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832B1 - 바벨봉이 분리된 스미스 머신 - Google Patents

바벨봉이 분리된 스미스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832B1
KR102432832B1 KR1020220019578A KR20220019578A KR102432832B1 KR 102432832 B1 KR102432832 B1 KR 102432832B1 KR 1020220019578 A KR1020220019578 A KR 1020220019578A KR 20220019578 A KR20220019578 A KR 20220019578A KR 102432832 B1 KR102432832 B1 KR 102432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guide bar
moving
rail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순용
Original Assignee
윤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순용 filed Critical 윤순용
Priority to KR1020220019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63B21/0783Safety features for bar-bells, e.g. drop limi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4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by moving the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5Reciprocating movement along, in or on a gui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09Weight-lif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이 분리된 스미스머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바벨봉이 좌우로 분리되어 형성됨으로서 사용자가 머리를 바벨봉에 부딪히지 않도록 하며 바벨봉이 좌우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서 무게추를 추가하는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바벨봉이 분리된 스미스 머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바벨봉을 형성시킴으로서 사용자가 사용시 머리를 부딪히는 등 바벨봉으로 인해 움직임에 방해되는 요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추저장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중량을 늘리고 싶은 경우 무게추저장부로부터 손잡이로 쉽게 무게추를 옮길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바벨봉이 분리된 스미스 머신{Smith machine with a separate barbell stick}
본 발명은 봉이 분리된 스미스머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바벨봉이 좌우로 분리되어 형성됨으로서 사용자가 머리를 바벨봉에 부딪히지 않도록 하며 바벨봉이 좌우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서 무게추를 추가하는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바벨봉이 분리된 스미스 머신에 관한 것이다.
웨이트 운동기구에는 상체단련용 운동기구와 하체단련용 운동기구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들 운동기구에는 사용자에 따라 적절하게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중량체가 구비되어 중량체에 의해 사용자의 상체 또는 하체의 근육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하체운동기구는 사용자의 하체부분의 종아리 근육과 허벅지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이고, 상체운동기구는 사용자의 등 근육과 어깨근육을 강화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팔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이다.
이와 같은 운동기구 중 일명 스미스 머신이라 불리는 운동기구가 있으며, 이는 양측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2개의 지지프레임과 2개의 지지프레임 사이에 걸어지는 바벨봉 및 바벨봉의 끝단에 끼워지는 원반형 중량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가 자신이 들 수 있는 중량만큼의 원반형 중량체를 바벨봉의 끝단에 끼운 후에 운동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바벨봉은 일자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잘못 사용시 머리를 부딪히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또한 바벨봉을 상부로 올린 후 원반형 중량체를 바벨봉에 끼우는 과정에서 무게가 있는 중량체를 들어서 끼우기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8081호 (2018.05.09)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92308호 (2020.03.17)
본 발명은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바벨봉을 형성시킴으로서 사용자가 사용시 머리를 부딪히는 등 바벨봉으로 인해 움직임에 방해되는 요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추저장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중량을 늘리고 싶은 경우 무게추저장부로부터 손잡이로 쉽게 무게추를 옮길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긴 형태로 형성되되 2개의 쌍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위치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일측의 프레임(100)의 상부와 타측의 프레임(100)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소정의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00)와, 일측 프레임(100)의 하단에 연결되어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지지부(200)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제1좌우이동레일(300)과, 타측 프레임(100)의 하단에 연결되어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지지부(200)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제2좌우이동레일(400)과,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일단은 지지부(200)의 일측에 위치하고 타단은 제1좌우이동레일(300)의 끝단 일측에 위치하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제1돌출부(510)가 형성되는 제1거치대(500)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일단은 지지부(200)의 타측에 위치하고 타단은 제2좌우이동레일(400)의 끝단 일측에 위치하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제2돌출부(610)가 형성되는 제2거치대(600)와, 제1좌우이동레일(300)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1좌우이동레일(3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제1가이드바(900)와 제2가이드바(1000)가 체결되는 제1레일이동부(700)와, 제2좌우이동레일(400)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2좌우이동레일(400)을 관통하도록형성되되 일측에 제3가이드바(1100)와 제4가이드바(1200)가 체결되는 제2레일이동부(800)와, 상기 제1레일이동부(7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지지부(200)을 따라 이동하도록 소정 크기의 제1지지부관통홀(3110)이 지지부(2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제1가이드바(900)와 제2가이드바(1000)가 체결되는 제1지지부이동부(3000)와, 상기 제2레일이동부(8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지지부(200)을 따라 이동하도록 소정크기의 제2지지부관통홀(3110)이 지지부(2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제3가이드바(1100)와 제4가이드바(1200)가 체결되는 제2지지부이동부(3100)와, 소정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제1레일이동부(700)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제1지지부이동부(3000)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1가이드바(900)와, 소정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제1레일이동부(700)의 타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제1지지부이동부(3000)의 타측에 체결되는 제2가이드바(1000)와, 소정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제2레일이동부(800)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제2지지부이동부(3100)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3가이드바(1100)와, 소정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제2레일이동부(800)의 타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제2지지부이동부(3100)의 타측에 체결되는 제4가이드바(1200)와, 제1가이드바(900)와 제2가이드바(1000)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1가이드바(900) 및 제2가이드바(10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1가이드바(900) 및 제2가이드바(1000)와 수평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손잡이관통홀(1310)에 제1손잡이(1900)가 수직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손잡이연결부(1300)와, 제3가이드바(1100) 및 제4가이드바(1200)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3가이드바(1100) 및 제4가이드바(12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3가이드바(1000) 및 제4가이드바(1100)와 수평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손잡이관통홀(1310)에 제2손잡이(2000)가 수직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손잡이연결부(1400)와,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제1가이드바(900) 및 제2가이드바(1000)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제1손잡이연결부(1300)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손잡이(1500)와,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제3가이드바(1100) 및 제4가이드바(1100)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제2손잡이연결부(1400)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2손잡이(1600)와, 일측은 제1손잡이(1500)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제1거치대(500)의 제1돌출부(510)의 일측에 안착되도록 소정 크기의 제1거치대안착부(1710)가 형성되는 제1손잡이거치부(1700)와, 일측은 제2손잡이(1600)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제2거치대(600)의 제2돌출부(610)의 일측에 안착되도록 소정 크기의 제2거치대안착부(1810)가 형성되는 제2손잡이거치부(1800)과, 일측에 위치한 제1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제1무게추저장부(25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제1무게추저장부이동부(1900)와, 타측에 위치한 제1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제2무게추저장부(26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제2무게추저장부이동부(2000)와, 제1레일이동부(700)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되 제1손잡이(15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제1거리센서(2100)와, 제2레일이동부(800)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되 제2손잡이(16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제2거리센서(2200)와, 일측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1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제1무게추저장부이동부(19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2300)와, 타측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1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제2무게추저장부이동부(20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2400)와, 소정 길이를 가지되 일단이 제1무게추저장부이동부(1900)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타단은 제1손잡이(1500)를 항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무게추저장부(2500)와, 소정 길이를 가지되 일단이 제2무게추저장부이동부(2000)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타단은 제2손잡이(1600)를 항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무게추저장부(2600)와, 상기 제1모터(2300)와 제2모터(24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부(2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벨봉이 분리된 스미스 머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바벨봉을 형성시킴으로서 사용자가 사용시 머리를 부딪히는 등 바벨봉으로 인해 움직임에 방해되는 요소를 제거할 수 있고, 무게추저장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중량을 늘리고 싶은 경우 무게추저장부로부터 손잡이로 쉽게 무게추를 옮길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더 원활하게 스미스 머신을 이용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손잡이거치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예에 관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좌측, 우측, 상, 하의 표현은 도 3의 스미스머신을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x 방향을 좌측으로 표현하고 +x 방향을 우측으로 표현하고 +y방향을 상(측/부)으로 표현하고, -y방향을 상(측/부)으로 표현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부(위)', '하부(아래)', '좌측', '우측', '전면', '후면' 등의 표현은 절대적 기준으로서의 방향이나 위치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할 때 해당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상대적 표현이다.
본 발명은 봉이 분리된 스미스머신(이하, 스미스머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바벨봉이 좌우로 분리되어 형성됨으로서 사용자가 머리를 바벨봉에 부딪히지 않도록 하며 바벨봉이 좌우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서 무게추를 추가하는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바벨봉이 분리된 스미스 머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미스머신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스미스 머신은 프레임(100), 지지부(200), 제1좌우이동레일(300), 제2좌우이동레일(400), 제1거치대(500), 제2거치대(600), 제1레일이동부(700), 제2레일이동부(800), 제1가이드바(900), 제2가이드바(1000), 제3가이드바(1100), 제4가이드바(1200), 제1손잡이연결부(1300), 제2손잡이연결부(1400), 제1손잡이(1500), 제2손잡이(1600), 제1손잡이거치부(1700), 제2손잡이거치부(1800), 제1무게추저장부이동부(1900), 제2무게추저장부이동부(2000), 제1거리센서(2100), 제2거리센서(2200), 제1모터(2300), 제2모터(2400), 제1무게추저장부(2500), 제2무게추저장부(2600), 제1리미트스위치(2700), 제2리미트스위치(2800), 제어부(2900), 제1지지부이동부(3000), 제2지지부이동부(3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10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긴 형태로 형성되되 2개의 쌍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위치하는 것이다.
지지부(200)는 상기 일측의 프레임(100)의 상부와 타측의 프레임(100)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소정의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1좌우이동레일(300)은 일측 프레임(100)의 하단에 연결되어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지지부(200)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좌우이동레일(300)은 제1손잡이(15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레일이동부(7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서 제1손잡이(1500)의 위치가 결정된다.
상기 제1좌우이동레일(300)은 소정 간격으로 소정 개수의 스토퍼체결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체결홈(310)에 스토퍼(3200)가 체결됨에 따라 제1레일이동부(700)의 움직임을 제한시킬 수 있다.
제2좌우이동레일(400)은 타측 프레임(100)의 하단에 연결되어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지지부(200)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좌우이동레일(400)은 제2손잡이(16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2레일이동부(8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서 제2손잡이(1600)의 위치가 결정된다.
상기 제2좌우이동레일(400)은 소정 간격으로 소정 개수의 스토퍼체결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체결홈(310)에 스토퍼(3200)가 체결됨에 따라 제2레일이동부(00)의 움직임을 제한시킬 수 있다.
제1거치대(5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일단은 지지부(200)의 일측에 위치하고 타단은 제1좌우이동레일(300)의 끝단 일측에 위치하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제1돌출부(51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돌출부(510)는 도면과 같이 제1가이드바(900)와 제2가이드바(1000)의 측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제1돌출부(510) 중 하나의 제1돌출부(510)의 상부에 제1손잡이거치부(1700)의 제1거치대안착부(1710)가 놓여짐으로써 제1손잡이거치부(1700)가 거치된 제1돌출부(51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제1손잡이(1500)가 위치하게 된다.
제2거치대(6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일단은 지지부(200)의 타측에 위치하고 타단은 제2좌우이동레일(400)의 끝단 일측에 위치하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제2돌출부(61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돌출부(610)는 도면과 같이 제3가이드바(1100)와 제4가이드바(1200)의 측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제2돌출부(610) 중 하나의 제2돌출부(610)의 상부에 제2손잡이거치부(1800)의 제2거치대안착부(1810)가 놓여짐으로써 제2손잡이거치부(1800)가 거치된 제2돌출부(61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제2손잡이(1600)가 위치하게 된다.
제1레일이동부(700)는 제1좌우이동레일(300)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1좌우이동레일(3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제1가이드바(900)와 제2가이드바(1000)가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1레일이동부(700)는 제1좌우이동레일(300)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레일이동부(800)는 제2좌우이동레일(400)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2좌우이동레일(400)을 관통하도록형성되되 일측에 제3가이드바(1100)와 제4가이드바(1200)가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2레일이동부(800)는 제1좌우이동레일(300)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지지부이동부(3000)는 상기 제1레일이동부(7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지지부(200)을 따라 이동하도록 소정 크기의 제1지지부관통홀(3110)이 지지부(2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제1가이드바(900)와 제2가이드바(1000)가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이동부(3000)는 바람직하게는 제1레일이동부(700)와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좌우이동레일(30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가이드바(900)와 제2가이드바(1000)에 연결된 제1지지부이동부(3000)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제2지지부이동부(3100)는 상기 제2레일이동부(8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지지부(200)을 따라 이동하도록 소정크기의 제2지지부관통홀(3110)이 지지부(2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제3가이드바(1100)와 제4가이드바(1200)가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2지지부이동부(3100)는 바람직하게는 제2레일이동부(800)와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좌우이동레일(40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3가이드바(1100)와 제4가이드바(1200)에 연결된 제2지지부이동부(3100)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제1가이드바(900)는 소정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제1레일이동부(700)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제1지지부이동부(3000)의 일측에 체결되는 것이다.
제2가이드바(1000)는 소정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제1레일이동부(700)의 타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제1지지부이동부(3000)의 타측에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2가이드바(1000)는 도 1과 같이 제1가이드바(900)와 이웃하되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가이드바(1100)는 소정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제2레일이동부(800)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제2지지부이동부(3100)의 일측에 체결되는 것이다.
제4가이드바(1200)는 소정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제2레일이동부(800)의 타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제2지지부이동부(3100)의 타측에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4가이드바(1200)는 도 1과 같이 제3가이드바(1100)와 이웃하도되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손잡이연결부(1300)는 제1가이드바(900)와 제2가이드바(1000)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1가이드바(900)와 제2가이드바(10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1가이드바(900)와 제2가이드바(1000)와 수평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손잡이관통홀(1310)에 제1손잡이(1900)가 수직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제2손잡이연결부(1400)는 제3가이드바(1100)와 제4가이드바(1200)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3가이드바(1100)와 제4가이드바(12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3가이드바(1000)와 제4가이드바(1100)와 수평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손잡이관통홀(1310)에 제2손잡이(2000)가 수직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제1손잡이(1500)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제1가이드바(900)와 제2가이드바(1000)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제1손잡이연결부(1300)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1손잡이(1500)는 제1무게추저장부(2500)를 향하는 방향의 끝단에 제1탈착부(1510)가 형성되어 제1무게추저장부(2500)와 탈착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탈착부(1510)는 탈착가능한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제2손잡이(1600)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제3가이드바(1100)와 제4가이드바(1100)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제2손잡이연결부(1400)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2손잡이(1600)는 제2무게추저장부(2600)를 향하는 방향의 끝단에 제2탈착부(1610)가 형성되어 제2무게추저장부(2600)와 탈착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탈착부(1610)는 탈착가능한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제1손잡이거치부(1700)는 일측은 제1손잡이(1500)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제1거치대(500)의 제1돌출부(510)의 일측에 안착되도록 소정 크기의 제1거치대안착부(17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손잡이거치부(1700)는 다수개로 형성된 제1돌출부(510) 중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위치한 제1돌출부(510)의 돌출된 부위에 제1손잡이거치부(1700)의 제1거치대안착부(1710)가 거치됨으로서 제1손잡이(1500)의 위치가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제2손잡이거치부(1800)는 일측은 제2손잡이(1600)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제2거치대(600)의 제2돌출부(610)의 일측에 안착되도록 소정 크기의 제2거치대안착부(1810)가 형성된다.
상기 제2손잡이거치부(1800)는 다수개로 형성된 제2돌출부(610) 중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위치한 제2돌출부(610)의 돌출된 부위에 제2손잡이거치부(1800)의 제2거치대안착부(1810)가 거치됨으로서 제2손잡이(1600)의 위치가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제2손잡이거치부(1800)가 위치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a)와 같이 일측에 위치한 제2돌출부(610)에 거치된 제2손잡이거치부(1800)의 위치를 상부에 위치한 제2돌출부(610)로 이동하기 위해 제2손잡이거치부(1800)를 상부로 이동하면(화살표 방향), 도 2(b)와 같이 제2손잡이거치부(1800)의 위치가 변하게 되며 이에 따른 제2손잡이(1600)의 높이도 변하게 된다.
상기 제2손잡이거치부(1800)의 제2거치대안착부(1810)를 제2돌출부(610)에 거치시키는 방법은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거치시킬 수도 있으며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 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손잡이거치부(1700)도 도 2와 같이 작동하는 것은 물론이다.
제1무게추저장부이동부(1900)는 일측에 위치한 제1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제1무게추저장부(25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무게추저장부이동부(1900)는 볼스크류 형태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무게추저장부이동부(2000)는 타측에 위치한 제1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제2무게추저장부(26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무게추저장부이동부(2000)는 볼스크류 형태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 내지 5의 제1무게추저장부이동부(1900)와 제2무게추저장부이동부(2000)가 도시된 모습은 제1프레임(100)의 내부를 투영한 모습으로 상기 제1무게추저장부이동부(1900)와 제2무게추저장부이동부(2000)는 2개의 제1프레임(100)의 내부에 각각 수용되어 위치한다.
제1거리센서(2100)는 제1레일이동부(700)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되 제1손잡이(15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2거리센서(2200)는 제2레일이동부(800)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되 제2손잡이(16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거리센서(2100)와 제2거리센서(2200)는 레이저를 이용한 레이더 방식이 바람직하나 이 외에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모터(2300)는 일측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1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제1무게추저장부이동부(19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무게추저장부이동부(19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제1무게추저장부이동부(1900)에 체결된 제1무게추저장부(2600)의 위치도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모터(2400)는 타측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1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제2무게추저장부이동부(20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2무게추저장부이동부(20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제2무게추저장부이동부(2000)에 체결된 제2무게추저장부(2700)의 위치도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모터(2300)와 제2모터(2400)는 스테핑모터를 사용하여 정밀한 이동을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모터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무게추저장부(2500)는 소정 길이를 가지되 일단이 제1무게추저장부이동부(1900)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타단은 제1손잡이(1500)를 항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무게추저장부(2500)는 제1무게추거치부(2510)와 제1이동부연결부(2520)로 구성되며, 제1무게추거치부(2510)는 소정 개수의 무게추(5)가 거치되기 위한 것이며, 제1이동부연결부(2520)는 제1무게추거치부(2510)와 연결되며 제1무게추저장부이동부(1900)에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무게추저장부(2500)는 제1손잡이(1500)를 향하는 방향의 끝단에 제3탈착부(2510)가 형성되어 제1손잡이(1500)와 탈착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3탈착부(2510)는 탈착가능한 어떠한 형태도 가능한 것으로 제1손잡이(1500)의 제1탈착부(151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1탈착부(1510)와 제3탈착부(2510)가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제2무게추저장부(2600)는 소정 길이를 가지되 일단이 제2무게추저장부이동부(2000)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타단은 제2손잡이(1600)를 항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무게추저장부(2600)는 제2무게추거치부(2610)와 제2이동부연결부(2620)로 구성되며, 제2무게추거치부(2610)는 소정 개수의 무게추(5)가 거치되기 위한 것이며, 제2이동부연결부(2620)는 제2무게추거치부(2610)와 연결되며 제2무게추저장부이동부(2000)에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무게추저장부(2600)는 제2손잡이(1600)를 향하는 방향의 끝단에 제4탈착부(2610)가 형성되어 제2손잡이(1600)와 탈착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4탈착부(2610)는 탈착가능한 어떠한 형태도 가능한 것으로 제2손잡이(1600)의 제2탈착부(161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2탈착부(1610)와 제4탈착부(2610)가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리미트스위치(2700)는 제1무게추저장부(2400)의 초기영점을 기록하기 위해 상기 제1무게추저장부(240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제2리미트스위치(2800)는 제2무게추저장부(2500)의 초기영점을 기록하기 위해 상기 제2무게추저장부(250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제1리미트스위치(2700)와 제2리미트스위치(2800)는 제1무게추저장부(2400)와 제2무게추저장부(2500)의 정확한 이동을 위해 형성되는 것이며, 이의 형태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통상적인 리미트스위치의 형태임은 물론이다.
제어부(2900)는 상기 제1모터(2300)와 제2모터(24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어부(2900)는 제1거리센서(2100)로 제1손잡이(1500)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거리값을 제어부(2900)에 전송하고, 전송된 거리값을 제1모터(2300)로 전송하여 제1모터(2300)의 동작을 지시함으로서 제1손잡이(1500)와 동일한 위치에 제1무게추저장부(2500)가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0)는 제2거리센서(2200)로 제2손잡이(1600)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거리값을 제어부(2900)에 전송하고, 전송된 거리값을 제2모터(2400)로 전송하여 제2모터(2400)의 동작을 지시함으로서 제2손잡이(1600)와 동일한 위치에 제2무게추저장부(2600)가 이동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토퍼(3220)와 손잡이연결부(3300)가 포함된 형태에 관한 도면이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스토퍼(3200)는 제1좌우레일이동부(300)의 제1스토퍼체결홈(310)에 체결되어 제1레일이동부(700)의 이동을 막고, 제2좌우레일이동부(400)의 제2스토퍼체결홈(410)에 체결되어 제2레일이동부(800)의 이동을 막을 수 있다.
손잡이연결부(3300)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되 제1손잡이(1500)와 제1손잡이(1600) 사이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연결부(3300)는 바벨운동 등 연결된 일자 봉으로 하는 운동을 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필요할때마다 부착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연결부(3300)가 제1손잡이(1500)와 제2손잡이(1600) 각각에 탈착되는 방식은 자석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스미스 머신의 작동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스미스머신의 제1손잡이(1500)와 제2손잡이(1600)를 소정의 높이로 올린 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제1손잡이(1500)가 소정 높이로 올라가면 제1거리센서(2100)를 통해 제1거리센서(2100)와 제1손잡이(1500)까지의 거리가 측정되며 측정된 거리값을 제어부(2900)로 전송한다. 전송된 거리값에 대한 정보를 제1모터(2300)로 전송하고 전송된 거리값에 따라 제1무게추저장부이동부(1900)가 이동되도록 제1모터(2300)가 동작된다.
즉 도 3과 같이 하방에 위치해있던 제1무게추저장부(2500)가 제1무게추저장부이동부(1900)의 상방움직임에 따라 K1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손잡이(1500)와 일직선상의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제2손잡이(1600)가 소정 높이로 올라가면 제2거리센서(2200)를 통해 제2거리센서(2200)와 제2손잡이(1600)까지의 거리가 측정되며 측정된 거리값을 제어부(2900)로 전송한다. 전송된 거리값에 대한 정보를 제2모터(2400)로 전송하고 전송된 거리값에 따라 제2무게추저장부이동부(2000)가 이동되도록 제2모터(2400)가 동작된다.
즉 도 3과 같이 하방에 위치해있던 제2무게추저장부(2600)가 제2무게추저장부이동부(2000)의 상방움직임에 따라 K1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손잡이(1600)와 일직선상의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1손잡이(1500)와 일직선상에 제1무게추저장부(2500)가 위치하고, 제2손잡이(1600)와 일직선상에 제2무게추저장부(2600)가 위치하면 제1손잡이(1500)를 제1무게추저장부(25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어 제1손잡이(1500)와 제1무게추저장부(2500)가 연결되도록 하며 제2손잡이(1600)를 제1무게추저장부(26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어 제1손잡이(1500)와 제1무게추저장부(2500)가 연결되도록 한다(k2 방향 참고).
도 4는 무게추(5)가 제1손잡이(1500)와 제2손잡이(1600)에 각각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필요한 무게만큼의 무게추를 각 손잡이에 이동하는 것으로 도 4는 각각 2개의 무게추(2)가 제1손잡이(1500)와 제2손잡이(1600) 각각에 2개씩 위치하도록 이동시킨 것을 나타내었다(K3은 무게추의 이동방향).
도 5는 제1손잡이(1500)와 제2손잡이(1600)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K4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실제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스미스 머신을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같이 손을 들어서 각 손잡이를 잡은 후 도 7과 같이 팔을 내리면서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의 머리가 스미스머신의 손잡이(바벨봉)에 걸림이 없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운동중에 발생가능한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5 무게추
100 프레임
200 지지부
300 제1좌우이동레일
310 제1스토퍼체결부
400 제2좌우이동레일
410 제2스토퍼체결부
500 제1거치대
510 제1돌출부
600 제2거치대
610 제2돌출부
700 제1레일이동부
710 제1레일관통홀
800 제2레일이동부
810 제2레일관통홀
900 제1가이드바
1000 제2가이드바
1100 제3가이드바
1200 제4가이드바
1300 제1손잡이연결부
1310 제1손잡이관통홀
1400 제2손잡이연결부
1410 제2손잡이관통홀
1500 제1손잡이
제1탈착부
1600 제2손잡이
제2탈착부
1700 제1손잡이거치부:
1710 제1거치대안착부
1800 제2손잡이거치부
1810 제2거치대안착부
1900 제1무게추저장부이동부
2000 제2무게추저장부이동부
2100 제1거리센서
2200 제2거리센서
2300 제1모터
2400 제2모터
2500 제1무게추저장부
2510 제3탈착부
2600 제2무게추저장부
2610 제4탈착부
2700 제1리미트스위치
2800 제2리미트스위치
2900 제어부
3000 제1지지부이동부
3100 제2지지부이동부
3200 스토퍼
3300 손잡이연결부

Claims (5)

  1.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긴 형태로 형성되되 2개의 쌍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위치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일측의 프레임(100)의 상부와 타측의 프레임(100)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소정의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00)와,
    일측 프레임(100)의 하단에 연결되어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지지부(200)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제1좌우이동레일(300)과,
    타측 프레임(100)의 하단에 연결되어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지지부(200)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제2좌우이동레일(400)과,
    제1좌우이동레일(300)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1좌우이동레일(3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제1가이드바(900)가 체결되는 제1레일이동부(700)와,
    제2좌우이동레일(400)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2좌우이동레일(4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제3가이드바(1100)가 체결되는 제2레일이동부(800)와,
    상기 제1레일이동부(7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지지부(200)을 따라 이동하도록 소정 크기의 제1지지부관통홀(3110)이 지지부(2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제1가이드바(900)가 체결되는 제1지지부이동부(3000)와,
    상기 제2레일이동부(8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지지부(200)을 따라 이동하도록 소정크기의 제2지지부관통홀(3110)이 지지부(2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제3가이드바(1100)가 체결되는 제2지지부이동부(3100)와,
    소정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제1레일이동부(700)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제1지지부이동부(3000)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1가이드바(900)와,
    소정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제2레일이동부(800)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제2지지부이동부(3100)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3가이드바(1100)와,
    제1가이드바(900)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1가이드바(900) 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1가이드바(900) 와 수평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손잡이관통홀(1310)에 제1손잡이(1900)가 수직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손잡이연결부(1300)와,
    제3가이드바(1100)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3가이드바(11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3가이드바(1000)와 수평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손잡이관통홀(1310)에 제2손잡이(2000)가 수직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손잡이연결부(1400)와,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제1가이드바(900)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제1손잡이연결부(1300)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손잡이(1500)와,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제3가이드바(1100) 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제2손잡이연결부(1400)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2손잡이(1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벨봉이 분리된 스미스 머신.
  2.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긴 형태로 형성되되 2개의 쌍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위치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일측의 프레임(100)의 상부와 타측의 프레임(100)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소정의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00)와,
    일측 프레임(100)의 하단에 연결되어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지지부(200)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제1좌우이동레일(300)과,
    타측 프레임(100)의 하단에 연결되어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지지부(200)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제2좌우이동레일(400)과
    제1좌우이동레일(300)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1좌우이동레일(3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제1가이드바(900)와 제2가이드바(1000)가 체결되는 제1레일이동부(700)와,
    제2좌우이동레일(400)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2좌우이동레일(4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제3가이드바(1100)와 제4가이드바(1200)가 체결되는 제2레일이동부(800)와,
    상기 제1레일이동부(7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지지부(200)을 따라 이동하도록 소정 크기의 제1지지부관통홀(3110)이 지지부(2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제1가이드바(900)와 제2가이드바(1000)가 체결되는 제1지지부이동부(3000)와,
    상기 제2레일이동부(8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지지부(200)을 따라 이동하도록 소정크기의 제2지지부관통홀(3110)이 지지부(2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제3가이드바(1100)와 제4가이드바(1200)가 체결되는 제2지지부이동부(3100)와,
    소정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제1레일이동부(700)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제1지지부이동부(3000)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1가이드바(900)와,
    소정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제1레일이동부(700)의 타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제1지지부이동부(3000)의 타측에 체결되는 제2가이드바(1000)와,
    소정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제2레일이동부(800)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제2지지부이동부(3100)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3가이드바(1100)와,
    소정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제2레일이동부(800)의 타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제2지지부이동부(3100)의 타측에 체결되는 제4가이드바(1200)와,
    제1가이드바(900)와 제2가이드바(1000)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1가이드바(900) 및 제2가이드바(10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1가이드바(900) 및 제2가이드바(1000)와 수평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손잡이관통홀(1310)에 제1손잡이(1900)가 수직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손잡이연결부(1300)와,
    제3가이드바(1100) 및 제4가이드바(1200)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3가이드바(1100) 및 제4가이드바(12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3가이드바(1000) 및 제4가이드바(1100)와 수평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손잡이관통홀(1310)에 제2손잡이(2000)가 수직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손잡이연결부(1400)와,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제1가이드바(900) 및 제2가이드바(1000)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제1손잡이연결부(1300)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손잡이(1500)와,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제3가이드바(1100) 및 제4가이드바(1100)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제2손잡이연결부(1400)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2손잡이(1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벨봉이 분리된 스미스 머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일단은 지지부(200)의 일측에 위치하고 타단은 제1좌우이동레일(300)의 끝단 일측에 위치하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제1돌출부(510)가 형성되는 제1거치대(500)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일단은 지지부(200)의 타측에 위치하고 타단은 제2좌우이동레일(400)의 끝단 일측에 위치하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제2돌출부(610)가 형성되는 제2거치대(600)와,
    일측은 제1손잡이(1500)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제1거치대(500)의 제1돌출부(510)의 일측에 안착되도록 소정 크기의 제1거치대안착부(1710)가 형성되는 제1손잡이거치부(1700)와,
    일측은 제2손잡이(1600)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제2거치대(600)의 제2돌출부(610)의 일측에 안착되도록 소정 크기의 제2거치대안착부(1810)가 형성되는 제2손잡이거치부(1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벨봉이 분리된 스미스 머신.
  4. 제3항에 있어서,
    일측에 위치한 제1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제1무게추저장부(25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제1무게추저장부이동부(1900)와,
    타측에 위치한 제1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제2무게추저장부(26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제2무게추저장부이동부(2000)와,
    제1레일이동부(700)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되 제1손잡이(15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제1거리센서(2100)와,
    제2레일이동부(800)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되 제2손잡이(16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제2거리센서(2200)와,
    일측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1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제1무게추저장부이동부(19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2300)와,
    타측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1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제2무게추저장부이동부(20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2400)와,
    소정 길이를 가지되 일단이 제1무게추저장부이동부(1900)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타단은 제1손잡이(1500)를 항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무게추저장부(2500)와,
    소정 길이를 가지되 일단이 제2무게추저장부이동부(2000)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타단은 제2손잡이(1600)를 항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무게추저장부(2600)와,
    상기 제1모터(2300)와 제2모터(24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부(2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벨봉이 분리된 스미스 머신.
  5. 제4항에 있어서,
    제1무게추저장부(2400)의 초기영점을 기록하기 위해 상기 제1무게추저장부(24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리미트스위치(2700)와,
    제2무게추저장부(2500)의 초기영점을 기록하기 위해 상기 제2무게추저장부(25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리미트스위치(2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좌우이동레일(300)은 제1손잡이(15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레일이동부(7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서 제1손잡이(1500)의 위치가 결정되며,

    상기 제2좌우이동레일(400)은 제2손잡이(16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2레일이동부(8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서 제2손잡이(1600)의 위치가 결정되며,

    상기 제1거치대(500)의 제1돌출부(510)는 제1가이드바(900)와 제2가이드바(1000)의 측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위치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거치대(600)의 제2돌출부(610)는 제3가이드바(1100)와 제4가이드바(1200)의 측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부이동부(3000)는 제1레일이동부(700)와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되며, 제1좌우이동레일(30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가이드바(900)와 제2가이드바(1000)에 연결된 제1지지부이동부(3000)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지지부이동부(3100)는 제2레일이동부(800)와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되며, 제2좌우이동레일(40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3가이드바(1100)와 제4가이드바(1200)에 연결된 제2지지부이동부(3100)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가이드바(1000)는 제1가이드바(900)와 이웃하되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4가이드바(1200)는 제3가이드바(1100)와 이웃하도되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손잡이(1500)는 제1무게추저장부(2500)를 향하는 방향의 끝단에 형성되고 제1무게추저장부(2500)와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탈착부(151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손잡이(1600)는
    제2무게추저장부(2600)를 향하는 방향의 끝단에 형성되고 제2무게추저장부(2600)와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탈착부(16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무게추저장부이동부(1900)는 볼스크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무게추저장부이동부(2000)는 볼스크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모터(2300)와 제2모터(2400)는 스테핑모터이며,

    상기 제1무게추저장부(2500)는
    소정 개수의 무게추(5)가 거치되기 위한 제1무게추거치부(2510)와,
    제1무게추거치부(2510)와 연결되며 제1무게추저장부이동부(1900)에 연결되기 위한 제1이동부연결부(25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무게추저장부(2500)는
    제1손잡이(1500)를 향하는 방향의 끝단에 형성되고 제1손잡이(1500)의 제1탈착부(151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1탈착부(1510)와 제3탈착부(2510)가 탈착되도록 형성되는 제3탈착부(251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무게추저장부(2600)는
    소정 개수의 무게추(5)가 거치되기 위한 제2무게추거치부(2610)와,
    제2무게추거치부(2610)와 연결되며 제2무게추저장부이동부(2000)에 연결되기 위한 제2이동부연결부(26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무게추저장부(2600)는
    제2손잡이(1600)를 향하는 방향의 끝단에 제2손잡이(1600)의 제2탈착부(161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2탈착부(1610)와 제4탈착부(2610)가 탈착되는 제4탈착부(261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900)는
    제1거리센서(2100)로 제1손잡이(1500)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거리값을 제어부(2900)에 전송하고, 전송된 거리값을 제1모터(2300)로 전송하여 제1모터(2300)의 동작을 지시함으로서 제1손잡이(1500)와 동일한 위치에 제1무게추저장부(2500)가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2900)는
    제2거리센서(2200)로 제2손잡이(1600)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거리값을 제어부(2900)에 전송하고, 전송된 거리값을 제2모터(2400)로 전송하여 제2모터(2400)의 동작을 지시함으로서 제2손잡이(1600)와 동일한 위치에 제2무게추저장부(2600)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벨봉이 분리된 스미스 머신.


KR1020220019578A 2022-02-15 2022-02-15 바벨봉이 분리된 스미스 머신 KR102432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578A KR102432832B1 (ko) 2022-02-15 2022-02-15 바벨봉이 분리된 스미스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578A KR102432832B1 (ko) 2022-02-15 2022-02-15 바벨봉이 분리된 스미스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832B1 true KR102432832B1 (ko) 2022-08-12

Family

ID=82803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578A KR102432832B1 (ko) 2022-02-15 2022-02-15 바벨봉이 분리된 스미스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720B1 (ko) 2022-10-13 2023-05-03 박진석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5510A (en) * 1991-09-16 1993-06-01 John Baran Dual-guided exercise apparatus
US5569133A (en) * 1994-12-07 1996-10-29 Vittone; Larry W. Squat exercise apparatus
KR101858081B1 (ko) 2015-11-13 2018-05-15 이병돈 각도조절 및 스윙 가능한 스미스 머신
KR102092308B1 (ko) 2018-09-03 2020-03-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성이 강화된 스미스 머신
CN213912201U (zh) * 2020-12-29 2021-08-10 山东布莱特威健身器材有限公司 多功能训练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5510A (en) * 1991-09-16 1993-06-01 John Baran Dual-guided exercise apparatus
US5569133A (en) * 1994-12-07 1996-10-29 Vittone; Larry W. Squat exercise apparatus
KR101858081B1 (ko) 2015-11-13 2018-05-15 이병돈 각도조절 및 스윙 가능한 스미스 머신
KR102092308B1 (ko) 2018-09-03 2020-03-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성이 강화된 스미스 머신
CN213912201U (zh) * 2020-12-29 2021-08-10 山东布莱特威健身器材有限公司 多功能训练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720B1 (ko) 2022-10-13 2023-05-03 박진석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2832B1 (ko) 바벨봉이 분리된 스미스 머신
TW201707752A (zh) 體能訓練設備的骨架
US11471723B2 (en) Power rack apparatus for spotting weights
US5273284A (en) Golf putting aid
US11433272B2 (en) Exercise machine handle system
US9782618B2 (en) Tilting exercise device
WO2020218416A1 (ja) トレーニング装置
US20030060345A1 (en) Weight systems for exercise equipment
JP3166214U (ja) 起立着座動作の訓練補助ロボット
CN205268929U (zh) 一种引体向上牵引器
JP4204979B2 (ja) ゴルフパッティング練習器
KR20190001647U (ko) 스쿼트 운동장치
AU2003206288A1 (en) Golf putting trainer
KR101981145B1 (ko) 멀티 헬스 운동 기구
KR102361036B1 (ko)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CN213787975U (zh) 一种大鼠脊髓损伤造模器
KR20180138056A (ko)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KR200459289Y1 (ko) 컴퓨터용 콘솔
KR20120123855A (ko) 모터 자동제어를 이용한 변동 중량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
KR20110009593U (ko) 골프퍼팅과 쇼트스윙 연습장치
CN201612997U (zh) 模拟高尔夫球推杆与短挥杆动作的练习器
CN210456276U (zh) 散装按键贴装振动盘
CN216022992U (zh) 一种体育训练用横叉柔韧分腿器
CN209807788U (zh) 一种推动便捷的婴儿摇床椅
CN217067599U (zh) 一种滑雪运动模拟滑行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