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695B1 - 건물의 벽면 마감용 금속패널 - Google Patents

건물의 벽면 마감용 금속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695B1
KR102428695B1 KR1020200031667A KR20200031667A KR102428695B1 KR 102428695 B1 KR102428695 B1 KR 102428695B1 KR 1020200031667 A KR1020200031667 A KR 1020200031667A KR 20200031667 A KR20200031667 A KR 20200031667A KR 102428695 B1 KR102428695 B1 KR 102428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anel
coupling
decorative plate
build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630A (ko
Inventor
허진수
Original Assignee
허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진수 filed Critical 허진수
Priority to KR1020200031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69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uperposed elements which overlap each other and of which the flat outer surface includes an acute angle with the surface to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패널로 건물의 벽면을 부착함에 있어 고정클립을 사용하지 않고 금속패널을 부착하고, 부착된 금속패널에 테두리에 부착할 금속패널의 테두리를 끼워 맞춤방식으로 계속 부착할 수 있는 금속패널에 관한 것이고, 또한 입체적인 금속패널에 관한 것이며, 또한 연결된 금속패널의 연결부위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금속패널에 관한 것이며, 상부에서 하부로 금속패널을 계속 부착할 수 있는 금속패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의 벽면 마감용 금속패널{METAL PANEL FOR WALL FINISHING OF BUILDINGS}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내/외) 마감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패널로 건물의 벽면을 부착함에 있어 고정클립을 사용하지 않고 금속패널(METAL PANEL)을 부착하고, 부착된 금속패널에 테두리에 부착 할 금속패널의 테두리를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계속 벽면에 부착할 수 있는 금속패널에 관한 것이고, 또한 입체적인 금속패널에 관한 것이며, 또한 연결된 양 금속패널의 연결부위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금속패널에 관한 것이며, 상부에서 하부로 금속패널을 계속 부착할 수 있는 금속패널에 관한 것이다.
건물 외벽을 마감하는 방법으로, 주로 패널(석재패널, 금속패널)을 부착하는 방식이 통용되고 있다.
그러나, 석재패널을 사용하여 벽면을 마감하는 방식은, 코오킹을 부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공정상의 불편함과 코오킹시 발생하는 작업의 어려움, 그리고 코오킹 후 틈새로 흘러나온 실링으로 인하여 미관이 아름답지 못한 점 등의 단점이 있는데 비해, 금속패널을 사용하면 석재패널에 비해 시공속도가 빠르고 미관을 아름답게 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금속패널 시공방식을 더 선호하는 추세이다.
일 예로, 건물의 지붕이나 내/외부 벽면에 금속패널을 부착할 경우, 현장에서 절단기를 이용하여 금속판재를 알맞는 크기로 절단한 후, 절단된 판재를 2~3번 절곡한 다음, 절곡된 부위를 서로 맞물려 고정하는 방식으로 시공한다.
이외에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7713호(건축물 내외 장식용 금속패널)도 공지되어 있다.
전술한 등록특허 제10-0367713호는 두께가 엷고 가벼운 금속판을 프레스로 절곡하여 도 1에 도시된 형태(정사각형 혹은 마름모형, 혹은 평행 사변형)로 제조된 경량 금속패널(10)의 각 변(4곳의 테두리부분)을 절곡하여 걸림부(12 내지 15)를 각각 마련하되, 이웃한 양 걸림부(12, 13)은 전면쪽으로, 그 대향측 양 걸림부(14, 15)는 배면쪽으로 각각 절곡하고, 절곡된 전/후면의 양 걸림부(12,13)(14,15)를 서로 걸어 금속패널(10)들을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한 금속패널을 특징으로 한다.
위 금속패널의 시공방법으로는, 먼저 나사 체결공(도면부호 미표기)을 갖춘 고정클립(30)을 전면측 걸림부(12, 13)에 마련된 홈(16)에 걸고, 체결공에 나사를 체결하여 금속패널(10)을 벽면에 고정한 다음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걸림부(14, 15) 중 어느 일측 걸림부를 벽면에 먼저 부착한 전면측 양 걸림부(12, 13)중 한 곳에 걸어 연결하는 방식으로 밑에서 위쪽으로 벽면에 금속패널을 부착한다.
이렇게 하면, 전면측 걸림부(12,13) 위에 후면측 걸림부(14,15)가 중첩되면서 걸리기 때문에 전면측 걸림부(12,13)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금속패널(10)은 두께가 얇기 때문에 도 1의 확대도(원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림부(12,13)의 첨단 즉, 양 걸림부(12,13)의 입구는 금속패널의 제조, 포장, 운송 및 취급 과정에서 그 길이방향의 입구 간격이 차이(좁거나 넓은)가 생기되면서 양 걸림부가 상대측 입구속으로 삽입되지 않는 문제가 생긴다.
그로 인해, 작업자는 걸림부의 입구를 손으로 일일이 벌린 다음 양 걸림부를 서로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양 걸림부를 서로 결합한 후, 부착되어지는 금속패널을 앞서 부착한 금속패널의 외측으로 잡아 당겨 양 걸림부의 결합 깊이 조절을 통해 금속패널(10)의 배치간격을 조정하게 되지만, 전/후면의 양 걸림부의 결합상태(깊이)는 눈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금속패널(10)의 배치 간격을 맞추기 어렵다(숙련도 필요). 그래서 작업 능률과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로 이어진다.
또한 전술한 금속패널(10)은 각 걸림부의 양 모서리(C) 부위로 빗물(또는 물)이 유입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다.
또한 전술한 금속패널(10)은 정사각형 또는 마름모꼴, 평행 사변형상으로 제조되어야 다른 금속패널을 연속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을 요구하는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곤란하고, 디자인이 평면적이어서 단조롭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전/후면 걸림부의 입구를 임의로 벌려 주어야 하기 때문에 양 걸림부 사이의 기밀성과 단열효과를 떨어뜨리고, 때때로 벽면에서 풍절음이 생기기도 한다.
또한 금속패널을 벽면에 처음 부착할 때, 고정클립을 사용해서 부착하므로 별도로 고정클립을 제조해야 하고, 또한 고정클립을 체결하는 일련의 작업공정은 작업능률과 효율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하기에 이르렀고 괄목한 만한 성과가 있어 이를 본 발명을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금속패널을 건물 벽면에 부착함에 있어 고정클립을 사용하지 않고 벽면에 부착할 수 있고, 부착된 금속패널에 부착할 금속패널의 테두리를 끼워맞춤 방식으로 계속 부착할 수 있는 시공이 빠르고 쉬운 건물의 벽면 마감용 금속패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패널의 모서리를 통해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수밀특성과 바람이 유입되지 않도록 수밀특성 및 기밀특성을 갖출 수 있는 금속패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체적인 형태를 표현할 수 있고, 또한 금속패널의 휨 또는 비틀림 강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금속패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벽면의 상부에서 하부로 금속패널을 시공할 수 있는 금속패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패널을 구현하기 위한 해결수단은,
건물 벽면에 부착되는 금속패널에 있어서,
정사각, 직사각형, 평행사변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장식판과,
전술한 장식판과 일체로 이웃한 양 변에 결합된 결합부들과;
전술한 장식판과 일체로 상기 양 결합부와 마주보는 변에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슬롯을 갖춘 지지부를 포함하는 금속패널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장식판은 그 표면에 음각 혹은 양각으로 다양한 형태의 장식 패턴 또는 대각선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대각선 혹은 장식 패턴에 의해 패널의 휨강도나 비틀림강도를 보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식판 표면의 장식성을 표현할 수 있다.
전술한 장식판은 지지부의 일측 슬롯에서 타측 슬롯방향으로 면의 두께가 점점 증가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금속패널을 벽면에 시공하였을 때 돌출부에 의해 금속패널이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므로 금속패널을 입체적으로 보여지게 된다.
전술한 양 결합부가 만나는 부분은 중첩부를 마련하여 지지부와 결합부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과 양 지지부가 만나는 부위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의 슬롯속으로 결합부를 끼우는 방식으로 바로 결합하므로 전술한 등록특허의 금속패널에 대해 언급한 고정클립을 사용하지 할 필요가 없고, 또한 걸림부를 벌려 금속패널을 결합할 필요 없으며, 금속패널간의 결합상태(간격)를 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시공에 따른 작업능률과 효율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부가 지지부위로 중첩되게 결합되므로 금속패널의 모서리부위에서 빗물이 금속패널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되고, 결합부에 내재된 탄성에 의해 결합부의 길이방향의 첨단 전체가 지지부의 슬롯내의 표면에 접해지게 되므로, 바람(열기, 냉기)가 유입되는 일이 없다. 그래서 단열효과가 약화되거나 풍절음이 생기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시 금속패널의 돌출부에 따른 높이에 의해서 금속패널을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돌출부과 장식패턴 등에 의해 장식판의 휨 강성 및 비틀림 강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의 건물 벽면 마감용 금속패널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금속패널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패널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금속패널의 배면도,
도 6은 도 4의 A-A선에서 바라 본 금속패널의 일측면도,
도 7은 도 4의 B-B선에서 바라 본 금속패널의 일측면도,
도 8은 도 7의 "가" 및 "나"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금속패널의 시공 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패널의 시공 예를 도시한 건물 벽면의 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금속패널을 벽면에 시공하였을 때, 결합부와 지지부의 모서리를 각각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금속패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금속패널(100)은 평행 사변형, 사각형 또는 마름모꼴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프레스 또는 금형에 의해 성형된 것들을 포괄한다. 이하에서는 프레스에 의해 도 3과 같은 형태로 절곡 및 절단된 금속판재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도면 전반에서 동일 구성에서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표기한다.
전술한 금속패널(10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각 또는/및 양각으로 특정 장식 패턴(도면에는 미도시)을 포함하는 장식판(101)과, 상기 장식판(101)의 각 변(4개의 변) 중 이웃한 변에 각각 마련되는 결합부(112)(113)와, 상기 결합부(112)(113)에 대향하는 각각의 변에 마련되는 지지부(114)(115)를 포함한다.
전술한 장식 패턴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대각방향으로 교차되는 하나 이상의 대각선(102) 또는 특정 문양(도형 포함)을 포괄한다.
따라서, 전술한 장식 패턴에 의해 장식판(101)의 휨 강성과 비틀림 강성을 개선할 수 있고, 장식판(101)의 시각적인 장식성과 입체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12)(113)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판(101)과 일체로 절곡된 금속패널(100)의 테두리 부분으로, 벽면(200, 도 10)에 대하여 소정각도(a, 도 8)로 절곡되는 것이 그렇지 않은 것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결합부(112)(113)를 후술하는 지지부(114)(115)의 슬롯(114a)(115a)속으로 끼웠을 때 결합부(112)(113)에 내재된 탄성에 의해 결합부(112)(113)의 첨단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114a)(115a) 표면에 긴밀히 접해지면서 기밀특성과 수밀특성을 명확히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지지부(114)(115)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12)(113)와 대향되는 장식판(101)의 변에 장식판(101)의 절곡을 통해 마련되는 부분으로, 벽면(200, 도 10)에 접하게 되는 부분이다.
전술한 지지부(114)(115)는 프레스 성형시 장식판(101)과 연결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좀 더 부연하면, 지지부(114)(115)에서 장식판(101)쪽으로 벽면과 나란하게 밑으로 연장되면서 절곡에 의해 장식판(101)과 연결되어 마치 영문 알파벳 "S"자 형태로 장식판(101)과 지지부(114)(115) 사이에 상기한 결합부(112)(113)를 수용하는 슬롯(114a)(115a)과 지지부(114)(115)가 마련된다.
전술한 슬롯(114a)(115a)의 길이는 금속패널(100)의 변의 길이 만큼 이루어져 있고, 그 단면은 상기한 결합부(112)(113)의 단면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양 결합부(112)(113)가 만나는 모서리에는 중첩부(116)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전술한 양 지지부(114)(115)가 만나는 모서리 및 결합부(112)(113)와 지지부(114)(115)가 만나는 양 모서리에는 중첩부(116)의 면적 보다 작은 크기의 절취부(118)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중첩부(116)는 도 4의 절취선(116a) 처럼 그 모서리의 일부분이 절단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지지부(114)(115)가 만나는 부위에서 양 결합부(112)(113)가 만나는 모서리를 슬롯(114a)(115a)속으로 더 깊이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중첩부(116)는 금속패널(100)을 벽면(200)에 부착했을 때 결합부(112)(113)의 끝단부 저면과 양 지지부(114)(115)의 절취부(117)(118)의 상면에 각각 중첩되므로 금속패널(100)의 모서리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금속패널(100)은 결합부(112)(113)를 사선방향으로 또는 수평방향으로 벽면에 부착해도 효과는 동일하다.
금속패널 시공방법으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의 상단에 결합된 몰딩부재(201)와 벽면(200)사이로 결합부(112)(113)를 끼워 금속패널(100)을 고정한 다음 이어서 다른 금속패널(100)의 결합부(112)(113)를 벽면(200)에 앞서 부착한 슬롯(114a)(115a)에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금속패널(100)을 벽면에 부착하면 된다.
위와 같은 시공방법으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114a)(115a)에 삽입된 결합부(112)(113)의 일측 단부는 앞서 부착된 결합부(112)(113) 밑에 위치되고, 타측 단부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지지부(114)(115) 위에 중첩되게 슬롯(114a)(115a)내에 위치되게 된다.
전술한 금속패널은 앞선 설명에서 이해 할 수 있듯이 벽면의 상부에서 하부로 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금속패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을 더 넓은 관점에서 벗어나지 않고 변경 예나 응용 예를 도출할 수 있으나 그러한 변경 예나 응용 예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권리범위와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는 것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100: 금속패널
112, 113: 결합부
114, 115: 지지부
114a, 115a: 슬롯
116: 중첩부
116a: 절취선
117, 118: 절취부
201: 몰딩부재
200: 벽면

Claims (5)

  1. 건물 벽면에 부착되는 금속패널에 있어서,
    지지부의 일측 슬롯에서 타측 슬롯방향으로 두께가 점점 커지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장식판과,
    상기 장식판의 이웃한 양 변에 일체로 각각 마련되는 결합부와;
    상기 양 결합부와 대향하는 변에 상기 장식판과 일체로 마련되어 양 결합부를 각각 수용하는 슬롯을 포함하는 양 지지부와;
    상기 양 결합부가 만나는 모서리에 마련되는 중첩부와;
    상기 양 지지부가 만나는 모서리 및 일측 결합부와 일측 지지부가 만나는 모서리에 상기 중첩부의 면적 보다 작게 이루어진 절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벽면 마감용 금속패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은 그 표면에 음각 혹은 양각의 장식 패턴 또는 대각선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건물의 벽면 마감용 금속패널.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장식판으로부터 소정각도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벽면 마감용 금속패널.
KR1020200031667A 2020-03-15 2020-03-15 건물의 벽면 마감용 금속패널 KR102428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667A KR102428695B1 (ko) 2020-03-15 2020-03-15 건물의 벽면 마감용 금속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667A KR102428695B1 (ko) 2020-03-15 2020-03-15 건물의 벽면 마감용 금속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630A KR20210115630A (ko) 2021-09-27
KR102428695B1 true KR102428695B1 (ko) 2022-08-02

Family

ID=77926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667A KR102428695B1 (ko) 2020-03-15 2020-03-15 건물의 벽면 마감용 금속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6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664B1 (ko) 2023-02-13 2023-08-28 주식회사 엘에스디 건축 패널 자동 발주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245B1 (ko) * 2017-05-30 2018-11-13 유재욱 건축물 내,외장재용 금속패널 및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9093A (ko) * 2016-04-18 2017-10-26 신일공영(주) 건물 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245B1 (ko) * 2017-05-30 2018-11-13 유재욱 건축물 내,외장재용 금속패널 및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664B1 (ko) 2023-02-13 2023-08-28 주식회사 엘에스디 건축 패널 자동 발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630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8695B1 (ko) 건물의 벽면 마감용 금속패널
CN211286152U (zh) 一种多用途收口线结构
CN204898991U (zh) 一种拆装式转角吊顶层
CN107663933A (zh) 一种木饰墙板间连接工艺方法
KR20090119575A (ko) 건물 외벽용 외장판넬
CN202575643U (zh) 一种用于电梯轿厢内装饰的插挂式装饰组件
CN212026931U (zh) 一种装配式可拆卸艺术透光玻璃墙面安装系统
CN206220755U (zh) 窗框易固定窗户
CN201367721Y (zh) 全封口阳角线
US20120199709A1 (en) Tile-ready structural support ledge for ceramic tile shelves
CN203640136U (zh) 一种加强型装饰吊顶
RU62625U1 (ru) Профиль
KR200270243Y1 (ko) 건축물의 내외장식용 아트패널
CN206360169U (zh) 一种挂接不露钉式百叶幕墙板系统
CN205558140U (zh) 一种组合式板材结构
US7353617B1 (en) Surface template
KR200196625Y1 (ko) 장식판이 부착된 방화문
CN210611530U (zh) 一种橱柜岛台及其装饰盒
US11920356B2 (en) Siding panel with varying profile and siding system
CN211287328U (zh) 一种正面内嵌有金属条的门板
CN202099928U (zh) 一种装饰吊顶板
CN203905229U (zh) 一种无需大量胶缝的铝板墙板系统
CN210658912U (zh) 一种拼接式集成吊顶
CN204370772U (zh) 装饰性较强的多功能墙体阳角护角条
CN203782944U (zh) 墙面劲平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