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857B1 -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 - Google Patents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857B1
KR102434857B1 KR1020210184511A KR20210184511A KR102434857B1 KR 102434857 B1 KR102434857 B1 KR 102434857B1 KR 1020210184511 A KR1020210184511 A KR 1020210184511A KR 20210184511 A KR20210184511 A KR 20210184511A KR 102434857 B1 KR102434857 B1 KR 102434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unit
crushed
pet bottle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철
Original Assignee
(주)엘케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케이피 filed Critical (주)엘케이피
Priority to KR1020210184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for obtaining fine bubbles, i.e. bubbles with a size below 100 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5Drying-steam gene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트(PET)병을 재생 플라스틱 원료로 사용하기 위한 페트병 분쇄물의 세척 공정을 자동화하여 작업이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고, 페트병 분쇄물을 효율적으로 세척 재활용함을 제공하도록, 페트병 분쇄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된 페트병 분쇄물을 세척하여 재활용 가능한 후공정으로 전달하는 페트병 분쇄물 세척시스템에 있어서, 페트병 분쇄물을 이송시키는 분쇄물공급부와; 내부에 염화나트륨이 희석된 세척용액을 수용하고, 상기 분쇄물공급부로부터 투입된 페트병 분쇄물에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공급하여 살균 세정하는 버블세척부와; 상기 버블세척부로부터 세척된 페트병 분쇄물을 이송시키는 세척이송부와; 내부에 세정액을 수용하고, 상기 세척이송부로부터 투입된 페트병 분쇄물을 세정액으로 헹굼 세척하되 세정액에 초음파를 가하여 페트병 분쇄물의 표면을 헹굼 세척하는 초음파세척부와; 상기 초음파세척부에서 헹굼 세척된 페트병 분쇄물을 배출 이송하면서 열풍 건조하는 열풍건조부;를 포함하는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 {Wasted PET Bottle Chip Automatic Washing System}
본 발명은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페트(PET)병을 재생 플라스틱 원료로 사용하기 위한 페트병 분쇄물의 세척 공정을 자동화하여 작업이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고, 페트병 분쇄물을 효율적으로 세척 재활용하는 것이 가능한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트병(PET bottle)은 생수나 음료 등을 담기 위한 용기로서 플라스틱 재질 중 하나인 PET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페트병은 재질 특성에 의해 가공이 쉬워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좋아 사용수명이 길며 중량도 가벼워 취급과 운반이 용이하고 재활용 가능한 이점들이 있다.
한편, 페트병은 대부분이 일회용 용기로 제작되어 그 사용량이 엄청나게 많은 반면 재활용 비율이 5% 미만에 그치고 있고, 폐기처리 중 소각시킬 경우 환경 호르몬 등 각종 유해물질을 배출하며 매립시 자연 분해되는데 500년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는 점에서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페트병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어 대체가 거의 불가능하고 사용에 따른 편리함을 포기할 수 없으므로 페트병의 사용량을 줄이는데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적 한계로 인해 페트병의 사용량을 줄이는 대신에 페트병의 재활용 비율을 높일 수 있는 페트병 재활용을 위한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으며, 이에 필요한 장치들도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이처럼 페트병 재생을 위한 공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수거한 페트병을 투입한 후에 색상을 분리하는 색상분리공정, 재활용 가공에 적합한 크기를 갖는 단편형태로 분쇄하는 분쇄공정, 다양한 재료로 구성된 단편형태의 분쇄물을 동일한 재료의 그룹으로 분리하는 분리공정 및 분쇄물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 등의 분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공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재활용에 사용될 수 있는 페트병 분쇄물을 획득하게 된다.
그런데 페트별 재생 공정 중 페트병 분쇄물을 세척하는 종래 세척공정에서는 분쇄물을 단시간에 충분히 세척하지 못하며,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모되어 페트병 분쇄물의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884245호(2009.02.11.)에는 패트병 분쇄물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분리 세척하여 후공정으로 전달하는 패트병 분쇄물 세척시스템에 있어서, 세척수를 수용하며 상기 이물질이 포함된 분쇄물을 수령받는 세척탱크와, 상기 세척탱크 내부를 교반시키는 교반기를 갖는 세척유닛과; 상기 세척유닛에서 세척된 분쇄물을 전달받아 비중차에 따라 경량의 이물질과 중량의 분쇄물 및 세척수를 각각 상하 방향으로 분리하는 하이드로싸이클론본체와, 상기 세척유닛에서 세척된 분쇄물과 세척수를 상기 하이드로싸이클론본체로 고압 펌핑하는 펌프를 갖는 싸이클론유닛과; 상기 싸이클론유닛에서 배출된 이물질로부터 세척수를 분리하며, 세척수는 상기 세척유닛으로 전달하고, 이물질은 외부로 배출하는 진동스크린과; 상기 싸이클론유닛에서 배출된 분쇄물과 세척수를 전달받아 세척수는 상기 세척유닛으로 전달하고, 분쇄물은 침전시키는 비중차분리조와; 상기 비중차분리조에 침전된 분쇄물을 상기 후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세척분쇄물이송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페트병 분쇄물의 세척과 이물질을 빠르고 간편하게 분리하여 양질의 패트병 분쇄물을 생산할 수 있는 패트병 분쇄물 세척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페트병 분쇄물의 생산을 위한 전체적인 공정을 자동으로 진행하여 생산성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면서 페트병 분쇄물에 묻은 이물질을 어느 정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분쇄물 상에 잔류하는 유기물 및 이물질 등을 완벽하게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0884245호 (2009.02.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페트병 분쇄물의 세척 공정을 자동화하면서 분쇄물을 버블세척에 이은 초음파 헹굼 방식으로 세척하게 구성하므로 세척공정에서의 작업성 및 생산성을 높이며, 페트병 분쇄물 상에 잔류하는 유기물 및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은 페트병 분쇄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된 페트병 분쇄물을 세척하여 재활용 가능한 후공정으로 전달하는 페트병 분쇄물 세척시스템에 있어서, 페트병 분쇄물을 이송시키는 분쇄물공급부와; 내부에 염화나트륨이 희석된 세척용액을 수용하고, 상기 분쇄물공급부로부터 투입된 페트병 분쇄물에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공급하여 살균 세정하는 버블세척부와; 상기 버블세척부로부터 세척된 페트병 분쇄물을 이송시키는 세척이송부와; 내부에 세정액을 수용하고, 상기 세척이송부로부터 투입된 페트병 분쇄물을 세정액으로 헹굼 세척하되 세정액에 초음파를 가하여 페트병 분쇄물의 표면을 헹굼 세척하는 초음파세척부와; 상기 초음파세척부에서 헹굼 세척된 페트병 분쇄물을 배출 이송하면서 열풍 건조하는 열풍건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버블세척부는, 내부에 세척용액과 함께 페트병 분쇄물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구비하는 버블세척조와, 상기 버블세척조에 설치하고 세척용액을 순환 공급하면서 오존과 함께 공기를 혼합 분출하여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생성시키는 버블발생기를 구성한다.
상기 초음파세척부는, 내부에 세정액과 함께 페트병 분쇄물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구비하는 초음파세척조와, 상기 초음파세척조에 설치하고 세정액에 초음파를 가하도록 진동하는 초음파진동기를 구성한다.
상기 초음파세척부에서는, 상기 초음파세척조 내 세정액의 헹굼 온도가 45~55℃를 유지하게 구성한다.
상기 열풍건조부는, 페트병 분쇄물을 직선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린과, 상기 이송스크린의 이송경로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페트병 분쇄물에 열풍을 가하는 열풍기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버블세척부와 상기 초음파세척부의 사이에 구비하고, 내부에 세척용액을 수용하되 세척용액에 베이킹파우더를 희석하며, 상기 버블세척부를 거친 페트병 분쇄물에 마이크로 나노버블을 공급하여 재차 살균 세정하는 복합세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에 의하면 페트병 분쇄물의 세척 공정에서 염화나트륨이 희석된 세척용액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나노 버블로 세척 후 초음파 헹굼 세척하게 구성하므로, 페트병 분쇄물에 잔류하는 오염물질의 우수한 제거효율을 도모하며, 자동화로 인한 재생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재생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버블세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초음파세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열풍건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본 발명은 페트병 분쇄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된 페트병 분쇄물을 세척하여 재활용 가능한 후공정으로 전달하는 페트병 분쇄물 세척시스템에 있어서, 페트병 분쇄물을 이송시키는 분쇄물공급부와; 내부에 염화나트륨이 희석된 세척용액을 수용하고, 상기 분쇄물공급부로부터 투입된 페트병 분쇄물에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공급하여 살균 세정하는 버블세척부와; 상기 버블세척부로부터 세척된 페트병 분쇄물을 이송시키는 세척이송부와; 내부에 세정액을 수용하고, 상기 세척이송부로부터 투입된 페트병 분쇄물을 세정액으로 헹굼 세척하되 세정액에 초음파를 가하여 페트병 분쇄물의 표면을 헹굼 세척하는 초음파세척부와; 상기 초음파세척부에서 헹굼 세척된 페트병 분쇄물을 배출 이송하면서 열풍 건조하는 열풍건조부;를 포함하는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트병 분쇄시스템(C)으로부터 공급된 페트병 분쇄물을 세척하여 재활용 가능한 후공정으로 전달하는 페트병 분쇄물 세척시스템에 있어서, 분쇄물공급부와, 버블세척부(20)와, 세척이송부(30)와, 초음파세척부(40)와, 열풍건조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페트병 분쇄물은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인 폐플라스틱 페트류 및 페트 플레이크로서, 예를 들어 PET, PE, PP, PC, PS 등 다양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쇄물공급부(10)는 페트병의 분쇄 직후 페트병 분쇄물의 세척을 위하여 공급하게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분쇄물공급부(10)는 세척 이전 공정인 페트병 분쇄시스템의 하단에서 상기 버블세척부(20)의 상단을 향한 이송경로로 연장 형성한다.
상기 분쇄물공급부(10)는 페트병 분쇄물의 이송을 위한 구동 구조로서, 페트병 분쇄물의 이송경로를 이루는 이송관 내 이송스크류를 적용한 스크류형 구동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페트병 분쇄물의 이송경로를 이루는 이송관 내 버킷컨베이어를 적용한 컨베이어형 구동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버블세척부(20)는 상기 분쇄물공급부(10)로부터 투입된 페트병 분쇄물을 살균 세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버블세척부(2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세척용액과 함께 페트병 분쇄물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구비하는 버블세척조(21)와, 상기 버블세척조(21)에 설치하고 페트병 분쇄물에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공급하게 생성시키는 버블발생기(23)를 구성한다.
상기 버블세척조(21)에는 상부에 페트병 분쇄물을 투입 가능한 투입구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페트병 분쇄물을 배출 가능한 배출구를 형성한다.
상기 버블세척조(21)에는 내부에 수용된 세척용액에 염화나트륨을 희석하여 사용한다.
상기 버블발생기(2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버블세척조(21)에 설치하고 세척용액을 순환 공급하면서 오존과 함께 공기를 혼합 분출하여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생성시킨다. 즉, 상기 버블발생기(23)는 상기 버블세척조(21) 상에 설치하여 세척용액이 수용된 내부 공간을 향해 버블을 생성토록 공기를 분출시키는 분사노즐(24)과, 상기 버블세척조(21) 내 세척용액을 상기 분사노즐(24)을 향해 순환 공급하되 세척용액의 순환 과정에서 오존과 함께 공기를 공급하는 버블생성유닛(25)을 구성한다.
상기에서 버블생성유닛(25)으로부터 생성되는 마이크로 나노 버블은 매우 작은 크기의 버블로 인해 낮은 부상속도 즉 대략 3㎜/min 정도 속도로 상승하여 장시간 수중에 체류하고 축소되면서 소멸되며 수중에 완전히 용해되게 된다.
즉, 마이크로 나노 버블은 수중에서 매우 천천히 상승하고 사라지기 때문에 오랜 시간 존재하게 되고 수중 상승과정에서 더욱 축소되면서 내부의 압력이 더 커지게 됨으로써, 버블이 소멸하게 되면 오존 대비 2000배의 산화력을 갖는 프리 래디칼(free radical)과 고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프리 래디칼은 매우 불안정하여 곁에 있는 물질과 바로 반응하는 특성을 나타내며 생성된 프리 래디칼은 살균력 및 분해 능력이 뛰어나므로 페트병 분쇄물의 유기물질 등을 분해 세정 및 유해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살균 처리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버블발생기(23)에서 생성시키는 마이크로 나노 버블은 10~30㎛의 크기를 이루게 구성한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나노 버블의 크기를 10㎛보다 작게 형성할 경우 과다한 공정 비용이 들게 되며, 30㎛보다 크게 형성할 경우 미세한 틈 내 오염 물질의 제거가 어려워 세척성능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상기 세척이송부(3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버블세척부(20)로부터 세척된 페트병 분쇄물을 이송시킨다.
상기 세척이송부(30)는 상기 버블세척부(20)로부터 상기 초음파세척부(40)까지 연장 형성하되, 상기 버블세척부(20)의 하단에 선단이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초음파세척부(40)의 상단에 끝단이 대응하여 위치하게 연장 형성한다.
상기 세척이송부(30)는 상기 분쇄물공급부(10)와 마찬가지로 페트병 분쇄물의 이송을 위한 구동 구조로서, 스크류형 구동 구조 또는 컨베이어형 구동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초음파세척부(40)는 상기 버블세척부(20)에서 세척용액으로 살균 세정하여 상기 세척이송부(30)로부터 투입된 페트병 분쇄물을 세정액으로 헹굼 세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초음파세척부(4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세정액을 수용하되 세정액에 초음파를 가하여 페트병 분쇄물의 표면을 헹굼 세척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초음파세척조(41) 및 초음파진동기(43)를 구성한다.
상기 초음파세척조(41)는 사방이 밀폐된 구조를 이루되, 상부에 페트병 분쇄물을 투입 가능한 투입구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페트병 분쇄물을 배출 가능한 배출구를 형성한다.
상기 초음파세척조(41)에는 내부에 세정액과 함께 페트병 분쇄물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초음파세척부(40)에서는 상기 초음파세척조(41) 내 세정액의 헹굼 온도가 45~55℃를 유지하게 구성한다.
상기에서 초음파세척조(41) 내 세정액의 온도를 45℃ 미만 또는 55℃ 초과하여 세척을 진행하게 되면, 케비테이션(cavitation) 강도 및 밀도에 악영향을 주어 세정액의 특성이 변하며 세척효율을 저하하게 된다.
상기 초음파진동기(43)는 상기 초음파세척조(41)에 설치하고 세정액에 초음파를 가하도록 진동하여 페트병 분쇄물을 세척한다. 즉, 상기 초음파진동기(43)는 페트병 분쇄물의 오염물질을 세정액에 의한 화학적 수단과 함께 초음파에 의한 물리적 수단으로 제거한다.
상기 초음파진동기(43)는 25~55kHz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페트병 분쇄물을 세척하게 구동한다.
상기에서 초음파진동기(43)의 주파수를 25kHz 미만으로 구성하게 되면 표면 세척 대피 침투력이 약하여 틈새 세척에 한계가 있으며, 상기 초음파진동기(43)의 주파수를 55kHz 초과하여 구성하게 되면 페트병 분쇄물을 향한 침투력 대비 표면 세척력이 떨어져 전반적인 세척효율을 저하하게 된다.
상기 열풍건조부(50)는 상기 초음파세척부(40)에서 헹굼 세척된 페트병 분쇄물을 배출 이송하면서 열풍 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열풍건조부(5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초음파세척부(40)의 초음파세척조(41)로부터 배출된 페트병 분쇄물을 직선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린(51)과, 상기 이송스크린(51)의 이송경로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페트병 분쇄물에 열풍을 가하는 열풍기(53)를 구성한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송스크린(51)의 초입부에는 페트병 분쇄물을 펼침 상태로 이송토록 구동하는 바이브레이터를 구성하여 우수한 건조효율을 도모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스크린(51)은 다수의 통공을 형성한 스크린형태를 이루어 상기 열풍건조부의 열풍이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열풍건조부(50)는 터널형 구조로서 상기 이송스크린(51)의 연장된 이송경로 상에 상기 열풍기(53)를 배치하고, 상기 열풍기(53)를 거쳐 페트병 분쇄물을 이송하면서 열풍 건조하게 구성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에 의하면, 페트병 분쇄물의 세척 공정에서 염화나트륨이 희석된 세척용액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나노 버블로 세척 후 초음파 헹굼 세척하게 구성하므로, 페트병 분쇄물에 잔류하는 오염물질의 우수한 제거효율을 도모하며, 자동화로 인한 재생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재생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버블세척부(20)와 상기 초음파세척부(40)의 사이에 구비하고, 상기 버블세척부(20)를 거친 페트병 분쇄물에 마이크로 나노버블을 공급하여 재차 살균 세정하는 복합세척부(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합세척부(60)는 내부에 세척용액과 함께 페트병 분쇄물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구비하는 복합세척조(61)와, 상기 복합세척조(61)에 설치하고 페트병 분쇄물에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공급하게 생성시키는 복합버블발생기(63)를 구성한다.
상기 복합세척조(61)에는 내부에 수용된 세척용액에 베이킹파우더를 희석하여 사용한다.
상기 복합세척조(61)에는 가온 상태의 세척용액을 적용하되 90~100℃의 세척용액을 사용하여 베이킹파우더를 희석한 세척용액을 사용한다.
상기 복합버블발생기(63)는 상기 버블세척부(20)의 버블발생기(23)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상기 복합세척조(61) 내 세척용액을 순환 공급하면서 오존과 함께 공기를 혼합 분출하여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생성시키는 구조로서, 복합분사노즐(64) 및 복합버블생성유닛(65)을 구성한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복합세척부(60)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세척이송부(30)는 상기 복합세척부(60)를 기준으로 전후로 배치하게 구성하므로, 상기 버블세척부(20)로부터 페트병 분쇄물을 이송하여 상기 복합세척부(60)로 공급함은 물론 상기 복합세척부(60)로부터 상기 초음파세척부(40)까지 페트병 분쇄물을 이송하게 구성한다.
즉,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연속적인 버블세척과 함께 베이킹파우더를 사용한 2차 세척으로 페트병 분쇄물의 재생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분쇄물공급부 20 : 버블세척부
21 : 버블세척조 23 : 버블발생기
24 : 분사노즐 25 : 버블생성유닛
30 : 세척이송부 40 : 초음파세척부
41 : 초음파세척조 43 : 초음파진동기
50 : 열풍건조부 51 : 이송스크린
53 : 열풍기 60 : 복합세척부
61 : 복합세척조 63 : 복합버블발생기
64 : 복합분사노즐 65 : 복합버블생성유닛

Claims (6)

  1. 페트병 분쇄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된 페트병 분쇄물을 세척하여 재활용 가능한 후공정으로 전달하는 페트병 분쇄물 세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페트병 분쇄물 세척시스템 이전 공정인 페트병 분쇄시스템의 하단에서 상기 페트병 분쇄물 세척시스템의 버블세척부 상단을 향한 이송경로로 연장 형성하기 위한 페트병 분쇄물의 이송경로를 이루도록 이송스크류 또는 컨베이어로부터 선택되는 페트병 분쇄물을 이송시키는 분쇄물공급부와;
    내부에 염화나트륨이 희석된 세척용액을 수용하고, 상기 분쇄물공급부로부터 투입된 페트병 분쇄물에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공급하여 살균 세정하는 버블세척부와;
    상기 버블세척부로부터 세척된 페트병 분쇄물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버블세척부의 하단에서 상기 페트병 분쇄물 세척시스템의 초음파세척부 상단을 향한 이송경로로 연장 형성하는 페트병 분쇄물의 이송경로를 이루는 이송스크류 또는 컨베이어로부터 선택되는 세척이송부와;
    내부에 세정액을 수용하고, 상기 세척이송부로부터 투입된 페트병 분쇄물을 세정액으로 헹굼 세척하되 세정액에 초음파를 가하여 페트병 분쇄물의 표면을 헹굼 세척하는 초음파세척부와;
    상기 버블세척부와 상기 초음파세척부의 사이에 구비하고, 내부에 세척용액을 수용하되 세척용액에 베이킹파우더를 희석하며, 상기 버블세척부를 거친 페트병 분쇄물에 마이크로 나노버블을 공급하여 재차 살균 세정하는 복합세척부와;
    상기 초음파세척부로부터 헹굼 세척되어 배출되는 페트병 분쇄물을 직선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린과, 상기 이송스크린의 이송경로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터널형 구조로 페트병 분쇄물에 열풍을 가하는 열풍기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스크린의 초입부에는 페트병 분쇄물을 펼침 상태로 이송토록 구동하는 바이브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스크린은 다수의 통공을 형성한 스크린형태를 이루어 상기 열풍기의 열풍이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페트병 분쇄물을 배출 이송하면서 열풍 건조하는 열풍건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블세척부는 내부에 세척용액과 함께 페트병 분쇄물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구비하는 버블세척조와, 상기 버블세척조에 설치하고 세척용액을 순환 공급하면서 오존과 함께 공기를 혼합 분출하여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생성시키는 버블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세척부는 내부에 세정액과 함께 페트병 분쇄물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구비하는 초음파세척조와, 상기 초음파세척조에 설치하고 세정액에 초음파를 가하도록 진동하는 초음파진동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세척부는 상기 초음파세척조 내 세정액의 헹굼 온도가 45~55℃를 유지하게 구성하는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210184511A 2021-12-22 2021-12-22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 KR102434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511A KR102434857B1 (ko) 2021-12-22 2021-12-22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511A KR102434857B1 (ko) 2021-12-22 2021-12-22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857B1 true KR102434857B1 (ko) 2022-08-22

Family

ID=8310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511A KR102434857B1 (ko) 2021-12-22 2021-12-22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8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7648A (ko) 2022-09-15 2024-03-22 임윤섭 재활용 페트병의 접착제 세척장치
KR20240057575A (ko) 2022-10-25 2024-05-03 (주)엘케이피 세척수 정화 순환방식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분쇄물 세척 및 탈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245B1 (ko) 2007-10-04 2009-02-17 이상웅 패트병 분쇄물 세척시스템
KR102251682B1 (ko) * 2020-09-08 2021-05-17 주식회사 알엠 폐플라스틱 페트류 및 페트 플레이크의 세정 및 살균 방법
KR102300563B1 (ko) * 2020-08-05 2021-09-23 주식회사 에이치투 폐플라스틱 페트류 및 페트 플레이크의 세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245B1 (ko) 2007-10-04 2009-02-17 이상웅 패트병 분쇄물 세척시스템
KR102300563B1 (ko) * 2020-08-05 2021-09-23 주식회사 에이치투 폐플라스틱 페트류 및 페트 플레이크의 세척방법
KR102251682B1 (ko) * 2020-09-08 2021-05-17 주식회사 알엠 폐플라스틱 페트류 및 페트 플레이크의 세정 및 살균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7648A (ko) 2022-09-15 2024-03-22 임윤섭 재활용 페트병의 접착제 세척장치
KR20240057575A (ko) 2022-10-25 2024-05-03 (주)엘케이피 세척수 정화 순환방식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분쇄물 세척 및 탈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857B1 (ko) 페트병 분쇄물 자동 세척시스템
JP6450362B2 (ja) 使用済みスクラップフィルムのリサイクル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895529B1 (ko) 페트병 재생방법
KR102251682B1 (ko) 폐플라스틱 페트류 및 페트 플레이크의 세정 및 살균 방법
CN203709223U (zh) 一种新型超声波红枣清洗机
JP2011140653A (ja) Pet組成物をリサイクル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TW201529031A (zh) 營業用洗碗機
CN210791659U (zh) 一种塑料瓶片的循环式绿色清洗装置
EP3666403A1 (en)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empty containers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02200433A (ja) 廃プラスチックの洗浄粉砕方法及びその洗浄粉砕装置
KR100884245B1 (ko) 패트병 분쇄물 세척시스템
KR102288219B1 (ko) 식재료 세척장치
KR101660799B1 (ko) 페트병 재활용을 위한 페트병 분쇄물 분리처리장치
KR101611917B1 (ko) 재활용을 위한 pet 분쇄물 세척장치
KR20140141010A (ko) 농수산물 세척 시스템
CN103722639B (zh) 聚对苯二甲酸类塑料超声波清洗方法
KR0131684Y1 (ko) 플라스틱 용기를 재생하는 기계
CN104959343A (zh) 一种回收pet瓶片的水洗系统
KR102300563B1 (ko) 폐플라스틱 페트류 및 페트 플레이크의 세척방법
CN111013815A (zh) 废旧玻璃回收装置
JP2002320932A (ja) リサイクルpetフレークの洗浄方法、およびリサイクルpetフレーク洗浄装置
WO2007051473A1 (en) A method for cleaning packaging items
CN202635552U (zh) 生姜无破碎清洗生产线
CN205364294U (zh) 一种全自动废旧轮胎处理生产线
CN105107782A (zh) 医用全自动清洗机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