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079B1 -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079B1
KR102430079B1 KR1020210041366A KR20210041366A KR102430079B1 KR 102430079 B1 KR102430079 B1 KR 102430079B1 KR 1020210041366 A KR1020210041366 A KR 1020210041366A KR 20210041366 A KR20210041366 A KR 20210041366A KR 102430079 B1 KR102430079 B1 KR 102430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investment
unit
inves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우혁
Original Assignee
장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우혁 filed Critical 장우혁
Priority to KR1020210041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079B1/ko
Priority to PCT/KR2022/004497 priority patent/WO202221148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는, 디자인을 등록하여 펀딩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자이너 지원 모듈; 및 상기 디자이너 지원 모듈에 의해 개시된 상기 펀딩을 진행하고 투자수익을 정산하도록 구성되는 투자자 지원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A METHOD FOR PROVIDING DESIGN CROWD FUNDING PLATFORM, AND AN APPARATUS AND A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자이너가 디자인을 등록하여 디자인 제품 개발 및 생산 등을 위한 크라우드 펀딩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투자자도 디자인을 선택하여 펀딩하고 투자수익을 지급받을 수 있으며, 모금액의 한도가 없어 디자인을 등록한 디자이너가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모금액이 많아질수록 수익률이 낮아지는 투자자에게도 환급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은 자금을 필요로 하는 수요자가 온라인 플랫폼 등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대중에게 자금을 모으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크라우드 펀딩은 목표 금액이 정해져 있어 목표 금액 이상을 모금하면 프로젝트가 성공하는 방식으로 목표 금액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 투자자들에게 모금액을 돌려주고 프로젝트는 취소되게 된다.
이러한 기존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은 자금을 필요로 하는 수요자가 목표액을 미리 설정하여 자금을 모금함으로써 모금 단계에서는 자신의 디자인 제품의 개발, 생산, 판매 등에 필요한 금액 외에 추가적인 수익을 얻기가 어려우므로 적극적인 자금 모금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높은 가치를 가진 디자이너의 참여도가 낮을 수 밖에 없으며 제품에 대한 평가가 목표액 달성 여부에 따라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에서 자금을 제공하는 다수의 대중에게 적절한 보상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적절한 보상을 하기 위해 지분, 배당 등을 제공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는 스타트업 기업 등의 자금 조달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을 뿐 디자이너 등의 개인이 이용하기에는 부적절한 측면이 있다.
또한, 기존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은 자금을 모금하는 자, 자금을 제공하는 자만을 위한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을 뿐이어서, 제품 생산자를 별도로 탐색하고 선정해야 하고, 제품을 판매하기 위한 별도의 루트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업뿐만 아니라 디자이너 개인도 자신의 디자인 제품을 등록하여 자금을 모금할 수 있도록 하고, 모금액의 한도가 없어 디자인 제품의 개발, 생산 등을 위한 비용 외의 잉여금액을 디자이너에게 제공하여 디자이너 자신도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자금을 모금한 투자자에게도 판매가의 수익 중 일정 지분을 제공하여 투자수익을 얻게 할 수 있고, 모금액의 한도가 없음으로 인해 모금액이 커질수록 투자 수익률이 낮아지게 되므로 수익률이 일정 수치 비율로 낮아질 때마다 기존 투자자들에게 환급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품의 생산자와 소비자에게도 용이하게 제품의 생산 및 구매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대한 필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기업뿐만 아니라 디자이너 개인도 용이하게 디자인 제품을 등록하여 자금을 모금할 수 있도록 하고, 모금액의 한도가 없어 모금액 중 디자인 제품의 개발, 생산 등을 위한 비용 외의 잉여금액을 디자이너 개인이 제공받아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자자가 등록된 다수의 디자인 제품 및 해당 디자인 제품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고 원하는 투자금액만큼 투자하여 투자수익을 얻도록 할 수 있고, 모금액의 한도가 없음으로 인해 모금액이 커질수록 디자인 제품의 개당 판매 수익률 즉, 투자 수익률이 낮아지게 되므로 수익률이 일정 수치 비율로 낮아질 때마다 기존 투자자들에게 환급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익률이 낮다고 판단되는 투자자가 많아질수록 모금액은 자연히 점점 느리게 커지므로 비정상적으로 낮은 수익률도 방지할 수 있는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자인의 가치를 다수의 투자자에 의한 모금액을 통해 평가함으로써 디자인 평가의 집단지성화를 이룰 수 있고, 많은 모금액이 투자된 디자인일수록 이를 창작한 디자이너가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자이너가 펀딩되는 디자인 제품의 생산자를 별도로 탐색하여 선정하거나 디자인 제품의 별도의 판매루트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도록 자금을 모금한 디자이너, 투자자, 생산자 및 소비자를 하나의 플랫폼을 통해 연결시킴으로써 디자이너가 간편하게 생산자 및 소비자에게 디자인 제품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생산자와 소비자에게도 용이하게 제품의 생산 및 구매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장치는, 디자인을 등록하여 펀딩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자이너 지원 모듈; 및 상기 디자이너 지원 모듈에 의해 개시된 상기 펀딩을 진행하고 투자수익을 정산하도록 구성되는 투자자 지원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자이너 지원 모듈은, 상기 디자인 및 상기 디자인의 관련 정보를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디자인등록부; 및 상기 등록된 디자인의 낙찰가액 및 디자인비를 정산하도록 구성되는 디자인수익정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자자 지원 모듈은, 상기 등록된 디자인에 대한 투자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투자정보 조회부; 상기 등록된 디자인 중 선택하여 펀딩하도록 구성되는 투자부; 상기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된 금액의 환급 기회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환급부; 및 상기 투자수익의 금액을 산출하고 투자자에게 지급하도록 구성되는 투자수익금 정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자부는, 펀딩되는 금액의 한도에 제한 없이 투자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하도록 구성되는 투자금액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급부는, 수익률이 특정 수익률 하락 수치만큼 수익률이 하락할 때마다 환급여부의 선택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환급여부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는, 상기 등록된 디자인의 생산 절차를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생산자 지원 모듈; 및 상기 등록된 디자인의 상품정보를 표시하고 구매 절차를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소비자 지원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은, 상기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 상기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자이너 단말; 및 상기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자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은, 디자인을 등록하여 펀딩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개시된 펀딩을 진행하고 투자수익을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자인을 등록하여 펀딩을 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자인 및 상기 디자인의 관련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된 디자인의 낙찰가액 및 디자인비를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시된 펀딩을 진행하고 투자수익을 정산하는 단계는, 상기 등록된 디자인에 대한 투자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디자인 중 선택하여 펀딩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된 금액의 환급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투자수익의 금액을 산출하고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된 디자인 중 선택하여 펀딩하는 단계는, 펀딩되는 금액의 한도에 제한 없이 투자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된 금액의 환급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는, 수익률이 특정 수익률 하락 수치만큼 수익률이 하락할 때마다 환급여부의 선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은, 상기 등록된 디자인의 생산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된 디자인의 상품정보를 표시하고 구매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기업뿐만 아니라 디자이너 개인도 용이하게 디자인 제품을 등록하여 자금을 모금할 수 있도록 하고, 모금액의 한도가 없어 모금액 중 디자인 제품의 개발, 생산 등을 위한 비용 외의 잉여금액을 디자이너 개인이 제공받아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투자자가 등록된 다수의 디자인 제품 및 해당 디자인 제품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고 원하는 투자금액만큼 투자하여 투자수익을 얻도록 할 수 있고, 모금액의 한도가 없음으로 인해 모금액이 커질수록 디자인 제품의 개당 판매 수익률 즉, 투자 수익률이 낮아지게 되므로 수익률이 일정 수치 비율로 낮아질 때마다 기존 투자자들에게 환급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익률이 낮다고 판단되는 투자자가 많아질수록 모금액은 자연히 점점 느리게 커지므로 비정상적으로 낮은 수익률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발명은 디자인의 가치를 다수의 투자자에 의한 모금액을 통해 평가함으로써 디자인 평가의 집단지성화를 이룰 수 있고, 많은 모금액이 투자된 디자인일수록 이를 창작한 디자이너가 높은 수익을 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디자이너가 펀딩되는 디자인 제품의 생산자를 별도로 탐색하여 선정하거나 디자인 제품의 별도의 판매루트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도록 자금을 모금한 디자이너, 투자자, 생산자 및 소비자를 하나의 플랫폼을 통해 연결시킴으로써 디자이너가 간편하게 생산자 및 소비자에게 디자인 제품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생산자와 소비자에게도 용이하게 제품의 생산 및 구매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이너 지원 모듈(12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자 지원 모듈(13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자 지원 모듈(14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지원 모듈(15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모듈(16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운용 모듈(17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을 활용하여 디자이너가 디자인을 등록하여 펀딩을 통해 수익을 지급받는 방법(S1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을 활용하여 투자자가 투자수익을 지급받는 방법(S2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을 활용하여 생산자가 등록된 디자인을 생산하는 방법(S3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을 활용하여 소비자가 디자인 상품을 구매하는 방법(S4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0)은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 디자이너 단말(200), 투자자 단말(300), 생산자 단말(400), 소비자 단말(5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이너 단말(200), 투자자 단말(300), 생산자 단말(400) 및 소비자 단말(500)은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제어 모듈(110), 디자이너 지원 모듈(120), 투자자 지원 모듈(130), 생산자 지원 모듈(140), 소비자 지원 모듈(150), 운영 모듈(160), 마일리지 운용 모듈(170), 통신 모듈(180), 저장 모듈(19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개인 또는 사설 기업에 의해 제작되어 운영되는 자체 컴퓨터 프로그램 기반의 장치에 해당하며, 관련 기술분야에서의 다양한 표현 방식에 따라 디바이스(device), 장비(equipment), 서버(server), 플랫폼(platform) 등의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되는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의 구성요소들(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의 동작, 기능 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가 도시된 구성요소들(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어, 전원부 등)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110)은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의 동작, 기능 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110)은 통신 모듈(180)을 통해 디자이너 단말(200), 투자자 단말(300), 생산자 단말(400), 소비자 단말(500)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라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의 동작, 기능 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제어 모듈(110)은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디자인을 등록하여 펀딩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자이너 지원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이너 지원 모듈(120)은 통신 모듈(180)을 통해 디자이너 단말(200)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디자이너 단말(200)의 사용자가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이너 지원 모듈(120)은 통신 모듈(180)을 통해 디자이너 단말(200)과 상호 작용하여 디자이너 단말(200)의 사용자 즉, 디자이너가 디자이너 지원 모듈(12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이너 지원 모듈(120)은 디자인을 등록한 디자이너에게 디자인수익을 지급하도록 구성될 있고, 또한 디자인의 판매가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디자인수익’은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을 통해 모금된 전체 금액 중 디자인을 등록한 디자이너에게 지급되는 모든 수익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디자이너는 디자인을 창작한 자, 디자인을 창작하여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에 등록한 자, 디자인에 대한 권리를 양수한 자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고, 디자인뿐만 아니라 특허, 실용신안, 상표, 저작물 등에 대한 권리를 소유한 자도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디자이너 지원 모듈(120)에 의해 개시된 펀딩을 진행하고 투자수익을 정산하도록 구성되는 투자자 지원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자 지원 모듈(130)은 통신 모듈(180)을 통해 투자자 단말(300)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투자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자 지원 모듈(130)은 투자자 단말(300)과 상호 작용하여 투자자 단말(300)의 사용자 즉, 투자자가 투자자 지원 모듈(13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자 지원 모듈(130)은 투자자가 등록된 디자인을 선택하여 펀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투자자에게 펀딩한 금액을 환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등록된 디자인의 생산 절차를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생산자 지원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자 지원 모듈(140)은 통신 모듈(180)을 통해 생산자 단말(400)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생산자 단말(400)의 사용자가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자 지원 모듈(140)은 통신 모듈(180)을 통해 생산자 단말(400)과 상호 작용하여 생산자 단말(400)의 사용자 즉, 생산자가 생산자 지원 모듈(14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등록된 디자인의 상품정보를 표시하고 구매 절차를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소비자 지원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지원 모듈(150)은 통신 모듈(180)을 통해 소비자 단말(500)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소비자 단말(500)의 사용자가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지원 모듈(150)은 통신 모듈(180)을 통해 소비자 단말(500)과 상호 작용하여 소비자 단말(500)의 사용자 즉, 소비자가 소비자 지원 모듈(15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생산자 인증, 법률지원, 재고관리, 상품등록, 운영수익 창출 등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를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운영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디자이너, 투자자, 생산자, 소비자 등으로부터 제공받거나 디자이너, 투자자, 생산자, 소비자 등에게 제공하는 금액, 비용, 돈 등의 금전적 가치를 지닌 재화를 마일리지로 전환하거나 마일리지를 금전적 가치를 지닌 재화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마일리지 운용 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운용 모듈(170)은 투자자가 금전적 가치를 지닌 재화(예를 들어, 돈)로 마일리지를 구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투자자는 마일리지 운용 모듈(170)을 통해 구매한 마일리지로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할 수 있고, 디자이너는 펀딩된 마일리지 중 일정 비율을 지급받아 현금화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운용 모듈(170)은 마일리지를 활성 또는 비활성 마일리지로 분류할 수 있다. 참고로, 활성 마일리지는 현금화가 가능한 마일리지로 정의될 수 있고, 비활성 마일리지는 현금화가 불가능한 마일리지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의 각 구성 즉, 디자이너 지원 모듈(120), 투자자 지원 모듈(130), 생산자 지원 모듈(140), 소비자 지원 모듈(150), 운영 모듈(160) 및 마일리지 운용 모듈(170)의 세부적인 구성, 목적, 기능 및 효과는 순차적으로 후술할 도 2 내지 7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디자이너 단말(200), 투자자 단말(300), 생산자 단말(400), 소비자 단말(500) 등의 외부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18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통신 모듈(180)은 외부와의 직접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18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모듈(180)은 제어 모듈(110), 디자이너 지원 모듈(120), 투자자 지원 모듈(130), 생산자 지원 모듈(140), 소비자 지원 모듈(150), 운영 모듈(160), 마일리지 운용 모듈(170) 또는 저장 모듈(190) 등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수신하여 제어 모듈(110), 디자이너 지원 모듈(120), 투자자 지원 모듈(130), 생산자 지원 모듈(140), 소비자 지원 모듈(150), 운영 모듈(160) 또는 마일리지 운용 모듈(170)로 전달하거나 저장 모듈(19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에는 텍스트, 이미지, 동화상 등의 컨텐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80)은 랜(LA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Radio Frequency)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의 각 구성 즉, 제어 모듈(110), 디자이너 지원 모듈(120), 투자자 지원 모듈(130), 생산자 지원 모듈(140), 소비자 지원 모듈(150), 운영 모듈(160), 마일리지 운용 모듈(170) 또는 통신 모듈(180) 등이 디자이너 단말(200), 투자자 단말(300), 생산자 단말(400), 소비자 단말(500) 등의 외부의 장치와 송수신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저장 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모듈(190)에는 디자이너가 등록한 디자인 및 디자인의 관련 정보, 등록된 디자인의 판매가, 최소 생산수량, 펀딩 기간, 입력된 환급기준수치, 최소모금액 산출 방법, 투자자 투표 방법, 낙찰가액, 디자인비 산출 방법, 디자인의 품목, 펀딩된 금액 및 마일리지, 등록한 디자인과 관련된 투자정보, 수익률, 수익률 산출 방법, 환급액 산출 방법, 지급된 환급액, 투자수익 산출 방법, 지급된 투자수익, 생산가능품목, 생산정보, 제안된 생산자 정보, 판매되는 상품 정보, 상품 구매 이력, 제공된 마일리지, 마일리지 운용 방법, 법률지원 방법, 활성/비활성 마일리지 등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참고로, 저장 모듈(190)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의 외부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저장 모듈(190)이 인터넷 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로 대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0)은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자이너 단말(200), 투자자 단말(300), 생산자 단말(400), 소비자 단말(500)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이너 단말(200), 투자자 단말(300), 생산자 단말(400), 소비자 단말(500) 등은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디자이너 단말(200), 투자자 단말(300), 생산자 단말(400), 소비자 단말(500)은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단말, 원격국,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접속 능력을 구비한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일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이너 단말(200), 투자자 단말(300), 생산자 단말(400), 소비자 단말(500)은 사용자가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를 사용하는 디자이너, 투자자, 생산자, 소비자인지에 따라 강학 상 분류한 것에 불과하므로 동일한 기기이거나 다른 기기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0)은 디자이너가 디자인을 등록하여 펀딩을 받을 수 있고, 투자자도 디자인에 펀딩할 수 있으며, 생산자 및 소비자도 디자인 제품을 생산 또는 구매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명세서 전체에서 기술되나, 이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고, 디자인뿐만 아니라 특허, 실용신안, 저작권 등의 무형의 권리도 본 발명에 의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0)에 의해 생산자가 생산하거나 소비자가 구매하는 디자인은 해당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산되는 독립거래의 대상이 되는 유체 동산을 포함할 수 있고, 디자이너가 등록하거나 투자자가 펀딩함으로써 얻는 수익은 해당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산되는 독립거래의 대상이 되는 유체 동산을 판매하여 얻는 수익뿐만 아니라 해당 디자인을 이용한 영리활동으로 창출되는 모든 수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이너 지원 모듈(12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이너 지원 모듈(120)은 디자인등록부(121), 디자인수익정산부(122), 판매가 변경부(123)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등록부(121)는 디자인업로드부(1211), 품목입력부(1212), 디자인정보 입력부(1213), 환급기준수치 입력부(1214)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디자인 및 디자인의 관련 정보를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등록부(121)는 투자자, 생산자 및/또는 소비자에게 노출되는 디자인 목록에 디자인 및 디자인 관련 정보를 등록하여 펀딩 대상, 생산 대상 및/또는 구매 대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등록부(121)는 디자인을 등록하여 해당 디자인에 대한 펀딩을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펀딩되는 금액의 한도가 존재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인등록부(121)는 디자인 등록 시 펀딩되는 방식을 대출형 또는 후원형으로 선택하여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일 대출형으로 선택되어 등록될 시 디자이너는 러닝 개런티 또는 특정 수익률 달성 시 인센티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등록된 디자인의 펀딩은 디자이너뿐만 아니라 투자자에 의해서도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업로드부(1211)는 디자이너 단말(200)의 사용자 즉, 디자이너의 디자인을 업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업로드부(1211)에 의해 업로드되는 디자인은 디자인의 형태 즉, 디자인의 형상, 모양,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을 표현하는 것이면 족하고, 사진, 동영상 등 그 형식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업로드부(1211)에 의해 업로드되어 펀딩 대상이 되거나 생산 또는 구매되는 디자인은 투자자, 생산자, 소비자 등에게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언급되는 디자인은 디자인 그 자체 또는 디자인이 적용된 상품 또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품목입력부(1212)는 디자이너 단말(200)의 사용자가 디자인이 적용되는 물품 또는 서비스의 품목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이너가 펀딩 대상이 되는 디자인의 품목을 티셔츠, 넥타이로 입력하는 경우, 투자자, 생산자, 소비자 등은 해당 디자인이 적용되는 물품이 티셔츠, 넥타이로 이해하여 투자, 생산, 소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업로드부(1211)에 의해 업로드되는 디자인은 티셔츠, 넥타이의 형태를 표현한 것일 수 있거나 또는 티셔츠, 넥타이에 적용되는 캐릭터와 같은 모양, 색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정보 입력부(1213)는 디자인업로드부(1211)에 의해 업로드되는 디자인의 관련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정보 입력부(1213)에 의해 입력되는 관련 정보는 러닝 개런티에 의한 디자인비, 기본비용에 의한 디자인비, 디자인(디자인이 적용된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가, 최소 생산수량, 펀딩 기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러닝 개런티에 의한 디자인비는 디자인이 창출하는 수익에 따라 또는 디자인을 이용한 사업의 성공 여부에 따라 디자이너에게 지급되는 비용을 의미할 수 있고, 기본비용에 의한 디자인비는 디자인을 창작하거나 또는 창작된 디자인에 대한 권리를 양수한 디자이너에게 기본적으로 지급될 수 있는 최소한의 비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비는 러닝 개런티에 의한 디자인비 및 기본비용에 의한 디자인비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정보 입력부(1213)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는 투자자, 생산자 및/또는 소비자에게 노출될 수 있고, 투자자, 생산자 및/또는 소비자가 디자인을 펀딩, 생산, 구매할 때 노출되는 정보는 펀딩, 생산, 구매에 필요한 정보인지 여부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정보 입력부(1213)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중 투자자 단말(300)의 사용자 즉, 투자자에게는 디자인비와 관련된 정보, 판매가, 최소 생산수량, 펀딩 기간 등에 관한 정보가 노출될 수 있으나, 소비자 구매 페이지에는 판매가에 관한 정보가 노출될 수 있을 뿐 펀딩 기간에 관한 정보는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소비자가 구매를 완료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제공부(1531, 도 5 참고)에 의해 소비자에게 마일리지가 제공되면, 소비자는 제공받은 마일리지로 등록된 디자인의 펀딩에 참여할 수 있는 투자자가 될 수 있으므로 마일리지를 제공받은 소비자에게도 투자자에게 노출되는 펀딩에 관한 정보 또는 펀딩에 필요한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판매가는 최초의 투자자에 의해 정해질 수 있되, 디자인이 등록되어 펀딩이 개시될 시 디자인이 적용되는 제품의 평균가격으로 판매가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된 판매가가 통상적인 판매가보다 터무니없이 높을 경우 새로운 투자자가 디자인의 펀딩을 인수하여 적정한 가격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급기준수치 입력부(1214)는 투자자에게 환급 기회가 제공되는 특정 수익률 하락 수치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되는 금액 또는 투자 마일리지가 많아질수록 투자자의 수익률은 하락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급기준수치 입력부(1214)에 의해 입력되는 특정 수익률 하락 수치(예를 들어, 0.01%)만큼 수익률이 하락하면, 환급부(134, 도 3 참조)에 의해서 투자자에게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한 금액 또는 투자 마일리지의 환급 기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급기준수치 입력부(1214)에 의해 입력되는 특정 수익률 하락 수치는 투자자 단말(300)의 사용자 즉, 투자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투자자는 등록된 디자인의 특정 수익률 하락 수치 및 디자인정보 입력부(1213)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등을 이용하여 펀딩 여부, 펀딩 금액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이너 지원 모듈(120)은 등록된 디자인의 낙찰가액 및 디자인비를 정산하도록 구성되는 디자인수익정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수익정산부(122)는 낙찰가액 산출부(1221), 디자인비 산출부(1222), 디자인수익 지급부(1223)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찰가액 산출부(1221)는 디자인을 등록한 디자이너에게 지급되는 낙찰가액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찰가액 산출부(1221)는 투자자에 의해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된 투자 마일리지 총액에서 필요 마일리지를 차감한 마일리지 값 즉, 잉여 마일리지에 특정 낙찰가액 지급 수치 비율을 곱함으로써 디자인을 등록한 디자이너에게 지급되는 낙찰가액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찰가액 산출부(1221)는 펀딩되는 금액, 즉 펀딩되는 디자인의 투자 마일리지 총액의 한도에 제한이 없이 낙찰가액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찰가액 산출부(1221)는 디자인정보 입력부(1213)에 의해 입력된 펀딩 기간동안 펀딩되는 투자 마일리 총액으로 낙찰가액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펀딩되는 투자 마일리지 총액의 한도는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자 마일리지는 투자자 1인의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한 마일리지로 정의될 수 있으며, 투자 마일리지 총액은 투자자 각각의 투자 마일리지의 총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투자 마일리지 총액은 디자인정보 입력부(1213)를 통해 입력한 펀딩 기간동안 펀딩된 투자자 각각의 투자 마일리지의 총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잉여 마일리지는 투자 마일리지 총액에서 필요 마일리지를 차감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필요 마일리지는 등록된 디자인의 사업화 또는 개발, 생산 및 판매를 위한 최소한의 비용에 대응하는 마일리지로 정의될 수 있고, 필요 마일리지는 등록된 디자인의 최소 생산수량과 생산가의 곱에 개발비를 합산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개발비는 기본비용에 의한 디자인비와 생산 개발비의 합산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낙찰가액 지급 수치 비율은 투자 마일리지 총액에서 필요 마일리지를 차감한 마일리지 금액에서 디자이너에게 지급되는 비율을 산출하기 위한 특정 수치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자 마일리지 총액이 600만원이고 필요 마일리지가 100만원이며, 특정 낙찰가액 지급 수치 비율은 90%라면, 디자이너에게 지급되는 낙찰가액은 투자 마일리지 총액 600만원에서 필요 마일리지 100만원을 차감한 마일리지 값 500만원에 특정 낙찰가액 지급 수치 비율 90%를 곱한 450만원이 디자이너에게 지급되는 낙찰가액으로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되는 금액 즉, 투자 마일리지 총액의 한도가 없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에 의하면, 펀딩된 금액 중 디자인을 이용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개발 및 생산 등을 위한 비용 외의 잉여금액을 디자이너 개인이 지급받아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고, 등록된 디자인의 가치를 다수의 투자자에 의해 펀딩된 금액을 통해 평가함으로써 디자인 평가의 집단지성화를 이룰 수 있으며, 높은 가치를 가진 디자인을 보유한 디자이너 또는 자신이 보유한 디자인의 가치가 높다고 판단한 디자이너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를 통해 디자인을 등록하여 펀딩을 받아 보유한 디자인의 가치에 대응하는 만큼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인비 산출부(1222)는 디자인을 등록한 디자이너에게 지급되는 디자인비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자인비는 러닝 개런티에 의한 디자인비 및 기본비용에 의한 디자인비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고, 러닝 개런티에 의한 디자인비는 디자인이 창출하는 수익에 따라 또는 디자인을 이용한 사업의 성공 여부에 따라 디자이너에게 지급되는 비용으로 정의될 수 있고, 기본비용에 의한 디자인비는 디자인을 창작하거나 또는 창작된 디자인에 대한 권리를 양수한 디자이너에게 기본적으로 지급될 수 있는 최소한의 비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참고로, 러닝 개런티에 의한 디자인비는 등록된 디자인이 소비자에게 판매될 시 개당 판매가 중 디자이너에게 제공되는 금액으로도 정의될 수 있고, 기본비용에 의한 디자인비는 디자인을 창작하거나 양수한 디자이너의 노력의 대가로서 지급되는 최소한의 비용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 러닝 개런티에 의한 디자인비 및 기본비용에 의한 디자인비를 모두 포함하는 디자인비는 디자이너가 디자인정보 입력부(1213)를 통해 임의의 비용으로 입력되어 투자자에게 노출될 수 있거나 또는 해당 디자인의 품목 업계에서 평균적으로 정해지는 비용으로 입력되어 투자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비 산출부(1222)는 러닝 개런티에 의한 디자인비와 디자인의 판매수량을 곱한 값에 기본비용에 의한 디자인비를 합산함으로써 디자인을 등록한 디자이너에게 지급되는 디자인비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러닝 개런티에 의한 디자인비가 10원이고, 디자인의 판매수량이 1000개이며, 기본비용에 의한 디자인비는 10만원이라면, 러닝 개런티에 의한 디자인비 10원에 디자인의 판매수량 1000개를 곱한 값인 10000에 기본비용에 의한 디자인비 10만원을 합산한 값인 11만원이 등록한 디자이너에게 지급되는 디자인비로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인수익 지급부(1223)는 디자인수익을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수익 지급부(1223)는 디자인을 등록한 디자이너에게 낙찰가액 산출부(1221)에 의해 산출된 낙찰가액과 디자인비 산출부(1222)를 통해 산출된 디자인비를 합산한 값에 해당하는 디자인수익을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디자인수익은 낙찰가액과 디자인비의 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이너 지원 모듈(120)은 펀딩되는 디자인의 판매가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판매가 변경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가 변경부(123)는 최소모금액 산출부(1231), 기존 투자자 투표부(123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가 변경부(123)는 디자이너 또는 투자자로부터의 판매가 변경 요청에 따라 또는 새로운 투자자에 의한 펀딩 조성 요청에 따라 최소모금액을 산출하고 기존 투자자에게 투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판매가를 변경 또는 새로운 투자자에 의한 펀딩을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모금액 산출부(1231)는 필요 마일리지와 투자 마일리지 총액에 기존 투자자에 대한 오퍼값을 곱한 값을 합산함으로써 최소모금액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 마일리지가 100만원이고, 투자 마일리지 총액은 500만원이며, 새로운 투자자가 기존 투자자에게 제시한 오퍼값이 110%라면, 필요 마일리지 100만원과 투자 마일리지 총액 500만원에 오퍼값 110%를 곱한 값인 550만원을 합산한 값인 650만원이 판매가 변경 또는 새로운 투자자에 의한 펀딩 조성을 위한 최소모금액으로 산출될 수 있다.
참고로, 오퍼값은 새로운 투자자가 기존 투자자에게 청약하고 이를 기존 투자자가 승낙함으로써 체결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존 투자자 투표부(1232)는 기존 투자자에 대해 판매가 변경 또는 새로운 투자자에 의한 펀딩 조성에 대한 찬반 투표를 진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존 투자자 투표부(1232)에 의한 찬반 투표에서 판매가 변경 또는 새로운 투자자에 의한 펀딩 조성을 위한 특정 찬성 비율은 디자이너가 디자인 등록 시 미리 입력되거나 또는 투자자의 합의로 정해질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가 변경부(123)는 최소모금액 산출부(1231)에 의해 최소모금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최소모금액을 토대로 기존 투자자 투표부(1232)에 의해 기존 투자자에게 판매가 변경 또는 새로운 투자자에 의한 펀딩 조성에 대한 찬반 투표를 진행하여 정해진 특정 찬성 비율 이상(예를 들어, 70% 이상)의 찬성표를 얻은 경우 펀딩되는 디자인의 판매가 변경 또는 새로운 투자자에 의한 펀딩 조성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투자자 투표부(1232)는 기존 투자자에게 투자 마일리지 총액 중 각 기존 투자자의 투자 마일리지의 지분 비율별로 찬성 의결권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새로운 투자자에 의한 펀딩이 조성되는 경우 기존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 마일리지에 최소모금액 조성을 위한 증액을 위해 산정된 값(예를 들어, 150%)을 곱한 값의 금액을 기준으로 새로운 투자자에 의한 펀딩에 참여하게 되고, 수익률 변동으로 인해 환급기준수치 입력부(1214)에 의해 입력된 특정 수익률 하락 수치에 따라 환급부(134)에 의해 투자자에게 환급 기회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자 지원 모듈(13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자자 지원 모듈(130)은 투자정보 조회부(131), 수익률 산출부(132), 투자부(133), 환급부(134), 투자수익금 정산부(135)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자 지원 모듈(130)은 디자이너 지원 모듈(120)에 의해 개시된 펀딩을 진행하고 투자수익을 정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자 지원 모듈(130)은 등록된 디자인에 대한 투자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투자정보 조회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정보 조회부(131)는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한 투자자 단말(300)의 사용자 즉, 투자자에게 등록된 디자인에 대한 투자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정보 조회부(131)에 의해 제공되는 투자정보는 등록된 디자인의 판매가, 최소 생산수량, 펀딩 기간, 필요 마일리지, 투자 마일리지 총액, 실시간 수익률, 예측 수익률, 개발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정보 조회부(131)에 의해 제공되는 투자정보는 디자인정보 입력부(1213)를 포함한 디자인등록부(121)에 의해 등록되거나 입력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투자자는 투자정보 조회부(131)로부터 등록된 디자인의 투자정보를 제공받아 투자정보를 조회함으로써 펀딩 여부, 펀딩 금액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자 지원 모듈(130)은 펀딩되는 디자인의 수익률을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수익률 산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익률 산출부(132)는 실시간 수익률 산출부(1321), 예측 수익률 산출부(132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익률 산출부(132)는 펀딩되는 디자인의 판매가에서 생산가를 차감한 값을 투자 마일리지 총액으로 나눔으로써 수익률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수익률 산출부(1321)는 투자자에게 실시간으로 현재 펀딩되는 디자인의 판매가에서 생산가를 차감한 값을 현재 투자 마일리지 총액으로 나눔으로써 실시간 수익률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 수익률 산출부(1322)는 투자자에게 펀딩되는 디자인의 판매가에서 생산가를 차감한 값을 현재 투자 마일리지 총액에 투자자가 펀딩 예정인 투자 마일리지를 합산한 값으로 나눔으로써 예측 수익률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수익률을 산출하는 경우로서 현재 펀딩되는 디자인의 판매가가 1만원이고, 생산가는 6000원이며, 현재 투자 마일리지 총액은 600만원이라면, 판매가 1만원에서 생산가 6000원을 차감한 금액인 4000원을 현재 투자 마일리지 총액인 600만원으로 나누어 퍼센트로 환산한 값인 약 0.07%가 실시간 수익률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예측 수익률을 산출하는 경우로서 펀딩되는 디자인의 판매가가 1만원이고, 생산가는 6000원이며, 현재 투자 마일리지 총액은 600만원이고, 투자자가 펀딩 예정인 투자 마일리지가 100만원이라면, 판매가 1만원에서 생산가 6000원을 차감한 금액인 4000원을 현재 투자 마일리지 총액인 600만원과 투자자가 펀딩 예정인 투자 마일리지 100만원을 합산한 값인 700만원으로 나누어 퍼센트로 환산한 값인 약 0.06%가 예측 수익률로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익률 산출부(132)에 의해 산출되는 수익률은 펀딩되는 디자인의 판매가에서 생산가를 차감한 값을 투자 마일리지 총액으로 나눔으로써 산출될 수 있고 또한, 투자 마일리지 총액은 한도에 제한이 없으므로 투자 마일리지 총액이 커질수록 산출되는 수익률은 낮아질 수 있다. 펀딩되는 디자인의 가치가 높을수록 많은 투자자에 의한 투자 마일리지 총액이 커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익률은 낮아지지만 펀딩되는 디자인의 판매 수량의 기대치가 높을 수 있어 낮은 수익률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는 많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수익률이 특정 수익률 하락 수치만큼 떨어질 때마다 환급부(134)에 의해 투자자는 투자 마일리지의 환급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환급액을 지급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익률 산출부(132)가 산출한 실시간 수익률 및/또는 예측 수익률은 투자정보 조회부(131)를 통해 투자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투자자는 펀딩되는 디자인의 실시간 수익률 또는 예측 수익률 등의 투자정보를 제공받아 펀딩 여부, 펀딩 금액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자자 지원 모듈(130)은 펀딩할 디자인을 선택하여 펀딩하도록 구성되는 투자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부(133)는 선택부(1331), 투자금액 입력부(133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부(133)는 등록된 디자인 중 투자자가 펀딩할 디자인의 선택에 대한 요청에 따라 디자인을 선택하고 투자자로부터 입력되는 펀딩 금액에 따라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부(1331)는 투자자 단말(300)의 사용자 즉, 투자자에게 등록되어 펀딩이 가능한 디자인 목록을 제공할 수 있고, 통신 모듈(180)을 통해 수신한 투자자로부터의 펀딩할 디자인의 선택에 대한 요청에 따라 디자인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금액 입력부(1332)는 투자자 단말(300)의 사용자 즉, 투자자에게 펀딩 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통신 모듈(180)을 통해 수신한 투자자로부터의 입력된 펀딩 금액에 따라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투자자는 현금으로 마일리지 운용 모듈(170)을 통해 구매한 활성 마일리지를 이용하여 투자부(133)를 통해 등록된 디자인 중 펀딩할 디자인을 선택하여 펀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펀딩 금액 즉, 투자 마일리지 총액의 한도에 제한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금액 입력부(1332)는 입력되는 펀딩 금액, 즉 투자 마일리지의 한도에 제한 없이 입력되는 펀딩 금액 또는 투자 마일리지에 따라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자자 지원 모듈(130)은 투자자에게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한 금액 또는 투자 마일리지의 환급 기회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환급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급부(134)는 환급여부 선택부(1341), 환급액 산출부(1342), 환급액 지급부(1343)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급여부 선택부(1341)는 수익률,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시간 수익률이 환급기준수치 입력부(1214)에 의해 입력된 특정 수익률 하락 수치만큼 수익률이 하락할 때마다 투자자에게 환급여부의 선택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급여부 선택부(1341)는 환급기준수치 입력부(1214)에 의해 입력된 특정 수익률 하락 수치만큼 수익률이 하락할 때마다 통신 모듈(180)을 통해 투자자 단말(300)로 환급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급액 산출부(1342)는 투자자에게 환급되는 환급액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급액 산출부(1342)는 투자 마일리지 총액 증가, 판매가 변경 또는 새로운 투자자에 의한 펀딩 조성에 따른 투자 마일리지 총액 증가에 따라 수익률이 환급기준수치 입력부(1214)에 의해 입력된 특정 수익률 하락 수치만큼 수익률이 하락할 때마다 환급액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급액 산출부(1342)는 원금인 투자 마일리지와 추가환급액의 합으로 환급액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급액 산출부(1342)는 펀딩한 원금인 투자 마일리지와 투자 마일리지에 특정 환급액 지급 수치 비율을 곱한 값을 합산한 금액 및 투자 마일리지와 투자 마일리지에 특정 환급액 지급 수치 비율을 곱한 금액을 합산한 값을 투자 마일리지 총액과 투자 마일리지 총액에 특정 환급액 지급 수치 비율을 곱한 값을 합산한 금액으로 나눈 값에 잉여 마일리지 즉, 투자 마일리지 총액에서 필요 마일리지를 차감한 값을 곱한 금액 중 작은 값에 기회 횟수와 보정값을 곱함으로써 환급액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투자자의 투자 마일리지는 300만원이고, B 투자자의 투자 마일리지는 700만원으로 투자 마일리지 총액은 1000만원이고 특정 환급액 지급 수치 비율은 10%이며 필요 마일리지는 100만원이라면, A 투자자의 환급액은 투자 마일리지 300만원과 투자 마일리지 300만원에 특정 환급액 지급 수치 비율 10%를 곱한 값인 30만원을 합산한 금액인 330만원 및 투자 마일리지 300만원과 투자 마일리지 300만원에 특정 환급액 지급 수치 비율 10%를 곱한 값인 30만원을 합산한 금액인 330만원을 투자 마일리지 총액 1000만원과 투자 마일리지 총액 1000만원에 특정 환급액 지급 수치 비율 10%를 곱한 값인 100만원을 합산한 금액인 1100만원으로 나눈 값인 0.3에 잉여 마일리지 즉, 투자 마일리지 총액 1000만원에서 필요 마일리지 100만원을 차감한 금액인 900만원을 곱한 금액인 270만원 중 작은 값 즉, 330만원과 270만원 중 작은 값인 270만에 기회 횟수와 보정값을 곱함으로써 환급액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급액 산출부(1342)는 투자자의 투자 마일리지 즉, 투자자의 원금을 보장하고 잉여 마일리지에 특정 환급액 지급 수치 비율을 곱한 금액의 범위 내에서 추가환급액이 투자자에게 지급되도록 기회 횟수 및 보정값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특정 환급액 지급 수치 비율은 잉여 마일리지의 전체 비율에서 특정 낙찰가액 지급 수치 비율을 차감한 나머지 수치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추가환급액은 환급액에서 투자 마일리지 즉, 투자자의 원금을 차감한 나머지 금액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급액 지급부(1343)는 투자자에게 환급액을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급액 지급부(1343)는 환급여부 선택부(1341)를 통해 환급액을 지급받기로 선택한 투자자에게 환급액 산출부(1342)에 의해 산출된 환급액을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자 지원 모듈(130)은 투자수익의 금액을 산출하고 투자자에게 지급하도록 구성되는 투자수익금 정산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수익금 정산부(135)는 투자수익금 산출부(1351), 투자수익금 지급부(135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수익금 산출부(1351)는 투자자의 투자수익의 금액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수익금 산출부(1351)는 판매가에 판매수량을 곱한 값에 수익률을 곱하고 투자 마일리지를 투자 마일리지 총액으로 나눈 값을 더 곱함으로써 투자수익의 금액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가가 1만원이고, 판매수량이 1000개이며, 수익률은 0.1%이고, 투자 마일리지는 300만원이고 투자 마일리지 총액은 1000만원인 경우, 판매가 1만원에 판매수량 1000개를 곱한 값인 1000만원에 수익률 0.1%를 곱한 값 1만원에 투자 마일리지 300만원을 투자 마일리지 총액 1000만원으로 나눈 값인 0.3을 더 곱한 금액인 3천원이 투자수익의 금액으로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수익금 지급부(1352)는 투자수익금 산출부(1351)에 의해 산출된 투자수익의 금액을 투자자에게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수익금 지급부(1352)는 산출된 투자수익의 금액을 투자자 단말(300)의 사용자 즉, 투자자에게 활성 마일리지로서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자 지원 모듈(14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등록된 디자인의 생산 절차를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생산자 지원 모듈(1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자 지원 모듈(140)은 생산가능품목 등록부(141), 생산정보 조회부(142), 생산 제안부(143)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가능품목 등록부(141)는 생산자 단말(400)의 사용자 즉, 생산자가 생산가능품목을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가능품목 등록부(141)는 통신 모듈(180)을 통해 생산자 단말(400)로부터 수신되는 생산가능품목 등록에 대한 요청에 따라 생산가능품목을 등록하여 디자이너 및/또는 투자자에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이너 또는 투자자는 생산자가 생산가능품목 등록부(141)를 통해 등록한 생산가능품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정보 조회부(142)는 등록된 디자인의 생산정보를 디자이너, 투자자 및/또는 생산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정보 조회부(142)에 의해 제공되는 생산정보는 등록된 디자인의 품목, 최소 생산수량, 판매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 제안부(143)는 생산자가 등록된 디자인의 자재비, 생산개발비, 생산소요시간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디자이너 및/또는 투자자에게 생산을 제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 제안부(143)는 생산자 단말(400)의 사용자, 즉 생산자에게 등록된 디자인의 자재비, 생산개발비, 생산소요시간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생산자에 의해 입력된 등록된 디자인의 자재비, 생산개발비, 생산소요시간 등의 정보를 디자이너 및/또는 투자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생산을 제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자재비는 디자인의 개당 자재비로 정의될 수 있고, 개발비는 기본비용에 의한 디자인비와 생산 개발비의 합산 값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필요 마일리지는 등록된 디자인의 최소 생산수량과 생산가의 곱에 개발비를 합산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으므로, 펀딩되는 디자인의 필요 마일리지는 생산자의 디자인 생산 시 생산개발비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생산 제안부(143)는 디자이너 및/또는 투자자로부터의 생산 제안 요청에 따라 생산자에게 생산을 제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생산 제안부(143)는 통신 모듈(180)을 통해 수신한 디자이너 및/또는 투자자로부터의 생산 제안 요청에 따라 생산자에게 생산을 제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이너 및/또는 투자자는 생산가능품목 등록부(141)에 의해 등록된 생산자의 생산가능품목을 확인하고, 생산자에게 등록된 디자인의 생산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생산 제안부(143)는 품목입력부(1212)에 의해 등록된 디자인의 품목과 생산가능품목 등록부(141)에 의해 등록된 생산가능품목이 일치하는 경우 디자이너, 투자자 및/또는 생산자에게 생산을 제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을 제안받은 디자이너, 투자자 및/또는 생산자는 생산 제안에 대해 수락함으로써 생산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자 지원 모듈(140)을 통해 생산된 디자인은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의 운영자 측으로 전달되어 상품화되어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배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지원 모듈(15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지원 모듈(150)은 등록된 디자인의 상품정보를 표시하고 구매 절차를 진행하도록 구성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지원 모듈(150)은 상품정보 표시부(151), 상품 구매부(152), 마일리지 관리부(153)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비자 지원 모듈(150)은 등록된 디자인 또는 등록되어 생산된 디자인의 상품정보를 소비자 단말(500)의 사용자 즉, 소비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상품정보 표시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표시부(151)는 등록된 디자인 또는 등록되어 생산된 디자인의 상품정보를 통신 모듈(180)을 통해 소비자 단말(500)로 제공하여 상품정보가 소비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 등으로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지원 모듈(150)은 소비자가 상품정보 표시부(151)에 의해 제공 또는 표시되는 상품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을 구매하도록 구성되는 상품 구매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부(152)는 소비자 단말(500)의 사용자 즉, 소비자에게 상품정보 표시부(151)에 의해 제공 또는 표시되는 상품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의 구매창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소비자로부터의 상품의 구매 요청에 따라 상품을 구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부(152)는 등록된 디자인의 소비자로부터의 상품의 구매 요청에 따라 생산자에게 생산을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등록되어 생산된 디자인의 소비자로부터의 상품의 구매 요청에 따라 상품을 구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지원 모듈(150)은 디자인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마일리지를 제공하고 마일리지를 디자인에 펀딩하도록 구성되는 마일리지 관리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관리부(153)는 마일리지 제공부(1531), 자동 마일리지 투자부(153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관리부(153)는 마일리지를 블록체인화하여 보안성을 강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제공부(1531)는 디자인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마일리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제공부(1531)는 상품 구매부(152)를 통해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마일리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제공부(1531)에 의해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마일리지는 비활성 마일리지일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제공된 비활성 마일리지를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하여 투자수익의 금액을 활성 마일리지로 지급받아 현금화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제공부(1531)에 의해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마일리지는 판매가의 특정 지분 비율(예를 들어, 10%)로 지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가가 1만원이고 판매가의 특정 지분 비율이 10%라면, 소비자가 구매 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마일리지는 1000원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마일리지 제공부(1531)는 소비자가 대량으로 구매 시 마일리지를 미제공하거나 또는 소비자가 제공된 마일리지 중 일부를 차감하는 조건으로 타 플랫폼 또는 타 사이트에서 재판매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마일리지 투자부(1532)는 마일리지 제공부(1531)에 의해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마일리지가 특정 기간동안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임의의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마일리지 투자부(1532)에 의해 자동으로 펀딩되어 지급되는 투자수익의 금액은 비활성 마일리지로 지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모듈(16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운영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생산자 인증, 법률지원, 재고관리, 상품등록, 운영수익 창출 등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를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운영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모듈(160)은 이미지 자동 변환부(161), 생산자 인증부(162), 소량생산부(163), 디자인 구입판매부(164), 법률지원부(165), 재고관리부(166), 상품등록부(167), 운영수익 창출부(168)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모듈(160)은 디자인을 목업 이미지로 자동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미지 자동 변환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자동 변환부(161)는 디자인업로드부(1211)에 의해 업로드되는 디자인을 목업 이미지로 자동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인업로드부(1211)에 의해 업로드되는 디자인이 제품에 체화되지 않은 추상적인 캐릭터 또는 2D 이미지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자동 변환부(161)는 이러한 디자인을 품목입력부(1212)에 의해 입력된 품목의 제품의 목업 이미지로 자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모듈(160)은 생산자를 인증하도록 구성되는 생산자 인증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자 인증부(162)는 생산자 단말(400)의 사용자 즉, 생산자 중 특정 조건을 만족한 생산자를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조건은 생산 공장 규모, 생산 납품 신용도, 고품질 제품 생산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의 사용자 즉, 디자이너, 투자자 등은 생산자 인증부(162)에 의해 인증된 생산자를 통해 디자인의 생산하거나 생산을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모듈(160)은 펀딩된 디자인을 생산자로서 소량으로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소량생산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량생산부(163)는 생산자 단말(400)의 사용자 즉, 생산자를 통하지 않고 직접 펀딩된 디자인을 소량으로 생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량생산부(163)에 의해 생산되는 디자인은 디폴트 가격으로 생산 또는 판매될 수 있다. 참고로, 디폴트 가격은 해당 품목의 디자인의 평균적인 가격 또는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의 운영자가 입력한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모듈(160)은 디자인에 대한 권리를 양수하여 디자인을 등록하여 펀딩되도록 구성되는 디자인 구입판매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 구입판매부(164)는 유명하거나 가치가 높은 디자인 등에 대한 권리를 양수하여 등록하여 펀딩되도록 함으로써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 모듈(160)은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의 사용자, 즉 디자이너, 투자자, 생산자, 소비자에게 법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법률지원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률지원부(165)는 디자이너의 등록된 디자인과 관련된 디자인권, 특허권 등과 관련된 지식재산권 및 저작권 등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률지원부(165)는 사전 계약된 법률 전문가 등을 통해 법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모듈(160)은 재고를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재고관리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관리부(166)는 생산되어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의 운영자 측으로 발송된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모듈(160)은 생산된 디자인을 검수하여 상품정보 표시부(151)에 의해 표시되는 상품으로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상품등록부(167)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운영수익을 창출하도록 구성되는 운영수익 창출부(168)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수익 창출부(168)는 노출되는 수익률의 소수점 둘째자리 이하 절사값, 광고, 수수료, 소멸되거나 휴면상태인 계정의 마일리지 등을 통해 운영수익을 창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운용 모듈(17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는 디자이너, 투자자, 생산자, 소비자 등으로부터 제공받거나 디자이너, 투자자, 생산자, 소비자 등에게 제공하는 금액, 비용, 돈 등의 금전적 가치를 지닌 재화를 마일리지로 전환하거나 마일리지를 금전적 가치를 지닌 재화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마일리지 운용 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운용 모듈(170)은 디자이너, 투자자, 생산자, 소비자 등 간에 교환되는 금전적 가치를 지닌 재화를 마일리지로 전환하여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운용 모듈(170)은 활성 마일리지 운용부(171), 비활성 마일리지 운용부(17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 마일리지 운용부(171)는 투자자가 제공하는 금전적 가치를 지닌 재화(예를 들어, 돈)를 활성 마일리지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 마일리지 운용부(171)는 디자이너에게 지급되는 낙찰가액 및 디자인비를 활성 마일리지로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투자자에게 환급되는 확급액 및 지급되는 투자수익의 금액을 활성 마일리지로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소비자가 상품 구매 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비활성 마일리지를 펀딩하여 얻는 투자수익의 금액을 활성 마일리지로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이너, 투자자 및 소비자는 지급된 활성 마일리지를 현금화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활성 마일리지 운용부(172)는 소비자가 상품 구매 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마일리지를 비활성 마일리지로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자동으로 임의의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하여 얻는 투자수익의 금액을 비활성 마일리지로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을 활용하여 디자이너가 디자인을 등록하여 펀딩을 통해 수익을 지급받는 방법(S1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디자인 및 디자인의 관련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110)를 거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자인 및 디자인의 관련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110)는 디자인을 업로드하는 단계(S111), 디자인이 적용되는 물품 또는 서비스의 품목을 입력하는 단계(S112), 업로드되는 디자인의 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13), 투자자에게 환급 기회가 제공되는 특정 수익률 하락 수치를 입력하는 단계(S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개시된 펀딩을 진행하고 투자수익을 정산하는 단계는 투자자에 의해 투자금액이 모금되는 단계 즉,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되는 단계(S130)를 거칠 수 있고, 투자자에 의해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되는 단계(S130)를 거치기 전에 등록된 디자인을 생산할 생산자를 선정하는 단계(S120)를 거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생산자를 선정하는 단계(S120)는 디자인수익을 정산하는 단계(S140) 이후에 진행될 수도 있다.
투자자에 의해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되는 단계(S130)를 거친 후, 디자인수익을 정산하는 단계(S140)를 거칠 수 있다. 디자인수익을 정산하는 단계(S140)는 낙찰가액을 산출하는 단계(S141) 및 디자인비를 산출하는 단계(S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디자이너에게 디자인수익이 지급되는 단계(S150)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되는 단계(S130)가 진행 중 판매가가 변경되는 단계(S160)가 개시될 수 있다. 판매가가 변경되는 단계(S160)는 최소모금액을 산출하는 단계(S161) 및 기존 투자자에게 찬반 투표가 진행되는 단계(S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최소모금액을 산출하는 단계(S161) 및 기존 투자자에게 찬반 투표가 진행되는 단계(S162)를 거쳐 판매가의 변경이 완료될 수 있다(S17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을 활용하여 투자자가 투자수익을 지급받는 방법(S2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등록된 디자인에 대한 투자정보를 제공하여 투자자로 하여금 투자정보를 조회하도록 하는 단계(S210)를 거칠 수 있다. 이후, 실시간 수익률을 산출하는 단계(S220)를 거칠 수 있고, 이후 투자자에게 등록되어 펀딩이 가능한 디자인 목록을 제공하여 투자자로부터의 펀딩할 디자인의 선택에 대한 요청에 따라 디자인을 선택하는 단계(S230)가 진행될 수 있다.
디자인을 선택하는 단계(S230)는 예측 수익률을 산출하는 단계(231) 및 투자금액 입력 즉, 투자자에 의해 입력되는 펀딩 금액에 따라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하는 단계(S232)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이후, 펀딩이 진행됨에 따라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 금액 즉, 투자 마일리지 총액이 증가할수록 수익률은 저하되므로, 투자자에게 환급여부에 대한 선택을 제공하는 단계(S240)가 진행될 수 있다.
환급이 진행되는 경우 환급액을 산출하는 단계(S241-a)를 거쳐 투자자에게 환급액이 지급될 수 있다(S241-b). 이와 달리, 환급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 투자수익의 금액을 산출하는 단계(S242-a)를 거쳐 투자자에게 투자수익의 금액이 지급될 수 있다(S242-b).
한편, 판매가가 변경될 시 또는 새로운 투자자에 의한 펀딩이 조성될 시에 최소모금액을 산출하는 단계(S243-a) 및 기존 투자자에게 찬반 투표가 진행되는 단계(S243-b)를 거쳐 판매가가 변경 또는 새로운 투자자에 의한 펀딩이 조성될 수 있고, 판매가가 변경 또는 새로운 투자자에 의한 펀딩이 조성에 따라 수익률이 저하되어 다시 투자자에게 환급여부에 대한 선택을 제공하는 단계(S240)가 진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을 활용하여 생산자가 등록된 디자인을 생산하는 방법(S3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생산가능품목이 등록되는 단계(S310)를 거칠 수 있고, 이후 생산정보를 디자이너, 투자자 및/또는 생산자에게 제공하여 생산정보를 조회하도록 하는 단계(S320)가 진행될 수 있다.
이어서, 생산자가 디자이너 및 투자자에게 또는 디자이너 및 투자자가 생산자에게 디자인의 생산을 제안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고, 생산 제안에 승낙함으로써 생산계약이 체결될 수 있다(S340).
이후, 생산계약이 체결됨에 따라 디자인이 적용된 제품이 생산될 수 있고(S350), 생산된 제품은 운영자 측에 전달될 수 있다(S360).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을 활용하여 소비자가 디자인 상품을 구매하는 방법(S4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소비자에게 상품정보가 표시되는 단계(S410)가 진행될 수 있다. 이후 소비자로부터의 상품의 구매 요청에 따라 상품을 구매하는 단계(S420)가 진행될 수 있고,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마일리지가 제공되는 단계(S430)가 진행될 수 있다.
상품 구매에 따라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마일리지를 이용하여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하는 단계(S440-a)가 진행될 수 있거나, 또는 제공된 마일리지가 특정 기간동안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제공된 마일리지가 임의의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되는 단계(S440-b)가 진행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기업뿐만 아니라 디자이너 개인도 용이하게 디자인 제품을 등록하여 자금을 모금할 수 있도록 하고, 모금액의 한도가 없어 모금액 중 디자인 제품의 개발, 생산 등을 위한 비용 외의 잉여금액을 디자이너 개인이 제공받아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투자자가 등록된 다수의 디자인 제품 및 해당 디자인 제품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고 원하는 투자금액만큼 투자하여 투자수익을 얻도록 할 수 있고, 모금액의 한도가 없음으로 인해 모금액이 커질수록 디자인 제품의 개당 판매 수익률 즉, 투자 수익률이 낮아지게 되므로 수익률이 일정 수치 비율로 낮아질 때마다 기존 투자자들에게 환급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익률이 낮다고 판단되는 투자자가 많아질수록 모금액은 자연히 점점 느리게 커지므로 비정상적으로 낮은 수익률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발명은 디자인의 가치를 다수의 투자자에 의한 모금액을 통해 평가함으로써 디자인 평가의 집단지성화를 이룰 수 있고, 많은 모금액이 투자된 디자인일수록 이를 창작한 디자이너가 높은 수익을 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디자이너가 펀딩되는 디자인 제품의 생산자를 별도로 탐색하여 선정하거나 디자인 제품의 별도의 판매루트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도록 자금을 모금한 디자이너, 투자자, 생산자 및 소비자를 하나의 플랫폼을 통해 연결시킴으로써 디자이너가 간편하게 생산자 및 소비자에게 디자인 제품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생산자와 소비자에게도 용이하게 제품의 생산 및 구매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100: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
110: 제어 모듈
120: 디자이너 지원 모듈
121: 디자인등록부
122: 디자인수익정산부
123: 판매가 변경부
130: 투자자 지원 모듈
131: 투자정보 조회부
132: 수익률 산출부
133: 투자부
134: 환급부
135: 투자수익금 정산부
140: 생산자 지원 모듈
141: 생산가능품목 등록부
142: 생산정보 조회부
143: 생산 제안부
150: 소비자 지원 모듈
151: 상품정보 표시부
152: 상품 구매부
153: 마일리지 관리부
160: 운영 모듈
161: 이미지 자동 변환부
162: 생산자 인증부
163: 소량생산부
164: 디자인 구입판매부
165: 법률지원부
166: 재고관리부
167: 상품등록부
168: 운영수익 창출부
170: 마일리지 운용 모듈
171: 활성 마일리지 운용부
172: 비활성 마일리지 운용부
180: 통신 모듈
190: 저장 모듈
200: 디자이너 단말
300: 투자자 단말
400: 생산자 단말
500: 소비자 단말
1211: 디자인업로드부
1212: 품목입력부
1213: 디자인정보 입력부
1214: 환급기준수치 입력부
1221: 낙찰가액 산출부
1222: 디자인비 산출부
1223: 디자인수익 지급부
1321: 실시간 수익률 산출부
1322: 예측 수익률 산출부
1331: 선택부
1332: 투자금액 입력부
1341: 환급여부 선택부
1342: 환급액 산출부
1343: 환급액 지급부
1351: 투자수익금 산출부
1352: 투자수익금 지급부
1531: 마일리지 제공부
1532: 자동 마일리지 투자부

Claims (10)

  1.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로서,
    디자인을 등록하여 펀딩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자이너 지원 모듈(120); 및
    상기 디자이너 지원 모듈(120)에 의해 개시된 펀딩을 진행하고 투자수익을 정산하도록 구성되는 투자자 지원 모듈(130)을 포함하고,
    상기 투자자 지원 모듈(130)은,
    등록된 디자인에 대한 투자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투자정보 조회부(131);
    등록되어 펀딩이 개시된 디자인이 적용된 상품의 판매가에서 생산가를 차감한 값을 투자 마일리지 총액으로 나눔으로써 수익률을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수익률 산출부(132);
    등록된 디자인 중 선택하여 펀딩하도록 구성되는 투자부(133);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된 금액의 환급 기회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환급부(134); 및
    상기 투자수익의 금액을 산출하고 투자자에게 지급하도록 구성되는 투자수익금 정산부(135)를 포함하고,
    상기 투자부(133)는, 펀딩되는 금액의 한도에 제한 없이 상기 투자자의 입력에 따라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하도록 구성되는 투자금액 입력부(1332)를 포함하고,
    상기 환급부(134)는, 환급기준수치 입력부(1214)에 의해 입력되는 특정 수익률 하락 수치만큼 상기 수익률이 하락하면 상기 투자자에게 환급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0)으로서,
    제 1항에 따른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
    상기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디자이너 단말(200); 및
    상기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투자자 단말(300)을 포함하는,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0).
  6.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으로서,
    디자이너 지원 모듈이, 디자인을 등록하여 펀딩을 개시하는 단계; 및
    투자자 지원 모듈이, 개시된 펀딩을 진행하고 투자수익을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투자자 지원 모듈이, 개시된 펀딩을 진행하고 투자수익을 정산하는 단계는,
    투자정보 조회부가, 등록된 디자인에 대한 투자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투자부가, 등록된 디자인 중 선택하여 펀딩하는 단계;
    수익률 산출부가, 등록되어 펀딩이 개시된 디자인이 적용된 상품의 판매가에서 생산가를 차감한 값을 투자 마일리지 총액으로 나눔으로써 수익률을 산출하는 단계;
    환급부가,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된 금액의 환급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 및
    투자수익금 정산부가, 상기 투자수익의 금액을 산출하고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투자부가, 등록된 디자인 중 선택하여 펀딩하는 단계는, 펀딩되는 금액의 한도에 제한 없이 상기 투자자의 입력에 따라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환급부가, 등록된 디자인에 펀딩된 금액의 환급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는, 환급기준수치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특정 수익률 하락 수치만큼 상기 수익률이 하락하면 상기 투자자에게 환급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6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10041366A 2021-03-30 2021-03-30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KR102430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366A KR102430079B1 (ko) 2021-03-30 2021-03-30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PCT/KR2022/004497 WO2022211485A1 (ko) 2021-03-30 2022-03-30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366A KR102430079B1 (ko) 2021-03-30 2021-03-30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079B1 true KR102430079B1 (ko) 2022-08-04

Family

ID=82834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366A KR102430079B1 (ko) 2021-03-30 2021-03-30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0079B1 (ko)
WO (1) WO202221148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602A (ko) * 2000-07-25 2000-11-06 서석조 인터넷을 통한 브랜드와 디자인의 임대방식
KR20110064495A (ko) * 2009-12-08 2011-06-15 권우현 우수한 디자인 제품의 생산 및 판매를 위한 인터넷상의 영업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0176A (ko) * 2011-08-19 2013-02-27 하준삼 변동성 투자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62071A (ko) * 2017-11-28 2019-06-05 박준석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
KR20200130930A (ko) * 2019-05-13 2020-11-23 이장우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디자인 전문가 진단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602A (ko) * 2000-07-25 2000-11-06 서석조 인터넷을 통한 브랜드와 디자인의 임대방식
KR20110064495A (ko) * 2009-12-08 2011-06-15 권우현 우수한 디자인 제품의 생산 및 판매를 위한 인터넷상의 영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11485A1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genhofer The role of revenue recognition in performance reporting
KR101115073B1 (ko) 복수의 소셜 커머스 업체간 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US201301385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paid merchant payment services
US20220147988A1 (en) Creating a smart contract on a blockchain ledger
US10607236B2 (en) Universal system for enabling dynamically discounted buyer-vendor payments
US20230334490A1 (en) Blockchain agnostic token network
US20130060715A1 (en) Intellectual property commercialization supporting system capable of diversifying investment risk based on social network
US20140019346A1 (en) Universal system for electronic check creation and payment via image cash letter
Tong A review of IFRS 15 Revenue from contracts with customers
KR101070607B1 (ko) 탄소배출권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운용 시스템 및 방법
US202103580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on-demand ownership management
US20220391845A1 (en) Green-light campaign(tm) system and method
KR101927516B1 (ko) 가상화폐를 적용한 귀금속류의 거래 서비스 시스템
KR102430079B1 (ko)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US20240177236A1 (en) Design crowdfunding platform provision method, and device and system therefor
KR20160083796A (ko) 소셜 셰어링 커머스 기반의 전자상거래 장치 및 방법
KR102312810B1 (ko) 콘텐츠 제공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37714A (ko) 간편결제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편결제 방법
KR102552352B1 (ko) 거래 발생 시간 기준 중고 거래에 의한 탄소 배출 절감 기여도 책정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52353B1 (ko) 거래 성사 가격 기준 중고 거래에 의한 탄소 배출 절감 기여도 책정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20087170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574543B1 (ko) 소셜 셰어링 커머스 기반의 전자상거래 장치 및 방법
CN109377330A (zh) 一种汽车分时零售系统及方法
KR102646512B1 (ko) 교통 수단 대체 기반의 보상 제공 플랫폼 운영에 따른 탄소 배출권 획득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646362B1 (ko) 탄소 저감 이벤트에 따른 탄소 배출권 기반의 증권형 토큰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