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253B1 -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253B1
KR102427253B1 KR1020200038020A KR20200038020A KR102427253B1 KR 102427253 B1 KR102427253 B1 KR 102427253B1 KR 1020200038020 A KR1020200038020 A KR 1020200038020A KR 20200038020 A KR20200038020 A KR 20200038020A KR 102427253 B1 KR102427253 B1 KR 102427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oticon
combined
update information
user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1418A (ko
Inventor
나채식
Original Assignee
나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채식 filed Critical 나채식
Priority to KR1020200038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253B1/ko
Publication of KR20210121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은 메신저 서버를 통해 타 사용자 단말과 대화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로서, 상기 메신저 서버를 통해 상기 타 사용자 단말과의 사이에 대화방을 개설하고 대화를 수행하는 메신저를 실행시키는 메신저 실행부; 상기 메신저가 실행된 상태에서 갱신정보와 결합 가능한 결합 이모티콘을 제공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타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결합 이모티콘을 전달하는 결합 이모티콘 제공부; 상기 결합 이모티콘에 연관시킬 상기 갱신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결합 이모티콘과 함께 상기 타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갱신정보 등록부; 및 일정 주기마다 혹은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갱신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타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갱신정보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 및 방법{Intention with information delivering system and method through SNS}
본 발명은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의사(意思) 혹은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은 대화창 등에 문자 혹은 이미지(이모티콘)를 입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송신자의 의사 혹은 정보를 직접 전달할 수는 있지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과 관련된 다른 정보를 추가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입력 행위가 필요하다. 또한, 동일한 종류의 정보를 여러 번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송하고자 하는 횟수만큼의 입력 행위가 요구된다는 제약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07267호 (2017.12.04. 등록) - 이모티콘을 이용한 검색서비스 제공방법 및 상기 이모티콘을 이용한 검색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검색서버
본 발명은 정보전송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정보를 입력하는 별도의 행위가 없더라도 송신자가 선택한 정보가 수신자에게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의 메신저 서버를 통해 타 사용자 단말과 대화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로서, 상기 메신저 서버를 통해 상기 타 사용자 단말과의 사이에 대화방을 개설하고 대화를 수행하는 메신저를 실행시키는 메신저 실행부; 상기 메신저가 실행된 상태에서 갱신정보와 결합 가능한 결합 이모티콘을 제공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타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결합 이모티콘을 전달하는 결합 이모티콘 제공부; 상기 결합 이모티콘에 연관시킬 상기 갱신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결합 이모티콘과 함께 상기 타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갱신정보 등록부; 및 일정 주기마다 혹은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갱신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타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갱신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결합 이모티콘이 이동에 관련된 것일 경우, 상기 갱신정보는 현재 위치, 도착 예정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결합 이모티콘이 대기순서에 관련된 것일 경우, 상기 갱신정보는 대기자수, 대기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결합 이모티콘이 민원처리에 관련된 것일 경우, 상기 갱신정보는 민원처리 진행상황, 민원처리완료 예정일, 민원처리완료까지 남은 일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갱신정보 등록부는 일반 이모티콘 혹은 문자에 대해 갱신정보 결합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갱신정보를 연관시켜 등록하고, 상기 일반 이모티콘 혹은 상기 문자와 함께 상기 타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며, 상기 타 사용자 단말에서는 상기 일반 이모티콘 혹은 상기 문자를 상기 갱신정보와 함께 표시시킬 수 있다.
상기 갱신정보는 빅데이터 또는 인공지능(AI)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이모티콘은 빅데이터 혹은 인공지능에 의해 메시지 내용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의사 전달 방법으로서, (a) 대화방 내에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이 참여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결합 이모티콘이 선택되는 단계; (b) 상기 결합 이모티콘에 연관된 제1 갱신정보가 등록되는 단계; (c)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메신저 서버로 상기 결합 이모티콘 및 상기 제1 갱신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메신저 서버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결합 이모티콘 및 상기 제1 갱신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e)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대화방 내에 상기 결합 이모티콘 및 상기 제1 갱신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 (f) 미리 설정된 갱신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갱신정보를 갱신한 제2 갱신정보를 상기 메신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메신저 서버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2 갱신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및 (h)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대화방 내에 상기 제1 갱신정보 대신 상기 제2 갱신정보를 상기 결합 이모티콘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제1 갱신정보와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제2 갱신정보는 빅데이터 또는 AI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갱신 조건은 사용자에게 입력받거나 혹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전달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된 갱신 주기의 경과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결합 이모티콘 및 상기 제1 갱신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혹은 클릭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갱신 요청 아이콘에 대한 클릭 또는 터치의 갱신 이벤트에 의해 입력된 갱신 요청의 수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단계 (h)에서 상기 결합 이모티콘은 상기 제2 갱신정보에 상응하여 모양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결합 이모티콘은 갱신정보 결합 기능이 내장된 결합 이모티콘이거나, 혹은 일반 이모티콘 혹은 문자에 대해 갱신정보 결합 요청이 플러스된 결합 이모티콘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전송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정보를 입력하는 별도의 행위가 없더라도 송신자가 선택한 정보가 수신자에게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에 포함되는 메신저 서버의 구성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송신자 단말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A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정보가 갱신정보로 결합된 경우를 나타낸 수신자 단말 화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대기순서 정보가 갱신정보로 결합된 경우를 나타낸 수신자 단말 화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민원처리경과 정보가 갱신정보로 결합된 경우를 나타낸 수신자 단말 화면,
도 8은 자동으로 결합 이모티콘이 정해지게 하는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구성요소의 구분을 돕고자 색상이 부여되어 있다. 하지만, 동일 구성요소라 할지라도 사시도와 단면도에서는 그 색상이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다른 구성요소라 할지라도 동일 혹은 유사한 색상이 부여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에 포함되는 메신저 서버의 구성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은 SNS 상에서 문자 및/또는 이미지(이모티콘)의 입력 및 전송과 빅데이터 등의 정보를 결합하고 있다. 송신자가 문자 및/또는 이미지(이모티콘)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면 송신자가 선택한 정보가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휴대용 단말 또는 컴퓨터)의 화면에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 해당 정보가 자동으로 갱신되도록 함으로써, 송신자의 추가 행위가 없더라도 수신자에게 최신 정보가 전송 및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은 메신저를 포함하는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운영하는 메신저 서버(200)와, SNS 서비스, 특히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10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송신자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메신저 실행부(110), 결합 이모티콘 제공부(120), 갱신정보 등록부(130), 갱신정보 관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신저 실행부(110)는 SNS 서비스, 특히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타 사용자와의 대화를 위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어플리케이션, 앱(APP)으로 칭하기도 함)을 실행시킨다.
메신저 실행부(110)를 통해 메신저가 실행되면, 사용자는 대화방을 개설하고 임의의 타 사용자 혹은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와 1:1 대화 혹은 그룹 대화를 할 수 있다.
결합 이모티콘 제공부(120)는 메신저가 실행된 상태에서 갱신정보와 결합이 가능한 결합 이모티콘을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합 이모티콘을 대화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 특히 메신저 화면에 표시된 이모티콘 선택 아이콘을 선택하고, 화면 하단에서 위로 올라오는 이모티콘 창 혹은 별도로 팝업되는 이모티콘 창에 표시된 다수의 이모티콘 중 갱신정보 등록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결합 이모티콘(기본 제공 결합 이모티콘)을 선택할 수 있고, 일반 이모티콘 또는 문자를 선택하여 갱신정보의 결합을 요청할 수도 있다(사용자 설정 결합 이모티콘).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결합 이모티콘이 선택된 경우, 갱신정보 등록부(130)는 결합 이모티콘에 연관시킬 갱신정보를 등록시킨다. 갱신정보는 시간 경과에 따라 변경되는 다양한 정보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이모티콘이 이동에 관련된 것일 경우, 연관되는 갱신정보는 현재 위치, 도착 예정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결합 이모티콘이 병원, 은행 등 대기순서에 관련된 것일 경우, 연관되는 갱신정보는 대기자수, 대기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결합 이모티콘이 민원처리 등에 관련된 것일 경우, 연관되는 갱신정보는 민원처리 진행상황, 민원처리완료 예정일, 민원처리완료까지 남은 일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갱신정보 관리부(140)는 메신저 서버(200) 또는 대화 중인 타 사용자 단말(즉, 수신자 단말)로부터 갱신요청이 있을 경우 혹은 주기적으로, 앞서 갱신정보 등록부(130)에 의해 등록된 갱신정보를 현재 시점에 상응하도록 갱신하고, 갱신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메신저 서버(200) 혹은 수신자 단말로 전송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신저 서버(200)는 대화방 관리부(210), 정보 전달부(220), 갱신 요청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대화방 관리부(210)는 사용자 단말(100)의 대화방 개설 요청에 의해 타 대화방과 구별되는 대화방을 개설할 수 있다. 대화방에는 대화방 개설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100)에서 지정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대화 상대방으로 지정될 수 있다.
대화방 관리부(210)에서는 현재 개설된 대화방 내에서 대화에 참여하는 사용자 중 임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송신자 단말)로부터 결합 이모티콘과 관련된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결합 이모티콘과 관련된 요청이 있을 경우, 정보 전달부(220)는 송신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결합 이모티콘에 갱신정보를 부가하여 수신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갱신정보는 수신자가 이해할 수 있는 표현(예를 들어, 문장, 어구, 색상 등)으로 가공되어 수신자 단말로 전달될 수 있다.
갱신 요청부(230)는 대화방 관리부(210)에 의해 관리되는 대화방에서 정보 전달부(220)에 의해 갱신정보가 전달된 사례가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혹은 수신자 단말에서의 요청에 따라 해당 갱신정보의 갱신을 송신자 단말로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갱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송신자 단말에서 전달된 새롭게 갱신된 갱신정보를 수신자 단말로 전달하여, 수신자 단말에서 결합 이모티콘에 부가된 갱신정보가 새롭게 갱신된 갱신정보로 변경되어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며,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방법은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본 시스템은 메신저 서버(200), 사용자 단말 A(100A), 사용자 단말 B(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결합 이모티콘의 전달 주체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 A(100A)가 송신자 단말에 해당하고, 사용자 단말 B(100B)가 수신자 단말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 A(100A) 혹은 사용자 단말 B(100B)에서 메신저 서버(200)로 대화방 개설 요청이 전송된다(단계 S300, S305).
메신저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대화방 개설 요청에 따라 요청자 및 요청자가 지정한 대화 상대방이 참여할 수 있는 대화방을 개설한다(단계 S310).
개설된 대화방을 통해 사용자 단말 A(100A)의 사용자 및 사용자 단말 B(100B)의 사용자는 대화를 진행할 수 있다.
대화 진행 중 임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 A(100A))에서 결합 이모티콘이 선택될 수 있다(단계 S315). 결합 이모티콘은 시간 경과에 따라 갱신이 가능한 갱신정보를 결합시킬 수 있는 이모티콘을 의미하는데, 이모티콘 자체에 갱신정보 등록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기본 제공 결합 이모티콘일 수도 있고, 일반 이모티콘 또는 문자에 갱신정보를 결합시킨 사용자 설정 결합 이모티콘일 수도 있다.
결합 이모티콘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 A(100A)는 해당 결합 이모티콘에 연관된 갱신정보를 등록시킬 수 있다(단계 S320).
예를 들어, 결합 이모티콘이 이동에 관련된 것일 경우, 연관되는 갱신정보는 현재 위치, 도착 예정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결합 이모티콘이 병원, 은행 등에 관련된 것일 경우, 연관되는 갱신정보는 대기자수, 대기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결합 이모티콘이 민원처리 등에 관련된 것일 경우, 연관되는 갱신정보는 민원처리 진행상황, 민원처리완료 예정일, 민원처리완료까지 남은 일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이모티콘 선택과 갱신정보 등록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 A(100A)는 메신저 서버(200)로 결합 이모티콘과 갱신정보를 전송하고, 메신저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A(100A)로부터 전송된 결합 이모티콘과 갱신정보를 사용자 단말 B(100B)로 전달할 수 있다(단계 S325). 여기서, 메신저 서버(200)는 갱신정보를 수신자가 이해할 수 있는 표현(예를 들어, 문장, 어구, 색상 등)으로 가공하여 사용자 단말 B(100B)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B(100B)에서는 메신저 서버(200)에서 전달받은 결합 이모티콘과 갱신정보를 대화방 내의 대화창 내에 표시하여 대화 상대방(즉, 수신자)가 확인하게 할 수 있다(단계 S330). 갱신정보는 메신저 서버(200)에 의해 가공된 버전일 수 있다.
이후 미리 설정된 주기(T)가 경과할 때마다 갱신정보가 자동 갱신되게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B(100B)에서 결합 이모티콘 혹은 갱신 정보를 터치 혹은 클릭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갱신정보가 자동 갱신되게 할 수도 있다(단계 S340). 갱신 이벤트를 위해 사용자 단말 B(100B)의 메신저 화면에 갱신 요청 아이콘이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갱신 요건이 충족되면, 메신저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A(100A)로 갱신정보에 대한 갱신 요청을 전송한다(단계 S335).
사용자 단말 A(100A)는 메신저 서버(200)로부터 갱신정보의 갱신 요청이 수신되면, 현재 시점에 따라 갱신정보를 갱신하여 등록한다(단계 S35).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가 이동 중이라면 변경된 현재 위치가 갱신 등록될 수 있다. 또는 현재 시점에서의 대기자 및 대기시간 등이 갱신 등록될 수도 있다. 또는 민원처리 진행상황, 민원처리완료 예정일, 민원처리완료까지 남은 일수 등이 갱신 등록될 수도 있다.
갱신등록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 A(100A)는 메신저 서버(200)로 갱신된 갱신정보를 갱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한다. 메신저 서버(200)에서는 갱신된 갱신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갱신 처리하고(단계 S355), 사용자 단말 B(100B)로 전송하여 갱신정보가 자동 갱신되게 한다(단계 S360). 이 경우 자동 갱신 시에는 새로운 정보가 대화창에 표시될 수도 있고, 앞서 단계 S330에서 표시된 갱신정보가 업데이트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갱신정보의 갱신 주기는 사용자(송신자 혹은 수신자)에게 입력받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전달할 정보에 따라 갱신 주기가 자동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자동 갱신 때마다 결합 이모티콘의 모양을 조금씩 변화시켜 갱신정보를 확인하지 않고서도 결합 이모티콘의 모양만으로도 갱신정보의 내용을 유추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메신저 화면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송신자 단말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A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A(100A)에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단말 화면에 메신저 화면(400)이 표출되어 있다.
메신저 화면(400)의 상단에는 현재 대화방에 참여하고 있는 대화 상대방(401)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메신저 화면(400)의 가운데에는 대화에 참여한 본인과 상대방의 대화가 표시되는 대화창(404)이 배치된다. 그리고 메신저 화면(400)의 하단에는 대화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402)이 배치되며, 입력창(402)의 끝단에는 이모티콘 선택 아이콘(403)이 배치될 수 있다.
이모티콘 선택 아이콘(403)이 예를 들어 클릭, 터치 등의 방식으로 선택된 경우, A와 같이 화면 하단에서 위로 이모티콘 창(410)이 올라올 수 있다. 또는 B와 같이 별도의 이모티콘 창(420)이 팝업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모티콘 창(410, 420)에는 다수의 이모티콘(411, 421)이 나열되어 있을 수 있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결합 이모티콘(412, 422)일 수 있다.
결합 이모티콘(412, 422)은 갱신정보 등록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기본 제공 결합 이모티콘일 수 있다. 이러한 기본 제공 결합 이모티콘이 선택된 경우 갱신정보 등록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이모티콘 창(410, 420)에 갱신정보 결합 버튼(413, 423)이 마련되어 있어, 결합 이모티콘(412, 422)이 아닌 일반 이모티콘(혹은 문자)을 선택하고 갱신정보 결합 버튼(413, 423)을 선택(클릭, 터치 등의 이벤트로)함으로써 해당 일반 이모티콘(혹은 문자)에 대해서도 갱신정보를 등록하여 결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갱신정보가 결합된 일반 이모티콘(혹은 문자)이 결합 이모티콘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일반 이모티콘(혹은 문자)이 선택된 상태에서 갱신정보 결합 버튼(413, 423)이 선택된 경우 해당 일반 이모티콘(혹은 문자)은 갱신정보 결합 요청이 플러스된 사용자 설정 결합 이모티콘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이모티콘이 이동에 관한 것일 때, 등록되는 갱신정보로는 위치정보, 이동수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위치정보의 경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접근 허용을 온/오프 방식으로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이동수단의 경우 자동차, 지하철, 기차, 비행기, 버스, 도보 등 다양한 이동방식이 선택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정보가 갱신정보로 결합된 경우를 나타낸 수신자 단말 화면이다.
사용자 단말 A에서 사람이 달려가는 모습의 결합 이모티콘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단말 B의 메신저 화면(500)에서는 결합 이모티콘(510)과 함께 제1 갱신정보(515a)가 부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1 갱신정보(515a)에는 사용자 단말 A에 상응하는 사용자 A의 현재 위치(시청역), 이동수단(지하철로 이동), 도착예정시간(14시 28분 도착) 등의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B에서 표시되는 제1 갱신정보(515a)는 메신저 서버(200)에 의해 가공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결합 이모티콘(510)에 부가된 제1 갱신정보는 자동 갱신되거나 사용자 단말 B에 표시된 상기 결합 이모티콘 및 상기 제1 갱신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B의 클릭, 터치 등의 갱신 이벤트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B의 메신저 화면(500)에는 갱신 요청 아이콘이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 B는 갱신 요청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제1 갱신정보의 갱신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갱신된 제2 갱신정보(515b)에는 사용자 단말 A에 상응하는 사용자 A의 현재 위치(강남역), 이동수단(지하철로 이동), 도착예정시간(14시 38분 도착) 등의 현재 시점에 맞도록 변경된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갱신된 제2 갱신정보(515b)는 대화창에서 새롭게 추가될 수 있다. 또는 이전에 표시된 결합 이모티콘(5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데이터만이 업데이트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대기순서 정보가 갱신정보로 결합된 경우를 나타낸 수신자 단말 화면이다.
사용자 단말 A에서 병원을 나타내는 결합 이모티콘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단말 B의 메신저 화면(600)에서는 결합 이모티콘(610)과 함께 제3 갱신정보(615a)가 부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3 갱신정보(615a)에는 사용자 단말 A에 상응하는 사용자 A의 대기순서(대기자 5명), 예상대기시간 등의 대기순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B에서 표시되는 제3 갱신정보(615a)는 메신저 서버(200)에 의해 가공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결합 이모티콘(610)에 부가된 제3 갱신정보는 자동 갱신되거나 사용자 단말 B에 표시된 상기 결합 이모티콘 및 상기 제1 갱신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B의 클릭, 터치 등의 갱신 이벤트, 혹은 사용자 단말 B의 메신저 화면에 표시된 갱신 요청 아이콘의 선택 등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 갱신된 제4 갱신정보(615b)에는 사용자 단말 A에 상응하는 사용자 A의 대기순서(대기자 3명), 예상대기시간 등 현재 시점에 맞도록 변경된 대기순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갱신된 제4 갱신정보(615b)는 대화창에서 새롭게 추가될 수 있다. 또는 이전에 표시된 결합 이모티콘(6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데이터만이 업데이트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A가 사용자 단말 A를 통해 병원 이모티콘을 선택하면 사전에 설정된 예시 문구 리스트가 표시되게 할 수도 있다. 이 중에서 “대기 순서”를 선택하고 순서 숫자를 입력하며, 결합 이모티콘과 함께 대기 순서 알림 문자가 수신자 화면(사용자 단말 B의 화면)에 자동으로 표시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민원처리경과 정보가 갱신정보로 결합된 경우를 나타낸 수신자 단말 화면이다.
사용자 단말 A에서 민원처리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 단말 B의 메신저 화면(700)에서는 결합 메시지(710)과 함께 제5 갱신정보(715a)가 부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5 갱신정보(715a)에는 사용자 단말 A에 상응하는 사용자 A의 민원에 대한 처리상황(심사대기중), 민원처리완료까지 남은 일자(5일 후) 등의 민원처리경과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B에서 표시되는 제5 갱신정보(715a)는 메신저 서버(200)에 의해 가공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결합 메시지(710)에 부가된 제5 갱신정보는 자동 갱신되거나 사용자 단말 B에 표시된 상기 결합 이모티콘 및 상기 제1 갱신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B의 클릭, 터치 등의 갱신 이벤트, 혹은 사용자 단말 B의 메신저 화면에 표시된 갱신 요청 아이콘의 선택 등 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 갱신된 제6 갱신정보(715b)에는 사용자 단말 A에 상응하는 사용자 A의 민원에 대한 처리상황(심사중), 민원처리완료까지 남은 일자(3일 후) 등 현재 시점에 맞도록 변변경된 민원처리경과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갱신된 제6 갱신정보(715b)는 대화창에서 새롭게 추가될 수 있다. 또는 이전에 표시된 결합 이모티콘(7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데이터만이 업데이트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를 때, 송신자는 대화창에서 약속장소로 간다는 문자나 이모티콘을 입력할 때 현재위치와 이동수단을 선택하면, 송신자의 위치정보와 예상도착시간이 수신자의 대화창에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가 일정한 간격으로 갱신되도록 함으로써 수신자가 송신자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정보의 자동 갱신은 운전 등으로 송신자가 휴대용 단말에 정보를 입력하기 힘든 상황에서 수신자가 송신자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업무과정에서는 효율성 제고 수단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병원이나 식당에서 예약대기 시스템의 대기순서 정보를 SNS를 통해 전송 및 갱신하는 경우 대기자의 대기시간 활용(간단한 쇼핑, 은행업무 처리 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이 민원처리경과 정보를 전송하는 등 공적업무 영역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들은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송신자가 선택한 정보를 문자나 이미지(이모티콘)에 결합시켜 전송하고, 필요한 경우 자동 갱신하여 수신자의 휴대용 단말 또는 컴퓨터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으로, 송신자의 경우 정보전송에 필요한 행위를 줄일 수 있고 자신의 실수로 정보가 전송되지 못해 발행할 수 있는 비용을 방지할 수 있다. 수신자의 경우에는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추가 의사결정 및 후속행위 진행의 효율성 및 예측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다.
위치정보를 결합하는 경우 현재위치 파악이 가능하고, 대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안전한 동선관리가 가능하다. 민원처리경과 정보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민원처리기관으로부터 답변을 기다리는 민원인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민원처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행위를 언제 어떻게 진행할지 등 후속 의사결정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전달하려는 정보에 관한 결합 이모티콘을 선행 선택하지 않고, 빅데이터나 인공지능(AI)을 이용하여 메시지 내용에 따라 자동으로 결합 이모티콘이 정해지게 할 수도 있다.
도 8은 자동으로 결합 이모티콘이 정해지게 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동대문까지 도착 시간 전달”이라고 입력하면, 인공지능이 메시지를 해석하여,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남은 시간을 계산하여 “동대문까지 도착 남은 시간은 20분입니다”라는 문자를 생성하고, 자동으로 “달려가는 자동차 이모티콘”을 선택하여, 상대방에게 문자와 이모티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SNS 중에서 카카오톡과 같은 대화형식의 SNS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들은 페이스북과 같은 SNS 형식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은 의사 전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은 의사 전달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은 의사 전달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110: 메신저 실행부
120: 결합 이모티콘 제공부 130: 갱신정보 등록부
140: 갱신정보 관리부 200: 메신저 서버
210: 대화방 관리부 220: 정보 전달부
230: 갱신 요청부

Claims (10)

  1.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의 메신저 서버를 통해 타 사용자 단말과 대화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로서,
    상기 메신저 서버를 통해 상기 타 사용자 단말과의 사이에 대화방을 개설하고 대화를 수행하는 메신저를 실행시키는 메신저 실행부;
    상기 메신저가 실행된 상태에서 갱신정보와 결합 가능한 결합 이모티콘을 제공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타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결합 이모티콘을 전달하는 결합 이모티콘 제공부;
    상기 결합 이모티콘에 연관시킬 상기 갱신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결합 이모티콘과 함께 상기 타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갱신정보 등록부; 및
    일정 주기마다 혹은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갱신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타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갱신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이모티콘은 그 자체에 갱신정보 등록기능이 내장된 이모티콘이며, 상기 갱신정보는 빅데이터 혹은 인공지능(AI)를 이용하여 제공되며, 상기 결합 이모티콘은 상기 갱신정보에 상응하여 빅데이터 혹은 인공지능에 의해 메시지 내용에 따라 모양이 변화하며,
    상기 결합 이모티콘이 이동에 관련된 것일 경우, 상기 갱신정보는 현재 위치, 도착 예정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이모티콘이 대기순서에 관련된 것일 경우, 상기 갱신정보는 대기자수, 대기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이모티콘이 민원처리에 관련된 것일 경우, 상기 갱신정보는 민원처리 진행상황, 민원처리완료예정일, 민원처리완료까지 남은 일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의사 전달 방법으로서,
    (a) 대화방 내에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이 참여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결합 이모티콘이 선택되는 단계;
    (b) 상기 결합 이모티콘에 연관된 제1 갱신정보가 등록되는 단계;
    (c)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메신저 서버로 상기 결합 이모티콘 및 상기 제1 갱신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메신저 서버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결합 이모티콘 및 상기 제1 갱신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e)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대화방 내에 상기 결합 이모티콘 및 상기 제1 갱신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
    (f) 미리 설정된 갱신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갱신정보를 갱신한 제2 갱신정보를 상기 메신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메신저 서버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2 갱신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및
    (h)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대화방 내에 상기 제1 갱신정보 대신 상기 제2 갱신정보를 상기 결합 이모티콘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결합 이모티콘은 그 자체에 갱신정보 결합 기능이 내장된 결합 이모티콘이고,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갱신 조건은 사용자에게 입력받거나 혹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전달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된 갱신 주기의 경과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결합 이모티콘 및 상기 제1 갱신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혹은 클릭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갱신 요청 아이콘에 대한 클릭 또는 터치의 갱신 이벤트에 의해 입력된 갱신 요청의 수신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단계 (h)에서 상기 제2 갱신정보는 빅데이터 혹은 인공지능(AI)를 이용하여 제공되며, 상기 결합 이모티콘은 상기 제2 갱신정보에 상응하여 빅데이터 혹은 인공지능에 의해 메시지 내용에 따라 자동으로 모양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38020A 2020-03-30 2020-03-30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102427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020A KR102427253B1 (ko) 2020-03-30 2020-03-30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020A KR102427253B1 (ko) 2020-03-30 2020-03-30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418A KR20210121418A (ko) 2021-10-08
KR102427253B1 true KR102427253B1 (ko) 2022-08-01

Family

ID=7861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020A KR102427253B1 (ko) 2020-03-30 2020-03-30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2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1124A (ko) * 2012-09-27 2014-04-04 박찬범 도착예정정보 자동 통보 장치 및 방법
KR20150057337A (ko) * 2013-11-19 2015-05-28 중소기업은행 대기정보 제공을 위한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150108470A (ko) * 2014-03-17 2015-09-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상대방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메신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807267B1 (ko) 2017-07-03 2018-01-18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이모티콘을 이용한 검색서비스 제공방법 및 상기 이모티콘을 이용한 검색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검색서버
KR20190023742A (ko) * 2017-08-30 2019-03-08 전자부품연구원 메신저를 이용한 도시철도차량 네비게이션 및 민원 처리 시스템
KR20190091957A (ko) * 2018-01-30 2019-08-07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모티콘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이모티콘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418A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1898B2 (ja) メッセージサーバの動作方法
KR101521332B1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로부터 확장된 복수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방법
KR101685226B1 (ko) 메신저 플랫폼의 인간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소셜 그래프를 활용한 메신저 연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71703B1 (ko) 멤버 추가 확대를 위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871184A (zh) 用于通知并邀请用户加入协作会话的框架
JP5631947B2 (ja) 管理装置、メッセージ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038712A (ja) 業務客体基盤の業務活動処理装置及び方法
CN103379013A (zh) 一种基于即时通信的地理信息提供方法和系统
CN112948682B (zh) 终端的信息处理方法、程序产品、存储介质以及终端
KR101186108B1 (ko) 정보 중개 서버 및 정보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48030B1 (ko) 사회적 네트워크 관리를 지원하는 서버 및 사용자 단말
KR20210064048A (ko) 전문가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7028691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24012700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方法、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プログラ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サーバ、及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システム
CN106164950A (zh) 对群组的跨客户端订阅
KR101852117B1 (ko) 단체미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5654624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JP2021018741A (ja) 対話型入力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427253B1 (ko) Sns 상에서 정보를 결합한 의사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7085A (ko) 참석자 간 채팅기능을 제공하는 모임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6682945A (zh) 免费礼物管理方法和装置
JP6843496B2 (ja) 参加管理システム、管理支援装置、管理支援プログラム
JP6670079B2 (ja) サーバ、コミュニケーション提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7006413A1 (ja) 語学学習支援システム、語学学習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102265A (ja) サーバ、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