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270B1 - 공동주택의 단열기능이 업그레이드된 창호장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단열기능이 업그레이드된 창호장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270B1
KR102435270B1 KR1020210128661A KR20210128661A KR102435270B1 KR 102435270 B1 KR102435270 B1 KR 102435270B1 KR 1020210128661 A KR1020210128661 A KR 1020210128661A KR 20210128661 A KR20210128661 A KR 20210128661A KR 102435270 B1 KR102435270 B1 KR 102435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anel
movable body
transparent
monitor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준
Original Assignee
(주)에이프러스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프러스씨엠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에이프러스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128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1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0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acoustical insulation
    • H04N5/2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단열기능이 업그레이드된 창호장치 제작방법에 있어서; 창짝프레임(400)의 하단면과, 대향하는 상단면에는 외창(W1)과 내창(W2)이 끼워지는 단계; 외창(W1)과 내창(W2) 사이에는 공기층(ACL)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창짝프레임(400)의 일측면에는 슬라이드홀(430)이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드홀(430)은 상기 공기층(ACL)을 폭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홀(430)에는 투명시트(450)가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투명시트(450)는 잠열성을 갖춰 보열기능을 갖는 투명코어(452)와, 상기 투명코어(452)의 양측면에 합지된 투명필름(45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코어(452)는 무색 투명성을 가지며, 상기 투명필름(454)은 폴리에스터 필름이며, 상기 폴리에스터 필름의 일측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폴리피롤(Polypyrrol)이 박막상으로 코팅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층은 투명코어(452)에 부착되는 면이고, 폴리피롤 박막층은 공기층(ACL)에 노출되는 면이 되게 배치되고, 상기 외창, 상기 내창이 끼워지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기 창호장치의 제작과정은 주변으로 설치된 감시설비를 통해 촬영기록를 포함하여 감시되도록 관리되는 공동주택의 단열기능이 업그레이드된 창호장치 제작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단열기능이 업그레이드된 창호장치 제작방법{Window devic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공동주택 건설 기술 분야 중 단열과 방음 기능을 향상시킨 창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티칼 기능을 겸하면서 외부 소음 정도에 따라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최대한 차단하여 쾌적한 주거생활이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창호를 구성하는 창짝 구조도 개량하여 보열 기능 증대에 따른 단열성능 향상을 통해 난방비는 물론 냉방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신 창짝 개념을 갖춘 공동주택의 단열과 방음 기능을 향상시킨 공동주택의 단열기능이 업그레이드된 창호장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통상 채광 및 환기를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거 및 사무용의 경우에는 다른 목적의 건축물에 비해 크게 설치된다. 그러나, 창호를 크게 설치하는 것은 채광에는 유리하나 단열 및 방음에는 취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는 창호의 투광패널들로 인한 것으로서, 투광패널로 사용되는 유리나 플라스틱은 열과 음파의 전달에 매우 적합한 물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창호의 유리를 복층으로 설치하여 이를 극복하고 있다. 투광패널을 2중 이상으로 설치하는 경우 각각의 투광패널의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어 열이 대류와 전도를 반복하면서 전달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열에너지가 감소하여 단열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소음 역시 저밀도의 공기층과 고밀도인 투광패널을 반복적으로 교차하면서 전파되어야 하므로 이 과정에서 에너지를 상실하여 감소하게 되어 방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단층의 투광패널을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이중의 투광패널이 더욱 단열 및 방음효과가 뛰어나고, 이중보다는 삼중의 투광패널이 더욱 효과적인 것은 자명한 것이다. 특히, 방음의 경우에는 투광패널의 재료의 밀도가 높고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 더욱 방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버티칼기능을 겸하면서 외부 소음 정도에 따라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최대한 차단하여 쾌적한 주거생활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창호를 구성하는 창짝 구조도 개량하여 보열 기능 증대에 따른 단열성능 향상을 통해 난방비는 물론 냉방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신 창짝 개념을 갖춘 공동주택의 단열과 방음 기능을 향상시킨 창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창호장치의 제작에 따른 각종 작업과정과 시공 관련 작업의 규정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및 필요한 전반적 사항을 모니터 및 검증할 수 있는 창호장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이상발생에 따른 책임여부와 여러가지 분쟁, 원안피악 등의 문제를 보다 분명하게 할 수 있는 창호장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창호장치의 설치상의 품질을 높이고 그 이후의 모든 과정에서 안정적 관리를 통하여 즉각적인 유지보구관리 등이 가능하여 추가적인 사고(예: 배수불능 등)로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잇는 창호장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위한 수단을 다양한 구도와 구조환경에서 설치제공하여 대규모 공간과 대규모 작업현장에서도 모니터와 검증을 보다 효과적으로 다양하게 운영할 수 잇는 창호장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단열기능이 업그레이드된 창호장치 제작방법에 있어서; 창짝프레임(400)의 하단면과, 대향하는 상단면에는 외창(W1)과 내창(W2)이 끼워지는 단계; 외창(W1)과 내창(W2) 사이에는 공기층(ACL)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창짝프레임(400)의 일측면에는 슬라이드홀(430)이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드홀(430)은 상기 공기층(ACL)을 폭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홀(430)에는 투명시트(450)가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투명시트(450)는 잠열성을 갖춰 보열기능을 갖는 투명코어(452)와, 상기 투명코어(452)의 양측면에 합지된 투명필름(45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코어(452)는 무색 투명성을 가지며, 상기 투명필름(454)은 폴리에스터 필름이며, 상기 폴리에스터 필름의 일측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폴리피롤(Polypyrrol)이 박막상으로 코팅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층은 투명코어(452)에 부착되는 면이고, 폴리피롤 박막층은 공기층(ACL)에 노출되는 면이 되게 배치되고, 상기 외창, 상기 내창이 끼워지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기 창호장치의 제작과정은 주변으로 설치된 감시설비를 통해 촬영기록를 포함하여 감시되도록 관리되는 공동주택의 단열기능이 업그레이드된 창호장치 제작방법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은 버티칼기능을 겸하면서 외부 소음 정도에 따라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최대한 차단하여 쾌적한 주거생활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창호를 구성하는 창짝 구조도 개량하여 보열 기능 증대에 따른 단열성능 향상을 통해 난방비는 물론 냉방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신 창짝 개념을 갖춘 공동주택의 단열과 방음 기능을 향상시킨 공동주택의 단열기능이 업그레이드된 창호장치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창호장치의 제작에 따른 각종 작업과정과 시공 관련 작업의 규정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및 필요한 전반적 사항을 모니터 및 검증할 수 있는 창호장치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이상발생에 따른 책임여부와 여러가지 분쟁, 원안피악 등의 문제를 보다 분명하게 할 수 있는 창호장치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창호장치의 설치상의 품질을 높이고 그 이후의 모든 과정에서 안정적 관리를 통하여 즉각적인 유지보구관리 등이 가능하여 추가적인 파손과 보수불능 등으로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잇는 창호장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위한 수단을 다양한 구도와 구조환경에서 설치제공하여 모니터와 검증을 보다 효과적으로 다양하게 운영할 수 잇는 창호장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장치를 보인 예시도로서, 슬라이딩창을 제거한 상태에서 구성 일부를 분해하여 보인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유닛을 분리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장치를 정면에서 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장치를 구성하는 흡음배기유닛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장치를 구성하는 창짝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를 절단하여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도 1에 따른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단열과 방음 기능을 향상시킨 창호장치는 창틀프레임(100)의 천정면에 고정되는 흡음배기유닛(200)과, 상기 흡음배기유닛(200)의 하면과 창틀프레임(100)의 실내측전면 양측에 부착되는 커튼월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창틀프레임(100)에는 슬라이드형 이중창이 조립되는데, 이를 위해 창틀프레임(100)의 바닥면과 상기 흡음배기유닛(200)의 하단면에는 슬라이드형 이중창이 움직일 수 있는 레일이 당연히 설치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였을 뿐이며, 흡음배기유닛(200)의 하단면에 설치된 예는 도 4에서 일부 예시하였다. 아울러, 상기 커튼월유닛(300)의 부착을 위해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실내측(흡음배기유닛이 돌출된 쪽) 전면양측에는 고무자석(110)이 고정된다. 상기 고무자석(110)은 창틀프레임(100) 상에 양면테이프로 부착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 커튼월유닛(300)을 교체하거나 혹은 불필요하여 제거시키고자 할 때 흔적을 남기지 않으면서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튼월유닛(300)이 버티칼 기능을 함께 갖기 때문에 기존처럼 별도로 버티칼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커튼월유닛(300)은 도 2 및 도 3의 예시와 같이,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좌우 간격만큼 이격된 한 쌍의수직바(310)와, 상기 수직바(31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 이격된 지점에 연결설치되는 장치하우징(32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장치하우징(320)의 앞뒤 폭은 상기 수직바(312)의 앞뒤 폭 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는 후술되는 공간(S)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장치하우징(320)은 상기 흡음배기유닛(200)의 하단면에 그 상단면이 접촉된 채 밀착배치되는 것으로 흡음배기유닛(200)의 하단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흡입구(210, 도 1 참조)의 바깥쪽에 부착되게 하여 슬라이드창이 설치되었을 때 슬라이드창과 장치하우징(320) 사이에는 상기 흡입구(210)의 폭만큼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즉, 도 3에 예시된 원안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장치하우징(320)이 흡입구(210)의 바깥쪽에 밀착설치됨으로 인해슬라이드창(SL)이 장착되었을 때 슬라이드창(SL)과 커튼월(330)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되고, 이 공간(S)은 흡입구(210)의 폭만큼이며, 이 공간(S)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흡입구(210)를 통해 필요시 흡입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커튼월(330)은 상기 장치하우징(330)에 권취되어 있다가 하단을 당기면 인출되면서 상기 슬라이
드창(SL)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커튼월(330)의 하단은 인출바(340)에 결속되어 있고, 상기 인출바(340)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수직바(310)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350)에 끼워져 구속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350)의 하단에는 걸이홈(360)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인출바(340)의 양단을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출바(340)의 전면에는 손잡이(370)가 돌출되어 있어 상기 인출바(340)를 당기기 쉽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직바(310)의 일측면, 더 정확하게는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고무자석(110)에 부착되는 면에는 고무편자석(312)이 매립되어 있고, 상기 고무자석(110)과 서로 반대 극성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어 부착하기 쉽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직바(310)를 고무자석(110)과 고무편자석(312)을 이용하여 부착 고정할 수 있는 이유는 상기 수직바(310)를 비롯한 장치하우징(320) 등 상기 커튼월유닛(300) 자체가 경량의 합성수지로 성형되기 때문이며, 만약 커튼월유닛(300)의 중량으로 인해 고정성이 떨어질 경우에는 나사 등 공지의 기계요소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상기 커튼월(330)은 도 2에 확대 도시된 단면도에서와 같이, 폴리우레탄폼(332)에 다수의 흡음구멍(HA)이 형성되고, 이 폴리우레탄폼(332)의 양측면에 각각 부직포(334,336)가 부착되어 일체를 이룬 구조를 갖춤으로써 외부에서 슬라이드창(SL)을 통해 실내측으로 전달되는 소음이 창쪽 부직포(334)에 의해 1차 흡음되고, 이어 폴리우레탄폼(332)에 형성된 흡음구멍(HA)으로 도입되면서 현저한 2차 흡음이 일어나며, 마지막으로 실내쪽 부직포(336)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완전한 3차 흡음이 일어나 사실상 실내 쪽으로 소음이 거의 전달되지 않도록 기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흡음구멍(HA)은 소음이 유입되는 쪽인 입구가 크고 중앙 원형 챔버쪽으로 출구가 작은 혼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장치하우징(320) 내부에는 파이프 형상의 회전드럼(DR)이 구비되는데, 상기 회전드럼(DR)의 양단은 부쉬(BU)에 끼워지고, 회전드럼(DR) 둘레에는 상기 커튼월(330)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며, 상기 회전드럼(DR)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길이 일부에는 격벽(WAL)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WAL)의 중앙에는 통공(H)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드럼(DR)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코일스프링(SP)이 삽입되는데, 상기 코일스프링(SP)은 일종의 스파이어럴 스프링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삽입단은 상기 회전드럼(DR)의 내주면상에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부쉬(BU)는 상기 수직바(310)의 내측면 상에 끼워져 고정되고, 부쉬(BU)의 중심에는 축바(SB)가돌출되어 상기 통공(H)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SP)의 삽입단 반대쪽 단부는 상기 축바(SB) 상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커튼월(330)을 하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회전드럼(DR)이 회전하면서 커튼월(330)이 풀리게 되고, 이때 코일스프링(SP)은 비틀리면서 압축된다. 그러다가, 커튼월(330)을 놓게 되면 비틀렸던 코일스프링(SP)이 풀리면서 컨튼월(330)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되는데, 이는 일종의 변형된 스파이어럴 스프링이라고 보면 되고, 좌우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흡음배기유닛(200)은 도 4의 예시와 같이, 다수의 가이드레일(R, 슬라이드창의 호차가 미끄러지기 위한 부재)가 동일 높이를 갖고 일측, 더 정확하게는 실내쪽 단부측 하면에 흡입구(210)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210)의 외측에는 연장부(220)가 더 형성되고, 연장부(220)의 측면에는 커버(230)가 착탈가능하게 후크(232)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220) 반대쪽 단부에는 팬하우징(240)이 결합되고, 상기 팬하우징(240)의 내부에는 크로스플로우팬(250)이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210)와 상기 팬하우징(240)은 상기 흡음배기유닛(200)의 내부 덕트(DUT)를 통해 연통되게 설계되고, 상기 팬하우징(240)의 하단 경사면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개방부(242)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242)와 인접한 일단, 즉 상기 팬하우징(240)의 하단 바깥쪽 부분에는 빗물 등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돌출턱(244)이 더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개방부(242)를 하부에 형성한 이유는 빗물, 눈 등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함은 물론 불오어는 바람이직접 유입되지 못하게 차단하여 역풍을 막고, 해충 등의 유입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덕트(DUT)의 내부에는 소음기(260)가 유닛 형태로 삽입탈착 가능하게 내장되는데 상기 소음기 (260)는 내부에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된 격벽과 그 격벽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를 공기 배출방향으로 점점 작게 형성하여 마치 머플러와 같은 형태로 공기가 통과되는 동안 압력차이를 발생시켜 소음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소음기(260)의 전단에는 흡음기(270)가 설치되는데, 상기 흡음기(270)는 다수의 공극을 갖는 스폰지로서, 대략 'W'자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게 하여 배출 공기의 흐름을 물결치게 변화시킴으로써 흡음 성능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소음기(260)와 흡음기(270)는 상기 커버(230)를 열고 넣었다 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커튼월(330)이 버티칼 역할도 겸하기 때문에 별도의 버티칼 설치가 필요없고, 특히 걸이홈(360)에 근접센서를 설치하고,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를 통해 근접센서가 상기 걸이홈(360)에 걸리는 인출바(340)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크로스플로우팬(250)을 회전시키도록 설계하면 더욱 더 효율적인 소음차단이 가능하게 된다.
즉, 커튼월(330)이 하강하여 걸이홈(360)에 걸리면 슬라이드창(SL)과 커튼월(330) 사이에는 공간(S)이 생기게 되고, 동시에 가동되는 로스플로우팬(250)이 공간(S) 사이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그러면, 공기의 유동과 함께 소음도 덕트(DUT) 쪽으로 빨려 들어가게 되어 소음 감쇄가 일어나며, 그렇지 않더라도 커튼월(330) 자체의 구조가 흡음특성이 매우 우수하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그 자체에서 소음을 감쇄시키므로 실내에서는 소음없는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창짝을 더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장치는 투광패널(glass)이 이중구조로 설치된 이중유리창 구조를 갖는다.
다만, 종래에도 이중유리창 구조의 투광패널 형태의 창짝은 개시되어 있지만, 개시된 종래 구조는 단지 창짝에 두 개의 유리창을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유리창과 유리창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순한 구조였다. 본 발명은 그러한 개념의 단순한 구조가 아니라, 공기층에 보열기능을 갖는 부재를 더 포함하여 열을 품었다 뱉을 수 있는 조절기능을 갖춤으로써 난방시에는 난방비를 절감하고, 냉방시에는 냉방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본 발명에 따른 창짝이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슬라이 딩창(SL)에 적용될 수도 있고, 일반적인 창틀에 설치되는 통상 구조의 창짝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창짝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하고 있는 슬라이딩창(SL)과 분리하여 새로운 개념으로 도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창짝은 창짝프레임(400)을 포함한다. 특히, 도시된 예는 한 쌍의 창짝 중 어느 한 쪽만을 표현한 것이며, 두 개의 창짝이 교차 개방될 수 있도록 설치되면 단창 구조의 창호시스템이 되며, 두 개 한 쌍씩 2쌍을 구비하며 이중창 구조의 창호시스템이 된다. 본 발명은 단창이든 이중창이든 상관없이 창짝 자체의 구조를 개선시킨 것이며, 이 창짝을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단창의 창호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고, 이중창의 창호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창짝은 슬라이딩 창호에 사용되는 창짝이다. 상기 창짝프레임(400)의 하단면과, 이에 마주하는 상단면에는 도 6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외창(W1)과 내창(W2)이 끼워지고, 외창(W1)과 내창(W2) 사이에는 공기층(ACL)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창짝프레임(400)의 하단면에는 상기 외창(W1)의 하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유리포켓인 외창홈(410)이 형성되고, 그와 간격을 두고 내창(W2)의 하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유리포켓인 내창홈(420)이 형성되며, 창짝프레임(400)의 측부와 상부에는 상기 외창(W1)과 내창(W2)의 테두리 부위가 안전하게 접촉되도록 턱이 형성된다. 따라서, 외창(W1)과 내창(W2)은 각각 외창홈(410)과 내창홈(420)에 끼운 상태에서 각 창의 테두리를 따라 GB(Glass band or Glazing Block), 다시 말해 유리고정테로 고정하고, 실리콘을 테두리에 쏴 접착함으로써 유리를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이것은 이중유리창 구조의 투광패널 형태에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구조이다. 이러한 이중유리창 구조를 기본으로 갖추면서 본 발명은 창짝프레임(400)의 일측면에 슬라이드홀(430)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홀(430)은 상기 공기층(ACL)을 이등분하는 지점에 형성된다. 여기에서, 공기층(ACL)을 이등분하는 개념은 외창(W1)과 내창(W2) 사이의 폭을 이등분하는 지점이라는 의미이다. 그러면, 공기층(ACL)은 외창(W1)에 가까운 공간과 내창(W2)에 가까운 공간으로 나뉘게 되고, 공기의 흐름, 즉순환이 서로 다르게 된다. 아울러, 상기 외창홈(410)과 내창홈(420) 사이에는 시트홈(440)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홀(430)에는 투명시트(450)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투명시트(450)는 삽탈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능상실시에는 신품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특히, 상기 투명시트(450)는 창을 통한 조망권을 해치면 안되기 때문에 투명도가 우수해야 한다. 또한, 잠열성을 갖추도록 하여 보열기능을 수행해야만 열 특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또한 그러한 구조와 특성을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투명시트(450)가 잠열기능을 갖는 투명코어(452)와, 상기 투명코어(452)의 양측면에 합지되는 투명필름(45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투명필름(454)은 폴리에스터 필름이며, 상기 폴리에스터 필름의 일측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고타측면에는 폴리피롤(Polypyrrol)이 박막상으로 코팅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투명필름(454)의 접착층은 투명코어(452)에 부착되는 면이고, 폴리피롤 박막층은 공기층(ACL)에 노출되는 면이다. 아울러, 상기 투명필름(454)으로 폴리에스터 필름을 사용하는 이유는 우수한 내구성과 투명성이 좋아 각종 디스플레이용 기재 또는 보호필름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도 조망권을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투명도를 확보해야 하면서 또한 내구성도 가져야 하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소재로 채택되었다. 다만, 폴리에스터 필름은 먼지나 이물 부착성이 커서 방오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폴리피롤을 박막상으로 부착하여 방오성을 높이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투명코어(452)는 무색 투명성이 매우 뛰어난 폴리우레아 수지와,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실리콘유 5중량부, 20nm 크기를 갖는 산화티탄 4중량부, n-파라핀 5중량부, 다결정 투명 이트리아 분말5중량부, 옥토크릴렌(Octocrylene) 5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된 조성물을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제조된다. 이때, 상기 실리콘유는 수지와의 혼합시 윤활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산화티탄은 자외선 차단효과 및 투명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20nm 보다 입도가 더 크게 되면 백화현상이 초래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20nm 입도보다 작은 것을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n-파라핀은 상변화물질(PCM:Phase Change Material)로서 잠열의 큰 열흡수/방출 효과를 이용하여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온도를 일정하기 유지시키기 위해 첨가 사용되며, 본 발명에서는 냉방시에는 냉방열의 유출을 막고, 난방시에는 난방열의 유출을 막아 내기와 외기 사이에서 잠열에 의한 보열 기능을 증대시키므로 궁극적으로는 단열성을 높이게 되며; 상기 이트리아는 고온에서의 열간 안정성이 뛰어나고, 열전도성이 매우 낮으며, 열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높아 차열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상변화물질의 축열기능을 상보하게 된다. 다만, 이트리아의 경우 투명도 향상을 위해 다결정 투명 이트리아를 20nm 크기로 분쇄한 초미분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옥토크릴렌은 무색 투명한 유기화합물로서, 변색방지 기능을 수행하여 투명도 저하를 막도록 하기위해 첨가된다. 덧붙여, 투명도를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카올린을 3중량부 더 첨가할 수 있다. 이때, 카올린은 카올리나이트와 할로이사나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습기를 가지면 점력이 생겨나 가소성을 갖게 되고, 건조하면 굳어지는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백색도 증대 외에도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특성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투명시트(45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하기 때문에 얼마든지 교체 사용이 가능하며,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탈착시킨 상태로 창짝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투명시트(450)를 장착하게 되면 앞서 설명하였듯이, 공기층(ACL)이 양분되므로 단열효과를 극대화시킬 뿐만 아니라, 온도차가 심한 겨울철 유리 표면에서의 결로 현상도 억제하는 효과를 얻기도 한다. 또한, 열 전도 차단 효과, 즉 차열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겨울철 일명 '뽁뽁이'로 통칭되고 있는 불투명 단열소재를 유리창에 붙일 필요가 없어 조망권 확보가 우수하고, 외관상 미려함을 제공하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내용에 기반하여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공동주택의 단열기능이 업그레이드된 창호장치 제작방법에 있어서; 창짝프레임(400)의 하단면과, 대향하는 상단면에는 외창(W1)과 내창(W2)이 끼워지는 단계; 외창(W1)과 내창(W2) 사이에는 공기층(ACL)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창짝프레임(400)의 일측면에는 슬라이드홀(430)이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드홀(430)은 상기 공기층(ACL)을 폭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홀(430)에는 투명시트(450)가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투명시트(450)는 잠열성을 갖춰 보열기능을 갖는 투명코어(452)와, 상기 투명코어(452)의 양측면에 합지된 투명필름(45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코어(452)는 무색 투명성을 가지며, 상기 투명필름(454)은 폴리에스터 필름이며, 상기 폴리에스터 필름의 일측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폴리피롤(Polypyrrol)이 박막상으로 코팅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층은 투명코어(452)에 부착되는 면이고, 폴리피롤 박막층은 공기층(ACL)에 노출되는 면이 되게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외창, 상기 내창이 끼워지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기 창호장치의 제작과정은 주변으로 설치된 감시설비를 통해 촬영기록를 포함하여 감시되도록 관리될 수 있다. 여기서 한편 상기 감시설비는,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는 하부파츠와 상기 하부파츠에 장착되는 상부파츠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파츠는,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제1구동패널(311)과 상측의 제1연결바(331)와 하측의 제2연결바(341)를 통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연동되는 제2구동패널(321)과,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제1베이스패널(333)을 기반으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연동되는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상에 장착되는 제1촬영감시모듈(332)을 포함하는 제1유동체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가동체(313)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제2베이스패널(343)을 기반으로 상기 제3가동체(313)와 연동되는 제4가동체(323)와,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상에 장착되는 제2촬영감시모듈(342)을 포함하는 제2유동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은 상기 제1가동체(312)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되며,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은 상기 제3가동체(313)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화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상에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3가동체(313)사이로 구비되는 제1보조구동체(411)와, 상기 제1보조구동체(4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1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1분사구동체(412)와,
상기 제2구동패널(321)상에서 상기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4가동체(323)사이로 구비되는 제2보조구동체(511)와, 상기 제2보조구동체(5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2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2분사구동체(512)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하판패널부(421)와,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설치되고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둘레부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최하판패널부(42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판패널부(421)는, 중앙의 중앙하판패널부(4211)와,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의 일측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패널(311)이 삽입장착되는 일측하판패널부(4212)와,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의 타측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타측하판패널부(4213)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일측하판패널부(4212)와 상기 타측하판패널부(4213)는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상에서 상기 진퇴이동이 대응하여 유동되고, 상기 하부파츠는, 상기 일측하판패널부(4212)에 하방이 연동설치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접하되 내측으로 출몰되는 제1-1출몰돌기(5111)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장착되는 제1-1접촉몸체(511)와, 상기 제1-1접촉몸체(511)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1-1이동구(5112)와, 상기 제1-1이동구(5112)를 통해 상기 제1-1접촉몸체(511)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구동패널(311) 중간부에 접하는 제1-2접촉몸체(512)와, 상기 제1-2접촉몸체(512)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1-2이동구(5121)와 상기 제1-2이동구(5121)를 통해 상기 제1-2접촉몸체(512)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구동패널(311) 상단부에 접하되 제1-2출몰돌기(5131) 제1구동패널(311)에 장착되는 제1-3접촉몸체(513)를 포함하는 제1접촉고정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감시설비는, 한편 상기 타측하판패널부(4213)에 하방이 연동설치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접하되 내측으로 출몰되는 제2-1출몰돌기(5211)가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되는 제2-1접촉몸체(521)와, 상기 제2-1접촉몸체(521)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2-1이동구(5212)와, 상기 제2-1이동구(5212)를 통해 상기 제2-1접촉몸체(521)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2구동패널(321) 중간부에 접하는 제2-2접촉몸체(522)와, 상기 제2-2접촉몸체(522)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2-2이동구(5221)와 상기 제2-2이동구(5221)를 통해 상기 제2-2접촉몸체(522)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2구동패널(321) 상단부에 접하되 제2-2출몰돌기(5231)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되는 제2-3접촉몸체(523)를 포함하는 제2접촉고정모듈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접촉고정모듈은, 상기 제1-1접촉몸체(511)가 상기 제1-1이동구(5112)를 매개로 상기 제1-2접촉몸체(512)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1-1동작과 상기 제1-2접촉몸체(512)는 상기 제1-2이동구(5121)를 매개로 상기 제1-2출몰돌기(5131)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3접촉몸체(513)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1-2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제2접촉고정모듈은, 상기 제2-1접촉몸체(521)가 상기 제2-1이동구(5212)를 매개로 상기 제2-2접촉몸체(522)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1동작과 상기 제2-2접촉몸체(522)는 상기 제2-2이동구(5221)를 매개로 상기 제2-2출몰돌기(5231)가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3접촉몸체(523)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2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촉고정모듈과 상기 제2접촉고정모듈은, 상기 제1-1 내지 상기 제2-2동작을 기반으로 상기 제1구동패널(311), 상기 제2구동패널(321)을 상기 하판패널부(421) 및 상기 최하판패널부(422)와 연동고정시키며, 상기 하부파츠는 인접영역 혹은 서로 상이한 별개의 영역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파츠는 상기 각 하부파츠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거나, 상기 각 하부파츠들에 대응하여 각각 장착된다.
상기 하부파츠는 상부설치면에 설치되어 상하반전형으로 위치되거나, 일측설치면에 설치되어 수평형으로 위치되거나 타측설치면에 설치되어 수평형으로 위치된다. 상기 제1-1출몰돌기(5111), 상기 제1-2출몰돌기(5131), 상기 제2-1출몰돌기(5211) 및 상기 제2-2출몰돌기(5231)는 각기 상기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된 상태에서 냉각 기능 또는 히팅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제1구동패널(311), 상기 제2구동패널(321) 및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의 주변부에 대한 온도조건이 설정되도록 한다.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창틀프레임
200: 흡음배기유닛
300: 커튼월유닛

Claims (2)

  1. 삭제
  2. 공동주택의 단열기능이 업그레이드된 창호장치 제작방법에 의한 것으로;
    창짝프레임(400)의 하단면과, 대향하는 상단면에는 외창(W1)과 내창(W2)이 끼워지는 단계; 외창(W1)과 내창(W2) 사이에는 공기층(ACL)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창짝프레임(400)의 일측면에는 슬라이드홀(430)이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드홀(430)은 상기 공기층을 폭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홀(430)에는 투명시트(450)가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투명시트(450)는 잠열성을 갖춰 보열기능을 갖는 투명코어(452)와, 상기 투명코어(452)의 양측면에 합지된 투명필름(45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코어(452)는 무색 투명성을 가지며, 상기 투명필름(454)은 폴리에스터 필름이며, 상기 폴리에스터 필름의 일측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폴리피롤이 박막상으로 코팅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층은 투명코어(452)에 부착되는 면이고, 폴리피롤 박막층은 공기층(ACL)에 노출되는 면이 되게 배치되고,
    상기 외창(W1), 상기 내창(W2)이 끼워지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기 창호장치의 제작과정은 주변으로 설치된 감시설비를 통해 촬영기록을 포함하여 감시되도록 관리되는 공동주택의 단열기능이 업그레이드된 창호장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시설비는,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는 하부파츠와 상기 하부파츠에 장착되는 상부파츠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파츠는,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제1구동패널(311)과 상측의 제1연결바(331)와 하측의 제2연결바(341)를 통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연동되는 제2구동패널(321)과,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제1베이스패널(333)을 기반으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연동되는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상에 장착되는 제1촬영감시모듈(332)을 포함하는 제1유동체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가동체(313)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제2베이스패널(343)을 기반으로 상기 제3가동체(313)와 연동되는 제4가동체(323)와,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상에 장착되는 제2촬영감시모듈(342)을 포함하는 제2유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은 상기 제1가동체(312)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되며,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은 상기 제3가동체(313)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화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되며,
    상기 상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상에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3가동체(313)사이로 구비되는 제1보조구동체(411)와,
    상기 제1보조구동체(4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1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1분사구동체(412)와,
    상기 제2구동패널(321)상에서 상기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4가동체(323)사이로 구비되는 제2보조구동체(511)와,
    상기 제2보조구동체(5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2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2분사구동체(512)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하판패널부(421)와,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설치되고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둘레부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최하판패널부(422)를 더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단열기능이 업그레이드된 창호장치 제작방법.
KR1020210128661A 2021-09-29 2021-09-29 공동주택의 단열기능이 업그레이드된 창호장치 제작방법 KR102435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661A KR102435270B1 (ko) 2021-09-29 2021-09-29 공동주택의 단열기능이 업그레이드된 창호장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661A KR102435270B1 (ko) 2021-09-29 2021-09-29 공동주택의 단열기능이 업그레이드된 창호장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270B1 true KR102435270B1 (ko) 2022-08-24

Family

ID=83112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661A KR102435270B1 (ko) 2021-09-29 2021-09-29 공동주택의 단열기능이 업그레이드된 창호장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2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538B1 (ko) * 2016-07-08 2017-05-19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단열과 방음 기능을 향상시킨 창호장치
KR102255190B1 (ko) * 2019-12-03 2021-05-21 김기성 이동설치식 현장 모니터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538B1 (ko) * 2016-07-08 2017-05-19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단열과 방음 기능을 향상시킨 창호장치
KR102255190B1 (ko) * 2019-12-03 2021-05-21 김기성 이동설치식 현장 모니터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9494A (ko) 블라인드 창 및 방충망 창을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
KR101737538B1 (ko) 공동주택의 단열과 방음 기능을 향상시킨 창호장치
KR102435270B1 (ko) 공동주택의 단열기능이 업그레이드된 창호장치 제작방법
KR101058417B1 (ko) 자동환기 가능한 창문틀
CN101787843A (zh) 一种隔音除尘透气装置
JP2007126913A (ja) 二重窓枠
KR200383838Y1 (ko) 외풍 차단 블라인드 구조
CN209687323U (zh) 一种多功能通风隔声窗
US20100326606A1 (en) Composite sound absorbing blind systems
US20080216969A1 (en) Sound absorbing blind systems
KR100662657B1 (ko)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
CN204781473U (zh) 一种幕墙系统及其采用的通风器
KR20180123613A (ko) 샤시레일 부착형 롤방충망
CN104790841A (zh) 隔音防雨百叶窗
RU68574U1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шумо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362408Y1 (ko) 환기 유니트
KR100906089B1 (ko) 방한용 비닐 커튼
RU120691U1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502471B1 (ko) 내충격성 플렉시블 소재를 이용한 칸막이 시스템
KR101157577B1 (ko) 건축물용 도어용 방음장치
CN201343985Y (zh) 一种可组装式磁性纱窗
KR102369472B1 (ko) 창틀프레임의 흡음 및 방음구조
JP2002013359A (ja) 自然換気用建具
JP2010222893A (ja) ブラインドネット
KR102492479B1 (ko) 친환경 건축물의 미세먼지 차단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