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579B1 - 복합단위 시간축을 적용한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단위 시간축을 적용한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579B1
KR102434579B1 KR1020200112850A KR20200112850A KR102434579B1 KR 102434579 B1 KR102434579 B1 KR 102434579B1 KR 1020200112850 A KR1020200112850 A KR 1020200112850A KR 20200112850 A KR20200112850 A KR 20200112850A KR 102434579 B1 KR102434579 B1 KR 102434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e
time
determining
time uni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1199A (ko
Inventor
최석우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5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31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세스가 표현된 스케쥴러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시간축을 구분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그룹화하고 이를 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함으로써, 사용자가 시 단위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일간, 주간, 월간 및 연간 프로세스를 하나의 화면에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단위 시간축을 적용한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APPARATUS FOR MONITORING PROCESS USING COMPLEX UNIT TIME SCA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간축을 기준 규칙에 따라 변형하여 프로세스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는 종래 기술은, 동일한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배열된 시간축에 프로세스가 단순히 나열되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분기 단위 및 연 단위 프로세스를 하나의 화면에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간축을 변형하여 프로세스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시간축을 변형하는 규칙이 적용된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복합단위 시간축이 적용된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준일을 기준으로 복합단위 시간축이 적용되어 프로세스를 보다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프로세스를 보다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UI가 적용된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시간 단위로 표시된 복수의 시간 구간을 포함하는 시간축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시간축을 기준으로 표시할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시간 구간 중 상기 프로세스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의 시간 단위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스를 디스플레이할 프로세스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프로세스 레벨로 상기 프로세스를 상기 시간축을 따라 시계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간축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간축을 생성하는 단계는, 기준 규칙에 따라 제1 일자 및 제2 일자를 결정하는 단계, 기준일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일자까지의 시간 단위를 제1 시간 단위마다 그룹화하여 제1 시간 단위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일자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일자까지의 시간 단위를 상기 제1 시간 단위보다 긴 제2 시간 단위마다 그룹화하여 제2 시간 단위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간 단위 그룹 및 상기 제2 시간 단위 그룹을 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간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규칙에 따라 제3 일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일을 기준으로 상기 제3 일자까지의 시간 단위를 제3 시간 단위마다 그룹화하여 제3 시간 단위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간 단위 그룹, 상기 제2 시간 단위 그룹 및 상기 제3 시간 단위 그룹을 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일자 및 상기 제2 일자가 상기 기준일 이후의 일자이면, 상기 제3 일자는 상기 기준일 이전의 일자이고, 상기 제1 일자 및 상기 제2 일자가 상기 기준일 이전의 일자이면, 상기 제3 일자는 상기 기준일 이후의 일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간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규칙에 따라 제4 일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일자를 기준으로 상기 제4 일자까지의 시간 단위를 상기 제2 시간 단위보다 긴 제4 시간 단위마다 그룹화하여 제4 시간 단위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간 단위 그룹, 상기 제2 시간 단위 그룹 및 상기 제4 시간 단위 그룹을 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규칙에 따라 제1 일자 및 제2 일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관심 프로세스의 시작 또는 종료 일자를 상기 제1 일자 및 상기 제2 일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기준일에 획득된 개별 프로세스의 조회수를 이용하여, 상기 조회수가 기준치 이하인 프로세스의 시작 또는 종료 일자를 상기 제1 일자 및 상기 제2 일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기준일로부터 거리가 기준치 이하인 일자는 상기 제1 일자 및 제2 일자의 결정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시간 구간 중 상기 프로세스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의 시간 단위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스를 디스플레이할 프로세스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스의 진행 기간에 따라 상기 프로세스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상기 프로세스의 포함관계에 따라 프로세스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모니터링 장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서로 다른 시간 단위로 표시된 복수의 시간 구간을 포함하는 시간축을 표시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상기 시간축을 기준으로 표시할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복수의 시간 구간 중 상기 프로세스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의 시간 단위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스를 디스플레이할 프로세스 레벨을 결정하는 인스트럭션 및 결정된 상기 프로세스 레벨로 상기 프로세스를 상기 시간축을 따라 시계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간축을 구분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그룹화하고 이를 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함으로써, 시간 단위를 달리하는 프로세스 간의 관계를 하나의 화면에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의 일부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시간축 생성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시간축 생성 방법에 의해 생성된 시간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는 프로세스의 계층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모니터링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개시된 프로세스 모니터링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어느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모니터링 시스템은 프로세스 모니터링 장치(100) 및 사용자 장치(200a, 200b, 200c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세스 모니터링 장치(100)는 프로세스가 적용된 스케쥴러(scheduler)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스는 시간적 순서를 가진 시계열 데이터로써, 업무에 관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는 일일 업무 프로세스 데이터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스는 주간 업무 프로세스 데이터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본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스 모니터링 장치(100)는 외부 장치로부터 프로세스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 모니터링 장치(100)는 저장된 프로세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프로세스 모니터링 장치(100)는 생성된 스케쥴러를 사용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 모니터링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된 스케쥴러 상에 생성된 UI버튼을 클릭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모니터링 장치(100)에 대해서는 추후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장치(200)는 프로세스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스케쥴러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치(2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로세스 모니터링 장치(100)에 스케쥴러의 열람 요청을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 장치(200)는 프로세스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스케쥴러를 수신한다. 그리고, 사용자 장치(200)는 수신된 스케쥴러를 화면에 출력한다. 사용자 장치(200)는 스케쥴러를 출력하기 위하여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는 사용자 장치(2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프로세스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스케쥴러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는 사용자 장치(200)는 데스크탑(Desktop),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Server), 랩탑(Laptop), 태블릿(Tablet),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패블릿(Phablet)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개인용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또는 전자책 단말기(E-Book Reader) 등과 같은 형태의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200)는 생성된 UI버튼을 클릭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얻어 프로세스 모니터링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는 사용자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생성된 UI버튼을 클릭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얻을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허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1 컴퓨팅 장치와 제2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나뉘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각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그 주체의 기재가 생략되면, 그 주체는 상기 컴퓨팅 장치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100에서 시간축이 생성된다. 시간적 순서를 가진 프로세스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시간축이 생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프로세스가 나열된 스케쥴러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은 동일한 시간 단위 간격으로 프로세스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프로세스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화면에서 기간을 달리하는 프로세스 간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해 구체화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은, 기준 규칙에 따라 시간축을 구분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그룹화하여 시간 순서대로 배열함으로써, 프로세스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시간 단위는 1시간, 오전, 오후, 1일, 1주, 1달, 1분기 또는 1년일 수 있다. 시간 단위 그룹은 각각 1시간마다, 오전, 오후마다, 1일마다, 1주마다, 1달마다, 1분기마다 또는 1년마다 대응되는 시간 단위로 그룹화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된 시간 단위 및 시간 단위 그룹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단위로 결정되는 모든 시간 단위 및 상기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그룹화될 수 있는 모든 시간 단위 그룹이 본 발명에 전부 포함될 수 있다.
즉, 프로세스가 적용된 스케쥴러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복합단위 시간축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복합단위 시간축은 시간축을 생성함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그룹화하여 시간 순서대로 배열된 시간축을 의미한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추후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구체화될 것이다.
다음으로, 단계 S200에서 시간 단위 그룹 각각에 대응되는 프로세스가 결정된다. 시간축은 하나 이상의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그룹화된 복수의 시간 단위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단위 그룹 각각에 대응되는 프로세스가 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스는 제1 레벨 프로세스 및 제2 레벨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계층을 가지되, 제2 레벨 프로세스는 제1 레벨 프로세스보다 상위 프로세스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즉, 프로세스간의 계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스는 제1 레벨 및 제2 레벨뿐만 아니라 제n 레벨 프로세스로 확장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스의 계층은 프로세스의 진행 기간에 따라 구분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시 단위 프로세스, 일간 프로세스, 주간 프로세스, 월간 프로세스, 분기 프로세스 및 연간 프로세스 등으로 기간에 따라 프로세스의 계층이 구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본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세스의 계층은 프로세스의 포함 관계에 따라 구분되는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 프로세스가 a1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경우, A 프로세스가 상위 프로세스이고, a1 프로세스가 하위 프로세스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스의 계층화가 예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계층으로 프로세스를 구분하는 모든 방법이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시간 단위 그룹에 대응되도록 프로세스가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룹화의 기준이 된 시간 단위가 긴 그룹에 대응되는 프로세스의 경우 상위 계층의 프로세스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그룹화의 기준이 된 시간 단위가 짧은 그룹에 대응되는 프로세스의 경우 하위 계층의 프로세스로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300에서 결정된 프로세스가 시간 단위 그룹에 대응되도록 시간축과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생성된 시간축을 기준으로 프로세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든 방법이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모니터링 장치는 시간축을 적어도 둘 이상의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프로세스를 보다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시간축 생성 단계(S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의 일부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100이 구체화된다.
단계 S110에서, 기준 규칙에 따라 제1 일자 및 제2 일자가 결정된다. 여기서, 제1 일자 및 제2 일자는 특정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그룹화하기 위한 기간의 기준점이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시간축 생성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준일(11)인 오늘(2020년 11월 13일)이 도시된다. 오늘로 지정된 날짜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준일은 오늘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준일은 특정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그룹화하기 위한 기간의 기준점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후술될 기준 규칙에 따라 제1 일자(13)는 2020년 11월 9일, 제2 일자(15)는 2020년 11월 1일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일(11)을 기준으로 제1 일자(13)까지 1일 단위마다 그룹화하여 복수의 제1 시간 단위 그룹(21)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일자(13)를 기준으로 제2 일자(15)까지 1주 단위마다 그룹화하여 제2 시간 단위 그룹(23)이 생성될 수도 있다. 본 예시를 참조하면, 기준일(11)인 오늘, 제1 일자(13) 및 제2 일자(15)가 특정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그룹화하기 위한 기간의 기준점이 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축은 영업일을 기준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즉, 영업일이 아닌 토요일 및 일요일은 시간축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1 일자 및 제2 일자를 결정하는 기준 규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준 규칙에 따라 제1 일자 또는 제2 일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관심 프로세스의 종료 일자이되, 기준일로부터 최소 거리의 일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관심 프로세스의 시작 일자이되, 기준일로부터 최소 거리의 일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특정 프로세스의 종료 또는 시작 일자로 제1 일자가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연간 프로세스의 종료 또는 시작 일자로 제1 일자가 결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일자의 결정과 제2 일자의 결정시 기준이 되는 관심 프로세스가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관심 프로세스는 고정된 것이 아닌, 그룹화의 기준이 되는 시간 단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프로세스의 종료 또는 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기간이 나뉘어, 서로 다른 시간 단위가 적용된 복합단위 시간축 상에 프로세스가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직관적으로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심 프로세스의 결정에 있어서, 시간 단위를 고려함으로써, 특정 시간 단위 그룹에 적합한 프로세스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준 규칙에 따라 제1 일자 또는 제2 일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기준일에 개별 프로세스의 조회수를 얻어, 조회수가 기준치 이하인 프로세스의 프로세스 시작 일자 중 기준일로부터 최소 거리의 일자로 제1 일자 또는 제2 일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회수가 기준치 이하인 프로세스의 프로세스 종료 일자 중 기준일로부터 최소 거리의 일자로 제1 일자 또는 제2 일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스의 조회수는 프로세스의 상세 내역을 확인하는 사용자들의 입력이 합산된 수를 의미한다.
여기서, 기준치는 고정된 값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별로 달리 결정된 고정된 값일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로세스의 조회수에 의해 동적으로 결정된 값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준일은 오늘이고, 프로세스는 일일 프로세스인 경우, 오늘 기준으로 일자별 일일 프로세스의 조회수를 얻어 조회수가 제1 기준치 이하이고, 오늘로부터 최소 거리인 일자로 제1 일자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오늘 기준으로 일자별 일일 프로세스의 조회수를 얻어 조회수가 제2 기준치 이하이고, 오늘로부터 최소 거리의 일자로 제2 일자가 결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일자의 결정과 제2 일자의 결정시 기준치가 달라질 수도 있다.
본 예시에 따르면, 일일 프로세스의 조회수가 기준치 이하인 날을 기준으로 시간축을 구분하여, 그 이전 기간과 그 이후 기간을 각기 다른 시간 단위마다 그룹화함으로써,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일자별 일일 프로세스의 조회수가 기준치 이하인 날 이전의 프로세스는 월간 프로세스로, 그 이후의 프로세스는 일간 프로세스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관심에서 멀어진 기간의 프로세스는 압축적으로 표현되고,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기간의 프로세스는 세세하게 표현된 스케쥴러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본 예시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준 규칙에 따라 제1 일자 또는 제2 일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기준일로부터 거리가 기준치 이하인 일자는 제1 일자 또는 제2 일자의 결정에서 제외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일자의 결정에 있어서 기준일과 가까운 일자는 제외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1월 시간 단위마다 그룹화하여 시간축을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기준일로부터 1월 이내의 거리의 일자는 제외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120에서, 기준일을 기준으로 제1 일자까지의 시간 단위를 제1 시간 단위마다 그룹화하여 제1 시간 그룹이 생성되고, 단계 S130에서, 제1 일자를 기준으로 제2 일자까지의 시간 단위를 제2 시간 단위마다 그룹화하여 제2 시간 그룹이 생성되고, 단계 S140에서, 제1 시간 단위 그룹 및 제2 시간 단위 그룹이 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된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기로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시간 단위는 제1 시간 단위보다 긴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일을 기준으로 제1 일자까지의 기간을 보다 짧은 시간 단위로 그룹화하여 프로세스를 보다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그룹화된 제1 시간 단위 그룹에 대응되도록 제1 레벨 프로세스가 결정되고, 제2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그룹화된 제2 시간 단위 그룹에 대응되도록 제1 레벨 프로세스의 상위 프로세스인 제2 레벨 프로세스가 결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 단위 그룹에 대응되도록 프로세스가 결정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준일(11)인 오늘을 기준으로 결정된 제1 일자(13)까지의 시간 단위를 1일마다 그룹화하여 복수의 제1 시간 그룹(21)이 생성되고, 제1 일자(13)를 기준으로 결정된 제2 일자(15)까지의 시간 단위를 1주마다 그룹화하여 제2 시간 그룹(23)이 생성된다. 여기서, 시간 순서에 따라, 생성된 그룹이 시간축에 배열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시간축 생성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준일(11)인 오늘을 기준으로 결정된 제1 일자(13)까지의 시간 단위를 1주마다 그룹화하여 복수의 제1 시간 그룹(21)이 생성되고, 제1 일자(13)를 기준으로 결정된 제2 일자(15)까지의 시간 단위를 1월마다 그룹화하여 제2 시간 그룹(23)이 생성된다. 여기서, 시간 순서에 따라 생성된 그룹이 시간축에 배열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기준일을 기준으로 기준일 이전과 이후의 시간축이 생성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준 규칙에 따라 제3 일자가 결정되고, 제1 일자 및 제2 일자가 기준일 이후의 일자이면, 제3 일자는 기준일 이전의 일자이고, 제1 일자 및 제2 일자가 기준일 이전의 일자이면, 제3 일자는 기준일 이후의 일자일 수 있다. 여기서, 기준일을 기준으로 제3 일자까지의 시간 단위를 제3 시간 단위마다 그룹화하여 제3 시간 단위 그룹이 생성되고, 제1 시간 단위 그룹, 제2 시간 단위 그룹 및 제3 시간 단위 그룹이 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되어 시간축이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일을 기준으로 기준일 이전과 이후의 시간축이 모두 생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시간 단위는 제1 시간 단위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기준일을 기준으로 제3 일자와 제1 일자까지의 기간이 동일한 시간 단위마다 그룹화 되어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프로세스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준일(11)인 오늘을 기준으로 결정된 제1 일자(13)까지의 시간 단위를 1일마다 그룹화하여 복수의 제1 시간 그룹(21)이 생성되고, 기준일(11)인 오늘을 기준으로 결정된 제3 일자(17)까지의 시간 단위를 1주마다 그룹화하여 복수의 제3 시간 그룹(25)이 생성되고, 제1 일자(13)를 기준으로 결정된 제2 일자(15)까지의 시간 단위를 1주마다 그룹화하여 제2 시간 그룹(23)이 생성된다. 여기서, 시간 순서에 따라 생성된 그룹이 시간축에 배열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시간축이 확장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준 규칙에 따라 제4 일자가 결정되고, 제2 일자를 기준으로 제4 일자까지의 시간 단위를 제4 시간 단위마다 그룹화하여 제4 시간 단위 그룹이 생성되고, 제1 시간 단위 그룹, 제2 시간 단위 그룹, 및 제4 시간 단위 그룹이 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되어 시간축이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축이 확장되어 보다 다양하게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4 시간 단위는 제2 시간 단위보다 긴 것일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준일(11)인 오늘을 기준으로 결정된 제1 일자(13)까지의 시간 단위를 1일마다 그룹화하여 복수의 제1 시간 그룹(21)이 생성되고, 제1 일자(13)를 기준으로 결정된 제2 일자(15)까지의 시간 단위를 1주마다 그룹화하여 제2 시간 그룹(23)이 생성되고, 제2 일자(15)를 기준으로 결정된 제4 일자(19)까지의 시간 단위를 1월마다 그룹화하여 복수의 제4 시간 그룹(27)이 생성된다. 여기서, 시간 순서에 따라 생성된 그룹이 시간축에 배열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는 시간축 생성 방법은, 기준 규칙에 의해 결정된 제n 일자로 구분되는 기간을 다양한 시간 단위마다 그룹화하여, 시간축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예시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준일을 기준으로 기준일 이전과 이후의 시간축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기준 규칙에 의해 결정될 제n일자는 확장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될 수 있는 시간축의 예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9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시간축 생성 방법에 의해 생성된 시간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준일(11)을 기준으로, 생성된 시간축이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번주 그룹(12) 및 이번달 그룹(14)이 추가되어 시간축이 생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스케쥴러를 제공하기 위해 이번주 그룹(12) 및 이번달 그룹(14)이 시간축에 추가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준일(11)은 2020년 3월 13일이고, 이번주는 3월의 2주차이며, 이번달은 3월이다. 생성된 시간축은 영업일을 기준으로 생성되었다. 2020년 2월 3일부터 28일까지의 기간은 1월 시간 단위(35)로 그룹화되어 도시된다. 2020년 3월 2일부터 6일까지의 기간은 1주 시간 단위(33)로 그룹화되어 도시된다. 2020년 3월 9일부터 13일까지의 기간은 1일 시간 단위(31)로 그룹화되어 도시된다. 2020년 3월 16일부터 31일까지의 기간은 1주 시간 단위(33)로 그룹화되어 도시된다. 2020년 4월 1일부터 29일까지의 기간은 1월 시간 단위(35)로 그룹화되어 도시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스케쥴러를 제공하기 위해, 이번주 그룹(12) 및 이번달 그룹(14)이 추가 배열되어 시간축이 생성된다.
도 9는 또 다른 예시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준일(11)을 기준으로, 생성된 시간축이 도시된다.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번주 그룹(12) 및 이번달 그룹(14)이 도시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준일(11)은 2020년 6월 25일이고, 이번주는 6월의 4주차이며, 이번달은 6월이다. 생성된 시간축은 영업일을 기준으로 생성되었다. 2019년의 기간은 1분기 시간 단위(37)로 그룹화되어 도시된다. 2020년 1월부터 5월까지의 기간은 1월 시간 단위(35)로 그룹화되어 도시된다. 2020년 6월 1일부터 19일까지의 기간은 1주 시간 단위(33)로 그룹화되어 도시된다. 2020년 6월 22일부터 7월 3일까지의 기간은 1일 시간 단위(31)로 그룹화되어 도시된다. 2020년 7월 6일부터 7월 31일까지의 기간은 1주 시간 단위(33)로 그룹화되어 도시된다. 2020년 8월부터 12월까지의 기간은 1월 시간 단위(35)로 그룹화되어 도시된다. 도 8 내지 도 9에서 예시된 시간축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는 프로세스의 계층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된 것처럼, 프로세스는 계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레벨 프로세스(45), 제2 레벨 프로세스(43) 및 제3 레벨 프로세스(41)가 도시된다. 제3 레벨 프로세스(41)는 제2 레벨 프로세스(43)를 포함하고, 제2 레벨 프로세스(43)는 제1 레벨 프로세스(4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는 앞서 설명된 것처럼, 포함관계에 의해 계층이 구분될 수 있고, 프로세스의 진행 기간에 의해 계층이 구분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3 레벨 프로세스(41)는 연간 프로세스, 제2 레벨 프로세스(43)는 월간 프로세스, 제1 레벨 프로세스(45)는 일일 프로세스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3 레벨 프로세스(41)는 A 제품 생산 프로세스, 제2 레벨 프로세스(43)는 A 제품의 부품인 a1의 생산 프로세스, 제1 레벨 프로세스(45)는 생산된 a1 부품의 허용오차 검증 프로세스일 수도 있다. 다만, 본 예시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계층 구조 프로세스를 가지는 모든 방법이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1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시간축과 함께 프로세스가 디스플레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벨 프로세스가 제1 시간 단위 그룹에 대응되도록 제1 레이어에 시간축과 함께 디스플레이되고, 제2 레벨 프로세스가 제2 시간 단위 그룹에 대응되도록 제2 레이어에 시간축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레벨 프로세스와 제2 레벨 프로세스는 포함관계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 단위 그룹에 대응되도록 프로세스가 레이어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프로세스를 확인하는 사용자의 사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시간 단위가 1일 기준으로 그룹화된, 제1 시간 단위 그룹에 대응되도록 제1 레벨 프로세스(45)가 제1 레이어(55)에 디스플레이된다. 시간 단위가 1월 기준으로 그룹화된, 제2 시간 단위 그룹에 대응되도록 제2 레벨 프로세스(43)가 제2 레이어(53)에 디스플레이된다. 시간 단위가 1분기 기준으로 그룹화된, 제3 시간 단위 그룹에 대응되도록 제3 레벨 프로세스(41)가 제3 레이어(51)에 디스플레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시간 단위 그룹에 대응되는 레벨의 프로세스 외에 다른 레벨의 프로세스가 상기 시간 단위 그룹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1월 기준으로 그룹화된, 제2 시간 단위 그룹에 대응되는 프로세스는 제2 레벨 프로세스(43)이다. 다만, 1월 기준으로 그룹화된 기간에 해당하는 프로세스임에도, 예외적 프로세스(47)는 제1 레벨 프로세스(45)와 동일한 제1 레이어(55)에 디스플레이된다.
본 예시에 따르면, 예외적 프로세스(47)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특정 상위 프로세스에 포함된 하위 프로세스 전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프로세스의 전체 과정이 제공되는 스케쥴러를 통해 프로세스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에 따르면, 예외적 프로세스(47)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구간에 걸쳐있는 프로세스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5월 마지막 주 및 6월 첫 주에 걸쳐 진행되는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스를 동일한 레벨의 프로세스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구간에 걸쳐있는 프로세스를 하나의 레벨로 확인하여, 보다 직관적으로 프로세스를 인식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어느 하나의 레벨의 프로세스가 서로 다른 시간 단위로 그룹화된 복수의 시간 단위 그룹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1일 기준으로 그룹화된 그룹과 1주 기준으로 그룹화된 그룹이 모두 제1 레벨 프로세스(45)에 대응된다. 본 예시에 따르면, 계층화된 프로세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다양한 방법이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직관적으로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준일(11)에 가까워질수록 하위 계층 프로세스를 디스플레이하고, 기준일(11)에 멀어질수록 상위 계층 프로세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기준일(11)에 가까워질수록 하위 계층 프로세스가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는 기준일(11)과 가까운 기간에 수행해야 할 프로세스를 보다 세밀하게 확인할 수 있고, 기준일(11)에 멀어질수록 상위 계층 프로세스가 디스플레이됨으로써, 기준일(11)과 먼 기간에 수행해야 할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간에 따라 진행되는 프로세스를 보다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은, 시간축을 구분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시간 단위로 그룹화하고, 생성된 그룹을 시간 순서대로 배열하여 하나의 화면에서 시 단위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일간 프로세스, 주간 프로세스, 월간 프로세스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스 속성에 따라 시간축을 구분하는 기준점이 결정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의미있는 형태로 프로세스를 가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응용분야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모니터링 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15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모니터링 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1500)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10), 버스(1550), 통신 인터페이스(1570), 프로세서(15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59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530)와, 컴퓨터 프로그램(1591)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5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 요소들 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510)는 컴퓨팅 장치(15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5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5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53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590)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591)을 로드 할 수 있다. 메모리(153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1550)는 컴퓨팅 장치(15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55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570)는 컴퓨팅 장치(15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57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57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인터페이스(157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159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591)과 각종 데이터를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59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91)은 메모리(1530)에 로드 될 때 프로세서(1510)로 하여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경우, 컴퓨팅 장치(1500)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모니터링 장치(100)가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을 언급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 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 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발명이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시간 단위로 표시된 복수의 시간 구간이 시계열적으로 배열되는 시간축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시간축을 기준으로 표시할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시간 구간 중 상기 프로세스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의 시간 단위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스를 디스플레이할 프로세스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간축을 생성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프로세스 레벨로 상기 프로세스를 상기 시간축을 따라 시계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시간축을 표시하는 단계는,
    기준일과 멀어진 일자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을, 상기 기준일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의 시간 단위보다 더 큰 시간 단위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축을 생성하는 단계는,
    기준 규칙에 따라 제1 일자 및 제2 일자를 결정하는 단계;
    기준일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일자까지의 시간 단위를 제1 시간 단위마다 그룹화하여 제1 시간 단위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일자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일자까지의 시간 단위를 상기 제1 시간 단위보다 긴 제2 시간 단위마다 그룹화하여 제2 시간 단위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간 단위 그룹 및 상기 제2 시간 단위 그룹을 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규칙에 따라 제1 일자 및 제2 일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기준일에 획득된 개별 프로세스의 조회수를 이용하여, 상기 조회수가 기준치 이하인 프로세스의 시작 또는 종료 일자를 상기 제1 일자 및 상기 제2 일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규칙에 따라 제3 일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일을 기준으로 상기 제3 일자까지의 시간 단위를 제3 시간 단위마다 그룹화하여 제3 시간 단위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간 단위 그룹, 상기 제2 시간 단위 그룹 및 상기 제3 시간 단위 그룹을 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일자 및 상기 제2 일자가 상기 기준일 이후의 일자이면, 상기 제3 일자는 상기 기준일 이전의 일자이고, 상기 제1 일자 및 상기 제2 일자가 상기 기준일 이전의 일자이면, 상기 제3 일자는 상기 기준일 이후의 일자인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규칙에 따라 제4 일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일자를 기준으로 상기 제4 일자까지의 시간 단위를 상기 제2 시간 단위보다 긴 제4 시간 단위마다 그룹화하여 제4 시간 단위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간 단위 그룹, 상기 제2 시간 단위 그룹 및 상기 제4 시간 단위 그룹을 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규칙에 따라 제1 일자 및 제2 일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관심 프로세스의 시작 또는 종료 일자를 상기 제1 일자 및 상기 제2 일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규칙에 따라 상기 제1 일자 및 제2 일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기준일로부터 거리가 기준치 이하인 일자는 상기 제1 일자 및 제2 일자의 결정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간 구간 중 상기 프로세스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의 시간 단위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스를 디스플레이할 프로세스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스의 진행 기간에 따라 상기 프로세스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간 구간 중 상기 프로세스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의 시간 단위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스를 디스플레이할 프로세스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스의 포함 관계에 따라 상기 프로세스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10.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서로 다른 시간 단위로 표시된 복수의 시간 구간이 시계열적으로 배열되는 시간축을 표시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상기 시간축을 기준으로 표시할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복수의 시간 구간 중 상기 프로세스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의 시간 단위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스를 디스플레이할 프로세스 레벨을 결정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시간축을 생성하는 인스트럭션; 및
    결정된 상기 프로세스 레벨로 상기 프로세스를 상기 시간축을 따라 시계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되,
    상기 시간축을 표시하는 인스트럭션은,
    기준일과 멀어진 일자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을, 상기 기준일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의 시간 단위보다 더 큰 시간 단위로 표시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고,
    상기 시간축을 생성하는 인스트럭션은,
    기준 규칙에 따라 제1 일자 및 제2 일자를 결정하는 인스트럭션;
    기준일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일자까지의 시간 단위를 제1 시간 단위마다 그룹화하여 제1 시간 단위 그룹을 생성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제1 일자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일자까지의 시간 단위를 상기 제1 시간 단위보다 긴 제2 시간 단위마다 그룹화하여 제2 시간 단위 그룹을 생성하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제1 시간 단위 그룹 및 상기 제2 시간 단위 그룹을 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규칙에 따라 제1 일자 및 제2 일자를 결정하는 인스트럭션은,
    기준일에 획득된 개별 프로세스의 조회수를 이용하여, 상기 조회수가 기준치 이하인 프로세스의 시작 또는 종료 일자를 상기 제1 일자 및 상기 제2 일자로 결정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모니터링 장치.
KR1020200112850A 2020-09-04 2020-09-04 복합단위 시간축을 적용한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434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850A KR102434579B1 (ko) 2020-09-04 2020-09-04 복합단위 시간축을 적용한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850A KR102434579B1 (ko) 2020-09-04 2020-09-04 복합단위 시간축을 적용한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199A KR20220031199A (ko) 2022-03-11
KR102434579B1 true KR102434579B1 (ko) 2022-08-22

Family

ID=8081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850A KR102434579B1 (ko) 2020-09-04 2020-09-04 복합단위 시간축을 적용한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5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8150A (ja) * 2002-11-26 2004-06-24 Hitachi Ltd 生産プロセスマネジメント・チャートによる統合生産管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9080530A (ja) * 2007-09-25 2009-04-16 Class Technology Co Ltd 統合化部品表作成システムおよび統合化部品表作成方法
JP2015090507A (ja) * 2013-11-05 2015-05-11 株式会社イースティル チャート表示装置、チャート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チャート表示システム
JP2016021092A (ja) * 2014-07-11 2016-02-04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JP6658863B2 (ja) * 2016-03-09 2020-03-04 富士通株式会社 製造プロセスの可視化プログラム、製造プロセスの可視化方法および製造プロセスの可視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8150A (ja) * 2002-11-26 2004-06-24 Hitachi Ltd 生産プロセスマネジメント・チャートによる統合生産管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9080530A (ja) * 2007-09-25 2009-04-16 Class Technology Co Ltd 統合化部品表作成システムおよび統合化部品表作成方法
JP2015090507A (ja) * 2013-11-05 2015-05-11 株式会社イースティル チャート表示装置、チャート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チャート表示システム
JP2016021092A (ja) * 2014-07-11 2016-02-04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JP6658863B2 (ja) * 2016-03-09 2020-03-04 富士通株式会社 製造プロセスの可視化プログラム、製造プロセスの可視化方法および製造プロセスの可視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199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1660B2 (en) Orbit visualization animation
US10656789B2 (en) Locating event on timeline
US9665348B1 (en) Customizable, dual-format presentation of information about an object in an interactive programming enviornment
WO2020253059A1 (zh) 多级联动下拉框的实现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US106920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hronological timesheet
US9383913B2 (en) Touch screen device data filtering
US9324060B2 (en) Displaying a plurality of calendar entries
EP2801898A1 (en) Quick Time-Related Data Entry
KR20160023693A (ko) Crm 애플리케이션과 스프레드시트 애플리케이션의 양방향성 통합을 통한 임베디드 경험 제공 기법
US9571595B2 (en) Employment of presence-based history information in notebook application
CN114185874A (zh) 一种基于大数据的建模方法、装置、开发框架及设备
US9250760B2 (en) Customizing a dashboard responsive to usage activity
KR102434579B1 (ko) 복합단위 시간축을 적용한 프로세스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N114764296A (zh) 机器学习模型训练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300045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user-defined metrics
CN111309712A (zh) 基于数据仓库的优化任务调度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462689B1 (ko) 복합단위 시간축을 적용한 그래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20150081356A1 (en) Dynamic multi-dimensional business reports
KR102431032B1 (ko) 복합단위 시간축을 적용한 재고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N109683883B (zh) 一种流程图设计方法及装置
US11120058B2 (en) Generating and providing stacked attribution breakdowns within a stacked attribution interface by applying attribution models to dimensions of a digital content campaign
US110933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desktop analytics triggers
US20150046439A1 (en) Determining Recommendations In Data Analysis
US202201009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producing a form
WO201708281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workflows for analysing large data s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