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071B1 - 미세기문용 평레일 창호장치 - Google Patents

미세기문용 평레일 창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071B1
KR102428071B1 KR1020220052395A KR20220052395A KR102428071B1 KR 102428071 B1 KR102428071 B1 KR 102428071B1 KR 1020220052395 A KR1020220052395 A KR 1020220052395A KR 20220052395 A KR20220052395 A KR 20220052395A KR 102428071 B1 KR102428071 B1 KR 102428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olt
central
roller uni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갑
송루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광
Priority to KR1020220052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기문용 평레일 창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기문의 양측 하부에 롤러장치설치홈을 형성한 뒤에, 그들 롤러장치설치홈에 롤러장치를 각각 설치하여 미세기문을 완성하되, 상기 롤러장치는 롤러장치설치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단 1개의 볼트에 의해 결합 설치되는 롤러유닛설치대와, 롤러유닛설치대의 하부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또 다른 1개의 볼트를 이용하여 롤러유닛설치대에 결합되는 롤러유닛으로 이루어져서 롤러장치를 미세기문의 하측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미세기문의 롤러장치가 슬라이드식으로 수평이동하게 설치되는 창호바닥프레임은 프레임본체에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롤러공간부로 미세기문의 하측 롤러유닛을 삽입시킨 뒤에 롤러공간부를 형성하게 하는 중앙지지대와 양측 외측지지대의 상부에 덮개를 스냅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롤러공간부의 개방된 상부를 막으면서 창호바닥프레임의 롤러공간부에 미세기문을 설치 및 분리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세기문(200)의 하부 양측에 롤러장치(210)가 설치되고, 이 미세기문(200)의 하부 롤러장치(210)가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창호바닥프레임(240)에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게 설치되는 미세기문용 평레일 창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문(200)은 문본체(201)의 하부 양측 모서리부에 측방과 하방이 개방되는 롤러장치설치홈(202)이 형성되고, 이 롤러장치설치홈(202) 내측의 수직벽면부에 볼트체결구멍(203)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롤러장치(210)는 롤러장치설치홈(202)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볼트(236)가 볼트삽입구멍(233)에 삽입되어 볼트체결구멍(203)에 체결되어 설치되는 롤러유닛설치대(230)와, 롤러유닛설치대(230)의 하부에 형성되는 "T"형레일홈(234)에 "L"형몸체(221)가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된 뒤에 하부볼트(224)가 볼트구멍(223)에 삽입되어 암나사홀(223)에 결합되는 롤러유닛(2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유닛설치대(230)는 블록형 몸체(231)의 상부외측에 돌출부(232)가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몸체(231) 상측에는 돌출부(232)로부터 후방까지 이단으로 관통하는 볼트삽입구멍(233)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몸체(231)의 하부에는 "T"형레일홈(234)이 전후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T"형레일홈(234) 상측의 몸체(231)에는 롤러유닛(220)을 롤러유닛설치대(230)에 설치하는 하부볼트(224)가 체결되는 암나사홀(235)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롤러유닛(220)은 상부에 롤러유닛설치대(230)의 몸체(231) 외측면과 저면을 감싸는 "L"형몸체(221)가 구비되고, 이 "L"형몸체(221)의 외측면 상부에는 암나사홀(235)에 체결되는 하부볼트(224)가 삽입되는 볼트구멍(223)을 수평방향으로 형성한 전면덮개부(222)가 수직 형성되며, 상기 "L"형몸체(221)의 상부에는 롤러유닛설치대(230)의 "T"형레일홈(234)에 슬라이드식으로 안내되는 "T"형레일부(225)가 형성되고, "L"형몸체(221)의 하부 중앙부에는 소폭의 롤러설치판(226)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 롤러설치판(226)의 전후방에 축구멍(227)이 형성되고, 이들 축구멍(227)에는 양측에 롤러(229)가 설치된 롤러축(228)이 회전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창호바닥프레임(240)은 미세기문(200)이 슬라이드식으로 설치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프레임본체(241)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지지대(242)와, 중앙지지(242)대의 양측에 외측지지대(243)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중앙지지대(242)의 양측에 상부가 개방되는 롤러공간부(244)가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중앙지지대(242)와 외측지지대(243)의 상부에는 미세기문(200)의 하단부와 소정의 틈새(C)를 형성하는 높이의 중앙덮개(246)와 외측덮개(247)를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되, 중앙덮개(246)의 양측면과, 중앙덮개(246)를 향하는 양측 외측지지대(243)의 일측면에 끼움돌기(248)가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끼움돌기(248)에는 내측에 끼움돌기(248)가 끼워지는 끼움걸림홈(249)이 전길이에 걸쳐 형성된 고무패킹(250)이 각각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기문용 평레일 창호장치{Flat rail window device for double sliding door}
본 발명은 미세기문용 평레일 창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기문의 양측 하부에 롤러장치설치홈을 형성한 뒤에, 그들 롤러장치설치홈에 롤러장치를 각각 설치하여 미세기문을 완성하되, 상기 롤러장치는 롤러장치설치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단 1개의 볼트에 의해 결합 설치되는 롤러유닛설치대와, 롤러유닛설치대의 하부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또 다른 1개의 볼트를 이용하여 롤러유닛설치대에 결합되는 롤러유닛으로 이루어져서 롤러장치를 미세기문의 하측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미세기문의 롤러장치가 슬라이드식으로 수평이동하게 설치되는 창호바닥프레임은 프레임본체에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롤러공간부로 미세기문의 하측 롤러유닛을 삽입시킨 뒤에 롤러공간부를 형성하게 하는 중앙지지대와 양측 외측지지대의 상부에 덮개를 스냅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롤러공간부의 개방된 상부를 막으면서 창호바닥프레임의 롤러공간부에 미세기문을 설치 및 분리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발명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19623호(발명의 명칭 : 구조변경이 용이한 평레일 창호장치)로 출원되어 공개특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레일창틀커버(120)와 레일설치대(130)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무레일창틀커버(120)는, 은폐판(121)과 지지판(122)으로 이루어진다. 은폐판(121)은, 전체 형상이 "ㄱ"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복수롤러지지대(110)의 내부에 위치되며 창틀프레임(20)의 상부에 위치되어서 창틀프레임(20)의 상부를 마감한다.
상기 지지판(122)은 은폐판(121)의 일측에 연장되며 창틀프레임(20)에 결합되도록 체결훅(124)이 형성된 고정부(123) 및 고정부(123)의 하부에 연장되고, 하단부가 창틀프레임(20)에 지지되어서 은폐판(121)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분산부(125)로 이루어진 지지판(122)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무레일창틀커버(120)의 일측에 체결훅(124) 및 하중분산부(125)가 구비되고 체결훅(124) 및 하중분산부(125)가 창틀프레임(20)의 측면에 결합되는 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레일설치대(130)는 창틀프레임(20)의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이 레일설치대(130)에는 다수의 단위레일(136)들이 설치되며, 무레일창틀커버(120)의 하단에는 단위레일(136)들에 안착되어서 단위레일(136)들을 따라 이송되도록 가이드돌부(115)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레일설치대(130)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설치공간(131)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는 창틀프레임(20)에 고정하도록 고정편(132)이 연장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레일설치대(130) 및 단위레일(136)들이 창틀프레임(20)에 지지되도록 지지편(133)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레일(136)은, 하부 양측에 레일설치대(130)에 고정되도록 고정플랜지(135)가 형성된 레일케이스(134)와, 하부가 레일케이스(134)에 내장되고 상부에 가이드돌부(115)가 안착되도록 레일홈(138)이 형성된 레일(137)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설치공간(131)에 한 쌍씩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된다.
따라서, 창틀프레임(20)의 상부에 모듈화된 레일설치대(130), 단위레일(136)들 어셈블리를 안착시키고, 그 위에 창문프레임(11)을 안착시키면 창문프레임(11)의 가이드돌부(115)가 단위레일(136)들 위에 안착되면서 조립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종래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과 그들이 결합되는 구조가 복잡하고, 구성요소들의 부품수가 증가되어 시공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와, 제품가격 및 설치 시공비용이 증가되는 문제, 그리고 부품수가 많음에 따라 고장발생률이 높은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19623호(발명의 명칭 : 구조변경이 용이한 평레일 창호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세기문의 양측 하부에 형성되는 롤러장치설치홈에 롤러유닛설치대와 롤러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롤러장치를 볼트 2개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미세기문의 롤러장치가 슬라이드식으로 수평이동하게 설치되는 창호바닥프레임은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롤러공간부로 미세기문의 하측 롤러유닛을 삽입시킨 뒤에 롤러공간부를 형성하게 하는 중앙지지대와 양측 외측지지대의 상부에 덮개를 스냅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롤러공간부의 개방된 상부를 막으면서 창호바닥프레임의 롤러공간부에 미세기문을 설치 및 분리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세기문의 하부 양측에 롤러장치가 설치되고, 이 미세기문의 하부 롤러장치가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창호바닥프레임에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게 설치되는 미세기문용 평레일 창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문은 문본체의 하부 양측 모서리부에 측방과 하방이 개방되는 롤러장치설치홈이 형성되고, 이 롤러장치설치홈 내측의 수직벽면부에 볼트체결구멍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롤러장치는 롤러장치설치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볼트가 볼트삽입구멍에 삽입되어 볼트체결구멍에 체결되는 상부볼트로 설치되는 롤러유닛설치대와, 롤러유닛설치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T"형레일홈에 "L"형몸체가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된 뒤에 하부볼트가 볼트구멍에 삽입되어 암나사홀에 결합되는 롤러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유닛설치대는 블록형 몸체의 상부외측에 돌출부가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몸체 상측에는 돌출부로부터 후방까지 이단으로 관통하는 볼트삽입구멍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몸체의 하부에는 "T"형레일홈이 전후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T"형레일홈 상측의 몸체에는 롤러유닛을 롤러유닛설치대에 설치하는 하부볼트가 체결되는 암나사홀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롤러유닛은 상부에 롤러유닛설치대의 몸체 외측면과 저면을 감싸는 "L"형몸체가 구비되고, 이 "L"형몸체의 외측면 상부에는 암나사홀에 체결되는 하부볼트가 삽입되는 볼트구멍을 수평방향으로 형성한 전면덮개부가 수직 형성되며, 상기 "L"형몸체의 상부에는 롤러유닛설치대의 "T"형레일홈에 슬라이드식으로 안내되는 "T"형레일부가 형성되고, "L"형몸체의 하부 중앙부에는 소폭의 롤러설치판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 롤러설치판의 전후방에 축구멍이 형성되고, 이들 축구멍에는 양측에 롤러가 설치된 롤러축이 회전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창호바닥프레임은 미세기문이 슬라이드식으로 설치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프레임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지지대와, 중앙지지대의 양측에 외측지지대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중앙지지대의 양측에 상부가 개방되는 롤러공간부가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중앙지지대와 외측지지대의 상부에는 미세기문의 하단부와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는 높이의 중앙덮개와 외측덮개를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되, 중앙덮개의 양측면과, 중앙덮개를 향하는 양측 외측지지대의 일측면에 끼움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끼움돌기에는 내측에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걸림홈이 전길이에 걸쳐 형성된 고무패킹이 각각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미세기문용 평레일 창호장치는, 미세기문의 양측 하부에 형성되는 롤러장치설치홈에 롤러유닛설치대와 롤러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롤러장치를 볼트 2개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미세기문의 롤러장치가 슬라이드식으로 수평이동하게 설치되는 창호바닥프레임은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롤러공간부로 미세기문의 하측 롤러유닛을 삽입시킨 뒤에 롤러공간부를 형성하게 하는 중앙지지대와 양측 외측지지대의 상부에 덮개를 스냅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롤러공간부의 개방된 상부를 막으면서 창호바닥프레임의 롤러공간부에 미세기문을 설치 및 분리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발명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미세기문에 롤러장치가 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를 분리하여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롤러유닛의 하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창호바닥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문용 평레일 창호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미세기문용 평레일 창호장치(이하, "평레일 창호장치"라고 약칭함)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세기문(200)의 하부 양측에 롤러장치(210)가 설치되고, 이 미세기문(200)의 하부 롤러장치(210)가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창호바닥프레임(240)에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미세기문(200)은 문본체(201)의 하부 양측 모서리부에 측방과 하방이 개방되는 롤러장치설치홈(202)이 형성되고, 이 롤러장치설치홈(202) 내측의 수직벽면부에 볼트체결구멍(203)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장치(210)는 롤러장치설치홈(202)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볼트(236)가 볼트삽입구멍(233)에 삽입되어 볼트체결구멍(203)에 체결되어 설치되는 롤러유닛설치대(230)와, 롤러유닛설치대(230)의 하부에 형성되는 "T"형레일홈(234)에 "L"형몸체(221)가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된 뒤에 하부볼트(224)가 볼트구멍(223)에 삽입되어 암나사홀(223)에 결합되는 롤러유닛(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유닛설치대(230)는 블록형 몸체(231)의 상부외측에 돌출부(232)가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몸체(231)의 상측에는 돌출부(232)로부터 후방까지 이단으로 관통하는 볼트삽입구멍(233)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몸체(231)의 하부에는 "T"형레일홈(234)이 전후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T"형레일홈(234) 상측의 몸체(231)에는 롤러유닛(220)을 롤러유닛설치대(230)에 설치하는 하부볼트(224)가 체결되는 암나사홀(235)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유닛(220)은 도 2 및 도 5, 6,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에 몸체(231)의 외측면과 저면을 감싸는 형태로 "L"형몸체(221)가 구비되고, 이 "L"형몸체(221)의 외측면 상부에는 암나사홀(235)에 체결되는 하부볼트(224)가 삽입되는 볼트구멍(223)을 수평방향으로 형성한 전면덮개부(222)를 수직 형성하되, 이 돌출부(232)와 전면덮개부(222)의 외측면이 문본체(201)의 외측면과 동일한 평면 상태가 되어 미세기문을 닫았을 때, 문틀의 수직프레임(미도시)과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설치된다.
상기 "L"형몸체(221)의 상부에는 롤러유닛설치대(230)의 "T"형레일홈(234)에 슬라이드식으로 안내되는 "T"형레일부(225)가 형성되고, "L"형몸체(221)의 하부 중앙부에는 소폭의 롤러설치판(226)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 롤러설치판(226)의 전후방에 축구멍(227)이 형성되고, 이들 축구멍(227)에는 양측에 롤러(229)가 설치되는 롤러축(228)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롤러유닛(220)의 하부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써, 이는 폭이 좁은 롤러설치판(226)의 축구멍(227)에 관통 설치되는 롤러축(228)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롤러축(228)을 내주연에 암나사부를 구비하며 축구멍(227)으로 관통 설치되는 축관(228a)과, 롤러(229)의 내주연에 끼워진 베어링(229a)에 끼워져 축관(228a)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축볼트(228b)와, 롤러설치판(226) 양측의 축관(228a)에 끼워져 롤러(229)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는 부싱(228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창호바닥프레임(240)은 도 3 및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세기문(200)이 슬라이드식으로 설치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프레임본체(241)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지지대(242)와, 중앙지지대(242)의 양측에 외측지지대(243)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중앙지지대(242)의 양측에 상부가 개방되는 롤러공간부(244)가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양측 롤러공간부(244)의 바닥에는 롤러유닛(220)의 양측 롤러(229)가 안내되는 레일홈(245)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및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지지대(242)와 외측지지대(243)의 상부에는 미세기문(200)의 하단부와 소정의 틈새(C)를 형성하는 높이의 중앙덮개(246)와 외측덮개(247)가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중앙덮개(246)의 양측에는 끼움돌기(248)가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양측 외측덮개(247)의 내측면에는 중앙덮개(246)를 향하는 끼움돌기(248)가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끼움돌기(248)에는 내측에 끼움돌기(248)가 끼워지는 끼움걸림홈(249)이 전길이에 걸쳐 형성되는 고무패킹(250)이 각각 설치되되, 서로 대응되는 고무패킹(250)의 단부 사이는 롤러설치판(226)의 두께만큼의 간격을 두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착탈수단은 중앙덮개(246)와 외측덮개(247)[이하 '중앙덮개(246)와 외측덮개(247)'를 '덮개(246,247)'이라 칭한다] 양측 하단부에 후크형태의 상부스냅돌기(251)가 전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는 각각의 지지대(242,243) 상부 양측에는 상기 상부스냅돌기(251)와 스냅식으로 착탈되는 후크형 하부스냅돌기(252)가 전길이에 걸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앙덮개(246)와 외측덮개(247)의 내측 중앙 하부에는 덮개(246,247)의 처짐을 방지하는 중앙지지구(253)가 저면이 지지대(242,243)의 상면에 지지되게 형성되고, 덮개(246,247)의 상부스냅돌기(251) 상부에는 하부스냅돌기(252)의 상부가 받쳐져서 덮개(246,247)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돌기(254)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창호바닥프레임(24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본 발명을 창문에 적용하는 경우에 외측덮개(247)의 상부에 미세기문(200)의 하부 외측을 커버하는 돌출부(247a)를 돌출되어 외풍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 부호 "230a"는 살빼기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세기문(200)의 하부 양측 모서리부에 측방과 하방이 개방되게 형성된 롤러장치설치홈(202)으로 롤러유닛설치대(230)을 삽입시킨 뒤에 볼트삽입구멍(233)으로 상부볼트(236)를 삽입시키면서 그 상부볼트(236)를 롤러장치설치홈(202)의 내측 수직벽면에 형성된 볼트체결구멍(203)으로 삽입체결하면, 롤러유닛설치대(230)를 문본체(201)의 롤러장치설치홈(202)에 1개의 볼트로서 간편하게 결합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롤러장치설치홈(202)은 문본체(201)의 양측 하부 모서리부분에 측방과 하방이 개방되게 형성하므로 문본체(201)를 목재로 제작 형성하는 경우에 롤러장치설치홈(202)을 파내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롤러장치설치홈(202)의 수평방향의 깊이가 롤러유닛설치대(230)의 길이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하여 롤러장치설치홈(202)으로 롤러유닛설치대(230)을 삽입하여 상부볼트(236)로 결합했을 때, 롤러유닛설치대(230)의 상부측 돌출부(232)의 외부면과 문본체(201)의 외부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위와 같이 롤러장치설치홈(202)으로 롤러유닛설치대(230)를 삽입 설치한 뒤에는 롤러유닛(220)의 "T"형레일부(225)를 롤러유닛설치대(230)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T"형레일홈(234)으로 삽입시키면 "T"형레일홈(234)과 "T"형레일부(225)는 슬라이드식으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이렇게 "T"형레일부(225)를 "T"형레일홈(234)에 완전히 삽입시키면 롤러유닛(220)의 외측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전면덮개부(222)가 롤러유닛설치대(230)의 돌출부(232) 하부에 전면덮개부(222)의 두께만큼 들어간 부분으로 들어가서 면접촉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전면덮개부(222)에 형성된 볼트구멍(223)으로 하부볼트(224)를 삽입시키면서 롤러유닛설치대(230)의 암나사홀(235)에 체결하면 롤러유닛(220)이 롤러유닛설치대(230)에 간편하게 설치가 완료된다.
이렇게 롤러유닛(220)을 롤러유닛설치대(230)에 설치했을 때, 하부볼트(224) 1개를 롤러유닛설치대(230)에 체결하는 것으로 롤러유닛(220)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는데, 1개의 하부볼트(224)는 롤러유닛(220)을 롤러유닛설치대(230)에 수평방향으로 결합하고, 롤러유닛설치대(230)와 롤러유닛(220)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T"형레일홈(234)과 "T"형레일부(225)이 삽입 결합되어 롤러유닛(220)이 하측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유닛설치대(230)가 문본체(201)의 롤러장치설치홈(202) 내측에 상부볼트(236) 1개만으로 결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세기문(200)은 아랫방향으로 자중이 작용하고, 롤러유닛설치대(230)에 롤러유닛(220)이 결합되는 롤러장치(210)의 하방 롤러(229)가 창호바닥프레임(240)에 얹히므로 롤러유닛설치대(230)를 포함한 롤러장치(210)가 미세기문(200)의 하부로 이탈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위의 설명에서와 같이 미세기문(200)의 하부 양측에 롤러장치(210)가 설치된 뒤에는 미세기문(200)을 창호바닥프레임(240)의 롤러공간부(244)에 설치하는데, 이때는 도 4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본체(241)에 형성되는 중앙지지대(242)와 양측 외측지지대(243)의 상부에 덮여지게 설치하는 덮개(246,247)를 분리시켜서 각각의 지지대(242,243) 상부가 노출되고, 지지대(242,243)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롤러공간부(244)의 상부가 개방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부가 개방된 롤러공간부(244)로 미세기문(200)의 하부, 즉 문본체(201)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장치(210)를 롤러공간부(244)으로 삽입시키면서 롤러공간부(244)의 바닥에 형성된 레일홈(245)에 상기 롤러장치(210)에 포함하는 롤러(229)를 안착시킨다.
그 다음에는 각각의 지지대(242,243)의 상부에 그들에 대응하는 각각의 덮개(246,247)를 설치하는데, 이들 각각의 덮개(246,247)와 각각의 지지대(242,243)는 스냅식으로 착탈되도록 서로의 착탈부분에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대(242,243)의 상부에 하부스냅돌기(252)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덮개(246,247)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스냅돌기(252)와 스냅식으로 착탈되는 상부스냅돌기(251)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상하부 스냅돌기(251,252)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덮개(246,247)를 아래로 누르면, 자체탄력을 지니고 있는 상하부 스냅돌기(251,252)가 서로 결합된다.
이때, 덮개(246,247)의 측면에는 고무패킹(250)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서 그들 고무패킹(250)이 롤러공간부(244)로 삽입된 롤러설치판(226)의 양측에 개방되는 공간을 막아서 양측의 외측덮개(247)와 중앙덮개(246) 상부 전체가 평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덮개(246,247)는 창호바닥프레임(240)의 길이만큼 길고 덮개(246,247)가 2㎜ 내외의 두껍지 않은 두께로 알루미늄이나 합성수지재로 상부스냅돌기(251)가 외팔보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분이 소정의 탄력을 지니게 되며, 덮개(246,247) 전체는 호형으로 휠 수 있어서 상하부 스냅돌기(251,252)들을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덮개(246,247)는 덮개(246,247)가 뻣뻣하지만 휠 수 있는 정도의 연성을 지닌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하부 스냅돌기(251,252)들이 서로 결합될 때, 서로 마주 대하는 상하부 스냅돌기(251,252)의 모서리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상하부 스냅돌기(251,252)의 결합을 위해 누르는 힘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경사부가 미끄러지면서 삽입되고 서로의 후크형 걸림부가 걸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덮개(246,247)가 2㎜ 내외의 두께로 형성됨에 따라 그들 덮개(246,247)를 사람이 밟았을 때나, 또는 웨건, 휠체어 등의 비교적 무거운 물체가 지나가는 경우에 덮개(246,247)가 처지면서 상하부 스냅돌기(251,252)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염려할 수 있겠으나, 이를 감안하여 덮개(246,247)의 중앙부 하부에 저면이 각각의 지지대(242,243)의 상면에 지지되는 중앙지지구(253)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부스냅돌기(251)의 상측 내부에 하부스냅돌기(252)의 상부에 얹히는 처짐방지돌기(254)가 형성되어서 덮개(246,247)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설치가 완료되었을 때,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었던 롤러공간부(244) 상측이 고무패킹(250)에 의해 막힘에 따라 창호바닥프레임(240)의 상부가 전체적으로 평평하여 창호바닥프레임(240) 위를 사람이나 웨건, 휠체어 등이 걸림 없이 지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미세기문이나 미세기창은 두 짝의 문이나 창을 한편으로 밀어 겹쳐서 여닫도록 된 것임에 따라서, 롤러유닛(220)이 위치한 부분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롤러설치판(226)의 양측면에 고무패킹(250)이 접촉하여 그 사이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게 되나, 롤러유닛(220)이 위치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서로 대면하는 양측 고무패킹(250)의 사이에 롤러설치판(226)의 두께 만큼 틈새가 형성되어 그 틈새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 의해 장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 고무패킹(25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 있게 되는데, 이때는 각각의 지지대(242,243) 위에 스냅식으로 설치된 각각의 덮개(246,247)를 분리하고, 롤러공간부(244)의 내측으로 들어간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뒤에 덮개(246,247)를 다시 설치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롤러유닛(220)에 포함하는 롤러설치판(226)이 소폭으로 형성되고 소폭으로 형성되는 롤러설치판(226)의 양측에 롤러(229)가 설치됨에 따라 미세기문(200)이 좌우로 건들거림을 염려할 수 있으나, 소폭의 롤러설치판(226)에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축구멍(227)에 축관(228a)이 삽입되고, 그 축관(228a)의 내부 양측에 롤러(229)가 끼워진 축볼트(228b)가 나사식으로 설치되며, 롤러설치판(226) 양측의 축관(228a) 외주연에 부싱(228c)이 끼워져서 롤러설치판(226)의 양측으로 롤러(229)가 이동할 공간이 없어져서 미세기문(200)이 좌우로 건들거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측 롤러(229)는 롤러공간부(244)의 바닥에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레일홈(245)에 삽입 안착되어서 양측 롤러(229)가 레일홈(245)에서 이탈하지 않고 레일홈(245)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원활하게 활주하게 되는 것이다.
200 : 미세기문 201 : 문본체 202 : 롤러장치설치홈
203 : 볼트체결구멍 210 : 롤러장치 220 : 롤러유닛
221 : "L"형몸체 222 : 전면덮개부 223 : 볼트구멍
224 : 하부볼트 225 : "T"형레일부 226 : 롤러설치판
230 : 롤러유닛설치대 231 : 몸체 232 : 돌출부
233 : 볼트삽입구멍 234 : "T"형레일홈 235 : 암나사홀
236 : 상부볼트 240 : 창호바닥프레임 241 : 프레임본체
242 : 중앙지지대 243 : 외측지지대 244 : 롤러공간부
245 : 레일홈 246 : 중앙덮개 247 : 외측덮개
248 : 끼움돌기 249 : 끼움걸림홈 250 : 고무패킹
251 : 상부스냅돌기 252 : 하부스냅돌기 253 : 중앙지지구
254 : 처짐방지돌기

Claims (3)

  1. 미세기문의 하부 양측에 롤러장치가 설치되고, 이 미세기문의 하부 롤러장치가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창호바닥프레임에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게 설치되는 미세기문용 평레일 창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문은 문본체의 하부 양측 모서리부에 측방과 하방이 개방되는 롤러장치설치홈이 형성되고, 이 롤러장치설치홈 내측의 수직벽면부에 볼트체결구멍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롤러장치는 롤러장치설치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볼트가 볼트삽입구멍에 삽입되어 볼트체결구멍에 체결되는 상부볼트로 설치되는 롤러유닛설치대와, 롤러유닛설치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T"형레일홈에 "L"형몸체가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된 뒤에 하부볼트가 볼트구멍에 삽입되어 암나사홀에 결합되는 롤러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유닛설치대는 블록형 몸체의 상부외측에 돌출부가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몸체 상측에는 돌출부로부터 후방까지 이단으로 관통하는 볼트삽입구멍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몸체의 하부에는 "T"형레일홈이 전후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T"형레일홈 상측의 몸체에는 롤러유닛을 롤러유닛설치대에 설치하는 하부볼트가 체결되는 암나사홀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롤러유닛은 상부에 롤러유닛설치대의 몸체 외측면과 저면을 감싸는 "L"형몸체가 구비되고, 이 "L"형몸체의 외측면 상부에는 암나사홀에 체결되는 하부볼트가 삽입되는 볼트구멍을 수평방향으로 형성한 전면덮개부가 수직 형성되며, 상기 "L"형몸체의 상부에는 롤러유닛설치대의 "T"형레일홈에 슬라이드식으로 안내되는 "T"형레일부가 형성되고, "L"형몸체의 하부 중앙부에는 소폭의 롤러설치판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 롤러설치판의 전후방에 축구멍이 형성되고, 이들 축구멍에는 양측에 롤러가 설치된 롤러축이 회전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창호바닥프레임은 미세기문이 슬라이드식으로 설치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프레임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지지대와, 중앙지지대의 양측에 외측지지대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중앙지지대의 양측에 상부가 개방되는 롤러공간부가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중앙지지대와 외측지지대의 상부에는 미세기문의 하단부와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는 높이의 중앙덮개와 외측덮개를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되, 중앙덮개의 양측면과, 중앙덮개를 향하는 양측 외측지지대의 일측면에 끼움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끼움돌기에는 내측에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걸림홈이 전길이에 걸쳐 형성된 고무패킹이 각각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문용 평레일 창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축은 축구멍으로 관통 설치되며 내주연에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축관과, 롤러의 내주연에 끼워진 베어링에 끼워져 축관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축볼트와, 롤러설치판 양측의 축관에 끼워져 롤러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는 부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착탈수단은 중앙덮개와 외측덮개의 양측 하단부에 후크형태의 상부스냅돌기가 전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는 중앙지지대와 외측지지대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상부스냅돌기와 스냅식으로 착탈되는 후크형 하부스냅돌기가 전길이에 걸쳐 돌출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문용 평레일 창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중앙덮개와 외측덮개의 내측 중앙 하부에는 중앙덮개와 외측덮개의 처짐을 방지하는 중앙지지구가 저면이 서로 대응되는 중앙지지대와 외측지지대의 상면에 지지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중앙덮개와 외측덮개의 상부스냅돌기 상부에는 하부스냅돌기의 상부가 받쳐져서 각각의 중앙덮개와 외측덮개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전면덮개부의 외측면이 문본체의 외측면과 동일한 평면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롤러공간부의 바닥에는 양측 롤러가 안내되는 레일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응되는 고무패킹의 단부 사이는 롤러설치판의 두께만큼의 간격을 두도록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문용 평레일 창호장치.
KR1020220052395A 2022-04-27 2022-04-27 미세기문용 평레일 창호장치 KR102428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395A KR102428071B1 (ko) 2022-04-27 2022-04-27 미세기문용 평레일 창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395A KR102428071B1 (ko) 2022-04-27 2022-04-27 미세기문용 평레일 창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071B1 true KR102428071B1 (ko) 2022-08-02

Family

ID=8284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395A KR102428071B1 (ko) 2022-04-27 2022-04-27 미세기문용 평레일 창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0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326B1 (ko) * 2011-03-17 2011-08-08 김순석 레일 은폐형 창호장치
KR20130019623A (ko) 2011-08-17 2013-02-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범퍼의 결합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326B1 (ko) * 2011-03-17 2011-08-08 김순석 레일 은폐형 창호장치
KR20130019623A (ko) 2011-08-17 2013-02-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범퍼의 결합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4121B2 (en) Sliding shower door assembly
RU2107798C1 (ru) Система с передвижным элементом
US20200224486A1 (en) Sill systems for sliding fenestration units
KR102428071B1 (ko) 미세기문용 평레일 창호장치
KR20180134495A (ko) 마감수단이 구비된 레일 은폐형 창호
KR101204813B1 (ko) 구름 컨베이어를 갖는 창호 개폐 장치
US6260305B1 (en) Gasket system for a horizontal door
KR102503989B1 (ko) 넌스크류 타입 창짝롤러 조립구조
KR200465279Y1 (ko)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KR200188830Y1 (ko) 미닫이식 도어용 롤러 조립체
EP0410776B1 (en) A telescopic door assembly
JP2007191928A (ja) 引戸装置
KR102559397B1 (ko) 독립 슬라이딩 방식 다단 행거도어
KR101886280B1 (ko) 샤워 부스용 도어
JP4682040B2 (ja) 引戸
KR200470070Y1 (ko) 창호용 롤러
JPH07285768A (ja) エレベータ乗場ドア装置
GB2279684A (en) Sliding panels
JP7373251B1 (ja) 遮蔽部材支持装置
KR102505080B1 (ko) 창호용 호차의 원터치 결합부재
KR20120081303A (ko) 시공이 용이한 창호장치의 도어 롤러구조
EP4008872A1 (en) Frame for sliding doors
KR102456008B1 (ko) 슬라이딩도어용 롤러장치
JP3475284B2 (ja) 雪害防止機構を有する開閉式の窓
KR200237257Y1 (ko) 글라스 샤워부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