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596B1 -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색각 보정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색각 보정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596B1
KR102429596B1 KR1020150151912A KR20150151912A KR102429596B1 KR 102429596 B1 KR102429596 B1 KR 102429596B1 KR 1020150151912 A KR1020150151912 A KR 1020150151912A KR 20150151912 A KR20150151912 A KR 20150151912A KR 102429596 B1 KR102429596 B1 KR 102429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navigation
digital map
type
color 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416A (ko
Inventor
이근영
김은수
문상용
정혜선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1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59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1Personalized guidance, e.g. limited guidance on previously travelled ro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색각 보정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내비게이션에 상기 내비게이션 사용자의 색각 유형별 요소를 구분한 데이터와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단계, 상기 내비게이션에서 상기 내비게이션에 표출되는 디지털 지도의 표시 종별을 정보요소와 배경요소로 구분하는 제2단계, 상기 내비게이션이 상기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데이터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사용자의 색각 유형별 요소를 매칭하여 매칭값에 해당하는 RGB code 변환값을 생성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내비게이션이 상기 디지털 지도의 표시 종별 중에 상기 정보요소에 해당하는 배색 모델을 대상으로는 상기 RGB code 변환값을 보정 적용하고, 상기 배경요소에 해당하는 배색 모델은 일정 범위의 명도와 채도 값을 적용하여 상기 디지털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제4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짐으로서, 상기 내비게이션 사용자를 위한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환경의 정보 인지 측면의 색각 보정 및 의도된 감성의 전달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색각 보정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Color Vision Correction Methods for Providing Digital Maps of Car Naviga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색각 보정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사용자의 색각 유형별 요소를 구분한 데이터와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디지털 지도의 표시종별의 배색 모델을 대상으로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색각 유형별 요소를 매칭 적용하여 내비게이션 디지털 지도의 색각 보정 및 판독을 용이하게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색각 보정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색채는 인간이 정보를 지각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많은 경우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색채를 적절하게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인간의 시각체계가 모두 동일하다는 기본적인 생각에서 출발하고 있기 때문에 색채를 인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인 고령자나 색각이상자를 배려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선진국의 경우에는 공공디자인이나 공공문화서비스 진행 시 고령자나 색각이상자 등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여 시각적 특성을 고려 한 유니버설디자인을 의무화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색각이상자를 배려한 색채 사용 등 컬러유니버설에 대한 문제 해결 및 관련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서 색각이상자 들을 위한 색채변환기술의 색채변환기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고령자나 색각 이상자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중에서도 약간의 색각 이상을 가진 사용자들에게 빠르고 효과적인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색각 보정 디지털 지도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도 요구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3244호에서와 같이 비주얼 컨텐츠를 터미널 사용자의 색각 특성에 적합하도록 적응 변환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이 공지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공지의 기술은 사용자로부터 색각특성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사용자의 색각특성에 따라 비주얼 컨텐츠를 적응 변환하여 출력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입력 비주얼 컨텐츠 픽셀을 RGB to LMS 검출하고, 검출영역 픽셀의 RGB to HIS 변환하여, 수정된 HIS to RGB 제공하는 것과 같은 복잡한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복잡한 알고리즘의 적용은 프로세서의 부하를 많이 사용할뿐더러 내비게이션과 같은 특정 프로세스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디지털 지도 고유 배색 모델을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데이터에 매칭하여 직관적이고 손쉽게 서비스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색각 보정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이 요구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고령자 또는 색각이상을 갖는 내비게이션 사용자의 색각 유형별 요소와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 종별 디지털 지도 배색모델에 해당 매칭값을 적용하고 정확한 인지효과를 위한 최적의 표시상태를 상기 내비게이션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내비게이션 디지털 지도의 표시 요소를 정보인지측면의 효율화에 따른 객관적 요소와 주관적 요소로 분류하여 시각화 상태에서의 인지 최적화를 위한 디지털 지도 표시 종별의 색각을 보정하는 디지털 지도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에 상기 내비게이션 사용자의 색각 유형별 요소를 구분한 데이터와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단계, 상기 내비게이션에서 상기 내비게이션에 표출되는 디지털 지도의 표시 종별을 정보요소와 배경요소로 구분하는 제2단계, 상기 내비게이션이 상기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데이터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사용자의 색각 유형별 요소를 매칭하여 매칭값에 해당하는 RGB code 변환값을 생성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내비게이션이 상기 디지털 지도의 표시 종별 중에 상기 정보요소에 해당하는 배색 모델을 대상으로는 상기 RGB code 변환값을 보정 적용하고, 상기 배경요소에 해당하는 배색 모델은 일정 범위의 명도와 채도 값을 적용하여 상기 디지털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제4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짐으로서, 상기 내비게이션 사용자를 위한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환경의 정보 인지 측면의 색각 보정 및 의도된 감성의 전달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색각 보정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은 색각 유형별 색채 변환값 데이터인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지도 배색모델에 해당 매칭값을 적용하여 내비게이션 사용자에게 정확한 인지효과를 위한 최적의 디지털 지도 표시상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색채기호를 정보로 인지하는 부분에서 노령자 및 전세계 약 12%의 색각이상을 가진 사용자에게도 내비게이션의 접근성을 보장하고 지도 서비스 주체가 의도한 디지털 지도의 배색모델을 맞춤형으로 제공하여 사용성과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색각 보정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색각 이상 분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데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디지털 지도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색각 보정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사용자의 색각 정보와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를 저장하는 제1단계(S110), 상기 내비게이션에서 표출되는 디지털 지도의 표시 종별을 정보요소와 배경요소로 구분하는 제2단계(S120), 상기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에 상기 내비게이션에서 표출되는 디지털 지도의 정보요소에 해당하는 Hexa code와 상기 사용자의 색각 정보를 매칭하는 제3단계(S130) 및 색각 보정된 디지털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제4단계(S14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단계(S110)는 상기 내비게이션에 상기 내비게이션 사용자의 색각 유형별 요소를 구분한 데이터와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이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내비게이션은 일반적인 내비게이션 기능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면서, 표출되는 디지털 지도의 표시 종별을 정보요소와 배경요소로 구분하고,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디지털 지도의 표시 종별에 따른 배색 모델을 대상으로 색각 정보를 보정하여 상기 디지털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사용자의 색각 유형별 요소란 상기 사용자가 망막 내의 시세포 중 하나인 원뿔세포 또는 원추세포(Cone cell)를 통해 색을 인식함에 있어서, 적색과 녹색을 구분하지 못하는 적녹색맹 유형, 청색과 녹색, 또는 황색을 구분하지 못하는 청색맹 유형 또는 색상을 전혀 구분하지 못하고 명암 대비로만 색체 정보를 인지하는 전색맹 유형 중의 어느 하나에 대한 유형별 특징 요소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색각 유형별 특징 요소의 분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색각 이상 분류를 표로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색각 유형별 요소를 명칭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C형(정상색각), A형(전색맹), P형(제1이상), D형(제2이상), T형(제3이상)으로 표현하며, 이를 기준으로 색각 유형을 명기할 시에 대부분의 색각이상 유형는 'P형'과 'D형'이며, 'T형'은 비교적 적고, 전색맹이나 전색약은 극히 드물다.
그러므로 상기 내비게이션 사용자의 색각 유형별 요소인 색의 지각적인 차이를 시뮬레이션 한 후 사용자의 색각 유형을 상기 내비게이션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단계(S110)에서는 상기 내비게이션이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데이터란 216개의 웹 안전색을 대상으로 Adobe Illustrator CS 2.0 프로그램에서 'VischeckPS version 1.01' 플러그인을 활용하여 적색이상(P형), 녹색이상(D형), 청색이상(T형) 등 색각 유형별로 시뮬레이션 결과를 적용하여 'HSB'또는 'L*a*b*' 값으로 정리한 데이터이다.
상기 시뮬레이션 시 적용한 Gamma값은 비섹플러그인의 default값인 240이고, 작업한 일러스트레이터 프로그램 색공간은 'sRGB IEC61966-2.1'을 적용하였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색각 유형별 컬러팔레트 데이터의 L*a*b의 유형별 테이블의 일부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각 색체 요소에 따른 Hexa code 값과 L*a*b의 유형별 테이블이 도시되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 색각 유형별 컬러팔레트 데이터는 2014년 한국색채학회가 발행한 연구 자료와 KCI에 등재된 신뢰성이 확보된 데이터를 참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L*a*b*' 값으로 정리한 데이터 테이블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L*a*b*' 값으로 정리한 데이터 테이블과 HSB 테이블로 정리한 데이터 테이블이 사용되어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단계(S110)까지의 과정을 통하여 상기 내비게이션에는 상기 내비게이션 사용자의 색각 유형별 요소와 상기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어진다.
상기 제2단계(S120)는 상기 내비게이션에서 상기 내비게이션에 표출되는 디지털 지도의 표시 종별을 정보요소와 배경요소로 구분하는 단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디지털 지도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내비게이션에 표출되는 디지털 지도의 표시 종별중의 정보요소에 대하여는 상기 디지털 지도에서 기능 또는 상징적으로 작용하는 Route Guide(경로안내선), ICON & NAME data(아이콘 및 주기) 및 TMC(Transportation Movement Control)라인을 포함하는 객관적 색채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적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비게이션에 표출되는 디지털 지도의 표시 종별중의 배경요소에 대하여는 상기 디지털 지도에서 감성적으로 작용하는 Elevation Contours (고도 등고선/윤곽), Built up areas(도시 계획 구역), Woodland, park, Cemetery(산림, 공원, 묘지), Canal/Water Channel(운하/수로), bay/Harbour(만/항구), Lake(호수), Town Block(마을 구역) 또는 Buildings(빌딩)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주관적 색채 요소인 것을 적용하였다.
이후 상기 제3단계(S130)는 상기 내비게이션이 상기 색각 유형별 컬러팔레트 데이터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사용자의 색각 유형별 요소를 매칭하여 매칭값에 해당하는 RGB code 변환값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3단계(S130)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3단계(S130)는 상기 디지털 지도의 정보요소의 배색모델 Hexa code를 추출하는 제3-1단계(S131)와 상기 색각 유형별 컬러팔레트 데이터에서 상기 디지털 지도의 정보요소의 배색모델 Hexa code와 상기 내비게이션 사용자의 색각 유형별 요소를 상기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데이터에서 L*a*b 테이블에 매칭하는 제3-2단계(S132), 상기 매칭되어진 L*a*b 값을 XYZ의 색공간 값으로 변환하는 제3-3단계(S133) 및 상기 XYZ 값을 RGB code로 변환하는 제3-4단계(S13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지도의 정보요소의 배색모델 Hexa code가 상기 색각 유형별 요소 유형별 L*a*b 테이블의 첫번째인 #CC9999이고, 상기 내비게이션 사용자의 색각 유형별 요소가 P 유형 65,2,3일 때, 계산에 의하여 RGB code 변환 값은 164,156,152의 값이 생성되어진다.
상기 L*a*b 값을 XYZ 값으로 변환하는 상기 제3-3단계(S133)의 CIE-L*a*b 표색계가 XYZ 색공간 값으로의 변환되는 것과 상기 XYZ 색공간 값을 RGB code로 변환하는 제3-4단계(S134)의 XYZ 색공간 값의 RGB code 변환되어지는 것은 상기 내비게이션 내의 소프트웨어 연산을 적용하는 색체 변환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RGB 변환값을 생성한 후에, 상기 제4단계(S140)는 상기 내비게이션이 상기 디지털 지도의 표시 종별 중에 상기 정보요소에 해당하는 배색 모델을 대상으로 상기 RGB code 변환값을 보정 적용하여 상기 디지털 지도를 디스플레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4단계(S140)는 상기 배경요소에 해당하는 배색 모델에 대해서는 일정 명도와 채도로 적용하여 상기 디지털 지도를 디스플레이하게 되는 데, 이때는 상기 주관적 색체 요소로 분류된 상기 디지털 지도의 배경요소에 대하여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인 명도 값(Brightness)은 0에서 40% 이하로 색의 맑고 탁함 정도인 채도 값(Saturation)은 0에서 20% 이하인 어느 하나의 값으로 대체하여 일괄 유사명도의 그레이(Gray) 톤으로 치환하여 적용하여 상기 디지털 지도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는 상기 배경요소에 해당하는 주관적 색체 요소는 명도 40% 이하, 채도 20% 이하인 경우 색채의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음으로 인해 색각이상자 뿐만 아니라 정상인에게도 크게 대비되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사용자를 위한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환경의 정보 인지 측면의 색각 보정 및 의도된 감성의 전달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색각 보정 디지털 지도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에 상기 내비게이션 사용자의 색각 유형별 요소를 구분한 데이터와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단계,
    상기 내비게이션에서 상기 내비게이션에 표출되는 디지털 지도의 표시 종별을 정보요소와 배경요소로 구분하는 제2단계,
    상기 내비게이션이 상기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데이터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사용자의 색각 유형별 요소를 매칭하여 매칭값에 해당하는 RGB code 변환값을 생성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내비게이션이 상기 디지털 지도의 표시 종별 중에 상기 정보요소에 해당하는 배색 모델을 대상으로는 상기 RGB code 변환값을 보정 적용하고, 상기 배경요소에 해당하는 배색 모델은 일정 범위의 명도와 채도 값을 적용하여 상기 디지털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지도의 정보요소는 기능 또는 상징적으로 작용하는 Route Guide(경로안내선), ICON & NAME data(아이콘 및 주기) 및 TMC(Transportation Movement Control)라인을 포함하는 정보인지성이 요구되는 객관적 색채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색각 보정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
  2. 삭제
  3.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에 상기 내비게이션 사용자의 색각 유형별 요소를 구분한 데이터와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단계,
    상기 내비게이션에서 상기 내비게이션에 표출되는 디지털 지도의 표시 종별을 정보요소와 배경요소로 구분하는 제2단계,
    상기 내비게이션이 상기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데이터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사용자의 색각 유형별 요소를 매칭하여 매칭값에 해당하는 RGB code 변환값을 생성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내비게이션이 상기 디지털 지도의 표시 종별 중에 상기 정보요소에 해당하는 배색 모델을 대상으로는 상기 RGB code 변환값을 보정 적용하고, 상기 배경요소에 해당하는 배색 모델은 일정 범위의 명도와 채도 값을 적용하여 상기 디지털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지도의 배경요소는 감성적으로 작용하는 Elevation Contours (고도 등고선), Built up areas(도시 계획 구역), Woodland, park, Cemetery(산림, 공원, 묘지), Canal/Water Channel(운하/수로), bay/Harbour(만/항구), Lake(호수), Town Block(마을 구역) 또는 Buildings(빌딩)중의 어느 하나 이상인 주관적 색채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색각 보정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주관적 색체 요소로 분류된 상기 디지털 지도의 배경요소는 명도 값은 0 이상 40% 이하 및 채도 값은 0 이상 20% 이하 범위 내의 어느 하나인 값으로 대체하여 일괄 유사명도의 그레이 톤으로 치환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색각 보정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
  5.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디지털 지도의 정보요소의 배색모델 Hexa code를 추출하는 제3-1단계,
    상기 색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데이터에서 상기 디지털 지도의 정보요소의 배색모델 Hexa code와 상기 내비게이션 사용자의 색각 유형별 요소를 유형별 L*a*b 테이블에 매칭하는 제3-2단계,
    상기 매칭되어진 L*a*b 값을 XYZ 값으로 변환하는 제3-3단계 및
    상기 XYZ 값을 RGB code로 변환하는 제3-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색각 보정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
KR1020150151912A 2015-10-30 2015-10-30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색각 보정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 KR102429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912A KR102429596B1 (ko) 2015-10-30 2015-10-30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색각 보정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912A KR102429596B1 (ko) 2015-10-30 2015-10-30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색각 보정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416A KR20170050416A (ko) 2017-05-11
KR102429596B1 true KR102429596B1 (ko) 2022-08-04

Family

ID=58741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912A KR102429596B1 (ko) 2015-10-30 2015-10-30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색각 보정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5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046B1 (ko) * 2017-08-31 2022-07-06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디지털 지도 배색 교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0489A (ja) * 1991-01-10 1992-09-07 Pioneer Electron Corp 車載ナビゲ−ション装置
KR101917776B1 (ko) * 2012-07-11 2018-11-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색각 이상자를 위한 색 변환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416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76731B (zh) 内镜图像颜色还原方法及装置
US7945092B2 (en) Pixel processor
CN110377860B (zh) 一种页面颜色调整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3927372B (zh) 一种基于用户语义的图像处理方法
CA3153067C (en) Picture-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Culp Increasing accessibility for map readers with acquired and inherited colour vision deficiencies: a re-colouring algorithm for maps
CN110120028A (zh) 一种仿生响尾蛇红外和微光图像彩色融合方法及装置
CN101360250A (zh) 沉浸产生方法和系统及因素控制、内容分析及参数预测法
US2015001761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cating colors to and from colorblind people
KR102429596B1 (ko)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색각 보정 디지털 지도 제공 방법
CN110880164B (zh)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11094093B2 (en) Color processing program, color processing method, color sense inspection system, output system, color vision correctio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color vision simulation image processing system
KR102336051B1 (ko) 색상 인지를 위한 색상-촉각패턴 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색상-촉각패턴 변환 방법
US201902468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assisted viewing for colorblindness
BE1022532B1 (nl) Systeem voor het regelen van een kleurenschema op een scherm
CN112447152B (zh) 信息显示方法以及信息显示系统
CN116823674A (zh) 一种跨模态融合的水下图像增强方法
JPH10221093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4139433B1 (ja) 画像信号補正方法
CN114140358A (zh) 图像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9418585B2 (en) Dynamic image modification for a color deficient user
JP2007183710A (ja) 緑地の彩度補正システム
JP4974303B2 (ja) 色変換情報生成装置、色変換情報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ttard et al. Chrovision and true colour: Applications for colour impaired persons
KR102418046B1 (ko) 디지털 지도 배색 교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