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278B1 - 정류장 관리 시스템 및 정류장을 관리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정류장 관리 시스템 및 정류장을 관리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278B1
KR102436278B1 KR1020210102781A KR20210102781A KR102436278B1 KR 102436278 B1 KR102436278 B1 KR 102436278B1 KR 1020210102781 A KR1020210102781 A KR 1020210102781A KR 20210102781 A KR20210102781 A KR 20210102781A KR 102436278 B1 KR102436278 B1 KR 102436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
stops
server
bus
characteri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희
Original Assignee
이훈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훈희 filed Critical 이훈희
Priority to KR1020210102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류장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정류장을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정류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류장을 그룹화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정류장 그룹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각 운영과 관련된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조절하는 복수의 정류장들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정류장 중 제1 특성을 가지는 정류장들을 제1 정류장 그룹으로, 상기 제1 특성과 상이한 제2 특성을 가지는 정류장들을 제2 정류장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에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에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류장 관리 시스템 및 정류장을 관리하는 서버{A STOP MANAGEMENT SYSTEM AND A SERVER FOR MANAGING THE STOP}
본 발명은 정류장 관리 시스템 및 정류장을 관리하는 서버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정류장을 그룹화하여 관리하거나, 정류장의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인식을 통해 정류장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류장은 대중 교통을 타기 위해 사람들이 짧지 않은 시간 동안 머무르는 곳이지만, 도로가에 위치하여 소음, 매연 및 미세먼지 등에 노출되어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 정류장이 도입되고 있다. 스마트 정류장은 쉘터 형태로, 온/냉방기, 공기청정기 등 각종 센서와 장치가 설치되어 이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정류장이 도입되어 그 수가 점차 증가하면서 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에 부담이 초래될 수 있다. 서울시의 버스 정류장 개수는 약 6500개로, 6500개의 정류장을 각각 제어하려면 관리 서버에 무리가 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정류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관리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복수의 정류장을 그룹화하여 각 정류장 그룹에 일괄적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정류장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해 객체를 인식 및 분류하여 객체의 클래스에 따라 다른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장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정류장을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정류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류장을 그룹화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정류장 그룹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각 운영과 관련된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조절하는 복수의 정류장들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정류장 중 제1 특성을 가지는 정류장들을 제1 정류장 그룹으로, 상기 제1 특성과 상이한 제2 특성을 가지는 정류장들을 제2 정류장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에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에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는 정류장의 장치 온/오프, 조명, 온도, 습도, 공기 청정도 및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특성 및 상기 제2 특성은 각 정류장에 정차하는 버스와 관련된 특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제1 특성과 관련된 버스의 운행 시간에 따라 상기 제1 정류장 그룹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1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특성과 관련된 버스의 운행 시간에 따라 상기 제2 정류장 그룹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2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은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시점에 조명을 오프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제2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은 상기 제2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점에 조명을 온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정류장 중 제1 정류장이 상기 제1 정류장 그룹 및 상기 제2 정류장 그룹에 모두 포함되고, 상기 제1 정류장의 조명의 온/오프와 관련된 제1 제어 정보 및 상기 제2 제어 정보가 상이할 경우, 상기 제1 정류장은 조명을 온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특성 및 상기 제2 특성은 각 정류장의 지리적 위치와 관련된 특성이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제1 특성에 따라 상기 제1 정류장 그룹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1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특성에 따라 상기 제2 정류장 그룹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2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의 온도, 습도 또는 공기 청정도는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의 온도, 습도 또는 공기 청정도는 상기 제2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값과 상이한 제2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장 관리 방법은 복수의 정류장을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서버의 정류장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류장 중 제1 특성을 가지는 정류장들을 제1 정류장 그룹으로, 상기 제1 특성과 상이한 제2 특성을 가지는 정류장들을 제2 정류장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에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에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각각 정류장의 운영과 관련된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조절하는 제1 제어 정보 및 제2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는 정류장의 장치 온/오프, 조명, 온도, 습도, 공기 청정도 및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특성 및 상기 제2 특성은 각 정류장에 정차하는 버스와 관련된 특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특성과 관련된 버스의 운행 시간에 따라 상기 제1 정류장 그룹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정보는 상기 제2 특성과 관련된 버스의 운행 시간에 따라 상기 제2 정류장 그룹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특성 및 상기 제2 특성은 각 정류장의 지리적 위치와 관련된 특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의 온도, 습도 또는 공기 청정도를 제1 값으로 설정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정보는 상기 제2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의 온도, 습도 또는 공기 청정도를 상기 제1 값과 상이한 제2 값으로 설정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류장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정류장을 그룹화하고 각 정류장 그룹에 일괄적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정류장을 제어하는 서버에 제어 부담이 경감되는 서버의 정류장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의 클래스에 따라 다른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정류장 승객 맞춤형 스마트 정류장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장 관리 시스템의 환경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정류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화된 정류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장 그룹화 방법 및 그룹화된 정류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객체 인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객체 클래스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도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정류장은 일반적으로 도로가에 설치되어,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은 매연, 미세먼지 등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정류장은 사람들이 버스를 기다리면서 짧지 않은 시간 동안 머무는 곳으로, 사람들은 폭염, 강우 및 폭설 등의 외부 환경이나 범죄 등으로부터 보호받을 필요가 존재한다.
최근 정류장에 유리창을 설치하여 외부 요소를 차단시키고, 내외부에 다양한 센서 및 장치를 추가하여 사람들이 안전하게 버스 등의 대중 교통을 기다릴 수 있도록 쉘터 역할을 하는 스마트 정류장이 대두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스마트 정류장(이하, 정류장)의 제어 방법 및 정류장 서버의 정류장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장 관리 시스템의 환경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류장 관리 시스템(10000)은 서버(1000), 버스(2000), 정류장(3000) 및/또는 단말기(40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0)는 정류장 관리 시스템을 관리하는 서버로, 정류장 관리 시스템의 제어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0)는 버스(2000), 정류장(3000) 및 단말기(40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00), 버스(2000), 정류장(3000) 및 단말기(4000)는 서로 연결되어 통신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서버(1000)는 버스(2000), 정류장(3000) 또는 단말기(4000)에 신호를 전송하여, 각 장치를 제어하거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0)는 버스(2000)에 승객 수, 승객 타입 등의 승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버(1000)는 정류장(30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정류장(3000)의 조명, 온/냉방 장치, 도어 개방 장치 등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버(1000)는 단말기(4000)에 정류장(3000)의 정보(승객 수, 온도 및 습도, 운영 정보, 운영 영상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4000)는 관리자의 단말기 일 수도 있고, 정류장 사용자의 단말기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0)와 단말기(4000)의 통신은 단말기(4000) 상에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장 사용자의 단말기(4000)에는 정류장(3000) 정보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서버(10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정류장(3000)에 대한 정보를 업로드하거나 정보를 계속적으로 동기화시킬 수 있다. 정류장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류장(3000)의 온/습도, 이용객 수, 혼잡도, 공기 청정도 등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버스(2000)도 서버(1000), 정류장(3000) 및 단말기(4000)와 통신하여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2000)는 정류장(3000)으로부터 정차/미정차 신호를 수신하여, 정류장(3000)에 정차하거나 정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버스(2000)는 서버(1000)로부터 정류장(3000)의 화재와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정류장(3000)을 정차하지 않고, 다른 루트로 운행할 수도 있다.
정류장(3000)도 서버(1000), 버스(2000) 및 단말기(4000)와 통신하여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장(3000)은 서버(1000)로부터 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정류장(3000) 내부의 센서 및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정류장(3000)은 버스(2000)에 정차/미정차 신호를 전송하거나, 버스(2000)로부터 노약자 하차와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 개방 장치의 속도 및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4000)는 관리자의 단말기 이거나 정류장 사용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4000)가 관리자의 단말기인 경우, 관리자는 단말기(4000)를 통해 서버(1000)로 제어 신호를 보내, 정류장(3000)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기(4000)가 정류장 사용자의 단말기인 경우, 정류장 사용자는 단말기(4000)를 통해 서버(1000)로 정류장의 오작동 신고 및 정류장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4000)의 제어 신호 송/수신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000)는 서버 제어부(1100), 서버 통신부(1200), 서버 디스플레이부(1300), 서버 입력부(1400) 및 서버 저장부(15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1100)는 서버(1000)의 동작을 총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 제어부(1100)는 서버 통신부(1200), 서버 디스플레이부(1300), 서버 입력부(1400) 및 서버 저장부(1500)에 제어 명령을 보내 각 부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1200)는 서버(1000)와 외부 기기를 연결하여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서버 통신부(120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통신부(1200)는 버스 통신부(2200), 정류장 통신부(3200) 및 단말기 통신부(42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1200)는 외부 기기와 필요에 따라 통신 연결을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1200)는 실시 형태에 따라 상시적으로 외부 기기와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1200)는 유선 통신 방식 및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서버 디스플레이부(130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디스플레이부(1300)는 LCD, OLED,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서버 디스플레이부(1300)는 버스(2000) 또는 정류장(3000)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디스플레이부(1300)는 버스(2000) 또는 정류장(3000)의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버 디스플레이부(1300)는 복수의 정류장(3000)에 대한 온도/습도 정보, 운영 정보, 화재 정보, 호출 여부, 냉방기 작동 여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서버 입력부(14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입력부(1400)는 서버 관리자에 의해 특정 장치와 관련된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 입력부(1400)는 서버 관리자에 의해 정류장(3000)의 냉방기 온도 설정값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버 입력부(1400)는 특정 기기의 설정값 등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입력부(1400)는 키패드, 키보드, 스위치, 버튼 및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입력부(1400)는 서버 통신부(1200)에 의해 단말기(4000)와 통신하여, 입력값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획득할 수도 있다.
서버 저장부(150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저장부(1500)는 서버 입력부(14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서버 저장부(1500)는 플래시 메모리, RAM, ROM, SSD, SD CARD 및 광학 디스크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서버 저장부(1500)는 단말기(40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버 저장부(1500)는 서버(10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버스(2000)는 버스 제어부(2100), 버스 통신부(2200), 버스 디스플레이부(2300), 버스 음성출력부(2400), 버스 센서부(2500) 및 버스 저장부(2600)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 제어부(2100)는 버스(2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버스 제어부(2100)는 버스 통신부(2200), 버스 디스플레이부(2300), 버스 음성출력부(2400), 버스 센서부(2500) 및 버스 저장부(2600)에 제어 명령을 보내 각 부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버스 통신부(2200)는 버스(2000)와 외부 기기를 연결하여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버스 통신부(220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버스 통신부(2200)는 외부 기기와 필요에 따라 통신 연결을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버스 통신부(2200)는 실시 형태에 따라 상시적으로 외부 기기와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버스 통신부(2200)는 유선 통신 방식 및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 통신부(220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BLE(Bluetooth Low Energy) 및 알에프아이디(RFID) 등의 통신 방식으로 단말기(400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버스(2000)는 버스 통신부(2200)에 의해 단말기(4000)로부터 정류장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버스 디스플레이부(230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버스 디스플레이부(2300)는 운전자 또는 버스 이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 디스플레이부(2300)는 정차할 정류장 및 해당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 디스플레이부(2300)는 정차할 정류장의 이용자 수, 이용자 혼잡도, 정류장 내부 온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 디스플레이부(2300)가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버스 디스플레이부(2300)는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한 입력 장치로도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 이용자는 버스 디스플레이부(2300)를 터치함으로써 정차할 정류장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버스 음성출력부(2400)는 운전자 또는 버스 이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 음성출력부(2400)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 및 부져(buzzer)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버스 음성출력부(2400)는 정차할 정류장에 대한 온도, 습도, 공기 청정도, 이용객 수 등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버스 센서부(2500)는 복수의 센서에 대한 제어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2000)는 내부에 온도계, 습도계, 카메라, 도어 센서 등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버스 센서부(2500)는 각 센서에 대한 입력, 설정 및 출력 등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 센서부(2500)는 버스의 내외부 환경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 센서부(2500)는 내부 이용자의 수, 이용자 혼잡도 및 다음 정류장에 정차할 이용자의 수 등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버스 센서부(2500)는 버스의 내부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버스 저장부(260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 저장부(2600)는 버스 센서부(25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버스 저장부(2600)는 플래시 메모리, RAM, ROM, SSD, SD CARD 및 광학 디스크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버스 저장부(2600)는 버스 통신부(22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버스 저장부(2600)는 버스(20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정류장(3000)은 정류장 제어부(3100), 정류장 통신부(3200), 정류장 디스플레이부(3300), 정류장 음성출력부(3400), 정류장 센서부(3500), 정류장 구동부(3600) 및 정류장 저장부(3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장 제어부(3100)는 정류장(3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정류장 제어부(3100)는 정류장 통신부(3200), 정류장 디스플레이부(3300), 정류장 음성출력부(3400), 정류장 센서부(3500), 정류장 구동부(3600) 및 정류장 저장부(3700)에 제어 명령을 보내 각 부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류장 제어부(3100)는 정해진 시간에 따라 정류장(3000)을 운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장 제어부(3100)는 미리 정해진 운영 시간에는 조명이나 각 장치의 전원을 온 상태로 유지시키고, 운영 시간 이외의 시간에는 조명이나 각 장치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장 제어부(3100)는 6시부터 23시를 운영 시간으로 정하고, 그 이외의 시간을 미운영 시간으로 정하여 정류장을 운영할 수 있다.
정류장 제어부(3100)는 운영 시간과 미운영 시간을 구별하여 정류장 운영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장 제어부(3100)는 운영 시간의 온도를 21도, 습도를 60%, 조명도 100%, 미세먼지 농도 30 이하, 이산화탄소 농도 500ppm 이하 등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정류장 제어부(3100)는 미운영 시간 동안에는 온도, 습도, 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해서 따로 파라미터를 설정하지 않고, 조명도는 0이나 30% 이하를 유지하도록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수치에 한정되지 않고 정류장 제어부(3100)는 각 상황에 따라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정류장 통신부(3200)는 정류장(3000)과 외부 기기를 연결하여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정류장 통신부(320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장 통신부(3200)는 서버 통신부(1200), 버스 통신부(2200) 및 단말기 통신부(42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정류장 통신부(3200)는 외부 기기와 필요에 따라 통신 연결을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정류장 통신부(3200)는 실시 형태에 따라 상시적으로 외부 기기와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정류장 통신부(3200)는 유선 통신 방식 및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정류장 디스플레이부(330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장 디스플레이부(3300)는 LCD, OLED,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정류장 디스플레이부(3300)는 버스(2000) 또는 정류장(3000)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장 디스플레이부(3300)는 정차 예정인 버스의 내부 현황(온도, 습도, 공기 청정도, 이용자 수 또는 이용자 혼잡도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정류장 디스플레이부(3300)는 광고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정류장 디스플레이부(3300)는 정류장(3000)의 현재 상태(온도, 습도 또는 공기 청정도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정류장 음성출력부(3400)는 정류장 이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장 음성출력부(3400)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키퍼 및 부져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정류장 음성출력부(3400)는 정차 예정인 버스에 대한 정보, 정류장이 위치한 지역에 대한 정보 등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류장 음성출력부(3400)는 정류장 관리자의 지시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 상황(화재, 범죄 등)에서 정류장 관리자는 서버(1000)를 통해 정류장(3000)으로 제어 신호를 보내고, 정류장 음성출력부(3400)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으로 지시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류장 음성출력부(3400)는 대피 지시, 사이렌 소리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정류장 센서부(3500)는 복수의 센서에 대한 제어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류장(3000)은 AI 지능형 IP 카메라, 온/습도 센서, 공기 센서, 화재 감지 센서, 문 열림 감지 센서 등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류장 센서부(3500)는 각 센서에 대한 입력, 설정 및 출력 등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류장 센서부(3500)는 AI 지능형 IP 카메라를 통해 정류장(3000) 이용객의 수, 이용객의 클래스 또는 이용객의 돌발 행동 등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정류장 센서부(3500)는 온/습도 센서를 통해 정류장(3000) 내외부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정류장 센서부(3500)는 공기 센서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정류장 센서부(3500)는 화재 감지 센서를 통해 정류장(3000) 내외부의 화재 정보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정류장 센서부(3500)는 문 열림 감지 센서를 통해 정류장(3000)의 문 개폐 여부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정류장 구동부(3600)는 정류장에 필요한 전력 및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장 구동부(3600)는 정류장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을 통해 획득된 전력을 정류장(3000) 내부 장치로 사용하여 상기 장치들을 동작시킬 수 있다.
정류장 저장부(370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장 저장부(3700)는 정류장 센서부(35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정류장 저장부(3700)는 플래시 메모리, RAM, ROM, SSD, SD CARD 및 광학 디스크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정류장 저장부(3700)는 정류장 통신부(32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정류장 저장부(3700)는 정류장(30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류장 제어부(3100)는 정류장 센서부(3500)의 출력에 따라 정류장 관리자에게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장 제어부(3100)가 정류장 센서부(3500)로부터 비상 상황, 화재 상황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정류장 제어부(3100)는 정류장 관리자에게 푸시 알림, SMS 등 다양한 형태로 관련 상황에 대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정류장 제어부(3100)는 자체적으로 또는 서버(1000)를 통해 인근 관할 경찰서나 소방서로 알림을 통해 자동적으로 신고 접수를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때, 정류장 제어부(3100)는 비상 상황, 화재 상황 발생에 대한 신호를 획득한 전후 일정 시간 동안 녹화된 영상을 관리자나 인근 관할서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정류장 제어부(3100)는 정류장 센서부(3500)로부터 정류장(3000) 내부의 온/습도에 대해 매우 높음 또는 매우 낮음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정류장 관리자에게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정류장 제어부(3100)는 정류장(3000) 운영 시간이 아닌 시간에 발생한 온/습도 이상 알림에 대해서는 관리자에게 알리지 않고 자체적으로 신호를 무시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4000)는 단말기 제어부(4100), 단말기 통신부(4200), 단말기 디스플레이부(4300), 단말기 입력부(4400) 및 단말기 저장부(4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4100)는 단말기(4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제어부(4100)는 단말기 통신부(4200), 단말기 디스플레이부(4300), 단말기 입력부(4400) 및 단말기 저장부(4500)에 제어 명령을 보내 각 부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4200)는 단말기(4000)와 외부 기기를 연결하여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단말기 통신부(420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통신부(4200)는 서버 통신부(1200), 버스 통신부(2200) 및 정류장 통신부(32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단말기 통신부(4200)는 외부 기기와 필요에 따라 통신 연결을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통신부(4200)는 실시 형태에 따라 상시적으로 외부 기기와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4200)는 유선 통신 방식 및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단말이 디스플레이부(430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4300)가 터치 스크린으로 제공되는 경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4300)는 단말기 입력부(44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에 따라 별도의 단말기 입력부(4400)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거나, 볼륨 조절, 전원 버튼 및 홈 버튼 등 제한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입력부(4400)가 제공될 수도 있다.
단말기 입력부(44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 입력부(4400)는 예를 들어 키보드, 키 패드, 버튼, 조그셔틀 및 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입력은 버튼의 누름, 터치 및 드래그 등일 수 있다.
단말기 저장부(450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 저장부(450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RAM, ROM, SSD, SD CARD 및 광학 디스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저장부(4500)는 단말기(40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기 저장부(4500)는 버스 통신부(2200)로부터 수신한 버스(2000)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기 저장부(4500)는 정류장 통신부(3200)로부터 수신한 정류장(3000)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정류장(3000)은 동작 감지 센서(3010), 화재 감지 센서(3020), 온/습도 센서(3030), 온/냉방기(3040), 카메라(3050), 비상벨(3060), 문 열림 센서(3070), 열화상 카메라(3080) 및 키오스크(30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정류장(3000)은 벤치 등 이용자의 편의를 위한 시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류장(3000)은 외부가 유리로 둘러싸여 있어, 비, 눈 또는 미세먼지 등으로부터 내부가 차단되는 동시에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버(1000)는 정류장(3000) 운영과 관련된 복수의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0)는 정류장(3000)의 화재 감지, 온/습도, 동작 감지, 비상 상황 감지 등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아래와 같은 센서들을 통해 해당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동작 감지 센서(3010)는 정류장(3000) 내부 이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정류장 제어부(3100)는 동작 감지 센서(3010)의 결과에 기초하여 정류장(3000) 내부에 이용자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1100)는 동작 감지 센서(3010)의 결과에 기초하여 정류장(3000)의 운영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0)는 동작 감지 센서(3010)에 의해 승객 유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파악할 수 있다.
화재 감지 센서(3020)는 정류장(3000) 내부의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화재 감지 센서(3020)는 이온화식, 광정식, 정온식 및/또는 차동식 감지기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정류장(3000) 내부 빛이나 온도 또는 연기에 의해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0)는 화재 감지 센서(3020)에 의해 화재 유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류장(3000) 내부에 화재 발생시, 정류장 센서부(3500)는 화재 감지 센서(3020)의 결과에 대응되는 신호를 획득하고, 이를 정류장 제어부(3100)에 전송한다. 정류장 제어부(3100)는 정류장 통신부(3200)를 통해 서버 제어부(1100)에 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버 제어부(1100)는 관리자, 인근 관할 소방서 또는 경찰서에 상황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정류장 제어부(3100)는 정류장(3000) 내부의 스프링 쿨러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1100)는 버스(2000)나 단말기(4000)에 정류장(3000)의 화재 상황을 알릴 수도 있다. 따라서, 서버(1000)는 스프링 쿨러 동작 또는 화재 알림에 대한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온/습도 센서(3030)는 정류장(30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습도 센서(3030)는 정류장(30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수치로 나타낼 수 있으며, 수치에 해당하는 범위 또한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및 습도에 대해서 매우 높음, 높음, 보통, 낮음, 매우 낮음 구간이 설정되어 있고, 온/습도 센서(3030)는 측정 수치 및 측정 수치에 대응되는 구간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습도 센서(3030)는 온도 및 습도가 매우 높음 또는 매우 낮음 구간에 해당되는 경우, 관리자에게 알림을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 상황의 경우 온/습도 센서(3030)는 정류장 센서부(3500)에 알림을 전송하고, 정류장 센서부(3500)는 정류장 통신부(3200)와 통신하여 최종적으로 서버(1000)가 관리자에게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0)는 온/습도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정류장(3000)의 온/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냉방기(3040)는 정류장(3000) 내부에 설치되어 정류장(30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냉방기(3040)는 서버(1000)에 의해 설정된 온도 및 습도 수치를 유지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또는 온/냉방기(3040)는 서버(1000)에 의해 온/오프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공기 센서는 정류장(3000)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 등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공기 센서에 의해 파악된 현재 공기 상태에 기초하여, 서버(1000)는 공기 청정도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센서에 의해 파악된 미세먼지 농도가 일정 수치 이상인 경우, 서버(1000)는 공기 청정기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공기 센서에 의해 파악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일정 수치 이상인 경우, 서버(1000)는 공기 순환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출 수 있다.
카메라(3050)는 정류장(3000) 내부 및 외부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3050)는 AI 지능형 IP 카메라일 수 있다. 카메라(3050)는 내부 프로세서를 통해 인공 지능에 기반하여 내부 오디오 및 영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3050)의 내부 프로세서는 분석 결과를 정류장 제어부(3100) 또는 서버(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3050)는 내부 프로세서를 통해 정류장(3000) 내외부의 객체를 촬영 및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3050)는 정류장(3000) 이용자를 카운팅하여 그 결과를 정류장 제어부(3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3050)는 내부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객체를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3050)는 내부 프로세서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객체를 클래스별로 라벨링(labeling)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3050)는 촬영된 객체 영상에 객체들을 남성, 여성, 노약자, 어린이 및 동물 등으로 분류하고, 영상 속 객체에 각 클래스별로 라벨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3050)는 객체의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정류장 제어부(3100)가 정류장(3000) 운영을 종료하거나, 정류장 디스플레이부(3300)가 객체 유무를 표시하여 버스(2000)의 무정차 통과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류장 디스플레이부(3300)는 정류장(3000) 내부의 객체 존재 유/무에 따라 정류장(3000) 외부에 신호등 색이 적색/녹색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3050)는 일정 수치 이상의 데시벨을 가지는 소리를 감지하거나, '도와주세요', '살려주세요' 등의 음성을 감지한 경우, 정류장 제어부(3100)를 통해 서버(1000) 및 정류장 관리자에게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카메라(3050)는 정류장 통신부(3200)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여, 서버 디스플레이부(1300)를 통해 촬영 영상을 출력하거나 인근 관할 경찰서에 신고 접수가 되도록 알림을 전송할 수도 있다.
비상벨(3060)은 정류장(3000) 이용자가 비상 상황일 때 터치 또는 푸시할 수 있도록 정류장(3000)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비상벨(3060)은 정류장(3000) 이용자의 입력을 통해 정류장 제어부(3100)에 알림을 전송할 수 있고, 정류장 제어부(3100)는 정류장 통신부(3200)를 통해 서버(1000)에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문 열림 센서(3070)는 정류장(3000)의 문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정류장(3000) 이용자가 문 열림 센서(3070)를 터치 또는 푸시할 때, 정류장(3000)의 문은 개방될 수 있다. 또는 정류장(3000) 이용자가 정류장(3000)의 문에 근접할 때, 문 열림 센서(3070)는 정류장(3000)의 문을 개방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3080)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정류장(3000) 이용자의 온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용자의 온도가 열화상 카메라(3080)에 의해 특정 수치 이상의 온도로 감지될 경우, 열화상 카메라(3080)는 이를 정류장 제어부(3100)에 알릴 수 있다. 정류장 제어부(3100)는 정류장(3000) 내부에 특정 수치 이상의 체온을 가진 사람이 있다는 알림을 서버(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0)는 관리자에게 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정류장 제어부(3100)는 정류장 디스플레이부(3300) 또는 정류장 음성출력부(3400)를 통해 정류장(3000) 내부에 시각적 또는 음성적으로 알림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장 제어부(3100)는 열화상 카메라(3080)를 통해 정류장(3000) 내부에 38도 이상의 체온을 가지는 사람이 존재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정류장 통신부(3200)를 통해 서버(1000)에 알림을 주거나, 인근 관할 보건소에 알림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때, 정류장 제어부(3100)는 정류장 음성출력부(3400)를 통해 정류장(3000) 퇴출에 대한 안내 지시를 출력할 수 있다.
키오스크(3090)는 정류장(3000)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정류장(3000) 이용자는 키오스크(3090)를 통해 버스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서버(1000)는 정류장(3000) 내외부에 배치된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0)는 정류장(3000)의 운영이 종료될 경우, 조명에 대한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조명을 어둡게 하거나 온 상태를 오프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1000)는 정류장(3000)의 운영 시간이 도래할 경우, 조명에 대한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조명을 밝게 하거나 오프된 조명을 온시킬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화된 정류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1000)는 복수의 정류장을 제1 정류장 그룹(100), 제2 정류장 그룹(200) 및 제3 정류장 그룹(300) 등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도 7은 정류장을 3개의 그룹으로 나눈 것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나, 그룹의 수나 정류장의 수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1000)가 복수의 정류장을 그룹화 하는 이유는 특성이 같은 정류장에 대해서는 일괄적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이다. 서울시만 하더라도, 서울시의 버스 정류장은 약 6500개로, 서버(1000)가 6500개의 정류장을 일일이 관리하는 것은 기술적 또는 용량적으로 무리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전국으로 확대한다면, 더 심각한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특성이 비슷한 정류장에 일괄적으로 동일한 제어 신호를 보낸다면, 서버(1000)의 제어 부담이 덜게 되고, 기술적 또는 시간적으로 효율성이 증가될 수 있다.
정류장(3000)의 특성은 예를 들어 정차하는 버스(2000)의 특성, 정류장(3000)의 위치에 따른 특성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정류장의 특성은 정류장(3000) 내부의 온도가 매우 높음 또는 매우 낮음인 것, 미세먼지가 특정 이상의 수치를 가지는 것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0)는 노선에 따라 정류장을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류장 그룹(100)에 속한 정류장(110)들은 17번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이고, 제2 정류장 그룹(200)에 속한 정류장(210)들은 22번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이고, 제3 정류장 그룹(300)에 속한 정류장(310)들은 405번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일 수 있다.
이때, 일 정류장은 복수의 그룹에 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류장(110)은 17번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 그룹인 제1 정류장 그룹(100)에 속할 수도 있고, 405번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 그룹인 제3 정류장 그룹(300)에 속할 수도 있다. 복수의 그룹에 속하는 정류장의 제어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히 설명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0)는 정류장의 위치에 따라 정류장을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류장 그룹(100)에 속한 정류장(110)들의 위치는 서울특별시에 속하고, 제2 정류장 그룹(200)에 속한 정류장(210)들의 위치는 부산광역시에 속하고, 제3 정류장 그룹(300)에 속한 정류장(310)들의 위치는 광주광역시에 속할 수 있다.
또한 더 좁은 지역의 예를 들어, 제1 정류장 그룹(100)에 속한 정류장(110)들의 위치는 서초구에 속하고, 제2 정류장 그룹(200)에 속한 정류장(210)들의 위치는 강남구에 속하고, 제3 정류장 그룹(300)에 속한 정류장(310)들의 위치는 송파구에 속할 수 있다.
또한 더 좁은 지역의 예를 들어, 제1 정류장 그룹(100)에 속한 정류장(110)들의 위치는 서초동에 속하고, 제2 정류장 그룹(200)에 속한 정류장(210)들의 위치는 방배동에 속하고, 제3 정류장 그룹(300)에 속한 정류장(310)들의 위치는 양재동에 속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장 그룹화 방법 및 그룹화된 정류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그룹화된 정류장을 제어하는 방법은 복수의 정류장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S110), 특성에 따라 정류장들을 그룹으로 분류 또는 그룹화하는 단계(S120) 및 각 정류장 그룹에 각각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정류장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S110)는 복수의 정류장 각각에 정차하는 버스 정보 및 정류장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0)는 각 정류장에 대해 정류장 이름, 정류장 위치, 정차하는 버스 번호, 현재 온도, 습도 및 공기 청정도 등을 테이블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특성에 따라 정류장들을 그룹으로 분류 또는 그룹화하는 단계는 제1 특성을 가지는 정류장들을 제1 정류장 그룹으로 분류 또는 그룹화하거나, 제2 특성을 가지는 정류장들을 제2 정류장 그룹으로 분류 또는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특성은 17번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이고, 제2 특성은 405번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특성은 서초동에 위치한 정류장이고, 제2 특성은 양재동에 위치한 정류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정류장 그룹의 정류장에 각각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1 정류장 그룹의 정류장에 제1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제2 정류장 그룹의 정류장에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7번 버스의 운행 종료 시간은 11시이고, 405번 버스의 운행 종료 시간은 12시일 수 있다. 이때, 서버(1000)는 11시 30분에 17번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 그룹인 제1 정류장 그룹에 장치 오프 신호를, 405번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 그룹인 제2 정류장 그룹에 장치 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버(1000)는 비가 오는 서초동에 위치한 정류장 그룹인 제1 정류장 그룹에는 강도 높은 제습 명령에 관한 신호를, 비가 오지 않는 양재동에 위치한 정류장 그룹인 제2 정류장 그룹에는 보통 강도의 제습 명령에 관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버(1000)는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서울에 위치한 정류장 그룹인 제1 정류장 그룹에는 강도 높은 공기 청정에 관한 신호를,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강릉에 위치한 정류장 그룹인 제2 정류장 그룹에는 강도 낮은 공기 청정에 관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0)가 같은 특성을 가지는 정류장을 그룹화하여, 정류장 그룹에 일괄적으로 동일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면, 서버(1000)의 제어 부담이 낮아지고, 정류장들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객체 인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버(1000) 또는 정류장(3000)은 카메라(3050)를 통해 객체(500)를 촬영 및 인식할 수 있다. 서버(1000)는 객체(500) 인식 및 분류를 통해, 객체(500)에 해당하는 정류장(3000)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객체(500)가 노약자나 어린이인 경우, 버스(2000)의 승하차에 주의가 필요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0)는 객체(500)를 노약자나 어린이로 판단한 경우, 버스(2000)에 알림 신호를 전송하거나 정류장 디스플레이(3300)가 관련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객체(500)가 여성인 경우, 정류장과 같은 폐쇄된 공간의 여성 범죄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0)는 객체(500)를 여성으로 판단한 경우, 서버 디스플레이부(1300)가 카메라(3050)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0)는 정류장 디스플레이부(3300)가 외부 시선을 끌만한 영상이나 정류장(3000) 외부에 적색 신호등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서버(1000)가 객체(500)의 클래스에 따라 정류장(3000)을 제어하도록, 카메라(3050)를 통해 객체(500)를 인식 및 분류할 필요가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객체 클래스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0)의 객체(500) 클래스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은 객체(500)를 인식하는 단계(S210), 객체(500)를 분류하거나 분류 후 영상에서 객체(500)를 라벨링하는 단계(S220), 객체(500)가 제1 클래스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30) 및 객체(500)가 제1 클래스에 해당하는 경우 버스(2000)에 제1 신호를 전송(S240)하거나, 정류장(3000)에 제2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0)는 객체(500)가 제1 클래스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별도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0)가 객체(500)를 인식하는 단계(S210)는 정류장(3000)의 카메라(3050)를 이용해 객체(500)를 촬영 및 객체(500)와 다른 사물을 구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3050)는 인공지능 카메라로서 데이터에 의해 학습되어 사람을 정류장 배경, 사물 등으로부터 구별해낼 수 있다. 이때, 객체(500)가 움직이는 동안에도 객체(500)를 추적하며 다른 사물과 구별해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0)가 객체(500)를 분류 또는 라벨링하는 단계(S220)는 서버(1000)가 객체(500)의 클래스를 판단 및 결정하거나, 영상에서 객체(500)에 클래스에 따라 라벨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0)는 클래스를 미리 사람, 동물, 식물, 사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사람 클래스를 세부적으로 남자, 여자, 노약자, 어린이, 임산부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500)가 노약자인 경우, 서버(1000)는 객체(500)의 클래스를 노약자로 판단 및 결정하거나, 영상에서 객체(500)에 노약자 라벨링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0)가 객체가 제1 클래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는 서버(1000)가 객체가 노약자 또는 어린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클래스는 노약자, 어린이 또는 임산부로, 승하차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나타내는 클래스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클래스는 여성과 같이 폐쇄된 정류장과 같은 공간에 범죄 예방이 필요한 사람을 나타내는 클래스일 수 있다.
객체(500)가 제1 클래스인 경우, 서버(1000)는 버스(2000)에 제1 신호를 전송(S240)하는 단계 및 정류장(3000)에 제2 신호를 전송(S250)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240 및 S250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가 수행된 이후 다른 하나가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객체(500)가 노약자 또는 어린이인 경우, 서버(1000)는 버스(2000)에 승하차 주의에 대한 정보를 담은 제1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0)는 정류장(3000)에 승하차 주의를 위한 외부 디스플레이 표시 출력이나 도어 개방 주의에 대한 정보를 담은 제2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객체(500)가 여성인 경우, 서버(1000)는 버스(2000) 또는 정류장(3000)에 이상 음성(도와주세요, 비명 등) 모니터링에 관한 정보를 담은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객체(500)가 동물인 경우, 서버(1000)는 버스(2000)에 승객에게 알림 또는 무정차 요청에 대한 정보를 담은 제1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0)는 정류장(3000)에 도어 개방, 이용자에게 주의 알림 또는 대피로 안내에 대한 정보를 담은 제2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0)는 추가적으로 객체(500)가 동물인 경우, 인근 소방서나 경찰서에 도움 요청에 대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객체(500)가 제1 클래스가 아닌 경우, 서버(1000)는 별도의 단계를 진행(S26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0)는 정류장(3000)을 보통의 상황과 같이 운영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 서버
2000 : 버스
3000 : 정류장
4000 : 단말기

Claims (15)

  1. 복수의 정류장을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정류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류장을 그룹화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정류장 그룹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정류장에 설치된 카메라의 영상을 통해 객체들을 클래스- 상기 클래스는 남성, 여성, 노약자, 어린이 및 동물을 포함함 -별로 분류하여 각 정류장 그룹에 객체 클래스 신호를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객체 클래스 신호에 기초하여 각 운영과 관련된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조절하는 복수의 정류장들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정류장 중 정차하는 버스의 노선과 관련된 제1 특성을 가지는 정류장들을 제1 정류장 그룹으로, 상기 제1 특성과 상이하고 정차하는 버스의 노선과 관련된 제2 특성을 가지는 정류장들을 제2 정류장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에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에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임계치 이상의 데시벨을 가지는 음성 또는 미리 저장된 음성이 획득되면, 비상 상황임을 감지하여 상기 비상 상황에 대한 알림 및 녹화된 영상을 기 설정된 관할서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는 상기 복수의 정류장에 설치된 장치의 온/오프, 조명, 온도, 습도, 공기 청정도, 알림 및 도어 개방 장치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은 화재, 상기 비상 상황, 상기 복수의 정류장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감지된 이상 동작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서버에 의해 분류된 객체의 클래스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 장치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는 도어의 개방 속도 및 개방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 속도 및 개방 시간은 상기 객체의 클래스에 따라 값이 달라지는
    정류장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제1 특성과 관련된 버스의 운행 시간에 따라 상기 제1 정류장 그룹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1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특성과 관련된 버스의 운행 시간에 따라 상기 제2 정류장 그룹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2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정류장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은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시점에 조명을 오프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제2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은 상기 제2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점에 조명을 온 상태로 유지시키는
    정류장 관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류장 중 제1 정류장이 상기 제1 정류장 그룹 및 상기 제2 정류장 그룹에 모두 포함되고, 상기 제1 정류장의 조명의 온/오프와 관련된 제1 제어 정보 및 상기 제2 제어 정보가 상이할 경우, 상기 제1 정류장은 조명을 온 상태로 유지시키는
    정류장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성 및 상기 제2 특성은 각 정류장의 지리적 위치와 관련된 특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제1 특성에 따라 상기 제1 정류장 그룹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1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특성에 따라 상기 제2 정류장 그룹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2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정류장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의 온도, 습도 또는 공기 청정도는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의 온도, 습도 또는 공기 청정도는 상기 제2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값과 상이한 제2 값으로 설정되는
    정류장 관리 시스템.
  9. 복수의 정류장을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서버의 정류장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류장 중 정차하는 버스의 노선과 관련된 제1 특성을 가지는 정류장들을 제1 정류장 그룹으로, 상기 제1 특성과 상이하고 정차하는 버스의 노선과 관련된 제2 특성을 가지는 정류장들을 제2 정류장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정류장에 설치된 카메라의 영상을 통해 객체들을 클래스- 상기 클래스는 남성, 여성, 노약자, 어린이 및 동물을 포함함 -별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에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에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임계치 이상의 데시벨을 가지는 음성 데이터 또는 미리 저장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비상 상황에 대한 알림 및 녹화된 영상을 기 설정된 관할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각각 정류장의 운영과 관련된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조절하는 제1 제어 정보 및 제2 제어 정보와 분류된 객체의 클래스와 관련된 제1 객체 클래스 정보 및 제2 객체 클래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는 상기 복수의 정류장에 설치된 장치의 온/오프, 조명, 온도, 습도, 공기 청정도, 알림 및 도어 개방 장치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은 화재, 상기 비상 상황, 상기 복수의 정류장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감지된 이상 동작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분류된 객체의 클래스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 장치와 관련된 정보는 도어의 개방 속도 및 개방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 속도 및 개방 시간은 상기 객체의 클래스에 따라 값이 달라지는
    정류장 관리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특성과 관련된 버스의 운행 시간에 따라 상기 제1 정류장 그룹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정보는 상기 제2 특성과 관련된 버스의 운행 시간에 따라 상기 제2 정류장 그룹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류장 관리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성 및 상기 제2 특성은 각 정류장의 지리적 위치와 관련된 특성을 포함하는
    정류장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의 온도, 습도 또는 공기 청정도를 제1 값으로 설정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정보는 상기 제2 정류장 그룹에 포함된 정류장의 온도, 습도 또는 공기 청정도를 상기 제1 값과 상이한 제2 값으로 설정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정류장 관리 방법.
  15. 제9항,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류장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02781A 2021-08-04 2021-08-04 정류장 관리 시스템 및 정류장을 관리하는 서버 KR102436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781A KR102436278B1 (ko) 2021-08-04 2021-08-04 정류장 관리 시스템 및 정류장을 관리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781A KR102436278B1 (ko) 2021-08-04 2021-08-04 정류장 관리 시스템 및 정류장을 관리하는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278B1 true KR102436278B1 (ko) 2022-08-25

Family

ID=83111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781A KR102436278B1 (ko) 2021-08-04 2021-08-04 정류장 관리 시스템 및 정류장을 관리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2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873A (ko) * 2012-10-15 2014-04-23 정승문 버스정류장에 대한 조명 제어 시스템, 이에 이용되는 버스쉘터 및 버스정류장에 대한 조명 제어 방법
KR20160054081A (ko) * 2014-11-05 2016-05-16 (주)아로정보기술 교통정보 종합안내 시스템 및 지식베이스 생성방법
KR102094461B1 (ko) * 2019-08-05 2020-03-30 전현수 인공지능을 활용한 쉘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KR102095435B1 (ko) * 2019-03-05 2020-03-31 (주)씨큐메이드 정류장 스마트 쉘터
KR20210041648A (ko) * 2019-10-07 2021-04-16 문승호 미세먼지 정화 및 안전 지킴이 기능을 구비한 친환경 클린 버스 정류장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873A (ko) * 2012-10-15 2014-04-23 정승문 버스정류장에 대한 조명 제어 시스템, 이에 이용되는 버스쉘터 및 버스정류장에 대한 조명 제어 방법
KR20160054081A (ko) * 2014-11-05 2016-05-16 (주)아로정보기술 교통정보 종합안내 시스템 및 지식베이스 생성방법
KR102095435B1 (ko) * 2019-03-05 2020-03-31 (주)씨큐메이드 정류장 스마트 쉘터
KR102094461B1 (ko) * 2019-08-05 2020-03-30 전현수 인공지능을 활용한 쉘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KR20210041648A (ko) * 2019-10-07 2021-04-16 문승호 미세먼지 정화 및 안전 지킴이 기능을 구비한 친환경 클린 버스 정류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08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modification and selection of emergency egress advisement
CN103810856B (zh) 校车安全监测装置及使用方法
US20060261979A1 (en) Event detection system
CN110759189A (zh) 电梯管理方法、装置及系统
US10997430B1 (en) Dangerous driver detection and response system
CN111562745A (zh) 智能控制系统和智能控制方法
JP2002063668A (ja) 車内の人検出通報装置及び危険状態回避装置
CN107274003A (zh) 一种智慧消防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CN106971364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社区系统
CN115622647A (zh) 一种公共事件应急信息的广播方法及智能音频设备
CN114999141A (zh) 电瓶车停放管理方法、装置、设备、系统及可读存储介质
KR101957637B1 (ko) 버스 정보 안내기를 이용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2436278B1 (ko) 정류장 관리 시스템 및 정류장을 관리하는 서버
KR102470797B1 (ko) 정류장 관리 시스템 및 정류장을 관리하는 서버
KR102093855B1 (ko) 인공 지능 통합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8269394B (zh) 安全管控方法、交通警示系统、用户终端及监控装置
KR102496003B1 (ko) 어린이 차량 통학을 위한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72791B1 (ko) 위험 상황 예경보 시스템 및 방법
US1135500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ecurity system access and sharing temporal event-based notifications and access to devices of designated persons
KR102056549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
TWM615449U (zh) 人車監控系統
CN205621293U (zh) 一种隧道安全告警系统
KR20210129494A (ko) 스마트 보안등 점멸기를 이용한 안심귀가 시스템
KR101524349B1 (ko) 센서퓨전 기반의 led 조명 제어 및 주차 관리 통합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00000313A (ko) 지하주차장용 경비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