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899B1 - 광원 모듈 - Google Patents

광원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899B1
KR102389899B1 KR1020200113286A KR20200113286A KR102389899B1 KR 102389899 B1 KR102389899 B1 KR 102389899B1 KR 1020200113286 A KR1020200113286 A KR 1020200113286A KR 20200113286 A KR20200113286 A KR 20200113286A KR 102389899 B1 KR102389899 B1 KR 102389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coil
driving unit
optical module
low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1409A (ko
Inventor
윤금영
김형주
박윤성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200113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899B1/ko
Publication of KR20220031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3
    • H04N5/2256
    • H04N5/225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광학 모듈은 하부 하우징,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에 위치하고 있는 광원부, 상기 베이스 기판에 위치하고 있는 코일, 상기 코일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부와 인접하게 절곡되어 있는 요크, 상기 코일과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는 마그네트, 상기 하부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마그네트를 내장하고 있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광원부 위에 위치하는 셔터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이 미구동 상태일 때, 상기 코일과 상기 요크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셔터를 상기 광원부 바로 위에 위치시켜 강기 광원부의 상부를 덮고, 상기 코일이 구동 상태일 때, 상기 코일과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는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광원부 상부에 위치한 상기 셔터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광원부를 노출시킨다.

Description

광원 모듈{LIGHT SOURCE MODULE}
본 발명은 광원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전자 장치에 부착된 광원의 노출 여부를 제어하는 광원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smart phone)나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등의 휴대기기뿐만 아니라 자동차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전기전자 장치에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사진 및 동영상의 촬영 동작과 사물 인식이나 생체 인식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때와 장소에 무관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촬영 동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과 함께, 촬영 시기나 주변 환경에 따라 부족한 광을 보충하기 위한 광원 모듈 역시 구비되어 있다.
광원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광원을 구비하고 있고, 카메라 모듈의 동작에 연동하여 또는 카메라 모듈의 동작과 무관하게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의해 별도로 구동되어 광원이 점등된다.
이때, 광원은 최종적으로 원하는 부분에 빛을 조사해야 하므로, 광원 모듈이 장착된 해당 장치의 외부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광원 모듈은 주로 밤과 같이 특정 시각이나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서만 구동되므로, 카메라 모듈과 같은 다른 모듈이나 장치에 비해 동작 빈도수가 상대적으로 적다.
하지만, 이미 기술한 것처럼, 광원 모듈은 동작 여부에 무관하게 해당 장치의 외부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 해당 장치의 미관을 손상시키며, 유리와 같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광원의 노출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로 오염되어 출력되는 광량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99003호(공개일자: 2008년 11월 12일, 발명의 명칭: LED 패키지용 보조 광학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발광장치)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광학 모듈이 장착된 전기전자 장치의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광학 모듈을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광학 모듈은 광원부, 코일, 상기 광원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요크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요크 및 상기 코일과 상방 또는 하방으로 대향하는 마그네트 및 셔터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마그네트과 상기 요크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셔터를 상기 광원부 바로 위에 위치시켜 상기 광원부의 상부를 덮고,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된 상태일 때, 상기 코일과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는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광원부 상부에 위치한 상기 셔터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광원부를 노출시킨다.
상기 특징에 따른 광학 모듈은 상기 광원부 및 상기 코일이 결합된 베이스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과 상기 광원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동일한 면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 변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코일과 상기 광원부가 위치하는 기판 본체 및 상기 기판 본체에서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광학 모듈은 상기 광원, 상기 코일 및 상기 요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 변을 따라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구동부와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 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부 본체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복수 개의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일 변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제1 볼 삽입홈을 포함하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동부는 하부에 상기 마그네트가 위치하고 상부에 상기 셔터가 위치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일 변에 위치하여 복수 개의 제2 볼 삽입홈을 구비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볼은 상기 제1 볼 삽입홈과 상기 제2 볼 삽입홈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광학 모듈은 상기 하부 하우징과 결합되고 가운데에 상기 셔터를 노출하는 창을 구비하는 상부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 면에서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코일은 일면의 반대편인 상기 베이스 기판의 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광학 모듈은 상기 광원, 상기 코일 및 상기 요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부면에 접해 있고 상기 하부면을 따라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광학 모듈은 상기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상부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기판이 위치하고 가운데 상기 코일이 노출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부면, 상기 하부면의 일 변의 하부에 위치하고 볼 삽입홈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 개의 볼 삽입부 및 상기 하부면의 일 변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부의 일부가 돌출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볼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부 본체; 및 상기 구동부 본체의 볼 삽입홈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볼 삽입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부 본체가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부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본체는 상기 마그네트가 위치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일 변에 연결되어 있고 아래쪽으로 함몰되어 상기 볼 삽입홈을 구비하는 함몰 부분과 상기 함몰 부분에 연결되어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 홈을 통해 일부가 돌출되어 있는 직선 부분을 포함하는 셔터 위치부
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셔터는 상기 가이드 홈을 통해 돌출되어 있는 상기 직선 부분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요크가 위치하는 기판 본체, 및 상기 기판 본체의 일 변에서 절곡되어 상기 기판 본체와 평행하게 위치하고 상기 광원부가 위치하는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은 측면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기판 본체의 타변에서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는 불투명한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광학 모듈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광학 모듈 상부에 위치한 구동부가 광원부 상부를 덮고 있으므로, 광원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해당 전기전자 장치에의 광원 장착 위치가 인지되지 않아, 전기전자 장치의 심미성이 향상된다.
또한, 광학 모듈이 동작되지 않는 동안 구동부가 광원부를 덮고 있어 먼지 등의 이물질이 광원 표면에 부착되어 광원 표면을 오염시키는 정도가 크게 줄어든다. 따라서, 광원 표면의 오염 정도에 따라 변하는 출력 광의 손실량 역시 감소하여, 광원 모듈의 동작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비동작시 광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 등으로 광원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크게 줄어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모듈의 사시도로서, (a)가 셔터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b)는 셔터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의 광학 모듈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IV-IV 선을 따라 잘라 얻어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V-V 선을 따라 잘라 얻어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모듈의 사시도로서, (a)가 셔터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b)는 셔터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은 각각 도 6의 광학 모듈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IX-IX 선을 따라 잘라 얻어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서 X-X 선을 따라 잘라 얻어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모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모듈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광학 모듈(1)은 하부 하우징(11), 하부 하우징(11) 위에 위치하는 요크(20), 요크(20) 위에 위치하는 베이스 기판(30), 베이스 기판(30) 위에 위치하는 코일(40), 베이스 기판(30) 위에 코일(40)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광원부(50), 코일(40) 상부에 위치하는 마그네트(60), 코일(40)과 광원부(50) 위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볼(72)을 구비하는 구동부(70), 구동부(70)에 장착되는 셔터(80), 코일(40) 내에 위치하는 위치 감지부(91) 및 제어부(92), 그리고 구동부(70) 위에 위치하는 상부 하우징(12)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에서, 하부 하우징(11)과 상부 하우징(12)은 서로 결합하여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형성된 빈 공간 속에 광학 모듈(1)을 구성하는 구성요소(20~92)가 위치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는 대략 사각형(에,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하우징(11)은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 내부에는 하부면과 측면으로 에워싸여진 빈 공간을 구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11)의 바닥면은 가운데 부분에 홈을 구비하고 주변 부분은 단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하부 하우징(11)의 홈 속에 요크(20)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고, 주변 부분의 단차 구조를 이용하여 요크(20) 위에 베이스 기판(30)을 위치시킬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의 양측 가로변(예, 일 변)에는 복수 개의 볼 삽입홈(예, 제1 볼 삽입홈)(H11)를 구비할 수 있다.
동일한 가로변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1 볼 삽입홈(H11)은 서로 이격되어 있어, 동일한 제1 볼 삽입홈(H11) 내에 위치하는 볼(72)은 해당 가로변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제 자리에서만 회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로변과 세로변을 구비하는 구성요소에서, 일 예로 가로변은 일 변으로 칭하고 세로변을 타 변으로 칭하지만, 이와 반대로 세로변이 일 변이고 가로변이 타 변일 수 있다. 본 예와 달리, 대안적인 예에서, 인접한 두 변이 90도를 이루는 가로변과 세로변이 아니라, 인접한 두 변이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 작은 변을 갖는 다각형의 구성요소의 경우, 복수 개의 한 변이 일 변일 수 있고, 다른 변이 타 변일 수 있다.
본 예에서, 하부 하우징(11)의 양쪽 장측면에 위치하는 제1 볼 삽입홈(H11)의 개수는 동일하며, 각 장측면에는 두 개의 제1 볼 삽입홈(H11)이 위치하지만, 이러한 제1 볼 삽입홈(H11)의 개수를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하우징(11)은 광학 모듈(1)의 바닥부를 이룰 수 있다.
요크(20)는 코일(40)로의 전류 인가 여부에 따라 구동부(70)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Fe)과 같은 도체를 함유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요크(20)는 가요성 요크(FPCB yok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요크(20)는 코일(40)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광학 모듈(1) 또는 코일(40)의 미구동 상태일 때는 구동부(70)가 광원부(50) 위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부(50)의 점등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소등 상태를 유지하는 광학 모듈(1)의 미구동 상태일 때, 구동부(70)는 광원부(50)의 상부에 위치하여 광원부(50)의 상부를 덮어 광원부(5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요크(2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하부 하우징(11)의 하부면에 형성된 홈 속에 위치할 수 있고, 대략 'ㄴ'의 단면 형상을 갖는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요크(20)는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베이스 기판(30)의 하부에 위치하는 요크 본체(21)와 요크 본체(21)의 일측에서 위쪽 방향으로 90도로 절곡되어 있는 하나의 절곡부(22)를 구비할 수 있다. 절곡부(22)는 도시한 것처럼 요크 본체(21)의 세로변(예, 타변) 중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요크 본체(21)을 기준으로 하여 수직하게 위쪽 방향으로 굽어져 있는 절곡부(22)는 광원부(50)에 인접하게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부(50)의 일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한 요크(20)의 절곡부(22)로 인해, 광학 모듈(1)이 미구동 상태일 때, 요크(22)의 절곡부(22)와 마그네트(60)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구동부(70)가 제1 방향(X1) 쪽으로 즉, 요크(20)의 절곡부(22) 쪽으로 이동해 광원부(5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측면이 구비하고 있지 않은 바닥면의 다른 측변 즉, 세 개의 측변)는 개방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30)은 홈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하부 하우징(11)의 주변 부분에 위치한 단차부에 위치할 수 있고, 하부 하우징(11)의 하부면의 홈 속에 삽입되어 있는 요크(20)의 상부면과 베이스 기판(30)의 하부면은 서로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베이스 기판(30)은 가요성 인쇄베이스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과 같은 연성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기판(30)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기판 본체(31)와 기판 본체(31)의 가로변에서 아래쪽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부(3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에서, 기판 본체(31)의 동일 면(예, 상부면)에는 기판 본체(31)의 가로변을 따라, 즉 하부 하우징(11)의 연장 방향(X)을 따라서 광원부(50)와 코일(40)이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기판 본체(31)에서 광원부(50)와 위치하고 있는 부분은 제1 부분이고, 광원부(50)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 예를 들어 코일(40)이 위치하는 부분은 제2 부분일 수 있다. 이때,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연장 방향(X)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기판 본체(31)와 연결부(32) 사이에는 일부가 개방된 구멍(H30)을 구비하고 있고, 이 구멍(H30)을 통해 일측 가로변에 위치한 제1 볼 삽입홈(H11)이 노출되어, 볼(72)을 통해 구동부(70)가 안정적으로 하부 하우징(11)의 제1 볼 삽입홈(H11)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베이스 기판(30)에 위치하고 있는 코일(40), 광원부(50), 위치 감지부(91) 및 제어부(92)와 같은 전기전자 소자 간의 전기적 및 물리적인 연결을 위해, 베이스 기판(30)은 복수 개의 신호선 및 패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신호선과 패드 등을 통해 전기전자 소자 간의 신호 전송 및 해당 전기전자 소자에 대한 신호의 입출력 동작이 행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연결부(32)를 통해 신호의 입출력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대략 타원형으로 감겨 있는 코일(40)은 베이스 기판(30) 위에 위치하고 있고, 제어부(92)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40)은 광학 모듈(1)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제어부(92)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입력 받아 자기장을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코일(40)로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코일(40)에 발생하는 극성(N극 또는 S극)의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40)의 정해진 방향으로의 전류가 코일(40)에 인가되어 코일(40)이 자화되어 구동 상태가 되면, 자화된 코일(40)과 그 위에 위치하는 마그네트(60) 사이에 작용하는 힘인 자력(예, 척력)에 따라 마그네트(60)의 위치가 변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코일(40)은 베이스 기판(30) 위에 감겨 있고, 코일(40)의 가운데의 빈 공간 속에 위치 감지부(91)와 제어부(92)가 위치하여 위치 감지부(91)와 제어부(92)의 설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코일(40) 옆에서 코일(40)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고 있는 광원부(50)는 제어부(92)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상태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광원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광원부(50)의 점등 여부에 따라 구동부(70)의 위치가 정해지고, 구동부(70)의 위치 제어는 코일(40)로의 전류 인가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92)는 광원부(50)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상태에 따라 코일(40)로의 전류 인가를 제어할 수 있다.
마그네트(60)는 구동부(70)의 하부면에 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위치에 따라 해당 극성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이미 기술한 것처럼, 자화된 코일(40)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부에 부착된 구동부(7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트(60)는 구동부(7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구동부(7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마그네트(60)와 코일(40) 사이에서의 전자기장 발생 여부에 따라, 자력의 발생 여부에 따라 제1 방향(X1)으로 이동하여 광원부(50) 위에 위치하거나 제1 방향(X1)의 반대 방향인 제1 방향(X2)으로 이동하여 코일(40)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70), 좀더 구체적으로는 구동부 본체(71)가 하부 하우징(11)의 연장 방향(예, 가로 방향)(X)을 따라서 직선 이동할 때, 제1 방향(X1)은 구동부(70)가 광원부(50) 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X2)은 제1 방향(X1)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향(X1)은 베이스 기판(30)에서 광원부(50가 위치하고 있는 제1 부분 쪽으로 구동부(70)가 하부 하우징(11)의 하부면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X2)은 베이스 기판(30)에서 광원부(50)가 위치하지 않은 제2 부분 쪽으로 구동부(70)가 하부 하우징(11)의 하부면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70)는 구동부 본체(71)와 복수 개의 볼(72)을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 본체(71)는 대략 사각형(예,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지지대(711) 및 광학 모듈(1)의 폭 방향(예, 세로 방향)(Y)으로 이격되어 있는 지지대(711)의 장축의 가장자리부(예, 가로변)에 위치하여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부(예, 제1 및 제2 가이드부(712))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대(711)의 상부면에는 셔터(80)가 안착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지지대(711)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712) 사이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부(712)의 상부에서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그 내부에는 하부는 개방되고 지지대(711)에 의해 상부가 막혀 있는 홈(H71)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 홈(H71) 속에 마그네트(60)가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다.
각 제1 및 제2 가이드부(712)는 지지대(711)의 가로변 하부에 위치하여 지지대(711)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부(712) 각각은 하부에 복수 개의 볼(72)이 삽입되어 위치하는 홈인 볼 삽입홈(예, 제2 볼 삽입홈)(H712)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볼 삽입홈(H11)과 달리, 제1 및 제2 가이드부(712)에 각각 위치한 제2 볼 삽입홈(H712)은 제1 가이드부(7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하나의 홈일 수 있다.
이때, 각 제2 볼 삽입홈(H712)은 하부 하우징(11)에 위치한 각 제1 볼 삽입홈(H11)과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 본체(71)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재를 함유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볼(72)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하부 하우징(11)의 제1 볼 삽입홈(H11)과 구동부 본체(71)의 제1 및 제2 가이드부(712) 하부에 위치한 제2 볼 삽입홈(H712) 사이에 하부 하우징(110)과 제1 및 제2 가이드부(712)와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볼 삽입홈(H11)과 제2 볼 삽입홈(H712) 사이에 위치한 볼(72)은 구동부 본체(71)가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면, 구동부 본체(71)의 이동 방향에 따라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과 같이 정해진 방향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하나의 제2 볼 삽입홈(H712)에 대응하는 제1 볼 삽입홈(H11)의 개수는 복수 개 일 수 있지만, 이미 기술한 것처럼, 복수 개의 제1 볼 삽입홈(H11)을 서로 이격되어 분리되어 있으므로, 각 제1 볼 삽입홈(H11)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볼(72)은 대응되는 제2 볼 삽입홈(H7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만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볼(72)의 회전 동작에 의해, 구동부 본체(71)는 용이하게 하부 하우징(11)의 가로변을 따라 제1 방향(X1) 또는 제2 방향(X2)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본 예에서, 하나의 볼 삽입홈(H11, H712) 속에는 두 개의 볼(72)이 위치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볼 삽입홈(H11, H712) 속에 위치하는 볼(72)의 개수는 변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복수 개의 볼(72)의 크기와 재료는 모두 동일할 수 있고, 인가되는 압력 및 회전 동작에 따라 마모나 파손의 위험의 적은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셔터(80)는 지지대(711)의 상부면 외측에 부착되어 있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셔터(80)는 차광성이 양호한 검은색과 같이 불투명한 색상을 구비할 수 있고 합성 수지재나 금속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셔터(80)는 검은색 계열과 같은 어두운 색상을 갖는 층이 외측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셔터(80)는 본체와 본체 위에 위치하고 어두운 색상을 갖는 표면층을 구비하여, 불투명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셔터(80)는 구동부 본체(71)의 동작에 따라 제1 방향(X1) 또는 제2 방향(X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셔터(80) 역시 구동부(7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코일(40)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위치 감지부(91)는 제어부(92)와 연결될 수 있다.
위치 감지부(91)는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마그네트(60)의 위치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제어부(92)로 출력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위치 감지부(91)는 홀 센서(hall sensor)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92)는 위치 감지부(91)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마그네트(60)의 현재 위치, 즉 코일(40) 바로 위치하는 지 또는 광원부(50) 바로 위치하는 지를 판정해, 광원 모듈(1)의 동작에 따라 코일(40)로의 전류 인가 여부를 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92)는 칩(chip)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하부 하우징(11)과 결합되어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 속에 광학 모듈(1)의 구성요소(20-92)를 안전하게 내장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하우징(12)은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측면과 상부면을 구비하고 있는 사각형(예,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면의 가운데 부분에는 셔터(80)와 광원부(50)를 노출하는 창(12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창(121)은 직사각형일 수 있고, 창(121)의 세로 크기는 셔터(80)의 상부면의 세로 크기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고, 창(121)의 가로 크기는 셔터(80)의 상부면의 가로 크기보다 훨씬 클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부 하우징(12)의 창(121)은 구동부(70)의 상부면으로 모두 덮여지지 않아, 구동부(70)가 제2 방향(X2)으로 이동할 때, 광원부(50)의 조사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광원 모듈(1)에서, 제어부(92)는 사용자의 동작과 주변의 조도 등에 따라 광학 모듈(1)의 광원부(50)를 점등시켜야 하는 상태로 판단되면, 이미 기술한 것처럼 위치 감지부(91)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마그네트(60)의 위치를 판정하여 마그네트(60)가 광원부(50)의 상부 위치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마그네트(60)의 위치가 광원부(50)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92)는 코일(40)로 해당 상태의 전류를 공급하여 코일(40)을 자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코일(40)와 마그네트(60) 사이에 자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때, 코일(40)과 마그네트(60)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의 세기는 마그네트(60)와 요크(20)의 절곡부(22)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의 세기보다 크다.
따라서, 코일(40)와 마그네트(60) 사이에 자력이 작용하면, 마그네트(60)는 제2 방향(X2)으로 이동하고, 이러한 마그네트(60)의 이동에 의해 마그네트(60)와 접해 있는 구동부 본체(71)는 하부 하우징(11)에 위치한 볼(72)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2 방향(X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원부(50)를 덮고 있던 지지대(711) 위의 셔터(80)는 코일(40) 위에 위치하여 코일(40)을 덮고, 대신에 광원부(50)는 개방된 상부 하우징(12)의 창(1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도 1의 (b) 참고].
그런 다음, 다시 위치 감지부(91)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마그네트(60)의 위치가 코일(40) 위에 위치한 상태로 판정되면, 제어부(92)는 광원부(50)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광원부(50)의 광원을 점등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광원의 점등 동작에 의해, 광원부(50)에서 출력되는 빛을 개방된 상부 하우징(12)의 창(121)을 통해 외부로 조사할 수 있다.
이처럼, 광원부(50)의 점등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제어부(92)는 코일(40)로 인가되는 신호(예,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 차단에 의해 코일(40)의 자화 현상을 해제되면, 도체로 이루어진 요크(20)와 마그네트(60)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마그네트(60)는 요크(20)의 절곡부(22) 쪽으로 이용하여, 즉 제1 방향(X1)으로 이동하고 이러한 마그네트(60)의 이동에 의해 셔터(80)가 위치한 구동부 본체(71)는 광원부(50) 위에 위치하여 광원부(50)의 상부는 덮게 된다[도 1의 (a) 참고].
이러한 구동부 본체(71)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광원부(50) 상부에 어둡거나 불투명한 셔터(80)가 위치하여 광원부(5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셔터(80)의 우수한 차광성으로 인해 외부에서 셔터(80) 내부가 잘 보이지 않게 되므로, 셔터(80) 하부에 위치하는 광원부(50)는 외부에서 쉽게 인지되지 않게 된다.
이때, 요크(20)의 절곡부(22)와 마그네트(60)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의 세기는 코일(40)과 마그네트(60)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의 세기보다 크므로, 코일(40)로의 전류 인가가 차단되면 안전하게 구동부(70)의 구동부 본체(71)는 광원부(50) 상부로 이동하여 이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원부(50)가 동작할 때만 구동부(70)의 개방 동작에 의해 광원부(50)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본 예의 광학 모듈(1)이 구비된 해당 전기전자 장치의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광학 모듈(1)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광원부(50)의 상부는 구동부(70)로 항상 덮여 있으므로, 빛의 조사면을 구비하고 있는 광원을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다음,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모듈(1a)을 설명한다.
본 예에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광학 모듈(1)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광학 모듈(1)과 같은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광학 모듈(1a)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광학 모듈(1)과 동일하게 하부 하우징(11a), 상부 하우징(12a), 요크(20a), 베이스 기판(30a), 코일(40), 광원을 구비한 광원부(50), 마그네트(60), 구동부 본체(71a)와 볼(72)을 구비하는 구동부(70a), 코일(40) 내에 위치하는 위치 감지부(91) 및 제어부(9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의 광학 모듈(1a)에서 이들 구성요소(11a-92)는 광학 모듈(1)의 대응되는 구성요소(11-92)와 기구적인 구조 및 위치 관계만 상이할 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a)은 사각형(예,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하우징(11a)은 사각형의 하부면과 하부면을 에워싸고 있는 구비하고 있고, 상부면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하부면의 네 면에 각각 위치하고 있는 네 개의 측면 중 하나에는 개구부(H11a)를 구비할 수 있고, 나머지 세 개의 측면은 모두 막혀 있다.
일 측면의 개방된 개구부(H11a)를 통해 베이스 기판(30a)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신호의 입출력 동작이 행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부 하우징(11a)의 내부에는 하부면과 측면으로 에워싸여진 빈 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하부 하우징(11a)의 하부면에는 대략 사각형의 절곡부(111a)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절곡부와 인접한 하부면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절곡부(111a)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70a)는 하부 하우징(11a) 내부 공간 속에서 하부 하우징(11a)의 하부면에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70a)는 접해 있는 하부 하우징(11a)의 하부면을 따라 제1 방향(X1) 또는 제2 방향(X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70a)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구동부 본체(71a)와 복수 개의 볼(72)을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 본체(71a)는 하부 하우징(11a) 내부 공간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 본체(71a) 즉, 구동부(70a)의 연장 방향(X)으로 연장되는 구동부(70a)의 길이는 하부 하우징(11a)의 길이보다 작아, 구동부 본체(71a)는 하부 하우징(11a)의 연장 방향(X)을 따라 제1 방향(X1) 또는 제2 방향(X2)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 본체(71a)는 대략 사각형의 판 형상을 갖는 지지대(711a) 및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고 있는 한 쌍의 가로변에서 끊김없이 위쪽 방향으로 대략 90도로 절곡되어 위쪽 방향을 돌출되는 셔터 위치부(예, 제1 및 제2 셔터 위치부)(712a)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대(711a)는 그 상부에 마그네트(60)가 위치할 수 있고, 하부 하우징(11a)의 하부면의 절곡부(111a)와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셔터 위치부(712a)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제1 및 제2 셔터 위치부(712a)는 지지대(711a)와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셔터 위치부(712a)의 부분에 각각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연장 방향(X)을 따라 뻗어 있는 함몰 공간인 볼 삽입홈(예, 제1 볼 삽입홈)(H70a)을 구비한 함몰 부분(P71a) 및 이 함몰 부분(P71a)에 연결되어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직선 부분(P72a)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셔터 위치부(712a)의 각 함몰 부분(P71)은 하부 하우징(11a)의 하부면의 가장자리부와 접하게 위치하여 하부 하우징(11a)의 연장 방향(X)을 따라 제1 방향(X1) 또는 제2 방향(X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직선 부분(P72a)의 일부는 상부 하우징(12a)의 가이드 홈(H123a)을 통해 돌출되고 상단에 셔터(80)가 위치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a)은 하부 하우징(11a)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하우징(12a)은 사각형(예,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하부면(121a), 하부면(121a)의 양측 가로변 각각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내부에 볼 삽입홈(예, 제2 볼 삽입홈)(H122a)을 구비하는 볼 삽입부(122a) 및 하부면(121a)의 양측 가로변 각각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가이드 홈(H123a)을 구비하는 가이드부(123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각 가이드 홈(H123a)은 해당 가이드부(123a)의 길이 방향, 즉 하부면(121a)의 가로변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가로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2 볼 삽입홈(H122a)은 서로 분리되어 이격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볼 삽입홈(H122a)은 각 셔터 위치부(712a)의 서로 다른 위치에 위한 각 제1 볼 삽입홈(H70a)에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서로 분리된 제2 볼 삽입홈(H122a)에 의해, 각 제2 볼 삽입홈(H122a) 속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볼(72)은 제1 볼 삽입홈(H70a)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양측 가로변에 각각 위치하고 있는 두 개의 가이드부(123a)는 하부면(121a)의 일측 세로변에 위치한 연결부(124a)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측 세로변과 마주보고 있는 하부면(121a)의 타측 세로변은 개방될 수 있다.
하부면(121a)의 가운데 부분에는 빈 개구부(H121a)를 구비하고 있어, 이 개구부(H121a)를 통해 코일(40)이 아래쪽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빈 개구부(H121a)는 상부 하우징(12a)의 연장 방향(X) 중에서 제1 방향(X1) 쪽으로 치우치게 위치하여, 상부 하우징(12a)에서 개구부(H121a)가 위치하는 않는 하부면(121a)은 제2 방향(X2) 쪽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각 가이드부의 가이드 홈(H123a)을 통해 구동부(70a)의 일부가 돌출되어, 노출된 구동부(70a)의 상부에 셔터(8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동부(70a)는 코일(40)로의 전류 인가 여부에 따른 마그네트(6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가이드 홈(H123a)을 따라 제1 방향(X1) 또는 제2 방향(X2)으로 직선 이동하고, 이러한 구동부(70a)의 이동에 따라 구동부(70a)와 일체로 위치한 셔터(80) 역시 제1 방향(X1) 또는 제2 방향(X2)으로 이동하여 광원부(5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볼(72)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1 볼 삽입홈(H70a)와 제2 볼 삽입홈(H122a)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구동부(70a)의 이동 동작에 따라 회전하여 구동부(70a)를 해당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 기판(30a)은 상부 하우징(12a)의 하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기판(30a)은 연성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기판 본체(31a), 기판 본체(31a)의 일측 변인 세로변에서 대략 90도로 아래쪽 방향으로 끊김없이 절곡되어 있는 연결부(32a), 그리고 기판 본체(31a)의 타측 변인 가로변에서 대략 180도로 끊김없이 절곡되어 기판 본체(31a)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장착부(33a)를 구비할 수 있다.
기판 본체(31a) 역시 광원부(50)가 위치하는 제1 부분과 광원부(50)가 위치하지 않는 제2 부분이 존재하며, 이때,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하부 하우징(11a)의 길이 방향(X)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이때, 기판 본체(31a)와 장착부(33a)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 기판 본체(31a)와 장착부(33a) 사이에는 빈 공간이 존재하고, 이 공간 속으로 요크(20a)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연결부(32a)는 하부에 위치하는 상부 하우징(12a)의 개방된 세로변과 접해 있고, 또한 상부 하우징(12a)과 결합된 하부 하우징(11a)의 개구부(H11a)를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연결부(32a)의 단부를 통해 베이스 기판(30a)으로의 신호 입출력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부(33a)는 기판 본체(31a)의 가로변에서 제1 방향(X1) 쪽으로 치우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연장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는 기판 본체(31a) 중에서 제1 방향(X1) 쪽에 위치한 제1 부분은 장착부(33a)로 덮여 있고, 제1 방향(X1)의 반대쪽인 제2 방향(X2) 쪽에 치워져 있는 나머지 부분인 제2 부분은 장착부(33a)로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 본체(31a)와 장착부(33a)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20a) 중에서 기판 본체(31a)의 제1 부분에 위치하는 부분은 장착부(33a)에 의해 덮여 있고, 기판 본체(31a)의 제2 부분에 위치하는 요크(20a)는 기판 본체(31a) 상부에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 본체(31a)의 제1 부분은 하부에 코일(40)이 돌출되는 상부 하우징(12a)의 빈 개구부(H121a)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부(33a)의 상부에는 광원부(50)가 위치할 수 있다.
본 예의 요크(20a) 역시 가요성 요크일 수 있고, 도체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요크(20a)는 'ㄱ'자 형태로 위치하여,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요크 본체(21a)와 요크 본체(21a)를 기준으로 하여 아래쪽 방향으로 90도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22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요크 본체(21a)는 기판 본체(31a)와 장착부(33a) 사이의 빈 틈에 삽입되어 있고, 일부는 장착부(33a)에 의해 덮여지고 나머지 일부는 노출될 수 있다.
절곡부(22a)는 요크 본체(21a)의 네 변 중에서 광원부(50)와 인접한 요크 본체(21a)의 부분인 한 변(예, 세로변)에서 끊김없이 연결되어 절곡되어 있으므로, 절곡부(22a)는 베이스 기판(30a) 위에 위치한 광원부(50)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미 기술한 것처럼, 코일(40)이 미구동 상태일 때, 마그네트(60)가 요크(20a)의 절곡부(22a) 쪽으로 이동하여 즉, 제1 방향(X1)으로 이동하여 셔터(80)가 광원부(5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한다.
코일(40)은 베이스 기판(30a)의 기판 본체(31a) 하부면 내측에 부착되어 상부 하우징(12a)의 하부면에 위치한 타원형의 개구부(H121a)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코일(40)은 그 하부에 위치한 마그네트(60)와 대면할 수 있다.
셔터(8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상부 하우징(12a)의 가이드 홈(H123a)을 통해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 구동부 본체(71a)의 끝단에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이드 홈(H123a)을 통해 이동하는 구동부 본체(71a)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여, 광원부(50) 상부를 덮거나 열 수 있다.
위치 감지부(91)와 제어부(92)는 기판 본체(31a)의 하부면에 부착되게 위치할 수 있고, 이때, 기판 본체(31a)의 하부에 위치한 코일(40)의 내부 공간 속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광학 모듈(1a)에서, 코일(40)로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코일(40)의 미구동 상태일 때, 마그네트(60) 쪽으로 절곡되어 있는 요크(20a)의 절곡부(22a)에 의해, 마그네트(60)와 요크(20a)의 절곡부(22a) 사이에 자력이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트(60)를 내부에 안착하고 있는 구동부 본체(71a)는 이러한 마그네트(60)와 요크(20a)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요크(20a)의 절곡부(22a) 쪽인 제1 방향(X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 본체(71a)의 제1 방향(X1) 쪽으로의 이동에 위해 구동부 본체(71a)에 위치하고 있는 셔터(80) 역시 제1 방향(X1)으로 이동하여, 광원부(50)의 상부를 덮여 광원부(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도 6의 (a) 참고].
하지만, 제어부(92)의 구동에 의해 광원부(50)의 점등을 위해, 코일(40)로 전류가 인가되어 코일(40)이 자화되는 구동 상태가 되면, 서로 반대편에서 대면하고 있는 코일(40)과 마그네트(60)에 작용하는 자력의 영향으로 인해 마그네트(60)는 제1 방향(X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X2)으로 힘이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트(60)를 내장하고 있는 구동부 본체(71a)는 하부 하우징(11a)의 하부면을 따라 제2 방향(X2)으로 이동하여 셔터(80) 역시 제2 방향(X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셔터(80)의 제2 방향(X2)으로의 이동에 의해, 셔터(80)는 광원부(50)가 위치하지 않는 베이스 기판(30a)의 제2 부분을 덮게 되어, 광원부(5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도 6의 (b) 참고]. 따라서, 광원부(50)의 광원이 점등되면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정상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 따르면, 광학 모듈(1a)은 광원부(50)와 코일(40)이 베이스 기판(30a)에 수평으로 배열되는 대신에 수직하게 즉, 베이스 기판(30a)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므로, 광학 모듈(1a)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추가적으로 발생한다.
대안적인 예에서, 광학 모듈(1, 1a)은 광원부(50)와 인접하게 위치한 플리커 감지부(flicker sensor)(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플리커 감지부는 제어부(92)에 연결되어, 제어부(92)의 제어에 따라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92)는 플리커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광원의 점등 동작 시 플리커 발생 여부를 판정하여, 발생된 플리커를 보정하는 구동 신호를 광원부(50)로 출력하여 광원부(50)에서 조사되는 빛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1a: 광학 모듈 11, 11a: 하부 하우징
12, 12a: 상부 하우징 121a: 하부면
122a: 볼 삽입부 123a: 가이드부
121: 창 124a: 연결부
20, 20a: 요크 21, 21a: 요크 본체
22, 22a: 절곡부 30, 30a: 베이스 기판
31, 31a: 기판 본체 32, 32a: 연결부
33a: 장착부 40: 요크
50: 광학부 60: 마그네트
70: 구동부 71, 71a: 구동부 본체
711, 711a: 지지대 712: 가이드부
712a: 셔터 위치부 72: 볼
80: 셔터 P71a: 함몰 부분
P72a: 직선 부분 H11, H70a: 제1 볼 삽입홈
H712, H122a: 제2 볼 삽입홈
H123a: 가이드홈 H121a: 개구부
X1: 제1 방향 X2: 제2 방향

Claims (17)

  1. 광원부;
    코일;
    상기 광원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요크 본체 및 상기 요크 본체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요크; 및
    상기 코일과 상방 또는 하방으로 대향하는 마그네트 및 셔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요크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절곡부 쪽인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셔터를 상기 광원부 바로 위에 위치시켜 상기 광원부의 상부를 덮고,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된 상태일 때, 상기 코일과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는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하부 하우징의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광원부 상부에 위치한 상기 셔터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광원부를 노출시키는 광학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및 상기 코일이 결합된 베이스 기판을 더 포함하는 광학 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과 상기 광원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동일한 면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 변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광학 모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코일과 상기 광원부가 위치하는 기판 본체; 및
    상기 기판 본체에서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광학 모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상기 코일 및 상기 요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광학 모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 변을 따라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구동부와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 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부 본체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복수 개의 볼
    을 포함하는 광학 모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일 변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제1 볼 삽입홈을 포함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하부에 상기 마그네트가 위치하고 상부에 상기 셔터가 위치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일 변에 위치하여 복수 개의 제2 볼 삽입홈을 구비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볼은 상기 제1 볼 삽입홈과 상기 제2 볼 삽입홈 사이에 위치하는 광학 모듈.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과 결합되고 가운데에 상기 셔터를 노출하는 창을 구비하는 상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광학 모듈.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 면에서 위치하고,
    상기 코일은 일면의 반대편인 상기 베이스 기판의 타면에 위치하는 광학 모듈.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상기 코일 및 상기 요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부면에 접해 있고 상기 하부면을 따라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광학 모듈.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상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광학 모듈.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기판이 위치하고 가운데 상기 코일이 노출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부면;
    상기 하부면의 일 변의 하부에 위치하고 볼 삽입홈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 개의 볼 삽입부; 및
    상기 하부면의 일 변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부의 일부가 돌출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광학 모듈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볼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부 본체; 및
    상기 구동부 본체의 볼 삽입홈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볼 삽입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부 본체가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부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볼
    을 포함하는 광학 모듈.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본체는,
    상기 마그네트가 위치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일 변에 연결되어 있고 아래쪽으로 함몰되어 상기 볼 삽입홈을 구비하는 함몰 부분과 상기 함몰 부분에 연결되어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 홈을 통해 일부가 돌출되어 있는 직선 부분을 포함하는 셔터 위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는 상기 가이드 홈을 통해 돌출되어 있는 상기 직선 부분의 상단에 위치하는
    광학 모듈.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요크가 위치하는 기판 본체; 및
    상기 기판 본체의 일 변에서 절곡되어 상기 기판 본체와 평행하게 위치하고 상기 광원부가 위치하는 장착부
    를 포함하는 광학 모듈.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측면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기판 본체의 타변에서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광학 모듈.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불투명한 색상을 포함하는 광학 모듈.
KR1020200113286A 2020-09-04 2020-09-04 광원 모듈 KR102389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286A KR102389899B1 (ko) 2020-09-04 2020-09-04 광원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286A KR102389899B1 (ko) 2020-09-04 2020-09-04 광원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409A KR20220031409A (ko) 2022-03-11
KR102389899B1 true KR102389899B1 (ko) 2022-04-22

Family

ID=80814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286A KR102389899B1 (ko) 2020-09-04 2020-09-04 광원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8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9991B2 (ja) 2007-11-30 2012-09-19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003A (ko) 2007-05-08 2008-11-12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Led 패키지용 보조 광학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발광장치
KR200458303Y1 (ko) * 2010-03-17 2012-02-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바일 카메라의 오토 포커스용 멤스 조립체
KR102063715B1 (ko) * 2016-12-20 2020-01-08 주식회사 옵티맥 카메라 모듈
KR20190093275A (ko) * 2018-02-01 2019-08-09 자화전자(주) 필터 스위칭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9991B2 (ja) 2007-11-30 2012-09-19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409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361563A1 (en) Aperture unit
CN113064315B (zh) 透镜移动装置
CN109073857B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及光学装置
CN211979304U (zh) 光学元件驱动机构
CN116299947A (zh) 透镜驱动装置和相机模块
US12061410B2 (en) Camera device with image compensation and autofocus function
KR102063715B1 (ko) 카메라 모듈
KR102389899B1 (ko) 광원 모듈
US20240040253A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20150044506A (ko) 센서를 갖는 카메라 렌즈 모듈
KR102389901B1 (ko) 광원 모듈
KR102448014B1 (ko) 광원 모듈
KR20150046824A (ko) 센서를 갖는 카메라 렌즈 모듈
KR102711445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20230341650A1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CN116009184A (zh) 相机模块
KR102494325B1 (ko) 카메라 모듈
KR102614773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장치
KR20220042528A (ko) 줌 구동 액추에이터 및 줌 구동을 위한 위치제어방법
EP3846433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US11841547B2 (en) Optical element drive mechanism
JP4376726B2 (ja) 近接センサ機構
US20240369910A1 (en) Camera device with image compensation and autofocus function
US20220206364A1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102437903B1 (ko) 광원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