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115B1 -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 - Google Patents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115B1
KR102434115B1 KR1020210053635A KR20210053635A KR102434115B1 KR 102434115 B1 KR102434115 B1 KR 102434115B1 KR 1020210053635 A KR1020210053635 A KR 1020210053635A KR 20210053635 A KR20210053635 A KR 20210053635A KR 102434115 B1 KR102434115 B1 KR 102434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drum
unit
circulation
rotat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053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 F25C1/14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outer walls of cooled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2Geometry probl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가 개시된다.
드럼유닛(10)과 냉각순환유닛(20)과 누설방지유닛(30)과 커버유닛(40)을 포함하는 드럼식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냉매순환유닛(20)의 회수관(24)은 흡입바디(244)와, 배출바디(243)와,연결부재(25)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바디(21)는 제2순환바디(21b)와, 제1순환바디(21a)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방지유닛(30)은 베어링(31), 제1밀폐부재(37),제1간격부재(341),제2간격부재(342),제1캡부(32),제2캡부(33),밀폐부재(38),O링(36)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밀폐부재(37)는 접촉부재(371), 탄압부재(372)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재(38)는 몸체를 이루는 바디부(381), 실링홈(383), 날개부(384), 접촉개구부(385), 실링부재(382)를 포함하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Cooling structure of drum type ice maker with improved cooling efficiency}
본 발명은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에 관한 것으로, 드럼바디의 내부에 충진되는 냉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공급냉매가 회전하는 드럼유닛에 도달하기전 냉매순환유닛의 순환바디상에서 냉각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함에 의하여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식 제빙기는 가정이나 매장에서 팥빙수나 아이스크림 재료로 사용되는 설빙(가루얼음)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드럼식 제빙기는 상면에 설치된 원료수 급수조로부터 원료수가 공급되고, 공급되는 원료수는 제빙수조에 일시 저장된다. 그러면, 드럼식 제빙기는 제빙수조에 외주면의 일부가 잠긴 상태로 회전하는 원통형의 제빙드럼과, 제빙드럼을 지지하면서 제빙드럼의 내부로 냉매를 분사하는 냉매관과, 제빙드럼 내에 분사된 냉매를 회수하는 회수관과, 제빙드럼의 외주면에 얼어붙은 얼음을 깍아내는 절삭부재와, 제빙드럼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이들을 감싸는 외부케이싱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빙드럼과 냉매관 사이에는 제빙드럼 내부의 냉매가스가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밀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실링장치가 설치된다.
하지만, 이러한 실링장치의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 제빙드럼 내부의 냉매가 누설되고, 제빙기의 제빙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 회전하는 드럼유닛의 일부는 냉매순환유닛과의 관통부분에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제1밀폐부재,베어링장착용 링부재, 슬라이더, 슬라이더 사이에 넣어지고 조여지는 제1밀폐부재와 나사맞춤용 조임부재등을 구성하고 있지만, 냉매순환유닛을 관상으로 중심에 두고 그 외측에서 회전하는 드럼측에서 연장된 회전관부와의 사이에 각종 냉매 누설 방지수단이 여러 방식으로 조립,설치되고 있지만, 누설방지를 위한 기능없이 슬라이더와 같은 불필요한 부품수가 지나치게 많은 구조로 인하여 제조과정에서 조립방식이 복잡하여 고난도 조립공정의 전문 기술자가 필요하고, 조립 상태에서 매우 많은 부품들이 중공형의 관내에 슬라이더,스토퍼,스냅링등의 누설방지용 실링부재를 고정함에 필요한 수단등이 과잉 삽입되어 있고, 드럼식 제빙기 운용과정에서 누설여부등을 살펴보려면 일일히 분해하여야 하는 데 분해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부품들로 인하여 조립,분해등의 수리시간이 불필요하게 소요되고, 회전관부와 순환바디사이에 불필요한 부품들로 인하여 회전력이 저하되고, 누설방지부재외에 슬라이더와 같은 부품들로 인하여 마찰력이 증가되고, 부품의 마모로 인하여 이물질의 발생이 잦고, 고장율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왔다.
1. 10-2146977호(2020. 08.21 공고) 2. 20-0484842(2017. 11. 01 공고) 3. 10-2007367(2019. 11.04 공고) 4. 10-1555862호(2015. 09. 30 공고)
1. 10-2016-0099938호(2016. 08.23 공개) 2. 10-2016-133339호(2016. 11. 22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는 냉매순환유닛의 순환바디와 회전관부의 사이의 냉매유입로상에서 냉매가 순환바디상으로 냉각열이 전달되도록 하는 동시에 냉매유입로상에서 순환바디상으로 냉각열이 전달되는 구조를 개선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는 누설방지유닛의 부품수를 대폭 줄인 누설방지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함과 아울러 본 발명은 누설방지구조를 간단한 조립구조 함과 아울러 조립구조도 단순화하여 누구나 간단히 해체, 조립이 간편하게 되는 누설방지유닛을 갖는 드럼 제빙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함과 아울러 본 발명은 밀폐부재 사용시 발생하던 밀폐부재의 조립,체결 구조가 아닌 단순한 삽입만으로도 밀폐부재의 누설방지기능이 달성되어 누설없는 냉매로서 냉가효율이 개선되도록 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는, 드럼식 제빙기에 있어서,
밀폐된 원통형 공간을 이루되 내부에 냉매가 채워져 냉각열이 전달되어 외주면에 얼음이 생성되는 드럼바디, 드럼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제1지지판, 드럼바디의 타측에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제2지지판, 제2지지판의 중심측에서 드럼바디의 내부 공간과 외부 사이에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관부를 구비한 드럼유닛;
상기 드럼바디의 외주면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상기 드럼유닛의 내부로 냉매를 공급하도록 상기 회전관부의 내측과 드럼유닛의 내부에 걸쳐 설치되는 순환바디와, 이 순환바디의 내부에 끼움 결합되는 회수관으로 이루어진 냉매순환유닛;
상기 냉매순환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드럼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그 사이를 밀폐시키는 누설방지유닛;및
상기 드럼유닛의 양측 외부를 커버하는 커버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냉매순환유닛의 상기 회수관은,
냉매가 회수되는 흡입홀이 구비되고, 회수관의 회수홀에 연통하는 흡입바디;
상기 회수홀로 회수되는 냉매를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회수관의 타단에 설치되는 배출바디; 및 이 배출바디에 나사맞춤 결합되는 배출호스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바디는,
상기 누설방지유닛의 상기 회전관부에 삽입되고, 회수로가 구비되는 회수관을 끼움 결합하여 드럼바디의 내측으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제2순환바디;
상기 제2순환바디의 연결부와 결합하여 상기 누설방지유닛의 회전관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회수관을 관설(管設,관방향 설치)하여 냉매유입로를 형성하는 제1순환바디;및 상기 제1순환바디의 선단측 공급홀에 설치되는 제1,제2연결부재로 이루어진 냉매 공급용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방지유닛은,
상기 제1순환바디의 일측에서 회전관부가 슬립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제1삽착부에 삽착되는 베어링; 상기 제1순환바디와 회전관부 사이에서 냉매의 누설을 차단하도록 안착홈과 제3삽착부 사이에 중첩 설치되는 제1밀폐부재; 상기 제1순환바디가 회전관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회전관부의 제2삽착부에 삽착되는 제1간격부재; 상기 제1순환바디가 회전관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회전관부의 제4삽착부에 삽착되는 제2간격부재; 상기 제1순환바디의 일측 제2커버유닛 내측에서 회전관부 사이의 누설을 차단함과 아울러 나사맞춤 결합으로 제1삽착부에 삽착되는 제1캡부; 상기 제1순환바디의 타측 드럼유닛 내부에서 회전관부로의 냉매 유입을 차단함과 아울러 나사맞춤 결합으로 제5삽착부에 삽착되는 제2캡부; 상기 제1캡부와, 제2캡부의 결합시 냉매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제1캡부에 삽착되는 밀폐부재; 및 상기 제1캡부와,제2캡부의 결합시 누설을 방지하도록 삽입되는 O링;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밀폐부재는,
상기 회전관부에 접촉하여 슬립하도록 제1순환바디의 안착홈사이에 설치되는 접촉부재; 상기 제1순환바디의 안착홈에서 상기 접촉부재측에 탄압지지되는 탄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재는,
몸체를 이루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실링홈;
상기 실링홈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 상기 날개부 사이에서 회전관부와 슬립,접촉하는 접촉개구부; 및 상기 실링홈에 넣어지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 제빙기의 냉각구조로서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는,
상기 제1순환바디 내주면에 냉매체류공간를 형성하여 회수관과의 사이에 냉매유입로와 연통하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 제빙기의 냉각구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는,
상기 제1순환바디 내주면에서 냉매의 순환시 회전관부측으로 냉각열이 전달되도록 제1순환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는 냉매체류공간; 상기 냉매체류공간으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냉매유입로에 형성한 미세안내부; 상기 미세안내부의 전방에서 냉매체류공간측으로 냉매를 안내하는 유입로; 및 상기 미세안내부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배출로;를 포함하여 냉매유입로상으로 냉매가 공급될 때에 냉매체류공간에 유입된 냉매가 배출로로 유입되는 특징을 갖는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 제빙기의 냉각구조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는,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드럼유닛의 제1지지판의 중심 회전축상에 제1지지판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내부에 설치하고 그 외부를 커버하되 제1지지판을 구동하도록 내측에서 구동축으로 연결하되 베어링,축수브라켓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커버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의 제2지지판측에서 내부 냉매공급용 호스,냉매배출용 호스등을 보호하도록 밀폐된 커버를 이루되,커버에서 연장된 일측 벽부와 상기 구동유닛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관부에 볼베어링을 개재한 축수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제2커버유닛으로 이루어져 드럼유닛의 양측에 설치된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 제빙기의 냉각구조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는,
상기 드럼바디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여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제1지지판의 중심에 구비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과 동축으로 배치되고 냉매순환유닛이 누설방지유닛의 사이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2지지판의 중심에 구비되는 통 형상의 회전관부;를 포함하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 제빙기의 냉각구조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르는 본 발명은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는 냉매순환유닛의 순환바디와 회전관부의 사이의 냉매유입로상에서 냉매가 순환바디상으로 냉각열이 전달되도록 하는 동시에 냉매유입로상에서 순환바디상으로 냉각열이 전달되는 구조를 개선하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는 누설방지유닛의 부품수를 대폭 줄인 냉각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는 조립구조를 단순화하여 간단히 해체, 조립이 가능하게 하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는 실링부재의 조립,체결 구조가 아닌 단순한 삽입만으로도 누설방지기능이 달성되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냉각효율이 개선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는 냉매순환유닛을 통과하는 냉매의 낮은 온도(냉각열)에 의해 회전관부가 쉽게 냉각되고, 그로 인하여 회전중인 회전관부로 결합된 드럼유닛에서 냉각열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드럼유닛의 내부에 냉매를 분사만 하면 냉각열을 빼앗김없이 드럼바디만의 외주면 제빙수를 쉽게 얼어붙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는 회전관부와 접촉하는 밀폐부재가 탄성부재로서 슬립에 의해 움직임없이 단순 체결 고정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종래 실링부재의 날개를 지지함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도록 간단한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는 종래와 달리 냉매순환유닛의 회전관부의 내측에 별다른 부품들이 포함되지 않은 단순한 냉각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는 누설방지유닛과 냉매순환유닛 사이에 슬라이더,밀폐부재를 가압하여 장착하기 위한 압착부재등의 부품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가 적용된 드럼식 제빙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를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에서 냉각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에 적용된 제1밀폐부재의 설치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에 적용된 제1밀폐부재의 다른 실시 예의 설치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의 밀폐부재의 설치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분리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를 나타내는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알려진 기술 혹은 구조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가 적용된 드럼식 제빙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를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에서 냉각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이고,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에 적용된 제1밀폐부재의 설치확대도이고,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에 적용된 제1밀폐부재의 다른 실시 예의 설치확대도이고,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의 밀폐부재의 설치 확대도이다.
이 도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는 크게 드럼유닛(10), 냉매순환유닛(20), 누설방지유닛(30), 커버유닛(40)으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럼유닛(10)은 밀폐된 원통형 공간을 이루되 내부에 냉매가 채워져 냉각열이 전달되어 외주면에 얼음이 생성되는 드럼바디(11)를 형성하고, 드럼바디(11)의 일측에는 원판 형상의 제1지지판(12)이, 드럼바디(11)의 타측에는 원판 형상의 제2지지판(13)이 각각 원통형의 양측벽을 형성하며, 이러한 드럼유닛(10)의 제2지지판(13)의 중심측에는 드럼바디(11)의 내부 공간에서 일측으로 외부와의 사이에 관통되는 회전관부(14)를 형성하여 드럼유닛(10)과 함께 회전된다.
냉매순환유닛(20)은 도 2와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럼바디(11)의 외주면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드럼유닛(10)의 내부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하여 회전관부(14)내부에 관설되는 순환바디(21)를 구비하고, 이 순환바디(21) 내부에는 냉각열의 열전달이 끝난 냉매 회수관(24)이 파이프 상태로 끼움 결합된다.
순환바디(21)는 드럼유닛(10)내측에서 공급냉매를 드럼바디(11)측에 분사공(219)에서 분사하여 드럼바디(11) 외측면을 냉각시켜 제빙수를 얼음으로 생성하게 되는 제2순환바디(21b)와, 회전관부(14)의 내부 중심부에 파이프상태로 설치되는 제1순환바디(21a)로 구분되며,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 부분이 나사맞춤으로 결합 연결된 형태를 갖는다. 결합시에는 제1순환바디(21a)의 제2연결홈부(214)에 제2순환바디(21b)의 숫합연결부(217)가 나사맞춤으로 결합된다.
제2순환바디(21b)는 그 선단에 흡입부재(24)를 설치하는 암합연결부(216)을 제2순환바디(21b)의 형성하며, 타단은 중심 공간부(211)를 형성함과 아울러 외측으로 외경이 작아져 연결시 안으로 삽입되는 숫합연결부(217)를 이루고, 암합연결부(216)에는 흡입공(245)을 형성한 흡입부재(244)가 결합된다.
제1순환바디(21a)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매 공급용 제1,제2연결부재(261)(262)를 결합한 냉매 공급용 연결부재(26)가 설치되는 공급홀(212)을 일측 상방으로 공간부(211)에 관통되도록 형성하고, 일측은 제2순환바디(21b)의 숫합연결부(217)에 연결되는 암합연결부(214)를 형성하여 O링(36)을 사이에 끼운 상태로 제2순환바디(21b)의 숫합연결부(217)와 나사맞춤 결합되고, 타측은 회수부재(25)가 설치되는 배출바디(243)가 제1연결홈부(213)에 결합 설치된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순환바디(21a)는 그 선단측에 제1,제2연결부(261)(262)가 설치되는 공급홀(212)를 이루고, 회수관(24)과의 사이에 냉매유입로(22)를 형성할 수 있다. 냉매유입로(22)가 드럼유닛(10)내에서의 냉각열 전달을 위한 정확한 유입량을 갖기 위하여 배출바디(243)의 관경에 비례하는 간격을 설계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 설계된 냉매유입로(22)의 간격보다 충분히 더 벌어지게하여 통과홀(2312)을 형성한 미세안내부(231)을 설치할 수 있다. 미세안내부(231)의 형성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순환바디(21a) 내주면에서 냉매의 순환시 회전관부(14)측으로 냉각열이 전달되도록 냉매체류공간(234)을 제1순환바디(21a)의 내부에 형성하도록 하는 구성에 따른다. 구체적인 냉매체류공간(234)의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제1순환바디(21a)의 선단측 공급홀(212)에는 제1,제2연결부재(261)(262)로 이루어진 냉매 공급용 연결부재(26)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매호스와의 연결을 이룬다. 이러한 연결부재(26)의 냉매 누설은 물론 고열로 부터 보호됨과 아울러 화재시의 폭발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커버(40b)로서 보호되는 공간안에 설치된다.
회수관(24)은 냉매가 회수되는 흡입홀(245)이 구비되고, 회수관(24)의 회수홀(241)에 연통하는 흡입바디(244)와, 회수홀(241)로 회수되는 냉매를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회수관(24)의 타단에 설치되는 배출바디(243)와, 이 배출바디(243)에 나사맞춤 결합되는 배출호스 연결부재(25)로 이루어진다.
누설방지유닛(30)은 드럼유닛(10)과 제1순환바디(21a)의 연결부분에서 제2캡부(34)로서 마감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누설방지용 제2밀폐부재(38)와, 제2밀폐부재(38)를 통과한 누설 냉매를 다시 차단하도록 제1순환바디(21a)와 회전관부(14)사이에 설치되는 제1밀폐부재(37)들과, 제1밀폐부재(37)들을 통과한 누설 냉매는 다시 간격부재(34)와 베어링(31)를 이탈하지 않도록 끼워지는 제1캡부(32)에서 회전관부(14)와의 사이에 누설 냉매를 차단하기 위하여 제2밀폐부재(38)을 사이에 끼워 설치한다.
이러한 누설방지유닛(30)의 제1밀폐부재(37)은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마모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브라켓 형태로 이루어진 접촉부재(371)의 내측에 탄압부재(372)를 일체로 결합하여 제1순환바디(21a)상의 안착홈(215)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1밀폐부재(37)는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립홈(373)을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한 내마모성의 접촉부재(371)와, 이 접촉부재(371)을 탄압 지지하도록 안착홈(215)에 삽착 설치되는 탄압부재(372)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O링(36)은 제1,제2캡부(32)(33)의 나사맞춤 설치시 밀착 설치되며, 드럼유닛(10)의 제2지지판(13)측에 결합된 회전관부(14)와의 결합부분에 삽착되며,도시하지 않았으나, 앞에서 설명한 제1,제2밀폐부재(37)(38)와 함께 추가적으로 O링(36)을 더 삽입,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제2밀폐부재(38)는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체를 이루는 바디부(381)와, 바디부(381)의 반대면에 형성되어 실링부재(382)가 넣어지는 실링홈(383)과,이 실링홈(383)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384)와, 날개부(384)사이에서 회전관부(14)와 슬립,접촉하는 접촉개구부(385)를 이루어 상기 제1밀폐부재(37)가 설치된 부분은 물론, 누설을 차단할 수 있는 부분들에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의 누설방지유닛(30)를 위한 구조는 순환바디(21)와 회전관부(14)사이에서 삽착되는 베어링(31)과, 순환바디(21)와 회전관부(14)사이에서 베어링(31)을 사이에 넣고 삽착되는 제1캡부(32)와, 제1캡부(32)의 삽착시 상기 회전관부(14)와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2밀폐부재(38)와, 제1캡부(32)와 베어링(31)사이에 누설을 방지하도록 삽입되는 O링(36)과, 순환바디(21)와 회전관부(14)사이에서 회전관부(14)의 제2삽착부(143)에 삽착되는 제1간격부재(341)와, 순환바디(21)와 회전관부(14)사이에서 냉매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순환바디(21a)의 안착홈(215)와 회전관부(14)의 제3삽착부(144)사이에 삽착되는 제1밀폐부재(37)와, 순환바디(21)와 회전관부(14)사이에서 회전관부(14)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제3삽착부(145)에 삽착되는 제2간격부재(342)와, 드럼유닛(10) 공간측에서 순환바디(21a)사이의 냉매 누설을 방지하도록 제4삽착부(142)에 삽착되는 제2캡부(33)와, 상기 제2캡부(33)의 삽착시 상기 회전관부(14)와의 사이에서 냉매의 누설을 차단하도록 삽착되는 제2밀폐부재(38)와, 상기 제2캡부(33)와 순환바디(21a)타측사이에 누설을 방지하도록 삽입되는 O링(36)을 삽입 설치하여 회전중인 드럼유닛(10)은 물론 회전관부(14)의 내,외측에 접촉하는 모든 슬립 접촉하는 부분에서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커버유닛(40)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유닛(40)은 제1커버유닛(40a)과 제2커버유닛(40b)로 이루어진다.
제1커버유닛(40a)은 드럼유닛(10)의 제1지지판(12)의 중심 회전축상에 제1지지판(12)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내부에 설치하고 그 외부를 커버하되 제1지지판(12)을 구동하도록 내측에서 구동축으로 연결하되 베어링,축수브라켓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커버유닛(40b)은 구동유닛(10)의 제2지지판(13)측에서 내부 냉매공급용 호스,냉매배출용 호스등을 보호하도록 밀폐된 커버를 이루되,커버에서 연장된 일측 벽부(41)와 구동유닛(10)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관부(14)에 볼베어링(43)을 개재한 축수브라켓(42)으로 이루어진 제2커버유닛(40b)으로 실시 할 수 있다. 이들 제1,제2커버유닛(40a)(40b)은 드럼식 제빙기의 전체 케이싱을 나타내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을 개선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만을 커버하도록 드럼유닛(10)의 양측 외부를 커버하도록 도시하였다.
따라서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수관(24) 외측의 냉매유입로(22)를 통한 냉각열이 제1순환바디(21a)를 통하여 회전관부(14)에 전달되는 것이므로 종래 드럼유닛(10)내부에서의 냉각열만으로 드럼바디(11)측으로 전달되는 것에 비하여 같이 회전하는 회전관부(14)의 냉각과 함께 제2지지판(13)도 냉각이 되어 제2지지판(13)내,외측에서 냉각이 이루어지므로 냉각효율면에서 개선된 효과를 갖게 된다.
<실시 예 2>
첨부 도면중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분리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를 나타내는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는 전술한 실시 예1의 구성 대부분을 동일하게 실시하므로 첨부 도면중 도 1 내지 도 8에 따르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의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 예2에서 차이를 갖는 냉매체류부(23)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설명을 하기로 한다.
실시 예1에서 설명하는 드럼유닛(10)은 밀폐된 원통형 공간을 이루되 내부에 냉매가 채워져 냉각열이 전달되어 외주면에 얼음이 생성되는 드럼바디(11)를 형성하고, 드럼바디(11)의 일측에는 원판 형상의 제1지지판(12)이, 드럼바디(11)의 타측에는 원판 형상의 제2지지판(13)이 각각 원통형의 양측벽을 형성하며, 이러한 드럼유닛(10)의 제2지지판(13)의 중심측에는 드럼바디(11)의 내부 공간에서 일측으로 외부와의 사이에 관통되는 회전관부(14)를 형성하여 드럼유닛(10)과 함께 회전된다.
실시 예1에서 설명하는 냉매순환유닛(20)은 도 2와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럼바디(11)의 외주면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드럼유닛(10)의 내부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하여 회전관부(14)내부에 관설되는 순환바디(21)를 구비하고, 이 순환바디(21) 내부에는 냉각열의 열전달이 끝난 냉매 회수관(24)이 파이프 상태로 끼움 결합된다.
실시 예1에서 설명하는 순환바디(21)는 드럼유닛(10)내측에서 공급냉매를 드럼바디(11)측에 분사공(219)에서 분사하여 드럼바디(11) 외측면을 냉각시켜 제빙수를 얼음으로 생성하게 되는 제2순환바디(21b)와, 회전관부(14)의 내부 중심부에 파이프상태로 설치되는 제1순환바디(21a)로 구분되며,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 부분이 나사맞춤으로 결합 연결된 형태를 갖는다. 결합시에는 제1순환바디(21a)의 제2연결홈부(214)에 제2순환바디(21b)의 숫합연결부(217)가 나사맞춤으로 결합된다. 제2순환바디(21b)는 그 선단에 흡입부재(24)를 설치하는 암합연결부(216)을 제2순환바디(21b)의 형성하며, 타단은 중심 공간부(211)를 형성함과 아울러 외측으로 외경이 작아져 연결시 안으로 삽입되는 숫합연결부(217)를 이루고, 암합연결부(216)에는 흡입공(245)을 형성한 흡입부재(244)가 결합된다. 제1순환바디(21a)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매 공급용 제1,제2연결부재(261)(262)를 결합한 냉매 공급용 연결부재(26)가 설치되는 공급홀(212)을 일측 상방으로 공간부(211)에 관통되도록 형성하고, 일측은 제2순환바디(21b)의 숫합연결부(217)에 연결되는 암합연결부(214)를 형성하여 O링(36)을 사이에 끼운 상태로 제2순환바디(21b)의 숫합연결부(217)와 나사맞춤 결합되고, 타측은 회수부재(25)가 설치되는 배출바디(243)가 제1연결홈부(213)에 결합 설치된다. 실시 예1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순환바디(21a)는 그 선단측에 제1,제2연결부(261)(262)가 설치되는 공급홀(212)를 이루고, 회수관(24)과의 사이에 냉매유입로(22)를 형성할 수 있다. 냉매유입로(22)의 통과홀(2312)을 형성한 미세안내부(231)을 설치할 수 있다. 미세안내부(231)의 형성은 제1순환바디(21a) 내주면에서 냉매의 순환시 회전관부(14)측으로 냉각열이 전달되도록 냉매체류공간(234)을 제1순환바디(21a)의 내부에 형성하도록 하는 구성에 따른다.
한편,제1순환바디(21a)의 선단측 공급홀(212)에는 제1,제2연결부재(261)(262)로 이루어진 냉매 공급용 연결부재(26)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매호스와의 연결을 이룬다. 이러한 연결부재(26)의 냉매 누설은 물론 고열로 부터 보호됨과 아울러 화재시의 폭발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커버(40b)로서 보호되는 공간안에 설치된다.회수관(24)은 냉매가 회수되는 흡입홀(245)이 구비되고, 회수관(24)의 회수홀(241)에 연통하는 흡입바디(244)와, 회수홀(241)로 회수되는 냉매를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회수관(24)의 타단에 설치되는 배출바디(243)와, 이 배출바디(243)에 나사맞춤 결합되는 배출호스 연결부재(25)로 이루어진다.
실시 예1에서 설명하는 누설방지유닛(30)은 드럼유닛(10)과 제1순환바디(21a)의 연결부분에서 제2캡부(34)로서 마감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누설방지용 제2밀폐부재(38)와, 제2밀폐부재(38)를 통과한 누설 냉매를 다시 차단하도록 제1순환바디(21a)와 회전관부(14)사이에 설치되는 제1밀폐부재(37)들과, 제1밀폐부재(37)들을 통과한 누설 냉매는 다시 간격부재(34)와 베어링(31)를 이탈하지 않도록 끼워지는 제1캡부(32)에서 회전관부(14)와의 사이에 누설 냉매를 차단하기 위하여 제2밀폐부재(38)을 사이에 끼워 설치한다.
이러한 누설방지유닛(30)의 제1밀폐부재(37)은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마모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브라켓 형태로 이루어진 접촉부재(371)의 내측에 탄압부재(372)를 일체로 결합하여 제1순환바디(21a)상의 안착홈(215)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1밀폐부재(37)는 실시 예1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슬립홈(373)을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한 내마모성의 접촉부재(371)와, 이 접촉부재(371)을 탄압 지지하도록 안착홈(215)에 삽착 설치되는 탄압부재(372)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O링(36)은 제1,제2캡부(32)(33)의 나사맞춤 설치시 밀착 설치되며, 드럼유닛(10)의 제2지지판(13)측에 결합된 회전관부(14)와의 결합부분에 삽착되며,도시하지 않았으나, 앞에서 설명한 제1,제2밀폐부재(37)(38)와 함께 추가적으로 O링(36)을 더 삽입,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제2밀폐부재(38)는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체를 이루는 바디부(381)와, 바디부(381)의 반대면에 형성되어 실링부재(382)가 넣어지는 실링홈(383)과,이 실링홈(383)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384)와, 날개부(384)사이에서 회전관부(14)와 슬립,접촉하는 접촉개구부(385)를 이루어 상기 제1밀폐부재(37)가 설치된 부분은 물론, 누설을 차단할 수 있는 부분들에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수관(24) 외측의 냉매유입로(22)를 통한 냉각열이 제1순환바디(21a)를 통하여 회전관부(14)에 전달되는 것이므로 종래 드럼유닛(10)내부에서의 냉각열만으로 드럼바디(11)측으로 전달되는 것에 비하여 같이 회전하는 회전관부(14)의 냉각과 함께 제2지지판(13)도 냉각이 되어 제2지지판(13)내,외측에서 냉각이 이루어지므로 냉각효율면에서 개선된 효과를 갖게 된다.
첨부 도면중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갹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는 특히, 상기 제1순환바디(21a) 내주면에 냉매체류공간(234)를 형성하여 회수관(24)과의 사이에 냉매유입로(22)와 연통하는 냉매체류부(23)를 형성할 수 있다. 냉매체류공간(234)은 냉매유입로(22)와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순환바디(21a)를 통한 냉각열이 회전관부(14)에 전달되는 것이고, 종래 드럼유닛(10)내부에서의 냉각열이 드럼바디(11)측으로 전달되는 것에 비하여 냉각효율면에서 크게 개선된 효과를 갖게 된다.
첨부 도면중 도면중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갹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는 상기 냉매체류부(23)를 더 구체적으로 실시하여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르는 냉갹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의 냉매체류부(23)는 상기 제1순환바디(21a) 내주면에서 냉매의 순환시 회전관부(14)측으로 냉각열이 전달되도록 제1순환바디(21a)의 내부에 형성되는 냉매체류공간(234)과, 상기 냉매체류공간(234)으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냉매유입로(22)에 형성한 미세안내부(231)과, 미세안내부(231)의 전방에서 냉매체류공간(234)측으로 냉매를 안내하는 유입로(232)와, 미세안내부(231)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배출로(233)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냉매유입로(22)상으로 냉매가 공급될 때에 냉매체류공간(234)에 유입된 냉매가 배출로(233)로 유입되는 특징을 갖는다.
미세안내부(231)은 냉매유입로(22)상에 형성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충분한 간격의 냉매유입로(22)에 맞는 통과홀(2312)을 형성함으로써 냉매체류공간(234)로 회류하는 냉매를 다시 냉매유입로(22)상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순환바디(21a)를 통한 냉각열이 회전관부(14)에 전달되는 것이고, 종래 드럼유닛(10)내부에서의 냉각열이 드럼바디(11)측으로 전달되는 것에 비하여 냉각효율면에서 크게 개선된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을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의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이고,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드럼유닛, 101:구동축, 11:드럼바디, 12:제1지지판, 13:제2지지판,
14:회전관부, 141:안착홈, 142,143,144,145,146:제1,제2,제3,제4,제5삽착부,
20:냉매순환유닛, 21:순환바디, 21a,21b:제1,제2순환바디, 211:공간부,
212:공급홀, 213: 제1연결홈부, 214:제2연결홈부, 215:안착홈,
216:암합연결부 217:숫합연결부, 219:분사공, 22:냉매유입로,
23:냉매체류부, 231:미세안내부, 2311:안내판, 2312:통과홀, 232;유입로,
233:배출로, 234:냉매체류공간, 24: 회수관, 241:회수로, 243: 배출바디,
244:흡입바디, 245:흡입홀,25:연결부재, 26:연결부재,
261,262:제1,제2연결부재, 30:누설방지유닛, 31:베어링, 32:제1캡부,
33:제2캡부, 34:간격부재, 341:제1간격부재, 342:제2간격부재, 36:O링,
37:제1밀폐부재, 371:접촉부재, 372:탄압부재, 38:제2밀폐부재,
381:바디부,382:실링부재, 383:실링홈, 384:날개부, 385:접촉개구부,
40:커버유닛, 40a:제1커버유닛, 40b:제2커버유닛, 41:벽부, 42:축수브러켓,
43:볼베어링,

Claims (5)

  1.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에 있어서,
    밀폐된 원통형 공간을 이루되 내부에 냉매가 채워져 냉각열이 전달되어 외주면에 얼음이 생성되는 드럼바디(11), 드럼바디(11)의 일측에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제1지지판(12), 드럼바디(11)의 타측에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제2지지판(13), 제2지지판(13)의 중심측에서 드럼바디(11)의 내부 공간과 외부 사이에 관통되어 드럼유닛(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관부(14)를 구비한 드럼유닛(10);
    드럼바디(11)의 외주면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상기 드럼유닛(10)의 내부로 냉매를 공급하도록 상기 회전관부(14)의 내측과 드럼유닛(10)의 내부에 걸쳐 설치되는 순환바디(21)와, 이 순환바디(21)의 내부에 끼움 결합되는 회수관(24)으로 이루어진 냉매순환유닛(20);
    냉매순환유닛(20)을 기준으로 드럼유닛(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드럼유닛(10)과 냉매순환유닛(20)사이를 밀폐시키는 누설방지유닛(30); 및
    드럼유닛(10)의 양측 외부를 커버하는 커버유닛(40);
    을 포함하고,
    상기 냉매순환유닛(20)의 회수관(24)은,
    냉매가 회수되는 흡입홀(245)이 구비되고, 회수관(24)의 회수홀(241)에 연통하는 흡입바디(244);
    회수홀(241)로 회수되는 냉매를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회수관(24)의 타단에 설치되는 배출바디(243); 및
    이 배출바디(243)에 나사맞춤 결합되는 배출호스 연결부재(25);
    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바디(21)는,
    누설방지유닛(30)의 회전관부(14)에 삽입되고, 회수로(241)가 구비되는 회수관(24)을 끼움 결합하여 드럼바디(10)의 내측으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제2순환바디(21b); 및
    제2순환바디(21b)의 연결부(217)와 결합하여 누설방지유닛(30)의 회전관부(14)에 삽입되고, 내부에 회수관(24)을 관방향 설치하여 냉매유로(22)를 형성하는 제1순환바디(21a);
    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방지유닛(30)은,
    상기 제1순환바디(21a)의 일측에서 회전관부(14)가 슬립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제1삽착부(142)에 삽착되는 베어링(31);
    상기 제1순환바디(21a)와 회전관부(14)사이에서 냉매의 누설을 차단하도록 안착홈(215)과 제3삽착부(144) 사이에 중첩 설치되는 제1밀폐부재(37);
    상기 제1순환바디(21a)가 회전관부(14)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회전관부(14)의 제2삽착부(143)에 삽착되는 제1간격부재(341);
    상기 제1순환바디(21a)가 회전관부(14)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회전관부(14)의 제4삽착부(145)에 삽착되는 제2간격부재(342);
    상기 제1순환바디(21a)의 일측 제2커버유닛(40b)내측에서 회전관부(14)사이의 누설을 차단함과 아울러 나사맞춤 결합으로 제1삽착부(142)에 삽착되는 제1캡부(32);
    상기 제1순환바디(21a)의 타측 드럼유닛(10) 내부에서 회전관부(14)로의 냉매 유입을 차단함과 아울러 나사맞춤 결합으로 제5삽착부(146)에 삽착되는 제2캡부(33);
    상기 제1캡부(32)와, 제2캡부(33)의 결합시 냉매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제1캡부(32)에 삽착되는 밀폐부재(38);및
    상기 제1캡부(32)와,제2캡부(33)의 결합시 누설을 방지하도록 삽입되는 O링(36);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밀폐부재(37)는,
    상기 회전관부(14)에 접촉하여 슬립하도록 순환바디(21a)의 안착홈(215)사이에 설치되는 접촉부재(371);
    순환바디(21a)의 안착홈(215)에서 상기 접촉부재(371)측에 탄압지지되는 탄압부재(372);
    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재(38)는,
    몸체를 이루는 바디부(381);
    바디부(381)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실링홈(383);
    상기 실링홈(383)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384);
    상기 날개부(384)사이에서 회전관부(14)와 슬립,접촉하는 접촉개구부(385); 및
    상기 실링홈(383)에 넣어지는 실링부재(382);
    를 포함하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 제빙기의 냉각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순환바디(21a) 내주면에 냉매체류공간(234)를 형성하여 회수관(24)과의 사이에 냉매유입로(22)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 제빙기의 냉각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순환바디(21a) 내주면에서 냉매의 순환시 회전관부(14)측으로 냉각열이 전달되도록 제1순환바디(21a)의 내부에 형성되는 냉매체류공간(234);
    상기 냉매체류공간(234)으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냉매유입로(22)에 형성되고, 통과홀(2312)을 형성한 미세안내부(231);
    미세안내부(231)의 전방에서 냉매체류공간(234)측으로 냉매를 안내하는 유입로(232);및
    미세안내부(231)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배출로(233);
    를 포함하여 냉매유입로(22)상으로 냉매가 공급될 때에 냉매체류공간(234)에 유입된 냉매가 배출로(233)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 제빙기의 냉각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40)은,
    드럼유닛(10)의 제1지지판(12)의 중심 회전축상에 제1지지판(12)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내부에 설치하고 그 외부를 커버하되 제1지지판(12)을 구동하도록 내측에서 구동축으로 연결하되 베어링,축수브라켓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커버유닛(40a); 및
    구동유닛(10)의 제2지지판(13)측에서 내부 냉매공급용 호스,냉매배출용 호스등을 보호하도록 밀폐된 커버를 이루되,커버에서 연장된 일측 벽부(41)와 구동유닛(10)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관부(14)에 볼베어링(43)을 개재한 축수브라켓(42)으로 이루어진 제2커버유닛(40b)으로 이루어져 드럼유닛(10)의 양측에 설치된 커버유닛(40);
    을 포함하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 제빙기의 냉각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드럼바디(11)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여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제1지지판(12)의 중심에 구비되는 구동축(101); 및
    구동축(101)과 동축으로 배치되고 냉매순환유닛(20)이 누설방지유닛(30)의 사이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2지지판(13)의 중심에 구비되는 통 형상의 회전관부(14);
    를 포함하는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 제빙기의 냉각구조.
KR1020210053635A 2021-04-26 2021-04-26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 KR102434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635A KR102434115B1 (ko) 2021-04-26 2021-04-26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635A KR102434115B1 (ko) 2021-04-26 2021-04-26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115B1 true KR102434115B1 (ko) 2022-08-19

Family

ID=83113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635A KR102434115B1 (ko) 2021-04-26 2021-04-26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11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250B1 (ko) * 2014-06-17 2015-01-14 주식회사캐로스 냉매의 기밀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얼음 분말 제조장치
KR101552613B1 (ko) * 2014-11-24 2015-09-14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드럼 제빙기의 냉동유 회수장치
KR101555862B1 (ko) 2015-03-20 2015-09-30 진용욱 회전식 제빙기의 실링장치
KR200484842Y1 (ko) 2016-04-20 2017-11-01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누설방지수단을 개선한 드럼 회전식 제빙기
KR102007367B1 (ko) 2017-11-13 2019-11-04 주식회사 제이에스이엔지 드럼 제빙기의 제빙드럼
KR102146977B1 (ko) 2019-02-11 2020-08-21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누설방지기능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250B1 (ko) * 2014-06-17 2015-01-14 주식회사캐로스 냉매의 기밀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얼음 분말 제조장치
KR101552613B1 (ko) * 2014-11-24 2015-09-14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드럼 제빙기의 냉동유 회수장치
KR101555862B1 (ko) 2015-03-20 2015-09-30 진용욱 회전식 제빙기의 실링장치
KR200484842Y1 (ko) 2016-04-20 2017-11-01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누설방지수단을 개선한 드럼 회전식 제빙기
KR102007367B1 (ko) 2017-11-13 2019-11-04 주식회사 제이에스이엔지 드럼 제빙기의 제빙드럼
KR102146977B1 (ko) 2019-02-11 2020-08-21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누설방지기능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10-2016-0099938호(2016. 08.23 공개)
2. 10-2016-133339호(2016. 11. 22 공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4572B2 (ja) 遠心ポンプ
KR102007367B1 (ko) 드럼 제빙기의 제빙드럼
CN104329466B (zh) 耐高温机械密封装置
US5713719A (en) Self flushing centrifugal pump
RU2005125705A (ru) Увлажняющий роторный циркуляционный насос
KR102422682B1 (ko) 급속 개방 고온 구면 밀봉 차단 밸브의 급속 개방 기구
US2691347A (en) Helical gear pump with backed-up nonrigid casing
KR200484842Y1 (ko) 누설방지수단을 개선한 드럼 회전식 제빙기
KR102434115B1 (ko) 냉각효율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의 냉각구조
CN209990681U (zh) 一种皮托管泵轴承润滑系统
CN214247423U (zh) 透平和布雷顿循环系统
US3007417A (en) Liquid ring pump
KR101881416B1 (ko) 드럼식 제빙장치
TW201918634A (zh) 軸封裝置
KR102146977B1 (ko) 누설방지기능이 개선된 드럼식 제빙기
KR101424038B1 (ko) 원자로 냉각재 펌프의 냉각재 회수 장치
KR101567975B1 (ko) 얼음 제조장치용 냉동유닛 및 이에 채용되는 냉매 유출입 구조체
JP4115081B2 (ja) 軸封装置
CN208845370U (zh) 一种具有水冷式泵盖和密封压盖的离心泵
KR20170004008U (ko) 누설방지구조를 개선한 드럼 회전식 제빙기
CN206917919U (zh) 一种汽车水泵
GB2334554A (en) Immersible pump
JPH08159048A (ja) 歯車ポンプ
CN209638018U (zh) 一种具有防泄漏功能的料浆泵
CN220769717U (zh) 一种新型冷却系统离心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