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040B1 -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하는 지하주차장 에폭시 바닥구조 - Google Patents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하는 지하주차장 에폭시 바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040B1
KR102432040B1 KR1020210111348A KR20210111348A KR102432040B1 KR 102432040 B1 KR102432040 B1 KR 102432040B1 KR 1020210111348 A KR1020210111348 A KR 1020210111348A KR 20210111348 A KR20210111348 A KR 20210111348A KR 102432040 B1 KR102432040 B1 KR 102432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ot
perforation
floor
drai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중
Original Assignee
포에이시스템 주식회사
김소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에이시스템 주식회사, 김소중 filed Critical 포에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1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23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collecting water in bas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하는 지하주차장 에폭시 바닥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주차장바닥(B)의 표면을 특정 내직경(D1) 및 깊이(D2)로 천공하여 형성되는 천공부(20)와; 천공부 바닥(21)에 덮여지는 것으로서 하방으로 개구되는 캡공간(35)이 형성된 캡(30)과; 천공부(20)와 배수홈(10) 사이의 주차장바닥(B)에 형성되는 줄눈(40)(40')과; 줄눈(40)(40')에 끼어져 상기 배수홈(10)과 천공부(20) 사이를 연결하는 배수튜브(50)와; 캡(30)이 매립되도록 상기 천공부(20)에 충진되어 주차장바닥(B)과 편평하게 마감된 충진부(70)와; 충진부(70)의 상부면 및 주차장바닥(B)의 표면에 형성되는 에폭시층(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하는 지하주차장 에폭시 바닥구조{Drain infiltrating water structure of underground parking}
본 발명은 지하주차장 바닥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되는 침투수나 결로수로 인하여 에폭시층이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하는 지하주차장 에폭시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한 건축면적 이상의 건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땅속 지하에 주차장을 구비하여야 한다. 지하 주차장은 건물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최근에는 건물의 대형화에 따라 지하 깊은 곳까지 시공하고 있다.
지하 주차장을 이루는 주차장바닥은 다수층을 이루는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시멘트, 모래 및 자갈을 혼합한 몰탈을 일정한 두께로 타설한 몰탈바닥층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된다. 그리고 몰탈바닥층의 표면에는 주차하는 차량의 하중을 견딤과 동시에 비산 먼지를 방지하기 위한 에폭시층을 형성한다.
한편, 지하 주차장 외측의 지중 환경은 항상 습기가 머금어져 있음과 동시에 지상으로부터 빗물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기 때문에 지하 주차장 외벽의 방수층이 쉽게 손상된다. 이 경우, 손상된 방수층 및 외벽을 통하여 지하주차장으로 침투된 침투수는 주차장바닥에 형성된 미세 크랙을 따라 이동 및 증발하였고, 더 나아가 지하주차장의 온도변화에 의하여 생성된 결로수 역시 미세 크랙을 따라 이동하면서 증발하였다.
그런데 주차장바닥에 표면에 형성되는 에폭시층은 통기성이 없기 때문에, 침투수나 결로수등이 증발될 때 발생되는 습기는 에폭시층을 몰탈바닥층으로부터 박리시키고, 박리된 에폭시층은 주차중인 차량 바퀴에 파손되어 에폭시층의 손상을 가속시켰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주차장바닥으로 유입되는 침투수나 주차장에서 생성되는 결로수를 배출시킴으로서 증발에 따른 에폭시층의 박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곰팡이나 악취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하는 지하주차장 에폭시 바닥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하는 지하주차장 에폭시 바닥구조는, 배수구와 연결되는 배수홈(10)이 형성된 건물 지하의 주차장바닥(B)에 구현되는 것으로서, 상기 주차장바닥(B)의 표면을 특정 내직경(D1) 및 깊이(D2)로 천공하여 형성되는 천공부(20); 상기 천공부 바닥(21)에 덮여지는 것으로서 하방으로 개구되는 캡공간(35)이 형성된 캡(30); 상기 천공부(20)와 배수홈(10) 사이의 주차장바닥(B)에 형성되는 줄눈(40)(40'); 상기 줄눈(40)(40')에 끼어져 상기 배수홈(10)과 천공부(20) 사이를 연결하는 배수튜브(50); 상기 캡(30)이 매립되도록 상기 천공부(20)에 충진되어 상기 주차장바닥(B)과 편평하게 마감된 충진부(70); 및 상기 충진부(70)의 상부면 및 주차장바닥(B)의 표면에 형성되는 에폭시층(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20)의 내직경(D1)은 50~80mm 의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30)은, 상기 천공부 바닥(21)에 덮여지는 것으로서, 상부에 위치된 원형커버(31)와, 상기 원형커버(3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형측벽(32)과, 상기 원형측벽(32) 하단을 따라 대칭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측벽홈(3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수튜브(50)는 상기 천공부(20) 측에 위치되는 입구단(51)과 상기 배수홈(10) 측에 위치되는 출구단(52)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단(51)과 출구단(52) 사이는 직선을 이루고; 상기 천공부(20) 측의 입구단(51)은 상기 배수홈(10) 측의 출구단(52) 보다 높게 위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수튜브(50)에 끼어져 상기 배수홈(10)과 캡공간(35) 사이를 연결하는 심지부(6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장바닥(B) 바닥에 형성되는 천공부(20)와 주차장바닥(B)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배수홈(10)을 배수튜브(50)로 연결함으로서, 천공부(20)에서 수집되는 침투수나 결로수를 배수홈(10)으로 배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주차장바닥(B)에서 침투수나 결로수의 증발을 방지하여 증발되는 습기에 의하여 에폭시층(80)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시킴으로써 주차장바닥(B) 내측을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습기 증발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습기에 의한 곰팡이나 악취등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항상 쾌적한 지하주차장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하는 지하주차장 에폭시 바닥구조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천공부 부근을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3의 천공부에 내장되는 캡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배수홈 부근을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5의 심지부를 내장하는 배수튜브의 단면 구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하는 지하주차장 에폭시 바닥구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하는 지하주차장 에폭시 바닥구조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천공부 부근을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천공부에 내장되는 캡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의 배수홈 부근을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심지부를 내장하는 배수튜브의 단면 구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하는 지하주차장 에폭시 바닥구조는, 배수구와 연결되는 배수홈(10)이 형성된 건물 지하의 주차장바닥(B)에 구현되는 것으로서, 주차장바닥(B)의 표면을 특정 내직경(D1) 및 깊이(D2)로 천공하여 형성되는 천공부(20)와; 천공부 바닥(21)에 덮여지는 것으로서 하방으로 개구되는 캡공간(35)이 형성된 캡(30)과; 천공부(20)와 배수홈(10) 사이의 주차장바닥(B)에 형성되는 줄눈(40)(40')과; 줄눈(40)(40')에 끼어져 배수홈(10)과 천공부(20) 사이를 연결하는 배수튜브(50)와; 배수튜브(50)에 끼어져 배수홈(10)과 캡공간(35) 사이를 연결하는 심지부(60)와; 캡(30)이 매립되도록 천공부(20)에 충진되어 주차장바닥(B)과 편평하게 마감된 충진부(70)와; 충진부(70)의 상부면 및 주차장바닥(B)의 표면에 형성되는 에폭시층(80)을 포함한다.
주차장바닥(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다수층을 이루는 콘크리트 슬라브(B1) 상에 시멘트에 모래 및 자갈을 혼합한 몰탈을 일정한 두께로 타설하여 120~200mm 두께의 몰탈바닥층(B2)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된다.
배수홈(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바닥(B)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물청소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외부의 배수관(미도시)으로 안내한다. 이러한 배수홈(10)은 필요에 따라 그레이팅(미도시)이 설치되기도 한다.
천공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바닥(B)의 표면을 천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천공부(20) 내주면에서 주차장바닥(B)의 단면을 노출시킴으로써 주차장바닥(B) 내부에 형성되는 크랙을 통하여 흐르는 결로수나 침투수를 수집한다. 이는 천공부 바닥(21)이 주차장바닥(B)의 하부측에 위치되므로 가능한 것이며, 이에 따라 주차장바닥(B)의 크랙을 통하여 이동하는 침투수나 결로수를 천공부(20)로 집중시킴으로써 다른 부분으로 침투수가 결로수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천공부(20)의 내직경(D1)은 50~80mm 의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천공부(20)의 깊이(D2)는 배수홈(10)의 깊이보다 작다.
천공부 내직경(D1)이 50 mm 이하일 경우, 천공부(20)가 형성하는 공간이 작기 때문에 주차장바닥(B)의 크랙을 통하여 이동하는 침투수나 결로수를 충분히 수집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주차장바닥(B) 내측에 침투수나 결로수가 존재하고 있다가 증발하면서 에폭시층(80)을 들뜨게 한다. 반대로 천공부 내직경(D1)이 80mm 이상일 경우, 주차과정에서 차량 바퀴가 천공부(20) 상부측에 위치될 때 바퀴 바닥면이 과도하게 얹혀지고, 이에 따라 차량 무게가 천공부(20)로 직접 전달되어 천공부(20) 가장자리를 파손시키기 때문이다.
천공부 깊이(D2)가 배수홈(10)의 깊이보다 작을 경우, 천공부(20)의 바닥이 배수홈(10)의 바닥보다 하부에 있으므로 천공부(20)에 수집되는 침투수나 결로수가 배수튜브(50)를 통하여 배수튜브(50)룰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캡(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부 바닥(21)에 덮여지는 것으로서, 상부에 위치된 원형커버(31)와, 원형커버(3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형측벽(32)과, 원형측벽(32) 하단을 따라 대칭되게 형성되는 다수, 본 실시예에서는 4 개의 측벽홈(33)을 포함한다. 이러한 캡(30)은 전체적으로 납작한 원통형태를 이루며, 원형커버(31) 및 원형측벽(32)에 의하여 형성되는 캡공간(35)에 결로수나 침투수가 수집된다.
여기서 측벽홈(33)은 천공부 바닥(21)에 고여지는 물을 캡공간(35)으로 유입시키는 통로가 되고, 또한 배수튜브(50) 및 심지부(60)가 캡공간(35)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가 된다.
줄눈(40)(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홈(10)과 천공부(20) 사이의 주차장바닥(B)에 형성된다. 줄눈(40)(40')은 배수홈(10)과 천공부(20) 사이를 연결하는 배수튜브(50)가 끼어지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줄눈(40)(40')은 주차장바닥(B)을 이미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에폭시 바닥구조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추후에 인위적으로 형성한 것일 수도 있다.
줄눈(40)(40')에는 배수튜브(50)가 끼어지며, 끼어진 배수뷰트(50)가 빠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줄눈(40)(40')을 실리콘으로 마감한다.
배수튜브(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눈(40)(40')에 끼어져 배수홈(10)과 천공부(20) 사이, 엄밀하게는 캡(30)의 캡공간(35)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천공부(20)에서 수집된 수분을 배수홈(10)으로 이동시키는 유로가 된다. 배수튜브(50)는 합성수지 재질의 불투수성 재질로 되고, 줄눈(40)(40)에 끼어지는 정도의 외직경과 5~10mm 의 내직경을 가진다.
배수튜브(50)는 천공부(20) 측에 위치되는 입구단(51)과 배수홈(10) 측에 위치되는 출구단(52)을 포함하며, 입구단(51)과 출구단(52) 사이는 직선을 이룬다. 이때 천공부(20) 측의 입구단(51)은 배수홈(10) 측의 출구단(52) 보다 높게 위치되며, 이에 따라 천공부(20)에서 수집된 침투수나 결로수는 배수튜브(50)를 타고 배수홈(10)으로 배수될 수 있다.
여기서 배수튜브(50)는 천공부(20)에 집수된 물을 배수홈(10)으로 배수하며, 이에 따라 배수튜브(50) 주위로 물기가 습기가 존재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배수튜브(50)를 따라 줄눈(40)(40') 주위는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물이 배출되는 배수튜브(50) 주위에서 에폭시층(80)의 들뜸 현상이 방지된다.
여기서, 배수튜브(50)의 출구단(5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홈(10)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배수홈 바닥(11)의 상부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배수홈(10)을 통하여 오수가 배수될 때, 오수가 출구단(52) 및 배수튜브(50)를 통하여 천공부(2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심지부(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튜브(50)에 내장되어 배수홈(10)과 천공부(20) 내부에서 캡공간(35) 사이를 연결한다. 심지부(60)는 가느다란 면 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필라멘트 섬유가 꼬아져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배수홈(10)과 천공부(20) 사이를 연결하는 배수튜브(50)에서 약간의 굴곡이 형성되더라도 천공부(60)에서 집수된 물을 모세관 현상을 통하여 배수튜브(5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공간(35) 내부에 심지부(60)가 진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심지부(60)의 단부에는 매듭(6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매듭(61)은 캡공간(35) 내측에 고여진 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배수뷰트(50) 내측의 심지부(60)로 모세관 이동하게 한다.
여기서, 심지부(60)의 외직경은 배수튜브(50) 내직경보다 작으며, 바람직하게는 1/3 이하이다. 이에 따라 배수튜브(50)와 심지부(60)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천공부(20)에서 많은 양의 침투수나 결로수가 수집될 때 배수튜브(50)와 심지부(6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빠르게 배수된다.
한편, 배수튜브(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심지부(60)의 외주면 전체를 이격시키기 위한 3 개의 대칭되는 지지날개(53)가 형성된다. 3 개의 지지날개(53)는 심지부(60)의 외주면과 배수튜브(50) 내주면을 전체적으로 이격시켜, 심지부(60)로 흡수된 습기를 배수튜브(50)로 빠르게 증발시키고, 이에 따라 천공부(20) 내부에서 수집되는 침투수가 결로수의 수량이 작더라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수튜브(50)는 천공부(20)에 많은 양이 침투수나 결로수가 수집될 때 배수홈(10)으로 직접 흐르게 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심지부(60)는 천공부(20)에서 수집되는 침수투나 결로수의 양이 작을 때 모세관 현상을 통하여 배수홈(10)으로 흐르게 하는 것이다.
충진부(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30)이 매립되도록 천공부(10)에 충진되어 주차장바닥(B)과 편평하게 마감된다. 충진부(70)는 고강도 시멘트로 되어 캡(30) 상부측에서 천공된 부분을 완전히 매립하며, 이에 따라 지하주차장(B)을 주행하는 차량에 의하여 많은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캡(30)의 내측에는 물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공간이 보호된다.
에폭시층(8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부(70)의 상부면을 포함하는 주차장바닥(B)에 형성된다. 에폭시층(80)은 주차하는 차량의 하중을 견딤과 동시에 비산 먼지를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면, 주차장바닥(B) 바닥에 형성되는 천공부(20)와 주차장바닥(B)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배수홈(10)을 배수튜브(50)로 연결함으로서, 천공부(20)에서 수집되는 침투수가 결로수를 배수홈(10)으로 배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주차장바닥(B)에서 침투수나 결로수의 증발을 방지하여 증발되는 습기에 의하여 에폭시층(80)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시킴으로써 주차장바닥(B) 내측을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습기 증발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습기에 의한 곰팡이나 악취등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항상 쾌적한 지하주차장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B ... 주차장바닥 B1 ... 콘크리트 슬라브
10 ... 배수홈 11 ... 배수홈 바닥
20 ... 천공부 21 ... 천공부 바닥
30 .. 캡 31 ... 원형커버
32 ... 원형측벽 33 ... 측벽홈
35 ... 캡공간 40, 40' ... 줄눈
50 ... 배수튜브 51 ... 입구단
52 ... 출구단 53 ... 지지날개
60 ... 심지부 70 ... 충진부
80 ... 에폭시층

Claims (5)

  1. 배수구와 연결되는 배수홈(10)이 형성된 건물 지하의 주차장바닥(B)에 구현되는 것으로서,
    상기 주차장바닥(B)의 표면을 특정 내직경(D1) 및 깊이(D2)로 천공하여 형성되는 천공부(20);
    상기 천공부 바닥(21)에 덮여지는 것으로서 하방으로 개구되는 캡공간(35)이 형성된 캡(30);
    상기 천공부(20)와 배수홈(10) 사이의 주차장바닥(B)에 형성되는 줄눈(40)(40');
    상기 줄눈(40)(40')에 끼어져 상기 배수홈(10)과 천공부(20) 사이를 연결하는 배수튜브(50);
    상기 배수튜브(50)에 끼어져 상기 배수홈(10)과 캡공간(35) 사이를 연결하는 심지부(60);
    상기 캡(30)이 매립되도록 상기 천공부(20)에 충진되어 상기 주차장바닥(B)과 편평하게 마감된 충진부(70); 및
    상기 충진부(70)의 상부면 및 주차장바닥(B)의 표면에 형성되는 에폭시층(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하는 지하주차장 에폭시 바닥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20)의 내직경(D1)은 50~80mm 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하는 지하주차장 에폭시 바닥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30)은,
    상기 천공부 바닥(21)에 덮여지는 것으로서, 상부에 위치된 원형커버(31)와, 상기 원형커버(3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형측벽(32)과, 상기 원형측벽(32) 하단을 따라 대칭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측벽홈(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하는 지하주차장 에폭시 바닥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튜브(50)는 상기 천공부(20) 측에 위치되는 입구단(51)과 상기 배수홈(10) 측에 위치되는 출구단(52)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단(51)과 출구단(52) 사이는 직선을 이루고;
    상기 천공부(20) 측의 입구단(51)은 상기 배수홈(10) 측의 출구단(52) 보다 높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하는 지하주차장 에폭시 바닥구조.
  5. 삭제
KR1020210111348A 2021-08-24 2021-08-24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하는 지하주차장 에폭시 바닥구조 KR102432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348A KR102432040B1 (ko) 2021-08-24 2021-08-24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하는 지하주차장 에폭시 바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348A KR102432040B1 (ko) 2021-08-24 2021-08-24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하는 지하주차장 에폭시 바닥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040B1 true KR102432040B1 (ko) 2022-08-18

Family

ID=83112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348A KR102432040B1 (ko) 2021-08-24 2021-08-24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하는 지하주차장 에폭시 바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0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4483A (ko) * 2008-01-02 2009-07-07 최형준 배수기능이 강화된 구조물 신축이음부 방수 및 배수로시공방법
KR20140092140A (ko) * 2013-01-15 2014-07-23 박정관 바닥면 누수 유도박스
KR101606867B1 (ko) * 2015-08-18 2016-03-28 (주)펜테크 습기유도로를 적용한 옥상 방수층 보수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4483A (ko) * 2008-01-02 2009-07-07 최형준 배수기능이 강화된 구조물 신축이음부 방수 및 배수로시공방법
KR20140092140A (ko) * 2013-01-15 2014-07-23 박정관 바닥면 누수 유도박스
KR101606867B1 (ko) * 2015-08-18 2016-03-28 (주)펜테크 습기유도로를 적용한 옥상 방수층 보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228399A (en) Wide area water collection type underground water tank
KR100986157B1 (ko) 배수형 브레이싱 및 보강수로가 설치된 터널
KR102579636B1 (ko) 건물 누수 유도배출장치
KR200438322Y1 (ko)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
AU5306599A (en) Damp-proof construction and method of basement
KR102432040B1 (ko) 침투수 및 결로수를 배출하는 지하주차장 에폭시 바닥구조
TWM332104U (en) Auxiliary drainage device for floor joint
CN205653871U (zh) 一种便于雨水渗漏的排水管
EP2050891B1 (en) Green roof structure for a building, assembly of at least two similar such green roof structures, and method for providing a green roof on a roof
JP2006219832A (ja) 排水性舗装用の境界ブロックセット、これを用いた排水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11074563A (ja) 雨水浸透システム
JP2009249874A (ja) 雨水貯留浸透システム
JP2000104206A (ja) 舗装用平板並びにこれを用いた舗装及び歩道の構造
CN211547155U (zh) 一种道路用透水平缘石
KR102064208B1 (ko)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
KR200272855Y1 (ko) 도로측구의 지중 맹암거구조
KR101218752B1 (ko) 빗물저장침투장치
JP2009209637A (ja) 埋設構築物の構築方法
KR102219531B1 (ko) 우수저장 블록
JP2000179034A (ja) 側溝、側溝の蓋部材、および境界ブロック
KR102247060B1 (ko) 침투수 배수 및 수분탈기 기능을 가지는 옥상 슬라브 방수구조
KR100821742B1 (ko) 측벽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KR100581015B1 (ko) 발코니 배수시설
JPH0784758B2 (ja) アスファルト舗装コンクリート床版の排水構造
KR20050102160A (ko) 점성토 연약지반의 개량을 위한 표층처리강화공법 및표층처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