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071A -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 - Google Patents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071A
KR20190062071A KR1020170161080A KR20170161080A KR20190062071A KR 20190062071 A KR20190062071 A KR 20190062071A KR 1020170161080 A KR1020170161080 A KR 1020170161080A KR 20170161080 A KR20170161080 A KR 20170161080A KR 20190062071 A KR20190062071 A KR 20190062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type
information
supply
management unit
test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석
Original Assignee
박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석 filed Critical 박준석
Priority to KR1020170161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2071A/ko
Publication of KR20190062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0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는, 시제품 개발을 희망하는 제안자로부터 시제품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시제품정보관리부와, 상기 시제품을 제작하여 공급하는 공급자로부터 공급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시제품공급관리부와, 상기 시제품에 대한 상기 공급정보에 대응하는 비용을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현금 또는 현물방식으로 투자자를 매칭하는 매칭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Description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MANAGEMENT SUPPORTING SERVER FOR PROVIDING OF TRIAL MANUFACTURED GOODS}
본 발명은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제품 제작시 크라우드 펀딩 방식으로 시제품 제작을 지원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제품이 시장에 출시되기 전에, 시제품 개발자들은 시제품을 만들어 시제품을 평가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 경우 시제품 개발자인 시제품 수요자는 시제품을 만들어 평가하기 위해 시제품 제작업체인 시제품 공급자에 시제품 제작을 의뢰하게 된다. 이를 위해 시제품 수요자와 시제품 공급자 간의 거래의 연결이 필요한데, 시제품 수요자와 시제품 공급자 각각은, 자체적으로 보유하는 정보의 한계로 인하여, 시제품 수요자는 시제품 공급자를 찾기가 쉽지 않고, 시제품 공급자는 시제품 수요자를 찾기가 쉽지 않다.
또한, 시제품 제작시 소요되는 비용이 과다하여 제품을 개발하는 도중에 실패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실정이다. 이에 시제품을 제작하는데 비용을 투자하는 벤처캐피탈이 증가하고 있다. 크라우드 펀딩이란 대중을 뜻하는 크라우드(Crowd)와 자금 조달을 뜻하는 펀딩(Funding)을 조합한 용어로,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해 다수의 대중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을 말한다.
후원형은 대중의 후원으로 목표 금액을 달성하면 프로젝트가 성공하는 방식으로, 공연과 예술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기부형은 보상을 조건으로 하지 않고 순수한 기부 목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이다. 대출형은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 이뤄지는 P2P 금융으로, 소액 대출을 통해 개인 혹은 개인사업자가 자금을 지원받고 만기에 원금과 이자를 다시 상환해 주는 방식이다. 지분투자형(증권형)은 이윤 창출을 목적으로 비상장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하는 형태로, 투자자는 주식이나 채권 등의 증권으로 보상을 제공받는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5595호(2012년09월26일 공개)는 네트워크 기반 제품 개발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도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사전 구매를 할 수는 있으나 제품 개발자가 온전히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제품 제작에 대하여 현금 또는 현물 방식으로 투자가 이뤄져 판매 수익을 배분하는 것으로, 시제품 제작 일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시제품 제안자가 기능별 모듈정보를 이용하여 쉽게 모듈설계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시제품 공급자가 모듈설계정보를 기초로 모듈별 견적을 제공할 수 있는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는, 시제품 개발을 희망하는 제안자로부터 시제품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시제품정보관리부와, 상기 시제품을 제작하여 공급하는 공급자로부터 공급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시제품공급관리부와, 상기 시제품에 대한 상기 공급정보에 대응하는 비용을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현금 또는 현물방식으로 투자자를 매칭하는 매칭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제품을 완성하여 판매된 수수료에 대하여 상기 제안자, 상기 투자자 및 중개자 간에 기 설정된 비율로 상기 수수료를 배분하는 수수료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부는, 상기 시제품정보를 모듈별로 세분화하여 각 모듈에 대하여 서로 다른 공급자의 현물투자와 매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제품 제작에 대하여 현금 또는 현물 방식으로 투자가 이뤄져 판매 수익을 배분하는 것으로, 시제품 제작 일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또한, 시제품 제안자가 기능별 모듈정보를 이용하여 쉽게 모듈설계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시제품 공급자가 모듈설계정보를 기초로 모듈별 견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에서 관리하는 시제품에 대한 모듈설계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에서 관리하는 투자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100)는 시제품정보관리부(110), 시제품공급정보관리부(120) 및 매칭부(130)를 포함한다.
시제품정보관리부(110)는 시제품 개발을 희망하는 제안자로부터 시제품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한다. 시제품정보는 제작하고자 하는 시제품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제품기능, 제작시기, 제작방법, 시제품단가 등을 시제품정보로 포함할 수 있다. 시제품정보관리부(110)는 제안자로부터 입력된 시제품정보를 저장하여 시제품공급정보관리부(120)로 출력한다. 시제품정보는 시제품을 제작 가능한 공급자에게 제공되어 타당성을 분석받을 수 있다.
또한, 시제품정보관리부(110)는 제안자의 사용자 단말로 제작하고자 하는 시제품에 대한 설계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안자는 자신이 개발하고자 하는 시제품에 필요한 기능들에 대한 모듈을 선택하여 완성된 모듈설계자료를 시제품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시제품정보관리부(110)는 시제품의 카테고리별 부품들을 세분화하여 제안자가 직접 필요한 구성부품을 연결하여 모델링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모듈과 관련한 정보는 모듈DB(115)에 저정되어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술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제안자도 모듈을 연결하여 시제품을 쉽게 모델링할 수 있다.
시제품공급관리부(120)는 시제품을 제작하여 공급하는 공급자로부터 공급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한다. 시제품공급관리부(120)는 시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자로부터 입력된 공급부품, 공급단가, 공급일자를 포함하는 공급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한다. 시제품공급관리부(120)는 공급자에 대한 평가정보를 통해 신뢰도를 평가하고, 최근 매출실적을 기초로 신뢰도를 수정할 수도 있다. 평가정보는 공급자에 대한 평가이력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시제품 공급자에 대한 신뢰도를 관리할 수 있어 시제품 제작에서 높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시제품공급관리부(120)는 제안자가 설계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한 모듈설계자료를 기초로 시제품에 대한 공급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복수의 공급자가 시제품 제작에 공동으로 참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시제품에 모터와 제어회로가 필요한 경우 모터를 공급하는 제1 공급자와 제어회로를 공급하는 제2 공급자가 협업을 통해 시제품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공급자와 제2 공급자는 현물 방식으로 시제품에 펀딩할 수 있다.
매칭부(130)는 시제품에 대한 공급정보에 대응하는 비용을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현금 또는 현물방식으로 투자자를 매칭한다. 여기서, 투자자는 현금 또는 현물을 투자하는 사용자로 다수가 참여할 수 있다. 매칭부(130)는 시제품정보와 공급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고 이에 대한 투자를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자자는 제작비용 중 일부를 현금으로 투자하고, 제2 투자자는 시제품 제작과 관련한 용역을 현물 방식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현물 방식의 투자는 시제품의 공급서비스, 마케팅서비스, 디자인서비스, 지식재산권서비스, 세무회계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매칭부(130)는 설계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한다. 매칭부(130)는 제안자의 사용자 단말로 설계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한다. 설계어플리케이션은 일반인이 전문적인 기술이 없는 경우에도 쉽게 기능별 모듈을 매칭시킬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칭부(130)는 생성된 모듈설계자료를 암호화여 비밀보장계약이 체결된 공급자에게 제공하여 비용견적을 제공발을 수 있다. 이 경우, 비용견적은 제품기능 구현, 디자인 설계, 지식재산권확보 등에 대한 사업화를 위한 다양한 분야의 견적을 생성할 수 있다. 매칭부(130)는 생성된 견적정보를 제3자에게 공개하여 복수의 투자자를 매칭한다.
또한, 매칭부(130)는 투자페이지를 관리한다. 투자페이지는 투자자가 참여할 수 있는 유저인터페이스다. 매칭부(130)는 인증과정을 거친 투자자에게 시제품정보와 공급정보를 제공한다. 투자페이지는 SNS를 통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매칭부(130)는 투자페이지 상에 참여자가 댓글 형태로 시제품에 대한 의견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입력된 댓글 정보를 데이터 마이닝하여 긍정 또는 부정 평가를 통해 시제품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다. 매칭부(130)는 투자자의 선호도를 점수화하여 기 설정치보다 선호도가 낮은 경우 투자를 종료시킬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100)는 수수료관리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수료관리부(140)는 시제품을 완성하여 판매된 수수료에 대하여 제안자, 투자자 및 중개자 간에 기 설정된 비율로 상기 수수료를 배분한다. 수수료관리부(140)는 시제품정보에 대한 투자정보의 비율에 따라 수수료를 차등적으로 배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현물투자의 경우 그에 상응하는 비율의 공급가액이 책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수료관리부(140)는 온라인 오픈마켓 형태로 시제품을 공급하고, 결제된 판매금액을 제안자, 투자자 및 중개자에게 배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100)는 광고관리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고관리부(150)는 시제품을 판매하는 경우 기 설정된 사업자의 광고를 홍보하고 그 수수료를 제안자, 투자자 및 중개자 간에 기 설정된 비율로 배분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시제품에 대한 판매금액 외에 광고수익을 통해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또한, 광고관리부(150)는 시제품을 광고하기 위해 다수의 SNS를 통해 광고를 하며, 광고를 통해 비용이 발생한 경우 판매금액에서 이를 차감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에서 관리하는 시제품에 대한 모듈설계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에서 관리하는 시제품에 대한 모듈설계정보(200)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시제품이 조명을 출력하고, 모듈설계정보(200)는 송풍기능이 있는 장치의 경우 전원부(A), 조명부(B), 제어부(C) 및 송풍부(D)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시제품 제안자는 구체적인 설계지식이 없더라도 필요한 기능을 모듈별로 연결하여 하나의 모듈설계정보(200)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제품공급자는 모듈설계정보(200)를 기초로 전체 모듈을 공급하거나, 일부 모듈만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제품공급자는 각 모듈을 공급하는 비용, 시간, 품질에 대한 견적정보를 제공한다.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는 이를 공급정보를 기초로 최적의 비용, 시간, 품질에 만족하는 공급자를 매칭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에서 관리하는 투자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투자페이지(300)는 투자자가 투자할 수 있는 투자접속정보(301)가 표시된다. 이 경우, 투자접속정보(301)는 유알엘(URL)과 같은 링크주소가 생성될 수 있다. 투자자는 자신이 관심있는 시제품의 시제품정보를 제3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자자의 사용자 단말상의 SNS 계정에 연계된 친구그룹에게 투자페이지(300)를 공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자가 투자페이지(300)를 통해 시제품의 투자페이지(300)로 접속하여 투자를 완료하면 투자페이지(300) 상에 댓글로 대화정보(303)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3자가 투자페이지(300)를 통해 투자정보(302)를 확인하고, 투자페이지(300)로 접속하여 투자를 완료하면 해당 투자페이지(300)를 제공한 투자자에게 기 설정된 포인트를 제공하거나, 투자비용을 일정 비율로 할인하는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자도 소정의 포인트를 제공받거나, 투자비용을 할인받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소셜미디어를 통해 시제품을 홍보하여 투자자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
110 : 시제품정보관리부
115 : 모듈DB
120 : 시제품공급관리부
130 : 매칭부
140 : 수수료관리부
150 : 광고관리부
200 : 모듈설계정보
300 : 투자페이지
301 : 투자접속정보
302 : 투자정보
303 : 대화정보

Claims (3)

  1. 시제품 개발을 희망하는 제안자로부터 시제품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시제품정보관리부;
    상기 시제품을 제작하여 공급하는 공급자로부터 공급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시제품공급관리부; 및
    상기 시제품에 대한 상기 공급정보에 대응하는 비용을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현금 또는 현물방식으로 투자자를 매칭하는 매칭부를 포함하는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제품을 완성하여 판매된 수수료에 대하여 상기 제안자, 상기 투자자 및 중개자 간에 기 설정된 비율로 상기 수수료를 배분하는 수수료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상기 시제품정보를 모듈별로 세분화하여 각 모듈에 대하여 서로 다른 공급자의 현물투자와 매칭하는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
KR1020170161080A 2017-11-28 2017-11-28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 KR20190062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080A KR20190062071A (ko) 2017-11-28 2017-11-28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080A KR20190062071A (ko) 2017-11-28 2017-11-28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071A true KR20190062071A (ko) 2019-06-05

Family

ID=66844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080A KR20190062071A (ko) 2017-11-28 2017-11-28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20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8727A (ko) * 2019-07-15 2021-01-25 박준석 기술거래형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서버
KR102367098B1 (ko) * 2021-07-23 2022-02-25 남효림 Ai 큐레이션을 이용한 디자인제작 중개플랫폼장치
WO2022211485A1 (ko) * 2021-03-30 2022-10-06 장우혁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8727A (ko) * 2019-07-15 2021-01-25 박준석 기술거래형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서버
WO2022211485A1 (ko) * 2021-03-30 2022-10-06 장우혁 디자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KR102367098B1 (ko) * 2021-07-23 2022-02-25 남효림 Ai 큐레이션을 이용한 디자인제작 중개플랫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3007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ement of a blockchain-based computer-enabled networked ecosystem
Arnold et al. Blockchain and initial coin offerings: Blockchain’s implications for crowdfunding
JP6725622B2 (ja) ドル預託証券、電子的会員取引、及びレポ取引
US20150310497A1 (en) Method and process for registration, creation and management of micro shares of real or intangible properties and advertisements in a network system
US20020103746A1 (en) Customizable group initiative
WO2018060951A1 (en) A system for trading in a contract-free manner
US20080301055A1 (en) unified platform for reputation and secure transactions
JPWO2019035459A1 (ja) 情報流通方法、情報流通サーバ装置、端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exandrov et al. Antitrust and competition in two-sided markets
WO2014108762A2 (en) Dynamic products & services card & account and/or global payments & mobile network(s) mediated & managed dynamic e-commerce, advertising & marketing platform(s) and service(s)
WO2014108911A1 (en) Userbase and/or deals and/or advertising space trading exchange and marketplace
WO20222011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valuing and regulating a data asset backed cryptocurrency
KR20190062071A (ko) 시제품 제작 관리지원서버
US201203108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mmercial paper funding via a communication network
MacDonald et al. Do new entrants sustain, destroy, or create guaranteed profitability?
US20170169513A1 (en) Method and system of prepaid vouchers with time conditional value
KR20160017270A (ko) 시제품 제작 지원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US20230162286A1 (en) System, Method, and Platform for Providing Support and Financial Resources for Small Businesses
CN112041882A (zh) 创意原型开发及筹资平台服务器
CN113168653A (zh) 管理装置及管理方法
Tuff et al. Beacons for business model innovation
Adam Fintech Versus I-Fintech: A Dichotomy
Theofanous POSTGRADUATE THESIS
BANU A MINI PROJECT REPORT ON “A DETAILED STUDY ON B2B E-COMMERCE AS AN ECONOMIC BOOSTER”
CA2907182C (en) Dollar depository receipts and electronic friends trading and repo transa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