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750B1 -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750B1
KR102435750B1 KR1020170172026A KR20170172026A KR102435750B1 KR 102435750 B1 KR102435750 B1 KR 102435750B1 KR 1020170172026 A KR1020170172026 A KR 1020170172026A KR 20170172026 A KR20170172026 A KR 20170172026A KR 102435750 B1 KR102435750 B1 KR 102435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text
broadcast
radio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206A (ko
Inventor
이현우
안대봉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2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750B1/ko
Priority to US16/173,432 priority patent/US10999624B2/en
Publication of KR20190071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8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udi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8Subtit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09G2370/022Centralised management of display operation, e.g. in a server instead of local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6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in that the receiver comprises more than one tu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차량 탑승자가 다양한 라디오 채널 방송을 동시에 청취하기를 원하는 경우, 복수의 음성 정보를 스피커와 디스플레이로 분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라디오 방송과 같이 음성만을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의 경우 동시에 2개 채널 이상의 방송 정보를 탑승자가 청취 및 읽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EPG 방송 정보를 기반으로 텍스트 변환이 용이한 채널을 분석하여 탑승자에게 자막을 제공해 줌으로써 자막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MULTIMEDIA APPARATUS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BROADCASTING METHOD OF THE MULTIMEDIA APPARATUS}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제어, 시트 제어, 조명 제어 등의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오디오 장치와 비디오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 등이 통합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으로서, 라디오, CD(Compact Disk) 등의 오디오 서비스,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비디오 서비스와, 목적지 안내 기능과 같은 내비게이션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에이브이엔 헤드 유닛(Audio Video Navigation Head Unit; 이하, “AVN 헤드 유닛”리라 한다)가 차량 내에 구비된다.
AVN 헤드 유닛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 또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한다. 최근에는 차량 IT 기술의 발달로 AVN 헤드 유닛에서 텔레매틱스(Telemtics) 단말과 통합되어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AVN 헤드 유닛은 외부의 방송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한 방송 정보를 영상 및/또는 음성의 형태로 출력하여 차량의 전방에 설치된 전석 디스플레이를 통해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에게 제공하였으나, 후석 탑승자에게 양호한 시청각을 제공하기 위하여 후석에도 Rear Seat Entertainment(독립 후석 디스플레이, 후석 전용 이어폰)를 설치하여 전석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채널에 대해서만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 AVN 헤드 유닛은 차량 탑승자가 동시에 여러 채널의 방송(라디오, DMB)을 청취하고 싶을 경우, 복수 채널의 정보를 청각과 시각으로 나누어 취득할 수 없기 때문에 라디오 방송과 같이 음성만을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의 경우 동시에 2개 채널 이상의 방송 정보를 탑승자가 청취 및 읽도록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 탑승자가 동시에 여러 채널의 방송을 청취하기를 원하는 경우, 복수 채널의 방송 정보를 청각과 시각으로 나누어 취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방송의 EPG 정보를 분석하여 텍스트 변환이 용이한 채널에 대해 자막을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는, 복수 채널의 방송 정보를 라디오 신호로부터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수신된 복수의 방송 정보를 음성과 자막으로 분리하여 동시에 출력하는 제어부; 분리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분리된 자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라디오 신호의 EPG 정보를 분석하여 텍스트 변환이 가능한 채널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
방송 수신부는 라디오 신호로부터 EPG 정보를 수신하는 멀티 라디오 튜너; 라디오 신호에 EPG 정보가 없으면, 서버로부터 EPG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뎀;을 더 포함한다.
멀티 라디오 튜너는,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라디오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출력하는 복수 개의 라디오 튜너로 이루어진다.
통신 모뎀은, 3G/LTE/WIFI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부터 현재 방송 중인 모든 채널에 대한 EPG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는, 음성 신호인 라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음향 모델, 무음 분리 모델, 언어 모델을 거쳐 텍스트로 변환 처리한다.
음성 출력부는, 스피커 또는 이어폰 단자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된 전석 디스플레이; 차량의 후석에 설치된 복수 개의 후석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특정 채널을 선택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특정 채널을 음성 출력부를 통해 들으면서 특정 채널을 제외한 모든 채널에 대한 방송 정보를 분석하여 텍스트 변환이 가능한 채널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텍스트 변환이 가능한 채널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해당 채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차량은, 복수 채널의 방송 정보를 라디오 신호로부터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수신된 복수의 방송 정보를 음성과 자막으로 분리하여 동시에 출력하는 제어부; 분리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분리된 자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라디오 신호의 EPG 정보를 분석하여 텍스트 변환이 가능한 채널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를 그 내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 채널의 라디오 방송을 동시에 청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에 있어서, 복수 채널의 방송 정보를 라디오 신호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의 방송 정보를 음성과 자막으로 분리하여 동시에 출력하고; 분리된 음성을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분리된 자막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고; 라디오 신호의 EPG 정보를 분석하여 텍스트 변환이 가능한 채널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멀티 라디오 튜너를 통해 라디오 신호로부터 EPG 정보를 수신하고; 라디오 신호에 EPG 정보가 없으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부터 EPG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은, 음성 신호인 라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음향 모델, 무음 분리 모델, 언어 모델을 거쳐 텍스트로 변환 처리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텍스트로 변환 처리하는 것은, 음성 신호인 라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발음 기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의 무음 부분을 검색하여 단어 및 문장을 분리하고; 발음 기호, 단어 분리, 문장 분리를 하나의 발음 데이터로 취합하고; EPG 정보를 이용하여 취합된 발음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에 의하면, 차량 탑승자가 다양한 라디오 채널 방송을 동시에 청취하기를 원하는 경우, 복수의 음성 정보를 스피커와 디스플레이로 분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라디오 방송과 같이 음성만을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의 경우 동시에 2개 채널 이상의 방송 정보를 탑승자가 청취 및 읽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EPG 방송 정보를 기반으로 텍스트 변환이 용이한 채널을 분석하여 탑승자에게 자막을 제공해 줌으로써 자막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음성 출력을 위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자막 표시를 위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자막 표시를 위한 채널 분류를 설명하는 동작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디스플레이 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자막 표시를 위한 PCM To Text 변환 처리를 설명하는 동작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자막 재생 중인 디스플레이 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은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10), 차체(1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4),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6),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8),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21, 22), 차륜(21, 22)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4)는 차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도어(14)는 도어 핸들(15)을 이용하여 잠금/해제할 수 있다. 도어 핸들(15)의 잠금/해제는 운전자가 차량(1)에 접근하여 도어 핸들(15)의 버튼이나 레버를 직접 조작하는 방법과 차량(1)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원격 제어기(Remote Controller) 등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잠금/해제하는 방법이 있다.
전면 유리(16)는 차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미러(18)는 차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마련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차량(1)은 차체(10)의 상면에 안테나(20)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20)는 텔레매틱스(Telematics)와 라디오, DMB, 디지털 TV,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방송/통신 신호 등을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방송/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다기능 안테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방송/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일 기능 안테나일 수 있다.
차륜(21, 22)은 차체(10)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21), 차체(10)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22)을 포함하며, 구동 장치(30)는 차체(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21) 또는 후륜(2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30)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은 내연 기관 차량(일반 엔진 차량)과 하이브리드 차량, 수소 연료 전지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차량(1)의 내부에는 탑승자가 착석하기 위한 좌석(51, 52), 탑승자 중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석(51)에 마련된 스티어링 휠(62), 스티어링 휠(62)로부터 차체(10)의 전방을 향해 마련되고, 차량(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클러스터(Cluster, 61) 및 클러스터(61)와 연결되어 차량(10)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기기가 설치되는 대시 보드(Dashboard, 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시 보드(60)는 전면 유리(16)의 하부로부터 좌석(51, 52)을 향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로 대시 보드(60)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대시 보드(60)에 마련된 각종 기기는 대시 보드(60)의 중앙 영역인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AVN 헤드 유닛(80), AVN 헤드 유닛(80)의 측면에 마련된 공조 장치(미도시)의 통풍구(91) 및 AVN 헤드 유닛(80)의 하단에 마련된 각종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VN 헤드 유닛(80)은 차량(1) 내 오디오와 비디오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 등이 통합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으로서, 차량(1) 내에서 사용자에게 지상파 라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라디오를 재생하는 라디오 서비스, CD(Compact Disk) 등을 재생하는 오디오 서비스,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을 재생하는 비디오 서비스와,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서비스, 차량(1)과 연결된 디바이스의 전화 수신 여부를 제어하는 전화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AVN 헤드 유닛(80)은 사용자의 조작이 아닌 음성을 입력받아 상술한 라디오 서비스, 오디오 서비스, 비디오 서비스, 내비게이션 서비스,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성 인식 서비스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AVN 헤드 유닛(80)은 대시 보드(60) 상에 거치식으로 설치될 수 있고, 센터페시아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AVN 헤드 유닛(80) 중 터치스크린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81) 만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AVN 헤드 유닛(80)을 통해 라디오 서비스, 오디오 서비스, 비디오 서비스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AVN 헤드 유닛(80)은 내비게이션 단말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지칭될 수 있으며, 텔레매틱스 단말과 통합되어 당업자들에게 사용되는 다양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AVN 헤드 유닛(80)은 터치 스크린(81)을 통해 라디오 화면, 오디오 화면, 비디오 화면, 내비게이션 화면, 전화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1)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 또는 AVN 헤드 유닛(80)에서 실행할 수 있는 부가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8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화면 표시 기능 및 지시나 명령의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81)은 AVN 헤드 유닛(80)을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운영 체계(OS, operation system), AVN 헤드 유닛(80)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따라 소정의 화상을 포함하는 화면을 외부로 출력하거나 또는 지시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터치 스크린(81)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기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기본 화면은 터치 조작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터치 스크린(81)이 표시하는 화면을 의미한다.
터치 스크린(81)은 상황에 따라서 터치 조작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터치 조작 화면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조작을 입력 받을 수 있는 화면을 의미한다.
터치 스크린(81)의 입력 방식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저항식 터치 스크린 방식, 정전 용량 커플링 효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정전식 터치 스크린 방식, 적외선을 이용하는 광학식 터치 스크린 방식이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초음파 터치 스크린 방식을 이용한 것일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입력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81)은 차량(1)에 마련된 AVN 헤드 유닛(80)과 사용자 간에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로, 터치 인터렉션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고, 터치 스크린(81) 상에 표시되는 문자나 메뉴가 선택됨으로써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장치이다.
또한, AVN 헤드 유닛(80)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페어링을 통해 스마트 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며 오디오 및 비디오 파일을 재생시킬 수도 있다.
대시 보드(60)에서 터치 스크린(81)의 양 측면에는 공조 장치(미도시)의 통풍구(91)가 마련될 수 있다. 공조 장치는 차량(1)의 실내/외 환경 조건, 공기의 흡/배기, 순환, 냉/난방 상태 등을 포함한 공조 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공조 장치는 난방 및 냉방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통풍구(91)를 통해 배출하여 차량(1)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조 장치는 탑승자가 차량(1)의 탑승 전, 차체(10)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차량(1)의 내부는 좌석(51, 52) 사이에 위치한 센터 콘솔(110) 및 센터 콘솔(110)과 연결된 트레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콘솔(110)은 기어 레버(111) 및 죠그 셔틀 타입 또는 키 타입의 각종 입력 버튼(113)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3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200)는 방송 수신부(210), 음성 출력부(220), 디스플레이부(230), 입력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210)는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미도시)로부터 전파의 형태로 송출된 방송 정보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를 변조한 후, 변조된 방송 신호를 미리 정의된 송출 주파수의 전파를 이용하여 송출할 수 있다. 방송 신호의 송출을 위해 이용되는 전파는 단파, 중파 또는 초단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관리 서버는 서로 상이한 송출 주파수를 이용하여 복수의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연속적인 흐름 또는 정보 체계의 형태로 제공되는 방송의 단위를 말한다.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 각각은 서로 상이한 송출 주파수의 전파에 의해 송출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부(210)는 송출된 복수의 방송 신호 중 특정한 송출 주파수의 전파에 의해 전달되는 방송 신호만을 미리 정의된 설정이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정보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방송 수신부(210)는 모든 채널에 대한 방송 정보를 라디오 신호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여러 개의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멀티 라디오 튜너와,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뎀(216)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 라디오 튜너는 라디오 주파수를 통해 EPG 정보를 수신하는 라디오 튜너1(212)과, 라디오 튜너2(21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뎀(216)은 라디오 주파수를 통해 EPG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부터 현재 방송 중인 모든 채널에 대한 EPG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뎀(216)은 3G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LTE와 같은 4G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모뎀(216)은 현재 표준 통신 규격에 따라 3G, 4G 네트워크를 제공할 뿐만이니라, 현재 국제 표준 기구에서 논의되고 있는 그 이상의 네트워크(예를 들어, 5G 네트워크 등)에 요구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모뎀(216)은 차량(1)에 장착된 안테나(20; 구체적으로, 3G/LTE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안테나(20)를 통해 EPG 서버로부터 현재 방송 중인 모든 채널에 대한 EPG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220)는 방송 수신부(210)로부터 방송 정보(EPG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라디오 방송 채널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220)는 스피커(222) 또는 이어폰 단자(22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222)는 전기적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 신호를 멀티미디어 장치(200) 외부로 송출한다. 이외에도 스피커(222)는 디지털화된 전기적 신호를 아날로그화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to-Analog Convertor: DAC),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 의하여 아날로그화된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226)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방송 수신부(210)로부터 방송 정보(EPG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라디오 방송 채널의 자막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차량(1)의 전방에 설치된 전석 디스플레이(232; 예를 들어, AVN 헤드 유닛의 터치 스크린)와, 차량(1)의 후석에 설치된 후석 디스플레이1 및 후석 디스플레이2(234, 236; 예를 들어, Rear Seat Entertain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채널 선택 명령을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채널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는 또한, 디스플레이부(230)는 이미지나 그림뿐만 아니라 인덱스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고, 해당 방송 채널의 동작 정보(예를 들어, 스피커(222) 재생 중 또는 자막 가능 등)를 표시할 수 있으며, DMB의 방송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라디오 방송의 음성 및 음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인덱스 아이템은 문자로 된 집합을 의미한다. 인덱스 항목에 표시된 문자는 기호, 숫자, 특수문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덱스 항목을 표시하는 문자는 한글(자음, 모음), 영어, 일어 등 그 밖에 여러 가지 언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는 자막으로 보고 싶은 방송 채널을 선택하여 차량(1) 내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자막으로 볼 수 있다.
입력부(240)는 듣고 싶은 방송 채널을 선택하거나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되는 특정 항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기계식 버튼이나 터치 입력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230)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인가되는 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인터렉션을 기초로 전기적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인터렉션은 터치 수단, 일례로 손가락, 손 또는 터치 펜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멀티미디어 장치(2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서, 멀티미디어 장치(200) 내에 내장된 각종 모듈, 기기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250)는 멀티미디어 장치(20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장치(200) 내에 내장된 각종 모듈, 기기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술한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전술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유압조정장치인 HCU(hydraulic control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등을 포함 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는 EPG 방송 정보에서 취득한 장르에 일치하는 언어 모델 DB를 사용하여 변환된 텍스트를 저장하는 자막 저장용 메모리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차량(1)의 CAN(Controller Area Network)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CAN 네트워크는 차량(1)의 ECU 간의 데이터 전송 및 제어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CAN 네트워크는 꼬여 있거나 또는 피복에 의해 차폐되어 있는 2가닥 데이터 배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CAN은 마스터/슬레이브 시스템에서 다수의 ECU가 마스터(master)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마스터(multi-master) 원리에 따라 작동한다. 이외에도 제어부(250)는 차량(1)의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등과 같은 차량(1) 내 유선망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망을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250)는 사용자가 듣고 싶은 채널을 선택하면, 해당 라디오 채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차량(1) 내 음성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음성 출력을 위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4에서, 제어부(250)는 사용자가 입력부(240)를 통해 듣고 싶은 방송 채널을 선택하면(300), 방송 수신부(210)의 멀티 라디오 튜너(212, 214; 예를 들어, 라디오 튜너1)를 통해 선택된 채널의 출력 명령을 음성 출력부(220)에 전달한다(302).
따라서, 음성 출력부(220)는 제어부(250)의 음성 제어 신호에 따라 스피커(222) 또는 이어폰 단자(224)를 통해 해당 방송 채널의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304).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250)는 해당 방송 채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자막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230; 전석 디스플레이, 후석 디스플레이1, 후석 디스플레이2)를 통해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50)는 방송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정보(EPG 정보)를 분석하여 자막 변환이 용이한 채널(예를 들어, 뉴스, 토크 쇼 등)을 필터링하고, 자막 표시가 가능한 방송 채널을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하여 탑승자에게 해당 채널의 자막을 볼 수 있음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막으로 보고 싶은 방송 채널을 선택하여 차량(1) 내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자막으로 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250)는 현재 듣고 있는 채널 또는 듣고 있지 않은 채널에 대해서 자막 표시를 원할 경우,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음향 모델, 무음 분리 모델, 언어 모델을 거쳐 텍스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 출력부(220)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되고 있는 채널을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자막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자막 표시를 위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5에서, 제어부(250)는 방송 정보(EPG)를 수신하여(400), 현재 방송 중인 모든 채널 중에서 자막 변환이 용이한 채널을 필터링한다(402).
이어서, 제어부(250)는 탑승자에게 해당 채널(예를 들어, 뉴스, 토크쇼 등)의 자막을 볼 수 있음을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한다(404).
따라서, 제어부(250)는 현재 듣고 있는 채널 또는 듣고 있지 않은 채널에 대해서 사용자가 자막 표시를 원할 경우(406), 라디오 튜너1(212) 또는 라디오 튜너2(214)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408), 디지털 신호를 음향 모델, 무음 분리 모델, 언어 모델을 거쳐서 텍스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230)로 표시할 수 있다(410, 412, 414). 디지털 신호인 PCM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피커(222) 또는 이어폰 단자(224)로 출력되고 있는 채널을 자막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250)는 디지털 신호를 음성(Speech) 및/또는 음악(Music) 분류 가능한 SVM(Support Vector Machine)의 패턴 분류기를 통해 자막 표현이 어려운 음악으로 판정될 경우, “음악 재생 중“으로 자막을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가 자막으로 보기를 원하는 채널이 N개(복수)일 경우, N개의 튜너를 추가로 구성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복수 채널 자막을 디스플레이부(230)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는 최종적으로 복수의 방송 채널 정보를 청각과 시각을 통해 청취할 수 있다(귀로는 음악 방송을 들으며, 눈으로 뉴스 방송 정보 취득).
이외에도, 제어부(250)는 사용자가 현재 듣고 있는 채널 또는 듣고 있지 않은 채널을 자막으로 보고 싶은 경우에는 자막 변환 후,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출력하며 주행 규제에 따라 운전 중일 경우에는 후석 디스플레이1(234) 및 후석 디스플레이2(236)에만 자막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의 동작 과정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멀티미디어 장치(200)의 자막 표시가 가능한 채널을 분류하여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하는 방법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자막 표시를 위한 채널 분류를 설명하는 동작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디스플레이 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방송 수신부(210)는 모든 채널에 대한 방송 정보를 라디오 신호로부터 수신하고, 라디오 신호에 EPG 정보가 없을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EPG 서버(미도시)로부터 현재 방송 정보를 수신한다(500).
따라서, 제어부(250)는 방송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방송 정보 프로그램 중 자막 표시가 용이한 장르를 분석하여 방송 프로그램 장르가 뉴스이거나 토크쇼인 경우 표시 가능 주파수로 인지한다. 또한 모든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자막 표시 가능 DB를 구축하고 검색하여 표시 가능 채널(주파수)일 경우 표시 가능 주파수로 인지한다(502).
이어서, 제어부(25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막 표시 가능한 채널을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한다(504).
다음, 멀티미디어 장치(200)의 자막 표시를 위한 자막 처리 방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자막 표시를 위한 PCM To Text 변환 처리를 설명하는 동작 순서도이다.
도 8에서, 제어부(250)는 특정 라디오 채널이 아날로그로 출력되는 것을 음성 신호 처리를 위하여 N초 주기로 디지털 신호인 PCM으로 변환한다(600).
이어서, 제어부(250)는 현재 디지털 신호 버퍼와 직전에 입력된 N초 동안의 디지털 신호를 병합하고(602), 병합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발음 기호로 변환한다(604).
또한, 제어부(250)는 단계 600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무음 부분을 찾아내서 단어 분리 및 문장을 분리하고(606), 발음 기호, 단어 분리, 문장 분리를 하나의 발음 데이터로 취합한다(608).
따라서, 제어부(250)는 단계 608에서 취합된 하나의 발음 데이터를 가지고 타겟 언어(한국어, 영어 등)로 변환하는 언어 모델로 EPG 방송 정보(612)에서 취득한 장르에 일치하는 언어 모델 DB를 사용하여 텍스트로 변환하여 자막 저장용 메모리에 저장한다(610).
이에 따라, 제어부(250)는 현재까지 자막 저장용 메모리에 저장된 텍스트 자막을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한다(614). 이때, 제어부(250)는 자막 저장용 메모리가 일정 수준 이상 사용된 경우 가장 오래 전에 변환된 자막부터 메모리에서 삭제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250)는 현재까지 변환된 텍스트 자막에 문장의 끝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616), 문장의 끝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600로 피드백하여 이후의 동작을 진행한다.
한편, 단계 616의 판단 결과, 문장의 끝이 포함되어 있으면, 제어부(250)는 문장 디지털 신호에서 문장의 끝에 매칭되는 문장 디지털 신호를 제거한다(618). 문장 디지털 신호는 FIFO Buffer로써 First Input 중 문장의 끝이 포함된 완료된 문장이 판정되면 Buffer에서 삭제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패턴 인식 기반의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기를 이용하여 단계 600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서 현재 음성 신호가 음성(Speech) 또는 음악(Music)인지를 판단한다(620),
단계 620에서 음악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250)는 자막 변환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부(230)에 음악 재생 중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계 620에서 음성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250)는 자막 변환이 용이하므로, 디스플레이부(230)에 자막 재생 중으로 출력할 수 있다.
사람이 음악을 들으며 책을 읽듯이 동시에 2가지 이상의 정보를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 TV의 경우에는 PIP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멀티 화상, 단일 음성을 출력하여 동시에 여러 가지 채널을 감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라디오와 같이 음성만을 가지는 소스의 경우에는 해당 기술을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동시에 2개 채널 이상의 방송 정보를 탑승자가 청취 및 읽도록 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자막 재생 중인 디스플레이 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서 보듯이, 사용자가 음악 방송이나 토크쇼를 귀로 들으면서, 뉴스 방송을 텍스트화하여 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음성 인식 받아쓰기 기술의 한계로 인한 오류로 인하여 인지 불가능한 자막 제공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EPG 방송 정보를 기반으로 텍스트 변환에 용이한 채널을 분석하고 이를 탑승자에게 표시 제안해줌으로써 텍스트 변환된 자막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200)는 동시에 다양한 소스(아날로그 라디오, 인터넷 라디오, DMB 등)로부터 취득 가능한 모든 채널을 종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청각을 이용하여 듣고 싶은 특정 소스의 특정 채널을 스피커(222) 또는 이어폰으로 출력한다.
그 외에 EPG 정보를 통하여 필터링된 자막 표시가 가능한 소스-채널을 탑승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탑승자는 자막 가능 채널 중 원하는 복수의 채널을 선택하여 자막이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표시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동시에 다른 소스로부터 출력되는 방송을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방송이 아니라 탑승자가 가지고 있는 CD, USB 뮤직을 감상하면서 디스플레이부(230)로 방송을 자막으로 취득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차량 20 : 안테나
80 : AVN 헤드 유닛 200 : 멀티미디어 장치
210 : 방송 수신부 212 : 라디오 튜너1
214 : 라디오 튜너2 216 : 통신 모뎀
220 : 음성 출력부 222 : 스피커
224 : 이어폰 단자 226 : 앰프
230 : 디스플레이부 232 : 전석 디스플레이
234 : 후석 디스플레이1 236 : 후석 디스플레이2
240 : 입력부 250 : 제어부

Claims (20)

  1. 복수 채널의 방송 정보를 라디오 신호로부터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인 제1 채널의 음성과 다른 하나인 제2 채널의 자막을 동시에 출력하되, 상기 제2 채널의 자막은 상기 제2 채널의 음성 신호인 상기 라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음향 모델, 무음 분리 모델, 언어 모델을 거쳐 텍스트로 변환 처리 하는 제어부;
    상기 제1 채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상기 제2 채널의 자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디오 신호의 EPG 정보를 분석하여 텍스트 변환이 가능한 채널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텍스트 변환이 가능한 채널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부는
    상기 라디오 신호로부터 EPG 정보를 수신하는 멀티 라디오 튜너;
    상기 라디오 신호에 EPG 정보가 없으면, 서버로부터 EPG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뎀;을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라디오 튜너는,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라디오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출력하는 복수 개의 라디오 튜너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뎀은,
    3G/LTE/WIFI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현재 방송 중인 모든 채널에 대한 EPG 정보를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성 신호인 상기 라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음향 모델, 무음 분리 모델, 언어 모델을 거쳐 텍스트로 변환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부는,
    스피커 또는 이어폰 단자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된 전석 디스플레이;
    상기 차량의 후석에 설치된 복수 개의 후석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특정 채널을 선택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채널을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들으면서 상기 특정 채널을 제외한 모든 채널에 대한 방송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텍스트 변환이 가능한 채널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텍스트 변환이 가능한 채널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해당 채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10. 복수 채널의 방송 정보를 라디오 신호로부터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인 제1 채널의 음성과 다른 하나인 제2 채널의 자막을 동시에 출력하되, 상기 제2 채널의 자막은 상기 제2 채널의 음성 신호인 상기 라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음향 모델, 무음 분리 모델, 언어 모델을 거쳐 텍스트로 변환 처리 하는 제어부;
    상기 제1 채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상기 제2 채널의 자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디오 신호의 EPG 정보를 분석하여 텍스트 변환이 가능한 채널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텍스트 변환이 가능한 채널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장치를 그 내부에 설치하는 차량.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부는
    상기 라디오 신호로부터 EPG 정보를 수신하는 멀티 라디오 튜너;
    상기 라디오 신호에 EPG 정보가 없으면, 서버로부터 EPG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뎀;을 더 포함하는 차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뎀은,
    3G/LTE/WIFI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현재 방송 중인 모든 채널에 대한 EPG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차량 내 설치된 스피커 또는 이어폰 단자를 포함하는 차량.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에 설치된 전석 디스플레이;
    상기 차량의 후석에 설치된 복수 개의 후석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차량.
  15. 복수 채널의 라디오 방송을 동시에 청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채널의 방송 정보를 라디오 신호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인 제1 채널의 음성과 다른 하나인 제2 채널의 자막을 동시에 출력하고,
    상기 제2 채널의 자막은 상기 제2 채널의 음성 신호인 상기 라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음향 모델, 무음 분리 모델, 언어 모델을 거쳐 텍스트로 변환 처리 하고,
    상기 수신된 복수의 방송 정보를 음성과 자막으로 분리하여 동시에 출력하고;
    상기 제1 채널의 음성을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2 채널의 자막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라디오 신호의 EPG 정보를 분석하여 텍스트 변환이 가능한 채널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텍스트 변환이 가능한 채널에 포함되는 것;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멀티 라디오 튜너를 통해 상기 라디오 신호로부터 EPG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라디오 신호에 EPG 정보가 없으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부터 EPG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음성 신호인 상기 라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음향 모델, 무음 분리 모델, 언어 모델을 거쳐 텍스트로 변환 처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로 변환 처리하는 것은,
    음성 신호인 상기 라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발음 기호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의 무음 부분을 검색하여 단어 및 문장을 분리하고;
    상기 발음 기호, 단어 분리, 문장 분리를 하나의 발음 데이터로 취합하고;
    상기 EPG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취합된 발음 데이터를 상기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특정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채널을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들으면서 상기 특정 채널을 제외한 모든 채널에 대한 방송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텍스트 변환이 가능한 채널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통해 상기 텍스트 변환이 가능한 채널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해당 채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

KR1020170172026A 2017-12-14 2017-12-14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 KR102435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026A KR102435750B1 (ko) 2017-12-14 2017-12-14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
US16/173,432 US10999624B2 (en) 2017-12-14 2018-10-29 Multimedia device,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broadcast listening method of the multimedia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026A KR102435750B1 (ko) 2017-12-14 2017-12-14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206A KR20190071206A (ko) 2019-06-24
KR102435750B1 true KR102435750B1 (ko) 2022-08-25

Family

ID=6681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026A KR102435750B1 (ko) 2017-12-14 2017-12-14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99624B2 (ko)
KR (1) KR1024357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3263B (zh) * 2021-04-30 2023-07-28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车载设备控制媒体资源的方法、装置和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0411A (ja) * 2007-11-20 2009-06-11 Nippon Hoso Kyokai <Nhk> 字幕監視装置及び字幕監視プログラム
US20120321279A1 (en) * 2011-06-15 2012-12-20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and or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US20130239144A1 (en) * 2012-03-08 2013-09-12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50043745A1 (en) * 2013-08-12 2015-02-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dio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textual information for presentation at an automotive head uni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4219B1 (en) * 1997-09-19 2002-04-1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using silence in speech recognition
US6795808B1 (en) * 2000-10-30 2004-09-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ser interface/entertainment device that simulates personal interaction and charges external database with relevant data
US6542200B1 (en) * 2001-08-14 2003-04-01 Cheldan Technologies, Inc. Television/radio speech-to-text translating processor
JP3923513B2 (ja) * 2004-06-08 2007-06-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音声認識装置および音声認識方法
JP2006081061A (ja) * 2004-09-13 2006-03-23 Alpine Electronics Inc 音声出力装置及び音声/映像出力装置
JP2012129671A (ja) * 2010-12-14 2012-07-05 Jvc Kenwood Corp ラジオ受信機、ラジオ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98161A (ko) 2011-02-28 2012-09-05 (주)이투엘네트웍 라디오 자막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US9336771B2 (en) * 2012-11-01 2016-05-10 Google Inc. Speech recognition using non-parametric models
US10123087B1 (en) * 2014-03-12 2018-11-06 Cox Communications, Inc. Channel block switching
US20160307562A1 (en) * 2015-04-14 2016-10-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ntrolling speech recognition systems based on radio station availability
US20180143956A1 (en) * 2016-11-18 2018-05-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al-time caption correction by audie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0411A (ja) * 2007-11-20 2009-06-11 Nippon Hoso Kyokai <Nhk> 字幕監視装置及び字幕監視プログラム
US20120321279A1 (en) * 2011-06-15 2012-12-20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and or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US20130239144A1 (en) * 2012-03-08 2013-09-12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50043745A1 (en) * 2013-08-12 2015-02-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dio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textual information for presentation at an automotive head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206A (ko) 2019-06-24
US10999624B2 (en) 2021-05-04
US20190191211A1 (en)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992B1 (ko) 단일 음향 모델 및 자동 악센트 검출로 텍스트 규칙 기반 멀티-악센트 음성 인식
JP5546865B2 (ja) メディアシステムのソースコンテンツプレビュー
JP5564428B2 (ja) 車両メディアシステム
USRE47168E1 (en)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device, interactiv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US10996911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content displayed in an in-vehicle system
US106855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 position of a vehicle at a remotely located device
CN103916704A (zh) 对话型接口设备及其控制方法
US1095194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dio signals to an in-vehicle infotainment system
US107430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content data in an in-vehicle infotainment system from a set top box
KR102435750B1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의 방송 청취 방법
US9578157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suming content playback after content playback at an in-vehicle infotainment system
CN105427881A (zh) 汽车用语音记录本系统
KR20210151089A (ko) 차량 시스템의 음성 제어
US10798463B2 (en) Method and system of notifying users using an in-vehicle infotainment system
KR101736105B1 (ko) 오디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CN116670624A (zh) 界面的控制方法、装置和系统
CN111332223A (zh) 一种支持多种多媒体播放器app交互的车载遥感控制系统
CN205376126U (zh) 汽车用语音记录本系统
US11902767B2 (en) Combining prerecorded and live performances in a vehicle
CN214481217U (zh) 一种智能座舱系统和车辆
KR101518911B1 (ko) 차량의 스마트 기능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422917A (zh) 基于车载发声系统的发声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4420114A (zh) 车辆、音频识别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20240050843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16185330A (zh) 一种配置车辆音源音效的方法、装置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