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697B1 - 롤러체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용 롤러체인 - Google Patents

롤러체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용 롤러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697B1
KR102430697B1 KR1020200068961A KR20200068961A KR102430697B1 KR 102430697 B1 KR102430697 B1 KR 102430697B1 KR 1020200068961 A KR1020200068961 A KR 1020200068961A KR 20200068961 A KR20200068961 A KR 20200068961A KR 102430697 B1 KR102430697 B1 KR 102430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link
extending
roller chain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2611A (ko
Inventor
이우곤
Original Assignee
명화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화기계(주) filed Critical 명화기계(주)
Priority to KR1020200068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69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63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rofiles, rods, bars, rollers or the like attached to more than one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20Arrangements of rollers attached to mov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326Chains, cables or the like
    • B65G2812/0233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회전 이동하는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프로킷들과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부품의 이송이 가능한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체인유닛은 일단부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링크 형태로 형성되어 각각 일측 및 타측에 이격 배치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된 브라켓들, 전후방 연장방향과 사선 방향으로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고 일단 및 타단 각각은 상기 브라켓들 각각의 타단과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브라켓들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롤러들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들 각각의 타단부의 일부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제1 롤러와 결합된다.

Description

롤러체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용 롤러체인{ROLLER CHAIN UNIT AND CONVEYOR ROLLER CHAIN COMPRIS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체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무거운 중량의 자동차 부품을 공장 라인에서 이송시키면서 자동차 부품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속도로 자동차 부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롤러체인이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의 경우 롤러체인이 스프로킷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이동하며 리턴 주행이동하는 경우, 롤러체인이 스프로킷을 이탈하거나 하부를 향해 늘어지면서 자동차 부품의 이송 안정성을 저해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0397호는 롤러체인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0926호는 방향전환용 롤러가 장착된 롤러형 콘베이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스프로킷들을 둘러싸면서 회전 이동하는 롤러체인의 이송 안정성을 개선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0397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0926호
회전 이동하는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프로킷들과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부품의 이송이 가능한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롤러체인유닛은 일단부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링크 형태로 형성되어 각각 일측 및 타측에 이격 배치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된 브라켓들, 전후방 연장방향과 사선 방향으로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고 일단 및 타단 각각은 상기 브라켓들 각각의 타단과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브라켓들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롤러들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들 각각의 타단부의 일부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제1 롤러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들 각각은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하단부, 상기 하단부의 중앙 상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 안쪽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 및 연장되는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은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브라켓들, 상기 브라켓들 사이에서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은 상기 브라켓들 각각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브라켓들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롤러들을 구비하는 롤러체인유닛 및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순차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2 부쉬들 및 상기 제1 내지 제2 부쉬들의 양측을 연결하는 링크들을 포함하는 제1 링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들은 상기 브라켓들의 사이에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브라켓들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들 각각은 링크 형태로 상기 링크의 전방에 결합되는 하단부, 상기 하단부의 상부면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 안쪽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 및 연장되는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은 상기 제1 링크유닛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및 제1 링크유닛 사이에서 상기 제1 링크유닛 및 브라켓 각각과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은 안쪽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스프로킷들을 둘러싸며 이동되면서 상부에 거치되는 높은 중량의 자동차 부품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는 장점이 있다.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은 롤러체인유닛의 양측에 형성되는 사이드롤러들에 의해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이 하부를 향해 늘어지거나 스프로킷들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내용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2의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의 평면도 및 저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체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내용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을 나타낸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2의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의 평면도 및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용 롤러체인(100)은 롤러체인유닛(200)들을 포함하고, 롤러체인유닛(200)들 각각은 제1 핀(220)들, 제2 핀(240)들, 와셔(260)들, 고정핀(280)들, 제1 링크유닛(300), 제2 링크유닛(400), 브라켓(500, 550)들, 제1 롤러(600), 제2 롤러(700)들 및 이너링크(800)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무거운 중량의 자동차 부품을 공장 라인에서 이송시키면서 자동차 부품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속도로 자동차 부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롤러체인이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의 경우 롤러체인이 스프로킷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이동하며 리턴 주행이동하는 경우, 롤러체인이 스프로킷을 이탈하거나 하부를 향해 늘어지면서 자동차 부품의 이송 안정성을 저해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컨베이어용 롤러체인(100)은 전방에 해당하는 제1 방향(1) 또는 제2 방향(2)을 향한 이동이 제한되는 물품의 하부에서 사선으로 연장된 롤러들을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이동시키면서 상기 물품을 일측 및 제2 방향(2)으로 밀어내거나 타측 및 제1 방향(1)에 해당하는 제3 방향(3)으로 이송시킨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용 롤러체인(100)의 롤러가 일측 및 제1 방향(1)쪽에서 타측 및 제2 방향(2)쪽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컨베이어용 롤러체인(100)이 제1 방향(1)으로 이동되면, 상기 물품은 제1 방향(1)을 향한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의 회전으로 제3 방향(3)과 반대 방향을 향해 이송된다.
반대로, 컨베이어용 롤러체인(100)의 롤러가 일측 및 제1 방향(1)쪽에서 타측 및 제2 방향(2)쪽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컨베이어용 롤러체인(100)이 제2 방향(2)으로 이동되면, 상기 물품은 제2 방향(2)을 향한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의 회전으로 제3 방향(3)을 향해 이송된다.
복수의 롤러체인유닛(200)들 각각은 링크유닛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원 형태로 연결되어 소정의 공간을 둘러싸는 컨베이어용 롤러체인(100)으로 형성된다.
한편, 컨베이어용 롤러체인(100)은 타원형이 아닌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연결될 수 있고, 일자형태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 핀(220)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고,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링크유닛(300, 400)들을 관통하면서 제1 및 제2 링크유닛(300, 400)들을 연결시킨다.
제2 핀(240)은 제1 핀(220)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고, 일측 및 타측에는 외측면의 원형 일부분이 제2 핀(24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고정홈이 형성된다.
제3 핀(250)의 일단은 링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원기둥 형태를 유지하면서 제1 방향(1) 및 일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타단 외측에는 제3 핀(250)을 고정시키는 볼트가 결합된다.
와셔(260)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환 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롤러(600) 또는 제2 롤러(700)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제1 또는 제2 롤러(600, 700)의 안정적인 회전이 유지되도록 가이드한다.
제1 및 제2 링크유닛(300, 400)들 각각은 제1 부쉬(310), 제2 부쉬(320) 및 제1 링크(330, 335)들을 포함하고, 브라켓(500, 550)들의 제1 방향(1)쪽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링크유닛(300a, 400a)들 각각은 제1 부쉬(310a), 제2 부쉬(320a) 및 제1 링크(330a, 335a)들을 포함한다.
브라켓(500, 550)들의 제2 방향(2)쪽에 배치되는 제1 링크유닛(300)은 제1 방향(1)쪽인 전방에서 제2 방향(2)쪽인 후방을 향해 순차로 배치되는 부쉬들의 양측을 연결하는 링크들로 형성되어 제1 롤러(600)가 결합되는 제1 브라켓(500)들 사이를 연결시킨다.
제2 링크유닛(400)은 제1 링크유닛(300)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복수의 이너링크(800)들을 사이에 두고 제1 링크유닛(300)의 타측에 배치되어 제1 롤러(600)가 결합되는 제1 브라켓(500)들 사이를 연결시킨다.
제1 부쉬(31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링크(330)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링크(330)들의 전방에 해당하는 부분들의 사이를 연결시킨다.
제2 부쉬(32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링크(330)들의 사이에서 제1 링크(330)들의 후방에 해당하는 부분들의 사이를 연결시킨다.
제1 링크(330)의 일단은 끝단이 제2 방향(2)을 향해 아치 형태로 돌출된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2 부쉬(320)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연장되고 끝단은 제1 방향(1)을 향해 아치형태로 돌출되어 제1 부쉬(210)의 일측에 결합된다.
제1 링크(335)의 일단은 끝단이 제2 방향(2)을 향해 아치 형태로 돌출된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2 부쉬(320)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연장되고 끝단은 제1 방향(1)을 향해 아치형태로 돌출되어 제1 부쉬(210)의 타측에 결합된다.
브라켓(500, 550)들의 제1 방향(1)쪽에 배치되는 제1 링크유닛(300a)은 제1 방향(1)쪽인 전방에서 제2 방향(2)쪽인 후방을 향해 순차로 배치되는 부쉬들의 양측을 연결하는 링크들로 형성되어 제1 롤러(600)가 결합되는 제1 브라켓(500)들 사이를 연결시킨다.
제2 링크유닛(400a)은 제1 링크유닛(300a)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복수의 이너링크(800)들을 사이에 두고 제1 링크유닛(300)의 타측에 배치되어 제1 롤러(600)가 결합되는 제1 브라켓(500)들 사이를 연결시킨다.
제1 부쉬(310a)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링크(330)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링크(330a)들의 전방에 해당하는 부분들 각각과 결합된다.
제2 부쉬(320a)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링크(330)들의 사이에서 제1 링크(330a)들의 후방에 해당하는 부분들 각각과 결합된다.
제1 링크(330a)의 일단은 끝단이 제2 방향(2)을 향해 아치 형태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2 부쉬(320a)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연장되고 끝단은 제1 방향(1)을 향해 아치형태로 돌출되어 제1 부쉬(310a)의 일측에 결합된다.
제1 링크(335a)의 일단은 끝단이 제2 방향(2)을 향해 아치 형태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2 부쉬(320a)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연장되고 끝단은 제1 방향(1)을 향해 아치형태로 돌출되어 제1 부쉬(310a)의 타측에 결합된다.
제1 브라켓(500)은 제1 하단부(510), 제1 중앙부(520) 및 제1 절곡부(530)를 포함하고, 제2 브라켓(550)은 제2 하단부(510a), 제2 중앙부(520a) 및 제2 절곡부(530a)를 포함한다.
제1 브라켓(5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일단부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링크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부쉬(310)의 일측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제1 링크(330)의 타단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브라켓(550)의 하부에 위치하는 일단부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링크 형태로 형성되어 제2 링크유닛(400)의 타측에서 제1 링크(335)의 타단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하단부(510)의 일단은 제1 링크(330)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링크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1 링크(330a)의 일단과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하단부(510a)의 일단은 제2 링크유닛(400a)에 형성된 제1 링크(335a)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링크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2 링크유닛(400a)에 형성된 제1 링크(335)의 타단에 결합된다.
제1 중앙부(520)는 제1 하단부(510)의 중앙 상부의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사각판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중앙부(520a)는 제2 하단부(510a)의 중앙 상부의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사각판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브라켓(500)의 제1 절곡부(530)는 제1 중앙부(520)의 제1 방향(1)쪽 테두리에서 제1 방향(1) 및 타측을 향해 경사지게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1 롤러(600)의 일단과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브라켓(550)의 제2 절곡부(530a)는 제2 중앙부(520a)의 제2 방향(2)쪽 테두리에서 제2 방향(2) 및 일측을 향해 경사지게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1 롤러(600)의 타단과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및 제2 브라켓(500, 550)들의 제1 및 제2 절곡부(530, 530a)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제1 및 제2 중앙부(520, 520a)의 일부분이 안쪽을 향해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제1 롤러(600)의 일단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끝단면이 제3 핀(250)을 통해 제1 브라켓(500)의 제1 절곡부(530)의 안쪽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방향(2) 및 타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2 절곡부(530a)에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 핀(250)의 일단은 제2 절곡부(530a) 및 제1 롤러(600)의 타단에 삽입되고, 제3 핀(250)의 타단은 제1 롤러(600)의 내부에서 제1 방향(1) 및 일측을 향해 연장되어 제1 절곡부(53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및 제2 브라켓(500, 550)들 및 제1 롤러(600)를 서로 연결시킨다.
제2 롤러(700)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면 중앙의 원형 일부분이 타측을 향해 함몰되어 제2 롤러(700)의 일측 및 타측 공간을 연결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제2 롤러(700)들 각각은 제1 및 제2 하단부(510, 510a)들 각각의 타단 및 일단 외측에 배치되고, 제2 핀(240)은 와셔(260)들, 제2 롤러(700)들, 제1 하단부(510)의 타단, 제1 링크(330a)들, 제2 부쉬(320a)들, 제1 링크(335a)들 및 이너링크(800)들을 관통하여 제2 롤러(700)들을 제1 및 제2 브라켓(500, 550)들의 양측에 결합시킨다.
따라서, 제2 핀(240)은 제1 및 제2 브라켓(500, 550)들, 제1 및 제2 브라켓(500, 550)들의 제1 및 제2 링크유닛(300a, 400a)들 및 이너링크(800)들을 관통하면서 제2 롤러(700)들, 제1 및 제2 브라켓(500, 550)들, 제1 및 제2 링크유닛(300, 400)들 및 이너링크(800)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제2 핀(240)의 일측 일부분은 제1 하단부(510)의 타단 일측에서 제2 롤러(700)의 관통홀 및 와셔(260)를 관통하여 와셔(260)의 일측에 돌출되고, 고정핀(280)은 와셔(260)의 일측에서 제2 핀(240)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제1 고정홈에 삽입되어 제2 핀(24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제2 핀(240)의 타측 일부분은 제1 하단부(510)의 일단 타측에서 제2 롤러(700)의 관통홀 및 와셔(260)를 관통하여 와셔(260)의 타측에 돌출되고, 고정핀(280)은 와셔(260)의 타측에서 제2 핀(240)의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1 고정홈에 삽입되어 제2 핀(24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너링크(800)의 일단은 제2 방향(2)쪽 부분이 반원 형태로 돌출된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타단 끝단면은 제1 방향(1)을 향해 반원 형태로 돌출된다.
이너링크(800)들 각각의 일단 및 타단은 일측 및 타측에 서로 면접하도록 배치되고, 이너링크(800)들 각각의 일단은 제1 및 제2 브라켓(500, 550)들의 제2 방향(2)쪽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링크유닛(300, 400)들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핀(220)은 제1 하단부(510)의 일단, 제2 하단부(510a)의 타단, 제1 링크(330)들의 타단, 제1 부쉬(310)들, 제1 링크(335)들의 타단 및 이너링크(800)들의 일단을 관통하여 제1 하단부(510)의 일단, 제1 링크(330)들의 타단, 제1 부쉬(310)들, 제1 링크(335)들의 타단 및 이너링크(800)들의 일단을 서로 연결시킨다.
이너링크(800)들 각각의 타단은 제1 및 제2 브라켓(500, 550)들의 제1 방향(1)쪽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링크유닛(300a, 400a)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링크유닛(300a, 400a)들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핀(240)은 와셔(260)들, 제2 롤러(700)들, 제1 하단부(510)의 타단, 제1 링크(330a)들의 일단, 제1 부쉬(310a)들, 제1 링크(335a)들의 일단 및 이너링크(800)들의 타단을 관통하여 와셔(260)들, 제2 롤러(700)들, 제1 하단부(510)의 타단, 제1 링크(330a)들의 일단, 제1 부쉬(310a)들, 제1 링크(335a)들의 일단 및 이너링크(800)들의 타단을 서로 연결시킨다.
제1 및 제2 브라켓(500, 550)들의 일측 및 타측에 결합되는 제2 롤러(700)들은 복수의 롤러체인유닛(200)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컨베이어용 롤러체인(100)이 스프로킷들을 둘러싸면서 회전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부에 내부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찬넬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대(도 1에 도시)의 상부에 밀착되어 롤러체인유닛(200)이 하부를 향해 늘어지는 것을 방지시킨다.
한편, 컨베이어용 롤러체인(100)은 제1 및 제2 브라켓(500, 550)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또는 제2 링크유닛(300, 400)들을 이너링크(800)들을 사이에 두고 3개 이상으로 배치시킬 수 있고, 이 경우, 제1 롤러(60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의 길이는 길어지며, 높은 중량의 물품의 이송에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브라켓(500, 550)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또는 제2 링크유닛(300, 400)의 숫자가 증가하면, 제1 또는 제2 방향(1, 2)에 비해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연장되는 제1 롤러(600)의 각도가 변형되므로, 이 경우, 제1 및 제2 브라켓(500, 550)들 각각의 제1 및 제2 절곡부(530, 530a)들 각각의 절곡되는 각도 또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절곡부(530, 530a)들 각각을 외력을 이용하여 소성 변형시키며 절곡시키는 각도 조정을 통해 제1 롤러(600)의 연장방향과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되는 방향 사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물품의 이동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너링크(800)들은 제1 및 제2 링크유닛(300, 400) 사이에서 제1 및 제2 브라켓(500, 550)들을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 링크유닛(300a, 400a)들과 연결되므로, 제1 롤러(6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며, 제1 및 제2 브라켓(500, 550)들 사이에 추가되는 제1 또는 제2 링크유닛(300, 400)의 숫자가 증가할 수록 제1 및 제2 브라켓(500, 550)들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므로, 이너링크(800)들에 의한 상기 물품의 하중 지지력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총 4개의 제1 및 제2 링크유닛(300, 400)들이 제1 및 제2 브라켓(500, 550)들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브라켓(500, 550)들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한 쌍의 이너링크(800)들은 제1 및 제2 링크유닛(300, 400)들 사이에서 총 6개가 배치되므로, 제1 및 제2 브라켓(500, 550)들 사이에 복수의 제1 또는 제2 링크유닛(300, 400)들이 추가 배치되어도 안정적으로 제1 롤러(600)를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컨베이어용 롤러체인 200: 롤러체인유닛
300, 300a: 제1 링크유닛 400, 400a: 제2 링크유닛
500, 550: 제1 브라켓, 제2 브라켓 600: 제1 롤러
700: 제2 롤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전후방으로 연장된 링크 형태로 형성되는 제1 하단부, 상기 제1 하단부의 중앙 상부의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사각판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중앙부 및 상기 제1 중앙부의 전방 테두리에서 전방 및 타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절곡부를 포함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하단부의 타측에 이격된 위치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된 링크 형태로 형성되는 제2 하단부, 상기 제2 하단부의 중앙 상부의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사각판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중앙부 및 상기 제2 중앙부의 후방 테두리에서 후방 및 일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는 제2 브라켓,
    전후방 연장방향과 사선 방향으로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고 일단 및 타단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 각각과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제1 및 제2 하단부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롤러들을 구비하는 롤러체인유닛;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순차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2 부쉬들 및 상기 제1 내지 제2 부쉬들의 양측을 연결하고 상기 제1 하단부의 타측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들을 포함하는 제1 링크유닛;
    상기 제1 링크유닛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단부의 일측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링크유닛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링크유닛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3개 이상의 이너링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는 상기 제1 및 제2 중앙부로부터 외력을 이용하여 소성 변형시키며 절곡시키는 각도 조정을 통해 상기 제1 롤러의 연장방향과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방향 사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일단은 링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원기둥 형태를 유지하면서 전방 및 일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 핀이 형성되며,
    상기 제3 핀의 타단 외측에는 상기 제3 핀을 고정시키는 볼트가 결합되며,
    상기 제3 핀의 일단은 상기 제2 절곡부 및 제1 롤러의 타단에 삽입되고, 상기 제3 핀의 타단은 상기 제1 롤러의 내부에서 전방 및 일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1 절곡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절곡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들 및 제1 롤러를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1 및 제2 링크유닛들은 상기 이너링크들을 사이에 두고 3개 이상으로 배치시켜 상기 제1 롤러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롤러체인.
  4. 삭제
  5. 삭제
KR1020200068961A 2020-06-08 2020-06-08 롤러체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용 롤러체인 KR102430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961A KR102430697B1 (ko) 2020-06-08 2020-06-08 롤러체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용 롤러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961A KR102430697B1 (ko) 2020-06-08 2020-06-08 롤러체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용 롤러체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611A KR20210152611A (ko) 2021-12-16
KR102430697B1 true KR102430697B1 (ko) 2022-08-11

Family

ID=7903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961A KR102430697B1 (ko) 2020-06-08 2020-06-08 롤러체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용 롤러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6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5865A (ja) * 2005-05-10 2006-11-24 Myung-Hwa Machinery Co Ltd 方向切換用ローラー付きチェーン型コンベ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81B2 (ja) * 1992-01-14 1995-01-25 株式会社ティ・アイ・イー 搬送装置
JP4519501B2 (ja) 2004-03-30 2010-08-04 大同工業株式会社 ローラチェーン
KR200410926Y1 (ko) 2005-12-13 2006-03-15 명화기계(주) 방향전환용 롤러가 장착된 롤러형 콘베이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5865A (ja) * 2005-05-10 2006-11-24 Myung-Hwa Machinery Co Ltd 方向切換用ローラー付きチェーン型コンベ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611A (ko)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2654B2 (ja) 搬送手段
KR100494818B1 (ko) 교차 컨베이어 체인장치
US7234589B2 (en) Conveyor belt and module with a self-adjusting edge
JP5280734B2 (ja) ベルトジャンクションコンベヤ
US8365905B2 (en) Movement device on an endless belt of adaptable path
JP2007506631A5 (ko)
JP3616625B2 (ja) コンベヤチェーン
US7234587B2 (en) Conveyor chain link
US6279729B1 (en) Article conveyance having mechanical drive
KR102430697B1 (ko) 롤러체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용 롤러체인
CH646922A5 (fr) Dispositif pour le guidage longitudinal d'une bande sans fin.
US9394112B2 (en) Chain for conveyors of articles
JP6937592B2 (ja) コンベヤ装置
US2906390A (en) Sprocket roller chain
CN203946518U (zh) 一种农产品物料传输机构
CN103979266B (zh) 一种农产品物料传输机构
KR102350362B1 (ko) 방향전환용 롤러장치 및 이의 롤러조립체
CN112203954A (zh) 用于输送带的辊组件
KR200358066Y1 (ko) 컨베이어
KR102510752B1 (ko) 방향전환부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SU1493564A1 (ru) Став ленточного конвейера
US10954074B2 (en) Apparatus, modular tracking unit and method for conveyor belt alignment
JPH05178435A (ja) フィンガ付き移送プレートと使われる直進コンベヤチェーン
JP4152473B2 (ja) 吊下げ式搬送装置の揺動抑制構造
JPS602087Y2 (ja) 重力ロ−ラ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