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737B1 -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 및 기지국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 및 기지국 설치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6737B1 KR102426737B1 KR1020200080302A KR20200080302A KR102426737B1 KR 102426737 B1 KR102426737 B1 KR 102426737B1 KR 1020200080302 A KR1020200080302 A KR 1020200080302A KR 20200080302 A KR20200080302 A KR 20200080302A KR 102426737 B1 KR102426737 B1 KR 1024267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support plate
- support block
- post
- base s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8—Frames or mounting racks for relays; Accessorie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02—Details of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일측에 통신 가능한 통신장비가 설치되고, 직선의 형태로 배치되는 지주; 및
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된 외측바디의 내부에 설정된 크기의 암석조각들이 배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주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주의 둘레에 배치되는 지지블록
을 포함하는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이 개시된다.
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된 외측바디의 내부에 설정된 크기의 암석조각들이 배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주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주의 둘레에 배치되는 지지블록
을 포함하는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지블록을 활용함으로써 미감이 도모되고,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된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 및 기지국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지국은 건물의 옥상, 도로면, 야산 등에 데이터를 송신, 수신하는 통신장비가 고정 설치되어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기지국은 통신장비가 설치된 지주를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거치대와, 일측에 통신장비가 설치되며 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거치대에 설치되는 지주, 그리고 지주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지국은 데이터 전송 중계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필요한 장치이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로는 미관이 좋지 않다는 것이었다.
기지국은 견고성을 위하여 철로 제조되는 지주와 지주가 특정 압력 이상의 풍압에도 파손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조물로 구성된다. 지주에 지주를 지지하는 구조물이 더해진 기지국의 외형은 철탑과 같이 관찰되는데, 이 철탑과 같은 형상은 주변 환경과 조화되지 못하여 혐오감을 조정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두 번째로는 전선 정리 작업이 어렵다는 것이다.
통신장비 동작을 위하여 연결된 전선은 미감과 안정성 때문에 정리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 지주는 거치대에 설치되는 특성상 거치대에 전선 정리를 위하여 거치대에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였는데, 이는 전선을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기지국 설치 작업의 난이도를 높이게 되었다.
세 번째로는 설치 작업이 어렵다는 것이다.
기지국은 그 특성상 높은 곳에 위치되어야 한다. 일례로 기지국은 건물 옥상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작업자가 필요한 물품을 높은 위치까지 운반하고, 운반된 물품들을 옥상에서 설치하여야 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노동자에게 고강도 노동을 요구하고, 작업 시간을 연장시키게 되었다.
본 발명은 기지국의 견고성을 유지하면서도 주변 환경과 조화되어 미감이 도모될 수 있는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 및 기지국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 정리 작업이 용이한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 및 기지국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작업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 및 기지국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인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은 일측에 통신 가능한 통신장비가 설치되고, 직선의 형태로 배치되는 지주 및 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된 외측바디의 내부에 설정된 크기의 암석조각들이 배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주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주의 둘레에 배치되는 지지블록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주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지주와 맞닿는 부분에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벽이 형성된 제1지지플레이트와 제2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블록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지지블록의 외측이 맞닿아 지지될 수 있는 메인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1지지플레이트와 제2지지플레이트는 상기 벽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기 벽의 높이보다 높지 않은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연장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기지국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지주가 관통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블록의 길이보다 짧지 않게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기지국을 설치하는 설치방법은 일측에 통신장비가 설치된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지주와 제1지지플레이트, 제2지지플레이트 및 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블록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와 제2지지플레이트를 이격하여 배치하고,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와 제2지지플레이트가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에 상기 지주를 배치하는 지지플레이트배치단계 및 상기 지지블록을 상기 지주의 둘레에 배치하여 지주를 지지하는 지지블록배치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로바, 세로바, 수직바를 준비하는 바준비단계, 상기 지주의 둘레에 배치된 지지블록의 둘러싸는 형태가 되도록 가로바 및 세로바를 배치하고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를 연결하는 제1프레임형성단계,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가 연결된 부분에 상기 수직바를 상기 가로바와 상기 세로바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정된 형상의 메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제2프레임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구조물을 주변 환경과 조화되는 지지블록으로 대체함으로써 기지국의 견고성을 유지하면서도 미관이 도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의 하측에 위치되어 전선을 정리할 수 있는 케이블을 위치시킬 수 있는 고정블록을 포함하여서 전선의 정리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의 둘레를 따라서 지지블록을 배치하는 것으로 지주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지주의 일측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지지블록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의 타측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인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의 메인 프레임과 제어함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메인 프레임의 가로바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본 발명인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의 플레이트와 지지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8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의 지지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인 기지국을 설치하는 설치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제1지지블록배치단계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는 제2지지블록배치단계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은 본 발명인 기지국을 설치하는 설치방법의 메인 프레임 형성 단계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는 본 발명인 기지국을 설치하는 설치방법에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메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지주의 일측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지지블록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의 타측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인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의 메인 프레임과 제어함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메인 프레임의 가로바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본 발명인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의 플레이트와 지지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8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의 지지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인 기지국을 설치하는 설치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제1지지블록배치단계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는 제2지지블록배치단계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은 본 발명인 기지국을 설치하는 설치방법의 메인 프레임 형성 단계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는 본 발명인 기지국을 설치하는 설치방법에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메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인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지주의 일측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인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은 지주(100), 지지블록(200)을 포함한다.
지주(100)는 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형성된다. 따라서 지주(100)는 직선의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지주(100)의 일측은 지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지주(100)의 측면에는 지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배치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배치홈(110)은 접착제 또는 미도시된 클립등을 통하여 지주(100)의 측벽(330)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이 정렬된 형태로 관찰될 수 있다.
지주(100)는 일측 단부에는 통신장비(10)가 설치될 수 있다.
통신장비(10)는 제1브라켓(20)과 제2브라켓(30)을 통하여 지주(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브라켓(20)은 지주(100)의 일측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브라켓(30)은 제1브라켓(20)과 힌지 결합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브라켓(30)은 제1브라켓(20)을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
통신장비(10)는 제2브라켓(30)과 연결된다. 여기서, 통신장비(10)는 제2브라켓(30)과 힌지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장비(10)가 제2브라켓(30)과 힌지로 연결되어 회동되는 방향은 제2브라켓(30)이 제1브라켓(20)과 힌지로 연결되어 회동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일례로 통신장비(10)는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2브라켓(30)이 제1브라켓(20)을 기준으로 가로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고, 통신장비(10)는 제2브라켓(30)을 기준으로 세로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한편, 통신장비(10)는 지주(100)의 측면을 따라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지주(100)가 사면을 가지고 있으면 통신장비(10)는 지주(100)의 이면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지지블록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지지블록(200)은 지주(10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지지블록(200)은 암석조각들(220)이 설정된 단위로 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블록(200)은 설정된 도형으로 관찰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블록(200)은 육면체로 관찰될 수 있다.
지지블록(200)은 설정된 도형의 형태로 배치되는 외측바디(210)와 외측바디(210)의 내부에 암석조각들(220)이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측바디(210)는 철로 제조된 메쉬일 수 있다. 따라서 외측바디(210)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암석조각들(220)은 홀이 형성된 외측바디(210)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외측바디(210)의 복수의 홀과 인접하여 위치되는 암석조각들(220)의 크기는 외측바디(210)의 홀의 크기보다 작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측에 통신장비(10)가 설치된 지주(100)를 직선의 형태로 배치하고, 지주(100)의 타측을 지지블록(200)이 감싸며 배치되므로 지주(1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블록(200)은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조각난 암석들이 설정된 도형의 형상(예를 들면 육면체)으로 관찰되므로, 외관이 아름다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작업자는 지주(100)를 직선의 형태로 배치하고, 지주(100)의 둘레에 지지블록(200)을 배치하면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도모된다.
한편, 여기서 지지블록(200)은 하나의 피스로 된 외측바디(210)의 내부에 설정된 크기의 암석조각들(220)이 채워져서 구성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복수의 지지블록(200)들이 설정된 형태로 배치되어 도 3과 같은 형태로 관찰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의 타측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인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은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는 제1지지플레이트(310)와 제2지지플레이트(32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지지플레이트(310)와 제2지지플레이트(320)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플레이트(310)와 제2지지플레이트(320)는 지주(10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지지플레이트 (310)와 제2지지플레이트(320)가 이격되어 배치되어 형성된 공간에는 지주(100)가 위치될 수 있다. 지주(100)는 제1지지플레이트 (310)와 제2지지플레이트(320)에 의하여 측면들이 맞닿으며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플레이트 (310)와 제2지지플레이트 (320)는 지주(10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1지지플레이트 (310)와 제2지지플레이트 (320)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1지지플레이트 (310)와 제2지지플레이트 (320)가 지주(100)와 맞닿는 부분에는 벽(330)이 형성될 수 있다. 벽(330)은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1지지플레이트(3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2지지플레이트(32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플레이트(310)와 제2지지플레이트(320)에 형성된 벽(330)은 제1지지플레이트(310)와 제2지지플레이트(3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제1지지플레이트(310)와 제2지지플레이트(320)의 벽(330)은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지지블록(200)의 하측을 지지한다. 따라서 벽(330)은 제1지지플레이트(310), 제2지지플레이트(320) 및 지지블록(20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공간은 전선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외부에서 관찰되는 전선을 정리하거나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블록(80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블록(800)은 제1지지플레이트(310)와 제2지지플레이트(320)가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에 제1지지플레이트(310) 또는 제2지지플레이트(320)와 평행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고정블록(800)은 제1지지플레이트(310), 제2지지플레이트(320)와 함께 지주(100)의 하측을 지지하여 지주(1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도면상 관찰되지는 않지만 있지만, 고정블록(800)에는 고정블록의 길이방향을 따라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블록(800)의 홀에는 길이방향을 전선이 배치될 수 있다.
작업자는 외부에서 관찰되는 전선의 일부분만 정리하면, 전선은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관찰하는 관찰자는 지주(100)와 지지블록(200)들, 그리고 일부 정리된 전선만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관찰자는 본 발명을 보고 혐오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지지플레이트(310)와 제2지지플레이트(320)에는 연장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340)의 높이는 벽(330)의 높이보다 높지 않게 형성된다.
또한, 제1지지플레이트(310)와 제2지지플레이트(320)에는 연장부(340)와 이격된 위치에 고정돌기(370)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340)와 고정돌기(370)의 역할은 지지부(700)와의 관계에서 자세하게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인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은 메인 프레임(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400)은 설정된 도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설정된 도형의 형상은 지지블록(200)의 전체 외관이 형성하는 도형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즉, 일례로 지지블록(200)의 전체 외관이 육면체인 경우, 메인 프레임(400)도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프레임(400)의 전체 외관은 바들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400)은 가로바(410), 세로바(420), 수직바(430)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메인 프레임(400)은 네 개의 가로바(410)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네 개의 세로바(420)가 가로바(410) 사이를 외측에서 연결하여 두 개의 사각형을 만드는 형태로 배치되고, 두 개의 사각형의 꼭지점에 수직바(430)가 배치되어 두 개의 사각형을 연결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프레임(400)은 전체 외관을 형성하므로, 지지블록(200)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로바(410)의 길이는 전체 지지블록(200)의 가로 길이보다 길고, 세로바(420)의 길이는 전체 지지블록(200)의 세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럼으로 메인 프레임(400)의 내부에는 지지블록(200)이 위치될 수 있다.
한편, 가로바(410), 세로바(420) 각각의 길이는 전체 지지블록(200)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400)은 지지블록(200)의 외각 측면들과 맞닿아서 지지블록(200)들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세로바(420)는 평평한 일면과 타면을 포함한다. 세로바(420)의 평평한 면은 보관부의 설치부(510)와 맞닿아 보관부가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함(500)은 이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 설치부(510)가 형성되는데, 각각의 설치부(510)는 복수로 이격되어 배치된 세로바(420)와 맞닿아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세로바(420)와 설치부(510)에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어서, 나사결합을 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함(500)은 메인 프레임(40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메인 프레임의 가로바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또한, 메인 프레임(400)은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부는 일례로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가로바(410)에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의 길이의 크기는 제1지지플레이트(310)와 제2지지플레이트(320)가 이격하여 배치된 전체 가로 길이의 길이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제1지지플레이트(310)와 제2지지플레이트(320)는 가로바(410)에 의하여 방해 받지 않고,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로바(410)에는 직선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직선부(411)는 가로바(41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가로바(410)에서 개방부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럼으로 가로바(41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직선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직선부(411)는 전술한 제1지지플레이트(310)와 제2지지플레이트(320)의 연장부(340)와 맞닿을 수 있다. 직선부(411)에는 나사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직선부(411)와 맞닿는 연장부(340)에도 나사결합홀이 형성되어 가로바(410)는 직선부를 통하여 제1지지플레이트(310), 제2지지플레이트(32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인 본 발명인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의 플레이트와 지지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인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은 플레이트(600)와 지지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600)는 지주(100)가 관통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600)는 지지부(7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즉, 플레이트(600)의 하부는 지지부(700)의 상부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700)는 수직바(430)의 길이보다 작지 않게 형성된다. 수직바(430)의 길이는 지지블록(200)의 높이보다 작지 않게 형성되므로, 지지부(700)에 의하여 하부가 지지되는 플레이트(600)는 외부에서 관찰될 수 있다.
작업자는 지지부(700)에 의하여 지지되는 플레이트(600)를 계단과 같이 이용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지지블록(200)을 밟고 올라간 후, 지지부(700)의 높이에 의하여 보다 높게 위치된 플레이트(600)를 밟고 올라가서 통신장비(10)를 관리할 수 있다.
플레이트(600)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지주(100)와 맞닿는 부분(홀)에 브라켓, 볼트 고정 등을 통하여 지주(100)와 연결될 수 있다. 플레이트(600)는 지주(100)와 맞닿게 되고, 플레이트(600)와 지지부(700)로 인하여 지주(100)는 플레이트(60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700)의 전술한 제1지지플레이트(310), 제2지지플레이트(320)의 연장부(340)와 이격되어 배치된 고정돌기(37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지지부(700)의 크기는 연장부(340)와 고정돌기(370) 사이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700)는 제1지지플레이트(310) 및 제2지지플레이트(3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8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의 지지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1지지플레이트(310)와 제2지지플레이트(320)에는 가이드돌기(360)가 형성되고, 지지부(700)에는 가이드홈(71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360)는 가이드홈(710)에 인입될 수 있다. 그럼으로 인하여 지지부(700)는 정확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어 플레이트(600)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인 기지국을 설치하는 설치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인 기지국을 설치하는 설치방법은 준비단계, 배치단계, 지지블록(200)배치단계를 포함한다.
준비단계는 일측에 통신장비(10)가 설치된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지주(100)와, 제1지지플레이트(310), 제2지지플레이트(320) 및 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블록(20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지지블록(200)의 설정된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다.
배치단계는 제1지지플레이트(310)와 제2지지플레이트(320)를 이격하여 배치하고, 지주(100)를 제1지지플레이트(310)와 제2지지플레이트(320) 사이에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지주(100)는 제1지지플레이트(310)와 제2지지플레이트(320)가 배치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지지블록(200)배치단계는 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블록(200)을 지주(100)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하는 단계이다. 지주(100)는 지지블록(2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인 기지국을 설치하는 설치방법은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하여 기지국을 설치함으로써 외부에서 관찰 시 미감을 도모하면서도 지주(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기지국을 설치하는 설치방법은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지지블록(200)을 활용하는데,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서 지지블록(200)배치단계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제1지지블록배치단계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1지지블록배치단계는 외측바디(210)배치단계, 암석조각배치단계, 지지블록(200)완성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외측바디(210)배치단계는 일면이 개방된 외측바디(210)를 지주(100)의 둘레에 배치하는 단계이다. 일례로 외측바디(210)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지주(100)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암석조각배치단계는 외측바디(210) 내부에 암석조각들(220)을 배치하는 단계이다. 즉, 외측바디(21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암석조각들(220)을 채워 넣는 단계이다.
지지블록(200)완성단계는 내부에 암석조각들(220)이 배치된 외측바디(210)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는 단계이다. 이를 통하여 지지블록(2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지지블록(200)은 지주(100)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제2지지블록배치단계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2지블록배치단계는 지지블록(200)제조단계, 지지블록(200)운반단계, 지지블록(200)정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블록(200)제조단계는 개방된 일면을 포함하는 외측바디(210)를 준비하고, 외측바디(210) 내부에 설정된 크기의 암석조각들(220)을 위치시키고, 외측바디(210)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함으로써 설정된 형상의 지지블록(200)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지지블록(200)운반단계는 완성된 지지블록(200)을 운반하는 단계이고, 지지블록(200)정렬단계는 운반된 지지블록(200)을 지주(100)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하는 단계이다.
제1지지블록배치단계와 제2지블록배치단계는 최종적으로 지지블록(200)을 지주(100)의 둘레를 따라 배치하는 것으로 결과는 동일하다. 그러나 작업의 순서가 상이하며, 이는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서 선택적, 동시다발적으로 수행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인 기지국을 설치하는 설치방법의 메인 프레임 형성 단계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인 기지국을 설치하는 설치방법은 바준비단계, 제1프레임형성단계, 제2프레임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바준비단계는 가로바(410), 세로바(420), 수직바(43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제1프레임형성단계는 지주(100)의 둘레에 배치된 지지블록(200)을 둘러싸도록 가로바(410) 및 세로바(420)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례로 가로바(410)와 세로바(420)를 각각 두 개씩 준비하여 사각의 형태가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바(410)의 양단부에 세로바(420)를 연결하여 설정된 형상의 프레임을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형상은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사각의 형태일 수 있다.
제2프레임형성단계는 수직바(430)를 가로바(410)와 세로바(420)에 연결하여 입체적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인 메인 프레임(4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수직바(430)는 가로바(410)와 세로바(420)가 연결된 부분에 가로바(410)와 세로바(420)가 배치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메인 프레임(400)은 지지블록(200)이 내측에 배치되도록 지지블록(2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기지국을 설치하는 설치방법은 개방부형성단계, 연결단계를 포함한다.
개방부형성단계는 가로바(410)에 개방부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개방부의 길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플레이트(310)와 제2지지플레이트(320)가 이격하여 배치된 전체 가로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연결단계는 가로바(410)의 직선부를 제1지지플레이트(310)와 제2지지플레이트(320)의 연장부(340)와 연결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이를 통하여 제1지지플레이트(310)와 제2지지플레이트(320)는 정위치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통신장비
20 : 제1브라켓
30 : 제2브라켓
100 : 지주
110 : 배치홈
200 : 지지블록
210 : 외측바디
220 : 암석조각들
310 : 제1지지플레이트
320 : 제2지지플레이트
330 : 벽
340 : 연장부
350 : 관리홀
360 : 가이드돌기
370 : 고정돌기
400 : 메인 프레임
410 : 가로바
411 : 직선부
420 : 세로바
430 : 수직바
500 : 제어함
510 : 설치부
600 : 플레이트
700 : 지지부
710 : 가이드홈
800 : 고정블록
20 : 제1브라켓
30 : 제2브라켓
100 : 지주
110 : 배치홈
200 : 지지블록
210 : 외측바디
220 : 암석조각들
310 : 제1지지플레이트
320 : 제2지지플레이트
330 : 벽
340 : 연장부
350 : 관리홀
360 : 가이드돌기
370 : 고정돌기
400 : 메인 프레임
410 : 가로바
411 : 직선부
420 : 세로바
430 : 수직바
500 : 제어함
510 : 설치부
600 : 플레이트
700 : 지지부
710 : 가이드홈
800 : 고정블록
Claims (7)
- 일측에 통신 가능한 통신장비가 설치되고, 직선의 형태로 배치되는 지주; 및
상기 지주의 일부분이 배치될 수 있으며, 설정된 부피를 가지는 외측바디 내에 암석조각들이 상기 지주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지주를 지지하는 지지블록
상기 지주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지주와 맞닿는 부분에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벽이 형성된 제1지지플레이트와 제2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블록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지지블록의 외측이 맞닿아 지지될 수 있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와 제2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벽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기 벽의 높이보다 높지 않은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연장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가 관통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블록의 길이보다 짧지 않게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 - 일측에 통신장비가 설치된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지주와 제1지지플레이트, 제2지지플레이트 및 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블록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와 제2지지플레이트를 이격하여 배치하고,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와 제2지지플레이트가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에 상기 지주를 배치하는 지지플레이트배치단계;
상기 지지블록을 상기 지주의 둘레에 배치하여 지주를 지지하는 지지블록배치단계;
가로바, 세로바, 수직바를 준비하는 바준비단계;
상기 지주의 둘레에 배치된 지지블록의 둘러싸는 형태가 되도록 가로바 및 세로바를 배치하고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를 연결하는 제1프레임형성단계; 및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가 연결된 부분에 상기 수직바를 상기 가로바와 상기 세로바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정된 형상의 메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제2프레임형성단계
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설치하는 설치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0302A KR102426737B1 (ko) | 2020-06-30 | 2020-06-30 |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 및 기지국 설치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0302A KR102426737B1 (ko) | 2020-06-30 | 2020-06-30 |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 및 기지국 설치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1854A KR20220001854A (ko) | 2022-01-06 |
KR102426737B1 true KR102426737B1 (ko) | 2022-07-28 |
Family
ID=79347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0302A KR102426737B1 (ko) | 2020-06-30 | 2020-06-30 |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 및 기지국 설치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6737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2178B1 (ko) * | 2019-04-04 | 2020-06-12 | 김문규 | 기지국용 위장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9782A (ko) | 1997-11-14 | 1999-06-05 | 박원훈 | 간흡충 28 kDa 및 26 kDa 글루타티온 S-트랜스퍼라제(GST), 26 kDa GST를 코딩하는 유전자, 이 유전자를 대장균에서 발현시켜 얻은 재조합 단백질 및 그의 용도 |
KR20090066366A (ko) * | 2007-12-20 | 2009-06-24 | 정명수 | 나뭇가지 및 안테나 위치 가변이 되는 자연친화 나무위장형 지주 |
KR102079914B1 (ko) * | 2018-01-17 | 2020-02-20 | 김문규 | 기지국 보호 장치 |
-
2020
- 2020-06-30 KR KR1020200080302A patent/KR1024267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2178B1 (ko) * | 2019-04-04 | 2020-06-12 | 김문규 | 기지국용 위장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1854A (ko) | 2022-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16520B2 (en) | Full wall height concrete form strapping and interconnect system | |
KR102426737B1 (ko) |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구조물 및 기지국 설치방법 | |
CN105518234A (zh) | 预制钢筋网的方法 | |
CN106132122A (zh) | 一种机柜 | |
KR200452571Y1 (ko) | 조립식 분전함 | |
CN101267090B (zh) | 变电站和用于安装变电站的方法 | |
CN202143315U (zh) | 一种机柜 | |
AU755793B2 (en) | Method of partitioning office spaces | |
KR20190106816A (ko) | 피벗팅 타워 조립체 | |
CN204024180U (zh) | 一种通信基站 | |
JP6500815B2 (ja) | 制御盤 | |
JP5035736B1 (ja) | ユニットハウス用配線システム | |
KR101998033B1 (ko) | 건축용 판넬 모듈 공급장치 | |
CN100591240C (zh) | 收纳单元和收纳结构体 | |
CN205385663U (zh) | 用于冷通道模块的柜体 | |
CN105024284A (zh) | 一种前框架、配电柜以及配电柜中的电气元件安装方法 | |
JP2015115964A (ja) | 電気機器収納パッケージ装置 | |
JP3184704U (ja) |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置き基礎架台 | |
CN220401334U (zh) | 一种适用于地铁隧道的多功能支架 | |
CN216215619U (zh) | 一种用于电力工程施工的电缆支架 | |
CN210898450U (zh) | 一种基于不停电的无杆分支线延伸装置 | |
CN216872779U (zh) | 一种综合管廊电缆转角支架 | |
CN220620581U (zh) | 建筑墙体及建筑模块 | |
CN218970825U (zh) | 一种现浇式矮墙面板固定用连接件及其矮墙结构 | |
CN209029702U (zh) | 桩式就地化保护户外机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