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441B1 -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441B1
KR102433441B1 KR1020220048840A KR20220048840A KR102433441B1 KR 102433441 B1 KR102433441 B1 KR 102433441B1 KR 1020220048840 A KR1020220048840 A KR 1020220048840A KR 20220048840 A KR20220048840 A KR 20220048840A KR 102433441 B1 KR102433441 B1 KR 102433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tap
absorbing
join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성테크놀러지
최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성테크놀러지, 최수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성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220048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16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in holes of workpieces by taps
    • B23G1/18Machines with one working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탭 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탭머신, 탭 가공에 의해 발생된 유해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 포집 모듈, 탭 머신 또는 분진 포집 모듈이 동작할 때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 모듈이 구비된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Drill machine unit for frame processing}
본 발명은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탭 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탭머신, 탭 가공에 의해 발생된 유해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 포집 모듈, 탭 머신 또는 분진 포집 모듈이 동작할 때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 모듈이 구비된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릴탭 장치는 공작물에 나사를 성형시키기 위한 것으로, 먼저 드릴링작업에 의해 나사를 내주고자 하는 위치에 구멍을 먼저 뚫어주고, 드릴링머신에 나사가공용툴을 장착하여 선행공정에서 뚫은 구멍을 나사가공용 툴로 재가공하여 나사를 성형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드릴탭 장치는 탭 가공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많은 분진을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하므로 작업자의 작업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예를 들어, 시야를 가리거나 입 또는 코에 분진이 들어가거나 탭 가공 포지션 오류 등)을 미치게 되었다.
또한 탭 가공시에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으로 작업자에게 물리적인 문제를 일으켜 귀가 멍멍해지거나 뼈에 금이 가는 등의 문제로 이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드릴탭 장치를 개선하여 분진을 제거할 수 있고, 진동과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일련의 구성들을 부가 한정하여 개시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탭헤드가 장착되어 피가공물에 탭 가공을 수행하는 탭머신이 구비된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탭 가공에 의해 발생된 유해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 포집 모듈이 구비된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진 포집 모듈이 동작할 때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 모듈이 구비된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는 피가공물에 천공을 낼 수 있는 탭을 장착하는 탭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탭헤드가 안착되어 상기 피가공물에 탭 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탭머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흡입부, 제1 제거부 및 제2 제거부에서 머무는 먼지를 압착하는 압착패드, 상기 압착패드에 설치되어 가공된 압력과 부피를 계산하는 계산부, 상기 계산부에서 최종적으로 계산된 먼지의 무게와 부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탭머신은, 상기 탭헤드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탭헤드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 1 관절부, 상기 제 1 관절부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제 1 연결부, 상기 제 1 연결부의 말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제 2 관절부, 상기 제 2 관절부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제 2 연결부, 상기 제 2 연결부의 말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제 3 관절부, 상기 제 3 관절부와 힌지 결합되는 관절체, 상기 관절체와 상기 제 3 관절부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고정하는 관절 연결체, 수행된 상기 탭 가공에 의해 발생된 유해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 포집 모듈, 상기 관절체를 포함하여 결합되고, 상기 분진 포집 모듈이 동작할 때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절 연결체는, 상, 하 방향에서 결합되는 본체를 형성하는 연결체(A) 및 연결체(B), 상기 연결체(A) 및 상기 연결체(B)의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구, 각각의 상기 연결체의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봉, 각각의 상기 연결체의 상면에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자석, 각각의 상기 연결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결합 여부를 판단하는 고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흡음 모듈은, 바닥면에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흡음 프레임, 상기 흡음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자 형상의 기둥으로 형성되어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는 흡음돌기, 흡음돌기(120a)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복수 개의 흡음 프레임들이 직각으로 배치될 때 사이 공간에 끼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기둥,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흡음 프레임 또는 상기 조립기둥을 향해 삽입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상기 조립기둥 내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산을 보호하는 나사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진 포집 모듈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흡수된 상기 유해 분진을 포집하는 분진 저장소, 상기 분진 저장소와 상기 회전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진 저장소를 받쳐 회전에 의해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지지대, 상기 분진 저장소의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유해 분진을 흡수하는 노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진 저장소는 흡수된 상기 유해 분진을 저장하기 위해 밀폐되도록 형성된 챔버를 가지고, 상기 노즐 유닛은 상기 분진 저장소의 둘레면에 돌출되어 연통되고, 30° 내지 60°의 범위에서 회동 가능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 유닛은, 정면을 향할수록 입구가 점점 좁아지는 형상의 흡입구가 형성된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흡입력을 조절하는 체결링, 상기 노즐 본체와 일체로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와 일체로 연통되어 상기 분진 저장소로 상기 유해 분진을 배출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와 일체로 연통되어 상기 노즐 본체 내부로 흡입된 상기 유해 분진을 흡입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분진 저장소 내의 적정 분진 흡입 용량을 알려주고, 적정 흡입 속도를 조절하는 분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탭 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탭머신, 탭 가공에 의해 발생된 유해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 포집 모듈, 탭 머신 또는 분진 포집 모듈이 동작할 때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 모듈이 구비된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탭헤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탭머신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관절 연결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흡음 모듈의 조립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흡음 모듈의 조립도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흡음 모듈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흡음 모듈의 조립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분진 포집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노즐 유닛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노즐 유닛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탭헤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는 탭헤드(10), 탭머신(M)을 포함할 수 있다.
탭헤드(10)는 피가공물에 천공을 낼 수 있는 탭을 장착할 수 있다.
탭머신(M)은 탭헤드(10)가 안착되어 피가공물에 탭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탭머신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탭머신(M)은 제 1 관절부(20), 제 1 연결부(30), 제 2 관절부(40), 제 2 연결부(50), 제 3 관절부(60), 관절체(70), 관절 연결체(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관절부(20)는 탭헤드(10)와 힌지 결합되어 탭헤드(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또는 좌우로 회동 가능하다.
제 1 연결부(30)는 제 1 관절부(20)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할 수 있다.
제 2 관절부(40)는 제 1 연결부(30)의 말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할 수 있다.
제 2 연결부(50)는 제 2 관절부(40)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할 수 있다.
제 3 관절부(60)는 제 2 연결부(50)의 말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관절체(70)는 제 3 관절부(60)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힌지 결합된 상기 구성들 중 제 1 관절부(20), 제 1 연결부(30), 제 2 관절부(40)는 전, 후 방향으로 각도가 점점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회동이 가능하며, 제 2 관절부(40), 제 2 연결부(50), 제 3 관절부(60)는 좌, 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관절체(70)는 일반적인 프레임(미도시) 및 거치 가능한 플레이트(미도시)에 설치되며, 플레이트 내부에 프레임이 형성되고 프레임 일부분에 관절체(70)가 형성되는 관계를 갖는다.
관절체(70)의 내부에는 후술할 연결체(B)가 내장되어 있고, 제 3 관절부(60)의 말단 즉, 관절체(70)와 맞닿는 위치에 연결체(A)가 내장되어 도 3의 확대도와 같이 결합할 수 있다.
도 3의 확대도는 관절 연결체의 조립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관절 연결체(80)는 관절체(70)와 제 3 관절부(60)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고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관절 연결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관절 연결체(80)는 연결체(A) 및 연결체(B), 삽입구(80a), 삽입봉(80b), 결합자석(80c), 고정센서(80d)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체(A) 및 연결체(B)는 상, 하 방향에서 결합되는 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삽입구(80a)는 연결체(A) 및 연결체(B)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삽입봉(80b)는 각각의 연결체의 삽입구(80a)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자석(80c)은 각각의 연결체의 상면에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결합자석(80c)은 각각의 연결체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삽입구(80a) 및 삽입봉(80b)에 또한 형성되어 자석에 의한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도 있다.
고정센서(80d)는 각각의 연결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결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고정센서(80d)는 각각의 연결체가 결합되어 삽입구(80a)에 삽입봉(80b)이 완전히 삽입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에 초록불을,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에 빨간불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흡음 모듈의 조립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흡음 모듈(100)은 베이스 플레이트(105), 흡음 프레임(110), 흡음돌기(110a), 조립기동(120), 나사(121), 나사 하우징(12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5)는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다.
흡음 프레임(110)은 베이스 플레이트(105)에 수직으로 4개의 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흡음 모듈의 조립도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흡음돌기(110a)는 흡음 프레임(1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자 형상의 기둥으로 형성되어 소음과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흡음 모듈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조립기둥(120)은 흡음돌기(120a)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복수 개의 흡음 프레임들이 수직으로 배치될 때 사이 공간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흡음 모듈의 조립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나사(121)는 베이스 플레이트(105)에서 흡음 프레임(110) 또는 조립기둥(120)을 향해 삽입되고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 하우징(122)은 조립기둥(120) 내에 삽입되어 나사산을 보호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05)가 구비되고, 그 상면에 흡음 프레임(110)이 4개의 면에 세워지고 각 모서리마다 조립기둥(120)이 끼워질 수 있다.
흡음 프레임(110) 및 조립기둥(120)의 상부에 탭머신(M)을 포함한 플레이트(미도시) 및 프레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분진 포집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는 수행된 탭 가공에 의해 발생된 유해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 포집 모듈(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진 포집 모듈(200)은 베이스 플레이트(105)의 상면에 설치되며 하기에 상세히 조립 관계를 기술한다.
다만, 상기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5) 상면에 흡음 모듈(100)이 설치된 상태에서 분진 포집 모듈(200)이 흡음 모듈(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어서 그 상부에 탭머신(M)을 포함한 플레이트(미도시) 및 프레임(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분진 포집 모듈(200)은 지지 플레이트(210), 회전 플레이트(220), 회전축(230), 지지대(240), 분진 저장소(250), 노즐 유닛(26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0)는 베이스 플레이트(105)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220)는 지지 플레이트(210)의 상면에 설치되어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230)은 회전 플레이트(220)의 상면에 설치되어 회전 플레이트(220)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할 수 있다.
분진 저장소(250)는 회전축(230)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흡수된 상기 유해 분진을 포집할 수 있다.
이때 분진 저장소(25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사각형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원기둥, 타원형 등의 형상을 구비하는 것에도 제한을 두지 않는다.
지지대(240)는 분진 저장소(250)와 회전축(230) 사이에 설치되어 분진 저장소(250)를 받쳐 회전에 의해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노즐 유닛(260)은 분진 저장소(250)의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유해 분진을 흡수할 수 있다.
분진 저장소(250)는 흡수된 상기 유해 분진을 저장하기 위해 밀폐되도록 형성된 챔버를 가질 수도 있다.
노즐 유닛(260)은 분진 저장소(250)의 둘레면에 돌출되어 연통되고, 30° 내지 60°의 범위에서 회동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노즐 유닛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에 도시된 분진 포집 모듈(200)의 노즐 유닛(260)의 세부적인 구성을 알 수 있다.
노즐 유닛(260)은 모터(261), 배출구(262), 흡입관(263), 분진센서(264), 체결링(265), 노즐 본체(266), 흡입구(267)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본체(266)는 정면을 향할수록 입구가 점점 좁아지는 형상의 흡입구(267)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링(265)은 노즐 본체(266)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다.
모터(261)는 노즐 본체(266)와 일체로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배출구(262)는 모터(261)와 일체로 연통되어 분진 저장소(250)로 상기 유해 분진을 배출할 수 있다.
흡입관(263)은 배출구(262)와 일체로 연통되어 노즐 본체(266) 내부로 흡입된 상기 유해 분진을 흡입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분진센서(264)는 모터(261)와 연결되어 분진 저장소(250) 내의 적정 분진 흡입 용량을 알려주고, 적정 흡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결합 관계와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헤드(10)는 탭머신(M)의 일부로써 제 1 관절부(20)와 결합하고 이는 차례로 제 1 연결부(30), 제 2 관절부(40), 제 2 연결부(50), 제 3 관절부(6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결합된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체(70)과 결합되어 회동가능하며, 이때 관절체(70)에는 관절 연결체(80)가 내장되어 결합될 수 있다.
관절 연결체(80)는 연결체(A) 및 연결체(B)가 삽입구에 삽입봉이 삽입되며, 결합자석(80c)에 의해 결합력이 강화되어 결합될 수 있다.
관절체(70)의 저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5)가 구비될 수 있고, 그 상부와 탭머신(M)의 하부 사이 공간에 흡음 모듈(100)의 흡음 프레임(110)이 사방으로 둘러싸 결합될 수 있다.
흡음 프레임(110)의 각 모서리에는 조립기둥(120)이 나사(121)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조립기둥(120)의 흡음돌기(120a)의 일부가 흡음 프레임(110)의 흡음돌기(110a)들의 사이 공간에 결합될 수 있고, 도 7을 참조하면, 결합된 흡음 프레임(110) 및 조립기둥(120) 사이 공간으로 모터나 탭머신(M)의 소음이 화살표 방향을 따라 분산되면서 흡수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5)의 상면에 분진 포집 모듈(200)이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5)의 내부에 지지 플레이트(210)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그 위에 회전 플레이트(220)가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220)의 상부에 회전축(230)이, 그 위에 지지대(240)와 분진 저장소가 차례로 결합될 수 있다.
분진 저장소(250)의 측면부에는 노즐 유닛(260)이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될 수 있다.
노즐 유닛(26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진 형상이 될 수도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의 형상이 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의 노즐 유닛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분진이 노즐 유닛(260)으로 유입될 때 흡입구(267)를 통해 분진센서(264) 양측에 구비된 흡입관(263)으로 흡입되며, 배출구(262)를 통해 분진 저장소(250)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머신(M)의 탭헤드(10)가 플레이트(미도시) 위에서 프레임을 드릴링할 때 발생하는 분진은 흡음 모듈(100) 내부로 소음과 함께 분진이 떨어지게 되고, 떨어진 분진은 분진 포집 모듈(200)을 통해 분진 저장소(250)로 흡수되어 저장되는 메커니즘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탭헤드(10)
탭머신(M)
제 1 관절부(20)
제 1 연결부(30)
제 2 관절부(40)
제 2 연결부(50)
제 3 관절부(60)
관절체(70)
관절 연결체(80)
연결체(A)
연결체(B)
삽입구(80a)
삽입봉(80b)
결합자석(80c)
고정센서(80d)
흡음 모듈(100)
베이스 플레이트(105)
흡음 프레임(110)
흡음돌기(110a)
조립기둥(120)
흡음돌기(120a)
나사(121)
나사 하우징(122)
분진 포집 모듈(200)
지지 플레이트(210)
회전 플레이트(220)
회전축(230)
지지대(240)
분진 저장소(250)
노즐 유닛(260)
모터(261)
배출구(262)
흡입관(263)
분진센서(264)
체결링(265)
노즐 본체(266)
흡입구(267)

Claims (3)

  1. 피가공물에 천공을 낼 수 있는 탭을 장착하는 탭헤드;
    를 포함하는,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탭헤드가 안착되어 상기 피가공물에 탭 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탭머신;
    을 포함하고,
    상기 탭머신은,
    상기 탭헤드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탭헤드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 1 관절부;
    상기 제 1 관절부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제 1 연결부;
    상기 제 1 연결부의 말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제 2 관절부;
    상기 제 2 관절부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제 2 연결부;
    상기 제 2 연결부의 말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제 3 관절부;
    상기 제 3 관절부와 힌지 결합되는 관절체;
    상기 관절체와 상기 제 3 관절부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고정하는 관절 연결체;
    수행된 상기 탭 가공에 의해 발생된 유해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 포집 모듈;
    상기 관절체를 포함하여 결합되고, 상기 분진 포집 모듈이 동작할 때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관절 연결체는,
    상, 하 방향에서 결합되는 본체를 형성하는 연결체(A) 및 연결체(B);
    상기 연결체(A) 및 상기 연결체(B)의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구;
    각각의 상기 연결체의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봉;
    각각의 상기 연결체의 상면에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자석;
    각각의 상기 연결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결합 여부를 판단하는 고정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 모듈은,
    바닥면에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4 개의 면에 설치되는 흡음 프레임;
    상기 흡음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자 형상의 기둥으로 형성되어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는 흡음돌기;
    흡음돌기(120a)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복수 개의 흡음 프레임들이 수직으로 배치될 때 사이 공간에 끼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기둥;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흡음 프레임 또는 상기 조립기둥을 향해 삽입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상기 조립기둥 내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산을 보호하는 나사 하우징;
    을 포함하는,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20048840A 2022-04-20 2022-04-20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 KR102433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840A KR102433441B1 (ko) 2022-04-20 2022-04-20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840A KR102433441B1 (ko) 2022-04-20 2022-04-20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441B1 true KR102433441B1 (ko) 2022-08-19

Family

ID=83113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840A KR102433441B1 (ko) 2022-04-20 2022-04-20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4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8012A (ja) * 2010-01-19 2011-08-04 Nitto Seiko Co Ltd ドリル・タップ加工装置
KR101804290B1 (ko) * 2016-05-16 2017-12-04 이종칠 태핑홀 형성장치
KR101934987B1 (ko) * 2017-09-27 2019-03-18 백호이엔지 주식회사 드릴 및 탭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8012A (ja) * 2010-01-19 2011-08-04 Nitto Seiko Co Ltd ドリル・タップ加工装置
KR101804290B1 (ko) * 2016-05-16 2017-12-04 이종칠 태핑홀 형성장치
KR101934987B1 (ko) * 2017-09-27 2019-03-18 백호이엔지 주식회사 드릴 및 탭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3441B1 (ko) 프레임 가공용 드릴 머신 장치
TWI572541B (zh) 多工位取料裝置
CN110032254A (zh) 一种计算机硬盘固定架
CN211628155U (zh) 一种防尘防潮电脑机箱
CN101837581A (zh) 手持式工具机装置
JP2001212039A (ja) 電気掃除機
KR20190001137A (ko) 공작 기계의 앵글 헤드
CN112000195A (zh) 一种具有防潮功能的计算机硬件开发用主机箱
CN114602841B (zh) 一种用于集成计算机硬件的清洁维护装置
CN211604046U (zh) 一种免拆式计算机主机防护箱
US20240009795A1 (en) Orbital sander
CN210109693U (zh) 防尘计算机机箱
CN214155109U (zh) 一种网络安全预警装置
TW201934229A (zh) 可產生收折限位的鋸切機
CN213317794U (zh) 一种计算机配件的钻孔装置
CN107280380A (zh) 一种带吸管的水杯
CN108297037A (zh) 一种带除尘装置的钻孔机
CN219247978U (zh) 一种便携式网络安全设备
CN213875538U (zh) 一种金属超声探伤仪
CN216883357U (zh) 一种夹持稳定的胀形模具配件的精密平面磨床
CN217667217U (zh) 电路板镭射加工用防尘机箱
CN213271886U (zh) 一种气相色谱仪的稳定装置
CN219854029U (zh) 一种工作噪音低的抛丸机
CN217043819U (zh) 一种具有吸盘的可定位等离子清洗机
CN220680336U (zh) 砂轮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