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690B1 - 도장 롤러 - Google Patents

도장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690B1
KR102428690B1 KR1020210057361A KR20210057361A KR102428690B1 KR 102428690 B1 KR102428690 B1 KR 102428690B1 KR 1020210057361 A KR1020210057361 A KR 1020210057361A KR 20210057361 A KR20210057361 A KR 20210057361A KR 102428690 B1 KR102428690 B1 KR 102428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ver
rotation shaft
brush
paint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규
김영수
이수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210057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13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1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supplied from inside the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2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comprising means for angularly adjusting or allowing angular movement of the roller relative to its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245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장 롤러는 손잡이,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갖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러시, 상기 제1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로 이어지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회전축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위를 갖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부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로 이어지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장 롤러 {PAINTING ROLLER}
본 발명은 도장 롤러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10-1181101은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여, 넓은 영역을 손쉽게 도장할 수 있는 다중롤러를 개시한다. 하지만 이에 의하면, 복수의 롤러가 서로 평평하게 배열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평평한 부분은 효율적으로 도장할 수 있겠으나, 그렇지 않은 부분, 예컨대 단차가 있는 부분은 제대로 도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는 코너 부분을 효과적으로 도장하기 위해, 롤러에 연결된 롤러축연결대와 파지부에 연결된 연장로드가 서로 360°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에 의하더라도 롤러의 폭보다 좁은 부분은 여전히 쉽게 도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부분을 효율적으로 도장할 수 있는 도장 롤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차 부분을 효율적으로 도장할 수 있는 도장 롤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브러시로 도료를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도장 롤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장 롤러는 손잡이,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갖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브러시, 상기 제1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로 이어지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회전축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위를 갖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부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로 이어지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3 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신장 또는 축소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브러시는 상기 제1 회전축이 신장 또는 축소되는 것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접철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 측에 배치되는 릴, 일단은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3 프레임 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릴에 감기는 와이어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이 멀어지는 방향 및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축은 원주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프레임은 중공 구조를 가지며,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브러시에 이웃하게 연장되며, 원주면에 상기 제1 브러시를 향해 관통홀이 형성되는 보조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보조 프레임은 중공 구조를 가지며,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텔레스코픽 구조를 갖는 제2 회전축, 상기 제2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브러시, 일단은 상기 제2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레버 및 일단은 상기 제2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3 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신장 또는 축소될 수 있고, 상기 제2 브러시는 상기 제2 회전축이 신장 또는 축소되는 것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접철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는 각 일단이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인접한 제1 위치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으로부터 내려간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측에 배치되는 릴, 일단은 상기 제1 레버나 상기 제2 레버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릴에 감겨 상기 제1 레버나 상기 제2 레버가 제1 위치를 취하게 할 수 있는 와이어 및 상기 제1 레버나 상기 제2 레버가 제2 위치를 취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레버나 상기 제2 레버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취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브러시는 상기 제1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기모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모 영역과 기모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단모 영역이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브러시와 상기 제2 브러시는 각각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기모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모 영역과 기모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단모 영역이 교번하여 배열되되, 상기 제2 브러시의 장모 영역과 단모 영역의 배열은 상기 제1 브러시의 장모 영역과 단모 영역의 배열에 대해 오프셋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브러시는 상기 제1 브러시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장 롤러는 사용자가 릴 또는 액추에이터를 이용해 필요에 따라 도장 롤러의 폭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 제1 프레임, 보조 프레임 등이 중공 구조를 가져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됨으로써, 외부 도료 공급원으로부터 제1 프레임으로 도료를 공급하여 브러시로 도료를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회전축과 브러시를 포함할 경우, 릴 또는 액추에이터를 이용해 필요에 따라 레버의 위치를 조작함으로써, 레버가 올라간 상태, 즉 복수의 브러시가 평평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넓은 영역을 효율적으로 도장할 수도 있고, 레버에 연결된 어느 한 브러시가 돌출된 상태에서 해당 브러시를 이용해 단차 구역을 용이하게 도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의 개요도로서, 도장 롤러의 폭이 늘어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의 개요도로서, 도장 롤러의 폭이 줄어든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에서 브러시와 보조 프레임을 삭제한 모습이다.
도 4는 도 3에서 회전축을 삭제한 모습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의 개요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의 개요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에서 제1 레버 부분에 대한 측면도로서, 제1 레버가 올라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에서 제1 레버 부분에 대한 측면도로서, 제1 레버가 내려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의 개요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에서 제1 레버 부분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100, 200, 300, 4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100)의 개요도로서, 도 1은 도장 롤러(100)의 폭이 늘어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장 롤러(100)의 폭이 줄어든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서 브러시(130)와 보조 프레임(150)을 삭제한 모습이고, 도 4는 도 3에서 회전축(120)을 삭제한 모습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장 롤러(100)는 손잡이(110), 회전축(120), 브러시(130), 제1 프레임(141), 제2 프레임(142), 제3 프레임(143), 보조 프레임(150), 릴(161), 와이어(162), 탄성 부재(163)를 포함한다.
손잡이(110)는 사용자가 도장 롤러(100)를 파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회전축(120)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갖는 한편, 중공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면 회전축(120)은 두 개 이상의 파이프를 포함하여, 어느 한 파이프의 내경이 다른 파이프의 외경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이들 파이프가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20)은 원주면에 관통홀(120A)이 형성된다. 이는 브러시(130)로 도료를 공급하기 위한 것인데, 이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브러시(130)는 회전축(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브러시(130)는 회전축(120)이 신장/축소되는 것에 대응하여, 회전축(120)에 나란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아코디언 형태로 접철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브러시(130)는 회전축(120)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기모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모 영역(L)과 기모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단모 영역(S)이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120)이 축소될 때, 브러시(130)는 단모 영역(S)을 중심으로 주름지게 변형됨으로써, 도장 시 장모 영역(L)을 통해 일정한 도막 두께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41)은 회전축(120)의 일단에 연결되며, 손잡이(110)로 이어진다.
또한 제1 프레임(141)은 중공 구조를 갖는다. 이에 제1 프레임(141)과 회전축(120)은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외부 도료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1 프레임(141)으로 도료를 공급하면, 그 도료가 제1 프레임(141)을 따라 회전축(120)으로 유동하여 관통홀(120A)을 통해 브러시(130)로 (안쪽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별도 호스가 외부 도료 공급원으로부터 제1 프레임(141)을 따라 회전축(120)으로 연결되어, 도료가 해당 호스를 통해 유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호스는 사용 중 변형에 대응할 수 있도록 연성 소재, 특히 신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용수철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42)은 회전축(120)의 타단에 연결되며, 회전축(120)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위(142A)를 갖는다. 도면에서는 제2 프레임(142)이 대체적으로 좌우가 반전된 'ㄴ'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제3 프레임(143)은 제2 프레임(142)의 상기 부위(142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며, 손잡이(110)로 이어진다. 도면에서는 제3 프레임(143)이 대체적으로 좌우가 반전된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보조 프레임(150)은 제1 프레임(141)에 연결되며, 브러시(130)에 이웃하게 연장되어, 제2 프레임(14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프레임(150)은 텔레스코픽 구조를 갖는 한편, 중공 구조를 갖는다. 이에 보조 프레임(150)과 제1 프레임(141)은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된다. 또한 보조 프레임(150)은 원주면에 브러시(130)를 향해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 도료 공급원으로부터 제1 프레임(141)으로 도료를 공급하면, 그 도료가 제1 프레임(141)을 따라 보조 프레임(150)으로 유동하여 관통홀을 통해 브러시(130)로 (바깥쪽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이처럼 도료가 회전축(120)을 통해 브러시(130) 안쪽에서 제공되는 구성과 보조 프레임(150)을 통해 브러시(130) 바깥쪽에서 제공되는 구성은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들 중 어느 하나만 채용될 수도 있고, 이들 모두 채용될 수도 있다.
릴(161)은 제1 프레임(141) 또는 제2 프레임(142) 측에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릴(161)이 제2 프레임(142)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릴(161)은 셀프락(self-lock) 및 릴리스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면 릴(161)은 래칫, 폴(pawl), 스파이럴 스프링 및 릴리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릴(161)이 어느 한 방향으로, 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래칫과 폴이 맞물려 릴(161)이 그 반대 방향으로, 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릴리스 버튼에 의해 래칫과 폴이 분리되면 릴(161)이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즉 반시계 방향으로 복귀될 수 있다. 또는 릴(161)은 이른바 BOA® 방식 다이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와이어(162)는 일단이 제1 프레임(141) 또는 제3 프레임(143) 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릴(161)에 감긴다. 도면에서는 와이어(162)가 회전축(120) 내에 배치되어, 일단이 제1 프레임(141) 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와이어(162)가 릴(161)에 감길수록 제1 프레임(141)과 제2 프레임(142)의 거리가 가까워지며, 이에 따라 회전축(120)이 단축되어, 도장 롤러(100)의 폭이 전체적으로 줄어든다.
탄성 부재(163)는 일단이 제1 프레임(141) 또는 제3 프레임(143) 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 프레임(142) 측에 고정된다. 도면에서는 탄성 부재(163)가 회전축(120) 내에 배치되어, 일단이 제1 프레임(141) 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탄성 부재(163)는 제1 프레임(141)과 제2 프레임(142)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따라서 와이어(162)가 릴(161)에서 풀리면, 탄성 부재(163)에 의해 제1 프레임(141)과 제2 프레임(142)이 멀어지며, 이에 따라 회전축(120)이 신장되어, 도장 롤러(100)의 폭이 전체적으로 늘어난다.
이상으로 설명한 도장 롤러(100)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그 폭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회전축(120), 제1 프레임(141), 보조 프레임(150) 등이 중공 구조를 가져, 이를 통해 브러시(130)로 도료를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200)의 개요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2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100)와 비교할 때, 릴(161), 와이어(162) 및 탄성 부재(163)를 포함하지 않고, 그 대신 액추에이터(260)를 포함하는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200)에서 손잡이(210), 회전축(220), 브러시(230), 제1 프레임(241), 제2 프레임(242), 제3 프레임(243), 보조 프레임(250) 등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혹 상이한 부분이 있더라도 통상의 기술자라면 위 차이에 대응하여 당연히 변경할 것으로 예상되는 정도에 불과하므로, 이에 대해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260)는 일단이 제1 프레임(241) 또는 제3 프레임(243) 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 프레임(242) 측에 결합된다. 도면에서는 액추에이터(260)가 제2 프레임(242)과 제3 프레임(243) 내에 배치되어, 일단이 제3 프레임(243) 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260)가 작동함에 따라, 제1 프레임(241)과 제2 프레임(242)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서 회전축(220)이 단축되어 도장 롤러(100)의 폭이 전체적으로 줄어들 수도 있고, 제1 프레임(241)과 제2 프레임(242)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서 회전축(120)이 신장되어 도장 롤러(100)의 폭이 전체적으로 늘어날 수도 있다.
이러한 액추에이터(260)는 예컨대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 전동 실린더,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300)의 개요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300)에서 제1 레버(371) 부위에 대한 측면도로서, 도 7은 제1 레버(371)가 올라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제1 레버(371)가 내려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300)는 손잡이(310), 복수의 회전축(320: 320-1; 320-2; 320-3), 복수의 브러시(330), 제1 프레임(341), 제2 프레임(342), 제3 프레임(343), 제1 릴(361), 제1 와이어(362), 제1 탄성 부재(363), 제1 레버(371), 제2 레버(372), 제2 릴(381), 제2 와이어(382), 제2 탄성 부재(383)를 포함한다.
손잡이(310)는 사용자가 도장 롤러(300)를 파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회전축(320)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갖는 한편, 중공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면 회전축(320)은 두 개 이상의 파이프를 포함하여, 어느 한 파이프의 내경이 다른 파이프의 외경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이들 파이프가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320)은 원주면에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는 브러시(330)로 도료를 공급하기 위한 것인데, 이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이러한 회전축(320)은 복수 개로 마련된다. 도면에서는 회전축(320)이 세 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회전축(320)은 필요에 따라 두 개 또는 네 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회전축(320)이 세 개로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면을 기준으로 했을 때 위에서부터 차례로 제1 회전축(320-1), 제2 회전축(320-2), 제3 회전축(320-3)이라 한다.
브러시(330)는 회전축(3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브러시(330)는 회전축(320)이 신장/단축되는 것에 대응하여, 회전축(320)에 나란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아코디언 형태로 접철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브러시(130)는 회전축(120)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기모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모 영역(L)과 기모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단모 영역(S)이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브러시(330)도 복수 개로 마련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회전축(320)이 세 개로 마련된다면 브러시(330)도 세 개로 마련된다. 나아가 브러시(330)가 복수 개로 마련될 경우, 어느 한 브러시(330)의 장모 영역(L)과 단모 영역(S)의 배열은 다른 브러시(330)의 장모 영역(L)과 단모 영역(S)의 배열에 대해 오프셋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회전축(320-2)에 결합된 브러시(330)의 장모 영역(L)은 제1 회전축(320-1)에 결합된 브러시(330)의 단모 영역(S)에 해당하는 라인에 위치하고, 제2 회전축(320-2)에 결합된 브러시(330)의 단모 영역(S)은 제1 회전축(320-1)에 결합된 브러시(330)의 장모 영역(L)에 해당하는 라인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회전축(320-3)에 결합된 브러시(330)의 장모 영역(L)은 제2 회전축(320-2)에 결합된 브러시(330)의 단모 영역(S)에 해당하는 라인에 위치하고, 제3 회전축(320-3)에 결합된 브러시(330)의 단모 영역(S)은 제2 회전축(320-2)에 결합된 브러시(330)의 장모 영역(L)에 해당하는 라인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2 회전축(320-2)에 결합된 브러시(330)는 다른 회전축(320-1, 320-3)에 결합된 브러시(33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프레임(341)은 제1 회전축(320-1)과 제3 회전축(320-3)의 일단에 연결되며, 손잡이(310)로 이어진다.
또한 제1 프레임(341)은 중공 구조를 갖는다. 이에 제1 프레임(341)과 제1 회전축(320-1) 및 제3 회전축(320-3)은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외부 도료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1 프레임(341)으로 도료를 공급하면, 그 도료가 제1 프레임(341)을 따라 제1 회전축(320-1)과 제3 회전축(320-3)으로 유동하여 관통홀을 통해 브러시(330)로 (안쪽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별도 호스가 외부 도료 공급원으로부터 제1 프레임(341)을 따라 제1 회전축(320-1)과 제3 회전축(320-3)으로 연결되어, 도료가 해당 호스를 통해 유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호스는 사용 중 변형에 대응할 수 있도록 연성 소재, 특히 신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용수철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100)에서 보조 프레임(150)을 언급한 바 있다.
도 6이 너무 복잡하게 표현되지 않게 하기 위해, 보조 프레임(150)에 대응되는 구성을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300)도 그러한 보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프레임은 제1 프레임(341)으로부터 브러시(330)에 이웃하게 연장되며, 원주면에 브러시(330)를 향해 관통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 도료 공급원으로부터 제1 프레임(341)으로 도료를 공급하면, 그 도료가 제1 프레임(341)을 따라 보조 프레임으로 유동하여 관통홀을 통해 브러시(330)로 (바깥쪽에서) 제공될 수 있다.
제2 프레임(342)은 제1 회전축(320-1)과 제3 회전축(320-3)의 타단에 연결되며, 그 회전축(320-1, 320-3)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위(342A)를 갖는다. 도면에서는 제2 프레임(342)이 대체적으로 좌우가 반전된 'ㄴ'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제3 프레임(343)은 제2 프레임(342)의 상기 부위(342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며, 손잡이(310)로 이어진다. 도면에서는 제3 프레임(343)이 대체적으로 좌우가 반전된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제1 릴(361)은 제1 프레임(341) 또는 제2 프레임(342) 측에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제1 릴(361)이 제2 프레임(342)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제1 릴(361)은 셀프락 및 릴리스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면 제1 릴(361)은 래칫, 폴, 스파이럴 스프링 및 릴리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릴(361)이 어느 한 방향으로, 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래칫과 폴이 맞물려 제1 릴(361)이 그 반대 방향으로, 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릴리스 버튼에 의해 래칫과 폴이 분리되면 제1 릴(361)이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즉 반시계 방향으로 복귀될 수 있다. 또는 제1 릴(361)은 이른바 BOA® 방식 다이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와이어(362)는 일단이 제1 프레임(341) 또는 제3 프레임(343) 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 릴(361)에 감긴다. 도면에서는 제1 와이어(362)가 제1 회전축(320-1)과 제3 회전축(320-3) 내에 각각 배치되어, 일단이 제1 프레임(341) 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제1 와이어(362)가 제1 릴(361)에 감길수록 제1 프레임(341)과 제2 프레임(342)의 거리가 가까워지며, 이에 따라 제1 회전축 내지 제3 회전축(320-1, 320-2, 320-3)이 단축되어, 도장 롤러(300)의 폭이 전체적으로 줄어든다.
제1 탄성 부재(363)는 일단이 제1 프레임(341) 또는 제3 프레임(343) 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 프레임(342) 측에 고정된다. 도면에서는 제1 탄성 부재(363)가 제1 회전축(320-1)과 제3 회전축(320-3) 내에 각각 배치되어, 일단이 제1 프레임(341) 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제1 탄성 부재(363)는 제1 프레임(341)과 제2 프레임(342)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따라서 제1 와이어(362)가 제1 릴(361)에서 풀리면, 제1 탄성 부재(363)에 의해 제1 프레임(341)과 제2 프레임(342)이 멀어지며, 이에 따라 제1 회전축 내지 제3 회전축(320-1, 320-2, 320-3)이 신장되어, 도장 롤러(300)의 폭이 전체적으로 늘어난다.
제1 레버(371)는 일단이 제2 회전축(320-2)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 프레임(3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1 레버(371)는 일단이 제1 프레임(341)에 인접한 위치(도 7 참조)와 제1 프레임(341)으로부터 내려간 위치(도 8 참조)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레버(371)는 중공 구조를 갖는다. 이에 제1 프레임(341)과 제2 회전축(320-2)은 제1 레버(371)를 통해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외부 도료 공급원으로부터 제1 프레임(341)으로 도료를 공급할 때, 그 도료가 제1 레버(371)를 거쳐 제2 회전축(320-2)으로 유동하여 관통홀을 통해 브러시(330)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 호스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레버(372)는 제1 레버(371)와 유사하게 설치된다. 즉 제2 레버(372)는 일단이 제2 회전축(320-2)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 프레임(3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2 레버(372)는 일단이 제2 프레임(342)에 인접한 위치와 제2 프레임(342)으로부터 내려간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제2 릴(381)은 손잡이(310)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릴(381)은 셀프락 및 릴리스 기능을 갖는다.
제2 와이어(382)는 일단이 제1 레버(371)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 릴(381)에 감긴다. 또한 제2 와이어(382)는 일단이 제2 레버(372)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 릴(381)에 감길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전자의 경우만 예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 경우 제2 와이어(382)가 제2 릴(381)에 감김에 따라, 제1 레버(371)와 (제2 회전축(320-2)을 통해 제1 레버(371)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제2 레버(372)가 도 7에 있는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383)는 일단이 제1 레버(371)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 프레임(341) 측에 고정된다. 또한 제2 탄성 부재(383)는 일단이 제2 레버(372)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 프레임(342) 측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전자의 경우만 예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 경우 제2 와이어(382)가 제2 릴(381)에서 풀리면, 제1 레버(371)와 (제2 회전축(320-2)을 통해 제1 레버(371)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제2 레버(372)가 제2 탄성 부재(383)에 의해 도 8에 있는 위치를 취하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도장 롤러(300)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그 폭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회전축(320), 제1 프레임(341), 보조 프레임 등이 중공 구조를 가져, 이를 통해 브러시(330)로 도료를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릴(381)을 조절함으로써, 제1 레버(371)와 제2 레버(372)가 올라간 상태, 즉 제1 회전축(320-1), 제2 회전축(320-2) 및 제3 회전축(320-3)이 평평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넓은 영역을 효율적으로 도장할 수도 있고, 제1 레버(371)와 제2 레버(372)가 내려간 상태, 즉 제2 회전축(320-2)이 돌출된 상태에서 해당 브러시(330)를 이용해 단차 구역을 용이하게 도장할 수도 있다. 특히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회전축(320-2)에 결합된 브러시(330)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질 경우, 좁은 단차 구역을 더욱 효율적으로 도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4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400)의 개요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400)에서 제1 레버(471) 부분에 대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400)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300)와 비교할 때, 제1 릴(361), 제1 와이어(362), 제1 탄성 부재(363), 제2 릴(381), 제2 와이어(382) 및 제2 탄성 부재(383)를 포함하지 않고, 그 대신 제1 액추에이터(460)와 제2 액추에이터(480)를 포함하는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400)에서 손잡이(410), 복수의 회전축(420), 복수의 브러시(430), 제1 프레임(441), 제2 프레임(442), 제3 프레임(443), 보조 프레임(미도시), 제1 레버(471), 제2 레버(472) 등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혹 상이한 부분이 있더라도 통상의 기술자라면 위 차이에 대응하여 당연히 변경할 것으로 예상되는 정도에 불과하므로, 이에 대해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액추에이터(460)는 일단이 제1 프레임(441) 또는 제3 프레임(443) 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 프레임(442) 측에 결합된다. 도면에서는 액추에이터(460)가 제2 프레임(442)과 제3 프레임(443) 내에 배치되어, 일단이 제3 프레임(443) 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액추에이터(460)가 작동함에 따라, 제1 프레임(441)과 제2 프레임(442)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서 회전축(420)이 단축되어 도장 롤러(400)의 폭이 전체적으로 줄어들 수도 있고, 제1 프레임(441)과 제2 프레임(442)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서 회전축(420)이 신장되어 도장 롤러(400)의 폭이 전체적으로 늘어날 수도 있다.
제2 액추에이터(480)는 일단이 제1 레버(471)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 프레임(441) 측에 결합된다. 또한 제2 액추에이터(480)는 일단이 제2 레버(472)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 프레임(442) 측에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전자의 경우만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액추에이터(480)가 작동함에 따라, 제1 레버(471)와 (회전축(320)을 통해 제1 레버(471)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제2 레버(472)가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다.
이러한 제1 액추에이터(460)와 제2 액추에이터(480)는 예컨대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 전동 실린더,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등일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도장 롤러(100, 200, 300, 40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장 롤러 중 하나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위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범위까지 모두 포함한다.

Claims (9)

  1. 손잡이,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갖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브러시,
    상기 제1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로 이어지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회전축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위를 갖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부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로 이어지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3 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신장 또는 축소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브러시는 상기 제1 회전축이 신장 또는 축소되는 것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접철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도장 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 측에 배치되는 릴,
    일단은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3 프레임 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릴에 감기는 와이어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도장 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이 멀어지는 방향 및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도장 롤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텔레스코픽 구조를 갖는 제2 회전축,
    상기 제2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브러시,
    일단은 상기 제2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레버 및
    일단은 상기 제2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3 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신장 또는 축소될 수 있고,
    상기 제2 브러시는 상기 제2 회전축이 신장 또는 축소되는 것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접철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는 각 일단이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인접한 제1 위치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으로부터 내려간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는 도장 롤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측에 배치되는 릴,
    일단은 상기 제1 레버나 상기 제2 레버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릴에 감겨 상기 제1 레버나 상기 제2 레버가 제1 위치를 취하게 할 수 있는 와이어 및
    상기 제1 레버나 상기 제2 레버가 제2 위치를 취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도장 롤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나 상기 제2 레버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취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도장 롤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러시는 상기 제1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기모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모 영역과 기모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단모 영역이 교번하여 배열되는 도장 롤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러시는 상기 제1 브러시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도장 롤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외부로부터 브러시로 도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인 도장 롤러.
KR1020210057361A 2021-05-03 2021-05-03 도장 롤러 KR102428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361A KR102428690B1 (ko) 2021-05-03 2021-05-03 도장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361A KR102428690B1 (ko) 2021-05-03 2021-05-03 도장 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690B1 true KR102428690B1 (ko) 2022-08-03

Family

ID=8284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361A KR102428690B1 (ko) 2021-05-03 2021-05-03 도장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6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6711A1 (en) * 2002-01-04 2003-07-10 Lev Korenevsky Paint roller frame with accessories
US20090064436A1 (en) * 2007-09-10 2009-03-12 Scott Sr John L Adjustable roller frame
US20120117742A1 (en) * 2010-06-25 2012-05-17 The Sherwin-Williams Company Adjustable roller frame
JP2014524310A (ja) * 2011-08-15 2014-09-2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化粧用アプリケ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6711A1 (en) * 2002-01-04 2003-07-10 Lev Korenevsky Paint roller frame with accessories
US20090064436A1 (en) * 2007-09-10 2009-03-12 Scott Sr John L Adjustable roller frame
US20120117742A1 (en) * 2010-06-25 2012-05-17 The Sherwin-Williams Company Adjustable roller frame
JP2014524310A (ja) * 2011-08-15 2014-09-2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化粧用アプリケー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8690B1 (ko) 도장 롤러
JP2993506B2 (ja) アクチュエータ
US20220257271A1 (en) Actuator devices and systems
JP2006502890A5 (ko)
CN102189745B (zh) 涂覆膜转印具
US10926491B2 (en) Roller device with tailorable compliance for automated fiber placement
US20050082009A1 (en) Film transfer device
DE602004002134D1 (de) Bandspender mit mehreren Bandrollen
JP3712723B2 (ja) 転写テープ式修正具
TWM569675U (zh) Telescopic torque wrench
DK2098471T3 (da) Indtrækkelig rettebånddispenser
JP3782527B2 (ja) 字消し具の転写ヘッド保護装置
ATE349644T1 (de) Herstellung von schläuchen oder anderen langgestreckten gegenständen
JP4136083B2 (ja) 塗布膜転写具
EP3312020B1 (en) Coating-film transfer tool
US20070006974A1 (en) Tape applicator
JP2006297320A (ja) 塗装用ローラのハンドル
JPH10181985A (ja) 転着テープヘッド
JP4690534B2 (ja) 清掃具
JP3237376U (ja) マスキングテープ貼付装置
US722131A (en) Brush for cleaning type.
ITMI20071999A1 (it) Dispositivo per imbiancare pareti
TWM541253U (zh) 旋轉卡式盒
JP2004514779A (ja) アンチテレスコーピング粘着テープ製品
JP2002205867A (ja) 転着器におけるローラ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