판(61)과 하부 투명기판(62)을 압축하고 있는 제1 클립(651)과 제2 클립(652)의 압축 세기는 변화없이 초기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부 투명기판(61)과 하부 투명기판(62)의 이격 간격 역시 초기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이런 제1 전자석부(31)와 제2 전자석부(32)가 비자화 상태일 때, 광원부(50)와 인접해 있는 마그네트(40)에 의해, 마그네트(40)와 도전성 잉크(64) 사이에는 자력에 생성되어, 도전성 잉크(64)는 광원부(50) 쪽 즉 제2 방향(X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a)에 도시한 것처럼, 투명기판(61, 62) 하부에 위치한 광원부(50)는 상부에 위치한 도전성 잉크(64)로 덮여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제1 전자석부(31)와 제2 전자석부(32)로 해당 방향으로 전류가 각각 인가되어 제1 전자석부(31)와 제2 전자석부(32)가 자화 상태가 되면, 제1 및 제2 전자석부(31, 32)와 도전성 잉크(64)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전자석부(31, 32)와 도전성 잉크(64)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의 세기는 마그네트(40)와 도전성 잉크(64)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보다 크므로, 도전성 잉크(64)는 제1 전자석부(31)와 제2 전자석부(32)가 위치한 방향인 제1 방향(X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전자석부(31, 32)의 비자화 시 광원부(50)의 상부에 위치한 도전성 잉크(64)가 제1 및 제2 전자석부(31, 32) 쪽으로 이동하므로, 광원부(50)는 그 위에 위치한 투명기판(62, 61)과 상부 하우징(12)의 창(1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도 7의 (b)].
따라서, 광원부(50)의 광원(51)은 개방된 창(121)을 통해 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다.
이때, 도 7의 (b)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전자석부(31)와 제2 전자석부(32)가 자화 상태일 때, 투명기판(61, 6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고 제1 전자석부(31)와 제2 전자석부(32)의 부분에는 동일한 극성(예, N극)을 띄게 된다.
따라서, 제1 전자석부(31)와 제2 전자석부(32)의 사이에는 서로 미는 힘이 척력이 작용하고, 이러한 척력에 의해 제1 클립(651)과 제2 클립(652)의 연결부(6512)의 꺾임 정도, 즉 꺾임 각도는 초기 상태에서 증가하여 상부 투명기판(61)과 하부 투명기판(62)에 가해지는 제1 클립(651)과 제2 클립(651)의 압축 세기는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클립(651)과 제2 클립(651)의 압축 세기의 감소로 인해, 가요성 간격재(23b)의 두께는 감소한 압축 세기에 비례하여 증가하여 상부 투명기판(61)과 하부 투명기판(62)의 이격 간격은 초기 상태보다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투명기판(61)과 하부 투명기판(62)의 이격 간격의 증가로 인해, 상부 투명기판(61)과 하부 투명기판(62) 사이에 위치한 도전성 잉크(64)의 이동성은 더욱 증가하여, 도전성 잉크(64)의 이동 속도는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클립(651)과 제2 클립(652)의 상태에서, 제1 전자석부(31)와 제2 전자석부(32)가 비자화 상태로 변하면, 도전성 잉크(64)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마그네트(40)가 위치한 제2 방향(X2)으로 이동하여, 광원부(50)의 상부를 덮게 된다.
또한, 제1 전자석부(31)와 제2 전자석부(32) 사이의 척력이 사라지므로, 제1 클립(651)과 제2 클립(652)의 꺾임 정도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어, 간격재(63b)의 두께 역시 초기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잉크용 공간(S60) 속에 위치하는 도전성 잉크(64)의 양은 광원부(50)의 장착 위치, 광원부(50)와 마그네트(40) 사이의 간격 및 상부 투명기판(61) 및 하부 투명기판(62) 사이의 이격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40)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광원부(50)의 위치 역시 필요에 따라 기판 본체(21)에서 변할 수 있고, 이러한 광원부(50)의 위치 변화에 따라 광원부(50)를 노출하는 창(121)의 위치 역시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1a, 1b: 광학 모듈 11: 하부 하우징
12: 상부 하우징 121: 창
20: 베이스 기판 21: 기판 본체
22: 연결부 30, 30a, 31, 32: 전자석부
40: 마그네트 50: 광원부
60, 60b: 셔터부 61: 상부 투명기판
62: 하부 투명기판 63, 63b: 간격재
64: 도전성 잉크 611, 621: 코팅막
641: 도전성 입자 651, 652: 클립
X1: 제1 방향 X2: 제2 방향
S60: 잉크용 공간

Claims (16)

  1.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제1 면에 위치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 위에 위치하고, 내부에 도전성 입자를 함유한 도전성 잉크를 구비하는 셔터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제1 면에 위치하고, 상기 셔터부의 측부에 상기 셔터부와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기 광원부와 이격되어 있는 전자석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제1 면에 위치하고, 상기 셔터부의 측부에 상기 셔터부와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광원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마그네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부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상기 전자석부가 비자화 상태일 때, 상기 도전성 잉크는 상기 도전성 입자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마그네트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광원부의 상부를 덮어 상기 광원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고,
    상기 전자석부에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전자석부가 자화 상태일 때, 상기 도전성 잉크는 상기 도전성 입자와 상기 전자석부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전자석부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광원부의 상부를 개방해 상기 광원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광학 모듈.
  2.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제1 면에 위치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투명기판, 상기 제1 투명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2 투명기판,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2 투명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가요성 간격재 및 상기 제1 투명기판, 상기 제2 투명기판 및 상기 가요성 간격재로 둘러싸인 내부에 위치하고 도전성 잉크를 구비하는 셔터부;
    상기 제1 투명기판에 위치하고 있는 제1 전자석부;
    상기 제2 투명기판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전자석부와 반대편에서 서로 대면하고 있는 제2 전자석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제1 면에 위치하고, 상기 셔터부의 측부에 상기 셔터부와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광원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마그네트;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2 투명기판에 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셔터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클립; 및
    상기 셔터부의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2 투명기판에 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일측 가장자리의 반대 방향에서 상기 일측 가장자리와 마주보게 위치하는 상기 셔터부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2 클립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석부와 상기 제2 전자석부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상기 제1 전자석부와 상기 제2 전자석부가 비자화 상태일 때, 상기 도전성 잉크는 상기 도전성 입자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마그네트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광원부의 상부를 덮어 상기 광원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고,
    상기 제1 전자석부와 상기 제2 전자석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제2 전자석부와 상기 제2 전자석부가 자화 상태일 때, 상기 도전성 잉크는 상기 도전성 입자와 상기 전자석부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전자석부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광원부의 상부를 개방해 상기 광원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며,
    상기 제1 전자석부와 상기 제2 전자석부 사이에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상기 제1 클립과 상기 제2 클립의 압축 세기가 감소하여 상기 가요성 간격재의 두께가 증가하여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2 투명기판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는
    광학 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는 한 개인 광학 모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마그네트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상기 마그네트와 대면하고 있는 광학 모듈.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는 내부에 상기 광원부와 상기 마그네트를 끊김없이 에워싸고 있는 링 형상을 갖는 광학 모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투명기판;
    상기 제1 투명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2 투명기판; 및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제2 투명기판 사이에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제2 투명기판과 접하게 위치하며 끊김 없이 연결되어 있어 가운데 빈 공간에 상기 도전성 잉크가 위치하는 간격재
    를 포함하는 광학 모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재는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2 투명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끊김없이 연결되게 위치한 링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도전성 잉크는 상기 제1 투명기판, 상기 제2 투명기판 및 상기 간격재에 의해 에워싸여진 공간 내에 위치하는
    광학 모듈.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립과 상기 제2 클립은 각각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2 투명 판에 각각 장착되는 두 개의 장착부 및 상기 두 개의 장착부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가운데 부분이 꺾여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광학 모듈.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잉크와 접하는 상기 제1 투명기판의 면과 상기 제2 투명기판의 면에 각각 위치하고, 발수성 또는 발유성의 성질을 갖는 제1 코팅막 및 제2 코팅막
    을 더 포함하는 광학 모듈.
  13. 삭제
  14. 삭제
  1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부는 노출시키는 창을 구비하는 상부 하우징
    을 더 포함하는 광학 모듈.
  1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잉크는 불투명한 색상을 갖는 광학 모듈.
KR1020200132217A 2020-10-13 2020-10-13 광원 모듈 KR102437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217A KR102437903B1 (ko) 2020-10-13 2020-10-13 광원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217A KR102437903B1 (ko) 2020-10-13 2020-10-13 광원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867A KR20220048867A (ko) 2022-04-20
KR102437903B1 true KR102437903B1 (ko) 2022-08-30

Family

ID=81395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217A KR102437903B1 (ko) 2020-10-13 2020-10-13 광원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9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5909A (ja) * 2003-04-25 2004-11-18 Fuji Photo Film Co Ltd 光シャッタ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11159339A (ja) * 2010-01-29 2011-08-18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光学素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918A (ko) * 2002-07-26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정장치
KR100761630B1 (ko) * 2003-04-16 2007-09-27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부착 휴대 기기
KR20080099003A (ko) 2007-05-08 2008-11-12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Led 패키지용 보조 광학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발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5909A (ja) * 2003-04-25 2004-11-18 Fuji Photo Film Co Ltd 光シャッタ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11159339A (ja) * 2010-01-29 2011-08-18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光学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867A (ko)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0126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which include same
US10976516B2 (en) Optical mechanism
CN108072960B (zh) 光学驱动机构
US20140063331A1 (en) Electromagnetic actuators for digital cameras
EP3457188A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US11650394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20150042690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US10495897B2 (en) Lens driving mechanism having leaf spring
KR102561934B1 (ko)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US11076234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230393369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US11239024B2 (en)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102063715B1 (ko) 카메라 모듈
CN115201994B (zh) 透镜移动装置及包括透镜移动装置的摄像头模块和光学装置
KR102437903B1 (ko) 광원 모듈
CN114257716A (zh) 防抖模组、摄像模组和电子设备
KR102508493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CN217279140U (zh) 光学机构以及光学系统
KR102448014B1 (ko) 광원 모듈
KR102389901B1 (ko) 광원 모듈
US11841547B2 (en) Optical element drive mechanism
KR102389899B1 (ko) 광원 모듈
US20230176318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US20220206364A1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20220008107A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