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512B1 - 교통 수단 대체 기반의 보상 제공 플랫폼 운영에 따른 탄소 배출권 획득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교통 수단 대체 기반의 보상 제공 플랫폼 운영에 따른 탄소 배출권 획득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512B1
KR102646512B1 KR1020230130050A KR20230130050A KR102646512B1 KR 102646512 B1 KR102646512 B1 KR 102646512B1 KR 1020230130050 A KR1020230130050 A KR 1020230130050A KR 20230130050 A KR20230130050 A KR 20230130050A KR 102646512 B1 KR102646512 B1 KR 102646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mount
server
carbon reduction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김나우
Original Assignee
라이트브라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트브라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이트브라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3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4Greenhouse gas [GHG] managemen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90Financial instruments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e.g. environmental taxes, subsidies or financing
    • Y02P90/95CO2 emission certificates or credits trad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동작 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은 이동 기구를 이용하여 교통 수단의 이용을 대체하는 경우 상기 이동 기구의 이동 거리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수행한 탄소 저감 이벤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관여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 및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관여한 탄소 저감량을 기초로 탄소 배출권을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통 수단 대체 기반의 보상 제공 플랫폼 운영에 따른 탄소 배출권 획득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SERVER,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OBTAINING CARBON CREDIT THROUGH OPERATION OF PLATFORM SERVICE THAT PROVIDES REWARD BASED ON EVENT OF REPLACING TRANSPORTATION}
본 문서의 실시예는 플랫폼 서비스에서 발생한 탄소 저감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플랫폼 서비스 운영 주체의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여 탄소 배출권을 획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탄소 배출권은 탄소 배출량을 제한하고 감축하는 정책 수단으로, 탄소 배출량을 허용량 이내로 줄이거나 탄소 저감 프로젝트에 투자하여 얻을 수 있는 권리이다. 탄소 배출권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서 발행하는 CERs1와 같은 공식적인 시장과 자발적인 시장으로 구분된다.
탄소 배출권은 개인, 기업, 단체 등이 자신들의 탄소 발자국을 보상하고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구매할 수 있으며, 동시에 탄소 저감 프로젝트 개발자들에게 재정적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탄소 저감 프로젝트는 재생 에너지, 에너지 효율, 산림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프로젝트는 낮은 탄소 배출 기술의 개발과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탄소 배출권 획득 방식은 대부분 정부 기관이나 전문 기업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기존의 탄소 배출권 획득 방식은 탄소 저감과 관련된 다양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플랫폼 사용자의 활용 내역을 획득하고,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에 의해 발생하는 탄소 저감량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발생하는 탄소 저감 이벤트와 관련된 실질적인 효과를 측정하여 탄소 배출권을 인정받을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6162호: 자전거 이용자에게 탄소배출권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본 문서의 실시예는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탄소 저감 이벤트의 발생을 유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여, 그에 따른 탄소 배출권을 획득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바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는 않았으나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목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동작 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은 이동 기구를 이용하여 교통 수단의 이용을 대체하는 경우 상기 이동 기구의 이동 거리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수행한 탄소 저감 이벤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관여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 및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관여한 탄소 저감량을 기초로 탄소 배출권을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은 상기 탄소 배출권을 특정하는 증권형 토큰을 발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기구를 이용한 주행 목적을 판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기구의 이동 거리에 대한 보상은 상기 판별된 주행 목적에 매핑된 보상 비율에 따라 차등적으로 책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 저감량 판별하는 동작은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에 의해 감축된 제1 탄소량을 판별하는 동작;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에 의해 배출되는 제2 탄소량을 판별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탄소량에 상기 제2 탄소량을 차감하여 상기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는 이동 기구의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 저감량 판별하는 동작은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에 포함된 이동 기구의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에 의해 대체된 교통 수단을 판별하는 동작; 및 상기 대체된 교통 수단의 이동 거리 당 탄소 배출 계수를 기초로 상기 이동 거리에 따른 탄소 저감량을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관여한 탄소 저감량으로 판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 저감량은 하기 수학식 1을 기초로 판별되고,
[수학식 1]
( : 탄소 저감량 (kgCO2eq), : 사용자가 교통 수단 A를 대체하여 주행한 이동 거리(km), : 교통 수단 A의 이동 거리 당 탄소 배출 계수 (kgCO2eq/km))
상기 탄소 배출 계수는 하기 수학식 2를 기초로 구해질 수 있다.
[수학식 2]
(: 교통 수단 A의 이동 거리 당 탄소 배출 계수 (kgCO2eq/km), : 교통 수단 A의 유종에 따른 기본 배출 계수 (kgCO2eq/TJ), : 유종 별 리터 당 순발열량 (MJ/l), : 교통 수단 A의 주행 시 유종별 연비 (km/l), : 교통 수단별 이용 인구에 따른 가중치)
또한,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는 이동 기구의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 저감량 판별하는 동작은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에 포함된 이동 기구의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에 의해 대체된 교통 수단을 판별하는 동작; 상기 대체된 교통 수단의 이동 거리 당 탄소 배출 계수를 기초로 상기 이동 거리에 따른 제1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 및 상기 이동 기구가 탄소를 배출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 기구의 운영에 탄소가 배출되는 경우, 상기 제1 저감량에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해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차감한 탄소 저감량을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관여한 탄소 저감량으로 판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는 상기 이동 기구가 중고 거래된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은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해 발생하는 탄소의 기본 배출량에서 상기 이동 기구의 수명에 대한 상기 이동 기구의 사용 기간의 비율, 또는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해 발생하는 탄소의 기본 배출량에서 상기 이동 기구의 수명에 대한 상기 이동 기구의 잔여 수명의 비율에 대응하는 수치를 기초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하는 동작 방법은 이동 기구를 이용하여 교통 수단의 이용을 대체하는 경우 상기 이동 기구의 이동 거리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수행한 탄소 저감 이벤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관여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 및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관여한 탄소 저감량을 기초로 탄소 배출권을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비스에서 발생한 탄소 저감 이벤트의 정보를 획득하고 분석하여,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고 이를 기반으로 탄소 배출권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는 이동 기구를 이용하여 교통 수단의 이용을 대체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동 기구의 이동 거리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고, 탄소 저감 이벤트를 기초로 탄소 배출권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많은 사용자들이 이동 기구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도록 장려하여 탄소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축 효과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인센티브로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는 보안 토큰을 사용하여 탄소 배출권을 기록하고 확인하는 안전하고 투명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가령, 탄소 배출권을 특정하는 증권형 토큰을 발행하여 탄소 배출권을 기록하고 확인하는 안전하고 투명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배출권 획득 시스템과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라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경우, 하나의 물품에 의해 발생하는 탄소의 기본 배출량을 기준으로 중고 거래에 의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예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라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경우, 하나의 물품에 의해 발생하는 탄소의 기본 배출량을 기준으로 중고 거래에 의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예시도이다.
도 7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8는 제2 실시예에 따라 이동 수단의 이동 거리 별 탄소 배출량이 정의된 데이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은 제2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주행 정보를 판별하여 사용자의 이동 정보에 따른 보상을 차등적으로 지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중고 거래가 발생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라 중고 거래 시간을 기준으로 서버가 판매자, 구매자 및 중계 주체 간의 기여도를 책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라 거래 가격을 기준으로 서버가 판매자, 구매자 및 중계 주체 간의 기여도를 책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배출권 획득 시스템(10)(이하, '시스템(10)'으로 지칭)과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20)(이하, '블록체인 네트워크'(20)으로 지칭)의 구성도이다.
시스템(10)은 소정의 플랫폼을 운영하는 주체(ex. 기업, 국가 등)가 탄소를 저감시킨 양을 집계하여 인증을 통해 획득한 탄소 배출권을 특정하는 증권형 토큰을 발행하거나, 플랫폼의 사용자(ex. 개인, 단체 등)가 수행한 탄소 저감 이벤트에 대한 보상으로 탄소 배출권 기반의 증권형 토큰을 지급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1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20)와 연동되어 탄소 배출권을 특정하는 증권형 토큰을 발행하거나, 증권형 토큰을 다양한 주체에게 지급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20)와 연동됨으로써, 시스템(10)이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에 참여하는 주체에 의해 발생하는 트랜잭션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전송하고, 트랜잭션에 대한 처리 과정이 블록체인 네트워크(20)를 구성하는 주체인 노드들에 의해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은 탄소 배출권 획득 서버(100)(이하, '서버(100)'로 지칭), 사용자 단말(200) 및 계약사 서버(300)를 포함할 수 다.
서버(100)는 탄소 배출권 기반의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가 운영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탄소 배출권 기반의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와 일부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연동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계정(예: ID, password 등) 및 블록체인 계정(ex. 블록체인 지갑, 개인키, 공개키 등)을 발급하고, 발급된 계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관리하는 단말(ex. 사용자 단말(200), 계약사 서버(300))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계정으로 서비스에 접속하여 후술할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고, 블록체인 계정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접속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로 동작할 수 있다. 서버(1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접속하여 서버 노드(100n)로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관리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가 제공하는 서비스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접속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접속하여 사용자 노드(200n)로 동작할 수 있다.
계약사 서버(300)는 서버(100)와 소정의 계약을 통해 상호 작용하도록 운영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할 일 예시로서, 계약사 서버(300)는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200)에 지급하는 계약사 포인트의 사용을 보증하도록 계약된 주체가 운영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계약사 서버(300)은 서버(100)가 제공하는 서비스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접속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계약사 서버(30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접속하여 계약사 노드(300n)로 동작할 수 있다.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계약사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스마트 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노트북,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계약사 서버(300)는 통신망을 통해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망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가상 네트워크, 원격 통신 등의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20)는 복수 개의 컴퓨팅 장치인 노드들을 포함하는 피투피 네트워크이다. 각각의 노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연산을 수행할 수 있고,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등록된 블록체인 계정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블록체인 계정 정보는 개인키(private key)와 공개키(public key)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키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서 트랜잭션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의 디지털 서명으로 기능할 수 있다. 공개키는 각 노드를 식별하는 정보이자, 암호화폐 또는 토큰을 보유하는 블록체인 계좌 주소(account address)로 기능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포함된 각각의 노드는 다른 노드에 의해 발생한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20) 내에서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검증, 실행 및 기록하고, 그에 대한 보상(예: 암호화폐, 토큰 등)을 받을 수 있다.
트랜잭션은 블록체인에 정보를 추가하거나 블록체인 네트워크(20) 내에서 특정한 동작이 발생하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20) 내의 노드들에게 전파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트랜잭션은 토큰의 발행에 관한 동작, 토큰의 이체에 관한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노드로부터 제2 노드로 토큰이 송신되도록 하는 동작을 위한 트랜잭션은 제1 노드의 계좌 정보, 제2 노드의 계좌 정보, 토큰 정보, 토큰 수량, 제1 노드의 서명 정보, 이체 사실과 함께 기록되길 원하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잭션이 발생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규정된 합의 알고리즘(예: POW, POS, DPOS 등)에 기초하여 트랜잭션을 검증하고, 기 생성된 블록에 검증된 블록을 연결(=트랜잭션 기록)하며, 새로이 연결된 블록의 내역은 다른 노드들에게 전파될 수 있다.
블록에 대한 정보는 노드들이 공유하는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인 블록체인에 저장될 수 있다. 블록체인은 복수 개의 노드들이 같은 정보를 공유하는 분산 원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노드는 트랜잭션의 처리 결과 및 기록을 블록체인을 조회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20)는 탄소 배출권을 특정하는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을 발행할 수 있다. 증권형 토큰이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실물 자산 또는 금융 자산 등을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원장에 연동하여 발행한 토큰(STO, security token offering)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20)는 특정 탄소 배출권(ex. 탄소 배출권 증서)에 연동된 증권형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형 토큰의 가치는 발행 시 연동된 탄소 배출권의 시세와 페깅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증권형 토큰이 발행된 수량에 따라 전체 가치가 나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탄소 배출권의 증서에 대해 발행된 토큰의 수량이 100개이고, 해당 탄소 배출권 증서의 시세가 특정 시점에 100,000원이라면, 해당 시점에서 토큰 1개의 가치는 100,000/100 = 1,000원으로, 탄소 배출권의 실시간 시세와 페깅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20)가 수행하는 동작은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노드(100n, 200n, 300n)가 수행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은 도 2에 예시된 구성을 통해, 탄소 배출권을 특정하는 증권형 토큰을 발행하는 동작, 또는 탄소 배출권을 특정하는 증권형 토큰을 지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은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계약사 서버(300), 가맹점(350), 탄소 배출권 인증기관(400), 투자자/채권자(500), 토큰 거래소(6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직접 수행하는 동작 또는 '사용자'를 주체로 해석할 수 있고, '계약사 서버(300)'은 '계약사'가 직접 수행하는 동작 또는 '계약사'를 주체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그 반대로 주체가 해석될 수 있다.
서버(100)는 플랫폼 서비스를 운영하는 주체가 운영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와 일부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연동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소정의 활동을 수행하거나, 또는 플랫폼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탄소를 저감시킨 양을 집계하여 할당 받은 탄소 배출권에 대해 증권형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서버(100)는 플랫폼 서비스의 사용자가 수행한 탄소 저감 이벤트에 대한 보상으로 탄소 배출권 기반의 증권형 토큰을 지급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탄소 저감 이벤트는 탄소 배출을 저감시키는 다양한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 저감 이벤트는 탄소 배출 수단을 대체하여 이동하는 것, 중고 거래 등 탄소 배출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각종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가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수행한 탄소 저감 이벤트에 대한 증명 데이터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고, 서버(100)로부터 증권형 토큰을 지급받을 수 있다. 증명 데이터는 사용자가 수행한 탄소 저감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한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중고 거래한 내역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약사 서버(300)는 서버(100)와 계약을 통해 상호 작용하도록 운영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약사 서버(300)는 사용자가 계약사 서버(300)의 가맹점(350)에서 사용한 포인트에 대해 현금 또는 대가의 지급을 보증하는 회사가 운용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계약사는 체크카드, 신용카드, 회원전용카드, 디지털카드, 바코드 등의 카드나 포인트를 사용자에게 발급하고, 사용자가 가맹점(350)에서 포인트(또는 마일리지)를 통해 결제한 금전 내역을 보증하여, 사용자의 실제 결제 금액(ex. 현금)을 가맹점(350)으로 이체하는 역할(ex. 카드사)을 할 수 있다.
가맹점(350)이란 계약사 서버(300)의 주체와 계약을 통해, 계약사 서버(300)가 제공하는 계약사 포인트(ex. 체크카드, 신용카드, 회원전용카드, 포인트, 마일리지, 바코드 등)를 취급하는 매장을 포함할 수 있다. 계약사 서버(300)는 사용자에게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계약사 포인트를 발급할 수 있고, 사용자가 계약사 포인트를 가맹점(350)에서 사용 시 해당 계약사 포인트를 사용한 만큼의 현금 지급을 카드 가맹점(350)에 보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롯데카드는 L.POINT, 국민카드는 포인트리, 신한카드는 마이신한포인트, 우리카드는 위비꿀머니, 농협카드는 채움포인트, 현대카드는 M포인트, 대한항공은 대한항공 마일리지, 아시아나항공은 아시아나 마일리지 등으로 지칭되는 각 계약사 마다의 현금 지급 보증 포인트를 운영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계약사 서버(300)의 주체는 롯데카드, 국민카드, 신한카드, 우리 카드, 농협카드, 현대카드 등의 일반 카드사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계약사 서버의 주체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처럼 자회사 계열 서비스 내에서 현금처럼 사용 가능한 마일리지를 제공하거나, 소정의 서비스에 대해 현금 지급을 보증하는 포인트/마일리지를 제공하는 회사, 단체 또는 지자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의 설명에서는 계약사 서버(300)의 주체를 '카드사'로 예시하나,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계약사'의 의미는 일반 카드사 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와 같은 계약사 서버(300)의 역할을 수행하는 모든 주체를 포함할 수 있다.
탄소 배출권 인증기관(400)은 서버(100)가 탄소를 저감하는 데에 기여한 내역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확인 또는 인증하여 탄소 배출권을 부여하는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탄소 배출권 인증기관(400)은 탄소 배출권의 거래를 중계하는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 배출권 인증기관(400)은 개인 또는 기업 간 탄소 배출권의 거래를 허용하도록 인증 받은 배출권 거래 시장 또는 배출권 거래 인증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증명 데이터를 이용하여 탄소 배출권 인증기관(400)을 통해 탄소 배출권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교토 의정서에 따른 탄소 배출량 감축 사업을 수행하여 발생한 감축 실적인 증명 데이터를 인정받아 탄소 배출권 인증기관(400)으로부터 탄소 배출권을 획득할 수 있다.
투자자/채권자(500)는 서버(100)의 수익을 공유하는 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자자는 서버(100)의 운영사가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투자하여 지분을 갖는 주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권자는 서버(100)의 운영사가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서버(100)의 운영사를 채무자로 하는 채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자자/채권자(500)는 서버(100)의 운영사가 서비스를 운영하여 발생하는 수익 중 일부를 받을 수 있는 권리인 매출 채권을 보유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매출 채권'이라는 용어는 채권의 형식을 가지는 형태뿐만 아니라, 서버(100)의 운영 수익을 투자자/채권자에게 지급하기로 하는 조항을 갖는 다양한 계약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계약 형태에 대한 사항을 '매출 채권'이라는 용어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의미의 '매출 채권'에 따라 '투자자'는 매출 채권에 의한 서버(100)의 수익 중 일부를 지급받는 '채권자'에 해당하기로 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 '투자자'와 '채권자'는 모두 '채권자'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토큰 거래소(6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형 토큰이 거래되는 암호화폐 거래소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형 토큰을 보유한 주체는 개인 간의 직접 거래뿐만 아니라, 토큰 거래소(600)를 통해 증권형 토큰을 거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계약사 서버(300), 가맹점(350), 탄소 배출권 인증기관(400), 투자자/채권자(500), 토큰 거래소(6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계약사 서버(300), 가맹점(350), 탄소 배출권 인증기관(400), 투자자/채권자(500), 토큰 거래소(600)는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 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노트북, 태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에서 동작하는 서버(100)의 구성과 동작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120), 입출력 인터페이스(130) 및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외부 장치(ex. 사용자 단말(200), 계약사 서버(300), 가맹점(350), 탄소 배출권 인증기관(400), 투자자/채권자(500), 토큰 거래소(600) 등)로부터 획득한 데이터 또는 스스로 생성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프로세서(120)의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10)는 후술할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의 동작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30)는 서버(100)를 제어하는 관리자가 특정 정보를 입력하게끔 하거나, 관리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는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또는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서버(100)가 통신망을 통해 외부 장치(ex. 사용자 단말(200), 계약사 서버(300), 가맹점(350), 탄소 배출권 인증기관(400), 투자자/채권자(500), 토큰 거래소(600) 등)와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무선 통신모듈 또는 유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프로세서(120)를 통해 연산을 수행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휴대용 통신 장치, 스마트 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노트북, 태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은 도 3에 예시된 구성을 통해, 탄소 배출권을 특정하는 증권형 토큰을 발행하기까지의 동작(ex. 도 4의 제1 실시예), 또는 탄소 배출권을 특정하는 증권형 토큰을 발행한 후 분배 동작(ex. 도 7의 제2 실시예)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가 수행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의 동작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S1010 단계에서, 서버(100)는 소정의 플랫폼 서비스에 의해 발생한 탄소 저감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0)의 운영 주체는 플랫폼 서비스를 운영하는 운영 주체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플랫폼 서비스의 정보에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서버(100)의 운영 주체는 플랫폼 서비스를 운영하는 운영 주체와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의 동의에 따라 플랫폼 서비스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플랫폼 서비스란 사용자가 온라인 플랫폼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탄소 배출을 저감하는 직접 또는 간접적인 행동을 유발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비스는 중고 거래 중계 서비스, 이동 거리 분석 서비스, 사용자의 운동 정보 분석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탄소 저감 이벤트란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탄소 배출을 저감하는 데에 기여한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 저감 이벤트는 플랫폼의 사용자가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여 탄소 배출을 저감시키는 다양한 이벤트(ex. 중고 거래 성사)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의 사용자가 발생시킨 탄소 저감 이벤트는 소정의 조건(ex. 사용자의 동의, 가입 약관 등)에 따라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발생시킨 탄소 저감 이벤트로 간주되거나, 그 권리가 이관될 수 있다. 또한, 탄소 저감 이벤트는 플랫폼의 운영 주체가 직접 탄소 배출을 저감시키기 위해 수행한 다양한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소 저감 이벤트는 플랫폼 서비스에서 발생한 중고 거래 내역에 대한 정보(ex. 도 5, 도 6, 도 10, 도 11, 도 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고 거래 내역은 중고 거래 대상이 된 물품의 정보, 판매자가 물품을 획득한 시간에 대한 정보, 물품의 중고 거래가 발생한 시간, 물품의 중고 거래 가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을 획득한 시간에 대한 정보는 판매자가 신품을 구입한 시간, 물품이 생산된 시간, 물품이 출시된 시간, 판매자가 중고품을 구입한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소 저감 이벤트는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여 판별한 사용자의 이동 정보 또는 주행 정보(ex. 도 8, 도 9)를 포함할 수 있다.
S1020 단계에서, 서버(100)는 탄소 저감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감축시킨 탄소 저감량 판별할 수 있다. 상술한 S1020 단계는, 서버(100)가 탄소 저감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감축시킨 탄소 저감량 판별하여, 소정의 조건(ex. 사용자의 동의, 가입 약관 등)에 따라 사용자의 탄소 저감량을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감축한 탄소 저감량으로 간주하는 동작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00)는 탄소 저감 이벤트에 의해 감축된 제1 탄소량을 판별하고,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에 의해 배출되는 제2 탄소량을 판별하여, 제1 탄소량에 제2 탄소량을 차감하여 탄소 저감량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특정 기간 동안 발생한 탄소 저감 이벤트에 의해 감축된 총 제1 탄소량에, 특정 기간 동안 운영에 의해 배출된 총 제2 탄소량을 차감하여, 특정 기간 동안의 탄소 저감량을 판별할 수 있다.
탄소 저감 이벤트가 중고 거래인 경우, 중고 거래는 특정 물품의 중복 사용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물품의 생산, 사용, 폐기 시 배출되는 탄소 배출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즉, 1건의 중고 거래는 신규 물품 2개의 사용을, 중고 물품 1개의 사용으로 대체하기 때문에, 중고 거래가 성사되면 신규 물품의 사용으로 인한 탄소 배출이 저감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고 거래로 인한 탄소 저감량을 구하는 경우, 중고 물품 구매자의 관점에서는 중고 거래 시점 이전의 사용 기간 동안 물품에 의해 발생하는 탄소의 배출을 저감시킨 것이 되므로, 중고 거래 시점 이전의 사용 기간을 기준으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중고 물품 판매자의 관점에서는 중고 거래 시점 이후의 물품의 잔여 수명 동안 물품에 의해 발생하는 탄소의 배출을 저감시킨 것이 되므로, 중고 거래 시점 이후 물품의 잔여 수명을 기준으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이에, 각 관점에 따라, 서버(100)가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실시예를 다음 도 5 및 도 6과 함께 설명한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라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경우, 하나의 물품에 의해 발생하는 탄소의 기본 배출량을 기준으로 중고 거래에 의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예시도이다.
도 5의 실시예는 서버(100)가 중고 거래된 물품의 수명에 대한 판매자의 사용 기간의 비율을 기초로 중고 거래로 인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서버(100)는 중고 거래된 물품에 의해 발생하는 탄소의 기본 배출량에서 중고 거래된 물품의 수명에 대한 물품의 사용 기간의 비율에 대응하는 수치를 기초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할 수 있다.
[수학식 1]
기본 배출량이란, 물품이 특정 기간 동안 배출하는 탄소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본 배출량은 물품의 생산, 사용, 폐기 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 배출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배출량은 LCI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물품의 CO2 배출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물품 수명이란, 물품이 사용되는 수명을 의미한다. 물품 수명에 대한 정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 수명은 대한민국 물품관리법에 기록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사용 기간이란, 플랫폼 서비스에서 중고 거래를 게시한 판매자가 물품을 사용한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본 배출량, 물품 수명, 사용 기간'을 구하는 방법은 서버(100)의 운영자가 본 문서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본 배출량, 물품 수명, 사용 기간'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수치를 구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기본 배출량, 물품 수명, 사용 기간'의 권리 범위 또한 상술한 '기본 배출량, 물품 수명, 사용 기간'의 개념을 적용하였다고 볼 수 있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도출되는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1차 중고 거래 시점에 발생한 탄소 저감 이벤트에 따른 1차 탄소 저감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특정 물품의 기본 배출량이 100%인 상태에서, 수명이 100개월이고, 1차 중고 거래 시점까지 사용 기간이 25개월이므로, 1차 탄소 저감량은 수학식 1에 따라 25%라고 계산할 수 있다. 즉, 물품의 기본 배출량의 수치가 500(단위 생략)이라고 한다면, 서버(100)는 제1 탄소 저감량을 125(단위 생략)의 수치로 판별할 수 있다. 이때 1차 중고 거래의 판매자는 물품이 신품인 상태에서 구입한 것이므로, 서버(100)는 판매자가 신품을 획득한 시간으로부터 물품의 중고 거래가 완료된 시간까지를 사용 기간으로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판매자가 중고 거래 시 입력한 신품 구입한 시간, 물품으로부터 확인 가능한 생산된 시간, 물품으로부터 확인 가능한 물품 출시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판매자의 물품 획득 시간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플랫폼 서비스에서 중고 거래를 특정하는 게시물의 판매가 완료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물품의 중고 거래가 발생한 시간을 판별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2차 중고 거래 시점에 발생한 탄소 저감 이벤트에 따른 2차 탄소 저감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특정 물품의 기본 배출량이 100%인 상태에서, 수명이 100개월이고, 1차 중고 거래 시점으로부터 2차 중고 거래 시점까지 사용 기간이 50개월이므로, 2차 탄소 저감량은 수학식 1에 따라 50%라고 계산할 수 있다. 즉, 물품의 기본 배출량의 수치가 500(단위 생략)이라고 한다면, 서버(100)는 제1 탄소 저감량을 250(단위 생략)의 수치로 판별할 수 있다. 2차 중고 거래의 판매자는 물품이 중고품인 상태에서 구입한 것이므로, 예를 들어, 서버(100)는 판매자가 중고품을 획득한 시간으로부터 물품의 중고 거래가 완료된 시간까지를 사용 기간으로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판매자가 중고 거래 시 입력한 중고품을 구입한 시간, 플랫폼의 과거 중고 거래 내역으로부터 확인 가능한 중고 거래 시간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판매자의 물품 획득 시간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플랫폼 서비스에서 중고 거래를 특정하는 게시물의 판매가 완료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물품의 중고 거래가 발생한 시간을 판별할 수 있다.
상술한 도 5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소정의 시간 범위 또는 물품의 종류(또는 카테고리)에 대한 설정을 기초로 플랫폼 서비스에서 발생한 중고 거래 내역을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내역에 대해서 탄소 저감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 "모빌리티 품목"이라는 물품 종류로 필터링된 중고 거래 내역에 대해 상술한 계산 과정을 적용하여 감축된 제1 탄소량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상기 설정된 시간 범위와 물품의 종류에 대한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에 의해 배출되는 제2 탄소량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플랫폼 서비스를 운영하며 발생하는 중고 거래 1건별 탄소 배출량에 필터링된 중고 거래 내역에 해당하는 건수를 곱한 수치를 기초로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에 의해 배출되는 제2 탄소량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 발생한 전력 사용량 및 화석 연료 소비량을 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한 후, "환산한 탄소 배출량"의 수치에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 발생한 모빌리티 품목의 중고 거래 건수"를 나누어, 1건별 탄소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탄소량에 제2 탄소량을 차감하여 필터링된 내역에 대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할 수 있다.
상술한 도 5의 실시예에 따르면, 2차 중고 거래가 발생하는 시점에서도 당시 중고 물품의 소유주가 중고 물품을 사용한 실제 기간을 고려하여 탄소 저감량을 판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라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경우, 하나의 물품에 의해 발생하는 탄소의 기본 배출량을 기준으로 중고 거래에 의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예시도이다.
도 6의 실시예는 서버(100)가 서버(100)가 중고 거래된 물품의 수명에 대한 판매자의 잔여 수명의 비율을 기초로 중고 거래로 인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서버(100)는 중고 거래된 물품에 의해 발생하는 탄소의 기본 배출량에서 중고 거래된 물품의 수명에 대한 물품의 잔여 수명의 비율에 대응하는 제1 수치에 물품의 중복 거래가 발생할 확률을 고려하여 탄소 저감량을 판별할 수 있다.
[수학식 2]
기본 배출량이란, 물품이 특정 기간 동안 배출하는 탄소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본 배출량은 물품의 생산, 사용, 폐기 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 배출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배출량은 LCI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물품의 CO2 배출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물품 수명이란, 물품이 사용되는 수명을 의미한다. 물품 수명에 대한 정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 수명은 대한민국 물품관리법에 기록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잔여 수명이란 물품의 남은 수명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잔여 수명은 물품 수명에서 물품의 총 사용 기간을 차감한 기간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는 물품의 중복 거래가 발생할 확률을 고려한 실수로, 0보다 크고 1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는 물품의 잔여 수명에 대한 상기 물품의 사용 기간의 비율인 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 잔여 수명보다 사용 기간이 길어지는 시점부터 는 1을 초과하게 되므로, 이때는 를 1 값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본 배출량, 물품 수명, 잔여 수명'을 구하는 방법은 서버(100)의 운영자가 본 문서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본 배출량, 물품 수명, 잔여 수명'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수치를 구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기본 배출량, 물품 수명, 잔여 수명'의 권리 범위 또한 상술한 '기본 배출량, 물품 수명, 잔여 수명'의 개념을 적용하였다고 볼 수 있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도출되는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의 물품의 중복 거래가 발생할 확률을 고려한 인자를 정의하는 방법은 서버(100)의 운영자가 본 문서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물품의 중복 거래가 발생할 확률로 간주할 수 있는 수치를 구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1차 중고 거래 시점에 발생한 탄소 저감 이벤트에 따른 1차 탄소 저감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특정 물품의 기본 배출량이 100%인 상태에서, 수명이 100개월이고, 1차 중고 거래 시점까지 사용 기간이 25개월이므로 잔여 수명은 75개월이다. 단, 잔여 수명 75개월 동안 2차 중고 거래가 발생할 수 있으며, 2차 중고 거래가 발생한다면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계산 방식은 1차 저감량과 2차 저감량을 중복으로 계산하게 된다. 또한, 1차 중고 거래가 발생한 시점에서는 2차 중고 거래가 발생할 미래의 시점을 특정할 수 없기에, 중복된 수치를 알수가 없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도 6의 실시예에서는 물품의 중복 거래가 발생할 확률을 고려한 인자인 를 사용한다. 이때 로 정의된라면, = 25/75 = 1/3에 해당한다. 따라서, 1차 탄소 저감량은 수학식 2에 따라 = 25%라고 계산할 수 있다. 즉, 물품의 기본 배출량의 수치가 500(단위 생략)이라고 한다면, 서버(100)는 제1 탄소 저감량을 125(단위 생략)의 수치로 판별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2차 중고 거래 시점에 발생한 탄소 저감 이벤트에 따른 2차 탄소 저감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특정 물품의 기본 배출량이 100%인 상태에서, 수명이 100개월이고, 잔여 수명이 25개월이라고 할 때, 2차 중고 거래 시점까지의 총 사용 기간이 100-25=75개월이므로, 2차 탄소 저감량은 수학식 2에 따라 = 25% 라고 계산할 수 있다. 즉, 물품의 기본 배출량의 수치가 500(단위 생략)이라고 한다면, 서버(100)는 제2 탄소 저감량을 125(단위 생략)의 수치로 판별할 수 있다.
상술한 도 6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소정의 시간 범위 또는 물품의 종류(또는 카테고리)에 대한 설정을 기초로 플랫폼 서비스에서 발생한 중고 거래 내역을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내역에 대해서 탄소 저감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 "모빌리티 품목"이라는 물품 종류로 필터링된 중고 거래 내역에 대해 상술한 계산 과정을 적용하여 감축된 제1 탄소량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상기 설정된 시간 범위와 물품의 종류에 대한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에 의해 배출되는 제2 탄소량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플랫폼 서비스를 운영하며 발생하는 중고 거래 1건별 탄소 배출량에 필터링된 중고 거래 내역에 해당하는 건수를 곱한 수치를 기초로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에 의해 배출되는 제2 탄소량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 발생한 전력 사용량 및 화석 연료 소비량을 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한 후, "환산한 탄소 배출량"의 수치에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 발생한 모빌리티 품목의 중고 거래 건수"를 나누어, 중고 거래 1건별 탄소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탄소량에 제2 탄소량을 차감하여 필터링된 내역에 대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할 수 있다.
상술한 도 6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고 거래가 중복하여 발생하는 경우라도, 다양한 방식으로 물품의 중복 거래가 발생할 확률을 고려하는 의 요소를 활용하여, 물품의 종류나 특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S1020 단계에서, 탄소 저감 이벤트가 사용자의 이동 정보(ex. 도 8, 도 9)를 포함하는 경우, 서버(100)가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실시예는 도 8 및 도 9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S1030 단계에서, 서버(100)는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감축시킨 탄소 저감량을 기초로 탄소 배출권을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0)의 운영 주체와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동일한 경우, S1030 단계의 동작은 탄소 배출권을 획득하는 데에 필요한 인증 데이터(ex. S1020 단계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서버(100)가 탄소 배출권 인증 기관(400)에 공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의 운영 주체와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상이한 경우, S1030 단계의 동작은 탄소 배출권을 획득하는 데에 필요한 인증 데이터(ex. S1020 단계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서버(100)가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에 또는 탄소 배출권 인증 기관(400)에 공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S1030 단계에 따라 탄소 배출권을 획득한 경우, 서버(100)는 후술할 제2 실시예에 따라 탄소 배출권을 특정하는 증권형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도 7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가 수행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의 동작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S2010 단계에서, 서버(100)는 탄소 배출권을 특정하는 증권형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상술한 블록체인 네트워크(20)를 이용하여 탄소 배출권(ex. 탄소 배출권 증서)을 특정하는 증권형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서버(100)는 발행한 증권형 토큰의 가치를 증권형 토큰에 연동된 탄소 배출권의 실시간 시세와 페깅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증권형 토큰 하나의 가치는 증권형 토큰에 발행된 총 수량에 대응하여, 연동된 탄소 배출권의 전체 가치에 비례하여 나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탄소 배출권의 증서에 대해 발행된 토큰의 수량이 100개이고, 해당 탄소 배출권 증서의 시세가 특정 시점에 100,000원이라면, 해당 시점에서 토큰 1개의 가치는 100,000/100 = 1,000원으로, 탄소 배출권의 실시간 시세와 페깅될 수 있다.
S2020 단계에서, 서버(100)는 사용자가 수행한 탄소 저감 이벤트에 대한 증명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증명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저감시킨 탄소 저감량 판별할 수 있다.
S2030 단계에서, 서버(100)는 증명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증권형 토큰을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증명 데이터로부터 판별된 탄소 저감량을 기초로, 절감된 탄소 저감량과 비례하는 가치의 탄소 배출권 시세에 해당하는 수량의 증권형 토큰을 사용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S2020 단계와 S2030 단계의 실시예는 증명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도 8 내지 도 12의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는 제2 실시예에 따라 이동 수단의 이동 거리 별 탄소 배출량이 정의된 데이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이동 정보에 의해 판별된 탄소 저감량에 따라 사용자에게 지급할 증권형 토큰의 수량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탄소 배출 이동 수단 별로 이동 거리 별 탄소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를 기 저장할 수 있다. 증명 데이터는 사용자가 이동한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2020 단계에서, 서버(100)는 사용자가 증명 데이터를 기초로 탄소 배출 이동 수단을 대체하여 이동한 거리에 따라 저감된 탄소 배출량을 판별할 수 있다. 서버(100)는 기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200)이 전송한 증명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탄소 배출 이동 수단을 대체하여 이동한 거리에 따라 저감된 탄소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00)는 사용자가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이동 수단(ex. 자전거, 도보)을 통해 이동한 거리가 5km이상 10km 미만이면 지하철을 대체한 것으로, 10km이상이면 자동차를 대체한 것으로 판별하도록 기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송한 증명 데이터가 자전거를 통해 7km를 이동하였다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 사용자가 지하철을 통해 7km를 이동할 것을 자전거 등으로 대체한 것으로 판별하여, "지하철 1km 이동 시 탄소 배출량(60g) x 7km"을 계산하여 '420g'에 대한 탄소 배출량을 절감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S2030 단계에서, 서버(100)는 판별된 탄소 저감량 420g을 기초로, 절감된 탄소 저감량과 비례하는 가치의 탄소 배출권에 해당하는 수량의 증권형 토큰을 사용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20g'의 탄소 저감량에 대해 할당 받을 수 있는 탄소 배출권이 10,000원이고, 탄소 배출권을 특정하는 증권형 토큰 1개의 가치가 100원이라면, 10,000/100 = 100개에 해당하는 수량의 증권형 토큰을 사용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송한 증명 데이터가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이동 수단(ex. 자전거, 도보)을 통해 100km를 이동하였다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 사용자가 자동차를 통해 100km를 이동할 것을 자전거 등으로 대체한 것으로 판별하여, "자동차 1km 이동 시 탄소 배출량(200g) x 100km"을 계산하여 '20kg'에 대한 탄소 배출량을 절감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S2030 단계에서, 서버(100)는 판별된 탄소 저감량을 기초로, 절감된 탄소 저감량과 비례하는 가치의 탄소 배출권 시세에 해당하는 수량의 증권형 토큰을 사용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kg'의 탄소 저감량에 대해 할당 받을 수 있는 탄소 배출권이 200,000원이고, 탄소 배출권을 특정하는 증권형 토큰 1개의 가치가 100원이라면, 200,000/100 = 2,000개에 해당하는 수량의 증권형 토큰을 사용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한 이동 수단이 소량의 탄소를 배출하는 이동 수단(ex. 공공 자전거 등)이라면, 해당 이동 수단의 사용에 의해 발생한 탄소 배출량(ex. 공공 자전거 1대의 운영에 배출되는 탄소 배출량)을 탄소 저감량에서 차감하여 계산할 수 있다.
도 9은 제2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주행 정보를 판별하여 사용자의 이동 정보에 따른 보상을 차등적으로 지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이동 정보에 의해 판별된 탄소 저감량에 대해, 주행 정보에 따라 차등적인 비율을 적용하여 지급할 증권형 토큰의 수량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정보'란, 사용자가 이동 기구를 이용하여 절감한 탄소 저감량의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탄소 배출 교통 수단을 대체하여 공공 자전거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탄소 배출 교통 수단에 비해서는 탄소 배출을 절감한 것이지만, 공공 자전거의 운영에도 탄소가 발생(ex. 공공 자전거의 수거를 위한 차량에 의한 간접적 탄소 배출)하기 때문에 이러한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출퇴근과 같은 이동 자체의 목적뿐만 아니라, 운동이나 여가 등의 목적으로 이동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운동이나 여가 등의 주행 목적을 탄소 배출을 절감하는 행위로 보아야 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은 국가 별로 달리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절감한 탄소 저감량의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행 정보'를 판별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본 문서의 주행 정보는 사용자가 이용한 이동 기구의 종류 또는 사용자가 이동 기구를 이용하여 주행한 주행 목적을 판별하는 것으로 예시하지만, 본 문서의 실시예는 예시한 정보뿐만 아니라, 탄소 저감량의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증명 데이터는 사용자가 소정 거리를 이동하며 생성한 이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 사용자가 이동 기구를 이용하여 이동한 이동 경로, 이동 기구를 이용한 날짜와 시간, 이동 기구를 이용하여 이동에 소요된 이동 시간, 이동 기구를 이용하여 이동한 이동 거리, 사용자의 과거 주행 정보(ex. 이용한 이동 기구의 종류, 주행 목적 등), 사용자의 현재 주행 정보(ex. 이용한 이동 기구의 종류, 주행 목적 등), 이동 기구를 이용하는 데 소요한 금액, 이동 기구를 이용하여 대체한 교통 수단, 교통 수단을 대체하여 절감한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 정보는 사용자의 '과거' 이동 정보인 제1 이동 정보와, 사용자의 '현재' 이동 정보인 제2 이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과거'라 함은 사용자의 주행 정보를 판별하기 위해 레퍼런스가 되는 데이터가 생성된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현재'라 함은 실시간의 시점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주행 정보를 판별할 대상이 되는 데이터가 생성된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9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사용자의 주행 정보를 판별하기 위해 레퍼런스가 되는 과거 정보는 '제1'이라는 수식어를 붙여 지칭하고, 사용자의 주행 정보를 판별하기 위한 대상이 되는 현재 정보는 '제2'라는 수식어를 붙여 지칭하기로 한다.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평소에 이동 기구를 이용하며 생성된 데이터인 제1 이동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 정보는 제1 주행 정보, 제1 이동 경로 및 제1 이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100)가 획득하는 제2 이동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제2 주행 정보('제2 주행 정보'는 사용자가 현재 시점에 직접 입력한 정보로서 참인지 거짓인지 판단되지 않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제2 주행 정보가 참인지 거짓인지 판별할 수 있고, 거짓인 경우 해당 데이터를 반영하지 않거나, 사용자에게 재입력을 요청하거나, 서버(100)의 운영자가 제2 주행 정보가 맞는 것인지 수동으로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100)가 획득하는 제2 이동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제2 주행 정보('제2 주행 정보'는 사용자가 현재 시점에 직접 입력한 정보로서 참인지 거짓인지 판단되지 않은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 직접 사용자의 주행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이동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제1 주행 정보, 제1 이동 경로 및 제1 이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이동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제2 이동 경로 및 제2 이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제1 이동 정보 중 제2 이동 정보에 포함된 제2 이동 경로 및 제2 이동 시간과 가장 유사도가 높은 제1 이동 정보에 포함된 제1 주행 정보를 제2 이동 정보의 주행 정보로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1 이동 정보 중 제2 이동 경로와 유사도가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인 제1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제1 이동 정보를 제1 필터링하고, 제1 필터링된 제1 이동 정보 중 제2 이동 시간과 유사도가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인 제1 이동 시간을 포함하는 제1 이동 정보를 제2 필터링하여, 제2 필터링된 제1 이동 정보에 포함된 주행 정보 중 가장 높은 비율로 포함된 주행 정보를 상기 제2 이동 정보의 주행 정보로 판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이동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제1 주행 정보, 제1 이동 경로 및 제1 이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이동 정보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제2 이동 경로 및 제2 이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제1 이동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이동 경로 및 제1 이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1 주행 정보를 판별하도록 학습된 신경망을 생성하고, 생성된 신경망을 기초로 제2 이동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주행 정보를 판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2 이동 정보가 사용자가 입력한 제2 주행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제2 주행 정보와 신경망을 기초로 판별된 주행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제2 주행 정보가 참인지 거짓인지 판별할 수 있다. 제2 주행 정보와 신경망의 주행 정보가 서로 다르다면, 거짓으로 판단하여 서버(100)는 제2 주행 정보를 반영하지 않거나, 사용자에게 재입력을 요청하거나, 서버(100)의 운영자가 제2 주행 정보가 맞는 것인지 신경망의 출력 정보가 맞는 것인지 수동으로 체크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을 통해, S2020 단계에서, 서버(100)는 증명 데이터에 포함된 이동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절감시킨 탄소 저감량과, 사용자의 주행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00)는 제2 이동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대체한 교통 수단의 이동 거리 당 탄소 배출 계수에 사용자의 제2 이동 정보에 포함된 제2 이동 거리를 적용하여 탄소 저감량을 판별할 수 있다. 서버(100)는 교통 수단의 이동 거리 당 탄소 배출 계수를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계산하여 기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대체한 교통 수단은 도 8의 실시예를 적용하여 판별할 수 있다.
[수학식 3]
(: 교통 수단 A의 이동 거리 당 탄소 배출 계수 (kgCO2eq/km), : 교통 수단 A의 유종에 따른 기본 배출 계수 (kgCO2eq/TJ), : 유종 별 리터 당 순발열량 (MJ/l), : 교통 수단 A의 주행 시 유종별 연비 (km/l), : 교통 수단별 이용 인구에 따른 가중치)
유종 유종에 따른 배출계수
휘발유 0.15871 (㎏CO2eq/km)
경유 0.19701 (㎏CO2eq/km)
LPG 0.00198 (㎏CO2eq/km)
[ 의 예시]
여기서, (교통 수단별 이용 인구에 따른 가중치)는 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인구가 복수명인 경우를 고려하여 절감량을 계산하기 위한 가중치이다. 예를 들어, 1대의 지하철을 동시에 이용하는 평균 인구가 100명인 경우, 는 1(사용자 명수)/100(지하철 사용 평균 인구수) = 0.01과 같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탄소 배출 계수에 사용자의 제2 이동 거리를 적용하여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탄소 저감량을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4]
( : 탄소 저감량 (kgCO2eq), : 사용자가 교통 수단 A를 대체하여 주행한 이동 거리(km), : 교통 수단 A의 이동 거리 당 탄소 배출 계수 (kgCO2eq/km))
한편,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한 이동 수단이 소량의 탄소를 배출하는 이동 수단(ex. 공공 자전거 등)이라면, 해당 이동 수단의 사용에 의해 발생한 탄소 배출량(ex. 공공 자전거 1대의 운영에 배출되는 탄소 배출량)을 탄소 저감량에서 차감하여 계산할 수 있다.
S2030 단계에서, 서버(100)는 판별된 탄소 저감량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증권형 토큰을 지급하는 경우, 증권형 토큰의 지급 비율을 주행 정보에 따라 차등적으로 책정하여 지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00)는 각 주행 목적에 따라 보상에 적용할 비율을 기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0)는 판별된 주행 목적에 매핑된 비율을 판별된 탄소 저감량에 적용하여 보상을 책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별하려는 주행 정보가 주행 목적인 경우, 주행 목적은 출근(ex. 100%), 퇴근(ex. 100%), 비정기적인 이동 목적(ex. 90%), 여가 목적(ex. 80%), 운동 목적(ex. 10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판별된 주행 목적이 여가이고, 판별된 탄소 저감량이 100 kgCO2eq 인 경우, S2030 단계에서 서버(100)는 탄소 저감량을 90% x 100 kgCO2eq = 90 kgCO2eq 으로 산정하여, 90 kgCO2eq 절감 시 인정받을 수 있는 탄소 배출권의 가치와 대응하는 수량의 증권형 토큰을 지급할 수 있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가 중고 거래가 발생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의 실시예는 거래 발생 '시간'을 기준으로 중고 거래에 의한 탄소 저감량에 따라 사용자(ex. 판매자, 구매자, 중계 주체 등)에게 지급할 증권형 토큰의 수량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증명 데이터는 중고 거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명 데이터는 중고 거래 대상이 된 물품의 정보, 중고 거래를 수행한 주체의 정보, 물품의 중고 거래 내역(ex. 시간 또는 가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서버(100)는 중고 거래에 관여한 주체의 기여도와 중고 거래에 의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할 수 있다. 물품의 정보는 물품의 종류, 모델명, 생산년도, 구입년도, 물품의 신품 가격, 중고 가격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고 거래를 수행한 주체의 정보는 판매자의 정보, 구매자의 정보, 중고 거래의 중계 주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고 거래의 중계 주체는 중고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웹사이트 등을 제공하는 업체, 중고 거래 물품을 보관하는 업체 등 중고 거래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주체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의 중고 거래가 발생한 시간에 대한 정보는 물품의 정보가 업로드된 시간, 물품의 중고 가격이 판매자에게 입금된 시간 등 중고 거래가 성사된 것으로 인정될 수 있는 다양한 기준의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S2020 단계에서, 서버(100)는 중고 거래가 발생한 시간 이후에 물품에 의해 발생할 탄소 배출량을 기초로 제1 탄소 저감량을 계산하고, 중고 거래가 발생한 시간 이전에 물품에 의해 발생한 탄소 배출량을 기초로 제2 탄소 저감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물품의 평균 수명 동안 사용에 의해 배출되는 탄소량 중 물품의 중고 거래가 발생한 시간으로부터 물품의 평균 수명이 종료하는 시간까지의 비율에 대응하는 제1 탄소량과, 물품의 폐기 시 배출되는 제2 탄소량을 합산하여 제1 탄소 저감량을 도출할 수 있다. 즉, 본 문서의 실시예는 판매자가 물품을 판매함으로써, 물품의 남은 수명 동안 발생하는 추가 탄소 배출량을 절감시키고, 물품의 폐기를 방지하여 물품의 폐기 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절감시킨 것으로 보아 제1 탄소 저감량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물품의 생산 시 배출되는 제3 탄소량과, 물품의 평균 수명 동안 사용에 의해 배출되는 탄소량 중 물품의 출고 또는 최초 구매가 발생한 시간으로부터 물품의 중고 거래가 발생한 시간까지의 비율에 대응하는 제4 탄소량을 합산하여 제2 탄소 저감량을 도출할 수 있다. 즉, 도 10의 실시예는 구매자가 물품을 구매함으로써, 신규 물품의 추가 생산을 방지하여 물품의 생산 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저감시키고, 신규 물품을 구입해 사용하였을 경우 발생하였을 탄소 배출량을 저감시킨 것으로 보아 제2 탄소 저감량을 산정할 수 있다.
이하, 제1 탄소량 내지 제4 탄소량을 도출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일 예로, 서버(100)는 물품의 평균 수명, 물품의 사용 시 배출되는 탄소량이 정의된 데이터, 물품의 생산 시기, 판매자의 물품 구입 시기에 대한 정보를 기 저장하거나 외부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물품의 사용 시 배출되는 탄소량이 정의된 데이터로서 다음 표 2의 예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품 배출량
냉장고 0.287 (tCO2eq/개)
TV 0.374 (tCO2eq/개)
세탁기 0.376 (tCO2eq/개)
스마트폰 0.0389 (tCO2eq/개)
노트북 0.171 (tCO2eq/개)
데스크탑 0.223 (tCO2eq/개)
태블릿 0.0879 (tCO2eq/개)
가스레인지 0.176 (tCO2eq/개)
전기레인지 0.176 (tCO2eq/개)
전자레인지 0.0581 (tCO2eq/개)
커피머신 0.0416 (tCO2eq/개)
식기세척기 0.143 (tCO2eq/개)
서버(100)는 물품의 평균 수명, 물품의 사용 시 배출되는 탄소량이 정의된 데이터와 물품의 생산 년도 또는 구입 시기를 기초로 제1 탄소량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특정 물품의 평균 수명이 5년이고, 물품의 평균 수명 동안(5년)의 물품 사용 시 탄소 배출량이 3000 tCO2 이며, 판매자가 물품을 구입하여 1년간 사용한 경우, 물품의 평균 수명 동안 사용에 의해 배출되는 탄소량 중 물품의 중고 거래가 발생한 시간으로부터 물품의 평균 수명이 종료하는 시간(ex. 생산 년도 또는 구입 시기로부터 평균 수명을 더한 시점)까지의 비율에 대응하는 제1 탄소량을 (5-1)/5*3000 = 2400 tCO2 으로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중고 거래가 발생한 시간의 적용은 실제 중고 거래 시간과 상관없이 고정된 시간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상품이 출시된 이후 중고 거래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통계적으로 판별된 시점을 중고 거래가 발생한 시간으로 고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가령, A 상품이 출시된 이후 중고 거래되기 시작하는 시점이 1년이라면, 상술한 실시예의 적용 시 판매자의 사용 기간을 고정적으로 1년으로 적용할 수 있다.
서버(100)는 중고 거래 대상이 되는 물품을 특정하여, 해당 물품을 구성하는 부품을 판별할 수 있고, 서버(100)는 탄소 배출량이 정의된 데이터에 따라 부품의 제조 무게 별 탄소 배출량에 부품의 무게를 곱하여 각 부품의 제조 시 탄소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이 자전거인 경우, 서버(100)는 자전거를 구성하는 부품의 재질을 특정하고, 서버(100)는 제조 무게 별 탄소 배출량이 정의된 데이터에 따라 특정된 부품의 탄소 배출량에 부품의 무게를 곱하여 각 부품의 제조 시 탄소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서버(100) 는 판별된 모든 부품에 대해 계산된 탄소 배출량을 합산하여 자전거의 제조에 따른 제3 탄소량을 판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00)는 물품의 평균 수명, 물품의 사용 시 배출되는 탄소량이 정의된 데이터와 물품의 생산 년도를 기 저장하거나 외부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0)는 물품의 평균 수명, 물품의 사용 시 배출되는 탄소량이 정의된 데이터와 물품의 생산 년도를 기초로 제4 탄소량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와 같이, 특정 물품의 평균 수명이 5년이고, 물품의 평균 수명 동안(5년)의 물품 사용 시 탄소 배출량이 3000 tCO2 이며, 판매자가 물품을 구입하여 1년간 사용한 경우, 물품의 평균 수명 동안 사용에 의해 배출되는 탄소량 중 물품의 생산, 출고 또는 최초 구매가 발생한 시간으로부터 물품의 중고 거래가 발생한 시간까지의 비율에 대응하는 제4 탄소량을 1/5*3000 = 600 tCO2 으로 판별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탄소 저감량 및 제2 탄소 저감량을 기초로 중고 거래 데이터에 관여한 주체의 기여도를 책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판매자가 물품의 생산(10000 tCO2), 사용(3000 tCO2), 폐기(1000 tCO2) 과정에서 배출되는 총 탄소량 14000 tCO2 중 제1 탄소 저감량(3400 tCO2)을 절감시킨 것으로 산정하여, 판매자의 기여도를 3400/14000*100 = 24.3%로 판별할 수 있다. 서버(100)는 구매자가 물품의 생산(10000 tCO2), 사용(3000 tCO2), 폐기(1000 tCO2) 과정에서 배출되는 총 탄소량 14000 tCO2 중 제2 탄소 저감량(10600 tCO2)을 절감시킨 것으로 산정하여, 구매자의 기여도를 10600/14000*100 =75.7%로 판별할 수 있다.
S2030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탄소 저감량 및 제2 탄소 저감량의 비율 또는 제1 기여도와 제2 기여도의 비율을 기초로, 제1 탄소 저감량 및 제2 탄소 저감량의 합을 통해 할당 받을 수 있는 탄소 배출권의 가치에 대응하는 수량의 증권형 토큰을 판매자 및 구매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도 11과 같이, 중고 거래를 중계하는 중계 주체를 중고 거래와 관련된 주체로 더 포함하여, 중계 주체가 관여한 탄소 저감량 및 기여도를 판별할 수 있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라 중고 거래 시간을 기준으로 서버(100)가 판매자, 구매자 및 중계 주체 간의 기여도를 책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S2020 단계에서, 서버(100)는 중고 거래를 중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주체가 절감한 제3 탄소 저감량을 추가로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중계 주체는 서버(100)의 운영사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 주체는 서버(100)와는 별개의 제3의 중계 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중계 주체가 물품을 수리한 정보를 기초로 물품의 평균 수명에 비해 연장된 물품의 연장 수명을 판별할 수 있고, 판별된 물품의 연장 수명 동안 사용에 의해 절감되는 탄소량을 제3 탄소 저감량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본 문서의 실시예는 중계 주체가 물품을 수리함으로써, 물품의 수명을 연장시킨 기간만큼 또다른 제3의 물품 사용을 막음으로써 탄소 배출을 절감시킨 것으로 보아 제3 탄소 저감량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과 같이, 특정 물품의 평균 수명이 5년이고, 물품의 평균 수명 동안(5년)의 물품 사용 시 탄소 배출량이 3000 tCO2 인 상태에서, 중계 주체가 물품을 수리하여 수명을 1년 연장시킨 것으로 판별된 경우, 물품의 연장 수명 동안 사용에 의해 절감되는 제3 탄소 저감량을 1/(5+1)*3000 = 500 tCO2 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의 예시처럼, 판매자의 제1 탄소 저감량과, 구매자의 제2 탄소 저감량을 산정 시, 물품의 수명을 본래 수명(5년)에서 연장된 수명(1년)을 더하여 제1 탄소 저감량과 제2 탄소 저감량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중계 주체가 판매자로부터 물품을 인수하여 구매자에게 물품을 전달하기까지 보관 기간을 판별할 수 있고, 판별된 물품의 보관 기간 동안 사용에 의해 절감되는 탄소량을 제3 탄소 저감량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본 문서의 실시예는 중계 주체가 물품을 보관함으로써, 물품의 보관하여 사용을 막고 보관한 기간만큼 물품의 수명을 연장시켜 또다른 제3의 물품의 사용을 막음으로써 탄소 배출을 절감시킨 것으로 보아 제3 탄소 저감량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과 같이, 특정 물품의 평균 수명이 5년이고, 물품의 평균 수명 동안(5년)의 물품 사용 시 탄소 배출량이 3000 tCO2 이며, 중계 주체가 물품을 보관한 기간이 1년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물품의 보관 기간 동안 사용에 의해 절감되는 제3 탄소 저감량을 1/(5+1)*3000 = 500 tCO2 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의 예시처럼, 판매자의 제1 탄소 저감량과, 구매자의 제2 탄소 저감량을 산정 시, 물품의 수명을 본래 수명(5년)에서 보관 기간(1년)을 더하여 제1 탄소 저감량과 제2 탄소 저감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00)는 제1 탄소 저감량, 제2 탄소 저감량 및 제3 탄소 저감량을 기초로 중고 거래 데이터에 관여한 주체의 기여도를 책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판매자가 물품의 생산(10000 tCO2), 사용(3000 tCO2), 폐기(1000 tCO2) 과정에서 배출되는 총 탄소량 14000 tCO2 중 제1 탄소 저감량(3000 tCO2)을 절감시킨 것으로 산정하여, 판매자의 기여도를 3000/14000*100 = 21.4%로 판별할 수 있다. 서버(100)는 구매자가 물품의 생산(10000 tCO2), 사용(3000 tCO2), 폐기(1000 tCO2) 과정에서 배출되는 총 탄소량 14000 tCO2 중 제2 탄소 저감량(10500 tCO2)을 절감시킨 것으로 산정하여, 구매자의 기여도를 10500/14000*100 =75%로 판별할 수 있다. 서버(100)는 중계 주체가 물품의 생산(10000 tCO2), 사용(3000 tCO2), 폐기(1000 tCO2) 과정에서 배출되는 총 탄소량 14000 tCO2 중 제3 탄소 저감량(500 tCO2)을 절감시킨 것으로 산정하여, 중계 주체의 기여도를 500/14000*100 =3.6%로 판별할 수 있다.
S2030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탄소 저감량, 제2 탄소 저감량 및 제3 탄소 저감량의 비율 또는 제1 기여도, 제2 기여도 및 제3 기여도의 비율을 기초로, 제1 탄소 저감량, 제2 탄소 저감량 및 제3 탄소 저감량의 합을 통해 할당 받을 수 있는 탄소 배출권의 가치에 대응하는 수량의 증권형 토큰을 판매자, 구매자, 중계 주체에게 분배할 수 있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라 거래 가격을 기준으로 서버(100)가 판매자, 구매자 및 중계 주체 간의 기여도를 책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의 실시예는 거래 성사 '가격'을 기준으로 중고 거래에 의한 탄소 저감량에 따라 사용자(ex. 판매자, 구매자, 중계 주체 등)에게 지급할 증권형 토큰의 수량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증명 데이터는 중고 거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명 데이터는 중고 거래 대상이 된 물품의 정보, 중고 거래를 수행한 주체의 정보, 물품의 중고 거래 내역(ex. 시간 또는 가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서버(100)는 중고 거래에 관여한 주체의 기여도와 중고 거래에 의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할 수 있다. 물품의 정보는 물품의 종류, 모델명, 생산년도, 구입년도, 물품의 신품 가격, 중고 가격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고 거래를 수행한 주체의 정보는 판매자의 정보, 구매자의 정보, 중고 거래의 중계 주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고 거래의 중계 주체는 중고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웹사이트 등을 제공하는 업체, 중고 거래 물품을 보관하는 업체 등 중고 거래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주체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의 중고 거래가 성사된 가격에 대한 정보는 판매자가 업로드한 물품의 중고 가격 정보, 구매자로부터 입금된 가격 등 중고 거래가 성사된 것으로 인정될 수 있는 다양한 기준의 가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S2020 단계에서, 서버(100)는 물품의 신품 가격과 중고 거래 가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판매자가 물품의 폐기를 대체하는데 기여한 제1 기여도와 구매자가 물품의 생산을 대체하는데 기여한 제2 기여도를 책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신품 가격과 중고 거래 가격의 합가격에 대한 중고 거래 가격의 비율을 제1 기여도로 책정하고, 합가격에 대한 신품 가격의 비율을 제2 기여도로 책정할 수 있다. 가령, 신품 가격이 10000원이고, 거래가 성사된 중고 가격이 5000원이라면, 서버(100)는 판매자가 물품의 폐기를 대체하여 탄소 배출을 절감시킨 것으로 보아 제1 기여도를 5000/(10000+5000)*100 = 33.3% 로 책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구매자가 물품의 생산을 대체하여 탄소 배출을 절감시킨 것으로 보아 제2 기여도를 10000/(10000+5000)*100 = 66.7% 로 책정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기여도와 제2 기여도를 기초로 판매자가 절감한 제1 탄소 저감량과 구매자가 절감한 제2 탄소 저감량을 판별할 수 있다. 서버(100)는 물품의 생산, 사용 및 폐기 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과정에 의해 배출되는 탄소 배출량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물품을 구성하는 부품의 제조 무게 별 탄소 배출량이 정의된 데이터를 기초로 물품의 생산 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물품의 평균 수명, 물품의 사용 시 배출되는 탄소량이 정의된 데이터를 기초로 물품의 사용 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물품을 구성하는 부품의 폐기 무게 별 탄소 배출량이 정의된 데이터를 기초로 물품의 폐기 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 물품의 생산, 사용 및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의 계산은 도 10과 함께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100)는 판별된 탄소 배출량에 대한 제1 기여도의 비율을 판매자의 제1 탄소 저감량으로 판별하고, 판별된 탄소 배출량에 대한 제2 기여도의 비율을 구매자의 제2 탄소 저감량으로 판별할 수 있다.
S2030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기여도 및 제2 기여도의 비율을 기초로, 제1 탄소 저감량 및 제2 탄소 저감량의 합을 통해 할당 받을 수 있는 탄소 배출권의 가치에 대응하는 수량의 증권형 토큰을 판매자 및 구매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도 12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S2020 단계에서, 서버(100)는 물품의 사용 과정에 의해 배출되는 '사용' 탄소 배출량(ex. 3000 tCO2)을 기준으로 각 주체의 기여도를 적용한 후, 각 주체가 절감한 탄소 저감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의 생산, 사용, 폐기 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도 10의 예시로 가정할 때, 서버(100)는 사용 탄소 배출량에 대한 제1 의 비율의 탄소 배출량에 물품의 폐기 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ex. 1000 tCO2)을 더한 양을 판매자의 제1 탄소 저감량(=3000*1/3+1000 = 2000 tCO2)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사용 탄소 배출량(ex. 3000 tCO2)에 대한 제2 기여도(ex. 66.7%)의 비율의 탄소 배출량에 물품의 생산 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10000 tCO2)을 더한 양을 구매자의 제2 탄소 저감량(=3000*2/3+10000 = 12000 tCO2)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각 주체의 기여도를 '사용' 탄소 배출량에 적용하고, 판매자는 물품의 폐기 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모두 절감시킨 것으로 산정하고, 구매자는 물품의 생산 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모두 절감시킨 것으로 산정하는 실시예이다.
S2030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탄소 저감량 및 제2 탄소 저감량의 비율을 기초로, 제1 탄소 저감량 및 제2 탄소 저감량의 합을 통해 할당 받을 수 있는 탄소 배출권의 가치에 대응하는 수량의 증권형 토큰을 판매자 및 구매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도 12의 또 다른 실시예로, S2020 단계에서, 서버(100)는 중고 거래를 중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주체가 탄소 감축 수단인 중고 거래를 장려하는 데에 기여한 제3 기여도를 추가로 책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 가격은 중계 주체가 수행한 전체 중고 거래 건수에 대한 중계 주체의 중고 거래 서비스 운영 비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 가격은 중계 주체가 물품에 대한 중고 거래 중계 시 물품을 수리하는 데에 발생한 비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서 서버(100)는 신품 가격(10000원), 중고 거래 가격(5000원) 및 중계 주체가 중고 거래를 중계하는 데에 발생한 중계 가격(1500원)의 합가격(16500원)에 대한 중고 거래 가격(5000원)의 비율을 제1 기여도(=30.3%)로 책정하고, 합가격(16500원)에 대한 신품 가격(10000원)의 비율을 제2 기여도(=60.7%)로 책정하고, 합가격(16500원)에 대한 중계 가격(1500원)의 비율을 제3 기여도(=9%)로 책정할 수 있다.
서버(100)는 중계 주체가 기여한 제3 기여도를 기초로 중계 주체가 절감한 제3 탄소 저감량을 추가로 판별할 수 있다. 서버(100)가 판별한 탄소 배출량이 10000 tCO2 이고, 제1 기여도가 30.3%, 제2 기여도가 60.7%, 제3 기여도가 9%일 때, 서버(100)는 판매자의 제1 탄소 저감량을 * 10000 = 3000 tCO2, 구매자의 제2 탄소 저감량을 * 10000 = 6000 tCO2, 중계 주체의 제3 탄소 저감량을 * 10000 = 1000 tCO2 으로 판별할 수 있다.
S2030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탄소 저감량, 제2 탄소 저감량 및 제3 탄소 저감량의 비율을 기초로, 제1 탄소 저감량, 제2 탄소 저감량 및 제3 탄소 저감량의 합을 통해 할당 받을 수 있는 탄소 배출권의 가치에 대응하는 수량의 증권형 토큰을 판매자, 구매자, 중계 주체에게 분배할 수 있다.
상술한 도 8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에게 증권형 토큰이 지급된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지급한 증권형 토큰을 소정의 계약사가 지급 보증하는 계약사 포인트로 교환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계약사가 계약사 포인트를 보증함에 따라 증명 데이터 또는 증명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생한 수익 중 일부를 계약사에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의 주체에게 매출 채권에 대한 채무가 있는 경우, 서버(100)는 증명 데이터를 통해 발생된 증권형 토큰의 일부를 매출 채권의 채권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100)의 일 실시예는 도 2의 (a), (b) 및 (1) 내지 (6)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의 (a), (b) 및 (1) 내지 (6)의 식별 부호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기호와 숫자가 사용되었을 뿐, 식별 부호가 실시예의 시계열적 순서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문서의 실시예는 도 2의 (a), (b) 및 (1) 내지 (6)의 순서를 달리하여 동작이 수행될 수 있고, 도 2의 (a), (b) 및 (1) 내지 (6) 중의 특정 단계가 생략 또는 변경되어 수행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a)에서, 서버(100)의 운영사는 채권자(500)로부터 투자 또는 지원을 받아 소정의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으며, 도 2의 (b)에서 서버(100)의 운영사는 채권자(500)에게 매출 채권에 기한 수익을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채권자(500)에게 지급하기로 계약된 가치에 대응하는 수량의 증권형 토큰을 채권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도 2의 (1)에서, 서버(100)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 증권형 토큰을 지급할 수 있다.
도 2의 (2)에서, 서버(100)는 계약사 서버(300)가 사용/지급 보증하는 계약사 포인트 사용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약사 포인트 사용 권한은 특정 사용자가 계약사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사용자 계정에 부여하는 데이터, 또는 특정 사용자가 계약사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객체 데이터(ex. 후술할 '계약사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3)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신청에 따라 사용자가 보유한 증권형 토큰을 기 설정된 비율의 계약사 포인트로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비율은 증권형 토큰의 가격이 탄소 배출권의 시세로 책정된 상태에서 계약사 포인트의 가치가 탄소 배출권의 시세 보다 높은 가치를 갖는 비율로 교환되게끔 기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탄소 배출권의 시세를 기초로 증명 데이터에 의해 획득 가능한 탄소 배출권에 비례하는 수량의 증권형 토큰을 사용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 배출권의 시세가 1톤 당 20,000원인 경우, 사용자가 20kg의 탄소 배출량을 저감시킨 것으로 판별되면, 서버(100)는 20kg x 200(원/1kg) = 4,000원에 해당하는 수량의 증권형 토큰을 사용자 단말(200)에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000원 가치의 증권형 토큰은 서버(100) 또는 서버(100)와 제휴된 제휴 서버(100)에서 상품의 구매 또는 서비스의 이용을 통해 차감될 수 있다. 증권형 토큰은 사용자가 상품의 구매 또는 서비스의 이용함에 따라 차감되어 사용자의 증권형 토큰은 서버(100)로 이전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가 증권형 토큰을 사용하여 서버(100)로 이전된 증권형 토큰에 대응하는 금액을 수익으로 집계할 수 있다.
증권형 토큰은 사용자의 교환 신청에 따라 후술할 계약사 포인트로 교환이 가능한 예비적 청구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 단말(200)에 지급된 증권형 토큰을 기 설정된 비율의 계약사 포인트로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율은 증권형 토큰의 가격이 탄소 배출권의 시세로 책정된 상태에서 상기 계약사 포인트의 가치가 탄소 배출권의 시세와 같거나, 탄소 배출권의 시세 보다 높은 가치를 갖는 비율로 교환되게끔 기 설정될 수 있다. 즉, 증권형 토큰의 10개 가격이 탄소 배출권의 시세와 페깅되어 10,000원이라고 할 때, 토큰 10개는 10,000원 이하의 계약사 포인트로 교환될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수학식 5와 같다.
[수학식 5]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비율이 탄소 배출권 시세의 80% 가격으로 카드사 포인트가 지급된다고 기 설정되어 있다면, 10,000원에 해당하는 증권형 토큰 10개는 카드사 포인트 8,000원으로 교환될 수 있다. 이때 발생하는 차익 2,000원의 가치는 서버(100)의 수익으로 집계될 수 있다. 이때의 수익의 일부는 매출 채권의 정보나 계약 사항에 따라 타 주체(ex. 채권자, 계약사)에게 지급될 수 있다. 가령, 서버(100)의 운영사는 채권자(500)에게 매출 채권에 기한 수익을 지급할 수 있다. 서버(100)는 계약사가 계약사 포인트의 사용을 보증함에 따라 증명 데이터 또는 증명 데이터에 기초한 수익 중 일부를 계약사에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채권자(500) 또는 계약사 서버(300)에 지급하기로 계약된 가치에 대응하는 수량의 증권형 토큰을 지급할 수 있다.
서버(100)는 복수의 계약사 각각으로부터 계약사 포인트 사용 권한을 획득하고, 사용자의 신청에 따라 복수의 계약사 중 사용자가 선택한 계약사의 계약사 포인트를 사용자의 증권형 토큰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계약사는 A 카드사와 B 카드사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서버(100)는 탄소 배출권의 시세의 50% 비율로 증권형 토큰과 A 카드사의 A 포인트를 교환하기로 설정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가 자신의 증권형 토큰을 A 포인트로 교환을 요청한 경우, 사용자가 탄소 배출권의 시세를 기준으로 4,000원에 해당하는 증권형 토큰을 A 카드사의 A 포인트를 교환 요청 시, 4,000원의 증권형 토큰은 원의 A 포인트로 교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탄소 배출권의 시세의 70% 비율로 증권형 토큰과 B 카드사의 B 포인트를 교환하기로 설정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가 자신의 증권형 토큰을 B 포인트로 교환을 요청한 경우, 사용자가 탄소 배출권의 시세를 기준으로 4,000원에 해당하는 증권형 토큰을 B 카드사의 B 포인트를 교환 요청 시, 4,000원의 증권형 토큰은 원의 B 포인트로 교환될 수 있다.
도 2의 (4)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지급받은 계약사 포인트를 가맹점(350)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2의 (5)에서, 계약사 서버(300)는 가맹점(350)에서의 계약사 포인트 사용을 보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약사 서버(300)는 가맹점(350)에서 사용자가 사용한 계약사 포인트에 해당하는 현금을 가맹점(350)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도 2의 (6)에서, 서버(100)는 계약사가 계약사 포인트의 사용을 보증함에 따라 증명 데이터 또는 증명 데이터에 기초한 수익 중 일부를 상기 계약사에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계약사에 지급하기로 계약된 가치에 대응하는 수량의 증권형 토큰을 계약사에게 지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00)는 획득한 증명 데이터 또는 탄소 배출권을 기초로 발생한 수익을 증권형 토큰을 보유한 사용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가 증권형 토큰을 보유한 수량에 비례하도록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탄소 배출권의 권리 또는 가치가 개개인에게 분배될 수 있도록 탄소 배출권을 특정하는 증권형 토큰을 발행하고, 사용자가 수행한 탄소 저감 이벤트에 대한 증명 데이터를 통해 탄소 저감량을 객관적으로 산출함으로써, 탄소 배출을 저감시키기 위한 개개인의 노력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탄소 배출권을 증권형 토큰으로 발행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하여, 탄소 배출권 시장의 유동성과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자신이 절감한 탄소량과 그에 따른 보상을 확인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는 주체는 탄소 저감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문서의 실시예는 정부 정책 및 시대적 요구에 적극적으로 호응하는 탄소 배출의 저감에 따른 인센티브 제도를 적극적으로 운영하게 할 수 있게 하고, 탄소 저감에 대한 노력을 장려하는 투자와 지원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바람직한 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 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예: 전자 장치)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 메모리 버퍼, 하드 드라이브, 데이터베이스,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read-only memory), ROM(read-only memory) 및/또는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들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및/또는 등등 일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통합 이전에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10)

  1.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동작 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은
    이동 기구를 이용하여 교통 수단의 이용을 대체하는 경우 상기 이동 기구의 이동 거리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수행한 탄소 저감 이벤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관여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 및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관여한 탄소 저감량을 기초로 탄소 배출권을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탄소 저감량 판별하는 동작은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에 의해 감축된 제1 탄소량을 판별하는 동작;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에 의해 배출되는 제2 탄소량을 판별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탄소량에 상기 제2 탄소량을 차감하여 상기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은
    상기 탄소 배출권을 특정하는 증권형 토큰을 발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기구를 이용한 주행 목적을 판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기구의 이동 거리에 대한 보상은,
    상기 판별된 주행 목적에 매핑된 보상 비율에 따라 차등적으로 책정되는,
    서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는,
    이동 기구의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 저감량 판별하는 동작은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에 포함된 이동 기구의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에 의해 대체된 교통 수단을 판별하는 동작; 및
    상기 대체된 교통 수단의 이동 거리 당 탄소 배출 계수를 기초로 상기 이동 거리에 따른 탄소 저감량을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관여한 탄소 저감량으로 판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서버.
  6.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동작 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은
    이동 기구를 이용하여 교통 수단의 이용을 대체하는 경우 상기 이동 기구의 이동 거리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수행한 탄소 저감 이벤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관여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 및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관여한 탄소 저감량을 기초로 탄소 배출권을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는,
    이동 기구의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은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에 포함된 이동 기구의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에 의해 대체된 교통 수단을 판별하는 동작; 및
    상기 대체된 교통 수단의 이동 거리 당 탄소 배출 계수를 기초로 상기 이동 거리에 따른 탄소 저감량을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관여한 탄소 저감량으로 판별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탄소 저감량은 하기 수학식 1을 기초로 판별되고,
    [수학식 1]

    ( : 탄소 저감량 (kgCO2eq), : 사용자가 교통 수단 A를 대체하여 주행한 이동 거리(km), : 교통 수단 A의 이동 거리 당 탄소 배출 계수 (kgCO2eq/km))
    상기 탄소 배출 계수는 하기 수학식 2를 기초로 구해지는,
    [수학식 2]

    (: 교통 수단 A의 이동 거리 당 탄소 배출 계수 (kgCO2eq/km), : 교통 수단 A의 유종에 따른 기본 배출 계수 (kgCO2eq/TJ), : 유종 별 리터 당 순발열량 (MJ/l), : 교통 수단 A의 주행 시 유종별 연비 (km/l), : 교통 수단별 이용 인구에 따른 가중치)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는,
    이동 기구의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 저감량 판별하는 동작은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에 포함된 이동 기구의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에 의해 대체된 교통 수단을 판별하는 동작; 및
    상기 대체된 교통 수단의 이동 거리 당 탄소 배출 계수를 기초로 상기 이동 거리에 따른 제1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 및
    상기 이동 기구가 탄소를 배출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 기구의 운영에 탄소가 배출되는 경우, 상기 제1 저감량에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해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차감한 탄소 저감량을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관여한 탄소 저감량으로 판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는,
    상기 이동 기구가 중고 거래된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은,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해 발생하는 탄소의 기본 배출량에서 상기 이동 기구의 수명에 대한 상기 이동 기구의 사용 기간의 비율, 또는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해 발생하는 탄소의 기본 배출량에서 상기 이동 기구의 수명에 대한 상기 이동 기구의 잔여 수명의 비율에 대응하는 수치를 기초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서버.
  9. 서버가 수행하는 동작 방법에 있어서,
    이동 기구를 이용하여 교통 수단의 이용을 대체하는 경우 상기 이동 기구의 이동 거리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수행한 탄소 저감 이벤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관여한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 및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관여한 탄소 저감량을 기초로 탄소 배출권을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탄소 저감량 판별하는 동작은
    상기 탄소 저감 이벤트에 의해 감축된 제1 탄소량을 판별하는 동작;
    상기 플랫폼 서비스의 운영에 의해 배출되는 제2 탄소량을 판별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탄소량에 상기 제2 탄소량을 차감하여 상기 탄소 저감량을 판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10. 제9항의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230130050A 2023-03-27 2023-09-27 교통 수단 대체 기반의 보상 제공 플랫폼 운영에 따른 탄소 배출권 획득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646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0050A KR102646512B1 (ko) 2023-03-27 2023-09-27 교통 수단 대체 기반의 보상 제공 플랫폼 운영에 따른 탄소 배출권 획득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9673A KR102585714B1 (ko) 2023-03-27 2023-03-27 플랫폼 서비스 운영 기반 탄소 배출권 획득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30130050A KR102646512B1 (ko) 2023-03-27 2023-09-27 교통 수단 대체 기반의 보상 제공 플랫폼 운영에 따른 탄소 배출권 획득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9673A Division KR102585714B1 (ko) 2023-03-27 2023-03-27 플랫폼 서비스 운영 기반 탄소 배출권 획득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512B1 true KR102646512B1 (ko) 2024-03-12

Family

ID=882960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9673A KR102585714B1 (ko) 2023-03-27 2023-03-27 플랫폼 서비스 운영 기반 탄소 배출권 획득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30130050A KR102646512B1 (ko) 2023-03-27 2023-09-27 교통 수단 대체 기반의 보상 제공 플랫폼 운영에 따른 탄소 배출권 획득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9673A KR102585714B1 (ko) 2023-03-27 2023-03-27 플랫폼 서비스 운영 기반 탄소 배출권 획득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857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157A (ko) * 2012-11-26 2016-08-31 프리휠러 피티와이 리미티드 통근자에게 보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43600A (ko) * 2021-04-16 2022-10-25 내셔날 충싱 유니버시티 탄소 배출권의 계산 방법
KR102465942B1 (ko) * 2022-01-11 2022-11-11 라이트브라더스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이동기구의 중고거래 내역 트래킹 기반 탄소 배출권 획득 서비스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795A (ko) * 2014-12-09 2016-06-17 주식회사 소나클로 온라인 중고품 판매 방법
KR102492218B1 (ko) * 2022-05-23 2023-01-27 주식회사 중고나라 중고 거래를 통한 탄소 배출 저감량의 모델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157A (ko) * 2012-11-26 2016-08-31 프리휠러 피티와이 리미티드 통근자에게 보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43600A (ko) * 2021-04-16 2022-10-25 내셔날 충싱 유니버시티 탄소 배출권의 계산 방법
KR102465942B1 (ko) * 2022-01-11 2022-11-11 라이트브라더스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이동기구의 중고거래 내역 트래킹 기반 탄소 배출권 획득 서비스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6162호: 자전거 이용자에게 탄소배출권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714B1 (ko) 202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094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중고차 정보 제공 및 매매 시스템
JPH11501423A (ja) 当座貸越保護型のクライエント財務勘定を管理する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20140188675A1 (en) Expense Calculation and Business Reporting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CN101937541A (zh) 一种用于评价客户信用度的方法及设备
US20220398619A1 (en) A method for credit card integration within a product tree based multi-level marketing system
Adhami et al. Initial coin offerings: Tokens as innovative financial assets
CN109214892A (zh) 一种电子商务平台管理系统
CN107636717A (zh) 提供在线定金、抵押物、债券和/或担保品的自动化担保的融资
CN108711102A (zh) 贷款方法及系统、设备和存储介质
CN109074592A (zh) 用于独立实时奖励的方法和系统
JPH08510579A (ja) 危機管理契約の締結と処理に関する方法及び装置
CN110659992A (zh) 基于区块链的重金属交易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08885755A (zh) 用于交易后奖励的方法和系统
CN111798257A (zh) 一种新型福利消费商业系统及方法
KR20210152423A (ko) 상품거래관리컴퓨터, 상품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46512B1 (ko) 교통 수단 대체 기반의 보상 제공 플랫폼 운영에 따른 탄소 배출권 획득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80026899A (ko) 온라인 사후 면세점의 세금 즉시 환급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646362B1 (ko) 탄소 저감 이벤트에 따른 탄소 배출권 기반의 증권형 토큰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36067B1 (ko) 소비자의 블록체인 기반 가상 자산의 실사용 결제 및 교환을 통한 환경 보호 관련 사업 시스템
CN108932615A (zh) 一种数字资产交易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andner et al. The Programmable Euro: Review and Outlook
RU59288U1 (ru) Информационно-аналитическая и торгово-опер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нных торгов нефт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и газа
TWI834380B (zh) 基於線上交易的回饋共享系統及其回饋共享方法
KR102586905B1 (ko) 중고 거래에 관여한 주체의 탄소 배출 절감 기여도 책정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86904B1 (ko) 중고 거래 시간 기준의 탄소 배출 절감 기여도 책정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