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836B1 -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 - Google Patents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836B1
KR102434836B1 KR1020200137249A KR20200137249A KR102434836B1 KR 102434836 B1 KR102434836 B1 KR 102434836B1 KR 1020200137249 A KR1020200137249 A KR 1020200137249A KR 20200137249 A KR20200137249 A KR 20200137249A KR 102434836 B1 KR102434836 B1 KR 102434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ceiling
drilling
flo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149A (ko
Inventor
송무헌
Original Assignee
송무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무헌 filed Critical 송무헌
Priority to KR1020200137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836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03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천장에 앵커볼트 구멍 등을 타공할 때 사용하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로서, 타공할 구멍의 중심위치를 천장에 표시하지 않고 바닥에 표시한 후, 드릴링 장치의 중심위치인 드릴비트의 중심점을 바닥에 표시된 지점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승강수단을 작동하여 위를 향하여 드릴링하게 되면, 천장에서는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정확하게 타공이 되도록 함으로써, 천장에 타공위치를 마킹하데 따른 어려움이나, 드릴링과정에서 천장을 계속하여 쳐다보는 수고가 없이도 정확한 위치에서 타공할 구멍의 중심점에 맞추어 드릴링 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Overhead drilling apparatus having aiming pointer to floor}
본 발명은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천장에 앵커볼트 구멍 등을 타공할 때 사용하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로서, 타공할 구멍의 중심위치를 천장에 표시하지 않고 바닥에 표시한 후, 드릴링 장치의 중심위치인 드릴비트의 중심점을 바닥에 표시된 지점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승강수단을 작동하여 위를 향하여 드릴링하게 되면, 천장에서는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정확하게 타공이 되도록 함으로써, 천장에 타공위치를 마킹하는데 따른 어려움이나, 드릴링과정에서 천장을 계속하여 쳐다보는 수고가 없이도 정확한 위치에서 타공할 구멍의 중심점에 맞추어 드릴링 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등의 천장에는 상하수도 설비나 전기, 조명설비 등 각종 설비들이 매달리게 됨은 물론, 텍스나 루바 또는 석고보드 등의 천장 마감재 부착을 위해 경량철골 등을 천장에 고정하여 매달게 되는데, 이렇게 각종 설비나 경량철골 등을 천장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천장에 앵커볼트를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천장에 앵커볼트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성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사전에 앵커볼트의 직경에 적합한 드릴로 앵커볼트의 길이만큼 타공한 후에 앵커볼트를 고정시키게 된다.
콘크리트 천장에 앵커볼트 구멍을 타공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타공기 즉 드릴을 직접 손으로 잡고 천장을 향하여 드릴링 작업을 하여 왔는데, 천장의 높이 때문에 사다리나 작업대 위에서 작업을 행하게 되고 더욱이 얼굴을 뒤로 젖힌 채로 상방을 향하여 힘을 가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매우 힘들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위험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다수의 앵커볼트 구멍을 타공해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지점에서 타공한 후 다음의 지점으로 자리를 옮겨 타공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사다리나 작업대에서 내려서 이를 타공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다시 사다리나 작업대에 올라가서 타공 작업을 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힘이 들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이 매우 저하된다는 문제점도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서, 그동안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었는데, 도 1에는 이에 대한 다양한 종래기술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 중 도 1(a)에 도시된 천장용 드릴링 장치(10a)는, 사다리 위에 올라가지 않고도 천장에 닿을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지지대(20) 위에 드릴(90)을 고정한 후, 작업자가 바닥에 서서 상기 지지대(20)의 손잡이(21)를 손으로 잡고 천장을 향하여 드릴링을 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사다리 위에서 작업하는 경우보다는 손쉬운 방법이지만, 작업자가 천장을 바라보면서 상기 지지대(20)의 손잡이(21)를 손으로 잡고 위를 향하여 힘을 주어 밀어야 하기 때문에 힘이 많이 들고 불편한 점이 많이 있어 왔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천장용 드릴링 장치(10b)도 개발되었는데, 도 1(b)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10b)는, 지지대(20)의 하단에 상기 지지대(20)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는 받침대(30)가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받침대(30)의 종단에는 상기 받침대(30)에서 일정 각도로 꺾여있는 발판(31)을 가지도록 한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발판(31)을 밟으면, 도 1(b)의 오른쪽 그림에서 보듯이, 상기 지지대(20) 및 상기 지지대(20)에 고정된 드릴(90)이 위로 상승하여 천장에 드릴링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손으로 지지대(20)를 밀지 않더라도 발로 밟는 힘에 의하여 위를 향하여 드릴링이 되므로 보다 쉽고 편한 방법으로 드릴링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c)와 같은 천장용 드릴링 장치(10c)도 개발되었는데, 이 장치(10c)는 상기 지지대(20)를 2단으로 하여 하부지지대(25) 위에서 상부지지대(26)가 상하로 늘어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부지지대(26)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수단(40)을 두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수단(40)을 작동하여 상기 상부지지대(26)를 상승시키면 천장에 드릴링이 되므로 보다 손쉬운 방법으로 드릴링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하부지지대(25) 하단에는 이동수단(50)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동수단(50)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기 승강수단(40)을 이용하여 천장에 드릴링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드릴링을 하는 동안 계속하여 손으로 밀어올리거나, 발로 밟아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계속하여 진행됨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뿐만 아니라,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각도로 타공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타공되는 부분을 계속하여 관찰하여야 하므로 타공작업이 계속되는 동안 작업자가 항상 고개를 위로 쳐들어야 하는 불편함은 여전하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은 상기 승강수단(40)을 구비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인데, 작업자가 항상 고개를 위로 쳐들어서 쳐다봐야 하는 불편함도 여전할 뿐만 아니라, 승강수단의 작동에 필요한 복잡한 기어장치 등으로 인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고장 발생의 빈도가 높아지는 문제점 등이 있어 왔다.
뿐만 아니라, 타공위치 표시에 따른 시간 및 인력의 소모도 문제가 되어 왔다. 천장에 설비물들을 매달기 위해서는, 정확한 위치에 앵커볼트가 고정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앵커볼트가 고정될 타공위치(81)들을 천장(80)에 먼저 표시한 후, 표시된 타공위치(81)들에 맞추어 드릴로 타공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천장(80)에 상기 타공위치(81)들을 표시하는 작업 역시 사다리나 작업대에 올라가서 해야 하므로, 오르내리는 과정에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 및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게다가, 천장(80)에 표시된 타공위치(81)들 각각에 드릴비트(bit, 날)를 정확하게 일치시켜야 하는데, 바닥면(70) 위에 서 있어야 하는 작업자에게는 천장에 표시된 상기 타공위치(81)들이 잘 안 보여서 드릴링할 위치를 제대로 못 찾는 경우가 많아 작업능률이 저하되거나, 잘못된 지점에 타공되는 문제점도 있어왔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는, 타공할 드릴구멍의 중심위치인 타공위치를 천장에 표시하지 않고 바닥에 표시하도록 한 후, 드릴링 장치의 위치를 바닥에 표시된 타공위치에 위치시키고 승강수단을 작동하여 위를 향하여 드릴링하게 되면, 천장에는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정확하게 타공이 되도록 함으로써, 천장에 타공위치를 마킹하는 수고가 없이도 정확한 위치에서 타공할 위치에 맞추어 드릴링 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타공하는 지점에 대하여, 계속하여 고개를 들어 바라보면서 타공하지 않더라도, 정확한 위치에 타공을 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강수단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복잡하면서도 고가인 기어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견고하고 정밀하면서도 경제적인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계속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천장 드릴링 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원하는 위치로 손쉽게 이동하여 정확한 중심점을 찾아 드릴링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드릴들 각각에 대하여, 모양과 크기가 다르더라도, 각각의 모양과 크기에 맞추어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천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맞추어 정확하게 드릴링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양과 크기가 천차만별인 다양한 드릴들 각각에 대하여, 각각의 드릴에 맞추어 드릴 비트가 위치할 중심점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장에 앵커볼트 구멍을 타공할 때, 바닥에 표시된 타공위치에 드릴비트의 중심점을 맞출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로서, 드릴을 고정하는 드릴고정대; 등변 ㄱ형강으로 되어, 길이방향 상단이 상기 드릴고정대의 아래쪽과 결합되는 이동지지대; 상기 이동지지대를 아래 위로 관통시켜, 길이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의 외함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수단을 수직으로 세우는 삼각대; 상기 삼각대의 아래쪽에서 상기 삼각대를 이루는 세 개의 지지봉을 연결시키는 하부지지대; 및 상기 하부지지대에 결합되는 중심점 표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은, - 상기 이동지지대의 하단부 아래쪽 바닥면에 레이저 빛을 발사하여, 상기 드릴고정대에 고정된 드릴의 비트가 위치한 지점의 수평투영지점을 중심점으로 표시하며, - 상기 레이저 빛의 발사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중심점의 표시지점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이동지지대는, - 상기 등변 ㄱ형강의 안쪽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체인을 포함하되, -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변이 상기 등변 ㄱ형강의 양쪽 내벽에 마주하도록 결합되어, 그 단면이 상기 등변 ㄱ형강의 모서리를 중심으로 하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 되도록 하며, -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서 상기 체인이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체인의 상단은 제1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체인의 하단은 제2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승강수단은, - 스프라켓 및 핸들을 포함하되, - 상기 스프라켓은 상기 체인과 맞물리며, - 상기 스프라켓의 중심축은 상기 외함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과 일체가 되어 회전되며, -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체인에 맞물린 상기 스프라켓이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지지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 모두에 더하여, 상기 승강수단에는, 상기 이동지지대의 수직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두 개의 롤러가 한 쌍이 되어 상기 등변 ㄱ형강의 각 변 내외면에 맞닿아 회전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체인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로 하는 것오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은 회동축, 각도조절 볼트 및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 상기 회동축은,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을 상기 하부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며, - 상기 각도조절 볼트는,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의 일 측에 형성된 너트에 결합되어 그 종단이 상기 하부지지대에 맞닿아 있으며, - 상기 지지스프링은,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이 상기 하부지지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생기도록 설치되되, 상기 회동축을 중심에 두고 상기 각도조절 볼트와 반대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특징들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드릴고정대는, 수직브라켓, 수평브라켓, 드릴각 조절볼트 및 밴드삽입구를 포함하며, - 상기 수직브라켓은, 상기 드릴의 몸체를 감쌀 수 있도록 그 단면이, ㄷ자 형상의 양쪽 끝부분 중 일부가 바깥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변형된 V자 형상이며, - 상기 수평브라켓은, 상기 드릴의 손잡이를 감쌀 수 있고, 상기 드릴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그 단면이 V자 형상으로서, 상기 수직브라켓과 90도 이상의 각도를 가지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 상기 드릴각 조절볼트는, 상기 드릴의 몸체 상면과 상기 수직브라켓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위치하며, - 상기 밴드삽입구는, 상기 수직브라켓 및 상기 수평브라켓에 상기 드릴의 몸체 및 손잡이를 호스밴드로 각각 결속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승강수단에는 수평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삼각대 중 두 개의 지지봉 중간에 바닥면의 고저차에 대응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나사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지지대에 결합되는 중심점 표시수단을 포함하고, 중심점 표시수단은 이동지지대의 하단부 아래쪽 바닥면을 향하여 레이저 빛을 발사하여 드릴 비트가 위치한 중심점을 표시하기 때문에, 타공할 드릴 구멍의 중심위치인 타공위치를 천장에 표시하지 않고 이에 대응되는 바닥에 표시한 후, 중심점 표시수단을 이용하여 드릴비트의 위치를 바닥에 표시된 타공위치에 정확히 위치시킨 후 드릴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천장에 타공위치를 마킹하는 수고가 없이도 천장면의 정확한 타공위치에 드릴 구멍의 중심점을 맞추어 드릴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작업자가 중심점 표시수단의 레이저포인터를 이용하여 바닥에 표시된 타공위치에 맞추어 드릴링장치를 위치시킨 후 상승수단을 작동하여 드릴링을 하게 되므로, 타공작업이 진행되는 내내 위를 올려다볼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이를 통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중심점 표시수단에서 레이저 빛의 발사 각도를 조절하여 중심점의 표시지점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모양과 크기가 각각 다른 다양한 드릴들에 대하여, 각각의 드릴에서 드릴비트가 위치할 중심점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맞추어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등변 ㄱ형강으로 된 이동지지대의 안쪽에 플레이트가 결합되며, 플레이트에 위에는 체인이 고정되어 있으며, 승강수단에 포함된 스프라켓이 체인에 맞물려 돌아가면서 승강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가의 기어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경제적인 비용으로 승강수단을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승강수단에 이동지지대의 수직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두 개의 롤러가 한 쌍이 되어 등변 ㄱ형강의 각 변 내외면에 맞닿아 회전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기 때문에 승강수단이 이동지지대를 승강시킬 때 정밀하게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드릴구멍을 수직으로 정밀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드릴고정대는, 수직브라켓, 수평브라켓, 드릴각 조절볼트 및 밴드삽입구를 포함하고, 수직브라켓은, 드릴의 원통형 몸체를 감쌀 수 있도록 그 단면이 ㄷ자 형상의 양쪽 끝부분 중 일부가 바깥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변형된 V자 형상이며, 수평브라켓은, 드릴의 원통형 손잡이를 감쌀 수 있고, 드릴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그 단면이 V자 형상으로되어 있기 때문에 드릴고정대에 드릴을 견고하게 고정함은 물론 드릴 비트를 천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맞출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승강수단에 수평계를 포함하고, 삼각대 중 앞쪽 두개의 지지봉 중간에 바닥면의 고저차에 대응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나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천장면에 대하여 드릴비트를 수직으로 맞출 때 용이하고 편리하게 삼각대를 조절하여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의 다양한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를 이용하여 천장을 타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를 이용하여 천장을 타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 중 중심점 표시수단에 대한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 중 이동지지대에 대한 측면도(a) 및 정면도(b) 및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 중 승강수단에 대한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 중 승강수단과 이동지지대에 대한 결합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 중 드릴고정대에 대한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에서 이동수단이 하강했을 때(a)와 상승했을 때(b)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에서 확장지지대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에서 삼각대 중 2개의 지지봉 중간에 조절나사가 포함된 모습에 대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를 이용하여 천장에 앵커볼트 구멍을 타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60)의 천장(80)에 매달 설비들의 앵커볼트가 고정될 위치를 정하여 타공위치(81)로 일일이 표시한 뒤에, 종래기술에 의힌 천장용 드릴링 장치(10a, 10b, 10c)를 이용하여 드릴 날(드릴비트)을 상기 타공위치(81)에 위치시킨 후 드릴을 가동하여 타공하게 된다. 따라서, 타공작업을 하기 전에 상기 타공위치(81) 각각을 표시하는 작업을 하게 되는데, 상기 타공위치(81)를 천장(80)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사다리나 작업대를 오르내리면서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타공위치(81)를 정하기 위해서 줄자나 먹줄, 레이저 수평 수직계 등과 같은 측정수단 등을 이용하여야 하는데, 사다리나 작업대 위에서 측정작업을 하는 것이 평지에서 하는 것보다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천장(80)에 상기 타공위치(81)를 표시하는 작업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천장(80)에 표시된 상기 타공위치(81)는 현장여건에 따라 식별이 곤란할 경우가 많은데, 주로 실내환경이기 때문에 어두운 상태에서 진행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타공위치(81)를 잘 식별하지 못하여 작업능률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기도 한다. 그리고 타공작업을 진행하는 내내 천장을 향하여 올려다보면서 드릴비트가 상기 타공위치(81)에서 이탈하는지 여부 등을 관찰해야 하므로 작업자에게 많은 피로감을 주게되는 작업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10)’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10)를 이용하여 건축물(60)의 천장(80)에 앵커볼트 구멍을 타공하는 모습에 대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10)를 사용하는 경우, 천장(80)에 앵커볼트가 고정될 상기 타공위치(81)를 상기 천장(80)에 직접 표시하지 않고, 바닥(70)에 표시하게 된다. 즉, 상기 타공위치(81)가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수직하방의 바닥면(70)에, 상기 타공위치(81)에 대응되는 대응위치(71)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천장용 드릴링 장치(10)에 장착된 드릴의 드릴비트 중심위치를 상기 대응위치(71)에 정확하게 일치시킨 후 그 상태에서 상기 천장(80)에 대하여 타공작업을 하게 되면, 드릴의 비트가 상기 타공위치(81)에 정확하게 일치된 상태로 타공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타공위치(81)가 천장(80)에 표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대응위치(71)를 이용하여 정확한 타공위치(81)에 타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천장(80)에 상기 타공위치(81)를 표시하지 않고, 바닥(70)에 상기 대응위치(71)를 표시한 후 본 발명에 의한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10)’를 사용하여 타공하게 되면, 천장(80)이 아닌 바닥(70)에 표시작업을 하게 되므로, 표시작업에 따른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들이 표시위치 즉 상기 대응위치(71)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능률이 상승하게 되며, 천장(80)에 타공작업을 하는 동안에 주로 상기 대응위치(71)에 맞추어 타공작업을 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타공위치(81)를 계속하여 올려다 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도 상승과 이에 따른 작업능률 저하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나머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10)의 상세 구조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천장(80)에 앵커볼트 구멍을 타공할 때 드릴 구멍의 중심점을 바닥 면을 이용하여 맞출 수 있도록 하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드릴고정대(100), 이동지지대(200), 승강수단(300), 삼각대(400), 하부지지대(410) 및 중심점 표시수단(50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릴고정대(100)는 드릴(90)을 거치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하단이 상기 이동지지대(200)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지지대(200)는, 등변 ㄱ형강으로 되어, 길이방향 상단이 상기 드릴고정대(100)의 아래쪽과 결합되며, 상기 승강수단(300)을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300)은, 외함(340)의 아래윗면으로 상기 이동지지대(200)를 관통시켜서 상기 이동지지대(200)를 길이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외함(340)에는 상기 삼각대(400)가 결합되며, 상기 삼각대(400)에 의하여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상기 하부지지대(410)는, 상기 삼각대(400)의 아래쪽에서 상기 삼각대(400)를 이루는 세 개의 지지봉을 Y자 형태로 연결시키는 구성으로서, Y자 형태 중 하나에는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500)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삼각대(400)는 마치 카메라의 삼각대처럼 수직으로 세워서 접혀지게 하거나, 상기 외함(340)의 수직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가 되도록 펼쳐서 상기 천장용 드릴링 장치(10)를 바닥면 위에 안정적으로 세워둘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삼각대(400)를 이루는 세 개의 지지봉 각각의 하단에는 바퀴(600)를 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삼각대(4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퀴(600)에는 타공작업을 하는 동안 상기 삼각대(400)가 바닥(7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브레이크(미도시)가 더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 중 중심점 표시수단(500)에 대한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500)은 레이저포인터(51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포인터(510)는 상기 이동지지대(200)의 하단부 아래쪽 바닥면(GL)을 향하여 레이저 빛(LL)을 발사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드릴고정대(100)에 고정된 드릴(90)의 비트가 위치한 지점에서 수직으로 내려온 선(CL)과 만나는 지점 즉, 상기 드릴(90)의 비트가 위치한 지점의 수평투영지점을 중심점(CP)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심점(CP)을 바닥(70)에 표시된 상기 대응위치(71)와 일치시키게 되면 상기 드릴(90)에 끼워진 비트는 상기 타공위치(81)에 정확하게 닿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500)은, 상기 레이저 빛(LL)의 발사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중심점(CP)의 표시지점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50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지지대(41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회동축(54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500)은 상기 회동축(540)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해지고, 그 회동각도에 따라서 상기 레이저 빛(LL)이 바닥면(GL)과 만나는 위치, 즉 중심점(CP)이 변경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드릴고정대(100)에 고정되는 상기 드릴(90)은, 제조사 또는 모델에 따라 크기 및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드릴고정대(100)에 상기 드릴(90)을 장착시켰을 때 드릴 비트가 끼워지는 중심위치도 다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회동축(540)을 중심으로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500)을 회전시켜 상기 중심점(CP)의 표시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500)에서 상기 중심점(CP)의 표시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500)에 각도조절 볼트(520) 및 지지스프링(53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 볼트(520)는,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500)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500)의 일 측에 형성된 너트에 결합되어, 그 종단이 상기 하부지지대(410)에 맞닿아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스프링(530)은,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500)이 상기 하부지지대(4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생기도록 설치하되, 상기 회동축(540)을 중심에 두고 상기 각도조절 볼트(520)와 반대쪽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 볼트(520)를 조이게 되면,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500) 중 상기 각도조절 볼트(520)가 설치된 쪽은 상기 하부지지대(410)와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며, 상기 지지스프링(530)이 설치된 쪽은 좁아지게 됨으로써, 상기 레이저 빛(LL)이 바닥면(GL)과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게 되어 상기 중심점(CP)은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500)으로부터 더 멀어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각도조절 볼트(520)를 풀어주게 되면, 상기 지지스프링(530)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500) 중 상기 지지스프링(530)이 위치한 지점이 상기 하부지지대(410)와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므로 상기 레이저 빛(LL)이 바닥면(GL)과 이루는 각도가 커지게 되어 상기 중심점(CP)은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500)쪽으로 가까이 오게 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은 위치조절이 가능한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500)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드릴고정대(100)에 결합되어 있는 드릴(90)에 끼워진 드릴비트의 위치인 상기 중심점(CP)을 상기 천장용 드릴링 장치(10)의 아래쪽 바닥면(70)에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 드릴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는 상기 중심점(CP)의 위치를 얼마든지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10)에서 상기 이동지지대(200)는 상기 승강수단(300) 안에서 체인스프라켓 방식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지지대(2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체인(210)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승강수단(300)에는 상기 체인(210)과 맞물려서 회전하는 스프라켓(310)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지지대(200)를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 중 이동지지대에 대한 측면도(a) 및 정면도(b) 및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 중 상기 승강수단(300)과 상기 이동지지대(200)에 대한 결합 상세도를 도시한 것인데,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지지대(200)는 등변 ㄱ형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등변 ㄱ형강의 안쪽에는 상기 등변 ㄱ형강에 고정되는 플레이트(211)를 두고, 상기 플레이트(211) 위에는 상기 체인(210)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211)의 길이방향 양변(211a, 211b)은 상기 등변 ㄱ형강의 양쪽 내벽에 마주하도록 결합함으로써, 그 단면이 상기 등변 ㄱ형강의 모서리를 중심으로 하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의 빨간 삼각형 참조).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11)의 길이방향 중심선(도 9에서 파란색 점선 참조)을 따라서 상기 체인(210)이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체인(210)의 상단은 제1고정부(212)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체인의 하단은 제2고정부(213)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에서 파란색 점선 원 참조). 즉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212)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기 체인(210)을 상기 플레이트(211)위에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2고정부(213)는, 상기 체인(210)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일 단부가 상기 플레이트(211)에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는 상기 체인(210)의 단부에 고정되어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장력조절 나사 방식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수단(300)은 외함(340)의 상단 및 하단을 통하여 상기 이동지지대(200)가 관통하도록 하고, 상기 외함(340)에 결합된 브라켓(312)에 상기 스프라켓(310)의 중심축(311)이 고정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스프라켓(310)의 중심축(311)은 핸들(320)과 일체가 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핸들(320)을 회전시키면, 상기 체인(210)에 맞물린 상기 스프라켓(310)이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지지대(2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300)에는, 상기 이동지지대(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두 개의 롤러가 한 쌍이 되어 상기 등변 ㄱ형강의 각 변 내외면에 맞닿아 회전하는 가이드롤러(3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330)의 회전축은 상기 외함(340)에 고정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롤러(330)가 상기 승강수단(300)의 위쪽(330a)과 아래쪽(330b)에 각각 두 쌍씩 배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은데, 이렇게 하는 경우 상기 이동지지대(200)가 상기 승강수단(300) 안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300)에 수평계(315)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상기 수평계(315)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수평계(315)를 관찰하면서 상기 삼각대(400)를 조절하여 천장용 드릴링 장치(10)를 수직상태로 용이하게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릴링을 하는 동안 천장(80) 및 바닥(70)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삼각대(400)를 원활하고 편리하게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삼각대(400) 중 앞쪽 두 개의 지지봉 중간에, 상기 삼각대(400)가 놓이는 바닥면의 고저차나 평탄도에 대응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나사(401)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에서 상기 삼각대(400) 중 2개의 지지봉 중간에 상기 조절나사(401)가 포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절나사(401)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지지봉이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되는데, 상기 수평계(315)에서 수평이 안 맞는 경우 상기 조절나사(401)를 돌려서 수평을 맞추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수평계(315)와 상기 조절나사(401)를 이용하여, 천장면에 대하여 드릴비트를 수직으로 맞출 때 용이하고 편리하게 삼각대를 조절하여 맞출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10)에 포함되는 상기 드릴고정대(100)에 대한 상세도면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a)는 측면도이고, 도 10(b)는 정면도이며, 도 10(c)는 위에서 바라다 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드릴고정대(100)의 상세구조를 설명한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릴고정대(100)는, 수직브라켓(120), 상기 수직브라켓(12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브라켓(110), 상기 수직브라켓(120)에 결합되는 드릴각 조절볼트(121) 및 상기 수직브라켓(120)과 상기 수평브라켓(110)에 형성되는 복수의 밴드삽입구(122)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브라켓(120)은, 상기 드릴(90)의 몸체를 감쌀 수 있도록 그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수직브라켓(120)에 형성되는 상기 드릴각 조절볼트(121)는, 상기 드릴(90)의 몸체 상면과 상기 수직브라켓(12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브라켓(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드릴(90)이 천장(80)에 대하여 수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즉, 상기 드릴(90)을 상기 드릴고정대(100)에 결합했을 때, 상기 드릴비트가 위로 갈수록 앞쪽으로 나오게 기울어진 상태라면 아래쪽에 있는 드릴각 조절볼트(121b)를 조이거나, 위쪽에 있는 드릴각 조절볼트(121a)를 풀어서 상기 드릴(90)을 바로 세우며, 그 반대인 경우에는 위쪽에 있는 드릴각 조절볼트(121a)를 조이거나, 아래쪽에 있는 드릴각 조절볼트(121b)를 풀어서 상기 드릴(90)을 바로 세우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브라켓(110)은, 상기 드릴(90)의 손잡이를 감쌀 수 있고, 상기 드릴(90)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그 단면이 V자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평브라켓(110)과 상기 수직브라켓(120)은 90도 이상의 각도를 가지도록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밴드삽입구(122)는, 상기 수직브라켓(120) 및 상기 수평브라켓(110)에 상기 드릴(90)의 몸체 및 손잡이를 호스밴드로 각각 결속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브라켓(120) 중 상기 ㄷ자 형상의 양쪽에는 바깥쪽을 향하여 넓어지는 날개를 가지도록 하는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에서 이동수단이 하강했을 때(a)와 상승했을 때(b)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a)의 상태에서 상기 핸들(320)을 회전시키면 상기 스프라켓(310)이 회전하면서 상기 스프라켓(310)에 맞물린 상기 체인(210)과 상기 체인(210)이 고정된 상기 이동지지대(200)가 상승하게 되며, 상기 이동지지대(200)가 상승하면 도 11(b)의 상태처럼 상기 드릴고정대(100)가 상승하면서 상기 드릴고정대(100)에 고정된 상기 드릴(90)이 드릴링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드릴(90)의 작동버튼은 아래쪽에서 리모트컨트롤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관하여는 공지된 다양한 기술들을 사용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도 1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용 드릴링 장치에서 확장지지대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상기 이동지지대(200)에 연장하여 상기 확장지지대(200a)를 연결하게 되면 층고가 높은 천장(80) 대하여도 타공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천장용 드릴링 장치
20 지지대 21 손잡이
25 하부지지대 26 상부지지대
30 받침대 31 발판
40 승강수단 50 이동수단
60 건축물 70 바닥
71 대응위치 80 천장
81 타공위치 90 드릴
100 드릴고정대
110 수평브라켓 120 수직브라켓
121 드릴각 조절볼트 122 밴드삽입구
123 스톱볼트 130 고정볼트
200 이동지지대
210 체인 211 플레이트
212 제1고정부 213 제2고정부
200a 확장지지대
300 승강수단
310 스프라켓 311 중심축
312 브라켓 315 수평계
320 핸들 330 가이드롤러
340 외함 350 높이고정볼트
400 삼각대
401 조절나사 410 하부지지대
500 중심점 표시수단
510 레이저포인터 520 각도조절 볼트
530 지지스프링 540 회동축
550 배터리삽입구 560 스위치
600 바퀴

Claims (7)

  1. 천장에 앵커볼트 구멍을 타공할 때, 바닥에 표시된 타공위치에 드릴비트의 중심점을 맞출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로서,
    드릴을 고정하는 드릴고정대;
    등변 ㄱ형강으로 되어, 길이방향 상단이 상기 드릴고정대의 아래쪽과 결합되는 이동지지대;
    상기 이동지지대를 아래 위로 관통시켜, 길이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의 외함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수단을 수직으로 세우는 삼각대;
    상기 삼각대의 아래쪽에서 상기 삼각대를 이루는 세 개의 지지봉을 연결시키는 하부지지대; 및
    상기 하부지지대에 결합되는 중심점 표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은,
    - 상기 이동지지대의 하단부 아래쪽 바닥면에 레이저 빛을 발사하여, 상기 드릴고정대에 고정된 드릴의 비트가 위치한 지점의 수평투영지점을 중심점으로 표시하며,
    - 상기 드릴고정대에 고정되는 드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수평투영지점이 달라지면, 달라지는 수평투영지점에 맞추어 상기 중심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이저 빛의 발사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중심점의 표시지점을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드릴고정대는, 다양한 종류의 드릴들 각각에 대하여, 모양과 크기가 다르더라도, 각각의 모양과 크기에 맞추어 견고하게 고정되고, 천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맞추어 정확하게 드릴링할 수 있도록, 수직브라켓, 수평브라켓, 드릴각 조절볼트 및 밴드삽입구를 포함하며,
    - 상기 수직브라켓은, 상기 드릴의 몸체를 감쌀 수 있도록 그 단면이, ㄷ자 형상의 양쪽 끝부분 중 일부가 바깥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변형된 V자 형상이며,
    - 상기 수평브라켓은, 상기 드릴의 손잡이를 감쌀 수 있고, 상기 드릴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그 단면이 V자 형상으로서, 상기 수직브라켓과 90도 이상의 각도를 가지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 상기 드릴각 조절볼트는, 상기 드릴의 몸체 상면과 상기 수직브라켓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위치하여, 상기 드릴비트가 천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맞춰질 수 있도록 조이거나 풀 수 있으며,
    - 상기 밴드삽입구는, 상기 수직브라켓 및 상기 수평브라켓에 상기 드릴의 몸체 및 손잡이를 호스밴드로 각각 결속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삼각대를 이동시켜 상기 레이저 빛을 바닥에 표시된 타공위치에 일치시킨 후 상기 승강수단으로 상기 드릴고정대를 상승시켜 상기 드릴을 작동시키면, 바닥에 표시된 타공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천장에 수직으로 타공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대는,
    - 상기 등변 ㄱ형강의 안쪽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체인을 포함하되,
    -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변이 상기 등변 ㄱ형강의 양쪽 내벽에 마주하도록 결합되어, 그 단면이 상기 등변 ㄱ형강의 모서리를 중심으로 하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 되도록 하며,
    -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서 상기 체인이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체인의 상단은 제1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체인의 하단은 제2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승강수단은
    - 스프라켓 및 핸들을 포함하되,
    - 상기 스프라켓은 상기 체인과 맞물리며,
    - 상기 스프라켓의 중심축은 상기 외함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과 일체가 되어 회전되며,
    -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체인에 맞물린 상기 스프라켓이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지지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에는, 상기 이동지지대의 수직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두 개의 롤러가 한 쌍이 되어 상기 등변 ㄱ형강의 각 변 내외면에 맞닿아 회전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체인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은 회동축, 각도조절 볼트 및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 상기 회동축은,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을 상기 하부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며,
    - 상기 각도조절 볼트는,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의 일 측에 형성된 너트에 결합되어 그 종단이 상기 하부지지대에 맞닿아 있으며,
    - 상기 지지스프링은, 상기 중심점 표시수단이 상기 하부지지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생기도록 설치되되, 상기 회동축을 중심에 두고 상기 각도조절 볼트와 반대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에는 수평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삼각대 중 두 개의 지지봉 중간에 바닥면의 고저차에 대응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나사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
KR1020200137249A 2020-10-22 2020-10-22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 KR102434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249A KR102434836B1 (ko) 2020-10-22 2020-10-22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249A KR102434836B1 (ko) 2020-10-22 2020-10-22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149A KR20220053149A (ko) 2022-04-29
KR102434836B1 true KR102434836B1 (ko) 2022-08-22

Family

ID=81428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249A KR102434836B1 (ko) 2020-10-22 2020-10-22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8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32047B (zh) * 2023-11-03 2024-04-16 上华电气有限公司 一种低压开关柜加工用柜体钻孔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2583A (ja) * 2000-02-22 2001-08-28 Yoshitaka Hirukotani 工具等の作動を操作する遠隔用マニピュレータ
US20070217878A1 (en) * 2006-03-14 2007-09-20 Andrew Byrd Laser-guided stair rail drill guide
CN204221746U (zh) * 2014-11-07 2015-03-25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可伸缩式电锤屋顶打孔作业延长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93A (ja) * 1993-06-14 1995-01-06 Nippon Autom Kk 加工機械用位置合わせ装置
KR100542642B1 (ko) * 2003-12-29 2006-01-11 공경열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KR20200001278U (ko) * 2020-05-28 2020-06-17 문춘호 타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2583A (ja) * 2000-02-22 2001-08-28 Yoshitaka Hirukotani 工具等の作動を操作する遠隔用マニピュレータ
US20070217878A1 (en) * 2006-03-14 2007-09-20 Andrew Byrd Laser-guided stair rail drill guide
CN204221746U (zh) * 2014-11-07 2015-03-25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可伸缩式电锤屋顶打孔作业延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149A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210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rking points and lines during building construction
US7886450B1 (en) Elevated laser beam positioning device
KR101675068B1 (ko) 계측장비를 위한 높이 조절 스탠드 어셈블리
KR102434836B1 (ko)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
US20130340267A1 (en) Light-Enabled Plumb Indicator and Wall Brace Device
CN103521807A (zh) 一种可升降激光定位高空间吊杆打孔安装装置及操作方法
EP3309510A1 (en) Height-adjustable laser level apparatus
CN203696028U (zh) 一种可升降激光定位高空间吊杆打孔装置
CN210719192U (zh) 一种基于bim的模板垂直度校核装置
US4551922A (en) Line marking device
CN108033342B (zh) 一种公交梯的梯路导轨装配方法
US8943704B1 (en) Apparatus for locating fixture boxes and the like
KR200483831Y1 (ko) 수평자
CN210536214U (zh) 一种电缆桥架用改进型支架
CN213748405U (zh) 一种沉降观测水准尺的固定装置
CN213579352U (zh) 矿山井下放样装置
CN114526416A (zh) 一种设有辅助定位结构的不动产测绘装置
CN209117027U (zh) 一种地理测绘专用经纬仪
CN220170153U (zh) 一种房建施工测平装置
KR100881144B1 (ko) 레이저 수평 수직장치
CN217782290U (zh) 一种检查井爬梯定位装置
CN112223555B (zh) 一种可测深度的伸缩性吊杆钻孔安装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124302B (zh) 用于高层建筑测量放样的仪器支架及其使用方法
JPS59569Y2 (ja) 建築用垂直位置出し装置
KR102478556B1 (ko) 삼각자를 이용해 프레임을 절곡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