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972B1 -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972B1
KR102428972B1 KR1020210092243A KR20210092243A KR102428972B1 KR 102428972 B1 KR102428972 B1 KR 102428972B1 KR 1020210092243 A KR1020210092243 A KR 1020210092243A KR 20210092243 A KR20210092243 A KR 20210092243A KR 102428972 B1 KR102428972 B1 KR 102428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obesity
tryptophan
tyrosine
chamom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석
Original Assignee
최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석 filed Critical 최명석
Priority to KR1020210092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972B1/ko
Priority to US17/513,900 priority patent/US20230023788A1/en
Priority to CN202111304281.6A priority patent/CN115606806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9Dairy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61K31/405Indole-alkane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tryptophan, indometh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1Crassulaceae (Stonecrop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5Tryptoph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52Tyros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2Animal Protein
    • A23V2250/5424Dairy protein
    • A23V2250/54252Whey prote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제(펜터민, 푸로작 등)의 처방 없이도 식욕억제 약물의 작용기전의 원리가 되는 세로토닌, 도파민(Dopamine),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등의 신경물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필요한 식욕억제나 포만감 등의 효능을 얻을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대체식이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이어트시 가장 부족한 성분인 단백질을 공급할 수 있는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은, 아미노산의 하나인 트립토판(Ttryptophan), 아미노산의 다른 하나인 타이로신(Tyrosine), 허브의 하나인 홍경천(Rhodiola), 허브의 다른 하나인 카모마일(Chamomile), 그리고 유청 단백질(Whey prote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Description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Dietary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f obesity}
본 발명은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산업발달과 더불어 삶의 질과 편의성이 크게 개선된 반면에, 식생활의 서구화, 과도한 스트레스, 운동부족 등으로 인한 비만이 사회적 문제로 야기되고 있다. 2019년도에 발표된 '국민건강통계'(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주관)에 의하면, 우리나라 만 19세 이상의 비만 유병률은 34.4%로서 성인 3명 중 1명은 비만으로 나타났으며, 당뇨, 고지혈, 고콜레스테롤 등 비만과 연계된 다양한 질환의 유병률도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비만은 국민건강 관리에 심각한 위협으로 인지되고 있다.
식이로 비만을 유발하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필요한 것보다 과량의 칼로리 섭취(특히, 탄수화물과 지방) 및 에너지소모의 부족(운동부족 등)이 주 원인을 차지한다. 따라서, 이와 반대로 체중감량이 필요한 경우에는 필요한 것보다 적은 양의 칼로리 섭취 및 에너지소모의 증가(활동량 또는 운동량 증가)가 필수적이다. 특히, 스트레스가 과다한 현대사회에서는 활동량 부족 또는 운동량 부족과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습관적인 음식물(과자, 간식류 등)의 섭취 및 퇴근 후 긴장완화와 함께 많은 양의 음식물을 계속 섭취하게 되고(야식증후군), 이는 결과적으로 체중 및 체지방의 증가로 이어져 비만에 이르게 되는 경우가 많다.
비만의 예방과 개선을 위해서는 운동요법이나 약물요법 등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이 적절히 사용될 경우 비만은 충분히 관리될 수 있는 질환이지만, 실제로는 그러하지 못하다. 바쁜 생활 속에서 지속적으로 운동을 실시하기가 어렵고, 약물요법은 심각한 부작용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약물요법으로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재(SSRI: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와 펜터민(Phentermine) 등이 사용된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재(예를 들어, 푸로작 등)는 세로토닌(serotonin)이라는 호르몬의 혈중농도를 늘려주고, 펜터민은 교감신경계 작용 약물로 교감신경계에 작용하여 교감신경 활성화를 통한 식욕억제를 유도한다. 참고로, 우리 몸에 존재하는 세로토닌의 대부분(약 90%)은 위장관의 장크롬친화성 세포(enterochromaffin cell)에서 생산되어 분비된다. 위장관의 세로토닌은 위장관 운동을 조절하는 등의 생리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나머지는 중추신경계에 위치한 세로토닌성 뉴런(serotonergic neuron)에서 생산되어 분비되며, 기분(mood), 식욕(appetite), 수면(sleep) 등의 조절에 관여한다.
하지만, 이러한 약물요법에 사용되는 약제는 전문의약품으로 지정되어 반드시 의사의 처방이 있어야 하며,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있고, 특히 교감신경계 약물인 펜터민 등의 경우 향정신성의약품(미국의 경우 DEA Schedule IV)으로 지정되어 있어 복용이 자유롭지 못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약제(펜터민, 푸로작 등)의 처방 없이도 식욕억제 약물의 작용기전의 원리가 되는 세로토닌, 도파민(Dopamine),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등의 신경물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필요한 식욕억제나 포만감 등의 효능을 얻을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대체식이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이어트시 가장 부족한 성분인 단백질을 공급할 수 있는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은, 아미노산의 하나인 트립토판(Tryptophan), 아미노산의 다른 하나인 타이로신(Tyrosine), 허브의 하나인 홍경천(Rhodiola), 허브의 다른 하나인 카모마일(Chamomile), 그리고 유청 단백질(Whey prote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트립토판, 상기 타이로신, 상기 홍경천, 상기 카모마일 및 상기 유청 단백질은 분말화하여 제조되고, 상기 트립토판 분말 1.5g, 상기 타이로신 분말 2g, 상기 홍경천 분말 400mg, 상기 카모마일 분말 700mg 및 상기 유청 단백질 분말 30g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은, 식사대용식으로 섭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은, 상기 트립토판 분말, 상기 타이로신 분말, 상기 홍경천 분말, 상기 카모마일 분말 및 상기 유청 단백질 분말을 물과 함께 혼합한 쉐이크 형태로 제조하여 식사대용식으로 섭취할 수 있다.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아미노산의 하나인 트립토판(Ttryptophan), 아미노산의 다른 하나인 타이로신(Tyrosine), 허브의 하나인 홍경천(Rhodiola), 허브의 다른 하나인 카모마일(Chamomile), 그리고 유청 단백질(Whey prote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트립토판에서 식욕억제 신경물질인 세로토닌이 합성되고, 타이로신에서 식욕억제 신경물질인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이 합성되고, 이렇게 합성된 세로토닌, 도파민 및 노르에피네프린이 홍경천과 카모마일에 의해 그 작용이 촉진되며, 그리고 유청 단백질로부터 대체식이 영양인 단백질을 공급받을 수 있어, 약제(펜터민, 푸로작 등)의 처방 없이도 식욕억제 약물의 작용기전의 원리가 되는 세로토닌, 도파민(Dopamine),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등의 신경물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필요한 식욕억제와 포만감 등의 효능을 얻을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대체식이(식사대용식)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이어트시 가장 부족한 성분인 단백질을 공급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식사 전 섭취하거나 다이어트용 식사대용식으로서 섭취하여 식욕억제와 포만감을 유지하고 체중조절 및 체지방 감소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의 본원식품을 복용한 시험군 10명 각각의 신체 지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비교식품을 복용한 대조군 10명 각각의 신체 지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트립토판에서 식욕억제 신경물질인 세로토닌이 합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타이로신에서 식욕억제 신경물질인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이 합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아미노산의 하나인 트립토판(tryptophan), 아미노산의 다른 하나인 타이로신(Tyrosine), 허브의 하나인 홍경천(Rhodiola), 허브의 다른 하나인 카모마일(Chamomile), 그리고 유청 단백질(Whey protein)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트립토판, 타이로신, 홍경천, 카모마일 및 유청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고, 이를 식사 전 섭취하거나 다이어트용 식사대용식으로서 섭취하여 식욕억제와 포만감을 유지하고 체중조절 및 체지방 감소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새로운 조성의 식이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트립토판"은, 인간을 비롯하여 대부분의 동물이 스스로 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 외부에서 섭취하여야 하는 필수 아미노산이다. 이러한 트립토판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생체 내 다양한 단백질의 원료 물질로 이용된다는 것이다. 특히, 트립토판은 신호전달 물질인 세로토닌,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 비타민 B3 그리고 NAD, 알칼로이드, 식물의 성장 호르몬인 옥신 등의 전구체로서 이용된다. 따라서, 트립토판이 많이 포함된 육류나 초콜릿 등을 섭취하면 우울증 치료에 효과가 있고, 알콜 중독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트립토판은 자가주사 식욕억제제인 "삭센다(Saxenda)"의 경우와 같이 논문( volume 11, Article number: 3, 2021)에 따르면 위 배출(gastric emptying)을 지연시켜 포만감 유지 및 식욕억제에도 작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트립토판은 야생형 또는 유전자 변형 박테리아를 사용하여 세린과 인돌의 발효를 기반으로 생산된다. 이 균주는 방향족 아미노산 또는 다중/과발현된 오페론의 재 흡수를 방지하는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다. 전환은 효소 트립토판 신타제에 의해 촉매된다.
트립토판에서 식욕억제 신경물질인 세로토닌이 합성되는 과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최종 과정의 세로토닌과 멜라토닌은 포만감과 식욕억제 뿐만 아니라 숙면 유지에도 도움이 되어 야식증후군의 경우 문제가 되는 불면의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하지만, 트립토판 하나로는 식욕억제 효과가 제한적이고 포만감을 유발할 수 없기에, 트립토판 이외에도 타이로신, 홍경천, 카모마일 및 유청 단백질을 함께 섭취하여 체중조절 및 체지방 감소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에서 트립토판은 3.8 내지 4.8 중량%의 범위에서 적절한 양으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3.8 중량% 미만의 경우 포만감 유지 및 식욕억제에 대한 첨가효과가 없고 4.8 중량%를 초과하면 맛으로 인한 기호성과 제품성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타이로신"은, 비필수 아미노산으로 도파민 및 노르에피네프린의 원료가 되며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은 교감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을 억제한다.
타이로신을 제조하는 데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첫 번째는 화학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단백질 가수 분해물에서 원하는 아미노산을 추출하는 것이고, 두 번째 방법은 타이로신 페놀-리아제(tyrosine phenol-lyase)를 사용하여 페놀, 피루베이트(pyruvate) 및 암모니아의 효소 합성을 활용하는 것이다. 유전 공학의 발전과 산업 발효의 도래로 L- 타이로신의 합성이 균주의 사용으로 옮겨지고 있다.
타이로신에서 식욕억제 신경물질인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이 합성되는 과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에서 타이로신은 5.3 내지 6.3 중량%의 범위에서 적절한 양으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5.3 중량% 미만의 식욕억제에 대한 첨가효과가 없고 6.3 중량%를 초과하면 맛으로 인한 기호성과 제품성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홍경천"은, 허브의 하나로 티벳, 중국, 러시아 등에서 차(tea)로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고, 논문(Saratikov & Krasnov, 1987)에 따르면 식욕억제와 포만감에 작용하는 신경물질인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의 작용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경천은, 논문(Saratikov & Krasnov, 1987)에 따르면,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모노테르펜(monoterpene), 페닐프로파노이드 (phenylpropanoid), 트리테르펜(triterpene), 페놀산(phenolic acid) 및 페닐에탄올 유도체(phenylethanol derivative)와 같은 많은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항산화, 항암, 심장 보호 및 신경 내분비 특성을 포함한 여러 가지 효과가 있으며, 그 정신 약리학적 효과에는 세로토닌, 도파민 및 노르에피네프린에 대한 작용제 특성[아마도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monoamine oxidase inhibition)에 이차적 임], 오피오이드 펩티드(opioid peptide)[예를 들어, 베타-엔도르핀(beta-endorphin) 등] 및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에 대한 니코틴 수용체(nicotinic receptor)에 대한 영향이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중요한 것은 세포막에 작용하여 세로토닌과 카테콜아민 전구체(catecholamine precursor)가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을 통과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에서 건조된 홍경천은 0.6 내지 1.6 중량%의 범위에서 적절한 양으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6 중량% 미만의 경우 식욕억제와 포만감에 작용하는 신경물질인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의 작용 촉진에 대한 첨가효과가 없고 1.6 중량%를 초과하면 맛으로 인한 기호성과 제품성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모마일"은, 허브의 다른 하나로 차(tea)로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고, 식욕억제에 작용하는 세로토닌, 도파민 및 노르에피네프린의 작용을 촉진하며 대뇌에 작용하여 포만감을 증진시킨다.
특히, 본 발명의 식이조성물에 카모마일을 더 포함하는 이유는, 카모마일이 천연 식욕억제제로 뇌에서 배가 고프지 않고, 위가 차 있다고 믿게 만드는 효과가 있어서 홍경천의 효과에 플러스 알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고, 또한 카모마일도 세로토닌 레벨을 올리는 효과가 있어서 야식증후군등의 예방 및 치료에도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카모마일은 홍경천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에 사용된 아미노산인 트립토판과 타이로신을 원료로 생성되는 신경물질인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및 도파민의 작용을 증폭시키는 효과가 있다.
카모마일은, 화학적으로 가공된 식욕억제제와 달리 천연 식욕억제제이며, 뇌를 속여서 배고프지 않고 배가 꽉 찼다고 믿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카모마일은, 기분, 식욕 및 수면 패턴을 조절하는 세로토닌 수치를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에서 건조된 카모마일은 1.5 내지 2.5 중량%의 범위에서 적절한 양으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5 중량% 미만의 경우 식욕억제에 대한 첨가효과가 없고 2.5 중량%를 초과하면 맛으로 인한 기호성과 제품성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유청 단백질은, 카세인을 제거한 유단백질로 우유 단백질의 약 20%를 차지하고, 대체식이(식사대용식)로서의 필수영양소인 단백질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유청 단백질 자체로서도 체내 분해과정에서 특정 아미노산의 혈중 농도를 높여 비만인의 식욕억제 효과 및 GLP-1 촉진에 의한 포만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에서 유청 단백질은 85 내지 88 중량%의 범위에서 적절한 양으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85 중량% 미만의 경우 식욕억제 및 포만감 유지에 대한 첨가효과가 없고 88 중량%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그 외 홍경천 등의 유효성분의 양이 줄어들어 체중 감소에 대한 상승 효과가 크지 않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트립토판, 타이로신, 홍경천, 카모마일 및 유청 단백질을 유효성분 각각이 식욕억제 또는 포만감과 관련된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종합적인 다이어트 효과를 나타내기에는 한계가 있다. 즉, 식이조성물이 종합적인 다이어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우수한 식욕 억제와 소량의 섭취에도 탁월한 포만감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식욕억제 신경물질인 세로토닌을 합성하는 트립토판, 식욕억제 신경물질인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을 합성하는 타이로신, 이렇게 합성된 세로토닌, 도파민 및 노르에피네프린의 작용을 촉진시키는 홍경천과 카모마일, 그리고 포만감 유발에 탁월하며 대체식이 영양인 단백질을 공급하는 유청 단백질을 특별히 선정하게 되었고, 이들을 함께 섭취하게 되면 서로 간의 상승작용에 의해 그 효과가 보다 증가됨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대체식이 또한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의 식욕억제와 포만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트립토판, 타이로신, 홍경천, 카모마일 및 유청 단백질의 함량비를 최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은 트립토판 3.8 내지 4.8 중량%, 타이로신 5.3 내지 6.3 중량%, 홍경천 0.6 내지 1.6 중량%, 카모마일 1.5 내지 2.5 중량%, 그리고 유청 단백질 85 내지 88 중량%의 함량비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분말화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렇게 분말화 형태로 제조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을 물과 함께 혼합하여 쉐이크 형태로 식사 전 섭취하거나 식사대용식으로 섭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립토판 분말 1.5g, 타이로신 분말 2g, 홍경천 분말 400mg, 카모마일 분말 700mg 및 유청 단백질 분말 30g을 물 200ml와 함께 혼합한 쉐이크 형태로 제조하여 섭취할 수 있다.
계속해서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을 사용한 실험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험예>
다음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분말을 제공하였다.
<분말>
원료명 비교식품(분말) 본원식품(분말)
트립토판 분말 - 1.5g
타이로신 분말 - 2g
홍경천 분말 - 400mg
카모마일 분말 700mg
유청 단백질 분말 30g 30g
비만 억제 효과 인체 임상 시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의 비만 억제효과를 임상시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실험대상자는 PIBW(이상 체중 백분율) 110% 이상, 허리둘레가 80cm 이상, 비만도지수(BMI)가 25 이상인 19세이상 60세 이하의 과체중 혹은 복부 비만인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공개적으로 지원자를 모집하였다.
총 지원자 20명을 각 10명씩 두 그룹으로 구분하고, 한 그룹(Group A)에는 표 1의 본원식품(시험군)을, 또 다른 한 그룹(Group B)에는 비교식품(대조군)을 제공하고, 각 그룹 모두 동일하게 하루 1번 오후 5 내지 6시경 물 200ml에 위 조성의 분말을 쉐이크 형태로 믹스해서 12주 동안 매일 복용하도록 하였다.
본원식품 복용 전후 신체 지수의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시험군에서는 체중백분율(PIBW), BMI, 체지방율, 허리둘레 등 모든 신체지수 변화에서 감소하였을 나타냈다. 반면, 대조군의 경우에는 복용자 본인은 대조군임을 모른 상태로 진행되었고, 유청 단백질만 포함된 분말을 공급받았으며 유청 단백질 자체에 의한 식욕억제 효과도 있으므로 12주 후 약간의 체중감소는 보였으나 복원식품 복용자에 비해 체중 감소가 확연히 적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참고로, 사이즈 및 체지방량은 체성분석기인 인바디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이고, 도 1은 시험군 10명 각각의 신체 지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대조군 10명 각각의 신체 지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복용 전후 신체 지수 변화>
Group A (시험군) (n=10) Group B (대조군) (n=10)
0주 12주 0주 12주
체중(kg) 82.43±15.79 78.81±15.40 84.34±8.79 83.04±8.85
PIBW(%) 149.73±27.14 143.12±26.32 148.21±16.87 145.91±16.81
BMI(Kg/m2) 31.44±5.70 30.06±5.53 31.12±3.54 30.64±3.53
체지방율(%) 35.43±12.11 33.59±11.81 38.34±6.53 37.41±6.57
허리둘레(cm) 100.25±13.04 97.22±12.47 103.04±8.14 101.43±7.91
엉덩이둘레(cm) 106.64±9.10 105.10±9.37 107.70±4.74 106.96±4.75
허리/엉덩이비율 0.94±0.05 0.92±0.05 0.96±0.05 0.95±0.04
복용 후 효과는 약 30분 내지 1시간 후부터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증가에 의한 약간의 긴장감과 식욕억제 효과가 유발되기 시작하였고, 그 효과는 6시간 이상 12시간까지 지속되었다. 전체적으로, 홍경천에 의한 Adaptogen(describe a substance that may increase resistance to stress: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을 높이는 물질)의 작용으로 전체적 활력이 증가되는 느낌과 아미노산인 타이로신의 작용에 의해 이 효과는 증폭되었다.
아미노산인 트립토판과 타이로신, 그리고 홍경천과 카모마일의 동시작용으로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등의 신경물질의 증가로 인한 복합효과로 음식을 섭취하려는 욕구 감소 및 음식 섭취시 조기 포만감(early satiety)으로 음식물 섭취량 감소되었다.
한편, 다른 실험에서, 대체식이로서 아침과 점심 대용 복용시 활력증가로 활동량은 증가되면서 포만감 및 식욕억제로 음식섭취량은 줄일 수 있게 되어 에너지 소모의 증가와 음식물 섭취의 감소로 인한 칼로리 섭취의 전반적 감소로 효과적인 체중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었고, 궁극적인 식사 전 섭취와 더불어 비만의 예방과 관리에 유용할 수 있었다.
다른 한편, 유청 단백질의 사용으로 다이어트시 부족되기 쉬운 양질의 단백질의 공급이 가능하여 바쁜 시간인 아침 또는 점심의 대체식이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공복시 아미노산과 허브만 복용할 경우 예측 가능한 약물 농도의 급상승 또한 유청 단백질 성분의 완충(buffer) 효과로 예방이 가능한 것으로 또 다른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아미노산의 하나인 트립토판(Tryptophan), 아미노산의 다른 하나인 타이로신(Tyrosine), 허브의 하나인 홍경천(Rhodiola), 허브의 다른 하나인 카모마일(Chamomile), 그리고 유청 단백질(Whey prote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트립토판, 상기 타이로신, 상기 홍경천, 상기 카모마일 및 상기 유청 단백질은 분말화하여 제조되고,
    상기 트립토판 분말 1.5g, 상기 타이로신 분말 2g, 상기 홍경천 분말 400mg, 상기 카모마일 분말 700mg 및 상기 유청 단백질 분말 30g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서,
    식사대용식으로 섭취하는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트립토판 분말, 상기 타이로신 분말, 상기 홍경천 분말, 상기 카모마일 분말 및 상기 유청 단백질 분말을 물과 함께 혼합한 쉐이크 형태로 제조하여 식사대용식으로 섭취하는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
  6. 삭제
KR1020210092243A 2021-07-14 2021-07-14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 KR102428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243A KR102428972B1 (ko) 2021-07-14 2021-07-14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
US17/513,900 US20230023788A1 (en) 2021-07-14 2021-10-29 Method and a dietary composition on regulatio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obesity
CN202111304281.6A CN115606806A (zh) 2021-07-14 2021-11-05 有助于预防和控制肥胖的膳食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243A KR102428972B1 (ko) 2021-07-14 2021-07-14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972B1 true KR102428972B1 (ko) 2022-08-03

Family

ID=82847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243A KR102428972B1 (ko) 2021-07-14 2021-07-14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23788A1 (ko)
KR (1) KR102428972B1 (ko)
CN (1) CN115606806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2072A (ja) * 2004-07-09 2006-01-26 Atsuyoshi Murakami 食欲コントロール剤
US20160015777A1 (en) * 2014-07-16 2016-01-21 Nutraceutical Strategies Corporation Protein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60089392A1 (en) * 2014-09-30 2016-03-31 Fatemeh Malekian Whey Protein and Resistant Starch Compositions to Reduce Body Mass Index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된 ‘[분리유청단백질보충제]자연방목프로틴 뉴트리미로 건강한 다이어트’(2021.04.06.)* *
오재근 외 3명. 한국영양학회지. 제39권4호. pp.323-33-(2006.06.30.)* *
티스토리에 게재된 ‘락티움 뉴트리코어 제품 소개’(2020.12.08.)* *
헤럴드경제에 게재된 기사 ‘잠자기 전에 마시면 체중이 쏙쏙...’(2017.01.1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606806A (zh) 2023-01-17
US20230023788A1 (en)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6579A (ko) 손상된 신경전달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품
CN109222103B (zh) 增肌组合物和保健食品
JP2003521498A (ja) ストレス治療用の組成物
KR20090081322A (ko) 우울증 치료를 위한 트라이사이클릭 디테르펜 및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식이 또는 약학 조성물
NZ532550A (en) Compositions incorporating (-)-hydroxycitric acid, chromium, and gymnemic acid, and related methods for promoting healthy body weight and improving related health factors
KR20090082908A (ko) 로즈마리 추출물, 이를 함유하는 식이 및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1096413A1 (ja) 運動機能改善剤
Joyal A perspective on the current strategie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US20020192308A1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controlling weight
CA2441192C (en) The use of lysin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stress-induced diseases
NO20001717L (no) Serotonin-inneholdende formulering for oral administrering og anvendelse av samme
KR102428972B1 (ko) 비만의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
US20140024674A1 (en) Trpm5 inhibitors support body weight reduction without reducing food intake
JP2009102235A (ja) 総合栄養組成物
US20040097429A1 (en) Method for the reduction of the mammalian appetite
KR102428974B1 (ko) 비만 예방을 위한 식이조성물
JP5394644B2 (ja) アスペルロシドまたはその類縁体を含む筋肉増強剤
US11766458B2 (en) Method and a dietary composition on regulatio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obesity
WO2017048882A1 (en) Compositions for regulation and control of appetite
EP3871685B1 (en) Anti-obesity agent, pollakiuria improving agent, and autonomic nervous activity regulator
KR100441308B1 (ko) 다이어트 인삼복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
EP4066897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decrease in muscle mass, preventing weakness of muscular power, increasing muscle mass or strengthening muscular power
JP5048258B2 (ja) リバウンド抑制剤
Greenway et al. Herbal and alternative approaches to obesity
CA2385774A1 (en) Composition to reduce food cravings and supress the appet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