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471B1 -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장치 및 마모량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장치 및 마모량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471B1
KR102426471B1 KR1020170109084A KR20170109084A KR102426471B1 KR 102426471 B1 KR102426471 B1 KR 102426471B1 KR 1020170109084 A KR1020170109084 A KR 1020170109084A KR 20170109084 A KR20170109084 A KR 20170109084A KR 102426471 B1 KR102426471 B1 KR 102426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wear
brake
received
oper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381A (ko
Inventor
반동훈
이재성
진성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09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471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66/02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1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장치 및 마모량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방법은, 마모량측정장치가, 차량에 적용된 전자제어식 브레이크(EMB: Electro-mechanical Brake)의 구동시 출력되는 동작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EMB구동확인단계; 마모량측정장치가, 상기 동작신호의 수신시 상기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동작 알고리즘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패드 작동량을 측정하고, 상기 동작신호의 미수신시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에 인가하는 사용자의 페달 입력량을 측정하는 제동확인단계; 마모량측정장치가, 상기 동작신호의 수신시 상기 패드 작동량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의 휠감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동작신호의 미수신시 상기 페달 입력량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의 정지시간을 측정하는 제동성능측정단계; 및 마모량측정장치가, 상기 동작신호의 수신시 상기 휠감속도를 기준 휠감속도와 비교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하고, 상기 동작신호의 미수신시 상기 정지시간을 기준정지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하는 마모량계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장치 및 마모량 측정방법 {Apparatus for measuring abrasion of break pad and method for the same}
본 출원은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장치 및 마모량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브레이크 패드에 설치되는 추가적인 센서나 전기적인 배선장치없이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측정할 수 있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장치 및 마모량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제동은 바퀴의 브레이크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 사이의 마찰력이 휠의 회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차량의 제동이 이루어지면서, 제동력에 비례하여 브레이크 패드 마찰재의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제동으로 인한 마찰재의 마모로 마찰재가 모두 소진되게 되면, 브레이크 디스크의 결함이 생기고 큰 소음이 발생될뿐, 차량의 제동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브레이크 패드 내에 센서나 저항 등을 삽입, 설치함으로서 브레이크 패드의 교체 시기 및 마모도를 알려주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추가적인 센서나 전기적인 배선장치가 필요하여, 부가적인 비용을 발생시키고 차량의 가격을 상승시킬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64723
본 출원은, 브레이크 패드에 설치되는 추가적인 센서나 전기적인 배선장치없이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측정할 수 있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장치 및 마모량 측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방법은, 마모량측정장치가, 차량에 적용된 전자제어식 브레이크(EMB: Electro-mechanical Brake)의 구동시 출력되는 동작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EMB구동확인단계; 마모량측정장치가, 상기 동작신호의 수신시 상기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동작 알고리즘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패드 작동량을 측정하고, 상기 동작신호의 미수신시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에 인가하는 사용자의 페달 입력량을 측정하는 제동확인단계; 마모량측정장치가, 상기 동작신호의 수신시 상기 패드 작동량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의 휠감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동작신호의 미수신시 상기 페달 입력량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의 정지시간을 측정하는 제동성능측정단계; 및 마모량측정장치가, 상기 동작신호의 수신시 상기 휠감속도를 기준 휠감속도와 비교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하고, 상기 동작신호의 미수신시 상기 정지시간을 기준정지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하는 마모량계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제어식 브레이크는, ABS(Anti-lock Brake System), TCS(Traction Control System),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 또는 VDC(Vehicle Dynamic Control)를 지원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휠감속도는 기 설정된 기준 마모량을 가지는 브레이크 패드가 상기 패드 작동량으로 동작할 때의 휠감속도이고, 상기 기준정지시간은 기 설정된 기준 마모량을 가지는 브레이크 패드가 상기 페달 입력량으로 동작할 때의 정지시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모량 계산단계는, 상기 동작신호의 수신시, 복수의 기준 휠감속도 중에서 상기 측정된 휠감속도에 대응하는 기준 휠감속도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기준 휠감속도의 기준 마모량을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으로 계산하며, 상기 동작신호의 미수신시, 복수의 기준 정지시간 중에서 상기 측정된 정지시간에 대응하는 기준 정지시간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기준 정지시간의 기준마모량을,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모량 계산단계는, 상기 동작신호의 수신시 각각의 패드 작동량과 기준마모량에 따른 기준 휠감속도가 기재된 제1 테이블표를 이용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하고, 상기 동작신호의 미수신시 각각의 페달 입력량과 기준마모량에 따른 기준 정지시간이 기재된 제2 테이블표를 이용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방법은, 마모량측정장치가, 상기 측정한 마모량이 기 설정된 한계마모량 이상이면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대한 교체요청을 표시하는 마모량 표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장치는, 차량에 적용된 전자제어식 브레이크(EMB: Electro-mechanical Brake)의 구동시 출력되는 동작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EMB구동확인부; 상기 동작신호의 수신시 상기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동작 알고리즘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패드 작동량을 측정하고, 상기 동작신호의 미수신시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에 인가하는 사용자의 페달 입력량을 측정하는 제동확인부; 상기 동작신호의 수신시 상기 패드 작동량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의 휠감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동작신호의 미수신시 상기 페달 입력량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이 정지하는데 소요되는 정지시간을 측정하는 제동성능측정부; 및 상기 동작신호의 수신시 상기 휠감속도를 기준 휠감속도와 비교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하고, 상기 동작신호의 미수신시 상기 정지시간을 기준정지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하는 마모량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장치 및 마모량 측정방법에 의하면, 추가적인 센서나 전기적인 배선장치없이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장치 및 마모량 측정방법에 의하면,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동작여부를 구별하여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하게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장치 및 마모량 측정방법에 의하면,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에 따라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패드 위치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에 불구하고 동일한 제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에 따른 차량의 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모량 계산을 위한 테이블표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 시스템은 브레이크 페달(1), EMB 제어부(2), 디스플레이부(3) 및 마모량 측정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 시스템을 설명한다.
브레이크 페달(1)은 사용자가 인가하는 페달 입력량에 대응하여 브레이크 패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페달 입력량은 사용자가 인가하는 답력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이 눌려지는 거리에 비례하며, 브레이크 페달(1)은 페달 입력량에 비례하도록 브레이크 패드를 차량의 브레이크 디스크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브레이크 패드가 브레이크 디스크와 접촉하게 되면,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디스크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차량의 속도 또는 휠속도가 감속하게 된다. 또한,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디스크가 접촉한 이후에는, 페달 입력량에 비례하여 브레이크 패드가 브레이크 디스크 방향으로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 경우,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디스크와의 마찰이 더욱 증대되어 더 높은 제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EMB 제어부(20)는 차량의 운행상황에 따라 전자제어식 브레이크(EMB: Electro Mechanical Brake)를 구동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에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가 적용되어 있을 수 있으며, EMB 제어부(20)는 다양한 종류의 동작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전자제어식 브레이크를 구동할 수 있다. 예를들어, EMB 제어부(20)는 ABS(Anti-lock Brake System), TCS(Traction Control System),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 VDC(Vehicle Dynamic Control) 등의 동작알고리즘에 따라 전자제어식 브레이크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EMB 제어부(20)가 전자제어식 브레이크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동작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마모량 측정장치(100)에서는 EMB 제어부(20)가 출력하는 동작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동작 알고리즘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페달 입력량은 무시될 수 있으며, 브레이크 패드는 EMB 제어부(2)에서 설정한 패드 작동량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들어, ABS 시스템이 구동되는 경우, 사용자는 급제동을 위하여 페달 입력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EMB 제어부(2)에서는 브레이크 패드의 패드 작동량을 기 설정된 동작 알고리즘에 따라 초당 4-20회정도 변경하도록 하여, 급제동에 의한 차량의 바퀴가 잠기는 현상을 방지하고 제동거리를 줄일 수 있다. 즉, ABS 시스템이 동작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안전한 제동을 위하여 사용자의 페달 입력량은 고려하지 않고, 기 설정된 동작 알고리즘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는 마모량 측정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부(3)를 경고등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도가 심하여 교체해야하는 경우에는 경고등을 점등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부(3)에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단계별로 표시하여 현재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도가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부(3)에 스피커 등의 장치를 더 포함하여, 시각뿐만아니라 청각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이나 교체 시기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마모량 측정장치(100)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마모량 측정장치(100)는 차량의 전자제어식 브레이크가 동작하는 경우와 동작하지 않는 경우를 구별할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에 따라 적합한 방식으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마모량 측정장치(100)는 차량이 특정속도에서 브레이크에 의하여 완전히 정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정지시간 또는 차량의 휠 속도가 브레이크에 의하여 줄어드는 정도인 휠 감속도 등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모량 측정장치(100)에 의하면, 별도의 센서없이도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측정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의 초기위치를 재조정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에 따른 휠감속도 감소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모량 측정장치(100)에 의하면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패드의 교체시기를 미리 대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모량 측정장치(100)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모량 측정장치(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모량 측정장치(100)는 EMB구동확인부(110), 제동확인부(120), 제동성능측정부(130) 및 마모량계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EMB 구동확인부(110)는 차량에 적용된 전자제어식 브레이크(EMB: Electro-mechanical Brake)의 구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EMB 구동확인부(110)는 EMB 제어부(2)가 출력하는 동작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구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EMB 제어부(2)는 차량의 운행상황 등에 따라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구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전자제어식 브레이크를 구동시키는 경우에는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EMB 구동확인부(110)는 EMB 제어부(2)가 출력하는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전자식 브레이크의 구동을 확인할 수 있다. 통상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페달 입력량에 따라 차량의 속도가 감속되지만, 전자제어식 브레이크가 구동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페달 입력량에 불구하고,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동작알고리즘에서 설정한 패드 작동량에 의하여 차량의 속도가 감속된다. 즉,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구동 여부에 따라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방식이 상이하므로, EMB 구동확인부(110)에서는 동작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구동에 의한 차량의 제동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동확인부(120)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구동여부에 따라, 차량에 인가되는 제동입력을 구별하여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전자제어식 브레이크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페달 입력량에 대응하여 브레이크 패드가 이동하게 되므로, 제동입력은 페달 입력량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전자제어식 브레이크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동작알고리즘에 따라 설정되는 패드 작동량만큼 브레이크 패드가 이동하므로, 차량에 인가되는 제동입력은 패드 작동량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동확인부(120)는 동작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동작 알고리즘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패드 작동량을 측정하고,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브레이크 페달에 인가하는 페달 입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동성능측정부(130)는 차량에 대한 제동입력에 대응하여 차량의 제동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휠속도에서 차량에 대한 제동이 시작될 수 있으며, 이후 제동에 의하여 차량의 속도는 점차 감속하여 최종적으로 정지할 수 있다. 여기서, L1은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가 없는 경우의 그래프이고, L2, L3, L4, Ln는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된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L2에서 Ln으로 갈수록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가 심한 경우에 해당한다. 여기서, L1 내지 Ln의 기울기는 휠감속도에 해당하고, t1, t2, t3, t4, tn은 정지시간에 해당한다. 제동성능측정부(120)는 차량의 제동성능으로 정지시간 또는 휠감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동성능측정부(130)는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패드 작동량에 대응하는 차량의 휠감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제어식 브레이크는 차량이 고속으로 움직일 때 동작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여기서는 휠감속도를 통하여 패드 작동량에 따른 차량의 제동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반면에,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페달 입력량에 대응하여 차량이 정지하는데 소요되는 정지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차량을 정차시킬 때에는 일정하게 페달 입력량을 인가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차량이 정지하는데 소요되는 정지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차량의 제동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전자제어식 브레이크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페달 입력량에 따른 제동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마모량 계산부(140)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구동여부에 따라 상이한 방식을 적용하여,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할 수 있다.
먼저, 동작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패드 작동량에 의하여 측정되는 휠감속도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할 수 있다. 전자제어식 브레이크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에 불구하고 브레이크 패드가 항상 기 설정된 패드 작동량만큼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가 진행될수록 브레이크 디스크에 인가되는 압력이 약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동력이 약해질 수 있다. 여기서 약해진 제동력만큼 휠감속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휠감속도가 얼마나 떨어지는지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설정된 기준 마모량을 가지는 브레이크 패드를 일정한 패드 작동량으로 제동할 때 측정한 기준 휠감속량을, 미리 설정해둘 수 있다. 예를들어,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드작동량이 P1이고,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이 0%인 경우의 기준휠감속량을 G11, 마모량이 10%인 경우의 기준휠감속량은 G12, 마모량이 20%인 경우의 기준휠감속량은 G13 등으로 미리 설정할 있을 수 있다. 여기서는 각각의 패드작동량과 기준마모량에 따른 기준휠감속량은 테이블표로 나타내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실험식을 통하여 기준 휠감속도를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마모량 계산부(140)에서는, 측정된 휠감속도에 대응하는 기준 휠감속도를 테이블표나 실험식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기준 휠감속도에 대응하는 기준 마모량을 측정된 휠감속도의 마모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패드작동량이 P2일 때 측정된 휠 감속도가 G23에 해당하는 경우, 테이블표를 통하여 P2일 때 휠 감속도 G23에 대응하는 기준 마모량을 검색할 수 있으며, 이때 대응하는 기준마모량인 20%를 해당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휠 감속도가 G12 이상 G11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패드가 정상인 경우에 비하여 10% 미만으로 마모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측정된 휠감속도가 G13이상 G12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패드가 10% 이상 20% 미만 마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마모량 계산부(140)는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정지시간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할 수 있다. 사용자의 페달 입력량에 의하여 제동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동일하게 페달 입력량을 인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에 따라 차량에 적용되는 제동력이 차이날 수 있다. 여기서, 약해진 제동력만큼 정지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므로, 정지시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마모량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설정된 기준 마모량을 가지는 브레이크 패드를 일정한 페달 입력량으로 제동할 때 측정한 기준 정지시간을, 미리 설정해둘 수 있다. 예를들어, 도4(b)에 도시한 바와같이, 페달 입력량이 Q1이고,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이 0%인 경우의 기준정지시간은 T11, 마모량이 10%인 경우의 기준정지시간은 T12, 마모량이 20%인 경우의 기준정지시간은 T13 등으로 미리 설정할 있을 수 있다. 여기서는 각각의 페달 입력량과 기준마모량에 따른 기준정지시간을 테이블표로 나타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실험식을 통하여 계산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마모량 계산부(140)에서는, 측정된 정지시간에 대응하는 기준 정지시간을 테이블표나 실험식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기준 정지시간에 대응하는 기준 마모량을 측정된 정지시간의 마모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페달 입력량이 Q2일 때 측정된 정지시간이 T23에 해당하는 경우, 테이블표를 통하여 Q2일 때 정지시간 T23에 대응하는 기준 마모량을 검색할 수 있으며, 이때 대응하는 기준마모량인 20%를 해당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정지시간이 T12 이상 T11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패드가 정상인 경우에 비하여 10% 미만으로 마모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측정된 정지시간이 T13이상 T12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패드가 10% 이상 20% 미만 마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실시예에 따라서는,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마모량 계산부(140)가 사용자가 인가하는 페달 입력량을 비교하여 브레이크의 마모량을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차량의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 페달에 입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동일한 제동력을 얻기 위하여 브레이크 페달에 인가하는 페달 입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브레이크들은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에 따라 제동력이 상이하므로, 사용자가 동일한 제동력을 얻기 위하여 인가하는 페달 입력량은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제동력은 동일한 정지시간에 대응하므로, 동일한 정지시간에 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인가하는 페달 입력량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기준정지시간과 기준마모량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기준 페달 입력량이 설정된 테이블표나 실험식을 구비한 후, 이를 측정된 페달 입력량과 비교하여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방법은 EMB 구동확인단계(S10), 제동확인단계(S21, S22), 제동성능측정단계(S31, S32), 마모량 계산단계(S41. S42) 및 마모량 표시단계(S51, S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방법을 설명한다.
EMB 구동확인단계(S10)에서는 차량에 적용된 전자제어식 브레이크(EMB: Electro-mechanical Brake)의 구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운행상황 등에 따라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구동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전자제어식 브레이크를 구동시키는 경우에는 동작신호가 출력되어 전자제어식 브레이크로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EMB 구동확인단계(S10)에서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를 구동하기 위하여 출력되는 동작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구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통상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페달 입력량에 따라 차량의 속도가 감속되지만, 전자제어식 브레이크가 구동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페달 입력량에 불구하고,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동작알고리즘에서 설정한 패드 작동량에 의하여 차량의 속도가 감속된다. 즉,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구동 여부에 따라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방식이 상이하므로, EMB 구동확인단계(S10)에서는 동작신호의 수신하여 차량의 제동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제동확인단계(S21, S22)에서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구동여부에 따라, 차량에 인가되는 제동입력을 구별하여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전자제어식 브레이크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페달 입력량에 대응하여 브레이크 패드가 이동하게 되므로, 제동입력은 페달 입력량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S22). 반면에, 전자제어식 브레이크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동작알고리즘에 따라 설정되는 패드 작동량만큼 브레이크 패드가 이동하므로, 차량에 인가되는 제동입력은 패드 작동량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S21).
제동성능측정단계(S31, S32)에서는, 차량에 대한 제동입력에 대응하여 차량의 제동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제동성능측정단계(120)에서는 차량의 제동성능으로 정지시간 또는 휠감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패드 작동량에 대응하는 차량의 휠감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S31). 일반적으로 전자제어식 브레이크는 차량이 고속으로 움직일 때 동작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여기서는 휠감속도를 통하여 패드 작동량에 따른 차량의 제동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반면에,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페달 입력량에 대응하여 차량이 정지하는데 소요되는 정지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S32). 사용자가 차량을 정차시킬 때에는 일정하게 페달 입력량을 인가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차량이 정지하는데 소요되는 정지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차량의 제동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전자제어식 브레이크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페달 입력량에 따른 제동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마모량 계산단계(S41, S42)에서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구동여부에 따라 상이한 방식을 적용하여,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할 수 있다.
먼저, 동작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패드 작동량에 의하여 측정되는 휠감속도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할 수 있다(S41). 구체적으로, 기 설정된 기준 마모량을 가지는 브레이크 패드를 일정한 패드 작동량으로 제동할 때 측정한 기준 휠감속량을, 미리 설정해둘 수 있다. 예를들어,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드작동량이 P1이고,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이 0%인 경우의 기준휠감속량을 G11, 마모량이 10%인 경우의 기준휠감속량은 G12, 마모량이 20%인 경우의 기준휠감속량은 G13 등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각각의 패드작동량과 기준마모량에 따른 기준휠감속량을 테이블표로 나타내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실험식을 통하여 기준 휠감속도를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측정된 휠감속도에 대응하는 기준 휠감속도를 테이블표나 실험식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기준 휠감속도에 대응하는 기준 마모량을 측정된 휠감속도의 마모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패드작동량이 P2일 때 측정된 휠 감속도가 G23에 해당하는 경우, 테이블표를 통하여 P2일 때 휠 감속도 G23에 대응하는 기준 마모량을 검색할 수 있으며, 이때 대응하는 기준마모량인 20%를 해당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휠 감속도가 G12 이상 G11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패드가 정상인 경우에 비하여 10% 미만으로 마모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측정된 휠감속도가 G13이상 G12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패드가 10% 이상 20% 미만 마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정지시간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할 수 있다(S42). 구체적으로, 기 설정된 기준 마모량을 가지는 브레이크 패드를 일정한 페달 입력량으로 제동할 때 측정한 기준 정지시간을, 미리 설정해둘 수 있다. 예를들어, 도4(b)에 도시한 바와같이, 페달 입력량이 Q1이고,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이 0%인 경우의 기준정지시간은 T11, 마모량이 10%인 경우의 기준정지시간은 T12, 마모량이 20%인 경우의 기준정지시간은 T13 등으로 미리 설정할 있을 수 있다. 여기서는 각각의 페달 입력량과 기준마모량에 따른 기준정지시간을 테이블표로 나타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실험식을 통하여 계산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측정된 정지시간에 대응하는 기준 정지시간을 테이블표나 실험식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기준 정지시간에 대응하는 기준 마모량을 측정된 정지시간의 마모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페달 입력량이 Q2일 때 측정된 정지시간이 T23에 해당하는 경우, 테이블표를 통하여 Q2일 때 정지시간 T23에 대응하는 기준 마모량을 검색할 수 있으며, 이때 대응하는 기준마모량인 20%를 해당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정지시간이 T12 이상 T11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패드가 정상인 경우에 비하여 10% 미만으로 마모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측정된 정지시간이 T13이상 T12 미만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패드가 10% 이상 20% 미만 마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실시예에 따라서는,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인가하는 페달 입력량을 비교하여 브레이크의 마모량을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차량의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 페달에 입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동일한 제동력을 얻기 위하여 브레이크 페달에 인가하는 페달 입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브레이크들은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에 따라 제동력이 상이하므로, 사용자가 동일한 제동력을 얻기 위하여 인가하는 페달 입력량은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제동력은 동일한 정지시간에 대응하므로, 동일한 정지시간에 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인가하는 페달 입력량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기준정지시간과 기준마모량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기준 페달 입력량이 설정된 테이블표나 실험식을 구비한 후, 이를 측정된 페달 입력량과 비교하여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할 수 있다.
마모량표시단계(S51, 52)에서는, 측정한 마모량이 기 설정된 한계 마모량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S51), 한계 마모량 이상인 경우에는 브레이크 패드에 대한 교체요청을 표시할 수 있다(S52). 여기서, 마모량표시단계(S51, S52)는 브레이크 패드를 교체해야하는 경우 경고등을 점등하는 형태로 브레이크 패드의 교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단계별로 표시하여 현재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도가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스피커 등의 장치를 더 포함하여, 시각뿐만아니라 청각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이나 교체 시기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 브레이크 페달 2: EMB 제어부
3: 디스플레이부 100: 마모량 측정장치
110: EMB 구동확인부 120: 제동확인측정부
130: 제동성능측정부 140: 마모량 계산부
S10: EMB 구동확인단계 S21, S22: 제동확인단계
S31, S32: 제동성능측정단계 S41, S42: 마모량 계산단계
S51, S52: 마모량 표시단계

Claims (8)

  1. 마모량측정장치가, 차량에 적용된 전자제어식 브레이크(EMB: Electro-mechanical Brake)의 구동시 출력되는 동작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EMB구동확인단계;
    마모량측정장치가, 상기 동작신호의 수신시 상기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동작 알고리즘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패드 작동량을 측정하고, 상기 동작신호의 미수신시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에 인가하는 사용자의 페달 입력량을 측정하는 제동확인단계;
    마모량측정장치가, 상기 동작신호의 수신시 상기 패드 작동량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의 휠감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동작신호의 미수신시 상기 페달 입력량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의 정지시간을 측정하는 제동성능측정단계; 및
    마모량측정장치가, 상기 동작신호의 수신시 상기 휠감속도를 기준 휠감속도와 비교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하고, 상기 동작신호의 미수신시 상기 정지시간을 기준 정지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하는 마모량계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휠감속도는 기 설정된 기준 마모량을 가지는 브레이크 패드가 상기 패드 작동량으로 동작할 때의 휠감속도이고,
    상기 기준 정지시간은 기 설정된 기준 마모량을 가지는 브레이크 패드가 상기 페달 입력량으로 동작할 때의 정지시간이고,
    상기 마모량 계산단계는,
    상기 동작신호의 수신시, 복수의 기준 휠감속도 중에서 상기 측정된 휠감속도에 대응하는 기준 휠감속도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기준 휠감속도의 기준 마모량을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으로 계산하며,
    상기 동작신호의 미수신시, 복수의 기준 정지시간 중에서 상기 측정된 정지시간에 대응하는 기준 정지시간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기준 정지시간의 기준 마모량을,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식 브레이크는
    ABS(Anti-lock Brake System), TCS(Traction Control System),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 또는 VDC(Vehicle Dynamic Control)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량 계산단계는,
    상기 동작신호의 수신시 각각의 패드 작동량과 기준마모량에 따른 기준 휠감속도가 기재된 제1 테이블표를 이용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하고,
    상기 동작신호의 미수신시 각각의 페달 입력량과 기준 마모량에 따른 기준 정지시간이 기재된 제2 테이블표를 이용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마모량측정장치가, 상기 측정한 마모량이 기 설정된 한계마모량 이상이면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대한 교체요청을 표시하는 마모량 표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방법.
  7. 제1항, 제2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8. 차량에 적용된 전자제어식 브레이크(EMB: Electro-mechanical Brake)의 구동시 출력되는 동작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EMB구동확인부;
    상기 동작신호의 수신시 상기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의 동작 알고리즘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의 패드 작동량을 측정하고, 상기 동작신호의 미수신시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에 인가하는 사용자의 페달 입력량을 측정하는 제동확인부;
    상기 동작신호의 수신시 상기 패드 작동량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의 휠감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동작신호의 미수신시 상기 페달 입력량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이 정지하는데 소요되는 정지시간을 측정하는 제동성능측정부; 및
    상기 동작신호의 수신시 상기 휠감속도를 기준 휠감속도와 비교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하고, 상기 동작신호의 미수신시 상기 정지시간을 기준 정지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을 계산하는 마모량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휠감속도는 기 설정된 기준 마모량을 가지는 브레이크 패드가 상기 패드 작동량으로 동작할 때의 휠감속도이고,
    상기 기준 정지시간은 기 설정된 기준 마모량을 가지는 브레이크 패드가 상기 페달 입력량으로 동작할 때의 정지시간이고,
    상기 마모량 계산부는,
    상기 동작신호의 수신시, 복수의 기준 휠감속도 중에서 상기 측정된 휠감속도에 대응하는 기준 휠감속도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기준 휠감속도의 기준 마모량을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으로 계산하며,
    상기 동작신호의 미수신시, 복수의 기준 정지시간 중에서 상기 측정된 정지시간에 대응하는 기준 정지시간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기준 정지시간의 기준마모량을,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으로 계산하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장치.
KR1020170109084A 2017-08-29 2017-08-29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장치 및 마모량 측정방법 KR102426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084A KR102426471B1 (ko) 2017-08-29 2017-08-29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장치 및 마모량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084A KR102426471B1 (ko) 2017-08-29 2017-08-29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장치 및 마모량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381A KR20190023381A (ko) 2019-03-08
KR102426471B1 true KR102426471B1 (ko) 2022-07-28

Family

ID=6580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084A KR102426471B1 (ko) 2017-08-29 2017-08-29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장치 및 마모량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4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574B1 (ko) 2019-07-05 2024-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사용되는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85431A (ko) 2020-12-15 2022-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브레이크 패드 마모 진단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084B1 (ko) * 2002-01-17 2008-02-21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패드 마모 경고방법
KR20050039964A (ko) * 2003-10-27 2005-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 라이닝 교체시기 알람 시스템 및 그의 방법
KR20060064723A (ko) 2004-12-09 2006-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브레이크 패드 마모감지장치
KR101745726B1 (ko) * 2011-01-27 2017-06-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브레이크 패드 마모 경고장치
KR101551909B1 (ko) * 2013-11-12 2015-09-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제백효과를 활용한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패드의 상태 측정방법
KR20160123111A (ko) * 2015-04-15 2016-10-25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패드 자동 체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381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081B1 (ko) 차량의 경사로 출발 보조 제어 방법
US70180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brake pre-charging
KR102500788B1 (ko) 차량용 브레이크의 모니터링 방법,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한 차량
KR102426471B1 (ko)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량 측정장치 및 마모량 측정방법
JP6554163B2 (ja) 車両制動管理装置
JP4598525B2 (ja) 厚さ検知用静電容量型センサまたは自動車ブレーキパッドへの応用
KR102177284B1 (ko) 디스크 추정 온도를 이용한 모터 온 캘리퍼 시스템의 제어방법
US1007703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brake drag
EP4067181A2 (en) Brake device, method for calculating wear amount, and program for calculating wear amount
WO2019031106A1 (ja) 制動制御装置
KR102315860B1 (ko) Abs를 이용한 캘리퍼 고장 검출 방법
US11738735B2 (en) Method for warning sufficiency of a parking braking force
KR101415206B1 (ko) 충돌 피해 경감시스템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US9821781B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control braking of a vehicle during low deceleration operations
KR20200116572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101928527B1 (ko) 전류 제어를 이용한 전자 기계식 제동 시스템 및 그의 초기화 방법
KR102179748B1 (ko) 브레이크 패드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US20250010833A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mechanical brake
JP2018194055A (ja) 車両用状態推定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報知装置
US20230272831A1 (en) Brake pad wea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8163776A (zh) 用于评定制动转子的健康的系统和方法
KR20110126815A (ko) 브레이크 패드 마모도 추정방법
KR100311154B1 (ko) 에이비에스제어장치및방법
US20240246524A1 (en) Electric mechanical brake system and a calibration method therefor
KR20090078874A (ko) 전자유압식 제동시스템 및 그의 유압 라인 공기 감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