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383B1 -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383B1
KR102429383B1 KR1020200056252A KR20200056252A KR102429383B1 KR 102429383 B1 KR102429383 B1 KR 102429383B1 KR 1020200056252 A KR1020200056252 A KR 1020200056252A KR 20200056252 A KR20200056252 A KR 20200056252A KR 102429383 B1 KR102429383 B1 KR 102429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 data
scan
mandible
working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8220A (ko
Inventor
박강현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6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383B1/ko
Publication of KR20210138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라,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악, 하악 및 작업치에 대한 스캔을 동시에 수행하는 스캐너; 치료 대상 치아 및 상기 치료 대상 치아의 치료 방식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분리하고, 상기 치료 대상 치아 및 상기 치료 방식에 따라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에 대한 그루핑을 수행하고, 상기 그루핑 결과에 따라 획득된 상기 치료 대상 치아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can data}
본 개시에서는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해 개시된다.
3차원 스캐닝 기술은 대상 모델에 대한 스캔을 통해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여 전시하는 것으로, 환자의 치아 모델을 스캔하여 형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이미지로 가공하는 의료 영상 분야에서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보철 치료 등의 치아 치료 과정에서 정밀한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 3차원 스캐닝을 이용하여 치아 형태를 모델링하는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작업 대상 치아를 본 뜬 석고 모델을 정밀하게 스캔하고, 치료 과정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하여 3차원 이미지로 전시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환자의 보철 계획을 세우고, 그에 적합한 스캔 절차를 수립하기 위해 사용자가 개입하는 스캔 오더 단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번거로운 작업이나 절차들이 다수 요구되는 등의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스캔 오더 단계를 통해 수립되는 다양한 스캔 절차들을 개별적인 스캔으로 진행할 수밖에 없어, 한 번에 수십 초에서 수 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스캔 절차들의 개수에 비례하게 전체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이에,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한 각종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78539호 (2009.07.20) 치과 보철용 3차원 측정장치
본 개시는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악, 하악 및 작업치에 대한 스캔을 동시에 수행하고, 치료 대상 치아 및 상기 치료 방식에 따라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그루핑함으로써, 별도의 추가적인 스캔 없이도 수많은 유형의 스캔 그룹들을 신속하고도 간편하게 생성할 수 있는 디바이스 및 방법이 개시된다.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1 측면에 따른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상악, 하악 및 작업치에 대한 스캔을 동시에 수행하는 스캐너; 치료 대상 치아 및 상기 치료 대상 치아의 치료 방식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상악, 하악 및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분리하고, 상기 치료 대상 치아 및 상기 치료 방식에 따라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그루핑하고, 상기 그루핑 결과에 따라 획득된 상기 치료 대상 치아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부는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스캐너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교합에 대한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치료 대상 치아의 치료 방식에 따라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에 대한 그루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상기 치료 대상 치아 및 상기 치료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치료 대상 치아 및 상기 치료 방식에 따라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정합하여 상기 치료 대상 치아 및 상기 치료 방식에 대응하는 N 개의 스캔 그룹을 획득하고, 상기 N은 3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N 개의 스캔 그룹은 상기 상악에 대한 제 1 스캔 그룹, 상기 하악에 대한 제 2 스캔 그룹 및 상기 상악과 상기 하악 중 상기 작업치가 포함된 어느 하나에 대한 제 3 스캔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치가 M 개(상기 M은 자연수)인 경우, 상기 N은 (M + 1)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치료 대상 치아 및 상기 치료 방식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스캔 그룹을 추가적으로 획득할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캔 그룹의 획득을 위해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필요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교합에 대한 스캔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캔이 동시에 수행됨에 따라 상기 상악, 하악 및 작업치를 포함하는 대상체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획득되면, 기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대상체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에 대한 스캔 데이터로부터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 방식은 상기 대상체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에서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을 수행하는 제 1 방식, 상기 대상체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에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상기 상악, 하악 및 작업치 각각의 이미지 영역을 결정하여 상기 분할을 수행하는 제 2 방식 및 상기 복수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을 수행하는 제 3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각각 모니터링하여 스캔되지 않은 영역의 크기가 기설정값 이상인지 결정하고, 상기 스캔되지 않은 영역의 크기가 상기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상악, 하악 및 작업치의 위치 또는 각도를 갱신하여 상기 상악, 하악 및 작업치에 대한 스캔을 동시에 재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상악, 상기 하악 또는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상악, 하악 및 작업치에 대한 스캔이 동시에 재수행되거나 상기 상악, 상기 하악 또는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이 독립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또는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따른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악, 하악 및 작업치에 대한 스캔을 동시에 수행하는 단계;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분리하는 단계; 치료 대상 치아 및 상기 치료 대상 치아의 치료 방식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치료 대상 치아 및 상기 치료 방식에 따라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에 대한 그루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루핑 결과에 따라 획득된 상기 치료 대상 치아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악, 상기 하악 및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을 동시에 수행하는 단계는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교합에 대한 스캔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그루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치료 대상 치아의 치료 방식에 따라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에 대한 그루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상기 치료 대상 치아 및 상기 치료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측면은 제 2 측면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제 4 측면은 제 2 측면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캔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개입에 따라 스캔 절차가 수립되는 스캔 오더 단계가 요구되지 않아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추가적인 스캔 없이도 수많은 유형의 스캔 그룹들을 간편하게 생성할 수 있어 사용자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캔 도중에도 자유롭게 스캔 절차를 변경할 수 있으며, 치료 대상 치아 및 치료 방식에 따라 특정되는 수많은 스캔 그룹을 생성하기 위한 개별적인 스캔이 요구되지 않아 스캔 진행 속도를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그루핑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치료 대상 치아 및 치료 대상 치아의 치료 방식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스캐너(110), 수신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캐너(110)는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에 대한 스캔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단계 S210). 예를 들면, 스캐너(110)는 스캔 영역에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가 모두 위치한 경우,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스캔 영역 내에 있는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를 동시에 스캔하는 방식으로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를 포함하는 대상체 전체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는 각각 사용자의 상악 형태, 하악 형태 및 작업치 형태를 모사하는 인공 구조물을 나타내며, 예를 들면, 환자의 치아에 대한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형성된 3D 프린팅 구조물이거나 작업자에 의해 가공된 석고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작업치(30)는 치료 작업이 수행되었거나 수행 예정에 있는 특정 치아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충치 치료나 신경 치료가 끝난 특정 치아를 씌울 수 있도록 작업된 프랩(Preparation) 치아를 본 뜬 실리콘 인상재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작업치(30)에 대한 구체적인 스캔을 통해 치료 작업 대상인 특정 치아에 대한 정밀하고 세부화된 3D 모델링 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상악(10)에 대한 스캔 데이터,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분리할 수 있다(단계 S220).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30)는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에 대한 스캔이 동시에 수행됨에 따라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를 포함하는 대상체 전체에 대한 3D 스캔 데이터가 획득되면, 획득된 3D 스캔 데이터를 분리하여 상악(10)에 대한 스캔 데이터,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캔 데이터는 석고 모형에 대한 가상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기설정 방식에 따라 대상체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영역에 기초하여 대상체에 대한 스캔 데이터로부터 상악(10)에 대한 스캔 데이터,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동시 스캔을 통해 전체 3D 스캔 데이터가 획득되면, 전체 3D 스캔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3 개의 이미지 영역에 따라 전체 스캔 데이터를 분할하여 상악(10)에 대한 3D 스캔 데이터, 하악(20)에 대한 3D 스캔 데이터 및 작업치(30)에 대한 3D 스캔 데이터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설정 방식은 대상체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에서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을 수행하는 제 1 방식, 대상체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에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 각각의 이미지 영역을 결정하여 분할을 수행하는 제 2 방식 및 복수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분할을 수행하는 제 3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방식에 따를 경우, 프로세서(130)는 동시 스캔을 통해 획득된 전체 스캔 이미지 상에서 기설정된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각각 상악(10)에 대한 스캔 데이터,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로 결정하여 각 영역을 구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방식에 따를 경우, 프로세서(130)는 기저장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전체 스캔 이미지 상에 있는 하나 이상의 객체 이미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 이미지를 분석하여 객체 종류(예: 상악, 하악, 작업치)를 결정하고, 검출된 객체 이미지를 전체 스캔 이미지로부터 분리하여 상악(10)에 대한 스캔 데이터,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 또는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방식에 따를 경우, 프로세서(130)는 대상체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출력하여 이미지로 시각화하고, 이미지의 영역 구획을 위한 제 1 사용자 입력(예: 마우스 드래그) 및 분리하고자 하는 스캔 데이터 종류에 대한 제 2 사용자 입력이 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면, 이에 기초하여 상악(10)에 대한 스캔 데이터,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분리할 수 있다(도 3 참조).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30)는 제 2 방식, 제 3 방식 및 제 1 방식 순으로 높은 우선 순위에 따라 상술한 분리를 수행할 수도 있고,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설정에 기초하여 제 1 방식, 제 2 방식 및 제 3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술한 분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30)는 제 3 방식에 따라 스캔 데이터를 분리할 때, 우선적으로 제 2 방식에 따라 복수의 영역들을 결정하여 각 영역에 대한 경계선을 전체 스캔 데이터와 함께 시각화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3 방식 또는 제 2 방식에 따라 스캔 데이터를 분리할 수도 있다. 얘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제 2 방식에 따라 영역별 경계선을 표시하여 이에 따라 스캔 데이터를 분리할 것을 권장하고, 사용자가 이를 수락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 영역 구획 입력에 따라 스캔 데이터를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20)는 치료 대상 치아 및 치료 대상 치아의 치료 방식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S230).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기저장된 복수개의 치아 식별 정보 및 복수개의 치료 방식 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하여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요청할 수 있고, 프로세서(130)는 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 정보에 따라 치료 대상 치아 및 치료 방식을 각각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치료 대상 치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작업치(30)의 치아 종류(예: 어금니) 및 위치(예: 상악)를 특정하기 위해 기설정된 치식(dental formula) 기준에 따라 표현되는 치아 식별 정보(예: 번호)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치아 식별 정보는 FDI 시스템, Palmer 시스템 등에 따른 치식도(식별번호 410 참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기저장된 치아 번호가 표시된 치식도(식별번호 410 참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47번이 선택된 경우, 작업치(30)를 47번 치아로 결정하여 47번에 대응되는 종류 및 위치에 따라 작업치(30)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치료 방식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작업치(30)의 치료 방식을 특정하기 위해 기설정된 치료 종류(예: 크라운, 인레이, 온레이 등) 및 치료 재료(예: 골드, 질코니아 등)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치료 대상 치아 및 치료 방식에 따라 상악(10)에 대한 스캔 데이터,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에 대한 그루핑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240).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특정된 치료 대상 치아(예: 47번 치아) 및 치료 방식(예: 골드 크라운)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스캔 그룹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스캔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의 치료 대상 치아 위치(예: 47번)에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정합하는 방식으로 그루핑을 수행하여 하악(20)에 작업치(30)가 포함된 스캔 그룹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작업치(30)가 포함된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는 하악(20)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작업치(30)는 포함하되 하악(20)은 일부만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상술한 그루핑을 통해 치료 대상 치아 및 치료 방식에 대응하는 N 개의 스캔 그룹(310)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도 3을 더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그루핑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치료 대상 치아 및 치료 방식에 따라 상악(10)에 대한 스캔 데이터,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작업치에(30) 대한 스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정합하여 치료 대상 치아 및 치료 방식에 대응하는 N 개의 스캔 그룹(310)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치료 대상 치아 및 치료 방식(예: 47번 치아, 골드 크라운)이 특정되면, 특정된 치료 대상 치아 및 치료 방식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N 개(예: 5 개)의 스캔 그룹 정보에 정의된 그룹 특성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스캔 데이터를 정합하는 방식으로 각 스캔 그룹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자동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각의 스캔 그룹 정보는 개별 그룹에 설정된 특정 목적(예: 교합 상태 모델링, 상악 모델링, 하악 모델링 작업치 모델링 등)을 위한 구체화된 그루핑 방식, 그루핑 대상, 데이터 정합 기준 등에 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N 개의 스캔 그룹(310)은 상악(10)에 대한 제 1 스캔 그룹(311), 하악(20)에 대한 제 2 스캔 그룹(312) 및 상악(10)과 하악(20) 중 작업치(30)가 포함된 어느 하나에 대한 제 3 스캔 그룹(3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 개의 스캔 그룹(310)은 상악(10)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1 스캔 그룹(311),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2 스캔 그룹(312) 및 치료 대상 치아(예: 47번 치아) 및 치료 방식(예: 골드 크라운)에 따라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의 47번 치아 위치에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정합하여 생성된 제 3 스캔 그룹(3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N은 3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고, 작업치(30)가 M 개(M은 자연수)인 경우, N은 (M + 1)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치료 대상 치아가 47번 치아와 45번 치아로 2개이고 치료 방식이 골드 크라운으로 결정된 경우, 상술한 그루핑을 통해 상악(10)에 대한 제 1 스캔 그룹(311), 하악(20)에 대한 제 2 스캔 그룹(312), 하악(20)과 제 1 작업치에 대한 제 3 스캔 그룹(313) 및 하악(20)과 제 2 작업치에 대한 제 4 스캔 그룹(314)을 포함하는 4개의 스캔 그룹(310)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디폴트 스캔 그룹으로서 자동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에 대한 한 번의 동시 스캔을 통해 치료 대상 치아 및 치료 방식에 대응되는 N 개의 기본 스캔 그룹에 대한 스캔 데이터들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그루핑 결과에 따라 획득된 치료 대상 치아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단계 S250).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상술한 그루핑을 통해 상악(10)에 대한 제 1 스캔 그룹(311), 하악(20)에 대한 제 2 스캔 그룹(312) 및 하악(20)에 작업치(30)가 포함된 제 3 스캔 그룹(313) 각각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생성된 경우, 디폴트 스캔 그룹으로 생성되어 시각화 가능한 제 1 내지 제 3 스캔 그룹에 대한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3D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30)는 상악(10)에 대한 스캔 데이터,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치료 대상 치아 및 치료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치료 대상 치아(예: 47번 치아) 및 치료 방식(예: 골드 크라운)에 대응되는 스캔 그룹 정보에 따라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와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시각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20)는 단계 S210 전후로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스캐너(1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교합에 대한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스캔 프로세스를 시작할 때 교합에 대한 스캔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고, 수신부(120)는 출력된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응답으로 교합 스캔의 수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스캔 영역 내에 상호 교합 상태에 있는 상악(10) 및 하악(20)를 스캔하여 교합에 대한 3D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교합에 대한 스캔이 완료되거나, 출력된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응답으로 교합 스캔의 미수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단계 S210에 따라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에 대한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30)는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치료 대상 치아의 치료 방식에 따라 상악(10)에 대한 스캔 데이터,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에 대한 그루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특정된 치료 대상 치아 및 치료 방식에 따라 상악(10)에 대한 스캔 데이터,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 작업치에(30) 대한 스캔 데이터 및 교합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정합하여 복수의 스캔 그룹(310)을 획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복수의 스캔 그룹(310)은 상악(10)에 대한 제 1 스캔 그룹(311), 하악(20)에 대한 제 2 스캔 그룹(312), 하악(20)에 제 1 작업치가 포함된 제 3 스캔 그룹(313), 하악(20)에 제 2 작업치가 포함된 제 4 스캔 그룹(314) 및 교합 상태에 있는 상악(10)과 하악(20)에 대한 제 5 스캔 그룹(31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치료 대상 치아 및 치료 방식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스캔 그룹의 획득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스캔 그룹 및 스캔 그룹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하악 왁스 업(Lower wax-up)에 대한 제 6 스캔 그룹의 생성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기특정된 치료 대상 치아 및 치료 방식에 기초하여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 사에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정합하고, 정합된 스캔 데이터에 기저장된 왁스 업 진단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왁스 업 진단이 가상 적용된 시뮬레이션 결과가 반영되도록 스캔 데이터를 가공하여 제 6 스캔 그룹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에 대한 한 번의 동시 스캔을 통해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 각각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획득하고, 사용자가 자신이 확인하고자 하는 스캔 그룹을 자유롭게 추가 요청함에 따라 치료 대상 치아 및 치료 방식에 따라 스캔 그룹을 추가 생성하고 스캔 데이터들을 정합하여 추가 스캔 그룹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간편하게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30)는 치료 대상 치아 및 치료 방식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스캔 그룹을 추가적으로 획득할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하나 이상의 스캔 그룹의 획득을 위해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필요한 것으로 결정되면 교합에 대한 스캔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특정 스캔 그룹의 생성을 위한 필요 스캔 데이터로서, 상악(10)에 대한 스캔 데이터,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또는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 이외에도,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교합에 대한 스캔의 수행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획득됨에 따라 요청된 특정 스캔 그룹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30)는 상악(10)에 대한 스캔 데이터,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각각 모니터링하여 스캔되지 않은 영역의 크기가 기설정값 이상인지 결정하고, 스캔되지 않은 영역의 크기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의 위치 또는 각도를 갱신하여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에 대한 스캔을 동시에 재수행하거나, 또는, 상악(10), 하악(20) 또는 작업치(30)에 대한 스캔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상악(10)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설정 수준(예: 해상도, 재현도 등) 이상으로 충분히 모델링되지 않은 영역을 스캔되지 않은 영역으로 결정하고, 스캔되지 않은 영역의 면적 크기를 기설정 값과 비교할 수 있으며, 스캔되지 않은 영역의 면적 크기가 기설정 값 이상이면 상악(10)에 대한 스캔을 다시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30)는 분석된 스캔 데이터의 스캔되지 않은 영역을 기초로 상악(10), 하악(20) 또는 작업치(30)의 권장 위치 또는 권장 각도를 결정하여 메시지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스캔되지 않은 영역의 분포를 분석하여 영역 면적의 중심부를 촬상하기 위한 권장 위치 또는 권장 각도를 결정하여 스캔의 재수행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포함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30)는 상악(10), 하악(20) 또는 작업치(30)에 대한 스캔이 동시에 재수행되거나 상악(10), 하악(20) 또는 작업치(30)에 대한 스캔이 독립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상악(10)에 대한 스캔 데이터,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 또는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캐너(110)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 또는 스캐닝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3D 스캐너로 구현되어 각 장면에 대하여 스캔 영역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객체를 동시에 스캔하여 3D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캔 데이터는 스캔을 통해 생성되는 가상의 3D 치아모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기저장된 이미지 프로그램(예: 3D 캐드 프로그램)을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를 통해 벡터화될 수 있는 다양한 3D 이미지 포맷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신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되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고, 별도의 저장부(예: 메모리)로부터 기저장된 치료 대상 치아 및 치료 대상 치아의 치료 방식에 대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30)는 디바이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스캐너(110) 및 수신부(120)와 전기적으로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디바이스(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디바이스(100)는 스캔 데이터를 시각화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다른 단말 또는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3차원 스캐닝을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 구성요소(예: 비접촉 광학방식 또는 레이저 방식의 3차원 스캐닝 알고리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100)의 구성요소들은 기능적 또는 물리적 측면에서 통합 구현될 수 있으며, 다른 일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100)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기능적 또는 물리적 측면에서 상호 독립적인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개시된 디바이스(100)가 동작하는 모든 실시 예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단계 S510 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스캔 프로세스가 시작되면 교합 스캔을 진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우선적으로 출력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교합 스캔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520 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교합에 대한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교합 스캔의 수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응답이 수신된 경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스캔 영역 내에 교합 상태로 배치된 상악(10) 및 하악(20)에 대한 교합 스캔을 수행하여 교합에 대한 3D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100)는 교합 스캔이 진행됨에 따라 교합 스캔 그룹을 나타내는 제 5 스캔 그룹(315)을 생성하고, 교합 스캔을 통해 획득된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제 5 스캔 그룹(315)에 대한 스캔 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예: [+] 클릭)에 기초하여 교합 스캔 그룹을 다른 스캔 그룹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새로운 스캔 그룹을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100)는 새로운 스캔 그룹의 추가를 위해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에 대한 동시 스캔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렇다면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에 대한 동시 스캔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530 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되면,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에 대한 동시 스캔을 진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동시 스캔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540 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에 대한 스캔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동시 스캔의 수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응답이 수신된 경우, 스캔 영역 내에 각각 분리되어 펼쳐놓은 상태로 배치된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에 대한 스캔을 동시에 수행하여 3D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50 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동시 스캔을 통해 획득된 전체 스캔 데이터로부터 상악(10)에 대한 스캔 데이터,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술한 제 3 방식에 따라, 동시 스캔을 통해 획득된 전체 스캔 데이터를 출력하여 이미지로 시각화할 수 있고, 그루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이미지의 영역 구획을 위한 제 1 사용자 입력(예: 마우스 드래그를 통해 상악 이미지 영역 구획),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 종류(예: 언그룹(ungroup)을 통한 영역 분리, 그룹(group)을 통한 영역 통합 등)에 대한 제 2 사용자 입력 및 생성하고자 하는 스캔 그룹 종류(예: 교합(Bite), 상악 베이스(Upper Base), 하악 베이스(Lower Base), 상악 작업치(Upper Prep), 하악 작압치(Lower Prep), 상악 왁스업(Upper Wax-up), 하악 왁스업(Lower Wax-up) 등)에 대한 제 3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전체 스캔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악(10)에 대한 스캔 데이터,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분리할 수 있다.
단계 S560 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치료 대상 치아의 치료 방식에 따라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그루핑을 수행할 수 있고, 단계 S570 에서 그루핑 결과에 기초하여 치료 대상 치아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정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특정된 치료 대상 치아의 치료 방식에 따라 스캔 데이터의 정합 방식 및 생성 가능한 스캔 그룹의 종류 등을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악(10)에 대한 스캔 데이터에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정합하거나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에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정합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스캔 그룹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시각화된 전체 스캔 데이터 중 분리하고자 하는 스캔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예: 분리하고자 하는 스캔 데이터를 클릭하고 인터페이스 상의 [+]에 드래그, [Ungroup] 버튼 클릭, 그룹화를 위한 단축키(예: [Ctrl+Shift+G]) 입력 등)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스캔 그룹을 생성할 수 있고, 새롭게 생성되거나 생성 가능한 다양한 스캔 그룹에 관한 드롭다운 방식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시각화할 수 있으며, 드롭다운 방식의 리스트를 통해 새로운 스캔 그룹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새로운 스캔 그룹에 선택된 스캔 데이터의 이미지 영역을 복제하는 방식으로 선택적인 편집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그루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100)는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에 대한 동시 스캔을 통해 획득된 전체 스캔 데이터를 하나의 통합 스캔 그룹으로 설정하고, 통합 스캔 그룹 내에서 전체 스캔 데이터를 상술한 제 1 내지 제 3 방식에 따라 상악(10)에 대한 스캔 데이터, 하악(20)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데이터로 분리하여 상악(10)에 대한 스캔 그룹, 하악(20)에 대한 스캔 그룹 및 작업치(30)에 대한 스캔 그룹 각각으로 설정하고, 각 스캔 그룹에서 상술한 제 1 내지 제 3 방식에 따라 스캔 데이터를 분리하거나 또는 기 분리된 스캔 데이터들 중 적어도 일부를 재그룹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스캔 그룹을 자유로운 형태로 신규 생성하고 스캔 그룹명을 지정(예: 콤보박스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580 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복수의 스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복수의 스캔 그룹 각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캔 그룹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3D 이미지로 시각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스캔 그룹(310) 중에서 하악(20)에 대한 제 2 스캔 그룹(312)의 시각화가 요청되면, 제 2 스캔 그룹(312)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출력하여 시각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스캔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개입에 따라 스캔 절차가 수립되는 스캔 오더 단계가 요구되지 않아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상악(10), 하악(20) 및 작업치(30)에 대한 한 번의 동시 스캔을 통해 치료 대상 치아 및 치료 방식에 대응하는 그루핑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별도의 추가적인 스캔 없이도 수많은 유형의 스캔 그룹들을 간편하게 생성할 수 있어 사용자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한 번의 동시 스캔을 통해 수많은 유형의 스캔 그룹들을 생성할 수 있어 스캔 도중에도 자유롭게 스캔 절차를 변경할 수 있으며, 치료 대상 치아 및 치료 방식에 따라 특정되는 수많은 스캔 그룹을 생성하기 위한 개별적인 스캔이 요구되지 않아 스캔 진행 속도를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바이스 10: 상악
20: 하악 30: 작업치
110: 스캐너 120: 수신부
130: 프로세서

Claims (15)

  1.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악, 하악 및 작업치에 대한 스캔을 동시에 수행하는 스캐너;
    치료 대상 치아 및 상기 치료 대상 치아의 치료 방식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분리하고,
    상기 치료 대상 치아 및 상기 치료 방식에 따라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그루핑하고,
    상기 그루핑 결과에 따라 획득된 상기 치료 대상 치아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스캐너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교합에 대한 스캔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치료 대상 치아의 치료 방식에 따라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에 대한 그루핑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상기 치료 대상 치아 및 상기 치료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치료 대상 치아 및 상기 치료 방식에 따라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정합하여 상기 치료 대상 치아 및 상기 치료 방식에 대응하는 N 개의 스캔 그룹을 획득하고, 상기 N은 3 이상의 자연수인,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N 개의 스캔 그룹은 상기 상악에 대한 제 1 스캔 그룹, 상기 하악에 대한 제 2 스캔 그룹 및 상기 상악과 상기 하악 중 상기 작업치가 포함된 어느 하나에 대한 제 3 스캔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치가 M 개(상기 M은 자연수)인 경우, 상기 N은 (M + 1) 이상인, 디바이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치료 대상 치아 및 상기 치료 방식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스캔 그룹을 추가적으로 획득할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캔 그룹의 획득을 위해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필요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교합에 대한 스캔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캔이 동시에 수행됨에 따라 상기 상악, 하악 및 작업치를 포함하는 대상체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획득되면,
    기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대상체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에 대한 스캔 데이터로부터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분리하는,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방식은 상기 대상체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에서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을 수행하는 제 1 방식, 상기 대상체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에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상기 상악, 하악 및 작업치 각각의 이미지 영역을 결정하여 상기 분할을 수행하는 제 2 방식 및 상기 복수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을 수행하는 제 3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각각 모니터링하여 스캔되지 않은 영역의 크기가 기설정값 이상인지 결정하고,
    상기 스캔되지 않은 영역의 크기가 상기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상악, 하악 및 작업치의 위치 또는 각도를 갱신하여 상기 상악, 하악 및 작업치에 대한 스캔을 동시에 재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상악, 상기 하악 또는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상악, 하악 및 작업치에 대한 스캔이 동시에 재수행되거나 상기 상악, 상기 하악 또는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이 독립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또는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갱신하는, 디바이스.
  11.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악, 하악 및 작업치에 대한 스캔을 동시에 수행하는 단계;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분리하는 단계;
    치료 대상 치아 및 상기 치료 대상 치아의 치료 방식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치료 대상 치아 및 상기 치료 방식에 따라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그루핑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루핑 결과에 따라 획득된 상기 치료 대상 치아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 상기 하악 및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을 동시에 수행하는 단계는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교합에 대한 스캔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그루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치료 대상 치아의 치료 방식에 따라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에 대한 그루핑을 수행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상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하악에 대한 스캔 데이터, 상기 작업치에 대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교합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상기 치료 대상 치아 및 상기 치료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15. 제 1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00056252A 2020-05-12 2020-05-12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429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252A KR102429383B1 (ko) 2020-05-12 2020-05-12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252A KR102429383B1 (ko) 2020-05-12 2020-05-12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220A KR20210138220A (ko) 2021-11-19
KR102429383B1 true KR102429383B1 (ko) 2022-08-04

Family

ID=78717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252A KR102429383B1 (ko) 2020-05-12 2020-05-12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3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4079A (ja) 2006-11-07 2008-05-22 Etcon Centrum Fuer Dentale Cad Cam-Technologie Ag モデルを保持するためのデバイス
KR101602749B1 (ko) 2015-09-03 2016-03-11 주식회사 메디트 치아형상 측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8539A (ko) 2008-01-15 2009-07-20 시냅스이미징(주) 치과 보철용 3차원 측정장치
KR101552497B1 (ko) * 2013-10-07 2015-09-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의 가상치아 구조를 이용한 발치후 즉시 식립이 가능한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 제조 방법
KR101699250B1 (ko) * 2014-05-14 2017-01-24 주식회사바텍 치과용 3차원 스캐너
KR101875755B1 (ko) * 2016-11-29 2018-08-02 주식회사 디디에스 인공치아 가공용 데이터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치아 디자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4079A (ja) 2006-11-07 2008-05-22 Etcon Centrum Fuer Dentale Cad Cam-Technologie Ag モデルを保持するためのデバイス
KR101602749B1 (ko) 2015-09-03 2016-03-11 주식회사 메디트 치아형상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220A (ko) 2021-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541E1 (en) Method for defining a finish line of a dental prosthesis
US10667887B2 (en) Video-assisted margin marking for dental models
CN110381880B (zh) 用于构造修复体的方法
US8866883B2 (en) Synchronized views of video data and three-dimensional model data
US20220246269A1 (en) Implant surgery planning method using automatic placement of implant structure,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therefor, and teeth image processing device therefor
KR20210018661A (ko) 크라운 모델 자동 추천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철 캐드 장치
KR102429383B1 (ko)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JP5327928B1 (ja) 歯科治療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歯科治療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
CN113039587B (zh) 使用口内扫描仪获取3d数据的混合方法
KR102200060B1 (ko)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로의 간편한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2446421B1 (ko)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539577B1 (ko) 대상체에 대한 인공치아의 모델링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KR102544203B1 (ko) 구강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구강 이미지 처리 방법
EP4216230A1 (en) Three-dimensional scan data processing system and three-dimensional scan data processing method
KR102474298B1 (ko) 보철물 모델 설계 방법 및 그 장치
KR102472029B1 (ko) 가상 교합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431223B1 (ko) 덴탈 아치를 획득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573908B1 (ko) 안모 형태 분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치 디자인 장치
JP739066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039557A (ko) 3차원 스캔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3차원 스캔 데이터 처리 방법
KR20230055381A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220008458A (ko) 지대치 모델 마진라인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09148A (ko) 인레이/온레이 마진라인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