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674B1 - 건설기계의 주행장치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주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674B1
KR102437674B1 KR1020200101538A KR20200101538A KR102437674B1 KR 102437674 B1 KR102437674 B1 KR 102437674B1 KR 1020200101538 A KR1020200101538 A KR 1020200101538A KR 20200101538 A KR20200101538 A KR 20200101538A KR 102437674 B1 KR102437674 B1 KR 102437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frame
radius
housing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1123A (ko
Inventor
김광문
이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트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트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트롤
Priority to KR1020200101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674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주행장치는, 프레임에 형성되는 일정한 직경의 홀을 통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건설기계의 주행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행장치는 내부에 주행모터 및 감속기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대체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홀에 삽입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홀의 둘레를 따라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고정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의 외주면 둘레의 일정 구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주행장치{TRAVELING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기계의 주행장치의 하우징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하우징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크롤러형 굴삭기와 같은 건설기계의 주행 체계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유압펌프에 전달하고, 상기 유압펌프의 작동유로 주행모터를 구동하여 스프로켓, 주행트랙 등을 구동하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이때 주행모터는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된다. 그런데 건설기계의 작동시 주행모터의 하우징에는 굴삭기 무게에 의한 하중, 회전시 발생하는 축방향 하중 및/또는 외부 충격에 의한 하중 등 다양한 하중이 작용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주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주행장치는, 프레임에 형성되는 일정한 직경의 홀을 통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건설기계의 주행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행장치는 내부에 주행모터 및 감속기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대체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홀에 삽입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홀의 둘레를 따라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고정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의 외주면 둘레의 일정 구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구간은 상기 제1 바디의 횡단면을 보았을 때, 상기 제1 바디의 횡단면을 이루는 원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방향 거리가 상기 제1 바디의 횡단면을 이루는 원의 반경보다 짧게 형성되는 구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구간은 상기 제1 바디의 횡단면을 이루는 원의 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구간은 상기 제1 바디의 횡단면을 이루는 원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홀의 둘레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도록 일정 반경의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5 오목구간은 상기 제1 바디의 횡단면을 이루는 원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현까지의 거리와 상기 원의 반경의 차이값이 상기 고정볼트의 반경과 상기 볼트홀의 반경의 차이값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바디의 횡단면을 보았을 때, 상기 오목구간은 동일한 직경을 갖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1 원호구간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원호구간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원호 사이에는 상기 제1 원호구간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원호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건설기계의 주행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의 홀에 삽입되는 하우징의 제1 바디의 외주면에 오목구간이 형성되어, 프레임과의 접촉 부위를 오목구간의 양단부로 분산시킴으로써 응력이 한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에 하중 작용시 하우징보다 볼트가 먼저 프레임에 접촉되도록 하여, 전단 응력에 의해 볼트가 먼저 파손되게 함으로써 하우징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행장치를 탈거하지 않고 볼트의 점검만으로 쉽게 정비할 수 있다.
또한, 오목구간은 제1 원호구간으로 형성하고, 제1 원호구간보다 돌출되는 제2 원호구간을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제1 바디의 가공 시 제2 원호구간 만을 정삭 가공하여 치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제1 바디의 가공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주행장치가 설치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고정볼트와 프레임의 결합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주행장치의 제1 바디의 횡단면 중에서 오목구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주행장치의 제1 바디의 횡단면 중에서 오목구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오목구간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주행장치의 제1 바디의 횡단면 중에서 오목구간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주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주행장치가 설치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고정볼트(20)와 프레임(10)의 결합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주행장치의 제1 바디(110)의 횡단면 중에서 오목구간(110a)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주행장치의 제1 바디(110)의 횡단면 중에서 오목구간(110a)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오목구간(110a)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주행장치의 제1 바디(110)의 횡단면 중에서 오목구간(110a)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주행장치는 차량의 프레임(10)에 결합되어 무한궤도를 이루는 트랙(4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주행장치는 스프로켓(30)을 통해 트랙(4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주행모터의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한편, 프레임은 단면을 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로 이격되는 한쌍의 수평 프레임(11)과 수평 프레임(11) 사이에서 수직하게 배치되어 한쌍의 수평 프레임(11)을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직 프레임(12)에는 주행장치의 하우징(100)이 고정되기 위한 일정한 직경의 홀이 수평 방향 관통 형성되고, 하우징(100)이 고정볼트(20)를 통해 수직 프레임(1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볼트(20)는 헤드부(21)를 제외한 나사부(22)가 프레임(10)을 관통하여 하우징(100)과 결합될 수 있는데, 원활한 결합을 위해 나사부(22)의 반경이 프레임(10)에 형성되는 볼트홀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볼트홀과 나사부(22) 사이에는 일정 간격의 갭(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도 1과 같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대체로 원통 형상의 하우징(100)의 축방향 일부 영역만이 수직 프레임(12)에 단지 고정볼트(20)를 통해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건설기계의 구동 시 다양한 방향에서의 하중이 작용될 수 있다. 특히 하우징(100)의 축방향 외측 영역에는 스프로켓(30)이 배치되어 트랙(4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작업시 주행장치의 하우징(100)에 트랙(40)으로부터 하중이 작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이 프레임(10)에 볼트 고정된 상태에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하우징(100)의 밀림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프레임(10)과 하우징(100)의 직접 접촉이 발생하여 하우징(100)의 파손 우려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건설기계의 작업시 하중에 따라 하우징(100)과 프레임(10)의 직접 접촉으로 인해 하우징(100)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우징(100)의 구조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주행장치가 트랙(4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나, 다양한 방향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경우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구체적으로 건설기계의 주행장치는 내부에 주행모터와 감속기가 배치되는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회전체인 주행모터와 감속기를 수용하기 위해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주행장치의 하우징(100)은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차량의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주행장치의 하우징(100)의 프레임(10)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일측에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스프로켓(30)(미도시)이 모터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트랙(40)(미도시)에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하우징(100) 역시 도 1과 같이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서로 직경이 상이한 3단의 원통 형상의 바디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바디(110)는 대체로 제1 반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다비의 내부에는 대체로 주행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바디(110)는 3단 구조의 하우징(100) 중에서 프레임(10)을 통해 차량의 내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이 프레임(10)에 고정될 때 제1 바디(110)의 축방향 일단부가 프레임(10)에 형성되는 홀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의 축방향 타단부에는 제1 바디(110)의 반경보다 더 큰 제1 반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제2 바디(1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110)가 프레임(10)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우징(100)이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의 제1 반경은 수직 프레임(12)에 형성되는 홀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우징(100)이 프레임에 볼트 고정되면 제1 바디(110)의 외주면과 프레임의 홀의 내주면 사이에는 도 1의 (a)와 같이 일정한 간격의 갭(gap)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프레임(10)의 홀에 제1 바디(11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제1 바디(110)의 외주면이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여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바디(110)의 반경방향 둘레의 일정 구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바디(110)에 형성되는 오목구간(110a)은 도 3과 같이 그 횡단면을 보았을 때, 제1 바디(110)의 횡단면을 이루는 원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방향 거리가 제1 바디(110)의 횡단면을 이루는 원의 반경, 즉 제1 반경보다 짧게 형성되는 구간일 수 있다. 오목구간(110a)은 도 3과 같이 제1 바디(110)의 횡단면을 이루는 원에서 수평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쪽 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수직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쪽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수평방향과 수직방향 모든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건설기계의 하우징(100)에 대해 일반적으로 가장 하중에 많이 작용하는 방향을 설명한 것으로, 그 방향은 실제 건설기계의 작동시 주행장치의 하우징(100)에 작용하는 하중의 방향을 검출하여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건설기계의 구동 시 하우징(100)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프레임(10)과의 접촉 영역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10)의 홀에 삽입되는 제1 바디(110)의 외주면에 이러한 오목구간(110a)이 형성되어, 프레임(10)과의 접촉 부위를 오목구간(110a)의 양단부로 분산시킴으로써 응력이 한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오목구간(110a)은 제1 바디(110)의 횡단면을 이루는 원의 현을 포함하여 직선구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바디(110)에는 횡단면이 직선구간의 현을 포함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원통형상에서 볼 때는 직선구간을 포함하는 축방향 수직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오목구간(110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의 횡단면을 이루는 원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호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오목구간(110a)이 직선구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제1 바디(110)의 횡단면을 이루는 원의 제1 반경과 원의 중심으로부터 오목구간(110a)을 이루는 현까지의 거리의 차이 값(A)은 고정볼트(20)의 반경과 볼트홀의 반경의 차이 값(예를 들어 도 2의 B)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오목구간(110a)은 일정각도 이상의 각거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도 이상의 각거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우징(100)에 하중 작용시 하우징(100)보다 볼트가 먼저 프레임(10)에 접촉되도록 하여, 전단 응력에 의해 볼트가 먼저 파손되게 함으로써 하우징(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100)에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볼트가 먼저 파손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주행장치 전체를 탈거하지 않고 볼트만을 점검함으로써 정비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목구간(110a)은 제1 바디(110)의 횡단면을 보았을 때, 동일한 직경을 갖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1 원호구간(115)을 포함하는 구간으로 설명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되는 각각의 제1 원호구간(115)의 사이에는 제1 원호구간(115)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원호구간(117)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110)의 횡단면을 이루는 원의 중심으로부터 제2 원호구간(117)까지의 거리가 상술한 제1 바디(110)의 제1 반경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바디(110)의 횡단면을 보았을 때, 제1 원호구간(115) 보다 제2 원호구간(117)이 반경방향으로 보다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1 바디(110)를 프레임의 홀에 삽입할 때 제2 원호구간(117)을 통해 가이드될 수 있고, 제1 원호구간(115)을 통해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의 하중에 의한 프레임(10)과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원통 형상의 케이스를 가공 시 수직 프레임(12)의 홀에 대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1차적인 황삭 이후 2차적인 정삭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일반적인 원통형상의 경우, 모든 둘레를 따라 정삭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제조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그에 반해, 도 6과 같이 제1 바디(110)의 횡단면이 제1 원호구간(115)에 대해 상대적으로 돌출되는 제2 원호구간(117)을 포함하도록 형성하는 경우, 수직 프레임(12)의 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돌출되는 제2 원호구간(117)이 가이드되기 때문에, 제2 원호구간(117)만을 정삭 가공하여 치수를 조정하면 된다. 따라서 제1 바디(110)의 가공에 있어서 그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원호구간(115)의 제1 원호의 접선과 제2 원호구간(117)의 제2 원호의 접선 사이의 거리(C)는, 고정볼트(20)의 반경과 볼트홀의 반경의 차이 값(예를 들어 도 2의 B)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우징(100)에 하중 작용시 하우징(100)보다 볼트가 먼저 프레임(10)에 접촉되도록 하여, 전단 응력에 의해 볼트가 먼저 파손되게 함으로써 하우징(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의 제2 바디(120)는 제1 바디(110)의 축방향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120)는 제1 바디(110)의 반경보다 대체로 큰 제2 반경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바디(110)가 수직 프레임(12)의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바디(120)의 축방향 일단부가 고정볼트(20)를 통해 수직 프레임(12)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바디(120)의 제2 반경은 프레임(12)의 홀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하우징(100)은 제2 바디(120)의 타단부 만이 고정볼트(20)를 통해 프레임(12)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하중이 발생될 경우 제2 바디(120)의 타단부와 수직 프레임(12)의 외측면과의 사이에서 하중 방향으로 밀림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제2 바디(120)의 타단부에는 대체로 내측에 감속기가 수용되는 제3 바디(1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바디(130)의 둘레에는 스프로켓(30)이 배치되어 제2 바디(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면서 스프로켓(30)의 치형에 체결된 트랙(40)이 회전될 수 있다. 다만, 제2 바디(120)와 제3 바디(130)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기계의 주행장치에 있어서, 프레임(10)의 홀에 삽입되는 하우징(100)의 제1 바디(110)의 외주면에 오목구간(110a)이 형성되어, 프레임과의 접촉 부위를 오목구간(110a)의 양단부로 분산시킴으로써 응력이 한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에 하중 작용시 하우징(100)보다 볼트가 먼저 프레임(10)에 접촉되도록 하여, 전단 응력에 의해 볼트가 먼저 파손되게 함으로써 하우징(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행장치를 탈거하지 않고 볼트의 점검만으로 쉽게 정비할 수 있다.
또한, 오목구간(110a)은 제1 원호구간(115)으로 형성하고, 제1 원호구간(115)보다 돌출되는 제2 원호구간(117)을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제1 바디(110)의 가공 시 제2 원호구간(117) 만을 정삭 가공하여 치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제1 바디(110)의 가공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
11: 수평 프레임
12: 수직 프레임
20: 고정볼트
21: 헤드부
22: 나사부
30: 스프로켓
40: 트랙
100: 하우징
110: 제1 바디
110a: 오목구간
115: 제1 원호구간
117: 제2 원호구간
120: 제2 바디
130:제3바디

Claims (6)

  1. 프레임에 형성되는 일정한 직경의 홀을 통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건설기계의 주행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행장치는 내부에 주행모터 및 감속기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홀에 삽입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홀의 둘레를 따라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고정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의 외주면 둘레의 일정 구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구간은 상기 제1 바디의 횡단면을 보았을 때, 상기 제1 바디의 횡단면을 이루는 원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방향 거리가 상기 제1 바디의 횡단면을 이루는 원의 반경보다 짧게 형성되는 구간인 건설기계의 주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구간은 상기 제1 바디의 횡단면을 이루는 원의 현을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주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구간은 상기 제1 바디의 횡단면을 이루는 원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호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주행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홀의 둘레에는 고정부재가 삽입되도록 일정 반경의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구간은 상기 제1 바디의 횡단면을 이루는 원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현까지의 거리와 상기 원의 반경의 차이값이 상기 고정볼트의 반경과 상기 볼트홀의 반경의 차이값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건설기계의 주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횡단면을 보았을 때, 상기 오목구간은 동일한 직경을 갖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1 원호구간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원호구간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원호 사이에는 상기 제1 원호구간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원호구간이 형성되는 건설기계의 주행장치.
KR1020200101538A 2020-08-13 2020-08-13 건설기계의 주행장치 KR102437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538A KR102437674B1 (ko) 2020-08-13 2020-08-13 건설기계의 주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538A KR102437674B1 (ko) 2020-08-13 2020-08-13 건설기계의 주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123A KR20220021123A (ko) 2022-02-22
KR102437674B1 true KR102437674B1 (ko) 2022-08-30

Family

ID=8049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538A KR102437674B1 (ko) 2020-08-13 2020-08-13 건설기계의 주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6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05104A (ja) 2017-12-13 2019-06-27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1370U (ko) * 1978-07-31 1980-02-12
JPS61135871A (ja) * 1985-06-06 1986-06-23 Teijin Seiki Co Ltd クロ−ラ式車輌の走行装置
JPH0633244Y2 (ja) * 1987-11-17 1994-08-31 日立建機株式会社 減速機の蓋体固定装置
KR960000424Y1 (ko) * 1993-09-14 1996-01-10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무한 궤도 차량의 로드 휠 구조
KR101913426B1 (ko) * 2011-12-26 2018-10-3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중장비 트랙의 아이들러 지지용 트랙 프레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05104A (ja) 2017-12-13 2019-06-27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123A (ko)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4936A1 (en) Linear actuator
KR102437674B1 (ko) 건설기계의 주행장치
US2983120A (en) Roller spline
JP5377908B2 (ja)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の製造方法
KR102543652B1 (ko) 휠베어링 조립체
CN111509896A (zh) 一种牵引电机运输锁紧装置
US20220381325A1 (en) Bearing support for parallel electric axle gear assembly
EP2479043B1 (en) Wheel rolling bearing device
KR101851458B1 (ko) 차량용 변속 장치의 트랜스미션 케이스
KR102008300B1 (ko) 휠 허브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CN218750119U (zh) 矿用自卸车一体式鼻锥内轴承
EP3968500A1 (en) Dynamo-electric machine
WO2019208641A1 (ja) 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
CN202194957U (zh) 一种滚珠花键传动组件
CN105909738A (zh) 一种用于大功率高转速电机带传动从动端的卸荷装置
KR102556455B1 (ko) 휠베어링 조립체
KR20140009194A (ko) 전기 구동 장치
KR20210157167A (ko) 허브 일체형 등속 조인트
KR20200120562A (ko) 휠베어링 조립체
KR102368567B1 (ko) 감속기
EP3311003B1 (en) Cutter assembly with cutter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CN211366854U (zh) 一种agv驱动轮上转向齿轮的安装结构
CN108462325A (zh) 一种自助越障式过载保护装置
CN110536856B (zh) 用于电梯系统的驱动轴
CN212022830U (zh) 一种履带式挖掘机的引导装置及履带式挖掘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