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840B1 -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 Google Patents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840B1
KR102431840B1 KR1020200147017A KR20200147017A KR102431840B1 KR 102431840 B1 KR102431840 B1 KR 102431840B1 KR 1020200147017 A KR1020200147017 A KR 1020200147017A KR 20200147017 A KR20200147017 A KR 20200147017A KR 102431840 B1 KR102431840 B1 KR 102431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assistance
unit
assistance device
coupling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0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60884A (en
Inventor
박종인
오주영
Original Assignee
박종인
오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인, 오주영 filed Critical 박종인
Priority to KR1020200147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840B1/en
Publication of KR20220060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8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8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5Direction indicators
    • B62J6/055Electrical means, e.g. lamps
    • B62J6/056Electrical means, e.g. lamps characterised by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16Arrangement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26Handlebar g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8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certain areas located on the lighting device, e.g. a touch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20Direction indicato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륜차 손잡이 부분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형성된 터치패널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터치패널부에 연결되며 기판으로 형성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조명부가 포함되어, 상기 터치패널부에 손가락이 접촉되면 제어부에서 조명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portion formed to be coupled to a handle portion of a two-wheeled vehicle, a body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a touch panel formed outside the body, wherein the body includes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ouch panel and formed of a substrate and a lighting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illumination unit when a finger touches the touch panel unit.

Description

운전 보조 장치{Driving assistance apparatus}Driving assistance apparatus

본 발명은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전동킥보드 등의 운전자가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전동킥보드 등에 부착되는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ing assistance device attached to an electric kickboard, etc. so that a driver, such as an electric scooter, can drive safely.

최근 전동킥보드에 대한 편리성이 널리 인식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전동킥보드를 이용하고 있고, 주요 자치단체에서도 공유형 전동킥보드를 보급하는 등 전동킥보드에 대한 사용이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Recently, as the convenience of electric kickboards has been widely recognized, many people are using electric kickboard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electric kickboards will continue to increase as major local governments are also distributing shared-type electric kickboards.

그러나, 전동킥보드는 진행방향을 예고하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인도의 보행자 및 도로의 자동차 운전자는 전동킥보드 운전자가 진행방향을 변경할 때 이를 미리 알 수 없어 크고 작은 접촉 사고 또는 대형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electric scooter does not have a device for foretelling the direction of travel, pedestrians and road car drivers in India cannot know in advance when the driver of the electric scooter changes the direction of travel, so large and small contact accidents or large accidents occur frequently. There is this.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4370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43708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 운전자가 진행방향을 변경할 때 안전하게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 운전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ving assistance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direction change can be made safely when an electric scooter driver changes a traveling direction.

본 발명은 이륜차 손잡이 부분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형성된 터치패널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터치패널부에 연결되며 기판으로 형성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조명부가 포함되어, 상기 터치패널부에 손가락이 접촉되면 제어부에서 조명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portion formed to be coupled to a handle portion of a two-wheeled vehicle, a body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a touch panel formed outside the body, wherein the body includes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ouch panel and formed of a substrate and a lighting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when a finger touches the touch panel unit,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illumination unit.

상기 결합부는 탄성 재질이고, 결합부에 상기 이륜차 손잡이 부분이 인입되는 내측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n inner space through which the handle portion of the two-wheeled vehicle is introduced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상기 결합부에는 체결력 강화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력 강화공은 상기 이륜차 손잡이 부분이 인입되는 내측 공간 끝단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 fastening force reinforc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force reinforcing hole may be formed to have a narrow width in th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inner space into which the handle portion of the two-wheeled vehicle is introduced.

상기 결합부에는 내측 둘레에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휘어진 미세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may be formed with fine protrusions curved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part around the inner circumference.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비탄성 재질인 결합 보강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A coupling reinforcing member made of an inelastic material may be formed inside the coupling part.

상기 몸체부에서 하방으로 복수개의 걸림턱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locking jaws may be further formed downward from the body.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하방으로 길게 탄성 재질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턱로드와, 상기 걸림턱로드에서 몸체부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끝단이 뽀족하게 형성된 걸림턱 절곡단이 포함될 수 있다.The locking jaw portion may include a locking jaw rod formed in the shape of an elastic material elongated downward from the body portion, and a bending end of the locking jaw bent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body in the locking jaw rod to have a sharp end.

상기 몸체부에는 외측으로 형성되는 단자홈과, 상기 단자홈과 연결되는 배터리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body part may further include a terminal groove formed outside and a battery part connected to the terminal groove.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조도센서, 스피커 또는 경적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Any one of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 speaker, and a horn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may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상기 조명부에는 전조등과 방향등 및 브레이크등이 형성될 수 있다.A headlamp, a turn lamp, and a brake lamp may be formed in the lighting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널부가 터치되는 것을 감지하여 방향 전환 감지, 비상 신호 감지, 야간 모드 감지, 브레이크 감지, 경고음 감지, 도난방지 감지, 주야판단부 감지, 충전 감지, USB 재생 감지, 스마트폰 연동 감지 및, 자동모드 감지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detects that the touch panel unit is touched and detects direction change detection, emergency signal detection, night mode detection, brake detection, warning sound detection, anti-theft detection, day/night judgment unit detection, charging detection, USB playback detection, smartphone interlocking detection and automatic mode detection.

상기 조명부에는 전방으로 만곡진 전방 거울과, 상기 전방 거울과 인접하게 형성되고 후방으로 만곡진 후방 거울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 거울이 위치된 부분에는 전조등이 설치되고, 후방 거울이 위치된 부분에는 방향등과 브레이크등이 설치될 수 있다.The lighting unit is provided with a forward curved front mirror, a rear mirror formed adjacent to the front mirror and curved backward, a headlight is installed in a portion where the front mirror is located,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rear mirror is located Lights and brake lights may be installed.

상기 도난방지 감지는 타인이 전동킥보드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자이로센서 또는 가속도센서에서 정보를 제어부에 보내고, 제어부가 경적이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anti-theft detection may transmit information from a gyro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to the control unit when another person wants to move the electric kickboard, a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horn to operate.

상기 주야판단부 감지는 제어부가 조도센서를 작동하여 조명부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day/night determination unit may be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operating the illuminance sensor to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lighting unit.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터치 방식으로 방향등을 작동할 수 있어 급하게 진행방향 변경시에 안전하게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 운전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driving assistance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user using an electric kickboard can operate a direction lamp by a touch method, so that a direction change can be made safely when a moving direction is changed in a hurry.

도 1의 (a)는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1 실시례가 전동킥보드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1의 (b)는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1 실시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1 실시례가 전동킥보드에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2의 (b)는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1 실시례가 전동킥보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1 실시례를 사용자가 작동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1 실시례를 사용자가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2 실시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의 A-A'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4의 (c)는 도 4의 (b)에서 제1 결합부를 양측으로 벌린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4의 (d)는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2 실시례가 전동킥보드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투시도이다.
도 5의 (a)는 전동킥보드의 손잡이 끝단부의 마개부분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3 실시례가 손잡이 끝단부의 마개부분을 분리한 전동킥보드에 결합되기 전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5의 (c)는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3 실시례가 전동킥보드의 손잡이 끝단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4 실시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4 실시례가 적용될 수 있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의 (a)는 도 7의 블록도에서 제2 조명부가 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도 7의 블록도에서 제2 조명부가 전방과 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8의 (c)는 도 7의 블록도에서 제2 조명부가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8의 (d)는 도 7의 블록도에서 경적과 스피커 소리가 나오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Fig. 1 (a)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that a first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n electric kickboard, and Fig. 1 (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a)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the state befor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electric kickboard, and Fig. 2 (b) i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ectric It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the state installed on the kickboard.
Figure 3 (a)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user operate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b) i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user It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Fig. 4 (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AA' of Fig. 4 (a), and Fig. 4 ( c)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art is spread to both sides in FIG. to be.
Fig. 5 (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of the handle end of the electric kickboard is separated, and Fig. 5 (b)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topper at the end of the handle is separated.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before being coupled to an electric kickboard, and FIG. 5( c )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ird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handle end of the electric kickboard.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ituation to which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8 (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the second lighting unit irradiates light to the rear in the block diagram of FIG. 7 , and FIG. 8 (b) is the second lighting unit in the block diagram of FIG.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irradiating light, FIG. 8(c)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econd lighting unit irradiates light forward in the block diagram of FIG. 7, and FIG. 8(d) is the block of FIG.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ound of a horn and a speaker in the figure.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례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례들을 설명한다. 실시례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복합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례들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례들로 구현될 수 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specific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Differences in the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in a complex manner as they are not mutually exclusive, an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embodiments may differ from those of other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as

본 발명의 실시례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들의 조합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nderstood as a combination of the drawings as being changeable, an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may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various aspects, including length and area; Thicknes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하부 요소들이 설명되지 않은 각각의 유닛, 모듈, 부, 부재 또는 임의 구조는 각기 부여된 기능을 갖기 위한 통상적인 하부 요소들이 포함되거나 포함 가능한 것으로 상정하며, 도면에 도시된 하부 요소들이나 세부 구조로 제한하진 않는다. It is assumed that each unit, module, part, member or any structure in which the sub-elements are not described includes or can contain common sub-elements for each assigned function, and is limited to the sub-elements or detailed structures shown in the drawings. don't

도시되었으나 통상적인 내용으로 그 설명이 생략된 구성 요소들은, 실시례들의 상세한 설명에 내재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s shown but whose description is omitted as a general description are inherent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도 1의 (a)는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1 실시례가 전동킥보드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1의 (b)는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1 실시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2의 (a)는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1 실시례가 전동킥보드에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2의 (b)는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1 실시례가 전동킥보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며, 도 3의 (a)는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1 실시례를 사용자가 작동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1 실시례를 사용자가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이다.Fig. 1 (a)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that a first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n electric kickboard, and Fig. 1 (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a)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n electric kickboard, and Fig. 2 (b)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stalled on an electric kickboard, and Fig. 3 (a)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user operate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b) is this view It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operate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nventor's driving assistance device.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110)는 자전거, 오토바이, 전동킥보드(100) 등의 이륜차 손잡이가 형성된 다양한 운송수단에 적용될 수 있으나, 아래에서는 전동킥보드(10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transportation means having a handle of a two-wheeled vehicle, such as a bicycle, a motorcycle, and the electric kickboard 100 , but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electric kickboard 100 .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110)의 제1 실시례는 전동킥보드(100)의 양쪽 손잡이 부분에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tructure coupled to both handle portions of the electric kickboard 100 .

즉, 전동킥보드(100) 중 일측 손잡이 부분(120)의 일측 끝단부(122)에 결합되는 제1 운전 보조 장치(110-1)와, 전동킥보드(100) 중 타측 손잡이 부분(130)의 타측 끝단부(132)에 결합되는 제2 운전 보조 장치(110-2)로 형성된다.That is, the first driving assistance device 110 - 1 coupled to one end 122 of the one handle portion 120 of the electric kickboard 100 and the other side of the other handle portion 130 of the electric kickboard 100 . It is formed as a second driving assistance device (110-2) coupled to the end (132).

상기 제1 운전 보조 장치(110-1)와 제2 운전 보조 장치(110-2)는 동일한 형상이며, 서로 위치를 교차하여 결합하는 것이 가능한다.The first driving assistance device 110 - 1 and the second driving assistance device 110 - 2 have the same shape, and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crossing positions.

상기 제1 운전 보조 장치(110-1)는 실리콘 재질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전동킥보드(100) 중 일측 손잡이 부분(120)의 일측 끝단부(122)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 결합부(140)와, 상기 제1 결합부(140)에서 연장 형성되고 운전 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몸체부(150) 및 상기 제1 몸체부(150)의 외측에 형성된 제1 터치패널부(160)를 포함한다.The first driving assistance device 110-1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material, and a first coupling part ( 140), a first body part 150 extending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140 and performing a driving assistance function, and a first touch panel part 160 formed outside the first body part 150 ) is included.

상기 제1 운전 보조 장치(110-1)가 전동킥보드(100) 중 일측 손잡이 부분(120)의 일측 끝단부(122)에 결합되는 과정은 도 2의 (a)와 같이 일측 끝단부(122)가 인입되는 내측 공간이 형성된 상기 제1 결합부(140)를 점선(140-1)과 같이 넓힌 상태에서 일측 끝단부(122) 둘레를 감싸도록 덮은 후 놓으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결합부(140)가 상기 일측 끝단부(122)에 밀착되어 도 2의 (b)와 같이 결합한다.The process in which the first driving assistance device 110-1 is coupled to one end 122 of the one handle portion 120 of the electric kickboard 100 is performed at one end 122 as shown in FIG. 2 (a). When the first coupling part 140 in which the inner space is formed is cover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one end part 122 in a widened state like the dotted line 140-1, and then released, the first coupling part 140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ne end portion 122 and is coupled as shown in (b) of FIG. 2 .

상기 제1 결합부(140)에는 체결력 강화공(170)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력 강화공(170)은 개략적으로 정삼각형 형상이며, 상기 제1 몸체부(150)에 인접한 부분에 일변(180)이 위치되고 제1 몸체부(15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폭이 좁아져 마지막에 뽀족한 모서리 부분(190)으로 형성된다.A fastening force reinforcing hole 170 is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0 , and the fastening force reinforcing hole 170 has a schematic equilateral triangular shape, and one side 180 is adjacent to the first body portion 150 . It is positioned and the width is narrow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body portion 150, and is finally formed into a sharp corner portion 190.

즉, 상기 체결력 강화공(170)은 일측 끝단부(122)가 인입되는 내측 공간 끝단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fastening force reinforcing hole 170 is formed to have a narrow width in th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inner space into which the one end portion 122 is introduced.

상기 제1 결합부(140)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균일한 탄성력이 발생하는데, 상기 체결력 강화공(170)에 의해 상기 일변(180)이 위치된 부분의 둘레에는 상기 모서리 부분(190)이 위치된 부분의 둘레에 비하여 빈 공간이 크기 때문에 일변(180)이 위치된 부분의 둘레에 형성된 탄성력은 모서리 부분(190)이 위치된 부분의 둘레에 형성된 탄성력에 비하여 작다.The first coupling portion 14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the same elastic force as a whole to generate a uniform elastic force, and the corner portion ( Since the empty space is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portion where the 190 is located, the elastic force formed around the portion where the one side 180 is located is smaller than the elastic force formed around the portion where the corner portion 190 is located.

따라서, 상기 모서리 부분(190)이 상기 일변(180)이 위치된 부분에 비하여 상기 일측 끝단부(122)에 밀착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강하게 형성되는 효과가 발생된다.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egree of close contact of the edge portion 190 to the one end portion 122 is relatively stronger than that of the portion where the one side 180 is located.

상기 제1 몸체부(150)에는 외측으로 충전을 하거나 usb와 연결하기 위한 단자홈(200)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상기 단자홈(200)과 연결되는 배터리부(210)와, 상기 배터리부(210)에 연결되며 PCB 등의 기판으로 형성된 제어부(220)와, 상기 제어부(220)에 연결되며 엘이디(LED) 등으로 형성된 제1 조명부(230)를 포함한다.The first body part 150 has a terminal groove 200 for charging or connecting to the USB externally, and a battery part 210 connected to the terminal groove 200 on the inside, and the battery part ( It includes a control unit 220 connected to the 210 and formed of a substrate such as a PCB, and a first lighting unit 23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20 and formed of an LED or the like.

상기 배터리부(210)는 제어부(220)와 제1 조명부(230)에 전력을 공급하며, 충전가능한 형태이며, 상기 단자홈(200)을 통하여 외부에서 충전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된다.The battery unit 210 supplies power to the control unit 220 and the first lighting unit 230 , and is in a chargeable form, and is charged by receiving charging powe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terminal groove 200 .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제1 터치패널부(160)와 연결되어 있어, 제1 터치패널부(160)에 손가락이 접촉되면 제1 조명부(230)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20 is connected to the first touch panel unit 160 and controls the first lighting unit 230 to operate when a fing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touch panel unit 160 .

상기 제1 조명부(230)는 복수개의 엘이디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조명부(230) 둘레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제1 조명부(230)에서 발생된 조명이 투과되도록 한다.The first illumination unit 23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EDs,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illumination unit 23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light generated by the first illumination unit 230 is transmitted.

도 3의 (a)와 같이 사용자가 제1 터치패널부(160)에 손가락을 접근하여, 도 3의 (b)와 같이 제1 터치패널부(160)에 손가락을 접촉하면, 제어부(220)에서 제1 터치패널부(160)로 흐르는 전류의 일부가 인체로 흘러들어가 제1 터치패널부(160)에서 돌아오는 전류의 양이 변화되고, 제어부(220)는 전류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제1 조명부(230)를 작동한다.As shown in (a) of FIG. 3,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first touch panel unit 160 with a finger and contacts the first touch panel unit 160 as shown in FIG. 3(b), the controller 220 A portion of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to the first touch panel unit 160 flows into the human body and the amount of current returned from the first touch panel unit 160 is changed, and the controller 220 detects the change amount of the current and The lighting unit 230 is operated.

전동킥보드(100)는 사용자가 서서 타며, 고속으로 갈수록 중심잡기가 힘든 상황이 되며 방향 전환을 위해서 핸들을 돌리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조명부(230)를 작동시키기 위해 무리한 움직임을 보일 경우에 쉽게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한다.The electric kickboard 100 is a situation in which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user to stand while riding, and the higher the speed, the more difficult it is to turn the handle to change direction. Accidents happen.

따라서, 상기 제1 조명부(230)가 작동되도록 하는 최소한의 움직임을 위해서 본 발명은 정전식으로 제1 터치패널부(160)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새끼손가락으로 살짝만 접촉하면 작동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Therefore, for the minimum movement of the first lighting unit 230 to operat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first touch panel unit 160 electrostatically so that it can be operated when the user lightly touches it with a little finger.

상기 제1 결합부(140)에는 내측 둘레에 상기 제1 몸체부(150) 방향으로 휘어진 미세돌기(240)가 형성되어 제1 결합부(140)가 일측 끝단부(122) 둘레에 결합된 상태에서 잘 이탈되지 않도록 작용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art 140 has microprotrusions 240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art 150 formed on its inner circumference so that the first coupling part 140 is coupled around one end part 122 . It can act to prevent it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도 4의 (a)는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2 실시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의 A-A'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4의 (c)는 도 4의 (b)에서 제1 결합부를 양측으로 벌린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4의 (d)는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2 실시례가 전동킥보드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투시도이다.Fig. 4 (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A-A' of Fig. 4 (a), and Fig. 4 ( c)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art is spread to both sides in FIG. to be.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110)의 제2 실시례는 상기 제1 실시례에서 제1 결합부(140)에 결합 보강 부재(260)가 추가된 것이 차이이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110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 is add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140 , and the difference will be mainly described.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110)의 제2 실시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된 제2 결합부(250)의 내부에 철 등의 비탄성 재질인 결합 보강 부재(260)가 형성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 made of an inelastic material such as iron is formed inside the second coupling part 250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결합 보강 부재(260)는 2개로 형성되어 제2 결합부(250) 내부 둘레에 서로 이격되어 대향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 보강 부재(260) 중 제1 결합 보강 부재(260-1)는 제2 결합부(250) 내부 일측 둘레에 도 4의 (b)와 같이 2번 절곡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결합 보강 부재(260) 중 제2 결합 보강 부재(260-2)는 제2 결합부(250) 내부 타측 둘레에 도 4의 (b)와 같이 2번 절곡된 형태로 제1 결합 보강 부재(260-1)와 대향되게 설치된다.The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 is formed in two pieces to face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250 . That is, the first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1 of the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 may be installed in a shape bent twice as shown in FIG. 4 (b) around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250, , The second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 - 2 of the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 is a first coupling reinforcing member in a shape bent twice as shown in FIG. It is installed opposite to (260-1).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1 결합 보강 부재(260-1)와 제2 결합 보강 부재(260-2)가 각각 2번 절곡된 형태가 아닌 유선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한다.If necessary, the first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1 and the second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2 may each be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rather than in a shape bent twice.

만약, 상기 결합 보강 부재(260)가 제1 결합 보강 부재(260-1)와 제2 결합 보강 부재(260-2)로 나누어지지 않고 하나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면 제2 결합부(250)가 전동킥보드(100)에 설치될 때 비탄성이고 고리 형태인 하나의 결합 보강 부재(260)에 의해 탄성적으로 확장되는 것이 불가능하다.If the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 is not divided into the first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1 and the second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2 but is formed in a single ring shape, the second coupling part 250 is When installed on the electric kickboard 100, it is impossible to elastically expand by one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 that is inelastic and has a ring shap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합 보강 부재(260)가 제1 결합 보강 부재(260-1)와 제2 결합 보강 부재(260-2)로 나누어지며,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결합 보강 부재(260)를 3개 이상의 부재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 is divided into a first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1 and a second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2. It is also possible to form with more than one member.

본 발명에서는 도 4의 (b)와 같이 결합 보강 부재(260)가 제1 결합 보강 부재(260-1)와 제2 결합 보강 부재(260-2)로 나누어져 있어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110)의 제2 실시례를 전동킥보드(100)의 손잡이 일측 끝단부(122)에 결합할 때 도 4의 (c)와 같이 제1 결합 보강 부재(260-1)와 제2 결합 보강 부재(260-2) 사이의 부분이 탄성 변형되도록 벌릴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b) of FIG. 4 , the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 is divided into a first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1 and a second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2. ) of the first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1 and the second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 as shown in FIG. -2) It can be opened so that the part between it is elastically deformed.

도 4의 (c)와 같은 상태에서 제2 결합부(250)를 전동킥보드(100)의 손잡이 일측 끝단부(122)에 끼우면, 도 4의 (d)와 같이 전동킥보드(100)의 손잡이 부분(120)의 일측 끝단부(122)에 제2 결합부(250)가 위치된다.When the second coupling part 250 is inserted into the one end part 122 of the handle of the electric kickboard 100 in the same state as in FIG. A second coupling part 250 is positioned at one end 122 of the 120 .

이때, 상기 손잡이 부분(120)에는 다양한 형태의 미끄럼 방지 주름(3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 보강 부재(260-1)와 제2 결합 보강 부재(260-2)가 미끄럼 방지 주름(310)의 오목부(320)에 위치된다.At this time, the handle portion 120 is formed with various types of anti-slip pleats 310, and the first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1 and the second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2 are provided with anti-slip pleats ( It is located in the recess 320 of 310 .

도 4의 (d)와 같이 전동킥보드(100)의 손잡이 일측 끝단부(122)에 제2 결합부(250)가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운전 보조 장치(110)의 제2 실시례를 전동킥보드(100)의 손잡이 일측 끝단부(122)에서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결합 보강 부재(260-1)와 제2 결합 보강 부재(260-2)가 미끄럼 방지 주름(310)의 오목부(320)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 주름(310)이 제1 결합 보강 부재(260-1)와 제2 결합 보강 부재(260-2)의 이동을 차단하는 작용을 하여 운전 보조 장치(110)의 제2 실시례가 전동킥보드(100)의 손잡이 일측 끝단부(122)에서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작용된다.As shown in FIG. 4(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110 is performed by the user's carelessness in a state where the second coupling part 250 is positioned at one end 122 of the handle of the electric kickboard 100. Even when a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to separate from the one end 122 of the handle of the electric kickboard 100, the first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1 and the second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2 are anti-slip wrinkles ( Since it is located in the concave portion 320 of the 310, the anti-slip wrinkle 310 operates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first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1 and the second coupling reinforcing member 260-2.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auxiliary device 110 is operated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one end 122 of the handle of the electric kickboard 100 .

도 5의 (a)는 전동킥보드의 손잡이 끝단부의 마개부분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3 실시례가 손잡이 끝단부의 마개부분을 분리한 전동킥보드에 결합되기 전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5의 (c)는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3 실시례가 전동킥보드의 손잡이 끝단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Fig. 5 (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of the handle end of the electric kickboard is separated, and Fig. 5 (b)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topper at the end of the handle is separated.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before being coupled to an electric kickboard, and FIG. 5( c )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ird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handle end of the electric kickboard.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110)의 제3 실시례는 상기 제1 실시례에서 제1 결합부(140)의 형태를 변형한 것으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ification of the shape of the first coupling unit 140 from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difference will be mainly described.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110)의 제3 실시례에 형성된 제3 결합부(340)는 제1 몸체부(150)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턱부(350)로 형성된다.The third coupling portion 340 form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plurality of engaging jaw portions 350 formed downward from the first body portion 150 .

상기 걸림턱부(350)는 상기 제1 몸체부(150)에서 하방으로 길게 탄성 재질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턱로드(360)와, 상기 걸림턱로드(360)에서 제1 몸체부(150)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끝단이 뽀족하게 형성된 걸림턱 절곡단(370)을 포함한다.The locking jaw part 350 includes a locking jaw rod 360 formed in the shape of an elastic material bar elongated downward from the first body part 150, and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part 150 from the locking jaw rod 360. It is bent in the direction and includes a bending end 370 of the stopping jaw formed with a sharp end.

사용자가 도 5의 (a)와 같이 전동킥보드(100)의 손잡이 일측 끝단부(122)의 마개부분(380)을 분리한 상태에서 도 5의 (b)와 같이 운전 보조 장치(110)의 제3 실시례를 손잡이 일측 끝단부(122)의 마개부분(380)을 분리한 전동킥보드(100)에 결합시키면 도 5의 (c)와 같은 상태가 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user separates the stopper 380 of the one end 122 of the handle of the electric kickboard 100 as shown in FIG. When the third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electric kickboard 100 in which the stopper 380 of the one end of the handle 122 is separated, the state as shown in FIG. 5(c) is obtained.

본 발명은 운전 보조 장치(110)의 제3 실시례를 전동킥보드(100)의 손잡이 일측 끝단부(122) 내측으로 인입시켜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110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one end portion 122 of the handle of the electric kickboard 100 and can be combined.

도 6은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4 실시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의 제4 실시례가 적용될 수 있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8의 (a)는 도 7의 블록도에서 제2 조명부가 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도 7의 블록도에서 제2 조명부가 전방과 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8의 (c)는 도 7의 블록도에서 제2 조명부가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8의 (d)는 도 7의 블록도에서 경적과 스피커 소리가 나오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ituation to which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econd lighting unit irradiates light to the rear in the block diagram of FIG. Fig. 8 (c)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econd lighting unit irradiates light forward in the block diagram of Fig. 7, and Fig. 8 (d) is a horn and a speaker in the block diagram of Fig. 7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ound coming out.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110)의 제4 실시례는 상기 제1 실시례의 제1 몸체부(150)와 구성이 상이한 제2 몸체부(390)가 형성됨으로,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fourth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t parts because the second body part 390 having a different configuration from the first body part 150 of the first embodiment is formed.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110)의 제4 실시례는 제2 몸체부(390)에 제어부(220)와 연결되는 자이로센서(400), 가속도센서(410), 조도센서(420), 스피커(430) 및 경적(440)이 형성되며, 제2 조명부(450)에 전조등(460)과, 방향등(470) 및 브레이크등(48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터치패널부(490)가 복수개 터치부로 형성된다.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or's driving assistance device 110 is a gyro sensor 400, an acceleration sensor 410, an illuminance sensor 420, and a speaker 43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20 in the second body portion 390. ) and a horn 440 are formed, a headlamp 460 , a turn lamp 470 and a brake lamp 480 are formed in the second lighting unit 450 , and the second touch panel unit 490 touches a plurality of formed by wealth

상기 자이로센서(400)는 각속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각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어 전동킥보드(100)의 방향 전환(570)을 감지할 수 있다.The gyro sensor 400 may detect a change in angular velocity and measure the change in angle, so that the direction change 570 of the electric kickboard 100 may be detected.

상기 가속도센서(410)는 가속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동킥보드(100)가 가속하는지 감속하는지 측정할 수 있어 브레이크(600) 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The acceleration sensor 410 may detect a change in acceleration to measure whether the electric kickboard 100 accelerates or decelerates, thereby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brake 600 .

상기 조도센서(420)는 전동킥보드(100)가 운행중인 시간과 날씨에 따른 주변 조도를 파악하여 상기 제2 조명부(450)의 조명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기능을 한다.The illuminance sensor 420 functions to adjust the lighting brightness of the second lighting unit 450 by detecting ambient illuminance according to the time and weather during which the electric kickboard 100 is running.

상기 제2 조명부(450)의 조명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은 제2 조명부(450)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여 진행되며, 제어부(220)에 전류의 펄스 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 부재가 포함된다.The method of adjusting the lighting brightness of the second lighting unit 450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lighting unit 450 , and the control unit 220 includes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member of the current. do.

상기 스피커(430)는 사용자가 핸드폰(500)과 상기 단자홈(200)을 연결하고, 핸드폰(500)의 음악을 트는 경우에 음악 소리를 주위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peaker 430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music sound to the surroundings when the user connects the mobile phone 500 and the terminal groove 200 and plays music on the mobile phone 500 .

상기 경적(440)은 전동킥보드(100) 운전 중 전방이나 주위에 사고 발생 등의 위험요소가 갑자기 생기는 경우에 경고 소리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horn 44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 warning sound when a risk factor such as an accident occurs suddenly in the front or around the electric kickboard 100 while driving.

상기 제2 조명부(450)에는 전방으로 만곡진 전방 거울(510)과, 상기 전방 거울(510)과 인접하게 형성되고 후방으로 만곡진 후방 거울(520)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 거울(510)과 후방 거울(520)은 제2 조명부(450) 공간을 2부분으로 분리하며 전방 거울(510)이 위치된 부분에는 전조등(460)이 설치되고, 후방 거울(520)이 위치된 부분에는 방향등(470)과 브레이크등(480)이 설치된다.A front mirror 510 curved forward and a rear mirror 520 curved backward and formed adjacent to the front mirror 510 are formed in the second lighting unit 450 , and the front mirror 510 and The rear mirror 520 divides the space of the second lighting unit 450 into two parts, a headlight 460 is installed in a portion where the front mirror 510 is located, and a direction lamp ( 470) and a brake light 480 are installed.

상기 제2 터치패널부(490)는 상기 전방 거울(510)과 후방 거울(520)이 위치된 부분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터치부(530)와, 상기 전방 거울(5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2 터치부(540)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 터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touch panel unit 490 includes a first touch unit 530 formed on a side surface of a portion where the front mirror 510 and the rear mirror 520 are positioned, and a front side of the front mirror 510 . The second touch unit 540 may be included, and if necessary, an additional touch unit may be formed.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110)의 제4 실시례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될 수 있다.The fourth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perated as shown in FIGS. 7 and 8 .

즉, 본 발명인 운전 보조 장치(110)의 제4 실시례는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제2 터치패널부(490)를 터치하여 어떠한 명령을 하는지 감지하는 감지부(550)와, 상기 감지부(550)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받는 제어부(220)와, 상기 제어부(220)에서 전달하는 명령에 따라서 작동되는 작동부(560)를 포함한다.That is,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 a sensing unit 550 for detecting which command the user gives by touching the second touch panel unit 490, and the sensing unit ( It includes a control unit 220 that receive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550 , and an operation unit 560 operated according to a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220 .

상기 감지부(550)는 제어부(220)의 일부 기능이나 설명의 편의상 구분한다.The sensing unit 550 is divided into some functions of the control unit 220 o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상기 감지부(550)에는 방향 전환(570) 감지, 비상 신호(580) 감지, 야간 모드(590) 감지, 브레이크(600) 감지, 경고음(610) 감지, 도난방지(620) 감지, 주야판단부(630) 감지, 충전(640) 감지, USB 재생(650) 감지, 스마트폰 연동(660) 감지 및, 자동모드(670) 감지가 포함된다.The detection unit 550 includes a direction change 570 detection, an emergency signal 580 detection, a night mode 590 detection, a brake 600 detection, a warning sound 610 detection, an anti-theft 620 detection, a day/night judgment unit 630 detection, charging 640 detection, USB playback 650 detection, smartphone interlocking 660 detection, and automatic mode 670 detection are included.

상기 작동부(560)에는 방향등(470), 전조등(460), 브레이크등(480), 경적(440), 스피커(430) 및 조도 조절(680)이 포함된다.The operation unit 560 includes a turn light 470 , a headlight 460 , a brake light 480 , a horn 440 , a speaker 430 , and an illuminance control 680 .

상기 방향 전환(570) 감지는 사용자가 방향 전환(570)시에 제2 터치패널부(490)를 터치하는 것을 감지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방향 전환(570)시에 제1 터치부(530)를 1번 접촉하면 이를 방향 전환(570)하라는 신호로 감지하는 것이다.The direction change 570 detection detects that the user touches the second touch panel unit 490 when the direction change 570 is performed.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first touch unit 530 once during the direction change 570 , it is sensed as a signal to change the direction 570 .

이 때, 제어부(220)는 방향등(470)을 작동시키고, 도 8의 (a)에서 방향등(470)에 광이 조사되어 후방 거울(520)에 반사되어 후방으로 방향지시 광이 전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20 operates the turn lamp 470, and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turn lamp 470 in FIG. can

상기 비상 신호(580) 감지는 사용자가 주위에 비상 신호(580)를 전달하고자 할 때 이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동킥보드(100)의 고장을 주위에 알리면서 전동킥보드(100)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제1 터치부(530)와 제2 터치부(540)를 각각 1번씩 접촉하면 이를 비상 신호(580) 작동하라는 신호로 감지하는 것이다.The emergency signal 580 detection detects when the user wants to transmit the emergency signal 580 to the surroundings. For example, when the user wants to move the electric kickboard 100 while notifying the surroundings of the failure of the electric kickboard 100, if the first touch unit 530 and the second touch unit 54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ce This is detected as a signal to operate the emergency signal 580.

이 때, 제어부(220)는 도 8의 (b)와 같이 방향등(470)과 전조등(460)을 일정간격으로 깜박이게 작동시킨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220 operates the turn signal 470 and the headlamp 460 to blink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 8B .

상기 야간 모드(590) 감지는 사용자가 전동킥보드(100)를 야간에 운전하는 경우에 전조등(460)을 항상 점등시키고 운전해야하는 상황으로 제2 터치패널부(490)를 터치하는 것을 감지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동킥보드(100)를 야간에 운전하기전에 제2 터치부(540)만 1번 접촉하면 이를 야간 모드(590)로 전조등(460)을 켜라는 신호로 감지하는 것이다.The night mode 590 detection detects that the user touches the second touch panel unit 490 in a situation in which the headlight 460 always turns on and drives when the electric kickboard 100 is driven at night.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second touch unit 540 only once before driving the electric kickboard 100 at night, this is sensed as a signal to turn on the headlight 460 in the night mode 590 .

이 때, 제어부(220)는 도 8의 (c)와 같이 전조등(460)이 작동되도록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220 controls the headlight 460 to operate as shown in FIG. 8C .

상기 브레이크(600) 감지는 사용자가 전동킥보드(100)의 브레이크(600)를 잡으면서 제2 터치패널부(490)를 터치하는 것을 감지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터치부(530)를 2번 연속 접촉하면 브레이크등(480)을 작동시키라는 신호로 감지하는 것이다.The brake 600 sensing detects that the user touches the second touch panel unit 490 while holding the brake 600 of the electric kickboard 100 .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first touch unit 530 twice consecutively, it is sensed as a signal to operate the brake light 480 .

이 때, 제어부(220)는 도 8의 (a)에서 브레이크등(480)이 작동되도록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220 controls the brake light 480 to be operated in (a) of FIG. 8 .

상기 경고음(610) 감지는 사용자가 주위에 경고음(610)을 전달하고자 할 때 제2 터치패널부(490)를 터치하는 것을 감지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2 터치부(540)를 2번 연속 접촉하면 경적(440)을 통해 경고음(610)이 발송되도록 하라는 신호로 감지하는 것이다.The detection of the warning sound 610 detects that the user touches the second touch panel unit 490 when the user wants to transmit the warning sound 610 to the surroundings.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second touch unit 540 twice consecutively, it is sensed as a signal to send a warning sound 610 through the horn 440 .

이 때, 제어부(220)는 도 8의 (d)에서 경적(440)이 작동되도록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220 controls the horn 440 to be operated in (d) of FIG. 8 .

상기 도난방지(620) 감지는 사용자가 도난방지(620) 감지 기능을 실행하고자 할 때 제2 터치패널부(490)를 터치하는 것을 감지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동킥보드(100)를 세워두고 가까운 편의점에 갔다오는 경우에 제1 터치부(530)를 3번 연속 접촉하면 도난방지(620) 감지 기능을 작동시키라는 신호로 감지하는 것이다. The anti-theft 620 detection detects that the user touches the second touch panel unit 490 to execute the anti-theft 620 detection func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puts the electric kickboard 100 upright and goes to a nearby convenience store, if the user touches the first touch unit 530 three times consecutively, it is detected as a signal to activate the anti-theft 620 detection function. .

이 때,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핸드폰(500)과 연동되어 핸드폰(500)에서 신호를 보내면 도 8의 (d)에서 경적(440)이 작동되도록 제어하거나 경적(440)과 함께 비상 신호(580)도 작동하게 하여 도 8의 (b)와 같이 방향등(470)과 전조등(460)을 일정간격으로 깜박이게 작동시킨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20 is interlocked with the user's cell phone 500 and when the cell phone 500 sends a signal, it controls the horn 440 to be operated in (d) of FIG. 580) is also activated, so that the turn signal 470 and the headlight 460 are operated to blink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 8(b).

또는, 타인이 전동킥보드(100)를 임의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자이로센서(400)와 가속도센서(410)에서 정보를 제어부(220)에 보내고, 제어부(220)는 도 8의 (d)에서 경적(440)이 작동되도록 제어하거나 경적(440)과 함께 비상 신호(580)도 작동하게 하여 도 8의 (b)와 같이 방향등(470)과 전조등(460)을 일정간격으로 깜박이게 작동시킨다.Alternatively, when another person wants to move the electric kickboard 100 arbitrarily, the gyro sensor 400 and the acceleration sensor 410 sen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220, and the control unit 220 sends the horn in FIG. 8(d). Control to operate 440 or to operate emergency signal 580 together with horn 440 to operate turn lamp 470 and headlamp 460 to blink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 8(b).

상기 주야판단부(630) 감지는 사용자가 주간과 야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명부의 조도를 설정하고자 할 때 제2 터치패널부(490)를 터치하는 것을 감지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2 터치부(540)를 3번 연속 접촉하면 조도센서(420)에 의해 조도를 조절하라는 신호로 감지하는 것이다.The detection of the day/night determination unit 630 detects that the user touches the second touch panel unit 490 when the user wants to set the illuminance of the lighting uni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day and night conditions.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second touch unit 540 three times consecutively, the illuminance sensor 420 detects the illuminance adjustment signal as a signal.

이 때, 제어부(220)는 조도센서(420)를 작동하여 안개낀 날씨나 흐린 날씨에 조명부의 조도를 높게하여 주위에 보다 선명하게 조명신호를 전달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220 operates the illuminance sensor 420 to increase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ng unit in foggy or cloudy weather to more clearly transmit the illuminating signal to the surroundings.

상기 충전(640) 감지는 사용자가 단자홈(200)에 충전(640) 케이블을 연결하면 제어부(220)가 자동으로 인식해서 충전(640)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단자홈(200)에 충전(640) 케이블을 연결하고 제1 터치부(530)를 4번 연속 접촉하면 충전(640)이 시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charging 640 detection can be performed by the user connecting the charging 640 cable to the terminal groove 200 so that the control unit 220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charging 640 and, if necessary, the user connects the charging 640 cable to the terminal groove 200. When the charging 640 cable is connected to 200 and the first touch unit 530 is continuously touched 4 times, charging 640 may be started.

상기 USB 재생(650) 감지는 사용자가 단자홈(200)에 USB 케이블을 연결하면 제어부(220)가 자동으로 인식해서 USB에 저장된 음악이 스피커(430)를 통해서 나오도록 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단자홈(200)에 USB 케이블을 연결하고 제2 터치부(540)를 4번 연속 접촉하면 USB에 저장된 음악이 스피커(430)를 통해서 나오도록 할 수도 있다.The USB playback 650 is detected when the user connects the USB cable to the terminal groove 200, and the controller 220 automatically recognizes it so that the music stored in the USB comes out through the speaker 430, and if necessary, When the user connects the USB cable to the terminal groove 200 and makes continuous contact with the second touch unit 540 four times, the music stored in the USB may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430 .

상기 스마트폰 연동(660) 감지는 사용자가 케이블로 단자홈(200)와 스마트폰을 연결하면 스마트폰에 있는 음악을 제어부(220)를 통해 스피커(430)고 나오도록 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이용해서 상기 배터리부(210)를 충전(640)하거나, 상기 배터리부(210)를 이용해서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충전(640)할 수 있다.The smart phone interlocking 660 detection allows the user to connect the terminal home 200 and the smart phone with a cable so that the music in the smart phone comes out through the control unit 220 through the speaker 430, and if necessary The battery unit 210 may be charged ( 640 ) by using the battery of the smartphone, or the battery of the smartphone may be charged ( 640 ) using the battery unit 210 .

상기 자동모드(670) 감지는 사용자가 자동모드(670)를 사용하고자 할 때 터치패널부를 터치하는 것을 감지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터치부(530)와 제2 터치부(540)를 동시에 3번 접촉하면 자동모드(670)가 작동되도록 하라는 신호로 감지하는 것이다.The automatic mode 670 detection detects that the user touches the touch panel unit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automatic mode 670 .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first touch unit 530 and the second touch unit 540 three times at the same time, it is sensed as a signal to activate the automatic mode 670 .

이 때,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추가적인 터치가 없는 경우에도 자이로센서(400)와 가속도 센서 및 조도센서(420)를 통하여 정보를 전달 받고, 방향등(470), 전조등(460), 브레이크등(480) 및 조도 조절(680)을 진행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20 receives information through the gyro sensor 400,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illuminance sensor 420 even when there is no additional touch from the user,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through the direction light 470, the headlight 460, and the brake light. (480) and the illuminance adjustment (680) proceeds.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터치 방식으로 방향등(470)을 작동할 수 있어 진행방향 변경시에 안전하게 방향 전환(570)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 운전 보조 장치(110)를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riving assistance device 11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user using an electric kickboard 100 can operate a turn signal 470 in a touch manner so that a direction change 570 can be safely performed when a moving direction is changed. The effect of provid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례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based on this will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change, deletion or addition, and this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전동킥보드 110: 운전 보조 장치
110-1: 제1 운전 보조 장치 120: 일측 손잡이 부분
140: 제1 결합부 150: 제1 몸체부
160: 제1 터치패널부 170: 강화공
190: 모서리 부분 200: 단자홈
220: 제어부 230: 제1 조명부
250: 제2 결합부 260: 결합 보강 부재
370: 절곡단 460: 전조등
470: 방향등 480: 브레이크등
100: electric kick board 110: driving assistance device
110-1: first driving assistance device 120: one side handle portion
140: first coupling part 150: first body part
160: first touch panel unit 170: reinforcement hole
190: corner portion 200: terminal groove
220: control unit 230: first lighting unit
250: second coupling part 260: coupling reinforcing member
370: bend end 460: headlamp
470: turn light 480: brake light

Claims (6)

이륜차 손잡이 부분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형성된 터치패널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터치패널부에 연결되며 기판으로 형성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조명부가 포함되어,
상기 터치패널부에 손가락이 접촉되면 제어부에서 조명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결합부에는 체결력 강화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력 강화공은 상기 이륜차 손잡이 부분이 인입되는 내측 공간 끝단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a coupling portion formed to be coupled to a handle portion of a two-wheeled vehicle;
a body part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art; and
It includes a touch panel portion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In the body part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ouch panel unit and formed of a substrate;
A lighting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is included,
When a finger touches the touch panel,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lighting unit,
A fastening force reinforcing hole is formed in the coupling part,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force reinforcing hole is formed to be narrower in a direction toward the end of the inner space into which the handle portion of the two-wheeled vehicle is introduc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탄성 재질이고, 결합부에 상기 이륜차 손잡이 부분이 인입되는 내측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ar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n inner space into which the handle portion of the two-wheeled vehicle is introduced is formed in the coupling part.
삭제delet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내측 둘레에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휘어진 미세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with fine protrusions curved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on the inner circumferen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비탄성 재질인 결합 보강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 driv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reinforcing member made of an inelastic material is formed inside the coupling part.
삭제delete
KR1020200147017A 2020-11-05 2020-11-05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KR1024318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017A KR102431840B1 (en) 2020-11-05 2020-11-05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017A KR102431840B1 (en) 2020-11-05 2020-11-05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884A KR20220060884A (en) 2022-05-12
KR102431840B1 true KR102431840B1 (en) 2022-08-11

Family

ID=81590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017A KR102431840B1 (en) 2020-11-05 2020-11-05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84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555B2 (en) 1998-12-22 2001-06-11 金子農機株式会社 Fully automatic voluntary testing machine
US20020135906A1 (en) 2001-03-23 2002-09-26 Bonaduce Richard D. Omnidirectional handlebar reflector insert
KR200342665Y1 (en) * 2003-08-29 2004-02-18 김진우 A bicycle grip for turn indicator
KR100760986B1 (en) 2006-07-27 2007-10-02 김진우 A turn indicator for bicycle grip
KR101406282B1 (en) 2013-08-26 2014-06-12 이상래 A direction indicate lamp for bicycle with multi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555U (en) * 2012-01-13 2012-03-29 勝 三宅 Removable direction indicator for bicycle
KR20180043708A (en) 2016-10-20 2018-04-30 박우영 Smart control system of turn sig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76910A (en) * 2018-12-20 2020-06-30 임영민 A two-wheeled vehicle handle indic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555B2 (en) 1998-12-22 2001-06-11 金子農機株式会社 Fully automatic voluntary testing machine
US20020135906A1 (en) 2001-03-23 2002-09-26 Bonaduce Richard D. Omnidirectional handlebar reflector insert
KR200342665Y1 (en) * 2003-08-29 2004-02-18 김진우 A bicycle grip for turn indicator
KR100760986B1 (en) 2006-07-27 2007-10-02 김진우 A turn indicator for bicycle grip
KR101406282B1 (en) 2013-08-26 2014-06-12 이상래 A direction indicate lamp for bicycle with multi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884A (en)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9320B2 (en) Lamp and autonomous vehicle
JP6680095B2 (en) Position illuminator
US10202040B2 (en)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method of manufacturing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vehicle
KR101978963B1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20170074740A (en)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JP6400215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20100251453A1 (en) Garment with Light Signal Indicating System
WO2016172709A1 (en) Steering wheel light bar
US10414328B2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101748804B1 (en) Active safety system for protecting bicycle accidents
KR2020005786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riving information of vehicle
CN108025781B (en) Intelligent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JP3209439U (en) Smart car door handle light
JP5743576B2 (en) Object detection system
KR101610409B1 (en) Exterior Lamp Control System and Warning Sound Control System for Vehicle Interworking with Samrt Phone
KR101884401B1 (en) Safety helmet use solar LED alarm light is configured
KR102338375B1 (en) Driving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djacent vehicles and/or pedestrians of electric vehicles and driving method of electric vehicles using the same
KR102431840B1 (en)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US11712994B1 (en) Vehicle front alert system
JPH0776244A (en) Intention signifying device for vehicle
JP2021009772A (en) Road surface drawing device and vehicle
JP4412664B2 (en) Vehicle recognition device
KR201800936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daytime running light of vehicle
US20230249615A1 (en) Vehicle front alert system
KR20230023155A (en) A indication system of direction to guide the riding direction of a bicycle without manip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