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730B1 -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730B1
KR102435730B1 KR1020200060580A KR20200060580A KR102435730B1 KR 102435730 B1 KR102435730 B1 KR 102435730B1 KR 1020200060580 A KR1020200060580 A KR 1020200060580A KR 20200060580 A KR20200060580 A KR 20200060580A KR 102435730 B1 KR102435730 B1 KR 102435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charging plug
vehicle charging
crad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3986A (ko
Inventor
안현권
이동훈
주광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코프
Priority to KR1020200060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730B1/ko
Priority to PCT/KR2021/004369 priority patent/WO2021235691A1/ko
Publication of KR20210143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B60K2370/152
    • B60K2370/16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30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 B60L2270/34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of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에 있어서, 제1 일측에 전기 자동차에 결합되는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제1 타측의 두 영역인 제1 결합영역 및 제2 결합영역에, 제2-1 일측 및 제2-2 일측이 각각 연결되며 제2-1 타측 및 제2-2 타측이 각각 제3 결합영역에서 일체화되는 제2-1 바디 및 제2-2 바디를 포함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1 바디 및 제2-2 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여, 일측이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3 결합영역으로 인입된 케이블과 연결되되, 상기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기 자동차로 공급하도록 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PLUG FOR CHARGING ELECTRICAL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설치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고, 충전 플러그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며, 충전 플러그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환경 유해 가스 저감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종래의 화석 연료 자동차를 대신할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친환경 자동차의 하나인 전기 자동차는 자동차 내부에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의 힘으로 자동차의 모터를 구동하여 운행하는 자동차이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종래의 화석 연료 자동차가 주유소 등과 같은 시설에서 연료를 주입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전기 자동차 역시 전기 충전 스테이션에서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하여 운행한다.
그러나, 전기 자동차는 아직 화석 연료 자동차에 비해 그 비중이 크게 늘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전기 자동차 충전소의 부족과 1회 충전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주행 거리가 크게 늘지 못하고 있음에 일정 부분 원인이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를 운행하는 운전자도 지속적인 충전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공동 주택과 공용 주차장, 공공 기관 등에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스테이션의 설치가 늘고 있으나, 여전히 사용이 불편하고 그 숫자에 한계가 있으며, 일반 주택이나 건물, 호텔, 음식점 등에서는 충전 스테이션의 설치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어 충전 시설이 갖추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최근에는 충전 스테이션 없이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는 이동용 전기 자동차 충전기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개발되거나 제품화된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는 케이블에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In-Cable control box)를 가지고 있으므로 충전 플러그의 이동 등이 불편하며, 전기 자동차 충전을 위한 충전 플러그의 사용 또는 이동 중에 통행하는 사람 또는 차량에 밟혀 파손될 위험이 높다.
그리고,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에 의해 보관이 용이하지 않고, 제3 자에 의해 충전 플러그가 도난될 위험성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 자동차 플러그는 파손 등에 의한 손상이 있을 경우, AS가 어려우며,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전체를 새롭게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손 등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손 등의 손상 시 AS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에 있어서, 제1 일측에 전기 자동차에 결합되는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제1 타측의 두 영역인 제1 결합영역 및 제2 결합영역에, 제2-1 일측 및 제2-2 일측이 각각 연결되며 제2-1 타측 및 제2-2 타측이 각각 제3 결합영역에서 일체화되는 제2-1 바디 및 제2-2 바디를 포함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1 바디 및 제2-2 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여, 일측이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3 결합영역으로 인입된 케이블과 연결되되, 상기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기 자동차로 공급하도록 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를 크래들에 보관할 경우, 상기 제2-1 바디 및 상기 제2-2 바디 중 상기 크래들의 외측 면과 접하는 어느 하나를 하부 바디로 할 경우, 상기 하부 바디와 결합되는 상기 제1 바디의 하부면(상기 하부면은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상기 크래들의 보관된 상태에서 지면을 향하는 상기 제1바디의 일면임)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크래들의 인입구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리는 걸림홈; 을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제1 바디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제1 일측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의 상기 전기 자동차에 대한 탈부착 상태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가 상기 크래들에 보관될 경우,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제1 일측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크래들의 인입구의 상측에 면접촉되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의 보관 위치를 고정시키는 후크; 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가 상기 크래들에 보관될 경우, 상기 걸림홈이 상기 크래들의 걸림돌기에 걸리며, 상기 후크의 상기 연장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크래들의 인입구의 상측에 면접촉됨으로써, 상기 하부 바디와 상기 크래들의 외부면이 면접촉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외면에 사출된 플라스틱 수지, 및 상기 플라스틱 수지의 외면에 사출된 우레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라스틱 수지 및 상기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는 유분을 함유한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로 형성되되, 상기 커넥터,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를 결합하고, 결합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외면에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하며, 상기 플라스틱 수지의 외면에 우레탄을 사출하여 형성된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플라스틱 수지 및 상기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는 유분을 함유한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제1 바디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제1 일측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의 상기 전기 자동차에 대한 탈부착 상태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가 상기 크래들에 보관될 경우,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제1 일측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크래들의 인입구의 상측에 면접촉되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의 보관 위치를 고정시키는 후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우레탄이 사출된 다음 상기 후크가 상기 제1 바디의 상부면에 결합된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제3 결합영역에서 외부로 연장된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이, 외부 고정체에 고정된 도난 방지 박스에 결합되며, 상기 도난 방지 박스의 내부 액츄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락 또는 언락되는 코아의 내부홈에 결합된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전기 자동차에 결합될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로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전송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상태를 참조하여 상기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케이블에 대응되는 접지 저항을 참조하여, 상기 접지 저항이 기설정된 기준 저항값 범위에 내에 있으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접지 저항이 상기 기준 저항값 범위에 있지 않으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상기 배터리의 충전 동작을 종료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상기 배터리의 충전 동작 상태를 표시하여 주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을 위한 컨트롤러를 플러그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의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을 위한 컨트롤러를 플러그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파손 등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의 케이블을 고정된 도난 방지 박스에 결합함으로써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플러그를 외부를 적어도 하나가 유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수지와 우레탄으로 사출됨으로써 AS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의 보관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를 보관하는 크래들의 정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를 크래들에 보관한 상태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의 케이블을 도난 방지 박스에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의 보관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는 외부의 고정체에 고정된 크래들(200)에 보관될 수 있으며,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의 외부 케이블(c)의 일부분은 외부의 고정체에 고정된 도난 방지 박스(30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건물의 전원 콘센트에 도난 방지 박스(3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도난 방지 박스(30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되 사용자가 용이하게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를 파지할 수 있는 높이에 크래들(200)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를 용이하게 크래들(200)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는 도난 방지 박스(300)에서 케이블(c)을 분리한 후, 사용자가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의 케이블(c)에 연결된 타 플러그를 다른 위치의 전원 콘센트에 결합하여 전기 자동차의 충전에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는 일체화된 형상으로,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10)는 제1 일측에 커넥터(101)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101)는 충전 대상인 전기 자동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의 제1 타측에는, 제2 바디(120)와의 결합영역인 제1 결합영역 및 제2 결합영역이 존재하며, 제1 결합영역 및 제2 결합영역 각각에서 제2 바디(120)를 구성하는 제2-1 바디(120-1)의 제2-1 일측 및 제2-2 바디(120-2)의 제2-2 일측이 제1 바디(110)와의 일체화되는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영역과 제2 결합영역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2-1 바디(120-1)와 제2-2 바디(120-2)는 그 위치가 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바디(120)를 구성하는 제2-1 바디(120-1)의 제2-1 타측 및 제2-2 바디(120-2)의 제2-2 타측은 제3 결합영역에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일체화된 제1 바디(110) 및 제2 바디(120)는 제2 바디(120)의 제2-1 바디(120-1)와 제2-2 바디(120-2) 사이의 틈이 손잡이처럼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를 용이하게 운반하고 전기 자동차에 연결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다.
제2 바디(120)는 상기한 것과 같이 제2-1 바디(120-1) 및 제2-2 바디(120-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1 바디(120-1) 및 제 2-2 바디(120-2)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0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03)는, 제2 바디(120) 내부에서 일측이 커넥터(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타측이 제2 바디(120)의 제3 결합영역(제2-1 바디(120-1) 및 제2-2 바디(120-2)가 결합되는 결합영역)으로 인입된 케이블(c)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는, 제1 바디(110)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바디(110)의 제1 일측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을 가지는 후크(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후크(102)는 커넥터(101)가 전기 자동차에 연결될 때, 전기 자동차의 소켓에 의해 압력을 받아, 커넥터(101)의 전기 자동차에 대한 체결 여부를 알려주는 신호를 컨트롤러(103)에 발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트롤러(103)가 전기 자동차와 통신하여 전력선의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값을 전기 자동차에 설치된 배터리 충전장치(OBC - On Board Charger)에 알려주거나, 배터리 상태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하는 신호인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는, 이의 제2 바디(120)를 구성하는 제2-1 바디(120-1) 및 제2-2 바디(120-2)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컨트롤러(1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103)는 여러 기능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러(103)는 케이블(c)에 대응되는 접지 저항을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접지 저항이 기설정된 기준 저항값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케이블(c)이 제대로 접지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결과에 따라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유지 또는 중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케이블(c)의 누전에 의한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사용자의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과정에 따라 컨트롤러(103)는 전력선의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값을 전기 자동차에 설치된 배터리 충전장치에 알려주거나, 전기 자동차와 통신하여 배터리 상태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하는 신호인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전송한 후에, 전기 자동차와 통신이 진행되어 컨트롤러(103)가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 상태를 참조하여 케이블(c)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해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한 컨트롤러(103)의 기능은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In-cable control box)의 기능과 최소한 동일하며, 이는 본 발명의 컨트롤러(103)가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를 대체할 수 있음을 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에 연결되는 케이블(c)은 중간에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를 넣을 필요가 없어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03)에 LED 렌즈와 같은 표시 장치를 추가해 배터리의 충전 동작 상태뿐만 아니라, 컨트롤러(103)의 자기 진단 결과 등을 표시하는 등의 개선사항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03)는 컨트롤러(103)에서 만들어진 파일럿 신호를 케이블(c)을 통해 도난 방지 박스(300)로 전송하거나, 케이블(c)과는 다른 방법, 일 예로, 다른 신호 라인을 통한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도난 방지 박스(300)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도난 방지 박스(300)에서 추가적인 충전 케이블이 파일럿 신호를 생성할 필요 없이,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의 분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해 전기 자동차 플러그(10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전기차 충전 플러그(100)의 제1 바디(110) 및 제2 바디(120)는, 체결이 가능한 좌우 대칭 구조를 가지고 있는 제1 케이스(104) 및 제2 케이스(105)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103), 커넥터(101), 및 케이블(c)이 제1 케이스(104) 및 제2 케이스(105)의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한 상태로 제1 케이스(104)와 제2 케이스(105)를 결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103)의 기설정된 영역은 제2-1 바디(120-1) 및 제2-2 바디(120-2) 바디 중 하나일 수 있다. 예시로, 컨트롤러(103)의 기설정된 영역은 제2-1 바디(120-1)에 전부 위치하거나, 제2-2 바디(120-2)에 전부 위치하거나, 제2-1 바디(120-1) 및 제2-2 바디(120-2)에 분배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c)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3 결합영역에는 오링(O-ring)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03)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를 전기 자동차에 연결하였을 경우, 제2 바디(120)의 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1 바디(120-1) 또는 제2-2 바디(120-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파지는 제2 바디(120)의 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2 바디(120-2) 또는 제2-1 바디(120-1)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케이스(104)와 제2 케이스(105)가 결합된 후, 제1 케이스(104)와 제2 케이스(105)의 외면에 플라스틱 수지가 사출될 수 있다. 사출되는 플라스틱 수지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사출된 플라스틱 수지 외면에, 2차로 우레탄을 사출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의 형상을 형성하고, 형성된 제1 바디(110)의 상부에 후크(102)를 체결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의 형상을 고정시킨다.
이때, 사용되는 플라스틱 수지 및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는 유분을 함유할 수 있다. 플라스틱 수지 및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가 유분을 함유하면,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의 분해와 재조립이 용이해져, 제품 수리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일 예로,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가 파손되었을 때, 플라스틱 수지 및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가 이 유분을 함유하면, 후크(102)를 제거한 후 우레탄을 쉽게 벗겨내어 체결된 제1 케이스(104) 및 제2 케이스(105)가 조립된 상태로 만들 수 있고, 제1 케이스(104) 및 제2 케이스(105)는 각각에 반대되는 외측 방향으로의 힘을 가해 간단하게 분해될 수 있다. 이후 컨트롤러(103), 커넥터(101) 및 케이블(c)을 수리한 이후, 다시 제1 케이스(104)와 제2 케이스(105)를 결합하고,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한 후, 플라스틱 수지 위에 우레탄을 사출해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의 형상을 형성한 뒤, 후크(102)를 체결하면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의 수리를 간단하게 끝마칠 수 있다.
일 예로, 전기 자동차 플러그(100) 내의 컨트롤러(103)가 고장을 일으켰을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과정을 거쳐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를 분해한 후, 컨트롤러(103)를 수리하고 재조립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이 용이한 분해 후 재조립 구조가 없는 경우, 내부 부품이 고장을 일으키면 제품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비용이 크게 늘어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를 보관하는 크래들(200)의 정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를 크래들(200)에 보관한 상태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의 제2 바디(120)의 제2-1 바디(120-1) 및 제2-2 바디(120-2) 중 크래들(200)의 외측 면에 접하는 하나를 하부 바디로 할 경우,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의 하부 바디와 결합되는 제1 바디(110)의 하부면에는 걸림홈(106)이 형성될 수 있으며, 크래들(200)은 인입구의 하측에 걸림돌기(201)가 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면은 전기 자동차 충전기(100)가 크래들(200)에 보관된 상태에서 지면을 향하는 제1바디(110)의 일면일 수 있다.
그리고,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는 이의 걸림홈(106)이 크래들(200)의 인입구의 하측의 걸림돌기(201)와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는 크래들(200)에 보관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홈(106)은 삼각형 모양이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모양일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 플러그(100)가 크래들(200)에 보관될 때, 후크(102)는 크래들(200)의 인입구의 상측에 면접촉될 수 있고, 따라서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의 보관 위치를 고정한다. 이때,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가 크래들(200)에 보관될 경우, 걸림홈(106)이 크래들의 걸림돌기(201)에 걸리며, 상기 후크(102)의 연장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크래들(200)의 인입구의 상측에 면접촉됨으로써, 하부 바디와 크래들(200)의 외부면이 면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후크(102)가 없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는, 제1 바디(110)의 상측에 지면으로 향하는 방향의 힘을 가하면, 크래들(200)의 상측과 접촉하는 부분이 없으므로 걸림홈(106)이 걸림돌기(201)에서 빠져나와 지면으로 추락하게 된다. 이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의 보관성을 크게 낮출 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가 지면으로 낙하하는 빈도를 높여 파손될 확률을 증가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의 케이블을 도난 방지 박스(300)에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3 결합영역에서 외부로 연장된 상기 케이블(c)의 일부분이, 외부 고정체에 고정된 도난 방지 박스(300)에 결합되며, 도난 방지 박스(300)는 코아(301) 및 액츄에이터(302)를 포함할 수 있다.
코아(301)는 그 내부홈에 케이블(c)의 일부분이 결합될 수 있으며, 실시예와 같은 반원 모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코아(301)에 의해 도난 방지 박스(300) 내에 결합된 케이블(c)의 일부는, 액츄에이터(302)의 동작에 의해 케이블(c)이 도난 방지 박스(300)에 단단히 고정되어 분리할 수 없도록 락 상태가 되거나, 락 상태에서 케이블(c)을 분리할 수 있도록 언락 상태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도난 방지 박스(300)에 지문인식장치 등의 장치가 결합하여, 특정 지문을 읽었을 때에 한정해서 락 상태와 언락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액츄에이터(30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면, 케이블(c)이 도난 방지 박스(300) 분리되어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가 도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난 방지 박스(300)의 액츄에이터(302) 구동에 의해 코아(301)가 언락된 상태에서, 코아(301)는 사용자에 의해 도난 방지 박스(300)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100)를 휴대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될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101 : 커넥터
102 : 후크
103 : 컨트롤러
104 : 제1 케이스
105 : 제2 케이스
106 : 걸림홈
110 : 제1 바디
120 : 제2 바디
120-1 : 제2-1 바디
120-2 : 제2-2 바디
200 : 크래들
201 : 걸림돌기
300 : 도난 방지 박스
301 : 코아
302 : 액츄에이터
c : 케이블

Claims (14)

  1.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에 있어서,
    제1 일측에 전기 자동차에 결합되는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제1 타측의 두 영역인 제1 결합영역 및 제2 결합영역에, 제2-1 일측 및 제2-2 일측이 각각 연결되며 제2-1 타측 및 제2-2 타측이 각각 제3 결합영역에서 일체화되는 제2-1 바디 및 제2-2 바디를 포함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1 바디 및 제2-2 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여, 일측이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3 결합영역으로 인입된 케이블과 연결되되, 상기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기 자동차로 공급하도록 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를 크래들에 보관할 경우, 상기 제2-1 바디 및 상기 제2-2 바디 중 상기 크래들의 외측 면과 접하는 어느 하나를 하부 바디로 할 경우,
    상기 하부 바디와 결합되는 상기 제1 바디의 하부면 - 상기 하부면은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상기 크래들에 보관된 상태에서 지면을 향하는 상기 제1바디의 일면임 - 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크래들의 인입구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리는 걸림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제1 일측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의 상기 전기 자동차에 대한 탈부착 상태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가 상기 크래들에 보관될 경우,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제1 일측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크래들의 인입구의 상측에 면접촉되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의 보관 위치를 고정시키는 후크;
    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가 상기 크래들에 보관될 경우, 상기 걸림홈이 상기 크래들의 걸림돌기에 걸리며, 상기 후크의 상기 연장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크래들의 인입구의 상측에 면접촉됨으로써, 상기 하부 바디와 상기 크래들의 외부면이 면접촉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외면에 사출된 플라스틱 수지, 및
    상기 플라스틱 수지의 외면에 사출된 우레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라스틱 수지 및 상기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는 유분을 함유한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로 형성되되,
    상기 커넥터,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를 결합하고, 결합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외면에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하며, 상기 플라스틱 수지의 외면에 우레탄을 사출하여 형성된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수지 및 상기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는 유분을 함유한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제1 일측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의 상기 전기 자동차에 대한 탈부착 상태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가 크래들에 보관될 경우,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제1 일측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크래들의 인입구의 상측에 면접촉되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의 보관 위치를 고정시키는 후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우레탄이 사출된 다음 상기 후크가 상기 제1 바디의 상부면에 결합된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영역에서 외부로 연장된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이, 외부 고정체에 고정된 도난 방지 박스에 결합되며, 상기 도난 방지 박스의 내부 액츄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락 또는 언락되는 코아의 내부홈에 결합된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전기 자동차에 결합될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로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전송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에 내장된 배터리 충전 장치(OBC - On Board Charger)에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 정보를 알려주고, 상기 전기 자동차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특정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본체에 연결되어 추가적인 충전 케이블이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파일럿 신호를 제공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케이블에 대응되는 접지 저항을 참조하여, 상기 접지 저항이 기설정된 기준 저항값 범위에 내에 있으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접지 저항이 상기 기준 저항값 범위에 있지 않으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상기 배터리의 충전 동작을 종료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상기 배터리의 충전 동작 상태를 표시하여 주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13. 제10항에 있어서,
    설치된 부위의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고온 발생시 충전 전류를 차단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14. 제10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고전압 및 과전류를 차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KR1020200060580A 2020-05-20 2020-05-20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KR102435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580A KR102435730B1 (ko) 2020-05-20 2020-05-20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PCT/KR2021/004369 WO2021235691A1 (ko) 2020-05-20 2021-04-07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580A KR102435730B1 (ko) 2020-05-20 2020-05-20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986A KR20210143986A (ko) 2021-11-30
KR102435730B1 true KR102435730B1 (ko) 2022-08-25

Family

ID=7870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580A KR102435730B1 (ko) 2020-05-20 2020-05-20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5730B1 (ko)
WO (1) WO20212356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6229A (zh) * 2022-02-25 2022-05-17 江苏联成开拓集团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具有接口锁定卡合结构的防盗充电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06100A1 (en) * 2010-01-11 2012-08-16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JP2013093918A (ja) 2011-10-24 2013-05-16 Panasonic Corp 充電コネクタ用ホルダ及びそれを用いる充電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914A (ko) * 1997-03-20 1998-11-05 김영귀 전기자동차용 충전플러그
JP5891433B2 (ja) * 2011-05-18 2016-03-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車両用充電スタンド
JP5845456B2 (ja) * 2011-05-20 2016-01-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保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充電装置
KR101625034B1 (ko) * 2015-10-23 2016-05-30 (주)경신전선 전기자동차용 충전 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6998B1 (ko) * 2016-02-01 2017-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충전 컨넥터 도난 방지 방법 및 장치
WO2018180371A1 (ja) * 2017-03-29 2018-10-04 三井化学株式会社 成形外観に優れた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06100A1 (en) * 2010-01-11 2012-08-16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JP2013093918A (ja) 2011-10-24 2013-05-16 Panasonic Corp 充電コネクタ用ホルダ及びそれを用いる充電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5691A1 (ko) 2021-11-25
KR20210143986A (ko)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5962B2 (en) Modular vehicle system, electric vehicle, and module for connection to an electric vehicle
US9514588B2 (en) Modular vehicle system, electric vehicle and module for connecting to an electric vehicle
KR102533870B1 (ko) 배터리 홀더, 배터리 교체 장치, 전기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의 설치 방법
US824637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lexible blade shaped handle
US8758039B2 (en) Lock structure for battery charging connector receptacle
US10181590B2 (en) Rechargeable battery system for replacement of lead-acid battery
US8547059B2 (en) Lock structure for battery charging connector
JP3112226B2 (ja) 電気自動車用充電コネクタ
JP2018507679A (ja) 操作信頼性を向上させたモジュラ車両システム
US20100194529A1 (en) Management system for charging plug-in vehicle
US20170167462A1 (en) Outdoor power equipment incorporating starter battery with integrated push button
EP2692570B1 (en) In-vehicle charging device
EP2232562A1 (en) Autonomous, modular power generation, storage and distribu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435730B1 (ko)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WO2015104749A1 (en) Electric vehicle externally chargeable by two different methods
KR102328844B1 (ko) 이동식 전기자동차 충전 장치
US20220297560A1 (en) Charging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CN109278578A (zh) 用于对电动汽车进行充电的充电桩组件
KR20060084846A (ko) 멀티플 배터리 시스템, 멀티플 배터리 관리시스템,보조배터리 연결시스템, 및 네트웍제어 멀티플 배터리시스템
CN209650068U (zh) 带车车互联功能的充电桩
KR200495835Y1 (ko)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시스템
CN210027083U (zh) 便于对电动汽车进行充电操作的充电桩组件
CN109334492B (zh) 便于对电动汽车进行充电操作的充电桩组件
CN109263503A (zh) 带车车互联功能的充电桩
US20240140233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charging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