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165B1 - 근접센서가 내장된 IoT 유해가스 정화기 - Google Patents

근접센서가 내장된 IoT 유해가스 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165B1
KR102428165B1 KR1020210186727A KR20210186727A KR102428165B1 KR 102428165 B1 KR102428165 B1 KR 102428165B1 KR 1020210186727 A KR1020210186727 A KR 1020210186727A KR 20210186727 A KR20210186727 A KR 20210186727A KR 102428165 B1 KR102428165 B1 KR 102428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filter
air quality
proximity sensor
gas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Priority to KR1020210186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접센서가 내장된 IoT 유해가스 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에 가동되는 근접센서가 내장된 IoT 유해가스 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근접센서가 내장된 유해가스 정화기는 저면에 형성된 바퀴; 사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내부로 유입된 가스를 정화하는 필터모듈;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거나, 필터모듈에 의해 정화된 가스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측정센서; 공급받은 전원에 의해 구동하며, 내부로 가스를 유입하는 팬; 상기 근접센서에서 감지한 사물의 이동 또는 공기질 측정센서에서 측정한 실내의 공기질에 의해 팬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모듈; 상기 공기질 측정센서가 측정한 실내의 공기질 정보, 온도 또는 습도를 표시하는 표시모듈; 및 상기 공기질 측정센서에 측정한 실내의 공기질 또는 팬의 구동이력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근접센서가 내장된 IoT 유해가스 정화기{IoT harmful gas purifier with built-in proximity sensor}
본 발명은 근접센서가 내장된 IoT 유해가스 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에 가동되는 근접센서가 내장된 IoT 유해가스 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산업화가 고도화되고 이와 함께 환경오염의 심각성이 나날이 증대되면서 야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공기 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에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상황임에 따라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하기 위한 유해가스 정화기 관련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유해가스 정화기는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로, 유해가스 정화기에서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팬을 이용해 공기를 흡입한 후 필터로 정화하여 정화된 공기를 다시 배출하는 원리를 들 수 있다. 이 방식을 채용한 유해가스 정화기는 보통 HEPA라는 세세한 부직포의 필터로 미립자를 집진 및 여과하고 냄새는 활성탄을 이용해 흡착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이 밖에도 활성탄 대신에 이산화티타늄 광촉매를 채용하거나, HEPA보다 세밀한 필터인 ULPA를 채용한 모델도 있다.
그런데, 상술된 바와 같은 필터가 적용된 종래 유해가스 정화기의 경우, 필터가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기능을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필터를 적정 시기에 교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현재까지는 주변 환경에 상관없이 유해가스 정화기 내 타이머를 통해 가동 시간(예: 모터 가동 시간)을 확인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교체시기를 안내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깨끗한 공간에서 사용되는 유해가스 정화기의 필터는 다른 곳보다 더 오래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하게 교체를 하게 되거나, 미리 정해진 유해가스 정화기 가동시간보다 이전에 필터가 오염되는 열악한 환경에서 오염된 필터로부터 유해물질이 배출됨에 따라 공기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유해가스 정화기의 필터가 제대로 기능하고 있는지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확인하여 정확한 교체 주기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유해가스 정화기가 설치된 공간 내에 사람이 들어온 경우에만 유해가스 정화기를 가동하여 불필요하게 유해가스 정화기가 가동되는 것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85223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7772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내의 공기를 살균 정화시킬 수 있는 유해가스 정화기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필터의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것이 가능한 유해가스 정화기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실내에 들어온 경우에만 가동되는 유해가스 정화기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절전이 가능한 유해가스 정화기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필터 교체가 용이한 유해가스 정화기를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근접센서가 내장된 유해가스 정화기는 사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측정센서; 공급받은 전원에 의해 구동하며, 내부로 가스를 유입하는 팬; 상기 팬의 구동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가스를 정화하는 필터모듈; 상기 근접센서에서 감지한 사물의 이동 또는 공기질 측정센서에서 측정한 실내의 공기질에 의해 팬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공기질 측정센서에 측정한 실내의 공기질 또는 팬의 구동이력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근접센서가 내장된 유해가스 정화기는 저면에 형성된 바퀴; 사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내부로 유입된 가스를 정화하는 필터모듈;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거나, 필터모듈에 의해 정화된 가스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측정센서; 공급받은 전원에 의해 구동하며, 내부로 가스를 유입하는 팬; 상기 근접센서에서 감지한 사물의 이동 또는 공기질 측정센서에서 측정한 실내의 공기질에 의해 팬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모듈; 상기 공기질 측정센서가 측정한 실내의 공기질 정보, 온도 또는 습도를 표시하는 표시모듈; 및 상기 공기질 측정센서에 측정한 실내의 공기질 또는 팬의 구동이력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센서가 내장된 IoT 유해가스 정화기는 근접센서를 내장하고 있어 사용자가 유해가스 정화기로 접근하거나, 실내의 공기질 상태가 불량한 경우 가동함으로써 유해가스 정화기의 가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해가스 정화기는 내장된 공기질 측정센서에서 측정한 공기질로부터 필터모듈의 교체시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교체시기에 따라 필터를 교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교체가 요구되는 복수개의 필터를 모듈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하게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해가스 정화기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해가스 정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구성하는 안테나의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구성하는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구성하는 안테나의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해가스 정화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해가스 정화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유해가스 정화기(100)는 저면에 유해가스 정화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102)가 형성되며, 중단부에 외부의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104)가 형성된다. 또한, 유해가스 정화기(100)의 상단부는 유해가스 정화기의 현재 상태 또는 외부 공기질 상태 등 필요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모듈(106)이 형성되며, 이외에도 사용자가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108)가 형성된다. 물론 저면에 형성된 바퀴는 유해가스 정화기의 크기, 무게 또는 설치되는 장소 등에 따라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유입부로 유입된 유해가스는 필터에 의해 정화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외부의 유해가스를 유해가스 정화기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팬이 형성되며, 형성된 팬의 구동에 의해 외부의 유해가스가 유해가스 정화기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유해가스 정화기는 내장된 팬을 구동하여 외부의 유해가스를 내부로 유입하며, 유입된 유해가스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해가스 정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해가스 정화기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유해가스 정화기는 통신모듈, 근접센서, 대기질 측정센서, 필터모듈, 팬, 전원모듈, 표시모듈 및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유해가스 정화기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모듈(110)은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즉, 사용자 단말은 유해가스 정화기(100)의 가동조건, 가동시간 등 가동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통신모듈은 유해가스 정화기(100)에서 수집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한다. 통신모듈(110)은 유해가스 정화기(100)에서 수집한 실내의 공기질 정보, 공기질 이력, 유해가스 정화기의 가동이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한다. 특히, 통신모듈(110)은 필터모듈(114)을 구성하는 필터의 상태정보를 송신한다.
근접센서(108)는 유해가스 정화기(100)가 설치된 영역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근접센서(108)는 도플러 레이더 기반의 센서로 물체의 이동을 감지한다.
근접센서(108)는 감지한 센싱 정보를 제어모듈(120)로 제공한다. 근접센서(108)를 구성하는 안테나의 패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대기질 측정센서(112)는 유해가스 정화기(100)가 설치된 영역의 대기질을 측정한다. 대기질 측정센서(112)는 유해가스 정화기(100)가 유입된 가스가 정화되어 배출되는 가스의 대기질을 측정한다. 즉,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대기질 측정센서(112)는 2지점의 대기질을 측정한다. 즉, 대기질 측정장치(112)는 유해가스 정화기(100)가 설치된 지점의 대기질을 측정하여, 유해가스 정화기(100)의 구동 여부를 결정한다. 이외에도 대기질 측정장치(112)는 정화되어 배출되는 가스의 대기질을 측정하여 필터모듈의 교체 여부를 결정한다.
필터모듈(114)은 복수 개의 필터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필터모듈(114)은 프리필터, 세라믹 허니컴 필터, 활성탄 필터, 살균 HEPA 필터 및 광촉매 필터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필터를 교체할 수 있도록 세라믹 허니컴 필터, 활성탄 필터 및 살균 HEPA 필터는 하나의 모듈로 형성하는 반면 프리필터 및 광촉매 필터는 개별로 각각 형성된다.
즉, 광촉매 필터는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별도의 교체가 필요 없고, 프리필터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교체시기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교체 여부를 별도로 통보하지 않는다. 이에 비해 세라믹 허니컴 필터, 활성탄 필터 및 살균 HEPA 필터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교체시기를 인지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에게 필터 교체시기를 통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세라믹 허니컴 필터, 활성탄 필터, 살균 HEPA 필터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여 한 번의 작업으로 필터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프리필터는 상대적으로 크기(10㎛ 이상)가 큰 먼지를 제거하며, 곰팡이의 증식을 억제한다. 세라믹 허니컴 필터는 독가스, 악취, 중금속 및 오존을 제거한다. 활성탄 필터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며, 살균 HEPA 필터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미립자(0.3㎛ 이하)를 제거한다. 광촉매 필터는 살균 및 각종 유해물질을 분해한다.
팬(116)은 유해가스 정화기(100) 내부로 가스를 유입한다. 팬(116)은 전원모듈(118)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에 의해 구동하며, 팬(116)의 구동에 의해 가스가 유해가스 정화기(100)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된 가스는 필터모듈(114)에 의해 정화된다.
전원모듈(118)은 상시전원 또는 배터리 형태로 구성되며, 유해가스 정화기(100)를 구성하는 각 모듈로 전원을 공급한다. 하나의 예로 전원모듈(118)은 팬(116)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팬(116)을 구동시키며, 제어모듈(120)로 전원을 공급하여 유해가스 정화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모듈(106)은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성되며, 입력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표시모듈(106)은 대기질 정보, 유해가스 정화기의 현재상태 정보 또는 설정정보 등을 표시한다. 표시모듈(106)이 입력모듈과 함께 구현될 경우, 표시모듈(106)은 터치패널로 구현된다. 이외에도 표시모듈(106)은 유해가스 정화기의 구동 및 상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제어모듈(120)은 유해가스 정화기(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모듈(120)은 근접센서(108)로부터 제공받은 센싱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유해가스 정화기(100)의 구동을 지시한다.
제어모듈(120)은 공기질 센서(112)로부터 제공받은 공기질의 상태를 확인하여 유해가스 정화기(1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모듈(120)은 근접센서(108)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공기질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유해가스 정화기(100)의 구동 또는 구동중단을 제어한다. 제어모듈(120)은 공기질 측정센서(112)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필터모듈(114)의 교체시기를 산출한다. 제어모듈(120)은 유해가스 정화기(100)에서 수집한 정보를 통신모듈(110)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도록 요청하거나, 사용자 단말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요청한다.
제어모듈(120)은 입력모듈로 입력된 제어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어정보에 따라 유해가스 정화기(100)의 설정 또는 구동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어모듈은 유해가스 정화기를 구성하는 각 구성 또는 모듈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유해가스 정화기는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유해가스 정화기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광촉매 필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광촉매 필터는 필터, LED 모듈, 케이스를 포함한다. 필터(114A)는 일정 두께를 가지며, 복수의 홀이 형성된다. 홀의 직경은 필터의 두께, 필터와 LED 모듈 사이의 거리, LED 모듈에서 조사되는 광폭, LED 모듈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다. 즉, 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광이 조사되는 맞은편까지 광이 도달하지 못하며, 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단위 면적당 홀의 개수가 작아서 광촉매 필터에 의한 살균 및 유해물질 분해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홀이 형성되는 필터의 두께, 필터와 LED 모듈 사이의 거리, LED 모듈에서 조사되는 광폭, LED 모듈의 간격 등을 고려하여 홀의 직경을 산출한다. 또한, 필터에 형성된 홀은 하나의 LED 램프에서 조사되는 광이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2개의 LED 램프에서 조사되는 광이 도달되도록 한다.
케이스(미도시)는 필터와 LED 모듈을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케이스는 필터와 LED 모듈이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기능을 수행한다. 즉, 케이스는 필터의 테두리에 체결되는 동시에 LED 모듈에 체결된다.
LED 모듈(114b)은 케이스에 체결되며, 케이스에 체결된 상태에서 필터로 광을 조사한다. LED 모듈은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LED 모듈에서 조사된 광이 하나의 홀에 유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LED 모듈에서 조사된 광은 필터에 형성된 홀에 유입되며, 유입된 광에 의해 살균 및 유해물질이 분해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구성하는 안테나의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구성하는 안테나의 패턴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근접센서를 구성하는 안테나의 패턴(400)은 동일한 2개의 패턴으로 형성되며, 동일한 2개의 패턴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 패턴(410)은 일정 거리 이격된 두 개의 정사각형 패턴과 두 개의 정사각형 패턴(410a, 410b)을 연결하는 'ㄷ'자 형상의 연결 패턴(410c)을 포함한다. 또한, 제1 패턴의 연결 패턴(410c)의 중앙은 급전을 위한 일정 길이 연장된 급전 패턴(410d)으로 구성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1 패턴(410)은 제1 정사각형 패턴(410a), 제1 정사각형 패턴(410a)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제2 정사각형 패턴(410b), 제1 정사각형 패턴(410a)과 제2 정사각형 패턴(410b)을 연결하는 연결 패턴(410c) 및 연결 패턴(410c)의 중앙에서 직각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급전 패턴(410d)을 포함한다.
제2 패턴(420)은 제1 패턴(410)과 동일한 패턴을 가지며,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서로 대향하는 제1 패턴(410)과 제2 패턴(420)에 의해 근접센서를 구성하는 안테나의 패턴(400)은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1 패턴(410)에 형성된 급전 패턴(410d)과 제2 패턴(420)에 형성된 급전 패턴은 안테나의 패턴 내측에 형성된다.
또한, 제1 정사각형 패턴(410a)와 제2 정사각형 패턴(410b) 사이의 간격은 제1 패턴(410)과 제2 패턴(420) 사이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근접센서를 구성하는 안테나의 패턴은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패턴으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구성하는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구성하는 안테나의 방사 패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도 5(a)는 수평면(Azimuth)에 대한 방사패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5(b)는 수직면(Elevation)에 대한 방사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특정 방향에 대해 높은 이득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근접센서는 유해가스 정화기 방향으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구성하는 안테나의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구성하는 안테나의 패턴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6에 의하면, 근접센서를 구성하는 안테나의 패턴(600)은 동일한 2개의 패턴으로 형성되며, 동일한 2개의 패턴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 패턴(610)은 일정 거리 이격된 두 개의 다각형 패턴(610a, 610b)과 두 개의 다각형 패턴(610a, 610b)을 연결하는 'ㄷ'자 형상의 연결 패턴(610c)을 포함한다. 또한, 제1 패턴을 구성하는 연결 패턴(610c)의 중앙은 급전을 위한 일정 길이 연장된 급전 패턴(610d)으로 구성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1 패턴(610)은 제1 다각형 패턴(610a), 제1 다각형 패턴(610a)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제2 다각형 패턴(610b), 제1 다각형 패턴(610a)과 제2 다각형 패턴(610b)을 연결하는 연결 패턴(610c) 및 연결 패턴(610c)의 중앙에서 직각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급전 패턴(610d)을 포함한다.
특히, 도 6에서 제안하는 제1 패턴은 도 4에서 제안하는 제1 패턴과 달리 제1 정사각형 패턴 및 제2 정사각형 패턴에서 연결 패턴이 연결되는 지점이 내측에 인입된 형상을 갖는다. 즉, 도 4에서 제안하는 제1 패턴을 구성하는 제1 정사각형 패턴 및 제2 정사각형 패턴은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 반면, 도 6에서 제안하는 해당 패턴에 대응되는 패턴은 'ㄷ'자 형상의 다각형 패턴을 갖는다.
제2 패턴(620)은 도 4와 동일하게 제1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가지며,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다각형 패턴(610a)와 제2 다각형 패턴(610b) 사이의 간격은 제1 패턴(610)과 제2 패턴(620) 사이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유해가스 정화기 102: 바퀴
104: 유입부 106: 표시모듈
108: 근접센서 110: 통신모듈
112: 대기질 측정센서 114: 필터모듈
116: 팬 118: 전원모듈
120: 제어모듈 400, 600: 안테나 패턴
410, 610: 제1 패턴 420, 620: 제2 패턴
410a: 제1 정사각형 패턴 410b: 제2 정사각형 패턴
410c, 610c: 연결 패턴 410d, 610d: 급전 패턴
610a: 제1 다각형 패턴 610b: 제2 다각형 패턴

Claims (7)

  1. 사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측정센서;
    공급받은 전원에 의해 구동하며, 내부의 가스를 유입하는 팬;
    상기 팬의 구동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가스를 정화하는 필터모듈;
    상기 근접센서에서 감지한 사물의 이동 또는 공기질 측정센서에서 측정한 실내의 공기질에 의해 팬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공기질 측정센서에서 측정한 실내의 공기질 또는 팬의 구동이력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근접센서는 안테나 패턴을 갖는 안테나를 포함하며,
    안테나 패턴은,
    제1 패턴;
    제1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가지며, 제1 패턴과 대향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하며,
    제1 패턴은,
    정사각형 형상의 제1 정사각형 패턴;
    상기 제1 정사각형 패턴과 일정 거리 이격된 제2 정사각형 패턴;
    상기 제1 정사각형 패턴 및 제2 정사각형 패턴을 연결하며, ‘ㄷ’자 형상을 갖는 연결 패턴; 및
    상기 연결 패턴의 중앙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급전 패턴을 포함하며,
    제1 정사각형 패턴과 제2 정사각형 패턴 사이의 간격은 제1 패턴과 제2 패턴 사이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크며,
    상기 제1 패턴의 급전 패턴과 제2 패턴의 급전 패턴은 이격되며, 안테나 패턴의 내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가 내장된 유해가스 정화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은,
    10㎛ 이상의 먼지를 제거하는 프리필터;
    독가스, 오존, 중금속을 제거하는 세라믹 허니컴 필터;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는 활성탄 필터;
    0.3㎛이하의 미립자를 제거하는 HEPA 필터; 및
    살균 또는 유해물질을 분해하는 광촉매 필터로 구성되며,
    상기 세라믹 허니컴 필터, 활성탄 필터 및 HEPA 필터는 하나의 모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가 내장된 유해가스 정화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필터는,
    일정 두께를 가지며, 홀이 형성된 필터;
    상기 필터와 일정 거리 이격되며, 필터에 형성된 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LED 모듈; 및
    상기 필터와 LED 모듈을 고정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홀은 적어도 2개의 LED 모듈이 조사하는 광이 유입되며,
    상기 홀의 직경은 상기 필터와 LED 모듈 사이의 간격, LED 모듈의 개수, 필터의 두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가 내장된 유해가스 정화기.
  5. 제 1항에 있어서,
    저면에 형성된 바퀴; 및
    상기 공기질 측정센서가 측정한 실내의 공기질 정보, 온도 또는 습도를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가 내장된 유해가스 정화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공기질 측정센서에서 수집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도록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가 내장된 유해가스 정화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필터모듈을 구성하는 필터의 상태정보를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가 내장된 유해가스 정화기.
KR1020210186727A 2021-12-24 2021-12-24 근접센서가 내장된 IoT 유해가스 정화기 KR102428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727A KR102428165B1 (ko) 2021-12-24 2021-12-24 근접센서가 내장된 IoT 유해가스 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727A KR102428165B1 (ko) 2021-12-24 2021-12-24 근접센서가 내장된 IoT 유해가스 정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165B1 true KR102428165B1 (ko) 2022-08-03

Family

ID=82847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727A KR102428165B1 (ko) 2021-12-24 2021-12-24 근접센서가 내장된 IoT 유해가스 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1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138B1 (ko) * 2023-06-08 2023-11-02 주식회사 드림씨앤씨 필터여과와 습식여과를 다중으로 진행하고 탄소저감을 위해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윈드밀에 의해 이물질의 제거효율이 향상된 집진시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8087A (ko) * 2008-11-24 2010-06-03 최은경 스탠드형 실내공기 살균 및 소독장치
KR20120053884A (ko) * 2010-11-18 2012-05-29 (주)백금티앤에이 레이더 디텍터 용 패치 어레이 안테나
KR20120077724A (ko) 2010-12-31 2012-07-10 박정석 자외선 엘이디와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살균장치
KR20140147287A (ko) * 2013-06-19 201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체감지용 안테나 유닛을 가지는 공기조화장치
KR101585223B1 (ko) 2014-11-25 2016-01-13 주식회사 비앤씨플러스 슬라이드식 유지보수가 용이한 투명 방음시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8087A (ko) * 2008-11-24 2010-06-03 최은경 스탠드형 실내공기 살균 및 소독장치
KR20120053884A (ko) * 2010-11-18 2012-05-29 (주)백금티앤에이 레이더 디텍터 용 패치 어레이 안테나
KR20120077724A (ko) 2010-12-31 2012-07-10 박정석 자외선 엘이디와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살균장치
KR20140147287A (ko) * 2013-06-19 201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체감지용 안테나 유닛을 가지는 공기조화장치
KR101585223B1 (ko) 2014-11-25 2016-01-13 주식회사 비앤씨플러스 슬라이드식 유지보수가 용이한 투명 방음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138B1 (ko) * 2023-06-08 2023-11-02 주식회사 드림씨앤씨 필터여과와 습식여과를 다중으로 진행하고 탄소저감을 위해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윈드밀에 의해 이물질의 제거효율이 향상된 집진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267B1 (ko) 자외선 공기 살균기 및 자외선 공기 살균 시스템
CN107080854B (zh) 一种带紫外消毒灯的模块化空气过滤装置
KR102428165B1 (ko) 근접센서가 내장된 IoT 유해가스 정화기
KR102266443B1 (ko) 바이러스 검출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US11879665B2 (en) Gas exchange device
CN113883633A (zh) 灭菌环保型室内空气多级动态净化方法
JP2008245693A (ja) 空気清浄機
KR20180012021A (ko) 방역형 공기정화 시스템
US20220118144A1 (en) Method of preventing and handling indoor air pollution
US20220120655A1 (en) Method of preventing and handling indoor air pollution
CN203269923U (zh) 聚合酶链式反应工作站
KR20090113697A (ko) 공기 청정기
CN211892792U (zh) 排风净化装置及救护车
CN101504172B (zh) 一种新型光催化空气净化器
JP2023107714A (ja) 空気汚染防止清浄機
CN211807895U (zh) 一种3d打印有害气体及烟尘处理装置
CN115230442A (zh) 车内空气污染防治系统
KR102473862B1 (ko) 다기능 표시 장치
KR102650522B1 (ko) 3d 능동 추적 모니터링 드론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CN212746816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KR200343312Y1 (ko) 다공성 제올라이트 필터를 사용한 여과식 유해물질 시약장
CN210220056U (zh) 一种实验室空气净化系统
CN108870550A (zh) 一种空气净化系统及空气净化器
CN219674454U (zh) 一种带加湿控制的空气净化装置
KR102251866B1 (ko) 이온화 및 전해수 모듈 결합 구조의 악취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