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959B1 -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 Google Patents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959B1
KR102427959B1 KR1020210032504A KR20210032504A KR102427959B1 KR 102427959 B1 KR102427959 B1 KR 102427959B1 KR 1020210032504 A KR1020210032504 A KR 1020210032504A KR 20210032504 A KR20210032504 A KR 20210032504A KR 102427959 B1 KR102427959 B1 KR 102427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y
lower frame
tray
fl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장호
Original Assignee
(주) 아이캡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이캡코리아 filed Critical (주) 아이캡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32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개시되는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가 하부 프레임 부재와, 상부 프레임 부재와, 하부 방염 부재와,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에서의 연소 확산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을 위해 적용되는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를 통해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통전 가능하게 자동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별도 접지선의 적용이 없이도 상기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자동적으로 접지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Cover for diffusion proof of combustion of cable tray having automatic grounding function}
본 발명은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관한 것이다.
전기·가스·수도 등의 공급설비, 통신시설, 하수도시설 등 지하매설물을 공동 수용하는 공동구, 지하철 등에는 그 천정 또는 벽면을 따라 복수 개의 케이블이 지나가게 되는데, 이러한 복수 개의 케이블을 그 천정 또는 벽면에 고정시켜주는 것이 케이블 트레이이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에서는 누전 등에 의해 연소(combustion)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대한 연소 확산 방지 구조가 요구되고, 이러한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대한 연소 확산 방지 구조로 제시되는 것이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이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상기 케이블의 단락 시에 상기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를 통한 감전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를 접지시켜주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의하면, 상기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방염을 위하여 사용되는 방염재로 인해, 상기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가 직접 접촉하지 못하였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접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별도 접지선으로 연결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763857호, 등록일자: 2017.07.26., 발명의 명칭: 케이블 트레이 방염 유닛
본 발명은 별도 접지선의 적용이 없이도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자동적으로 접지될 수 있는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는 케이블이 경유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트레이에 적용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서 발생되는 연소(combustion)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하부를 감싸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하부 프레임 부재;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에 의해 감싸진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상부를 감싸고,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와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부재;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서 발생되는 연소의 확산 방지를 위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난연(難燃)성 발포 재질로 이루어지는 하부 방염 부재; 및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가 통전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를 연결해줌으로써, 상기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속 확산 방지 커버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접지(接地)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상기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가 고정되도록 하는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 저면체와,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의 양 말단에서 각각 상방으로 굽혀지되 서로 평행하게 일정 높이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하부 프레임 측면체와,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에 관통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측 고정 접지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방염 부재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저면과 대면되는 하부 방염 저면체와, 상기 하부 방염 저면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가 관통되는 하부 방염측 고정 접지홀과, 상기 하부 방염 저면체의 양 말단에서 각각 굽혀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각 하부 프레임 측면체의 내면에 전체적으로 각각 접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하부 방염 측면체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 방염 부재는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하부를 덮어 방염시킬 수 있고,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가 상기 하부 방염측 고정 접지홀과 상기 하부 프레임측 고정 접지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 상기 하부 방염 부재 및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를 함께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의하면, 상기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가 하부 프레임 부재와, 상부 프레임 부재와, 하부 방염 부재와,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에서의 연소 확산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을 위해 적용되는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를 통해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통전 가능하게 자동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별도 접지선의 적용이 없이도 상기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자동적으로 접지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가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의 구성이 일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가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의 구성이 일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100)는 케이블이 경유되고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트레이(150)에 적용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에서 발생되는 연소(combustion)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부 프레임 부재(130)와, 하부 방염 부재(120)와,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17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는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이 경유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의 양 측면에 서로 평행하게 세워지는 한 쌍의 트레이 측면 패널(151, 152)과, 상기 각 트레이 측면 패널(151, 152)의 하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트레이 연결 바아(153)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브 트레이(150)는 직접 접지(接地)되거나,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접지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연결 바아(153)에 의해 상기 케이블이 받쳐져서 지지될 수 있게 되고, 상기 각 트레이 측면 패널(151, 152)에 의해 상기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로부터 임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레이 연결 바아(153)는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연결 바아(153)의 하부에는, 상기 트레이 연결 바아(153)의 하측 방향으로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170)가 소정 길이로 연장된 형태로 연결된다.
상기 트레이 연결 바아(153)와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170)는 용접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연결 바아(153)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17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의 하부를 감싸고, 스테인리스 등의 통전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와, 하부 프레임측 고정 접지홀(116)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하부 방염 저면체(121)의 저면과 대면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 프레임측 고정 접지홀(116)은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170) 중 후술되는 하부 방염측 고정 접지홀(124)을 관통한 부분이 관통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는 한 쌍의 하부 프레임 측면체(112, 114)와, 한 쌍의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각 하부 프레임 측면체(112, 114)는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의 양 말단에서 각각 상방으로 굽혀지되 서로 평행하게 일정 높이까지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각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는 상기 각 하부 프레임 측면체(112, 114)의 각 말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굽혀지는 것이다.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하부 프레임 측면체(112, 114)는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의 양 말단이 각각 상방으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는 상기 각 하부 프레임 측면체(112, 114)의 각 말단이 각각 외측으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는
Figure 112021029281672-pat00001
형태의 단면을 이루어,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이 그 상단에 올려진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의 위에 올려진 형태가 되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 상에 올려진 상기 케이블이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에 의해 지지되어 정렬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는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에 의해 감싸진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의 상부를 감싸고,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는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에 의해 감싸진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의 상부를 감싸고, 스테인리스 등의 통전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결합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는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와, 한 쌍의 상부 프레임 측면체(132, 134)와, 한 쌍의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상부 방염 상면체(141)의 상면과 대면되는 것이다.
상기 각 상부 프레임 측면체(132, 134)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양 말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굽혀지되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각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는 상기 각 상부 프레임 측면체(132, 134)의 각 말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굽혀지는 것이다.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상부 프레임 측면체(132, 134)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양 말단이 각각 하방으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는 상기 각 상부 프레임 측면체(132, 134)의 각 말단이 각각 외측으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는
Figure 112021029281672-pat00002
형태의 단면을 이루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 상에 올려진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의 상공을 덮게 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와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와 상기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가 서로 맞물리고, 별도의 플랜지 고정 수단(16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 고정 수단(160)은 볼트 등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와 상기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에 각각 형성된 각 관통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와 상기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가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플랜지 고정 수단(160) 중 상기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와 상기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에 각각 형성된 상기 각 관통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부분에 너트 등의 형태로 형성되는 플랜지 고정 맞물림 수단(161)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와 상기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가 서로 연결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 밖에도, 상기 플랜지 고정 수단(160)은 상기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와 상기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를 함께 집는 클립(clip), 상기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와 상기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제 등으로 제시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를 전체적으로 감싼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방염 부재(140)는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의 내면에 배치되고, 그라파이트 등을 포함한 난연(難燃)성 발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상부 방염 상면체(141)와, 한 쌍의 상부 방염 측면체(142, 1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난연성 발포 재질은 열기가 가해지면 부풀어오를 수 있는 재질로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 상의 상기 케이블에서 연소가 발생되면, 그 연소에 의한 열기에 의해 부풀어오르면서 그러한 연소의 확산을 방지하게 되고, 이러한 사항은 이하의 난연성 발포 재질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상부 방염 상면체(141)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저면에 전체적으로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각 상부 방염 측면체(142, 143)는 상기 상부 방염 상면체(141)의 양 말단에서 각각 굽혀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각 상부 프레임 측면체(132, 134)의 내면에 전체적으로 각각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 방염 부재(140)는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의 상부를 덮어 방염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방염 부재(120)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에서 발생되는 연소의 확산 방지를 위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라파이트 등을 포함한 난연성 발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하부 방염 저면체(121)와, 상기 하부 방염측 고정 접지홀(12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 방염 부재(120)는 한 쌍의 하부 방염 측면체(122, 123)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 방염 저면체(121)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의 저면과 대면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각 하부 방염 측면체(122, 123)는 상기 하부 방염 저면체(121)의 양 말단에서 각각 굽혀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각 하부 프레임 측면체(112, 114)의 내면에 전체적으로 각각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부 방염 부재(120)는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의 하부를 덮어 방염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방염측 고정 접지홀(124)은 상기 하부 방염 저면체(121)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 연결 바아(153)의 하방으로 소정 길이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170)가 관통되는 것이다.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170)는 스테인리스 등의 통전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가 통전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를 연결해줌으로써, 상기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100)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를 통해 자동적으로 접지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에 상기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100)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 방염측 고정 접지홀(124)은 상기 하부 방염 저면체(121)의 폭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측 고정 접지홀(116)은 상기 하부 방염측 고정 접지홀(124)과 대면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의 폭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트레이 연결 바아(153)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형태의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170)가 상기 하부 방염측 고정 접지홀(124) 및 상기 하부 프레임측 고정 접지홀(116)의 어느 곳이든 임의의 지점을 자유롭게 관통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하부 방염측 고정 접지홀(124) 및 상기 하부 프레임측 고정 접지홀(116)이 각각 볼트 구멍 등 원형의 한정된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 비해,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170)가 상기 하부 방염측 고정 접지홀(124) 및 상기 하부 프레임측 고정 접지홀(116)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관통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100)는 접지 맞물림 부재(17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접지 맞물림 부재(175)는 스테인리스 등의 통전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170) 중 상기 하부 방염측 고정 접지홀(124)과 상기 하부 프레임측 고정 접지홀(116)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170)가 상기 하부 방염 부재(1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를 결합시킨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가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170)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를 통해 접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가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170)를 통해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상기 접지 맞물림 부재(175)를 통해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170) 및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가 접지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연결된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도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를 통해 접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170)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접지 맞물림 부재(175)는 너트 등의 형태로 형성되고, 그 관통된 내면에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170)의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지 맞물림 부재(175)는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170)의 하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176은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와 상기 접지 맞물림 부재(175)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로, 상기 와셔(176)에는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170) 중 상기 하부 프레임측 고정 접지홀(116)을 관통한 부분이 관통된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에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를 관통한 상태의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170)의 하부에 상기 접지 맞물림 부재(175)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에 상기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100)가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를 상하에서 감쌀 때, 상기 상부 방염 부재(140)와 상기 하부 방염 부재(120)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접하여,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에서의 연소 확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100)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와, 상기 하부 방염 부재(120)와,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17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에서의 연소 확산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의 연결을 위해 적용되는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170)를 통해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에 통전 가능하게 자동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별도 접지선의 적용이 없이도 상기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100)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를 통해 자동적으로 접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방염 부재(140)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방염 부재(120) 및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상기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100)가 뒤집어진 형태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상부 방염 부재(140)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방염 부재(120) 및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150)의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이러한 적용 형태도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밝혀 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의하면, 별도 접지선의 적용이 없이도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자동적으로 접지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110 : 하부 프레임 부재
120 : 하부 방염 부재
130 : 상부 프레임 부재
140 : 상부 방염 부재
150 : 케이블 트레이
170 :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

Claims (4)

  1. 케이블이 경유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트레이에 적용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서 발생되는 연소(combustion)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로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하부를 감싸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하부 프레임 부재;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에 의해 감싸진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상부를 감싸고,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와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부재;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서 발생되는 연소의 확산 방지를 위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난연(難燃)성 발포 재질로 이루어지는 하부 방염 부재; 및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가 통전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를 연결해줌으로써, 상기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속 확산 방지 커버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접지(接地)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상기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가 고정되도록 하는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 저면체와,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의 양 말단에서 각각 상방으로 굽혀지되 서로 평행하게 일정 높이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하부 프레임 측면체와,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에 관통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측 고정 접지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방염 부재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저면과 대면되는 하부 방염 저면체와,
    상기 하부 방염 저면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가 관통되는 하부 방염측 고정 접지홀과,
    상기 하부 방염 저면체의 양 말단에서 각각 굽혀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각 하부 프레임 측면체의 내면에 전체적으로 각각 접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하부 방염 측면체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 방염 부재는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하부를 덮어 방염시킬 수 있고,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가 상기 하부 방염측 고정 접지홀과 상기 하부 프레임측 고정 접지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 상기 하부 방염 부재 및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를 함께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방염측 고정 접지홀은 상기 하부 방염 저면체의 폭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측 고정 접지홀은 상기 하부 방염측 고정 접지홀과 대면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의 폭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 중 상기 하부 방염측 고정 접지홀과 상기 하부 프레임측 고정 접지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를 결합시킨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가 상기 트레이 프레임 고정 접지 부재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접지되도록 하는 접지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KR1020210032504A 2021-03-12 2021-03-12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KR102427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504A KR102427959B1 (ko) 2021-03-12 2021-03-12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504A KR102427959B1 (ko) 2021-03-12 2021-03-12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959B1 true KR102427959B1 (ko) 2022-08-02

Family

ID=82845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504A KR102427959B1 (ko) 2021-03-12 2021-03-12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9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857B1 (ko) 2017-05-10 2017-08-01 임장호 케이블 트레이 방염 유닛
KR101767563B1 (ko) * 2016-12-13 2017-08-14 아인텍(주) 화재확산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및 이의 조립방법
KR20200119460A (ko) * 2019-04-10 2020-10-20 임장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563B1 (ko) * 2016-12-13 2017-08-14 아인텍(주) 화재확산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및 이의 조립방법
KR101763857B1 (ko) 2017-05-10 2017-08-01 임장호 케이블 트레이 방염 유닛
KR20200119460A (ko) * 2019-04-10 2020-10-20 임장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9166B1 (en) Weather-proof junction box with pan for circuit board
US3164668A (en) Terminal pedestal for buried wiring systems
KR101219137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US5901512A (en) Hardwiring race for office partitions
KR102278955B1 (ko)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US3375620A (en) Terminal pedestal for underground wiring systems
KR100778017B1 (ko) 방진 및 방습기능을 갖는 분전반
KR102427959B1 (ko) 자동 접지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US11530539B2 (en) Modular wall assembly using solenoid
KR20180081253A (ko) 화재확산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100836592B1 (ko)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
KR100676472B1 (ko)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트레이의 화재진화장치
KR102015853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1884013B1 (ko) 내진 설계를 갖춘 공동주택 전기시설물
KR101389261B1 (ko) 전력분배용 접속장치
KR101733111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JP201103525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3146298A (e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KR102554265B1 (ko)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안전형 배전선 배치기구
US3373276A (en) Terminal pedestal for underground wiring systems
KR100811055B1 (ko) 방수형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
CN218275994U (zh) 一种自动测温密集型母线槽
JP2019167706A (ja) 屋根構造
KR102134870B1 (ko) 전선 트레이 설치용 분전함
KR100697244B1 (ko) 공동주택용 케이블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