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711B1 -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711B1
KR102433711B1 KR1020197001820A KR20197001820A KR102433711B1 KR 102433711 B1 KR102433711 B1 KR 102433711B1 KR 1020197001820 A KR1020197001820 A KR 1020197001820A KR 20197001820 A KR20197001820 A KR 20197001820A KR 102433711 B1 KR102433711 B1 KR 102433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encoding
unit
bits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8539A (ko
Inventor
료따 야마다
도모끼 요시무라
히로끼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8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04L1/001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applied to payloa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7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11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using multiple parity bits
    • H03M13/1102Codes on graphs and decoding on graphs, e.g. low-density parity check [LDPC] codes
    • H03M13/1105Decoding
    • H03M13/1111Soft-decision decoding, e.g. by means of message passing or belief propagation algorithm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1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error correction or error detection, not provided for otherwise
    • H03M13/611Specific encoding aspects, e.g. encoding by means of de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04L1/0013Rate matching, e.g. puncturing or repetition of code symb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1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04L1/0042Encoding specially adapted to other signal generation operation, e.g. in order to reduce transmit distortions, jitter, or to improve signal sh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7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4Concatenated codes
    • H04L1/0066Parallel concatenated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7Rate ma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redundant apparatus to increase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복수의 통신 방식이 사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스루풋, 통신 효율 등의 통신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다. 송신 비트로부터 생성된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부호화 및 레이트 매칭에 의해 상기 송신 비트를 생성하는 부호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호화부는, 제1 부호화부, 제1 인터리브부 및 제1 비트 선택부, 및, 제2 부호화부, 제2 인터리브부 및 제2 비트 선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비트 선택부와 상기 제2 비트 선택부는, 동일한 리던던시 버전에 의한 초기 위치가 상이하다.

Description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본 발명은,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사양 책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 장치(기지국, 송신국, 송신점, 하향 링크 송신 장치, 상향 링크 수신 장치, 송신 안테나군, 송신 안테나 포트군, 컴포넌트 캐리어, eNodeB, 액세스 포인트, AP) 혹은 기지국 장치에 준하는 송신국이 커버하는 에어리어를 셀(Cell) 형상으로 복수 배치하는 셀룰러 구성으로 함으로써, 통신 에어리어를 확대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에는, 단말 장치(수신국, 수신점, 하향 링크 수신 장치, 상향 링크 송신 장치, 수신 안테나군, 수신 안테나 포트군, UE, 스테이션, STA)가 접속한다. 이 셀룰러 구성에 있어서, 인접하는 셀 또는 섹터간에서 동일 주파수를 이용함으로써,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2020년경의 상업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하여, 제5세대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5G 시스템)에 관한 연구·개발 활동이 한창 행해지고 있다. 최근, 국제 표준화 기관인 국제 전기 통신 연합 무선 통신 부문(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Radio communications Sector : ITU-R)으로부터, 5G 시스템의 표준 방식(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20 and beyond : IMT-2020)에 관한 비전 권고가 보고되었다(비특허문헌 1 참조).
5G 시스템에서는, 3개의 큰 유스 시나리오(Enhanced mobile broadband(EMBB), Enhanced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eMT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URLLC))로 대표되는 다양한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주파수 밴드를 조합하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그러나, 5G 시스템에 있어서의 3개의 큰 유스 시나리오에는, 각각 적합한 통신 파라미터, 변조 방식,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 등의 통신 방식이 있는 것이 상정된다. 5G 시스템은, 3개의 큰 유스 시나리오에 적합한 통신을 유지한 채로, 이들을 통합하는 시스템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복수의 통신 방식이 사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스루풋, 통신 효율 등의 통신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한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는, 송신 비트로부터 생성된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부호화 및 레이트 매칭에 의해 상기 송신 비트를 생성하는 부호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호화부는, 제1 부호화부, 제1 인터리브부 및 제1 비트 선택부, 및, 제2 부호화부, 제2 인터리브부 및 제2 비트 선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호화부는 제1 부호화 방식으로 소정의 부호화율로 부호화하고, 상기 제1 인터리브부는 상기 제1 부호화부의 출력 비트를 재배열하고, 상기 제1 비트 선택부는 상기 제1 인터리브부의 출력 비트로부터 리던던시 버전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초기 위치로부터 소정의 비트수를 선택하여 상기 송신 비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부호화부는 제2 부호화 방식으로 소정의 부호화율로 부호화하고, 상기 제2 인터리브부는 상기 제2 부호화부의 출력 비트를 재배열하고, 상기 제2 비트 선택부는 상기 제2 인터리브부의 출력 비트로부터 리던던시 버전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초기 위치로부터 소정의 비트수를 선택하여 상기 송신 비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비트 선택부와 상기 제2 비트 선택부는, 동일한 리던던시 버전에 의한 상기 초기 위치가 상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의 상기 소정의 부호화율은 하나이고,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의 상기 소정의 부호화율은 복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 선택부가 사용하는 상기 리던던시 버전의 수와 상기 제2 비트 선택부가 사용하는 상기 리던던시 버전의 수는 상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는,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 또는 변조 부호화 방식(MCS)에 따라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할지,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할지를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단말 장치는, 송신 비트로부터 생성된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부호화 및 레이트 매칭에 의해 상기 송신 비트를 생성하는 부호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호화부는, 제1 부호화부, 제1 인터리브부 및 제1 비트 선택부, 및, 제2 부호화부, 제2 인터리브부 및 제2 비트 선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호화부는 제1 부호화 방식으로 소정의 부호화율로 부호화하고, 상기 제1 인터리브부는 상기 제1 부호화부의 출력 비트를 재배열하고, 상기 제1 비트 선택부는 상기 제1 인터리브부의 출력 비트로부터 리던던시 버전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초기 위치로부터 소정의 비트수를 선택하여 상기 송신 비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부호화부는 제2 부호화 방식으로 소정의 부호화율로 부호화하고, 상기 제2 인터리브부는 상기 제2 부호화부의 출력 비트를 재배열하고, 상기 제2 비트 선택부는 상기 제2 인터리브부의 출력 비트로부터 리던던시 버전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초기 위치로부터 소정의 비트수를 선택하여 상기 송신 비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비트 선택부와 상기 제2 비트 선택부는, 동일한 리던던시 버전에 의한 상기 초기 위치가 상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의 상기 소정의 부호화율은 하나이고,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의 상기 소정의 부호화율은 복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 선택부가 사용하는 상기 리던던시 버전의 수와 상기 제2 비트 선택부가 사용하는 상기 리던던시 버전의 수는 상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는,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 또는 변조 부호화 방식(MCS)에 따라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할지,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할지를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통신 방법은, 송신 비트로부터 생성된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 스텝은, 부호화 및 레이트 매칭에 의해 상기 송신 비트를 생성하는 부호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부호화 스텝은, 제1 부호화 스텝, 제1 인터리브 스텝 및 제1 비트 선택 스텝, 및, 제2 부호화 스텝, 제2 인터리브 스텝 및 제2 비트 선택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부호화 스텝은 제1 부호화 방식으로 소정의 부호화율로 부호화하고, 상기 제1 인터리브 스텝은 상기 제1 부호화 스텝의 출력 비트를 재배열하고, 상기 제1 비트 선택 스텝은 상기 제1 인터리브 스텝의 출력 비트로부터 리던던시 버전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초기 위치로부터 소정의 비트수를 선택하여 상기 송신 비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부호화 스텝은 제2 부호화 방식으로 소정의 부호화율로 부호화하고, 상기 제2 인터리브 스텝은 상기 제2 부호화부의 출력 비트를 재배열하고, 상기 제2 비트 선택 스텝은 상기 제2 인터리브 스텝의 출력 비트로부터 리던던시 버전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초기 위치로부터 소정의 비트수를 선택하여 상기 송신 비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비트 선택 스텝과 상기 제2 비트 선택 스텝은, 동일한 리던던시 버전에 의한 상기 초기 위치가 상이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통신 방식이 사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부호화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비트 선택부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부호화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비트 선택부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비트 선택부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비트 선택부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비트 선택부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장치(송신 장치, 셀, 송신 점, 송신 안테나군, 송신 안테나 포트군, 컴포넌트 캐리어, eNodeB) 및 단말 장치(단말기, 이동 단말기, 수신점, 수신 단말기, 수신 장치, 수신 안테나군, 수신 안테나 포트군, UE)를 구비한다. 또한 단말 장치와 접속하고 있는(무선 링크를 확립하고 있는) 기지국 장치를 서빙 셀이라 칭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는, 면허가 필요한 주파수 대역(라이선스 밴드) 및/또는 면허 불요의 주파수 대역(언라이선스 밴드)에서 통신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X/Y"는, "X 또는 Y"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X/Y"는, "X 및 Y"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X/Y"는 "X 및/또는 Y"의 의미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장치(1A), 단말 장치(2A, 2B)를 구비한다. 또한, 커버리지(1-1)는, 기지국 장치(1A)가 단말 장치와 접속 가능한 범위(통신 에어리어)이다. 또한, 단말 장치(2A, 2B)를 총칭하여 단말 장치(2)라고도 칭한다.
도 1에 있어서, 단말 장치(2A)로부터 기지국 장치(1A)로의 상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이 사용된다.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은,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UCCH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 UCI)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상향 링크 제어 정보는, 하향 링크 데이터(하향 링크 트랜스포트 블록, Downlink-Shared Channel : DL-SCH)에 대한 ACK(a positive acknowledgement) 또는 NACK(a negative acknowledgement)(ACK/NACK)를 포함한다.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를, HARQ-ACK, HARQ 피드백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는, 하향 링크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 CSI)를 포함한다. 또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는, 상향 링크 공용 채널(Uplink-Shared Channel : UL-SCH)의 리소스를 요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케줄링 요구(Scheduling Request : SR)를 포함한다.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적합한 공간 다중수를 지정하는 랭크 지표 RI(Rank Indicator), 적합한 프리코더를 지정하는 프리코딩 행렬 지표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적합한 전송 레이트를 지정하는 채널 품질 지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적합한 CSI-RS 리소스를 나타내는 CSI-RS(Reference Signal, 참조 신호) 리소스 지표 CRI(CSI-RS Resource Indication) 등이 해당한다.
상기 채널 품질 지표 CQI(이하, CQI값)는, 소정의 대역(상세는 후술)에 있어서의 적합한 변조 방식(예를 들어, QPSK, 16QAM, 64QAM, 256QAM 등), 부호화율(coding rate)로 할 수 있다. CQI값은, 상기 변경 방식이나 부호화율에 의해 정해진 인덱스(CQI Index)로 할 수 있다. 상기 CQI값은, 미리 당해 시스템에서 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랭크 지표, 상기 프리코딩 품질 지표는, 미리 시스템에서 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랭크 지표나 상기 프리코딩 행렬 지표는, 공간 다중수나 프리코딩 행렬 정보에 의해 정해진 인덱스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랭크 지표, 상기 프리코딩 행렬 지표, 상기 채널 품질 지표 CQI의 값을 CSI값으로 총칭한다.
PUSCH는, 상향 링크 데이터(상향 링크 트랜스포트 블록, UL-S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PUSCH는, 상향 링크 데이터와 함께, ACK/NACK 및/또는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PUSCH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만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PUSCH는, RRC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RRC 메시지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 RRC)층에 있어서 처리되는 정보/신호이다. 또한, PUSCH는, MAC CE(Control Element)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MAC CE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 Medium Access Control)층에 있어서 처리(송신)되는 정보/신호이다.
예를 들어, 파워 헤드룸은, MAC CE에 포함되고, PUSCH를 경유하여 보고되어도 된다. 즉, MAC CE의 필드가, 파워 헤드룸의 레벨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PRACH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상향 링크 물리 신호로서 상향 링크 참조 신호(Uplink Reference Signal : UL RS)가 사용된다. 상향 링크 물리 신호는,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물리층에 의해 사용된다. 여기서, 상향 링크 참조 신호에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SRS(Sounding Reference Signal)가 포함된다.
DMRS는, PUSCH 또는 PUCCH의 송신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1A)는, PUSCH 또는 PUCCH의 전파로 보정을 행하기 위해 DMRS를 사용한다. SRS는, PUSCH 또는 PUCCH의 송신에 관련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1A)는, 상향 링크의 채널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SRS를 사용한다.
도 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1A)로부터 단말 장치(2A)로의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이 사용된다.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은,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 통지 채널)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 제어 포맷 지시 채널)
·PHICH(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 HARQ 지시 채널)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 하향 링크 제어 채널)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 확장 하향 링크 제어 채널)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 하향 링크 공유 채널)
PBCH는, 단말 장치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마스터 인포메이션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 MIB, Broadcast Channel : BCH)을 통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PCFICH는, 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영역(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의 수)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PHICH는, 기지국 장치(1A)가 수신한 상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 코드워드)에 대한 ACK/NACK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PHICH는, 상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를 나타내는 HARQ 인디케이터(HARQ 피드백)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ACK/NACK는, HARQ-ACK라고도 호칭한다. 단말 장치(2A)는, 수신한 ACK/NACK를 상위 레이어에 통지한다. ACK/NACK는, 정확하게 수신된 것을 나타내는 ACK,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NACK, 대응하는 데이터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DTX이다. 또한, 상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PHICH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 장치(2A)는 ACK를 상위 레이어에 통지한다.
PDCCH 및 EPDCCH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 DCI)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송신에 대하여, 복수의 DCI 포맷이 정의된다. 즉,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대한 필드가 DCI 포맷에 정의되고, 정보 비트에 맵된다.
예를 들어, 하향 링크에 대한 DCI 포맷으로서, 1개의 셀에 있어서의 1개의 PDSCH(1개의 하향 링크 트랜스포트 블록의 송신)의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DCI 포맷 1A가 정의된다.
예를 들어, 하향 링크에 대한 DCI 포맷에는, PDSCH의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 PDSCH에 대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관한 정보, PUCCH에 대한 TPC 커맨드 등의 하향 링크 제어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에 대한 DCI 포맷을, 하향 링크 그랜트(또는,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라고도 칭한다.
또한, 예를 들어 상향 링크에 대한 DCI 포맷으로서, 1개의 셀에 있어서의 1개의 PUSCH(1개의 상향 링크 트랜스포트 블록의 송신)의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DCI 포맷 0이 정의된다.
예를 들어, 상향 링크에 대한 DCI 포맷에는, PUSCH의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 PUSCH에 대한 MCS에 관한 정보, PUSCH에 대한 TPC 커맨드 등 상향 링크 제어 정보가 포함된다. 상향 링크에 대한 DCI 포맷을, 상향 링크 그랜트(또는, 상향 링크 어사인먼트)라고도 칭한다.
또한, 상향 링크에 대한 DCI 포맷은,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CSI : Channel State Information. 수신 품질 정보라고도 칭함)를 요구(CSI request)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향 링크에 대한 DCI 포맷은, 단말 장치가 기지국 장치에 피드백하는 채널 상태 정보 보고(CSI feedback report)를 맵하는 상향 링크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상태 정보 보고는, 정기적으로 채널 상태 정보(Periodic CSI)를 보고하는 상향 링크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 보고는, 정기적으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모드 설정(CSI report mode)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상태 정보 보고는, 부정기한 채널 상태 정보(Aperiodic CSI)를 보고하는 상향 링크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 보고는, 부정기적으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모드 설정(CSI report mode)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는, 상기 정기적인 채널 상태 정보 보고 또는 상기 부정기적인 채널 상태 정보 보고 중 어느 것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는, 상기 정기적인 채널 상태 정보 보고 및 상기 부정기적인 채널 상태 정보 보고의 양쪽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향 링크에 대한 DCI 포맷은, 단말 장치가 기지국 장치에 피드백하는 채널 상태 정보 보고의 종류를 나타내는 설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 보고의 종류는, 광대역 CSI(예를 들어, Wideband CQI)와 협대역 CSI(예를 들어, Subband CQI) 등이 있다.
단말 장치는,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를 사용하여 PDSCH의 리소스가 스케줄된 경우, 스케줄된 PDSCH로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단말 장치는, 상향 링크 그랜트를 사용하여 PUSCH의 리소스가 스케줄된 경우, 스케줄된 PUSCH로 상향 링크 데이터 및/또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PDSCH는, 하향 링크 데이터(하향 링크 트랜스포트 블록, DL-S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PDSCH는, 시스템 인포메이션 블록 타입 1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스템 인포메이션 블록 타입 1 메시지는, 셀 스페시픽(셀 고유)한 정보이다.
또한, PDSCH는, 시스템 인포메이션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스템 인포메이션 메시지는, 시스템 인포메이션 블록 타입 1 이외의 시스템 인포메이션 블록 X를 포함한다. 시스템 인포메이션 메시지는, 셀 스페시픽(셀 고유)한 정보이다.
또한, PDSCH는, RRC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RRC 메시지는, 셀 내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공통이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1A)로부터 송신되는 RRC 메시지는, 어떤 단말 장치(2)에 대하여 전용의 메시지(dedicated signaling이라고도 칭함)여도 된다. 즉, 유저 장치 스페시픽(유저 장치 고유)한 정보는, 어떤 단말 장치에 대하여 전용의 메시지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또한, PDSCH는, MAC CE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RRC 메시지 및/또는 MAC CE를, 상위층의 신호(higher layer signaling)라고도 칭한다.
또한, PDSCH는,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를 요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PDSCH는, 단말 장치가 기지국 장치에 피드백하는 채널 상태 정보 보고(CSI feedback report)를 맵하는 상향 링크 리소스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상태 정보 보고는, 정기적으로 채널 상태 정보(Periodic CSI)를 보고하는 상향 링크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 보고는, 정기적으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모드 설정(CSI report mode)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 보고의 종류는 광대역 CSI(예를 들어, Wideband CSI)와 협대역 CSI(예를 들어, Subband CSI)가 있다. 광대역 CSI는, 셀의 시스템 대역에 대하여 1개의 채널 상태 정보를 산출한다. 협대역 CSI는, 시스템 대역을 소정의 단위로 구분하고, 그 구분에 대하여 1개의 채널 상태 정보를 산출한다.
또한,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하향 링크 물리 신호로서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 SS), 하향 링크 참조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 : DL RS)가 사용된다. 하향 링크 물리 신호는,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물리층에 의해 사용된다.
동기 신호는, 단말 장치가, 하향 링크의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의 동기를 취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하향 링크 참조 신호는, 단말 장치가,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전파로 보정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하향 링크 참조 신호는, 단말 장치가,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 참조 신호에는,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 셀 고유 참조 신호), PDSCH에 관련되는 URS(UE-specific Reference Signal : 단말기 고유 참조 신호, 단말 장치 고유 참조 신호), EPDCCH에 관련되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NZP CSI-RS(Non-Zero Power Cha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ZP CSI-RS(ZeroPower Cha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가 포함된다.
CRS는, 서브 프레임의 전대역에서 송신되며, PBCH/PDCCH/PHICH/PCFICH/PDSCH의 복조를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PDSCH에 관련되는 URS는, URS가 관련되는 PDSCH의 송신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 및 대역에서 송신되고, URS가 관련되는 PDSCH의 복조를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EPDCCH에 관련되는 DMRS는, DMRS가 관련되는 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 및 대역에서 송신된다. DMRS는, DMRS가 관련되는 EPDCCH의 복조를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NZP CSI-RS의 리소스는, 기지국 장치(1A)에 의해 설정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A)는, NZP CSI-RS를 사용하여 신호의 측정(채널의 측정)을 행한다. ZP CSI-RS의 리소스는, 기지국 장치(1A)에 의해 설정된다. 기지국 장치(1A)는, ZP CSI-RS를 제로 출력으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A)는, NZP CSI-RS가 대응하는 리소스에 있어서 간섭의 측정을 행한다.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RS는, PMCH의 송신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전대역에서 송신된다. MBSFN RS는, PMCH의 복조를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PMCH는, MBSFN RS의 송신에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에 의해 송신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 하향 링크 물리 신호를 총칭하여, 하향 링크 신호라고도 칭한다. 또한, 상향 링크 물리 채널 및 상향 링크 물리 신호를 총칭하여, 상향 링크 신호라고도 칭한다. 또한,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총칭하여, 물리 채널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하향 링크 물리 신호 및 상향 링크 물리 신호를 총칭하여, 물리 신호라고도 칭한다.
또한, BCH, UL-SCH 및 DL-S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이다. MAC층에서 사용되는 채널을, 트랜스포트 채널이라고 칭한다. 또한, MAC층에서 사용되는 트랜스포트 채널의 단위를, 트랜스포트 블록(Transport Block : TB), 또는, MAC PDU(Protocol Data Unit)라고도 칭한다. 트랜스포트 블록은, MAC층이 물리층에 전달하는(deliver하는) 데이터의 단위이다. 물리층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블록은 코드워드에 맵되고, 코드워드마다 부호화 처리 등이 행해진다.
또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 Carrier Aggregation)을 서포트하고 있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기지국 장치는, 보다 광대역 전송을 위해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C : Component Carrier)를 통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서는, 1개의 프라이머리 셀(PCell : Primary Cell) 및 1개 또는 복수의 세컨더리 셀(SCell : Secondary Cell)이 서빙 셀의 집합으로서 설정된다.
또한, 듀얼 커넥티비티(DC : Dual Connectivity)에서는, 서빙 셀의 그룹으로서, 마스터 셀 그룹(MCG : Master Cell Group)과 세컨더리 셀 그룹(SCG : Secondary Cell Group)이 설정된다. MCG는 PCell과 옵션으로 1개 또는 복수의 SCell을 포함한다. 또한 SCG는 프라이머리 SCell(PSCell)과 옵션으로 1개 또는 복수의 SCell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1A)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1A)는, 상위층 처리부(상위층 처리 스텝)(101), 제어부(제어 스텝)(102), 송신부(송신 스텝)(103), 수신부(수신 스텝)(104)와 송수신 안테나(1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101)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무선 리소스 제어 스텝)(1011), 스케줄링부(스케줄링 스텝)(10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송신부(103)는 부호화부(부호화 스텝)(1031), 변조부(변조 스텝)(1032),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 스텝)(1033), 다중부(다중 스텝)(1034), 무선 송신부(무선 송신 스텝)(10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수신부(104)는 무선 수신부(무선 수신 스텝)(1041), 다중 분리부(다중 분리 스텝)(1042), 복조부(복조 스텝)(1043), 복호부(복호 스텝)(10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위층 처리부(101)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 MAC)층,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 PDCP)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 RLC)층,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 RRC)층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101)는, 송신부(103) 및 수신부(104)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02)에 출력한다.
상위층 처리부(101)는, 단말 장치의 기능(UE capability) 등,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를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바꾸어 말하면, 단말 장치는, 자신의 기능을 기지국 장치에 상위층의 신호로 송신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는, 그 단말 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그 단말 장치가 소정의 기능에 대한 도입 및 테스트의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할지 여부는, 소정의 기능에 대한 도입 및 테스트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하는 경우, 그 단말 장치는 그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파라미터)를 송신한다. 단말 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하지 않는 경우, 그 단말 장치는 그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파라미터)를 송신하지 않는다. 즉, 그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할지 여부는, 그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파라미터)를 송신할지 여부에 따라 통지된다. 또한,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파라미터)는, 1 또는 0의 1비트를 사용하여 통지해도 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는, 하향 링크의 PDSCH에 배치되는 하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 시스템 인포메이션, RRC 메시지, MAC CE 등을 생성 또는 상위 노드로부터 취득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는, 하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부(103)에 출력하고, 다른 정보를 제어부(102)에 출력한다. 또한,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는 단말 장치의 각종 설정 정보의 관리를 한다.
스케줄링부(1012)는, 물리 채널(PDSCH 및 PUSCH)을 할당하는 주파수 및 서브 프레임, 물리 채널(PDSCH 및 PUSCH)의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혹은 MCS) 및 송신 전력 등을 결정한다. 스케줄링부(1012)는 결정한 정보를 제어부(102)에 출력한다.
스케줄링부(1012)는 스케줄링 결과에 기초하여, 물리 채널(PDSCH 및 PU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정보를 생성한다. 스케줄링부(1012)는 생성한 정보를 제어부(102)에 출력한다.
제어부(102)는 상위층 처리부(101)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부(103) 및 수신부(104)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02)는 상위층 처리부(101)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부(103)에 출력한다.
송신부(103)는 제어부(102)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위층 처리부(101)로부터 입력된 HARQ 인디케이터,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및, 하향 링크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PHICH, PDCCH, EPDCCH, PDSCH 및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다중하여, 송수신 안테나(105)를 통해 단말 장치(2)에 신호를 송신한다.
부호화부(1031)는 상위층 처리부(101)로부터 입력된 HARQ 인디케이터,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및 하향 링크 데이터를, 블록 부호화,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 저밀도 패리티 체크) 부호화, 컨볼루션 부호화, 터보 부호화 등의 미리 정해진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부호화를 행하거나,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가 결정한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부호화를 행한다.
도 3은 터보 부호화에 있어서의 부호화부(103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3의 예에서는, 부호화부(1031)는, 터보 부호화부(터보 부호화 스텝)(301), 인터리브부(인터리브 스텝)(302-1 내지 302-3), 비트 선택부(비트 선택 스텝)(303)를 구비한다. 터보 부호화부(301)는 마더 부호화율로 부호화를 행한다. 또한, 도 3의 예는, 마더 부호화율을 1/3로 하고 있다. 이때 터보 부호화부(301)는 시스터매틱 비트 계열, 제1 패리티 비트 계열, 제2 패리티 비트 계열의 3계열을 출력한다. 인터리브부(302-1 내지 302-3)는, 각각 시스터매틱 비트(Systematic bit) 계열, 제1 패리티 비트 계열, 제2 패리티 비트 계열을 인터리브하는 서브블록 인터리버이다. 인터리브부(302-1 내지 302-3)는 병렬 처리를 행하기 위해 3개의 블록이 있지만, 직렬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1개의 인터리브부가 있으면 된다. 비트 선택부(303)에서는, 레이트 매칭이 행해진다. 비트 선택부(303)는 리던던시 버전(Redundancy Version : RV)이나 레이트 매칭 등에 의해 결정된 레이트(비트수)가 되도록, 비트 계열을 선택하여, 송신하는 비트 계열을 출력한다. 또한, 부호화 비트 계열은, 단말 장치가 올바르게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을 때까지 유지해 둔다. 유지한 부호화 비트 계열은 HARQ에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비트 선택부(303)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2차원의 서큘러 버퍼(Circular buffer)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 중의 사각에는 인터리브 후의 부호화 비트가 배치된다. 사선의 영역에는, 시스터매틱 비트 계열, 흰색 영역에는 제1 패리티 비트 계열과 제2 패리티 비트 계열이 세로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다. 배치된 비트 계열에 대해, RV를 초기 위치(개시 위치)로 하여, 필요한 비트수를 세로 방향으로 판독한다. 또한, LTE(Long Term Evolution)에서는, RV는 4가지가 있다. 여기에서는 4가지의 RV를 RV0 내지 RV3으로서 나타낸다. 또한, RV0 내지 RV3은 각각 RV의 값이 0, 1, 2, 3인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RV0은, RV 중에서 가장 많은 시스터매틱 비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통상, 초송의 경우, RV0이 사용된다. 재송의 경우에는, RV0 내지 RV3 중 어느 것이 사용된다. 또한, 재송 횟수에 따라 사용되는 RV가 정해져 있어도 된다.
도 5는 LDPC 부호화에 있어서의 부호화부(103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5의 예에서는, 부호화부(1031)는 LDPC 부호화부(LDPC 부호화 스텝)(501), 인터리브부(인터리브 스텝)(502), 비트 선택부(비트 선택 스텝)(503)를 구비한다. LDPC 부호화부(501)는, 예를 들어 부호화율 1/3의 마더 부호화율로 LPDC 부호화를 행한다. LDPC 부호화는, 생성 행렬을 사용하여 부호화를 행한다. 부호화부(1031)는 부호화 블록 사이즈,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 또는 MCS에 따라 상이한 생성 행렬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LDPC 부호화의 경우, 인터리브부(502)는 없어도 된다.
도 6은 비트 선택부(503)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2차원의 서큘러 버퍼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 중의 사각에는 인터리브 후의 부호화 비트가 배치된다. 사선의 영역에는, 시스터매틱 비트 계열, 흰색 영역에는 패리티 비트 계열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다. 배치된 비트 계열에 대해, RV를 초기 위치(개시 위치)로 하여, 필요한 비트수를 세로 방향으로 판독한다. RV는 RV0 내지 RV3의 4가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예(즉 터보 부호화의 경우)와의 차이는, RV에 의한 판독 위치가 상이한 것이다. 터보 부호화에서는, RV0의 경우에 모든 시스터매틱 비트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터보 부호화는 이때에 비트 오류율이 좋아지지만, LDPC 부호화의 경우에는, 시스터매틱 비트는 모두 송신한 쪽이 비트 오류율은 좋아진다. 따라서, LDPC 부호화에서는, RV0의 경우에 시스터매틱 비트의 선두로부터 판독하여, 모든 시스터매틱 비트가 송신된다.
예를 들어, 비트 선택부(503)의 동작은, 해당 비트 선택부(503)에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에 적용되는 부호화 방식에 기초하여, 제공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비트 선택부(503)에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에 적용되는 부호화 방식이 터보 부호 이외인 경우에, 서큘러 버퍼가 생성되지 않아도 된다. 서큘러 버퍼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비트 선택부(503)의 동작은, 해당 비트 선택부(503)에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를 출력하는 것이어도 된다. 비트 선택부(503)에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를 출력하는 것은, 단말 장치, 또는, 기지국 장치가, 비트 선택부(503)를 구비하지 않는 것 이어도 된다. 또한, 서큘러 버퍼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비트 선택부(503)의 동작은, 해당 비트 선택부(503)에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에 소정의 펑처링 패턴이 적용 되도록 레이트 매치되어도 된다. 여기서, 소정의 핑처링 패턴은, 사양서 등의 기재에 기초하여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소정의 펑처링 패턴은, RRC 시그널링 등의 상위층의 신호, 또는, 물리층의 제어 정보(또는, 제어 채널 등)에 기초하여, 제공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비트 선택부(503)에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에 적용되는 부호화 방식이 터보 부호 이외인 경우에, 서큘러 버퍼에 4개가 아닌 RV의 세트가 설정되어도 된다. 여기서, 4개가 아닌 RV의 세트는, 예를 들어 1개, 2개, 3개, 5개, 6개, 7개, 8개 등이어도 된다. RV의 세트의 수는, 재송 횟수의 상한값(예를 들어, HARQ에 있어서의 재송 횟수의 상한값 등)에 기초하여,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비트 선택부(503)에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에 적용되는 부호화 방식이 터보 부호인 경우에, 서큘러 버퍼에 4개의 RV의 세트(예를 들어,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RV0 내지 RV3 등)가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비트 선택부(503)에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에 적용되는 부호화 방식에 기초하여, RV의 세트에 관한 설정이 제공되어도 된다. 여기서, RV의 세트에 관한 설정이란, 서큘러 버퍼에 설정되는 RV의 위치여도 된다. 비트 선택부(503)에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에 적용되는 부호화 방식이 터보 부호 이외인 경우에, 서큘러 버퍼에 제1 RV 세트(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RV0 내지 RV3의 위치)가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비트 선택부(303)에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에 적용되는 부호화 방식이 터보 부호인 경우에, 서큘러 버퍼에 제 2RV 세트(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RV0 내지 RV3의 위치)가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RV 세트는, 복수의 RV 중에서 선택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RV 세트 및 제2 RV 세트는, 8개의 RV(RV0 내지 RV7)로부터 선택된 4개의 RV로 할 수 있다. RV0이 시스터매틱 비트의 선두로부터 판독하는 것으로 하면, 부호화 방식이 LDPC 부호 등의 터보 부호 이외의 부호화 방식인 경우, 제1 RV 세트는 RV0, RV2, RV4, RV8이고, 부호화 방식이 터보 부호인 경우, 제2 RV 세트는 RV1, RV3, RV5, RV7이 선택된다. 또한, RV 세트에 포함되는 RV는, 기지국 장치 또는 단말 장치가 설정할 수도 있고, 복수의 RV 세트(예를 들어, 제1 RV 세트, 제2 RV 세트)로부터 어떤 RV 세트를 기지국 장치 또는 단말 장치가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8개의 RV로부터 4개의 RV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 또는 단말 장치는 리던던시 버전을 나타내는 2비트를 제어 정보에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 장치 또는 단말 장치는, 수신한 리던던시 버전을 나타내는 2비트로부터 8개 중 4개의 RV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LDPC 부호는 펑처링(비트 선택)에 의한 레이트 매칭의 성능이 좋지 않은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LDPC 부호화에서는, 복수의 마더 부호화율을 가질(서포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더 부호화율은 1/3, 1/2로 할 수 있다. 도 7은 마더 부호화율 1/2의 경우의 비트 선택부(503)의 동작예이다. 또한, 복수의 마더 부호화율을 갖는 경우, 비트 선택의 패턴은 줄어들기 때문에, RV의 수도 줄일 수 있다. 도 8은 마더 부호화율 1/3이며 RV수를 2로 한 경우이다. 또한 도 9는 마더 부호화율 1/2이며 RV수를 2로 한 경우이다. 마더 부호화율 1/3과 1/2의 전환은, 부호화율 또는 MCS에 의해 행해진다. 예를 들어, 부호화율 또는 MCS에 대응하는 부호화율이 1/3 내지 1/2인 경우, 마더 부호화율은 1/3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부호화율 또는 MCS에 대응하는 부호화율이 1/2를 초과하는 경우, 마더 부호화율은 1/2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호화율의 값이나 RV의 수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상이한 값의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것은 이후의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부호화부(1031)는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 또는 정보 비트 길이에 따라 부호화 방식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는 터보 부호화하고,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가 큰 경우에는 LDPC 부호화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는, 그 역치가 되는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 또는 정보 비트 길이를 단말 장치에 지시 또는 송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지시 또는 송신된 역치를 사용하여, 부호화 방식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부(1031)는, 시스템 대역폭에 따라 부호화 방식을 전환할 수 있다. LDPC 부호는 부호어 길이가 긴 쪽이 고성능이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부호화부(1031)는, 시스템 대역폭이 20㎒보다도 좁은 경우, 터보 부호화하고, 시스템 대역폭이 20㎒보다도 넓은 경우, LDPC 부호화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는, 시스템 대역폭이 20㎒보다도 좁은 경우, 터보 부호로 복호하고, 시스템 대역폭이 20㎒보다도 넓은 경우, LDPC 부호로 복호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부(1031)는, 캐리어 주파수에 따라 부호화 방식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화부(1031)는 캐리어 주파수가 6㎓ 이하인 경우, 터보 부호화하고, 캐리어 주파수가 6㎓ 이상인 경우, LDPC 부호화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는, 캐리어 주파수가 6㎓ 이하인 경우, 터보 부호로 복호하고, 캐리어 주파수가 6㎓ 이상인 경우, LDPC 부호로 복호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변화시켜 송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부호화부(1031)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부호화 방식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화부(1031)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 터보 부호화하고,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보다도 넓은 경우, LDPC 부호화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 터보 부호로 복호하고,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보다도 넓은 경우, LDPC 부호로 복호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부(1031)는 셀마다 부호화 방식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ell에서는 터보 부호화하고, PSCell/SCell에서는 터보 부호화 및/또는 LDPC 부호화할 수 있다.
변조부(1032)는 부호화부(1031)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비트를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 256QAM 등의 미리 정해진,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가 결정한 변조 방식으로 변조한다.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1033)는, 기지국 장치(1A)를 식별하기 위한 물리 셀 식별자(PCI, 셀 ID) 등을 기초로 미리 정해진 규칙에 의해 구해지는, 단말 장치(2A)가 기지의 계열을 하향 링크 참조 신호로서 생성한다.
다중부(1034)는, 변조된 각 채널의 변조 심볼과 생성된 하향 링크 참조 신호와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다중한다. 즉, 다중부(1034)는, 변조된 각 채널의 변조 심볼과 생성된 하향 링크 참조 신호와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리소스 엘리먼트에 배치한다.
무선 송신부(1035)는, 다중된 변조 심볼 등을 역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 IFFT)하여 OFDM 심볼을 생성하고, OFDM 심볼에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 CP)를 부가하여 베이스 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베이스 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필터링에 의해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반송 주파수로 업 컨버트하고, 전력 증폭하고, 송수신 안테나(105)에 출력하여 송신한다.
수신부(104)는, 제어부(102)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송수신 안테나(105)를 통해 단말 장치(2A)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를 분리, 복조, 복호하고, 복호한 정보를 상위층 처리부(101)에 출력한다.
무선 수신부(1041)는, 송수신 안테나(105)를 통해 수신된 상향 링크의 신호를, 다운 컨버트에 의해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하고,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신호 레벨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증폭 레벨을 제어하고, 수신된 신호의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에 기초하여, 직교 복조하고, 직교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무선 수신부(1041)는, 변환한 디지털 신호로부터 CP에 상당하는 부분을 제거한다. 무선 수신부(1041)는, CP를 제거한 신호에 대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 FFT)을 행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추출하고 다중 분리부(1042)에 출력한다.
다중 분리부(1042)는 무선 수신부(104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PUCCH, PUSCH, 상향 링크 참조 신호 등의 신호로 분리한다. 또한, 이 분리는, 미리 기지국 장치(1A)가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에서 결정하고, 각 단말 장치(2)에 통지한 상향 링크 그랜트에 포함되는 무선 리소스의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또한, 다중 분리부(1042)는 PUCCH와 PUSCH의 전파로의 보상을 행한다. 또한, 다중 분리부(1042)는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분리한다.
복조부(1043)는, PUSCH를 역이산 푸리에 변환(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 IDFT)하여, 변조 심볼을 취득하고, PUCCH와 PUSCH의 변조 심볼 각각에 대하여,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등의 미리 정해진 또는 자장치가 단말 장치(2) 각각에 상향 링크 그랜트로 미리 통지한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수신 신호의 복조를 행한다.
복호부(1044)는, 복조된 PUCCH와 PUSCH의 부호화 비트를, 미리 정해진 부호화 방식의, 미리 정해진 또는 자장치가 단말 장치(2)에 상향 링크 그랜트로 미리 통지한 부호화율로 복호를 행하고, 복호한 상향 링크 데이터와,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상위층 처리부(101)에 출력한다. PUSCH가 재송신인 경우에는, 복호부(1044)는 상위층 처리부(101)로부터 입력되는 HARQ 버퍼에 유지하고 있는 부호화 비트와, 복조된 부호화 비트를 사용하여 복호를 행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2)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2A)는, 상위층 처리부(상위층 처리 스텝)(201), 제어부(제어 스텝)(202), 송신부(송신 스텝)(203), 수신부(수신 스텝)(204), 채널 상태 정보 생성부(채널 상태 정보 생성 스텝)(205)와 송수신 안테나(2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201)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무선 리소스 제어 스텝)(2011), 스케줄링 정보 해석부(스케줄링 정보 해석 스텝)(20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송신부(203)는 부호화부(부호화 스텝)(2031), 변조부(변조 스텝)(2032),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 스텝)(2033), 다중부(다중 스텝)(2034), 무선 송신부(무선 송신 스텝)(20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수신부(204)는 무선 수신부(무선 수신 스텝)(2041), 다중 분리부(다중 분리 스텝)(2042), 신호 검출부(신호 검출 스텝)(20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위층 처리부(201)는, 유저의 조작 등에 의해 생성된 상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를 송신부(203)에 출력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201)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 MAC)층,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 PDCP)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 RLC)층,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 RRC)층의 처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201)는, 자단말기 장치가 서포트하고 있는 단말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부(203)에 출력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2011)는 자단말기 장치의 각종 설정 정보의 관리를 한다. 또한, 무선 리소스 제어부(2011)는 상향 링크의 각 채널에 배치되는 정보를 생성하고, 송신부(203)에 출력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2011)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CSI 피드백에 관한 설정 정보를 취득하고, 제어부(202)에 출력한다.
스케줄링 정보 해석부(2012)는, 수신부(204)를 통해 수신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해석하고, 스케줄링 정보를 판정한다. 또한, 스케줄링 정보 해석부(2012)는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부(204) 및 송신부(203)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제어부(202)에 출력한다.
제어부(202)는, 상위층 처리부(201)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부(204), 채널 상태 정보 생성부(205) 및 송신부(203)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202)는, 생성한 제어 신호를 수신부(204), 채널 상태 정보 생성부(205) 및 송신부(203)에 출력하여 수신부(204) 및 송신부(203)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202)는, 채널 상태 정보 생성부(205)가 생성한 CSI를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도록 송신부(203)를 제어한다.
수신부(204)는, 제어부(202)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송수신 안테나(206)를 통해 기지국 장치(1A)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를, 분리, 복조, 복호하고, 복호한 정보를 상위층 처리부(201)에 출력한다.
무선 수신부(2041)는, 송수신 안테나(206)를 통해 수신한 하향 링크의 신호를, 다운 컨버트에 의해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하고,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신호 레벨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증폭 레벨을 제어하고, 수신한 신호의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에 기초하여, 직교 복조하고, 직교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무선 수신부(2041)는, 변환한 디지털 신호로부터 CP에 상당하는 부분을 제거하고, CP를 제거한 신호에 대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을 행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추출한다.
다중 분리부(2042)는, 추출한 신호를 PHICH, PDCCH, EPDCCH, PDSCH 및 하향 링크 참조 신호로, 각각 분리한다. 또한, 다중 분리부(2042)는, 채널 측정으로부터 얻어진 원하는 신호의 채널 추정값에 기초하여, PHICH, PDCCH 및 EPDCCH의 채널의 보상을 행하여,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검출하고, 제어부(202)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02)는 PDSCH 및 원하는 신호의 채널 추정값을 신호 검출부(2043)에 출력한다.
신호 검출부(2043)는, PDSCH, 채널 추정값을 사용하여, 신호 검출, 복조, 복호하고, 상위층 처리부(201)에 출력한다.
신호 검출부(2043)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PDSCH의 부호화 방식에 따라, 복호한다. 신호 검출부(2043)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부호화 방식이 지시 또는 설정된 경우, 지시된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복호한다. 또한 신호 검출부(2043)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 정보 비트 길이, 부호화 블록 사이즈, 부호화율, MCS, 시스템 대역폭, 캐리어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부호화 방식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검출부(2043)는,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는 터보 부호로 복호하고,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가 큰 경우에는 LDPC 부호로 복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신호 검출부(2043)는, 시스템 대역폭이 20㎒보다도 좁은 경우, 터보 부호로 복호하고, 시스템 대역폭이 20㎒보다도 넓은 경우, LDPC 부호로 복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신호 검출부(2043)는, 캐리어 주파수가 6㎓ 이하인 경우, 터보 부호로 복호하고, 캐리어 주파수가 6㎓ 이상인 경우, LDPC 부호로 복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신호 검출부(2043)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 터보 부호로 복호하고,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보다도 넓은 경우, LDPC 부호로 복호할 수 있다.
송신부(203)는, 제어부(202)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위층 처리부(201)로부터 입력된 상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PUCCH, PUSCH 및 생성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다중하고, 송수신 안테나(206)를 통해 기지국 장치(1A)에 송신한다.
부호화부(2031)는, 상위층 처리부(201)로부터 입력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를, 컨벌루션 부호화, 블록 부호화, 터보 부호화,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 저밀도 패리티 체크) 부호화 등의 미리 정해진 부호화 방식,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2011)가 결정한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부호화를 행한다.
부호화부(2031)의 구성예 및 동작은 부호화부(1031)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부호화부(2031)에 관한 설명은 상기의 부호화부(1031)와 마찬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도 3은 터보 부호화에 있어서의 부호화부(203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3의 예에서는, 부호화부(2031)는 터보 부호화부(터보 부호화 스텝)(301), 인터리브부(인터리브 스텝)(302-1 내지 302-3), 비트 선택부(비트 선택 스텝)(303)를 구비한다. 터보 부호화부(301)는 마더 부호화율로 부호화를 행한다. 또한, 도 3의 예는, 마더 부호화율을 1/3으로 하고 있다. 이때 터보 부호화부(301)는, 시스터매틱 비트 계열, 제1 패리티 비트 계열, 제2 패리티 비트 계열의 3계열을 출력한다. 인터리브부(302-1 내지 302-3)는, 각각 시스터매틱 비트(Systematic bit) 계열, 제1 패리티 비트 계열, 제2 패리티 비트 계열을 인터리브하는 서브블록 인터리버이다. 인터리브부(302-1 내지 302-3)는 병렬 처리를 행하기 위해 3개의 블록이 있지만, 직렬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1개의 인터리브부가 있으면 된다. 비트 선택부(303)에서는, 레이트 매칭이 행해진다. 비트 선택부(303)는 리던던시 버전(Redundancy Version : RV)이나 레이트 매칭 등에 의해 결정된 레이트(비트수)가 되도록, 비트 계열을 선택하여, 송신하는 비트 계열을 출력한다. 또한, 부호화 비트 계열은, 기지국 장치가 올바르게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을 때까지 유지해 둔다. 유지한 부호화 비트 계열은 HARQ에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비트 선택부(303)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2차원의 서큘러 버퍼(Circular buffer)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 중의 사각에는 인터리브 후의 부호화 비트가 배치된다. 사선의 영역에는, 시스터매틱 비트 계열, 흰색 영역에는 제1 패리티 비트 계열과 제2 패리티 비트 계열이 세로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다. 배치된 비트 계열에 대해, RV를 개시 위치로 하여, 필요한 비트수를 세로 방향으로 판독한다. 또한, LTE(Long Term Evolution)에서는, RV는 4가지가 있다. 여기에서는 4가지의 RV를 RV0 내지 RV3으로서 나타낸다. 또한, RV0 내지 RV3은 각각 RV의 값이 0, 1, 2, 3인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RV0은, RV 중에서 가장 많은 시스터매틱 비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통상, 초송의 경우, RV0이 사용된다. 재송의 경우에는, RV0 내지 RV3 중 어느 것이 사용된다. 또한, 재송 횟수에 따라 사용되는 RV가 정해져 있어도 된다.
도 5는 LDPC 부호화에 있어서의 부호화부(203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5의 예에서는, 부호화부(2031)는 LDPC 부호화부(LDPC 부호화 스텝)(501), 인터리브부(인터리브 스텝)(502), 비트 선택부(비트 선택 스텝)(503)를 구비한다. LDPC 부호화부(501)는, 예를 들어 부호화율 1/3의 마더 부호화율로 LPDC 부호화를 행한다. LDPC 부호화는, 생성 행렬을 사용하여 부호화를 행한다. 부호화부(2031)는, 부호화 블록 사이즈,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 또는 MCS에 따라 상이한 생성 행렬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LDPC 부호화의 경우, 인터리브부(502)는 없어도 된다.
도 6은 비트 선택부(503)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2차원의 서큘러 버퍼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 중의 사각에는 인터리브 후의 부호화 비트가 배치된다. 사선의 영역에는, 시스터매틱 비트 계열, 흰색 영역에는 패리티 비트 계열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다. 배치된 비트 계열에 대해, RV를 초기 위치(개시 위치)로 하여, 필요한 비트수를 세로 방향으로 판독한다. RV는 RV0 내지 RV3의 4가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예(즉 터보 부호화의 경우)와의 차이는, RV에 의한 판독 위치가 상이한 것이다. 터보 부호화에서는, RV0의 경우에 모든 시스터매틱 비트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터보 부호화는 이때에 비트 오류율이 좋아지지만, LDPC 부호화의 경우에는, 시스터매틱 비트는 모두 송신한 쪽이 비트 오류율은 좋아진다. 따라서, LDPC 부호화에서는, RV0의 경우에 시스터매틱 비트의 선두로부터 판독하여, 모든 시스터매틱 비트가 송신된다.
예를 들어, 비트 선택부(503)의 동작은, 해당 비트 선택부(503)에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에 적용되는 부호화 방식에 기초하여, 제공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비트 선택부(503)에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에 적용되는 부호화 방식이 터보 부호 이외인 경우에, 서큘러 버퍼가 생성되지 않아도 된다. 서큘러 버퍼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비트 선택부(503)의 동작은, 해당 비트 선택부(503)에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를 출력하는 것이어도 된다. 비트 선택부(503)에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를 출력하는 것은, 단말 장치, 또는, 기지국 장치가, 비트 선택부(503)를 구비하지 않는 것 이어도 된다. 또한, 서큘러 버퍼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비트 선택부(503)의 동작은, 해당 비트 선택부(503)에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에 소정의 펑처링 패턴이 적용되도록 레이트 매치되어도 된다. 여기서, 소정의 펑처링 패턴은, 사양서 등의 기재에 기초하여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소정의 펑처링 패턴은, RRC 시그널링 등의 상위층의 신호, 또는, 물리층의 제어 정보(또는, 제어 채널 등)에 기초하여, 제공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비트 선택부(503)에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에 적용되는 부호화 방식이 터보 부호 이외인 경우에, 서큘러 버퍼에 4개가 아닌 RV의 세트가 설정되어도 된다. 여기서, 4개가 아닌 RV의 세트는, 예를 들어 1개, 2개, 3개, 5개, 6개, 7개, 8개 등이어도 된다. RV의 세트의 수는, 재송 횟수의 상한값(예를 들어, HARQ에 있어서의 재송 횟수의 상한값 등)에 기초하여,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비트 선택부(503)에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에 적용되는 부호화 방식이 터보 부호인 경우에, 서큘러 버퍼에 4개의 RV의 세트(예를 들어, 도 4, 또는, 도 6에 도시한 RV0 내지 RV3 등)가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비트 선택부(503)에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에 적용되는 부호화 방식에 기초하여, RV의 세트에 관한 설정이 제공되어도 된다. 여기서, RV의 세트에 관한 설정이란, 서큘러 버퍼에 설정되는 RV의 위치여도 된다. 비트 선택부(503)에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에 적용되는 부호화 방식이 터보 부호 이외인 경우에, 서큘러 버퍼에 제1 RV 세트(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RV0 내지 RV3의 위치)가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해당 비트 선택부(503)에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에 적용되는 부호화 방식이 터보 부호인 경우에, 서큘러 버퍼에 제2 RV 세트(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RV0 내지 RV3의 위치)가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RV 세트는, 복수의 RV 중에서 선택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RV 세트 및 제2 RV 세트는, 8개의 RV(RV0 내지 RV7)로부터 선택된 4개의 RV로 할 수 있다. RV0이 시스터매틱 비트의 선두로부터 판독하는 것으로 하면, 부호화 방식이 LDPC 부호 등의 터보 부호 이외의 부호화 방식인 경우, 제1 RV 세트는 RV0, RV2, RV4, RV8이며, 부호화 방식이 터보 부호인 경우, 제2 RV 세트는 RV1, RV3, RV5, RV7이 선택된다. 또한, RV 세트에 포함되는 RV는, 기지국 장치 또는 단말 장치가 설정할 수도 있고, 복수의 RV 세트(예를 들어, 제1 RV 세트, 제2 RV 세트)로부터 어떤 RV 세트를 기지국 장치 또는 단말 장치가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8개의 RV로부터 4개의 RV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 또는 단말 장치는 리던던시 버전을 나타내는 2비트를 제어 정보에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 장치 또는 단말 장치는, 수신한 리던던시 버전을 나타내는 2비트로부터 8개 중 4개의 RV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LDPC 부호는 펑처링(비트 선택)에 의한 레이트 매칭의 성능이 좋지 않은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LDPC 부호화에서는, 복수의 마더 부호화율을 가질(서포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더 부호화율은 1/3, 1/2로 할 수 있다. 도 7은 마더 부호화율 1/2의 경우의 비트 선택부(503)의 동작예이다. 또한, 복수의 마더 부호화율을 갖는 경우, 비트 선택의 패턴은 줄어들기 때문에, RV의 수도 줄일 수 있다. 도 8은 마더 부호화율 1/3이며 RV수를 2로 한 경우이다. 또한 도 9는 마더 부호화율 1/2이며 RV수를 2로 한 경우이다. 마더 부호화율 1/3과 1/2의 전환은, 부호화율 또는 MCS에 의해 행해진다. 예를 들어, 부호화율 또는 MCS에 대응하는 부호화율이 1/3 내지 1/2인 경우, 마더 부호화율은 1/3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부호화율 또는 MCS에 대응하는 부호화율이 1/2를 초과하는 경우, 마더 부호화율은 1/2로 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부(2031)는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 또는 정보 비트 길이에 따라 부호화 방식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는 터보 부호화하고,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가 큰 경우에는 LDPC 부호화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그 역치가 되는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 또는 정보 비트 길이를 단말 장치에 지시 또는 송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지시 또는 송신된 역치를 사용하여, 부호화 방식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부(2031)는 시스템 대역폭에 따라 부호화 방식을 전환할 수 있다. LDPC 부호는 부호어 길이가 긴 쪽이 고성능이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부호화부(2031)는, 시스템 대역폭이 20㎒보다도 좁은 경우, 터보 부호화하고, 시스템 대역폭이 20㎒보다도 넓은 경우, LDPC 부호화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 장치는, 시스템 대역폭이 20㎒보다도 좁은 경우, 터보 부호로 복호하고, 시스템 대역폭이 20㎒보다도 넓은 경우, LDPC 부호로 복호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부(2031)는 캐리어 주파수에 따라 부호화 방식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화부(2031)는, 캐리어 주파수가 6㎓ 이하인 경우, 터보 부호화하고, 캐리어 주파수가 6㎓ 이상인 경우, LDPC 부호화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 장치는, 캐리어 주파수가 6㎓ 이하인 경우, 터보 부호로 복호하고, 캐리어 주파수가 6㎓ 이상인 경우, LDPC 부호로 복호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변화시켜 송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부호화부(2031)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부호화 방식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화부(2031)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 터보 부호화하고,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보다도 넓은 경우, LDPC 부호화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 장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 터보 부호로 복호하고,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보다도 넓은 경우, LDPC 부호로 복호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부(2031)는 셀마다 부호화 방식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ell에서는 터보 부호화하고, PSCell/SCell에서는 터보 부호화 및/또는 LDPC 부호화할 수 있다.
변조부(2032)는, 부호화부(2031)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비트를 BPSK, QPSK, 16QAM, 64QAM 등의 하향 링크 제어 정보로 통지된 변조 방식 또는, 채널마다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한다.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2033)는, 기지국 장치(1A)를 식별하기 위한 물리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ty : PCI, Cell ID 등이라 칭해짐),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배치하는 대역폭, 상향 링크 그랜트로 통지된 사이클릭 시프트, DMRS 시퀀스의 생성에 대한 파라미터의 값 등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규칙(식)에 의해 구해지는 계열을 생성한다.
다중부(2034)는, 제어부(202)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PUSCH의 변조 심볼을 병렬로 재배열하고 나서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 DFT)한다. 또한, 다중부(2034)는 PUCCH와 PUSCH의 신호와 생성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 안테나 포트마다 다중한다. 즉, 다중부(2034)는 PUCCH와 PUSCH의 신호와 생성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 안테나 포트마다 리소스 엘리먼트에 배치한다.
무선 송신부(2035)는, 다중된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 IFFT)하고, SC-FDMA 방식의 변조를 행하여, SC-FDMA 심볼을 생성하고, 생성된 SC-FDMA 심볼에 CP를 부가하고, 베이스 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베이스 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업 컨버트에 의해 반송 주파수로 변환하고, 전력 증폭하고, 송수신 안테나(206)에 출력하여 송신한다.
또한, 단말 장치(2)는 SC-FDMA 방식에 한하지 않고, OFDMA 방식의 변조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장치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Central Processing Unit(CPU) 등을 제어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프로그램 혹은 프로그램에 의해 취급되는 정보는, 일시적으로 Random Access Memory(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 혹은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나 Hard Disk Drive(HDD), 혹은 그 밖의 기억 장치 시스템에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해도 된다.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여,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장치에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이며,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주변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반도체 기록 매체, 광 기록 매체, 자기 기록 매체, 단시간 동적으로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매체, 혹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그 밖의 기록 매체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사용한 장치의 각 기능 블록 또는 여러 특징은, 전기 회로, 예를 들어 집적 회로 혹은 복수의 집적 회로에서 실장 또는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전기 회로는, 범용 용도 프로세서,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 특정 용도용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그 밖의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디스크리트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스크리트 하드웨어 부품, 또는 이것들을 조합한 것을 포함해도 된다. 범용 용도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여도 되고, 종래형의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스테이트 머신이어도 된다. 전술한 전기 회로는, 디지털 회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아날로그 회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에 의해 현재의 집적 회로를 대체할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출현할 경우, 본 발명의 1 또는 복수의 양태는 당해 기술에 의한 새로운 집적 회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에서는, 장치의 일례를 기재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옥내외에 설치되는 거치형 또는 비가동형의 전자 기기, 예를 들어 AV 기기, 키친 기기, 청소·세탁기기, 공조기기, 오피스 기기, 자동 판매기, 그 밖의 생활 기기 등의 단말 장치 혹은 통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상이한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기재된 요소이며,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요소끼리를 치환한 구성도 포함된다.
본 발명은,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본 국제 출원은, 2016년 7월 28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148113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일본 특허 출원 제2016-148113호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 출원에 원용한다.
1A : 기지국 장치
2A, 2B : 단말 장치
101 : 상위층 처리부
102 : 제어부
103 : 송신부
104 : 수신부
105 : 송수신 안테나
1011 : 무선 리소스 제어부
1012 : 스케줄링부
1031 : 부호화부
1032 : 변조부
1033 :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
1034 : 다중부
1035 : 무선 송신부
1041 : 무선 수신부
1042 : 다중 분리부
1043 : 복조부
1044 : 복호부
201 : 상위층 처리부
202 : 제어부
203 : 송신부
204 : 수신부
205 : 채널 상태 정보 생성부
206 : 송수신 안테나
2011 : 무선 리소스 제어부
2012 : 스케줄링 정보 해석부
2031 : 부호화부
2032 : 변조부
2033 :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
2034 : 다중부
2035 : 무선 송신부
2041 : 무선 수신부
2042 : 다중 분리부
2043 : 신호 검출부
301 : 터보 부호화부
302-1, 302-2, 302-3, 502 : 인터리브부
303, 503 : 비트 선택부
501 : LDPC 부호화부

Claims (9)

  1. 터보 부호화부와, 인터리브부와, 제1 비트 선택부와, 저밀도 패리티 체크 부호화부와, 제2 비트 선택부를 구비하고,
    상기 터보 부호화부는, 송신 비트들을 입력하고, 터보 부호에 의해, 제1 부호화율로 제1 비트 계열을 생성하고,
    상기 인터리브부는, 상기 제1 비트 계열을 인터리브함으로써, 인터리브된 제1 비트 계열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비트 선택부는, 상기 인터리브된 제1 비트 계열 중 제1 소정의 비트수의 비트들을, 제1 초기 위치로부터 선택함으로써 제1 부호화 비트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초기 위치는 제1 리던던시 버전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저밀도 패리티 체크 부호화부는, 상기 송신 비트들을 입력하고, 저밀도 패리티 체크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제2 부호화율로 제2 비트 계열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비트 선택부는, 상기 제2 비트 계열 중 제2 소정의 비트수의 비트들을, 제2 초기 위치로부터 선택함으로써 제2 부호화 비트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초기 위치는 제2 리던던시 버전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리던던시 버전은 4개의 상이한 리던던시 버전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리던던시 버전은 상기 4개의 상이한 리던던시 버전 중 하나이고,
    상기 제1 리던던시 버전이 0인 경우, 상기 제1 초기 위치는, 상기 4개의 상이한 리던던시 버전 중에서 선두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비트 선택부는, 상기 인터리브된 제1 비트 계열의 상기 제1 소정의 비트수의 비트들을, 상기 인터리브된 제1 비트 계열의 첫번째 비트 이외로부터 선택하고,
    상기 제2 리던던시 버전이 0인 경우, 상기 제2 초기 위치는, 상기 4개의 상이한 리던던시 버전 중에서 선두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비트 선택부는, 상기 제2 비트 계열의 상기 제2 소정의 비트수의 비트들을, 상기 제2 비트 계열의 첫번째 비트로부터 선택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호화율은 제1 비율이고, 상기 제2 부호화율은 상기 제1 비율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비율들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부호화율은 변조 및 코딩 방식(MCS)에 의해 표시되는 최소 부호화율이 상기 복수의 제2 비율들 중 지정된 부호화율보다 작은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 비율들로부터 선택되는,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마스터 셀 그룹 및 세컨더리 셀 그룹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터보 부호화부는 상기 제1 비트 계열을 생성하고, 상기 인터리브부는 상기 인터리브된 제1 비트 계열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비트 선택부는 상기 제1 부호화 비트들을 상기 마스터 셀 그룹에 있어서 생성하고, 상기 저밀도 패리티 체크 부호화부는 상기 제2 비트 계열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비트 선택부는 상기 제2 부호화 비트들을 상기 세컨더리 셀 그룹에 있어서 생성하고, 상기 마스터 셀 그룹 및 상기 세컨더리 셀 그룹은 듀얼 커넥티비티에 사용되는, 통신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7001820A 2016-07-28 2017-06-28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KR102433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48113 2016-07-28
JP2016148113A JP2019165269A (ja) 2016-07-28 2016-07-28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PCT/JP2017/023791 WO2018020942A1 (ja) 2016-07-28 2017-06-28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539A KR20190038539A (ko) 2019-04-08
KR102433711B1 true KR102433711B1 (ko) 2022-08-17

Family

ID=61016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820A KR102433711B1 (ko) 2016-07-28 2017-06-28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038625B2 (ko)
EP (1) EP3493436B1 (ko)
JP (1) JP2019165269A (ko)
KR (1) KR102433711B1 (ko)
CN (1) CN109478951B (ko)
AU (1) AU2017302774B2 (ko)
RU (1) RU2739589C2 (ko)
WO (1) WO20180209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0373B (zh) * 2017-06-23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编码方法、数据接收方法及相关设备
EP3968553A4 (en) * 2019-05-09 2022-05-18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FEEDBACK, AND STORAGE MEDIA
WO2022059549A1 (ja) * 2020-09-18 2022-03-24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CN112260712B (zh) * 2020-10-14 2022-05-03 西安烽火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短波抗干扰超窄带数据传输系统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8332A1 (en) 2007-01-05 2008-07-10 Qualcomm Incorporated Fec code and code rate selection based on packet siz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0834B2 (en) * 2007-06-20 2011-02-15 Motorola Mobility, Inc. Apparatus comprising a circular buffer and method for assigning redundancy versions to a circular buffer
KR101597733B1 (ko) 2007-07-30 2016-02-25 마벨 이스라엘 (엠.아이.에스.엘) 리미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레이트 매칭
US7924763B2 (en) * 2007-12-11 2011-04-12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ratus for rate matching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09098981A1 (ja) 2008-02-04 2009-08-13 Sharp Kabushiki Kaisha 送信機、受信機、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071402B2 (en) * 2008-03-24 2015-06-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lection of retransmission settings for HARQ in WCDMA and LTE networks
JPWO2010026739A1 (ja) * 2008-09-02 2012-01-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8386876B2 (en) * 2009-08-14 2013-02-2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Transmission of different redundancy versions on different degrees of freedom
EP2467963B1 (en) * 2009-08-20 2017-09-20 Fujitsu Limited Introducing a delay in the transmission of a nack for a packet received employing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US9577677B2 (en) 2011-12-01 2017-02-21 Lg Electronics In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convolutional turbo code (CTC) encod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3795505A (zh) 2012-11-02 2014-05-1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传输数据的方法、系统和设备
EP2787670A1 (en) * 2013-04-05 2014-10-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MCS table adaptation for 256-QAM
JP2016174195A (ja) * 2013-08-05 2016-09-29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集積回路
US10541781B2 (en) 2016-01-29 2020-01-21 Intel IP Corporation Rate matching using low-density parity-check codes
JP2019149592A (ja) * 2016-07-15 2019-09-05 シャープ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EP3566351B1 (en) * 2017-02-06 2024-04-03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CN108737017A (zh) * 2017-04-20 2018-11-02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处理的方法、装置和通信设备
US10735134B2 (en) * 2017-08-11 2020-08-04 Qualcomm Incorporated Self-decodable redundancy versions for low-density parity-check codes
KR102450664B1 (ko) * 2017-09-11 2022-10-04 지티이 코포레이션 Ldpc 코딩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680764B2 (en) * 2018-02-09 2020-06-09 Qualcomm Incorporated Low-density parity check (LDPC) parity bit storage for redundancy vers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8332A1 (en) 2007-01-05 2008-07-10 Qualcomm Incorporated Fec code and code rate selection based on packet siz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456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3436A1 (en) 2019-06-05
CN109478951B (zh) 2022-04-08
RU2739589C2 (ru) 2020-12-28
RU2019101650A3 (ko) 2020-08-28
AU2017302774B2 (en) 2022-01-20
CN109478951A (zh) 2019-03-15
WO2018020942A1 (ja) 2018-02-01
US11038625B2 (en) 2021-06-15
JP2019165269A (ja) 2019-09-26
EP3493436A4 (en) 2020-03-11
EP3493436B1 (en) 2023-08-02
US20210099250A1 (en) 2021-04-01
AU2017302774A1 (en) 2019-02-07
RU2019101650A (ru) 2020-08-28
KR20190038539A (ko)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96387B (zh) 基站装置、终端装置以及通信方法
CN110169161B (zh)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通信方法
CN108496388B (zh) 基站装置、终端装置以及通信方法
JP6555827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11034306A (zh) 终端装置以及通信方法
CN109076521A (zh)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CN105474728A (zh) 终端、基站以及通信方法
CN109952798B (zh)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JP2019054305A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5453680A (zh) 终端、基站以及通信方法
CN105379391A (zh) 终端、基站以及通信方法
KR102433711B1 (ko)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CN109314964B (zh)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通信方法
CN105493596A (zh) 终端、基站以及通信方法
WO2018105631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9065595A1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JP2019033374A (ja) 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WO2016043019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2019091956A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6548334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2126990B1 (ko) 협력 멀티 포인트 방식을 사용하는 셀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6182039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7130969A2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9167785A1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2019054304A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