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371B1 - 차재 장치, 차량,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방법, 및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차재 장치, 차량,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방법, 및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371B1
KR102427371B1 KR1020207019988A KR20207019988A KR102427371B1 KR 102427371 B1 KR102427371 B1 KR 102427371B1 KR 1020207019988 A KR1020207019988 A KR 1020207019988A KR 20207019988 A KR20207019988 A KR 20207019988A KR 102427371 B1 KR102427371 B1 KR 102427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timing
predetermined
satellite or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5551A (ko
Inventor
다케시 고레나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5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4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 G01S19/25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involving aiding data received from a cooperating element, e.g. assisted GPS
    • G01S19/258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involving aiding data received from a cooperating element, e.g. assisted GPS relating to the satellite constellation, e.g. almanac, ephemeris data, lists of satellites in vie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04B7/18519Operations control,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07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data for correcting measured positioning data, e.g. DGPS [differential GPS] or ionosphere corrections

Abstract

차재 장치가, 차량에 관한 판단 정보를 취득하는 판단 정보 취득부와, 상기 판단 정보에 근거하여,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하는 타이밍 결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재 장치, 차량,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방법, 및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프로그램
본 발명은, 차재 장치, 차량,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방법, 및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탑재하는 차재 장치로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차량의 위치를 특정하고, 차량이 과금 에어리어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과금하는 과금 기능을 구비한 차재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 미국이 개발한 GPS 위성이 아니라, 각국의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위성을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특정하는 차재 장치도 존재한다.
GNSS 위성을 이용하여 측위 연산을 행하는 차재 장치는, 알마낙 및 에피메리스라고 하는 위성 궤도 정보를 GNSS 위성으로부터 수신하여, 위성의 위치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위성 궤도 정보의 수신에는 30초 정도의 시간을 갖는다. GNSS 위성으로부터 수신하는 위성 궤도 정보에는 유효기간이 존재하여, 유효기간을 경과하면 다시, 수신할 필요가 있다.
GNSS 위성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위성 궤도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외부 서버로부터 셀룰러 네트워크 경유로 다운로드하는 기술로서 AGNSS(Assiste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가 알려져 있다. AGNSS를 이용하여 위성 궤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측위 개시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39255호
그러나, AGNSS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위성 궤도 정보에도 유효기간이 존재하여, 유효기간을 경과하면 다시,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할 필요가 있다. 또, 유효기간 내여도, 다운로드로부터 시간이 경과하면 측위 개시 시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저감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AGNSS를 이용하는 종래의 차재 장치는 위성 궤도 정보를 빈번하게 다운로드하여, 외부 서버와의 통신량이 증가하여, 차량의 배터리 소비가 증대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통신의 억제 및 배터리 소비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여, AGNSS를 이용한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빈도를 저감시키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불필요한 통신의 억제 및 배터리 소비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여, AGNSS를 이용한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한 차재 장치, 차량,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방법, 및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차재 장치(10)는, 차량(1)에 관한 판단 정보를 취득하는 판단 정보 취득부(11)와, 상기 판단 정보에 근거하여,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하는 타이밍 결정부(1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차량에 관한 판단 정보에 근거하여, AGNSS 서버로부터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하므로, 적절한 타이밍으로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빈번한 다운로드를 방지함으로써, 차재 장치와 AGNSS 서버의 불필요한 통신을 억제하여, 차재 장치의 통신에 기인하는 배터리 소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기재된 차재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정보는 소정의 위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결정부(12)가 결정하는 상기 타이밍은, 상기 차량(1)의 현재 위치가 상기 소정의 위치가 되는 타이밍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소정의 위치의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가 소정의 위치가 되는 타이밍으로 다운로드를 행함으로써,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할 필요성이 높은 적절한 타이밍으로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 기재된 차재 장치(10)는, 상기 판단 정보는 소정의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결정부(12)가 결정하는 상기 타이밍은, 현재 시각이 상기 소정의 시간보다 소정의 준비 시간 전인 타이밍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소정의 시간의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시각이 소정의 시간보다 소정의 준비 시간 전인 타이밍으로 다운로드를 행함으로써,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할 필요성이 높은 적절한 타이밍으로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기재된 차재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상기 차량(1)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차량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에 근거하여, AGNSS 서버로부터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하여,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할 필요성이 높은 적절한 타이밍으로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빈번한 다운로드를 방지함으로써, 차재 장치와 AGNSS 서버의 불필요한 통신을 억제하여, 차재 장치의 통신에 기인하는 배터리 소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기재된 차재 장치(10)는, 상기 소정의 시간을 학습하는 학습부(21)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용자가 차량을 이용한 과거의 정보에 근거하여, 판단 정보에 포함되는 소정의 시간의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적절한 타이밍으로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이용자에 의한 차량의 이용 상황이 변화해도, 판단 정보에 포함되는 소정의 시간을 갱신하여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양태 내지 제5 양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차재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결정부(12)는, 상기 판단 정보에 근거하여, 다운로드 빈도가 변경되도록 상기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상기 타이밍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타이밍 결정부가, 판단 정보에 근거하여, 다운로드 빈도가 변경되도록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하므로,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할 필요도에 따라 다운로드의 횟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기재된 차재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정보는 소정의 차종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결정부(12)는, 상기 차량(1)의 차종이 상기 소정의 차종인 경우에 상기 소정의 차종 이외인 경우보다 상기 다운로드 빈도가 높아지도록 상기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상기 타이밍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소정의 차종의 정보에 근거하여, 다운로드 빈도가 변경되도록 타이밍을 결정함으로써,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할 필요도가 높은 차종에 대해서는, 다운로드의 횟수가 증가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8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기재된 차재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정보는 소정의 차종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결정부는, 상기 차량(1)의 차종이 상기 소정의 차종인 경우에 상기 소정의 차종 이외인 경우보다 상기 다운로드 빈도가 낮아지도록 상기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상기 타이밍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소정의 차종의 정보에 근거하여, 다운로드 빈도가 변경되도록 타이밍을 결정함으로써,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할 필요도가 낮은 차종에 대해서는, 다운로드의 횟수가 저감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9 양태에 의하면, 차량(1)은, 본 발명의 제1 양태 내지 제8 양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차재 장치(10)를 탑재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제10 양태에 의하면,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방법은, 차량에 관한 판단 정보를 취득하는 판단 정보 취득 스텝과, 상기 판단 정보에 근거하여,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하는 타이밍 결정 스텝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의 제11 양태에 의하면,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프로그램은, 차재 장치로서의 컴퓨터를, 차량에 관한 판단 정보를 취득하는 판단 정보 취득부와, 상기 판단 정보에 근거하여,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하는 타이밍 결정부로서 기능시킨다.
상술한 차재 장치, 차량,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방법, 및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프로그램에 의하면, AGNSS를 이용한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행하여, 불필요한 통신의 억제 및 배터리 소비의 저감이 가능하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의 판단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제1 설명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의 판단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제2 설명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차재 장치의 판단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제1 설명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의 학습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공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전체 구성)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를 구비하는 차량(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이용하여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를 구비하는 차량(1)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량(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1)을 이용하는 이용자(U)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재 장치(1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차량(1)이 사륜차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차량(1)은, 예를 들면 바이크 등의 이륜차, 삼륜차, 및 5개 이상의 차륜을 갖는 다륜차여도 된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이용자(U)가 차량(1)의 운전자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용자(U)는, 예를 들면 차량(1)을 운전하지 않는 탑승자 등, 운전자 이외의 이용자여도 된다.
차재 장치(10)는, 차량(1)에 탑재되어 있고, 차량(1)의 이용자(U)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차재 장치(10)가 소정의 과금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차량(1)에 대하여 유료 도로의 통행 요금 등의 과금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과금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차재기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차재 장치(10)는, 과금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차재기 이외여도 된다.
예를 들면, 차재 장치(10)는, 차량(1)의 운전자가 정해진 경로를 주행하고 있는지, 규정의 속도로 주행하고 있는지, 및 규정의 시각에 주행하고 있는지 등의 각 항목에 대하여, 차량(1)을 적절히 운전하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운전 평가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운전 평가 장치여도 된다. 또, 차재 장치(10)는, 예를 들면 차량(1)의 현재 위치, 주행 속도, 배터리의 잔량 등의 프로브 정보를 수집하여, 교통 모니터링을 행하는 모니터링 장치여도 된다.
차재 장치(10)는, 복수의 GNSS 위성(2)으로부터 시각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1)의 현재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GNSS 위성(2)의 각 위치가 판명되어 있다는 조건하에서, 수신한 시각 신호에 근거하여 복수의 GNSS 위성(2)으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하여, 차량(1)의 3차원적인 현재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차재 장치(10)는, AGNSS 서버(3)로부터 셀룰러 네트워크(N)를 통하여 위성 궤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위성 궤도 정보는, 알마낙 데이터 및 에피메리스 데이터를 의미한다. 알마낙 데이터는, 궤도상에 있어서의 모든 위성에 관한 궤도 정보이며, 전위성 궤도 데이터라고도 불린다. 에피메리스 데이터는, 각 위성의 정확한 위치 정보와 신호를 발사한 시각 정보이며, 위성 궤도 데이터라고도 불린다.
차재 장치(10)는, 위성 궤도 정보를 이용하여 측위에 사용하는 GNSS 위성(2)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차재 장치(10)는, 복수의 GNSS 위성(2)으로부터 위성 궤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GNSS 위성(2)은, 각국의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의 인공위성이다. GNSS 위성(2)은, 예를 들면 미국의 GPS 위성, 러시아의 GLONASS 위성, 유럽의 Galileo 위성, 중국의 BeiDou 위성, 및 일본의 준텐초 위성 등을 포함한다. GNSS 위성(2)은, 시각 신호 및 위성 궤도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를 송신한다.
AGNSS 서버(3)는, 셀룰러 네트워크(N)를 통하여 차량(1)에 위성 궤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의 기능 구성)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이용하여,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의 기능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재 장치(10)는, 판단 정보 취득부(11), 타이밍 결정부(12), 현재 위치 특정부(13), 과금 처리부(14), 위성 신호 수신부(15), 판단 정보 기억부(16), 위성 궤도 정보 기억부(17), 및 위성 궤도 정보 수신부(18)를 구비하고 있다.
판단 정보 취득부(11)는, 판단 정보 기억부(16)에 기억되어 있는 차량(1)에 관한 판단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판단 정보는, 타이밍 결정부(12)가 AGNSS 서버(3)로부터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할 때에 판단에 이용하는 차량(1)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판단 정보가 소정의 위치의 정보 및 소정의 시간의 정보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판단 정보는 그 외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면, 판단 정보는, 차재 장치(10)에 의한 과금 서비스 등의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GNSS 위성(2)을 이용한 정확한 측위가 필요해지는 조건 등의 정보여도 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판단 정보 취득부(11)가, 판단 정보 기억부(16)에 기억되어 있는 판단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판단 정보 취득부(11)는, 차재 장치(10)의 외부의 서버 등의 장치와 통신하여 판단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판단 정보 취득부(11)는, 판단 정보 기억부(16)로부터 소정의 위치의 정보를 판단 정보로서 취득하여, 타이밍 결정부(12)에 입력한다.
타이밍 결정부(12)는, 셀룰러 네트워크(N)를 통하여 위성 궤도 정보를 AGNSS 서버(3)로부터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한다. 타이밍 결정부(12)는, 판단 정보 취득부(11)에 의하여 입력된 판단 정보에 근거하여 타이밍을 결정한다.
현재 위치 특정부(13)는, 차량(1)의 현재 위치를 특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현재 위치 특정부(13)는, 위성 신호 수신부(15)가 GNSS 위성(2)으로부터 수신한 시각 신호에 근거하여, 복수의 GNSS 위성(2)부터 차량(1)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차량(1)의 3차원적인 현재 위치를 특정한다.
과금 처리부(14)는, 소정의 서비스로서 과금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과금 처리부(14)는, 소정의 과금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차량(1)에 대하여 과금 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판단 정보 기억부(16)는, 판단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판단 정보로서 도 3에 나타내는 과금 맵 정보 및 도 4에 나타내는 과금 시간 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과금 맵 정보는 소정의 위치의 정보이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1)이 주행하는 지도의 정보인 지도 정보 M와, 지도 정보 M 내에 설정된 각 과금 에어리어(예를 들면, A1, A2,···)의 위치의 정보를 포함한다.
과금 시간 정보는 소정의 시간의 정보이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도 정보 M 상에 설정된 각 과금 에어리어와 과금 개시 시각 및 과금 종료 시각을 관련시킨 정보이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판단 정보의 1행째는, 과금 에어리어 A1을 통행하는 차량(1)에 대하여, 과금 개시 시각 "07:00:00"부터 과금 종료 시각 "18:00:00"까지의 사이의 시간(시간대) "07:00:00~18:00:00"는 통행요금이 과금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과금 시간 정보에는, 예를 들면, 각 과금 에어리어에 대하여, 과금되는 요일, 및 과금되는 주기(매일, 또는 하루 걸러 등), 그 외의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위성 궤도 정보 수신부(18)는, AGNSS 서버(3)로부터 다운로드된 GNSS 위성(2)의 위성 궤도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GNSS 위성(2)으로부터 수신한 위성 궤도 정보가 위성 궤도 정보 수신부(18)에 기억되어도 된다.
위성 궤도 정보 수신부(18)는, 셀룰러 네트워크(N)를 통하여 AGNSS 서버(3)로부터 GNSS 위성(2)의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의 동작의 처리 플로)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를 이용하여,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처리가 개시되면, 판단 정보 취득부(11)가 판단 정보로서 소정의 위치의 정보(과금 맵 정보) 및 소정의 시간의 정보(과금 시간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101). 구체적으로는, 판단 정보 취득부(11)는, 판단 정보 기억부(16)를 참조하여, 판단 정보 기억부(16)에 기억되어 있는 과금 맵 정보 및 과금 시간 정보를 취득한다. 판단 정보 취득부(11)는, 취득한 과금 맵 정보 및 과금 시간 정보를 타이밍 결정부(12)에 입력한다.
다음으로, 타이밍 결정부(12)는, 입력된 판단 정보(소정의 위치의 정보인 과금 맵 정보 및 소정의 시간의 정보인 과금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AGNSS 서버(3)로부터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한다(스텝 S102). 구체적으로는, 타이밍 결정부(12)는, 차량(1)의 현재 위치가 과금 맵 정보에 포함되는 소정의 위치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고, 현재 시각이 과금 시간보다 소정의 준비 시간만큼 전인 타이밍을,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으로서 결정한다. 차량(1)의 현재 위치는, 현재 위치 특정부(13)로부터 타이밍 결정부(12)에 입력된다. 또한, 차량(1)의 엔진이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타이밍 결정부(12)는, 엔진이 정지하기 전에 현재 위치 특정부(13)가 마지막으로 특정하여 기억해 둔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타이밍을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3의 경우, 차량(1)이 주행하여 과금 에어리어 A1(소정의 위치)에 들어가면, 타이밍 결정부(12)는, 차량(1)의 현재 위치가 과금 맵 정보에 포함되는 소정의 위치와 일치한다고 판정한다. 따라서, 타이밍 결정부(12)는, 현재 시각이 과금 에어리어 A1에 대한 과금 시간(소정의 시간) "07:00:00~18:00:00"보다 5분(소정의 준비 시간) 전인 타이밍을,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으로서 결정한다. 즉, 타이밍 결정부(12)는, 차량(1)이 과금 에어리어 A1에 들어가고, 현재 시각이 "06:55:00"가 되는 타이밍으로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도록 위성 궤도 정보 수신부(18)에 지시를 내린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소정의 준비 시간이 5분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소정의 준비 시간은, 5분 이외의 시간이어도 된다. 소정의 준비 시간은, 소정의 시간까지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기 위하여 최저한 필요한 시간이어도 된다.
위성 궤도 정보 수신부(18)는, 타이밍 결정부(12)의 지시를 받으면, 타이밍 결정부(12)에 의하여 결정된 타이밍으로, AGNSS 서버(3)로부터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한다(스텝 S103). 위성 궤도 정보 수신부(18)가 다운로드한 위성 궤도 정보는, 위성 궤도 정보 수신부(18)에 기억된다. 이후, 스텝 S101로 돌아가, 도 5에 나타내는 플로의 처리가 반복된다. 도 5에 나타내는 플로의 처리는, 차량(1)의 엔진이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도 행해진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타이밍 결정부(12)가, 소정의 위치의 정보 및 소정의 시간의 정보의 양방을 포함하는 판단 정보에 근거하여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타이밍 결정부(12)가, 소정의 위치의 정보 및 소정의 시간의 정보 중 어느 일방에만 근거하여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해도 된다.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는, 차량(1)에 관한 판단 정보를 취득하는 판단 정보 취득부(11)와, 판단 정보에 근거하여,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하는 타이밍 결정부(1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는, 차량(1)에 관한 판단 정보에 근거하여, AGNSS 서버(3)로부터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하므로, 적절한 타이밍으로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빈번한 다운로드를 방지함으로써, 차재 장치(10)와 AGNSS 서버(3)의 불필요한 통신을 억제하여, 차재 장치(10)의 통신에 기인하는 배터리 소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에 있어서, 판단 정보는 소정의 위치의 정보를 포함하고, 타이밍 결정부(12)가 결정하는 타이밍은, 차량(1)의 현재 위치가 소정의 위치가 되는 타이밍이다.
이로써, 소정의 위치의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1)의 현재 위치가 소정의 위치가 되는 타이밍으로 다운로드를 행함으로써,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할 필요성이 높은 적절한 타이밍으로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에 있어서, 판단 정보는 소정의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고, 타이밍 결정부(12)가 결정하는 타이밍은, 현재 시각이 소정의 시간보다 소정의 준비 시간 전인 타이밍이다.
이로써, 소정의 시간의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시각이 소정의 시간보다 소정의 준비 시간 전인 타이밍으로 다운로드를 행함으로써,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할 필요성이 높은 적절한 타이밍으로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차재 장치(10)의 판단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제1 설명도이다. 도 6을 이용하여,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차재 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차재 장치(10)가 구비하는 각 구성요소는, 특별히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가 구비하는 각 구성요소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동일하게 기능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단 정보로서의 과금 맵 정보(소정의 위치의 정보)는, 지도 정보 M 및 각 과금 에어리어(A1, A2,···)의 위치의 정보에 더하여, 각 과금 에어리어를 둘러싸도록 각각 설정된 준비 에어리어(B1, B2,···)의 위치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과금 맵 정보(소정의 위치의 정보)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도 정보 M 중에서 과금 에어리어에도 준비 에어리어에도 해당하지 않는 에어리어인 비대상 에어리어 C의 위치의 정보를 포함한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스텝 S102의 처리에 있어서, 타이밍 결정부(12)는, 판단 정보(소정의 위치의 정보)에 근거하여, 다운로드 빈도가 변경되도록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6의 경우, 차량(1)이 과금 에어리어(A1, A2,···) 내에 체재하고 있는 동안, 타이밍 결정부(12)는, 3일에 1번의 빈도로 AGNSS 서버(3)로부터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도록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한다.
또, 차량(1)이 준비 에어리어(B1, B2,···) 내에 체재하고 있는 동안, 타이밍 결정부(12)는, 5일에 1번의 빈도로 AGNSS 서버(3)로부터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도록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한다. 또한, 차량(1)이 비대상 에어리어 C 내에 체재하고 있는 동안, 타이밍 결정부(12)는, AGNSS 서버(3)로부터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지 않는다.
즉, 타이밍 결정부(12)는, 판단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1)의 현재 위치가 과금 에어리어(A1, A2,···), 준비 에어리어(B1, B2,···), 및 비대상 에어리어 C 중 어느 것에 일치하는지 판정하고, 차량(1)이 위치하는 에어리어에 따라 다운로드 빈도가 변경되도록 결정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다운로드 빈도의 구체적인 값은 예시적인 값이며, 임의의 값이 규정되어도 된다.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차재 장치(10)에 있어서는, 타이밍 결정부(12)는, 판단 정보에 근거하여, 다운로드 빈도가 변경되도록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는, 판단 정보에 근거하여, 다운로드 빈도가 변경되도록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이 결정되므로,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할 필요도에 따라 다운로드의 횟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다운로드를 회피함으로써, 차재 장치(10)와 AGNSS 서버(3)의 불필요한 통신을 더 억제하여, 차재 장치(10)의 통신에 기인하는 배터리 소비를 더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는, 판단 정보가 소정의 위치의 정보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소정의 위치의 정보 이외의 판단 정보에 근거하여, 다운로드 빈도가 변경되도록 타이밍 결정부(12)가 타이밍을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판단 정보는 소정의 차종의 정보여도 된다.
이와 같이, 타이밍 결정부(12)가, 소정의 차종의 정보에 근거하여, 다운로드 빈도가 변경되도록 타이밍을 결정하므로, 차종의 특성에 따라 다운로드의 횟수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판단 정보가 이륜차의 정보(소정의 차종의 정보)인 경우, 타이밍 결정부(12)는, 차량(1)의 차종이 이륜차(소정의 차종)인 경우에 차량(1)이 이륜차(소정의 차종) 이외인 경우보다 다운로드 빈도가 높아지도록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해도 된다. 이로써,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할 필요도가 높은 차종에 대해서는, 다운로드의 횟수가 증가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차량(1)이 이륜차인 경우에는, 빈도가 높은 다운로드에 의하여 위성 궤도 정보가 갱신되어 있을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을 기동하고 나서 곧바로 주행 개시 가능한 경량인 이륜차가, 엔진 기동 후의 주행으로 곧바로 과금 에어리어에 들어가서, 측위가 필요해져도 적절한 측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소정의 차종이 이륜차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륜차 이외의 경량인 차량이어도 된다.
한편, 판단 정보가 버스의 정보(소정의 차종의 정보)인 경우, 타이밍 결정부(12)는, 차량(1)의 차종이 버스(소정의 차종)인 경우에 차량(1)이 버스(소정의 차종) 이외인 경우보다 다운로드 빈도가 낮아지도록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해도 된다. 중량이 있는 버스는 엔진을 기동하고 나서 곧바로 주행 개시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엔진을 기동하고 나서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해도 과금 에어리어에 들어가기 전까지 측위가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할 필요도가 낮은 차종에 대해서는, 다운로드의 횟수가 저감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차량(1)이 버스인 경우에는, 빈번한 다운로드를 방지함으로써, 차재 장치(10)와 AGNSS 서버(3)의 불필요한 통신을 억제하여, 차재 장치(10)의 통신에 기인하는 배터리 소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소정의 차종이 버스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버스 이외의 중량이 있는 차량이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의 학습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도 9를 이용하여,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가 구비하는 각 구성요소는, 특별히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가 구비하는 각 구성요소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동일하게 기능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의 기능 구성)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정보 기억부(20) 및 학습부(21)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판단 정보는, 소정의 시간의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시간은, 이용자(U)에 의한 차량(1)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이다.
엔진 정보 기억부(20)는, 차량(1)의 엔진이 기동된 기동 시각과 정지된 정지 시각을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학습부(21)는, 차량(1)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을 학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학습부(21)는, 이하와 같이 하여 학습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설명도에 있어서, 가로축이 시각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날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학습부(21)는, 1일을 시간 단위로 24분할하고, 최근 1주간(도 8의 경우, 학습 처리를 행하는 날이 6/8이며, 6/1부터 6/7까지의 7일간)에 대한 각 분할 시간을, 차량(1)의 엔진이 기동된 기동 상태(색이 칠해진 칸) 또는 기동되고 있지 않은 정지 상태(공백인 칸)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한다. 이 때에, 학습부(21)는, 엔진 정보 기억부(20)를 참조하여, 차량(1)의 엔진이 기동된 기동 시각과 정지된 정지 시각을 취득하며, 기동 시각부터 정지 시각까지의 사이의 시간에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분할 시간을 기동 상태로 분류하고, 전혀 중복되지 않는 분할 시간을 정지 상태로 분류한다.
학습부(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류한 결과에 근거하여, 1일의 시간 중, 최근 1주간에서 기동 상태가 3개 이상 있는 시간을, 이용자(U)에 의한 차량(1)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으로 판정한다. 도 8에 나타내는 경우에는, 학습부(21)는, 1일 중, "7시부터 8시까지의 시간(07:00:00~08:00:00)"은, 최근 1주간에 기동 상태가 5개 있으므로, 차량(1)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이라고 판정한다. 동일하게 하여, 학습부(21)는, "8시부터 9시까지의 시간(08:00:00~09:00:00)", "18시부터 19시까지의 시간(18:00:00~19:00:00)", 및 "19시부터 20시까지의 시간(19:00:00~20:00:00)"을 차량(1)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이라고 판정한다.
학습부(21)는, 판정하여 얻어진 차량(1)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을 소정의 시간의 정보로서 판단 정보 기억부(16)에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의 경우에는, 연속하는 시간은 하나로 하여, 학습부(21)는, "07:00:00~09:00:00" 및 "18:00:00~20:00:00"를 소정의 시간의 정보로서 판단 정보 기억부(16)에 기억한다.
상술한 예에서는, 학습부(21)가, 최근 1주간의 엔진의 정보에 근거하여 학습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학습부(21)는, 임의의 과거의 기간의 엔진의 정보에 근거하여 학습해도 된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학습부(21)가, 1일을 시간 단위로 24분할하여 학습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학습부(21)는, 예를 들면, 분 단위 또는 초 단위 등의 임의의 시간 단위로 분할하여 학습해도 된다. 또한, 학습부(21)는, 분할하는 단위를 크게 하여, 일 단위, 주 단위, 또는 월 단위로 분할하여 학습해도 된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학습부(21)가, 기동 상태가 3개 이상 있는 시간을, 이용자(U)에 의한 차량(1)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으로 판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3 이외의 임의의 수를 임계값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의 동작의 처리 플로)
도 9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는, 도 5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와는, 스텝 S201의 처리가 추가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처리가 개시되면, 학습부(21)가, 소정의 시간으로서의 차량(1)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을 학습한다(스텝 S201). 구체적으로는, 도 8을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학습부(21)는, 엔진 정보 기억부(20)를 참조하여, 최근 1주간에 대하여, 시간 단위로 분할된 각 분할 시간을, 차량(1)의 엔진이 기동된 기동 상태 또는 기동되고 있지 않은 정지 상태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한다. 학습부(21)는, 분류한 결과에 근거하여, 1일의 시간 중, 최근 1주간에 기동 상태가 3개 이상 있는 시간을, 이용자(U)에 의한 차량(1)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으로 판정한다. 학습부(21)는, 판정하여 얻어진 차량(1)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의 정보를 판단 정보(소정의 시간의 정보)로서 판단 정보 기억부(16)에 기억한다.
도 8의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학습부(21)는, 차량(1)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의 정보로서 "07:00:00~09:00:00" 및 "18:00:00~20:00:00"의 정보를, 판단 정보(소정의 시간의 정보)로서 판단 정보 기억부(16)에 기억한다.
다음으로, 판단 정보 취득부(11)가 판단 정보로서 소정의 시간의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101). 구체적으로는, 판단 정보 취득부(11)는, 판단 정보 기억부(16)를 참조하여, 판단 정보 기억부(16)에 기억되어 있는 차량(1)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의 정보를 취득한다. 판단 정보 취득부(11)는, 취득한 차량(1)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을 타이밍 결정부(12)에 입력한다.
다음으로, 타이밍 결정부(12)는, 입력된 판단 정보(소정의 시간의 정보인 차량(1)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에 근거하여, AGNSS 서버(3)로부터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한다(스텝 S102). 구체적으로는, 타이밍 결정부(12)는, 차량(1)의 현재 시각이 차량(1)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보다 5분(소정의 준비 시간) 전인 타이밍을,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으로서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경우에는, 현재 시각이 "07:00:00~09:00:00" 및 "18:00:00~20:00:00"의 각 시간보다 5분(소정의 준비 시간) 전인 타이밍을,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으로서 결정한다. 즉, 타이밍 결정부(12)는, 현재 시각이 "06:55:00" 또는 "17:55:00"인 타이밍으로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도록 위성 궤도 정보 수신부(18)에 지시를 내린다.
위성 궤도 정보 수신부(18)는, 타이밍 결정부(12)의 지시를 받으면, 타이밍 결정부(12)에 의하여 결정된 타이밍으로, AGNSS 서버(3)로부터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한다(스텝 S103). 예를 들면, 도 8의 경우에는, 현재 시각이 "06:55:00" 또는 "17:55:00" 중 어느 하나인 타이밍으로, 위성 궤도 정보 수신부(18)가 AGNSS 서버(3)로부터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한다.
위성 궤도 정보 수신부(18)가 다운로드한 위성 궤도 정보는, 위성 궤도 정보 수신부(18)에 기억된다. 이후, 스텝 S101로 돌아가, 도 9에 나타내는 플로의 처리가 반복된다. 도 9에 나타내는 플로의 처리는, 차량(1)의 엔진이 정지하고 있는 동안도 행해진다.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은 차량(1)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이다.
이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는, 차량(1)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에 근거하여, AGNSS 서버(3)로부터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결정한다. 따라서,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할 필요성이 높은 적절한 타이밍으로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빈번한 다운로드를 방지함으로써, 차재 장치(10)와 AGNSS 서버(3)의 불필요한 통신을 억제하여, 차재 장치(10)의 통신에 기인하는 배터리 소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 장치(10)는, 소정의 시간(차량(1)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을 학습하는 학습부를 더 구비한다.
이로써, 이용자(U)가 차량(1)을 이용한 과거의 정보에 근거하여, 판단 정보에 포함되는 소정의 시간의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적절한 타이밍으로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이용자(U)에 의한 차량(1)의 이용 상황이 변화해도, 판단 정보에 포함되는 소정의 시간을 갱신하여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0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컴퓨터(9)는, CPU(91), 주기억 장치(92), 보조 기억 장치(93), 인터페이스(94)를 구비한다.
상술한 차재 장치(10)는, 컴퓨터(9)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술한 각 처리부의 동작은,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보조 기억 장치(93)에 기억되어 있다. CPU(91)는, 프로그램을 보조 기억 장치(93)로부터 읽어내어 주기억 장치(92)에 전개하고, 당해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판단 정보 취득부(11), 타이밍 결정부(12), 현재 위치 특정부(13), 과금 처리부(14), 위성 신호 수신부(15), 위성 궤도 정보 수신부(18), 및 학습부(21)는, CPU(91)여도 된다.
또, CPU(91)는, 프로그램에 따라, 상술한 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하는 기억 영역을 주기억 장치(92) 또는 보조 기억 장치(93)에 확보한다. 예를 들면, 상술의 차재 장치(10)의 판단 정보 기억부(16), 위성 궤도 정보 기억부(17), 및 엔진 정보 기억부(20)가 보조 기억 장치(93)에 확보되어도 된다.
보조 기억 장치(93)의 예로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자기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ROM(Digital Versatile Disc Read Only Memory), 반도체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보조 기억 장치(93)는, 컴퓨터(9)의 버스에 직접 접속된 내부 미디어여도 되고, 인터페이스(94) 또는 통신 회선을 통하여 컴퓨터(9)에 접속되는 외부 미디어여도 된다. 또, 이 프로그램이 통신 회선에 의하여 컴퓨터(9)에 전송되는 경우, 전송을 받은 컴퓨터(9)가 당해 프로그램을 주기억 장치(92)에 전개하여, 상기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조 기억 장치(93)는, 일시적이 아닌 유형의 기억 매체이다.
또, 당해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당해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을 보조 기억 장치(93)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다른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하는 것, 이른바 차분 파일(차분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실시형태는, 그 외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것과 동일하게,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차재 장치, 차량,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방법, 및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프로그램에 의하면, AGNSS를 이용한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행하여, 불필요한 통신의 억제 및 배터리 소비의 저감이 가능하다.
1 차량
2 GNSS 위성
3 AGNSS 서버
9 컴퓨터
10 차재 장치
11 판단 정보 취득부
12 타이밍 결정부
13 현재 위치 특정부
14 과금 처리부
15 위성 신호 수신부
16 판단 정보 기억부
17 위성 궤도 정보 기억부
18 위성 궤도 정보 수신부
20 엔진 정보 기억부
21 학습부
91 CPU
92 주기억 장치
93 보조 기억 장치
94 인터페이스
M 지도 정보
A1, A2 과금 에어리어
B1, B2 준비 에어리어
C 비대상 에어리어
U 이용자

Claims (11)

  1. 차량에 관한 판단 정보를 취득하는 판단 정보 취득부와,
    상기 판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이 소정의 과금 에어리어 내에 들어가는 타이밍 또는 그 소정의 준비 시간 전을,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으로서 결정하는 타이밍 결정부와,
    결정된 상기 타이밍에서 다운로드된 위성 궤도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소정의 과금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상기 차량에 대하여 과금 처리를 행하는 과금 처리부
    를 구비하는 차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정보는 소정의 위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결정부가 결정하는 상기 타이밍은,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가 상기 소정의 위치가 되는 타이밍인, 차재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정보는 소정의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결정부가 결정하는 상기 타이밍은, 현재 시각이 상기 소정의 시간보다 상기 소정의 준비 시간 전인 타이밍인, 차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상기 차량의 엔진을 기동하는 회수가 소정 기간에 있어서 소정 회수 이상의 시간인, 차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을 학습하는 학습부를 더 구비하는, 차재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결정부는, 상기 판단 정보에 근거하여, 다운로드 빈도가 변경되도록 상기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상기 타이밍을 결정하는, 차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정보는 소정의 차종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결정부는, 상기 차량의 차종이 상기 소정의 차종인 경우에 상기 소정의 차종 이외인 경우보다 상기 다운로드 빈도가 높아지도록 상기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상기 타이밍을 결정하는, 차재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정보는 소정의 차종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결정부는, 상기 차량의 차종이 상기 소정의 차종인 경우에 상기 소정의 차종 이외인 경우보다 상기 다운로드 빈도가 낮아지도록 상기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상기 타이밍을 결정하는, 차재 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차재 장치를 탑재하고 있는 차량.
  10. 차량에 관한 판단 정보를 취득하는 판단 정보 취득 스텝과,
    상기 판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이 소정의 과금 에어리어 내에 들어가는 타이밍 또는 그 소정의 준비 시간 전을,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으로서 결정하는 타이밍 결정 스텝과,
    결정된 상기 타이밍에서 다운로드된 위성 궤도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소정의 과금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상기 차량에 대하여 과금 처리를 행하는 과금 처리 스텝
    을 구비하는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방법.
  11. 차재 장치로서의 컴퓨터를,
    차량에 관한 판단 정보를 취득하는 판단 정보 취득부와,
    상기 판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이 소정의 과금 에어리어 내에 들어가는 타이밍 또는 그 소정의 준비 시간 전을, 위성 궤도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으로서 결정하는 타이밍 결정부와,
    결정된 상기 타이밍에서 다운로드된 위성 궤도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소정의 과금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상기 차량에 대하여 과금 처리를 행하는 과금 처리부
    로서 기능시키는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07019988A 2018-01-31 2018-01-31 차재 장치, 차량,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방법, 및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프로그램 KR102427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03131 WO2019150470A1 (ja) 2018-01-31 2018-01-31 車載装置、車両、衛星軌道情報のダウンロード方法、及び衛星軌道情報のダウンロード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551A KR20200095551A (ko) 2020-08-10
KR102427371B1 true KR102427371B1 (ko) 2022-07-29

Family

ID=6747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988A KR102427371B1 (ko) 2018-01-31 2018-01-31 차재 장치, 차량,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방법, 및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70458B2 (ko)
JP (1) JP7042848B2 (ko)
KR (1) KR102427371B1 (ko)
GB (1) GB2582879B (ko)
SG (1) SG11202006392UA (ko)
WO (1) WO201915047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0443A (ja) * 2000-09-18 2002-03-27 Denso Corp Gps受信装置
JP2004163354A (ja) * 2002-11-15 2004-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0042788A (ja) * 2008-08-18 2010-02-25 Kenwood Corp 車載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7190B2 (ja) * 1995-10-20 2002-05-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Gps測位装置
US7574215B1 (en) * 2000-11-06 2009-08-11 Trimble Naviga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on of GPS satellite information
EP1681657A1 (en) * 2005-01-14 2006-07-19 HighGain Antenna Co., Ltd. Multifunctional On-board-equipment (OBE) for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TS)
US8493267B2 (en) * 2006-11-10 2013-07-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 determination with extended SPS orbit information
JP2008139255A (ja) 2006-12-05 2008-06-19 Mitsubishi Heavy Ind Ltd Gps受信機および位置検出方法
US7633438B2 (en) * 2007-01-29 2009-12-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of downloading ephemeris data based on user activity
US7835863B2 (en) * 2007-04-18 2010-11-16 Mitac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navigation using GPS velocity vector
JP2009113598A (ja) * 2007-11-05 2009-05-28 Topy Ind Ltd ホイールのランフラット装置及びそのクランプ機構
US9140776B2 (en) * 2008-11-04 2015-09-22 Sensewhere Limited Assisted positioning systems
US8892127B2 (en) * 2008-11-21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based positioning adjustments using a motion sensor
US20170299724A1 (en) * 2016-04-14 2017-10-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enhanced stand-alon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performan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0443A (ja) * 2000-09-18 2002-03-27 Denso Corp Gps受信装置
JP2004163354A (ja) * 2002-11-15 2004-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0042788A (ja) * 2008-08-18 2010-02-25 Kenwood Corp 車載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551A (ko) 2020-08-10
GB2582879A (en) 2020-10-07
JPWO2019150470A1 (ja) 2021-01-14
JP7042848B2 (ja) 2022-03-28
WO2019150470A1 (ja) 2019-08-08
US11470458B2 (en) 2022-10-11
GB2582879B (en) 2022-11-16
SG11202006392UA (en) 2020-08-28
GB202010549D0 (en) 2020-08-26
US20210067925A1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16390B2 (ja) マップ強化型デッドレコニングを利用した全地球ナビゲーション衛星システムの車両位置増強
CN106896808B (zh) 启用和禁用自主驾驶的系统和方法
EP2541203B1 (en) Road map feedback server for tightly coupled gps and dead reckoning vehicle navigation
JP3664681B2 (ja) 位置特定手段を有する車両データバスシステム
US9964949B2 (en) Operating modes for autonomous driving
US20180106906A1 (en) Positioning processing system, method, computer program, positioning processing device, and user terminal
US20110257882A1 (en) Road map feedback server for tightly coupled gps and dead reckoning vehicle navigation
CN110208823B (zh) 确定用于基于卫星确定车辆位置的数据简档的方法
JP5719033B2 (ja) 自動車のための情報を取り出す方法
US20110208424A1 (en) Road Map Feedback Corrections in Tightly Coupled GPS and Dead Reckoning Vehicle Navigation
US967150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a vehicle
JP6927088B2 (ja) 走行データ収集システム、走行データ収集センタ、及び車載端末
JP2013088208A (ja) 密結合gpsおよび推測航法車両航法用のロードマップ・フィードバック・サーバ
US9802620B2 (en) Position error estimate and implementation for autonomous driving
CN110488330B (zh) 一种车辆定位方法、装置、车辆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2541198B1 (en) Road map feedback corrections in tightly coupled gps and dead reckoning vehicle navigation
CN106033122A (zh) 一种obu定位细分推算方法和系统
JP6878982B2 (ja) 車載装置
EP2541197A1 (en) Tightly coupled gps and dead-reckoning vehicle navigation
US201403440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parking fees in metered car parks
KR102427371B1 (ko) 차재 장치, 차량,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방법, 및 위성 궤도 정보의 다운로드 프로그램
WO2017181364A1 (zh) 一种用户状态检测方法以及检测设备
US201702851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a vehicle
FR3085332A1 (fr) Determination d’une trajectoire laterale coherente pour une conduite autonome
CN117501153A (zh) 用于在运载工具的启动阶段期间运行基于gnss的导航模块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