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813B1 -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813B1
KR102433813B1 KR1020210010802A KR20210010802A KR102433813B1 KR 102433813 B1 KR102433813 B1 KR 102433813B1 KR 1020210010802 A KR1020210010802 A KR 1020210010802A KR 20210010802 A KR20210010802 A KR 20210010802A KR 102433813 B1 KR102433813 B1 KR 102433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door
upper rail
fixing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7754A (ko
Inventor
이은하
Original Assignee
이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하 filed Critical 이은하
Priority to KR1020210010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813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52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54Horizontally-sliding wings disappearing in pockets in the wall; Pocke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4Doors disappearing in pockets of a wall, e.g. so-called pocket doors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돌출리브와 상부구속편과 하부레일홈이 구비된 상부레일, 탄성스프링과 댐퍼와 댐퍼스위치가 구비된 클로저를 포함하되, 상부레일의 내부 상측에 양쪽 벽체로부터 내향 일정길이 돌출된 상부구속편을 따라 삽입 이동되는 후방 트리거와, 후방 트리거가 일단에 고정설치되며 타단에 고정볼트가 회전을 통해 승강가능토록 결합된 트리거고정프레임과, 후방 트리거와 일정거리 떨어져 상부레일의 내부 상측에 문틀 상부에 걸쳐 고정부재로 고정설치되는 전방 트리거를 더 포함함으로써 도어 포켓 내부에 배치되는 후방 트리거의 설치시 시공오류를 극소화하여 간편하게 정위치로 설치시공할 수 있고, 시공오류시 별도의 포켓 도어를 일부 부수거나 하는 작업이 요구됨이 없이 후방 트리거의 설치위치를 정위치로 간단하게 보정할 수 있으며, 포켓 도어의 내부에 고정되는 후방 트리거에 대한 상부레일 상에 고정이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후방 트리거 및 전방 트리거의 폭 방향 양단이 단이 진 레일 구조로 상부레일의 내측 상면에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하향 일정길이 돌출된 돌출리브와 밀착설치됨으로써 돌출리브 사이에 대해 체결부재의 돌출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후방 트리거 및 전방 트리거에 대한 설치고정시 상부레일을 문틀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와의 간섭이 없이 간편하게 정위치로의 설치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Sliding door closer se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돌출리브와 상부구속편과 하부레일홈이 구비된 상부레일, 탄성스프링과 댐퍼와 댐퍼스위치가 구비된 클로저를 포함하되, 상부레일의 내부 상측에 양쪽 벽체로부터 내향 일정길이 돌출된 상부구속편을 따라 삽입 이동되는 후방 트리거와, 후방 트리거가 일단에 고정설치되며 타단에 고정볼트가 회전을 통해 승강가능토록 결합된 트리거고정프레임과, 후방 트리거와 일정거리 떨어져 상부레일의 내부 상측에 문틀 상부에 걸쳐 고정부재로 고정설치되는 전방 트리거를 더 포함함으로써 도어 포켓 내부에 배치되는 후방 트리거의 설치시 시공오류를 극소화하여 간편하게 정위치로 설치시공할 수 있고, 시공오류시 별도의 포켓 도어를 일부 부수거나 하는 작업이 요구됨이 없이 후방 트리거의 설치위치를 정위치로 간단하게 보정할 수 있으며, 포켓 도어의 내부에 고정되는 후방 트리거에 대한 상부레일 상에 고정이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후방 트리거 및 전방 트리거의 폭 방향 양단이 단이 진 레일 구조로 상부레일의 내측 상면에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하향 일정길이 돌출된 돌출리브와 밀착설치됨으로써 돌출리브 사이에 대해 체결부재의 돌출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후방 트리거 및 전방 트리거에 대한 설치고정시 상부레일을 문틀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와의 간섭이 없이 간편하게 정위치로의 설치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개폐방식에 따라 미닫이 방식과 여닫이 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여닫이 방식은 벽체와 도어 사이에 힌지를 설치하여 도어를 전후로 회전시키면서 개폐하는 방식이고, 상기 미닫이 방식의 경우에는 도어의 하부에 레일을 설치하여 도어를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개폐하는 방식이다.
상기 여닫이 방식의 경우에는 도어를 설치할 때, 도어가 전후로 회전하면서 개폐기 때문에 비교적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고, 또 안정성 및 사생활 보호의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여닫이 방식은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물체와 부딪히게 되고, 특히 도어의 전후방에 물체가 놓여 있을 경우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으며, 도어의 무게를 힌지부위에 의존하여 지탱하는 관계로 도어가 쉽게 파손될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다.
상기 미닫이 방식의 경우에는 도어가 좌우로 움직이기 때문에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전후방에 물체와 부딪힐 염려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여닫이 방식의 도어가 허용되지 않는 공간에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미닫이 방식은 도어가 좌우로 움직이면서 개폐되기 때문에 그 폭이 비교적 커서 설치에 많은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안정도 및 사생활 보호 등에서 취약한 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미닫이 방식의 장점인 좌우로 움직이는 것과 여닫이 방식의 장점인 협소한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을 조합한 포켓 도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포켓 도어는 도어를 설치할 때, 포켓을 설치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여는 경우에 슬라이딩 도어가 포켓 내부로 매입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슬라이딩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좌우로 밀어서 닫도록 하여 미닫이 방식의 장점을 활용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통상의 포켓 도어는 일 측에 포켓을 형성하고, 타 측에는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하며, 상부에 프레임을 형성하여, 프레임과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에 슬라이딩 도어를 좌우로 이동하는 안내장치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어를 포켓의 방향으로 밀었을 때, 슬라이딩 도어가 안내장치에 의하여 포켓의 내부에 삽입되어 열리고, 타 측으로 밀었을 때에는 포켓에서 나와 닫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포켓 도어는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행거 타입으로 매달아 고정하여 슬라이딩 도어 상부를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에 의해 포켓 도어에 매입된 상태에서 인출되어 닫히도록 조작되고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는 포켓 도어의 포켓과 개폐부가 구비되는 문틀 상부에 하부가 개방토록 장착되는 상부레일과, 상부레일 상에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어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시 완충작용을 하는 클로저와, 상부레일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클로저의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클로저의 댐퍼스위치에 대해 락 상태에서 락 해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트리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클로저 하부에 슬라이딩 도어가 매달아진다.
그리고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작동시 도어의 전방 또는 후방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클로저가 트리거에 걸어 맞춰져, 클로저의 댐퍼스위치가 락 상태에서 락 해지가 되면서 댐퍼에 의해 완충되면서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되게 작동한다.
다시 말해서, 클로저는 슬라이딩 도어를 도어 전방 또는 도어 후방 중 적어도 일 방향으로 끌어들이면서 완충시킨다.
이때, 클로저가 슬라이딩 도어를 끌어들이는 동력은 클로저의 내부에 구비된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력에 의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클로저에는 슬라이딩 도어가 천천히 조용하게 개폐되도록 상기 댐퍼스위치와 연동하는 댐퍼가 장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 클로저 세트는 여러 장소에서 사용된다.
예컨대, 호텔, 병원, 주택 등에서 슬라이딩 도어를 열었을 때에 슬라이딩 도어를 도어 포켓에 수납하는 도어 포켓식의 슬라이딩 도어가 있는데, 이러한 도어 포켓식의 슬라이딩 도어의 설치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슬라이딩 도어를 도어 포켓 내로 끌어들여 완충시키기 위하여, 트리거는 후방 트리거로서, 도어 포켓 내에 배치고정되며, 전방 트리거로서는 도어 포켓 외부의 문틀 상부에 설치된 상부 프레임에 배치고정된다.
그러나 후방 트리거가 도어 포켓 내에 배치되므로, 시공시 후방 트리거의 장착 위치가 잘못되어 고정되거나, 후방 트리거의 장착이 경사지게 고정되는 등의 시공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공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도어 포켓을 부수지 않으면, 후방 트리거의 위치 또는 경사 등을 수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도어 포켓이 벽에 매립되는 경우, 벽까지도 부수지 않으면 안 되는 문제가 있었다.
다시 말해서, 트리거 중 특히 후방 트리거의 설치시 시공오류로 인하여 후방 트리거의 위치가 정위치로 고정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정위치로의 보정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도어 포켓 내부에 배치되는 후방 트리거의 설치시 시공오류를 극소화하여 간편하게 정위치로 설치시공할 수 있으며, 시공오류시 별도의 포켓 도어를 일부 부수거나 하는 작업이 요구됨이 없이 후방 트리거의 설치위치를 정위치로 간단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포켓 도어의 내부에 고정되는 후방 트리거에 대한 상부레일 상에 고정이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55107호 2011.08.01. 등록. 일본 등록특허 제5282679호 2013.06.07.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48488호 2015.08.21.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76658호 2018.07.03.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160362호 2020.09.21.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돌출리브와 상부구속편과 하부레일홈이 구비된 상부레일, 탄성스프링과 댐퍼와 댐퍼스위치가 구비된 클로저를 포함하되, 상부레일의 내부 상측에 양쪽 벽체로부터 내향 일정길이 돌출된 상부구속편을 따라 삽입 이동되는 후방 트리거와, 후방 트리거가 일단에 고정설치되며 타단에 고정볼트가 회전을 통해 승강가능토록 결합된 트리거고정프레임과, 후방 트리거와 일정거리 떨어져 상부레일의 내부 상측에 문틀 상부에 걸쳐 고정부재로 고정설치되는 전방 트리거를 더 포함함으로써 도어 포켓 내부에 배치되는 후방 트리거의 설치시 시공오류를 극소화하여 간편하게 정위치로 설치시공할 수 있고, 시공오류시 별도의 포켓 도어를 일부 부수거나 하는 작업이 요구됨이 없이 후방 트리거의 설치위치를 정위치로 간단하게 보정할 수 있으며, 포켓 도어의 내부에 고정되는 후방 트리거에 대한 상부레일 상에 고정이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후방 트리거 및 전방 트리거의 폭 방향 양단이 단이 진 레일 구조로 상부레일의 내측 상면에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하향 일정길이 돌출된 돌출리브와 밀착설치됨으로써 돌출리브 사이에 대해 체결부재의 돌출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후방 트리거 및 전방 트리거에 대한 설치고정시 상부레일을 문틀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와의 간섭이 없이 간편하게 정위치로의 설치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는 문을 형성하기 위한 지점에 설치된 문틀의 일 측에 포켓이 마련되어 포켓으로부터 도어를 인입된 상태에서 반출되면서 도어를 개폐하기 위해 도어를 문틀에 매달리도록 하여 슬라이딩 가능토록 설치하는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에 있어서, 포켓 내부 상측과 포켓 외부 상측에 걸친 문틀 상부에 고정설치되되, 포켓과 대향되는 문틀 끝단에 일정길이만큼 점검구를 설치하기 위한 길이를 제외하여 문틀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프레임으로 제공되어 폭 방향 하부 양측에 하부레일홈이 구비되고, 상면에 중앙으로부터 폭 방향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하향 돌출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돌출리브로부터 하향 일정거리 떨어져 폭 방향 양측에 내향 상부구속편이 돌출형성되는 상부레일; 양단에 유동주행롤러와 고정주행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레일의 문틀에 설치된 점검구 측 단부로부터 슬라이딩 삽입되고, 하측에 도어가 고정설치되며, 도어의 개폐시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상향 돌출된 상태에서 일정길이 이동, 복귀 구속토록 구비되는 댐퍼스위치와, 댐퍼스위치의 탄성력에 의한 이동과 복귀 구속을 위해 구비되는 탄성스프링과, 댐퍼스위치의 구속상태로부터 구속이 해지되면서 이동시 완충시키도록 구비되는 댐퍼에 대하여 각각 2개로 구비되는 클로저; 클로저 하측에 고정된 도어의 개폐시 클로저에 의해 개방 측 단부 일정길이와 폐쇄 측 단부 일정길이에 걸쳐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클로저의 댐퍼스위치 중 문틀의 포켓 측인 후방에 배치되는 댐퍼스위치에 선택적으로 걸려 댐퍼스위치가 이동 및 복귀되도록 상측 부분이 상부레일의 상부구속편 상에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삽입을 통해 상부레일의 포켓 내부 측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대한 내부 상측에 배치 고정되며, 일 측 하면으로부터 하향 댐퍼스위치에 걸리는 돌출부가 하향 돌출형성되고, 상부레일의 상부구속편에 슬라이딩 안착되는 폭 방향 양측에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는 후방 트리거; 후방 트리거 단부에 일단이 고정설치되며, 타단에 상부레일의 상부구속편 상에 안착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연결되어, 후방 트리거를 일정 위치에 고정설치되도록 하는 트리거고정프레임; 및 상측 부분이 상부레일의 상부구속편 상에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삽입을 통해 상부레일에 대한 점검구가 설치되는 측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부재를 통해 상부레일을 관통하여 문틀 상에 고정설치되며, 클로저의 댐퍼스위치 중 문틀의 포켓 반대 측인 전방에 배치되는 댐퍼스위치에 선택적으로 걸려 댐퍼스위치가 이동 및 복귀되도록 하며, 일 측 하향 댐퍼스위치가 걸리는 돌출부가 돌출형성되는 전방 트리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후방 트리거에 대하여 상부레일을 문틀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와 간섭이 없이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후방 트리거는 상면 폭 방향 양측에 단이 진 레일 구조의 밀착리브가 돌출형성되어, 밀착리브의 단이 진 턱 부분에 상부레일의 돌출리브가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트리거고정프레임의 타단에 연결되는 고정수단은 트리거고정프레임의 타단 부분의 상면에 하면이 밀착되는 장방형 판 상으로 제공되어, 길이방향 양측이 체결부재를 통해 트리거고정프레임과 연결설치되고, 중앙에 나사공이 관통형성되며, 폭 방향 양측 일정길이만큼 상부레일의 상부구속편 상에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고정편 및 고정편의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승강하면서 트리거고정프레임과 후방 트리거를 상부레일 상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볼트로 제공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는 일정길이를 갖는 머리가 없는 나사 봉 타입의 볼트로 제공되며, 하면에 공구삽입 홈이 상향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방 트리거에 대하여 상부레일의 상부구속편 상에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폭 방향 유동이 없이 정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트리거는 폭 방향 양측에 걸림단턱이 형성되어 걸림단턱이 상부레일의 상부구속편 상에 슬라이딩 삽입되며, 상면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구속돌기가 돌출형성되어 구속돌기가 상부레일의 돌출리브 사이에 구속삽입되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클로저는 양단에 유동주행롤러와 고정주행롤러가 구비되면서 댐퍼스위치와, 탄성스프링과, 댐퍼가 각각 2개로 구비되는 클로저로 제공되되, 양단에 유동주행롤러와 고정주행롤러가 구비되면서 댐퍼스위치와, 탄성스프링과, 댐퍼가 1개로 구비되는 2개의 클로저로 제공되거나 양단에 유동주행롤러와 고정주행롤러가 구비되면서 댐퍼스위치와, 탄성스프링과, 댐퍼가 각각 2개로 구비되는 단일의 클로저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돌출리브와 상부구속편과 하부레일홈이 구비된 상부레일, 탄성스프링과 댐퍼와 댐퍼스위치가 구비된 클로저를 포함하되, 상부레일의 내부 상측에 양쪽 벽체로부터 내향 일정길이 돌출된 상부구속편을 따라 삽입 이동되는 후방 트리거와, 후방 트리거가 일단에 고정설치되며 타단에 고정볼트가 회전을 통해 승강가능토록 결합된 트리거고정프레임과, 후방 트리거와 일정거리 떨어져 상부레일의 내부 상측에 문틀 상부에 걸쳐 고정부재로 고정설치되는 전방 트리거를 더 포함함으로써 도어 포켓 내부에 배치되는 후방 트리거의 설치시 시공오류를 극소화하여 간편하게 정위치로 설치시공할 수 있고, 시공오류시 별도의 포켓 도어를 일부 부수거나 하는 작업이 요구됨이 없이 후방 트리거의 설치위치를 정위치로 간단하게 보정할 수 있으며, 포켓 도어의 내부에 고정되는 후방 트리거에 대한 상부레일 상에 고정이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후방 트리거 및 전방 트리거의 폭 방향 양단이 단이 진 레일 구조로 상부레일의 내측 상면에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하향 일정길이 돌출된 돌출리브와 밀착설치됨으로써 돌출리브 사이에 대해 체결부재의 돌출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후방 트리거 및 전방 트리거에 대한 설치고정시 상부레일을 문틀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와의 간섭이 없이 간편하게 정위치로의 설치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의 설치상태로서, 도어가 포켓 내부에 매입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반출되면서 개폐되도록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내부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상부레일 일부를 절단한 결합구조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의 요부인 후방 트리거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의 요부인 전방 트리거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
도 6a 내지 6g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를 이용하여 도어가 포켓 내부에 매입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반출되면서 개폐되도록 설치하는 설치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설치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로저가 적용된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내부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상부레일 일부를 절단한 결합구조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의 설치상태로서, 도어가 포켓 내부에 매입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반출되면서 개폐되도록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내부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상부레일 일부를 절단한 결합구조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의 요부인 후방 트리거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의 요부인 전방 트리거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이다.
도 6a 내지 6g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를 이용하여 도어가 포켓 내부에 매입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반출되면서 개폐되도록 설치하는 설치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설치예시도이다.
도 1 내지 6g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는 문을 형성하기 위한 지점에 설치된 문틀(10)의 일 측에 포켓(20)이 마련되어 포켓(20)으로부터 도어(30)를 인입된 상태에서 반출되면서 도어(30)를 개폐하기 위해 도어(30)를 문틀에 매달리도록 하여 슬라이딩 가능토록 설치하는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는 크게 분류하면, 상부레일(100), 클로저(200), 후방 트리거(300), 트리거고정프레임(400) 및 전방 트리거(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레일(100)은 포켓(20) 내부 상측과 포켓(20) 외부 상측에 걸친 문틀(10) 상부에 고정설치되되, 포켓(20)과 대향되는 문틀(10) 끝단에 일정길이만큼 점검구(미도시)를 설치하기 위한 길이를 제외하여 문틀(10) 상부에 고정설치된다.
이러한 상부레일(100)은 특히, 하부가 개방된 프레임으로 제공되어 폭 방향 하부 양측에 하부레일홈(110)이 구비되고, 상면에 중앙으로부터 폭 방향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하향 돌출리브(120)가 돌출 형성되며, 돌출리브(120)로부터 하향 일정거리 떨어져 폭 방향 양측에 내향 상부구속편(130)이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레일(100)의 하부레일홈(110)은 폭 방향 하부 양측에 홈 타입으로 롤러가 삽입 안착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하부레일홈(110)은 특히, 홈 타입으로 롤러 부분이 삽입되되 안착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레일(100)의 개방된 하단으로부터 내향 수평으로 절곡된 후 상향 일정길이 절곡되면서 홈을 형성하는 홈 타입으로 제공됨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후술될 유동주행롤러(230) 또는 고정주행롤러(250)의 롤러 부분 외면 중앙에 함몰된 홈이 상향 절곡된 단부에 삽입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클로저(200)는 양단에 유동주행롤러(230)와 고정주행롤러(250)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레일(100)의 문틀(10)에 설치된 점검구 측 단부로부터 슬라이딩 삽입되고, 하측에 도어(30)가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도어(30)는 길이방향 양측의 상면에 고정브래킷(미부호)이 고정설치된다.
즉, 상기와 같은 고정브래킷 상에 유동주행롤러(230)의 하부에 돌출 연결된 연결바를 고정하여 클로저(200) 하측에 도어(30)가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클로저(200)의 양단에 설치되는 유동주행롤러(230)와 고정주행롤러(250) 중, 먼저 상기 유동주행롤러(230)는 일정각도 회전 유동되도록 일단에 연결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주행롤러(230)는 회전 유동됨이 없이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클로저(200)는 도어(30)의 개폐시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상향 돌출된 상태에서 일정길이 이동, 복귀 구속토록 구비되는 댐퍼스위치(210)와, 댐퍼스위치(210)의 탄성력에 의한 이동과 복귀 구속을 위해 구비되는 탄성스프링(미도시)과, 댐퍼스위치(210)의 구속상태로부터 구속이 해지되면서 이동시 완충시키도록 구비되는 댐퍼(미도시)에 대하여 각각 2개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댐퍼스위치(210)는 탄성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구속된 상태에서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탄성력의 작용을 통해 이동하는 구성으로, 'U'자형 홈이 형성되어 홈 내에 후방 트리거(300)나 전방 트리거(500)가 선택적으로 구속된 후, 구속이 해지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통상의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로저에서의 댐퍼스위치가 동일한 것으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클로저(200)는 통상의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로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유동주행롤러(230)와 고정주행롤러(250)가 구비되면서 댐퍼스위치(210)와, 탄성스프링과, 댐퍼가 각각 2개로 구비되는 클로저로 제공되되, 양단에 유동주행롤러(230)와 고정주행롤러(250)가 구비되면서 댐퍼스위치(210)와, 탄성스프링과, 댐퍼가 각 1개로 구비되는 2개의 클로저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클로저(200)에서의, 탄성스프링(미도시)과, 댐퍼(미도시) 등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후방 트리거(300)는 클로저(200) 하측에 고정된 도어(30)의 개폐시 클로저(200)에 의해 개방 측 단부 일정길이와 폐쇄 측 단부 일정길이에 걸쳐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후방 트리거(300)는 클로저(200)의 댐퍼스위치(210) 중 문틀(10)의 포켓(20) 측인 후방에 배치되는 댐퍼스위치(210)에 선택적으로 걸려 댐퍼스위치(210)가 이동 및 복귀되도록 상측 부분이 상부레일(100)의 상부구속편(130) 상에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삽입을 통해 상부레일(100)의 포켓(20) 내부 측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대한 내부 상측에 배치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후방 트리거(300)는 특히, 일 측 하면으로부터 하향 댐퍼스위치(210)에 걸리는 돌출부(310)가 하향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트리거고정프레임(400)은 후방 트리거(300) 단부에 일단이 고정설치되며, 타단에 상부레일(100)의 상부구속편(130) 상에 안착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연결되어, 후방 트리거(300)를 일정 위치에 고정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트리거고정프레임(400) 일단에 대한 후방 트리거(300)의 고정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연결되게 고정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방 트리거(500)는 상측 부분이 상부레일(100)의 상부구속편(130) 상에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삽입을 통해 상부레일(100)에 대한 점검구가 설치되는 측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상부레일(100)을 관통하여 문틀(10) 상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미도시)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통상의 접시머리 나사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전방 트리거(500)는 특히, 클로저(200)의 댐퍼스위치(210) 중 문틀(10)의 포켓(20) 반대 측인 전방에 배치되는 댐퍼스위치(210)에 선택적으로 걸려 댐퍼스위치(210)가 이동 및 복귀되도록 하며, 일 측 하향 댐퍼스위치(210)가 걸리는 돌출부(510)가 돌출형성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는 후방 트리거(300)를 상부레일(100)의 상부구속편(130) 상에 안착된 상태로 상부레일(100)의 점검구 설치 측 단부로부터 후방 트리거(300)와 트리거고정프레임(400)이 연결된 상태로 슬라이딩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후방 트리거(300)는 상부레일(100)의 상부구속편(130)에 슬라이딩 안착되는 폭 방향 양측에 가이드돌기(330)가 돌출형성된다.
더욱이, 후방 트리거(300)와 트리거고정프레임(400)이 연결된 상태로 슬라이딩 삽입시 후방 트리거(300)의 단부를 축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면서 슬라이딩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 트리거(300)는 가이드돌기(330)의 하부 일 측 모서리 부분에 라운드 지게 회전안내면(3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는 후방 트리거(300)에 대하여 상부레일을 문틀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와 간섭이 없이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 트리거(300)는 상면 폭 방향 양측에 단이 진 레일 구조의 밀착리브(350)가 돌출형성되어, 밀착리브(350)의 단이 진 턱(351) 부분에 상부레일(100)의 돌출리브(120)가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에서, 트리거고정프레임(400)의 타단에 연결되는 고정수단은 고정편(400a) 및 고정볼트(400b)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고정편(400a)은 트리거고정프레임(400)의 타단 부분의 상면에 하면이 밀착되는 장방형 판 상으로 제공되어, 길이방향 양측이 체결부재를 통해 트리거고정프레임(400)과 연결설치되고, 중앙에 나사공(410a)이 관통형성되며, 폭 방향 양측 일정길이만큼 상부레일(100)의 상부구속편(130) 상에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400b)는 고정편(400a)의 나사공(410a)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승강하면서 트리거고정프레임(400)과 후방 트리거(300)를 상부레일(100) 상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400b)는 일정길이를 갖는 머리가 없는 나사 봉 타입의 볼트로 제공되며, 하면에 공구삽입 홈(410b)이 상향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고정볼트(400b)의 구성이 적용됨으로써 후방 트리거(300) 단부가 일단에 고정되는 트리거고정프레임(400)에 대하여 상부레일(100) 상에 슬라이딩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 위치로 슬라이드 한 후에 공구삽입 홈(410b)에 공구의 단부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는 작업을 통해, 고정볼트(400b)의 상단이 상부레일(100) 내부 상면에 밀착 가압되도록 하면서 후방 트리거(300) 단부가 일단에 고정되는 트리거고정프레임(400)에 대하여 상부레일(100) 상에 유동이 없도록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는 전방 트리거(500)에 대하여 상부레일(100)의 상부구속편(130) 상에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폭 방향 유동이 없이 정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 트리거(500)는 폭 방향 양측에 걸림단턱(530)이 형성되어 걸림단턱(530)이 상부레일(100)의 상부구속편(130) 상에 슬라이딩 삽입되며, 상면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구속돌기(550)가 돌출형성되어 구속돌기(550)가 상부레일(100)의 돌출리브(120) 사이에 구속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를 이용한 포켓 내부에 도어를 매입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반출되면서 개폐되도록 설치하는 설치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a를 참고하면, 도 6a에서의 (1) 과정에서와 같이, 후방 트리거(300)와 트리거고정프레임(400)과 고정편(400a) 및 고정볼트(400b)가 상호 연결 또는 결합된 상태의 부재에 대하여, 후방 트리거(300)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직립시킨 상태로, 후방 트리거(300)의 가이드돌기(330)가 문틀(10) 상부에 기 설치고정된 상부레일(100)의 상부구속편(130)에 안착되게 하여 슬라이딩 삽입한다.
이후, 도 6a에서의 (2) 과정에서와 같이, 후방 트리거(300)와 트리거고정프레임(400)과 고정편(400a) 및 고정볼트(400b)가 상호 연결 또는 결합된 상태의 부재를 포켓(20) 쪽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회전시켜 슬라이딩 삽입시킨다.
그리고 나서 도 6a에서의 (3) 과정에서와 같이, 후방 트리거(300)와 트리거고정프레임(400)과 고정편(400a) 및 고정볼트(400b)가 상호 연결 또는 결합된 상태의 부재에 대해, 상부레일(100) 상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포켓(20) 상부 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볼트(400b)를 회전시켜 후방 트리거(300) 및 트리거고정프레임(400) 등을 임시로 고정한다.
이후,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레일(100)에 두 개의 클로저(200) 중 어느 하나의 클로저(200)를 유동주행롤러(230)가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유동주행롤러(230)를 슬라이드 삽입한 후에 수평이 되도록 회전시키면서 고정주행롤러(250)까지 슬라이딩 삽입시키며,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후에는 다른 하나의 클로저(200)를 고정주행롤러(250) 측부터 삽입한 후 일정각도 회전시키면서 유동주행롤러(230)가 삽입될 때까지 일정길이 슬라이딩 삽입시킨다.
그리고 나서,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로저(200)의 각 유동주행롤러(230) 하측에 도어(30)를 연결 설치한다.
이후, 도 6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30)를 포켓(20) 측으로 밀어 후방 트리거(300)에 상부레일(100)의 포켓(20) 쪽 단부에 배치되는 클로저(200)의 댐퍼스위치(210)에 걸리게 하며, 상부레일(100)의 포켓(20) 반대 측으로부터 전방 트리거(500)를 슬라이딩 삽입시킨다.
그리고 나서, 도 6e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볼트(400b)를 풀어놓은 후, 도어(30)를 포켓(20) 내부 끝까지 완전히 밀어 넣은 후, 후방 트리거(300)의 위치를 설정하며, 풀어놨던 고정볼트(400b)를 조여서 후방 트리거(300)를 상부레일(100) 상에 완전하게 고정시킨다.
이후, 도 6f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30)를 전방 트리거(50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부레일(100)의 포켓(20) 반대 측 단부에 배치되는 클로저(200)의 댐퍼스위치(210)를 전방 트리거(500)에 걸리게 한다.
마지막으로, 도 6g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3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포켓(20) 반대 측 수직 문틀과 밀착되도록 한 후, 전방 트리거(500)를 고정부재로 상부레일(100)을 관통하여 문틀(20)에 고정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를 이용하여 포켓(20) 내에 매입된 상태에서 반출되면서 도어(30)가 개폐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개방 측과 폐쇄 측 일정거리에 걸쳐 클로저(200)를 통해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로저가 적용된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내부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상부레일 일부를 절단한 결합구조예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도 1 내지 6g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클로저의 구성에 대하여 양방향 클로저인 단일의 클로저로 제공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에서의 상기 클로저(200)는 통상의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하기 위한 클로저로서, 양단에 유동주행롤러(230)와 고정주행롤러(250)가 구비되면서 댐퍼스위치(210)와, 탄성스프링과, 댐퍼가 각각 2개로 구비되는 클로저로 제공되되, 양단에 유동주행롤러(230)와 고정주행롤러(250)가 구비되면서 댐퍼스위치(210)와, 탄성스프링과, 댐퍼가 각각 2개로 구비되는 단일의 클로저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단일의 클로저 타입으로 클로저(200)가 제공될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의 일 측은 유동주행롤러(230) 하측에 연결되며, 도어(30)의 타 측을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유동주행롤러(230)와 동일한 주행롤러(미부호)가 더 적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설치과정은 도 1 내지 6g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설치과정과는 클로저(200) 부재에 대한 일부의 설치과정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 이러한 설치과정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에 의하면, 돌출리브와 상부구속편과 하부레일홈이 구비된 상부레일, 탄성스프링과 댐퍼와 댐퍼스위치가 구비된 클로저를 포함하되, 상부레일의 내부 상측에 양쪽 벽체로부터 내향 일정길이 돌출된 상부구속편을 따라 삽입 이동되는 후방 트리거와, 후방 트리거가 일단에 고정설치되며 타단에 고정볼트가 회전을 통해 승강가능토록 결합된 트리거고정프레임과, 후방 트리거와 일정거리 떨어져 상부레일의 내부 상측에 문틀 상부에 걸쳐 고정부재로 고정설치되는 전방 트리거를 더 포함함으로써 도어 포켓 내부에 배치되는 후방 트리거의 설치시 시공오류를 극소화하여 간편하게 정위치로 설치시공할 수 있고, 시공오류시 별도의 포켓 도어를 일부 부수거나 하는 작업이 요구됨이 없이 후방 트리거의 설치위치를 정위치로 간단하게 보정할 수 있으며, 포켓 도어의 내부에 고정되는 후방 트리거에 대한 상부레일 상에 고정이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후방 트리거 및 전방 트리거의 폭 방향 양단이 단이 진 레일 구조로 상부레일의 내측 상면에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하향 일정길이 돌출된 돌출리브와 밀착설치됨으로써 돌출리브 사이에 대해 체결부재의 돌출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후방 트리거 및 전방 트리거에 대한 설치고정시 상부레일을 문틀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와의 간섭이 없이 간편하게 정위치로의 설치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문틀
20: 포켓
30: 도어
100: 상부레일 110: 하부레일홈
120: 돌출리브 130: 상부구속편
200: 클로저 210: 댐퍼스위치
230: 유동주행롤러 250: 고정주행롤러
300: 후방 트리거 310: 돌출부
330: 가이드돌기 331: 회전안내면
350: 밀착리브 351: 턱
400: 트리거고정프레임 400a: 고정편
410a: 나사공 400b: 고정볼트
410b: 공구삽입 홈 500: 전방 트리거
510: 돌출부 530: 걸림단턱
550: 구속돌기

Claims (6)

  1. 문을 형성하기 위한 지점에 설치된 문틀(10)의 일 측에 포켓(20)이 마련되어 포켓(20)으로부터 도어(30)를 인입된 상태에서 반출되면서 도어(30)를 개폐하기 위해 도어(30)를 문틀에 매달리도록 하여 슬라이딩 가능토록 설치하는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에 있어서,
    포켓(20) 내부 상측과 포켓(20) 외부 상측에 걸친 문틀(10) 상부에 고정설치되되, 포켓(20)과 대향되는 문틀(10) 끝단에 일정길이만큼 점검구를 설치하기 위한 길이를 제외하여 문틀(10)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프레임으로 제공되어 폭 방향 하부 양측에 하부레일홈(110)이 구비되고, 상면에 중앙으로부터 폭 방향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하향 돌출리브(120)가 돌출 형성되며, 돌출리브(120)로부터 하향 일정거리 떨어져 폭 방향 양측에 내향 상부구속편(130)이 돌출형성되는 상부레일(100); 양단에 유동주행롤러(230)와 고정주행롤러(250)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레일(100)의 문틀(10)에 설치된 점검구 측 단부로부터 슬라이딩 삽입되고, 하측에 도어(30)가 고정설치되며, 도어(30)의 개폐시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상향 돌출된 상태에서 일정길이 이동, 복귀 구속토록 구비되는 댐퍼스위치(210)와, 댐퍼스위치(210)의 탄성력에 의한 이동과 복귀 구속을 위해 구비되는 탄성스프링과, 댐퍼스위치의 구속상태로부터 구속이 해지되면서 이동시 완충시키도록 구비되는 댐퍼에 대하여 각각 2개로 구비되는 클로저(200); 클로저(200) 하측에 고정된 도어(30)의 개폐시 클로저(200)에 의해 개방 측 단부 일정길이와 폐쇄 측 단부 일정길이에 걸쳐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클로저(200)의 댐퍼스위치(210) 중 문틀(10)의 포켓(20) 측인 후방에 배치되는 댐퍼스위치(210)에 선택적으로 걸려 댐퍼스위치(210)가 이동 및 복귀되도록 상측 부분이 상부레일(100)의 상부구속편(130) 상에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삽입을 통해 상부레일(100)의 포켓(20) 내부 측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대한 내부 상측에 배치 고정되며, 일 측 하면으로부터 하향 댐퍼스위치(210)에 걸리는 돌출부(310)가 하향 돌출형성되고, 상부레일(100)의 상부구속편(130)에 슬라이딩 안착되는 폭 방향 양측에 가이드돌기(330)가 돌출형성되는 후방 트리거(300); 후방 트리거(300) 단부에 일단이 고정설치되며, 타단에 상부레일(100)의 상부구속편(130) 상에 안착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연결되어, 후방 트리거(300)를 일정 위치에 고정설치되도록 하는 트리거고정프레임(400); 및 상측 부분이 상부레일(100)의 상부구속편(130) 상에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삽입을 통해 상부레일(100)에 대한 점검구가 설치되는 측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부재를 통해 상부레일(100)을 관통하여 문틀(10) 상에 고정설치되며, 클로저(200)의 댐퍼스위치(210) 중 문틀(10)의 포켓(20) 반대 측인 전방에 배치되는 댐퍼스위치(210)에 선택적으로 걸려 댐퍼스위치(210)가 이동 및 복귀되도록 하며, 일 측 하향 댐퍼스위치(210)가 걸리는 돌출부(510)가 돌출형성되는 전방 트리거(500)를 포함하고,
    후방 트리거(300)에 대하여 상부레일을 문틀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와 간섭이 없이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후방 트리거(300)는 상면 폭 방향 양측에 단이 진 레일 구조의 밀착리브(350)가 돌출형성되어, 밀착리브(350)의 단이 진 턱(351) 부분에 상부레일(100)의 돌출리브(120)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트리거고정프레임(400)의 타단에 연결되는 고정수단은 트리거고정프레임(400)의 타단 부분의 상면에 하면이 밀착되는 장방형 판 상으로 제공되어, 길이방향 양측이 체결부재를 통해 트리거고정프레임(400)과 연결설치되고, 중앙에 나사공(410a)이 관통형성되며, 폭 방향 양측 일정길이만큼 상부레일(100)의 상부구속편(130) 상에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고정편(400a) 및
    고정편(400a)의 나사공(410a)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승강하면서 트리거고정프레임(400)과 후방 트리거(300)를 상부레일(100) 상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볼트(400b)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400b)는 일정길이를 갖는 머리가 없는 나사 봉 타입의 볼트로 제공되며, 하면에 공구삽입 홈(410b)이 상향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전방 트리거(500)에 대하여 상부레일(100)의 상부구속편(130) 상에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폭 방향 유동이 없이 정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트리거(500)는 폭 방향 양측에 걸림단턱(530)이 형성되어 걸림단턱(530)이 상부레일(100)의 상부구속편(130) 상에 슬라이딩 삽입되며, 상면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구속돌기(550)가 돌출형성되어 구속돌기(550)가 상부레일(100)의 돌출리브(120) 사이에 구속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저(200)는 양단에 유동주행롤러(230)와 고정주행롤러(250)가 구비되면서 댐퍼스위치(210)와, 탄성스프링과, 댐퍼가 각각 2개로 구비되는 클로저로 제공되되,
    양단에 유동주행롤러(230)와 고정주행롤러(250)가 구비되면서 댐퍼스위치(210)와, 탄성스프링과, 댐퍼가 1개로 구비되는 2개의 클로저로 제공되거나
    양단에 유동주행롤러(230)와 고정주행롤러(250)가 구비되면서 댐퍼스위치(210)와, 탄성스프링과, 댐퍼가 각각 2개로 구비되는 단일의 클로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
KR1020210010802A 2021-01-26 2021-01-26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 KR102433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802A KR102433813B1 (ko) 2021-01-26 2021-01-26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802A KR102433813B1 (ko) 2021-01-26 2021-01-26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754A KR20220107754A (ko) 2022-08-02
KR102433813B1 true KR102433813B1 (ko) 2022-08-18

Family

ID=82845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802A KR102433813B1 (ko) 2021-01-26 2021-01-26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8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4744A (ja) * 2008-07-22 2010-02-04 Shimodaira:Kk 戸閉装置
US20180283074A1 (en) * 2017-03-30 2018-10-04 Weider Metal Inc. Trigger and Door Track Unit with the Same
JP2018172881A (ja) * 2017-03-31 2018-11-08 株式会社明工 引込み装置用トリガーピンの取付け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2679B2 (ja) 2009-06-26 2013-09-04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055107B1 (ko) 2010-03-10 2011-08-08 신정철 포켓 도어
KR101876658B1 (ko) 2014-02-28 2018-07-09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슬라이딩 도어 클로저 세트
KR101548488B1 (ko) 2014-03-27 2015-08-28 신정철 포켓슬라이딩도어 자동닫힘장치
KR102160362B1 (ko) 2019-09-25 2020-09-25 정재홍 슬라이딩 도어 완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4744A (ja) * 2008-07-22 2010-02-04 Shimodaira:Kk 戸閉装置
US20180283074A1 (en) * 2017-03-30 2018-10-04 Weider Metal Inc. Trigger and Door Track Unit with the Same
JP2018172881A (ja) * 2017-03-31 2018-11-08 株式会社明工 引込み装置用トリガーピンの取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754A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5152B1 (en) Slide bolt locking systems
US4837975A (en) Externally mounted latch for slidable sash window
US11359422B2 (en) Adjustable dead-latching bolt mechanisms
US4163574A (en) Door stop for inward opening door
JP2018525550A (ja) スライド式パネルのための固定機構
KR100938505B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KR102433813B1 (ko) 슬라이딩 도어클로저 세트
JP2004176262A (ja) 引戸の戸締装置
US20230349206A1 (en) Gate latch
KR100550454B1 (ko)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
KR101539772B1 (ko)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US6183023B1 (en) Door with integrated fire exit device
JPS592279Y2 (ja) スライド回転扉のストツパ装置
JP4285334B2 (ja) サッシ
US20050072086A1 (en) Child safety door having door locking device
US20030122386A1 (en) Sliding glass door lock
EP3093419A1 (en) Security device for a window
KR10188542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JP3251226B2 (ja) 浴室折戸の外れ止め構造
US20060174541A1 (en) Tilt-latch assembly for a sash window
JP3764736B2 (ja) 開閉体の吊り込み方法
JPH0723499Y2 (ja) 間仕切り装置のロック構造
JP6521145B2 (ja) 吊支式スライド扉装置およびその施錠装置
JPH0743392Y2 (ja) 間仕切り装置のロック構造
JPH0712620Y2 (ja) 折畳み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