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149B1 -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149B1
KR102436149B1 KR1020220045440A KR20220045440A KR102436149B1 KR 102436149 B1 KR102436149 B1 KR 102436149B1 KR 1020220045440 A KR1020220045440 A KR 1020220045440A KR 20220045440 A KR20220045440 A KR 20220045440A KR 102436149 B1 KR102436149 B1 KR 102436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ing
air
unit
hammer
ai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복순
Original Assignee
유복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복순 filed Critical 유복순
Priority to KR1020220045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4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for dim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8Accessory tools, e.g. knives; Mounting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철판의 타공 지점을 표시하기 위한 소정의 핀을 구비하여, 인가되는 공기압에 의해 소정의 핀을 선택적으로 타격하는 펀칭 유닛; 및 펀칭 유닛 내부로 에어를 선택적으로 주입하여, 펀칭 유닛 내부의 공기압을 선택적으로 콘트롤하는 에어 콘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Air punching system for controlling air pressure}
본 발명은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철판을 가공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의 주입과 배출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공기압을 형성시키고, 공기압에 의하여 소정의 핀을 타격하여 철판 중 원하는 위치에 타공 지점을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철판을 필요한 사이즈로 제작하기 위하여 다양한 가공 방법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가공, 펀치 프레스, CNC 절단, CNC 절곡 등을 통해 철판을 가공할 수 있다.
레이저 가공은 가장 기본적인 철판 가공 방법으로 고밀도의 열원으로 레이저의 빛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켜 철판을 절단하거나 구멍을 뚫어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레이저 가공은 절단면이 깔끔하고 디테일한 가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펀치 프레스는 철판에 구멍을 뚫어 가공하는 장비로서, 구멍을 뚫는 타발 속도와 위치를 설정해서 철판 중 필요한 위치를 펀칭할 수 있게 된다.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절곡과 절단은 컴퓨터에 의한 수치 제어를 통해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통한 절곡 및 절단이 가능하여 단순 가공부터 정밀 가공까지 가능하다.
그러나, 철판의 두께보다 철판의 타공 사이즈가 클 때는 위와 같은 방식을 통해서 원활하게 철판을 가공할 수 있으나, 철판의 두께보다 타공 사이즈가 작을 경우엔 사전에 타공 지점 또는 센터점을 미리 표시를 해야 정확한 위치에 타공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핸드 펀칭기 (등록번호 제10-1930280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구동부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와이어; 와이어와 고정되어 회전하고, 케이스 내부에 베어링에 삽입되어 케이스와 고정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에 스핀들 경사면이 형성되어 하부 중심부가 개방된 스핀들; 스핀들 내부 공간에 구성되어 가압과 감압에 따라 상부와 하부에 각 구비된 픽스의 행정거리가 축소 또는 확대되어 외력의 전달을 제어하는 클러치; 클러치 하부에 위치하고, 외면에 스핀들 로드 경사면이 형성되어 스핀들 경사면에 내접할 경우 스핀들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핀들 로드; 중심부로 픽스 볼트가 스핀들 로드를 가로질러 삽입되어 픽스 볼트로 스핀들 로드와 고정되고, 스핀들 로드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펀칭 샤프트; 및 펀칭 샤프트 하부에 결합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작업물을 펀칭하는 펀칭 비트를 제공한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레이저를 이용한 철판 가공 방법 (등록번호 제10-1983681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금속 판재가 준비되는 제1공정; 설계 도면이 레이저 가공기에 로딩 되는 제2공정; 레이저로 절단되는 제3공정; 평평하게 펴지는 제4공정; 절곡이 필요한 위치에 마커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제5공정; 절곡되는 제6공정 및 표면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포장하는 제7공정을 포함한다.
등록번호 제10-1930280호 등록번호 제10-1983681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철판 중 원하는 위치에 에어 펀칭 작업을 진행하여 타공 지점을 표시하고자 한다.
둘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해 펀칭을 진행하여 최소한의 힘으로 정확하고 편리한 에어 펀칭 작업을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은 철판의 타공 지점을 표시하기 위한 소정의 핀을 구비하여, 인가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기 소정의 핀을 선택적으로 타격하는 펀칭 유닛(punching unit); 및 상기 펀칭 유닛 내부로 에어를 선택적으로 주입하여, 상기 펀칭 유닛 내부의 상기 공기압을 선택적으로 콘트롤하는 에어 콘트롤 유닛(air control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상기 펀칭 유닛은, 상기 소정의 핀을 타격하기 위한 몸체를 형성하며 내부에 중공을 구비하는 펀칭 바디부; 상기 펀칭 바디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압에 의해 상기 소정의 핀의 타단을 직접 타격하는 복수 개의 해머부; 및 일측은 상기 소정의 핀의 타단에 인접하며 타측은 상기 복수 개의 해머부에 제공되어, 상기 복수 개의 해머부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해머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상기 펀칭 바디부는, 상기 펀칭 바디부의 외벽의 복수 개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복수 개의 개공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개공 각각에는 스위칭 볼(switching ball)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상기 스위칭 볼은, 상기 복수 개의 개공에 각각 일부 함입되어, 상기 펀칭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복수 개의 해머부의 선택적으로 블로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상기 펀칭 유닛은, 상기 펀칭 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펀칭 바디부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되도록 제공되며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그립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상기 그립 커버부는, 상기 그립 커버부의 내벽의 복수 개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스위칭 볼은 상기 소정의 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상기 펀칭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해머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해머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플런저(plunger)부; 상기 플런저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소정의 텐션 포스를 구비하여, 상기 플런저부가 상기 복수 개의 해머부의 타단을 가압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는 텐션 가압부; 및 상기 플런저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런저부가 일부 삽입되어, 상기 플런저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런저 가이드(plunger guide)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상기 에어 콘트롤 유닛은, 상기 펀칭 유닛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펀칭 바디부 내부로 에어를 선택적으로 주입하는 인렛 콘트롤부; 및 상기 펀칭 유닛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펀칭 바디부 내부에 존재하는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아웃렛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상기 플런저 가이드부는, 내부에 소정의 관로가 구비되며, 상기 인렛 콘트롤부와 상기 소정의 관로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펀칭 바디부 내부로 에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상기 해머부는, 상기 소정의 핀을 향해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해머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소정의 핀의 타단을 타격하는 포워드 해머부; 및 상기 포워드 해머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텐션 가압부 또는 상기 플런저부가 관통되어, 상기 소정의 텐션 포스가 가해지는 백워드 해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소정의 핀을 타격하여 철판 중 원하는 위치에 펀칭 작업을 진행하여 타공 지점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해 최소한의 힘으로 소정의 핀을 타격하여 쉽고 편리하게 타공 지점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펀칭 바디부의 정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해머부와 플런저부의 정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펀칭 유닛의 단면도 및 미리 결정된 방향에 따른 그립 커버부의 이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복수 개의 해머부의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그립 커버부의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에어 콘트롤 유닛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펀칭 바디부의 정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해머부와 플런저부의 정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펀칭 유닛의 단면도 및 미리 결정된 방향에 따른 그립 커버부의 이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복수 개의 해머부의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그립 커버부의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에어 콘트롤 유닛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 유닛(punching unit, 100), 및 에어 콘트롤 유닛(air control unit, 200)을 포함하게 된다.
먼저, 펀칭 유닛(100)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의 타공 지점을 표시하기 위한 소정의 핀(1)을 구비하여 인가되는 공기압에 의해 소정의 핀(1)을 선택적으로 타격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말하는 소정의 핀(1)은 시중에 판매되는 핀펀치와 같은 것으로 소정의 핀(1)의 규격은 철판의 두께와 사이즈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결정되는 것으로 소재나 규격의 제한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핀(1)은 펀치 노즐(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정의 핀(1)에는 펀치 스프링(3)이 구비되어, 펀칭 유닛(100)의 타격에 의해 철판 위에 타공 지점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펀치 스프링(3)은 펀칭 유닛(100)의 타격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펀칭 유닛(100)은 공기압을 활용해 소정의 핀(1)을 타격하여 철판에 드릴을 사용하여 정확한 위치에 구멍을 뚫도록 하기 위한 타공 지점 또는 센터점을 찍어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말하는 타공 지점 또는 센터점은 철판을 타공하기 전 미리 타공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점으로서, 깊이 1-2mm, 각도 90-120도의 점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펀칭 유닛(100)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여 펀칭 유닛(100) 내부에서 공기압의 차이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키고, 펀칭 유닛(100)의 외측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면, 펀칭 유닛(100) 내부에서 에어를 밀어내면서 소정의 핀(1)을 타격하는 힘이 발생하여 타공 지점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펀칭 유닛(100)은 철판을 가공하기 위하여 고강도의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소재에는 제한이 없다.
아울러, 철판을 가공하는 방식은 다양하나, 철판 두께 치수보다 작은 구멍이 필요할 때는 먼저 타공 지점에 표시를 한 후 드릴링을 통해 별도로 뚫어야 한다. 이때, 정확한 드릴링을 위해서는 미리 타공지점 또는 센터점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타공 지점을 표시하는 방법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해머를 사용해 철판 위를 타격하는 방식으로 타공 지점을 표시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해머를 잘못 휘둘러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가격하거나, 어깨, 팔꿈치, 손목, 등에 무리가 오면서 근골격계 산재 질환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에어 펀칭을 통해 원하는 위치에 타공 지점을 표시하여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펀칭 유닛(100)의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 바디(punching body)부(110), 해머(hammer)부(120), 해머 가이드(hammer guide)부(130), 및 그립 커버(grip cover)부(15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펀칭 바디부(110)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핀(1)을 타격하기 위한 몸체를 형성하며 내부에 중공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펀칭 바디부(110)의 외벽에는 복수 개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복수 개의 개공(111)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개공(111) 각각에는 스위칭 볼(140)(switching ball)을 구비하게 된다.
복수 개의 미리 설정된 위치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 바디부(110)의 외주면에 존재하며, 복수 개의 미리 설정된 위치 각각에 복수 개의 개공(111)이 형성된다.
스위칭 볼(140)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개공(111)에 각각 일부 함입되어 펀칭 바디부(110)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 개의 해머부(120)를 선택적으로 블로킹하게 된다.
해머부(12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 바디부(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압에 의하 소정의 핀(1)의 타단을 직접 타격하는 복수 개의 구성이다.
복수 개의 해머부(120)는 일련의 시리즈로 연결되며, 해머부의 개수에 따라 소정의 핀(1)을 타격하는 거리와 강도 선택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해머부(120) 각각에는 해머부(120)를 관통하는 에어홀이 구비되어, 일련의 시리즈로 배치된 복수 개의 에어홀은 하나의 에어 통로가 형성되어, 에어 콘트롤 유닛(200)을 통해 주입되는 에어가 이동하는 통로 또는 펀칭 바디부(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해머 가이드부(13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소정의 핀(1)의 타단에 인접하며 타측은 복수 개의 해머부(120)에 제공되어, 복수 개의 해머부(12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구성이다.
해머 가이드부(130)는 해머부(120)가 삽입되어 소정의 핀(1)을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타격 통로를 구비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해머부(120)의 경우, 포워드 해머부(121), 센터 해머부(122) 및 백워드 해머부(123)를 포함하게 된다.
포워드 해머부(121)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핀(1)을 향해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해머 가이드부(130)를 관통하여 소정의 핀(1)의 타단을 타격하는 구성이다.
이때, 포워드 해머부(121)의 돌출부는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해머 가이드부(130)의 타격 통로에 일부 삽입되어 있으며, 후술하게 될 그립 바디부의 이동에 따라서 해머 가이드부(130)의 타격 통로를 통해 소정의 핀(1)을 타격할 수 있게 된다.
백워드 해머부(123)의 경우, 포워드 해머부(121)의 타측에 연결되어 텐션 가압부(170) 또는 플런저부(160)가 관통되어 소정의 텐션 포스가 가해지는 구성이다.
백워드 해머부(123)는 중공을 구비하여, 백워드 해머부(123)의 중공 내부로 텐션 가압부(170)와 플런저부(160)가 일부 삽입되도록 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워드 해머부(123)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일측에 배치된 백워드 해머부(123)의 중공 내부에는 텐션 가압부(170)가 삽입되고 타측에 배치된 백워드 해머부(123)에는 플런저부(160)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터 해머부(122)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워드 해머부(121)와 백워드 해머부(123)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해머부(120)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센터 해머부(122)의 개수에 따라서 복수 개의 해머부(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립 커버부(150)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 바디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펀칭 바디부(11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되도록 제공되며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이다.
미리 결정된 방향이란 소정의 핀(1)이 위치한 방향으로, 펀칭 유닛(100)이 소정의 핀(1)을 타격하는 방향이 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립 커버부(15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 스프링(151)과 그립 실링(152)을 구비하게 된다.
그립 스프링(151)은 그립 커버부(150)의 일단에 인접하게 제공되며, 해머 가이드부(130)의 타단부에 제공되는 구성이다.
그립 스프링(151)의 외경은 해머 가이드부(13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해머 가이드부(130)의 외측에 삽입되고, 그립 커버부(15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그립 커버부(15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립 스프링(151)은 압축됨에 따라서 그립 커버부(150)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립 실링(152)의 경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 커버부(150)의 내벽에 제공되어, 그립 커버부(150)가 펀칭 바디부(1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도와주는 구성이다.
그립 실링(152)은 플라스틱 예컨대, rulon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그립 커버부(150)는 내벽의 복수 개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소정의 공간(153)이 형성되며, 그립 커버부(150)가 사용자에 의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면, 스위칭 볼(140)은 소정의 공간(153)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예컨대, i) 그립 커버부(150)가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은 상태일 경우, 그립 커버부(150)는 펀칭 바디부(1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며, 스위칭 볼(140)은 펀칭 바디부(110)의 복수 개의 개공(111)으로부터 내향 돌출되어 있다. 또한, 그립 커버부(150)가 펀칭 바디부(1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스위칭 볼(140) 또한 이동이 제한되어, 복수 개의 해머부(120)의 이동을 저지하게 된다.
ii) 그립 커버부(150)가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그립 커버부(150)의 소정의 공간(153)이 스위칭 볼(140)의 위치로 이동되며, 이동이 제한되던 스위칭 볼(140)의 일부가 소정의 공간(153)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해머부(120)를 저지하고 있던 힘이 해지되면서, 복수 개의 해머부(120)는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정의 핀(1)을 타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펀칭 유닛(100)의 경우, 플런저부(160), 텐션 가압부(170) 및 플런저 가이드부(180)를 더 포함하게 된다.
플런저부(160)의 경우,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해머부(120)의 타측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해머부(12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구성이다.
플런저부(160)는 백워드 해머부(123)의 중공 내부에 삽입되어, 복수 개의 해머부(1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플런저부(160)는 플런저 캡(161)을 구비하며, 플런저 캡(161)은 플런저부(160)가 백워드 해머부(123)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텐션 가압부(170)의 경우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부(160)의 일측에 배치되어 소정의 텐션 포스를 구비하며 플런저부(160)가 복수 개의 해머부(120)의 타단을 가압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한다.
텐션 가압부(170) 역시 백워드 해머부(123)의 중공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플런저 가이드부(180)의 경우,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부(160)의 타측에 배치되어 플런저부(160)가 일부 삽입되어 플런저부(160)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또한, 플런저 가이드부(180)의 내부에는 소정의 관로가 구비되며, 후술하게 될 인렛 콘트롤부(210)와 소정의 관로가 상호 연결되어, 펀칭 바디부(110) 내부로 에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플런저 가이드부(180)의 소정의 관로를 통해 유입된 에어는 복수 개의 해머부(120)의 복수 개의 에어홀로 이루어진 에어 통로 내부를 통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에어 콘트롤 유닛(200)의 경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 유닛(100) 내부로 에어를 선택적으로 주입하여 펀칭 유닛(100)의 내부 공기압을 선택적으로 콘트롤 하는 구성이다.
에어 콘트롤 유닛(200)은 펀칭 유닛(100)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키면서, 펀칭 유닛(100) 내부의 공기압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철판을 펀칭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에어 콘트롤 유닛(200)은 펀칭 유닛(100)의 타단에 배치되어, 에어 밸브(201)와, 커넥터, 조인트, 튜브 등의 구성을 통해 펀칭 유닛(100)으로 에어를 주입하거나 방출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의 에어 콘트롤 유닛(200)의 경우, 인렛 콘트롤(inlet control)부(210) 및 아웃렛 콘트롤(outlet control)부(220)를 포함하게 된다.
인렛 콘트롤부(210)의 경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 유닛(100)의 타측에 배치되어 펀칭 바디부(110) 내부로 에어를 선택적으로 주입하는 구성이다.
인렛 콘트롤부(210)는 그립 바디부가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할 때, 복수 개의 해머부(120)가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펀칭 바디부(110)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여 공기압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인렛 콘트롤부(210)는 인렛 커넥터(211)와 인렛 튜브(212) 등으로 구성되어,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 가이드부(180)의 소정의 관로와 상호 연결되어, 펀칭 바디부(110) 내부로 에어를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
아웃렛 콘트롤부(220)의 경우, 펀칭 유닛(100)의 타측에 배치되어 펀칭 바디부(110) 내부에 존재하는 에어가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아웃렛 콘트롤부(220)는 인렛 콘트롤부(210)를 통해 펀칭 유닛(100) 내부로 유입된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아웃렛 콘트롤부(220)는 아웃렛 커넥터(221)와 아웃렛 튜브(222) 등으로 구성되며, 아웃렛 튜브(222)는 펀칭 유닛(100), 더 상세하게는 펀칭 바디부(110)의 외벽에 상호 연결되어 에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펀칭 유닛
110: 펀칭 바디부
111: 복수 개의 개공
120: 복수 개의 해머부
121: 포워드 해머부
122: 센터 해머부
123: 백워드 해머부
130: 해머 가이드부
140: 스위칭 볼
150: 그립 커버부
160: 플런저부
170: 텐션 가압부
180: 플런저 가이드부
200: 에어 콘트롤 유닛
210: 인렛 콘트롤부
220: 아웃렛 콘트롤부

Claims (10)

  1. 철판의 타공 지점을 표시하기 위한 소정의 핀을 구비하여, 인가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기 소정의 핀을 선택적으로 타격하는 펀칭 유닛(punching unit); 및
    상기 펀칭 유닛 내부로 에어를 선택적으로 주입하여, 상기 펀칭 유닛 내부의 상기 공기압을 선택적으로 콘트롤하는 에어 콘트롤 유닛(air control unit)을 포함하되,
    상기 펀칭 유닛은,
    상기 소정의 핀을 타격하기 위한 몸체를 형성하며 내부에 중공을 구비하는 펀칭 바디부;
    상기 펀칭 바디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압에 의해 상기 소정의 핀의 타단을 직접 타격하는 복수 개의 해머부; 및
    일측은 상기 소정의 핀의 타단에 인접하며 타측은 상기 복수 개의 해머부에 제공되어, 상기 복수 개의 해머부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해머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 바디부는,
    상기 펀칭 바디부의 외벽의 복수 개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복수 개의 개공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개공 각각에는 스위칭 볼(switching ball)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볼은,
    상기 복수 개의 개공에 각각 일부 함입되어, 상기 펀칭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복수 개의 해머부의 선택적으로 블로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 유닛은,
    상기 펀칭 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펀칭 바디부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되도록 제공되며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그립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커버부는,
    상기 그립 커버부의 내벽의 복수 개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스위칭 볼은 상기 소정의 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해머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해머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플런저(plunger)부;
    상기 플런저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소정의 텐션 포스를 구비하여, 상기 플런저부가 상기 복수 개의 해머부의 타단을 가압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는 텐션 가압부; 및
    상기 플런저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런저부가 일부 삽입되어, 상기 플런저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런저 가이드(plunger guide)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콘트롤 유닛은,
    상기 펀칭 유닛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펀칭 바디부 내부로 에어를 선택적으로 주입하는 인렛 콘트롤부; 및
    상기 펀칭 유닛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펀칭 바디부 내부에 존재하는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아웃렛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가이드부는,
    내부에 소정의 관로가 구비되며, 상기 인렛 콘트롤부와 상기 소정의 관로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펀칭 바디부 내부로 에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부는,
    상기 소정의 핀을 향해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해머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소정의 핀의 타단을 타격하는 포워드 해머부; 및
    상기 포워드 해머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텐션 가압부 또는 상기 플런저부가 관통되어, 상기 소정의 텐션 포스가 가해지는 백워드 해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
KR1020220045440A 2022-04-13 2022-04-13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 KR102436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440A KR102436149B1 (ko) 2022-04-13 2022-04-13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440A KR102436149B1 (ko) 2022-04-13 2022-04-13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149B1 true KR102436149B1 (ko) 2022-08-24

Family

ID=8311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440A KR102436149B1 (ko) 2022-04-13 2022-04-13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1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89B1 (ko) * 2013-08-12 2015-01-15 (주)씨엔티 천공장치
KR101930280B1 (ko) 2018-06-18 2018-12-18 김봉규 핸드 펀칭기
KR101983681B1 (ko) 2019-03-15 2019-06-03 (주) 선호엔지니어링 레이저를 이용한 철판 가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89B1 (ko) * 2013-08-12 2015-01-15 (주)씨엔티 천공장치
KR101930280B1 (ko) 2018-06-18 2018-12-18 김봉규 핸드 펀칭기
KR101983681B1 (ko) 2019-03-15 2019-06-03 (주) 선호엔지니어링 레이저를 이용한 철판 가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9810088C1 (de) Bohr- und/oder Schlaghammer mit in Abhängigkeit von der Einstecktiefe eines Werkzeuges aktivierbarem Schlagwerk
US20090133893A1 (en) Hand-held power tool with a pneumatic percussion mechanism
US20050175417A1 (en) Roof bolts for use in mines, a method for their production and method for their installation
US20120024117A1 (en) Starter Tool
KR102436149B1 (ko) 공기압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에어 펀칭 시스템
JPS5947118B2 (ja) 空気圧打込み穿孔装置
US20070107237A1 (en) Punch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same
US3393755A (en) Apparatus for engraving, carving, cutting or chipping metals, wood, stone or the like
KR102436150B1 (ko) 피드백 에어의 선택적 인입을 통한 에어 펀칭 리로딩 시스템
CN102114624A (zh) 一种电动工具
GB1005018A (en) Pneumatic impact tool
KR100322796B1 (ko) 충격식해머
JPH0782979A (ja) 流体駆動型ダウンザホール穿孔装置
KR101511009B1 (ko) 원형봉가공물의 면취 및 마킹장치
DE3511491C2 (ko)
CN207736227U (zh) 气动压装衬套装置
DE3531641A1 (de) Bohr- und meisselhammer
DE19847687A1 (de) Hohlkolben-Schlagwerk mit Hülsensteuerung
US4150467A (en) Method and mandrel for blind riveting
DE3644707C2 (de) Bohrhammer mit Backenfutter
KR102054649B1 (ko) 압착 공기 구동식 정
US3047082A (en) Masonry drill
CN217226176U (zh) 一种水钻打孔用定位机构
JP4448337B2 (ja) 打撃工具
JP2010188492A (ja) 打ち込み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