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392B1 - 흡입 및 관주 장치 - Google Patents

흡입 및 관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392B1
KR102426392B1 KR1020197002100A KR20197002100A KR102426392B1 KR 102426392 B1 KR102426392 B1 KR 102426392B1 KR 1020197002100 A KR1020197002100 A KR 1020197002100A KR 20197002100 A KR20197002100 A KR 20197002100A KR 102426392 B1 KR102426392 B1 KR 102426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irrigation
suction
conduit
flow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1244A (ko
Inventor
마크 스페일
셜리 리우
Original Assignee
멀티게이트 메디컬 프로덕츠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6902489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6902489A0/en
Application filed by 멀티게이트 메디컬 프로덕츠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멀티게이트 메디컬 프로덕츠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3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61M1/741Suction control with means for varying suction manually
    • A61M1/7413Suction control with means for varying suction manually by changing the cross-section of the line
    • A61M1/7415Suction control with means for varying suction manually by changing the cross-section of the line by deformation of the fluid passage
    • A61M1/006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7Suction-irrigation systems
    • A61M1/774Handpieces specially adapted for providing suction as well as irrigation, either simultaneously or independent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5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with gas or fluid supply means, e.g. for supplying rinsing fluids or anticoag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6Connectors between drainage tube and handpiece, e.g. drainage tubes detachable from handpie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04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igation fluid, e.g. conductivity or turbidity
    • A61M3/022Volum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61M3/0283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with at least two inner passageways, a first one for irrigating and a second for evacu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7Suction-irrig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7Suction-irrigation systems
    • A61M1/772Suction-irrigation systems operating alternate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Endoscop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 부위에 흡입 및 관주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신체 부위와의 병치를 위한 원위 단부를 갖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통해 흡입 또는 관주를 제공하도록 상기 장치의 선택적인 구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구성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는 그 원위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된 유동 면적 제한부를 갖는다.

Description

흡입 및 관주 장치
본원에 기재된 본 발명은 흡입 및 관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의료 시술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 및 관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술이나 치과 치료와 같은 특정 의료 시술 중에 의료인이 상처 또는 구강과 같은 신체 부위에 관주 유체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관주 유체는 예를 들어, 물, 염분 또는 다른 생체 적합성 유체일 수 있다. 동시에, 유체 및 파편을 제거하기 위해 신체 부위에 흡입을 가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예를 들어, 복부에 대한 키홀(keyhole) 수술과 같은 키홀 수술 중, 파편을 흡입하여 제거하고, 관주 유체를 전달하여 신체 부위를 관주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흡입은 수술 중 소작으로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복부에 대한 키홀 수술 시술에서 복부는 일반적으로 개선된 가시성과 작업 공간을 위해 가스로 펌핑된다. 가스를 배출할 때의 복부 허탈(collapse)을 피하려면 소량의 가스가 통제된 방식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의료인은 흡입력이 지나치게 강하지 않아 조직 손상이 방지되는 것을 보장해야 한다. 신체 부위에 관주를 제공할 때, 집중적이고 정확한 방식으로 관주 유체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도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외과적 시술 중에 제어된 방식으로 흡입 및 관주를 제공하도록 의료 전문가를 보조하는 흡입 및 관주 장치를 제공한다.
[선행기술문헌 1] 미국 특허공보 US5265840
[선행기술문헌 2]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05/0171467호
[선행기술문헌 3] 미국 특허공보 US5827218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신체 부위에 흡입 및 관주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a. 샤프트로서,
i. 상기 신체 부위와의 병치를 위한 원위 단부;
ii. 상기 원위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원위 단부로부터 오프셋되는 유동 제한부(flow restriction portion); 및
iii. 상기 유동 제한부와 상기 원위 단부 사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갖는, 샤프트; 및
b. 상기 샤프트를 통해 흡입 기능 또는 관주 기능 중 하나를 제공하도록 상기 장치의 선택적인 구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작동가능하게 구성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 제한부는 상기 흡입 기능과 상기 관주 기능을 위해 작동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신체 부위에 흡입 및 관주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신체 부위와의 병치를 위한 원위 단부를 갖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통해 흡입 또는 관주 중 하나를 제공하도록 상기 장치의 선택적인 구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작동가능하게 구성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그 원위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된 유동 면적 제한부(flow area restriction portion)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유동 면적 제한부는 원위 단부로부터 약간 오프셋된다.
유리하게, 유동 면적 제한부는 샤프트 원위 단부에 근접한 관주 유체의 유동이 집중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관주 유체가 의료 시술 동안 정확하고 제어된 방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유동 면적 제한부는 샤프트의 원위 단부에 근접한 관주 유체에 대한 유효 유동 면적의 감소를 제공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동 면적 제한부는 상기 샤프트의 원위 단부에 근접한 일정 감소된 유동 단면적의 섹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동 면적 제한부는 샤프트 내부에 위치된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서트는 샤프트의 유동 단면적보다 작은 유동 단면적을 갖는다. 샤프트의 측벽과 인서트의 측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동 면적 제한부는 샤프트의 일체형 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목부는 협소한(narrowed) 유동 단면적을 제공한다.
유동 단면적이 감소되는 샤프트의 원위 단부에 근접한 영역을 제공하는 것은 유동 면적 제한부를 통해 유동할 때 관주 유체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관주 유체의 속도는 샤프트의 개방 단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약간 증가하여, 관주 유체가 보다 집중적이고 제어된 방식으로 샤프트를 빠져 나갈 수 있게 한다.
샤프트는 원위 단부에 근접한 하나 이상의 개구를 한정하는 원통형 측벽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가 흡입 기능을 제공할 때, 상기 개구는 부압 및 신체 부위에 전달되는 흡입력을 감소시켜 키홀 수술 중에 조직 손상 및 복부 허탈을 방지한다.
임의의 적절한 개수의 개구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샤프트의 측벽은 원위 단부에 근접한 개구들의 2개의 열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8개의 균등하게 이격된 개구가 샤프트의 원위 단부에 근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는 일반적으로 샤프트의 원위 단부와 유동 면적 제한부 사이에 위치한다. 관주를 제공할 때 관주 유체가 샤프트를 통해 흐른다. 유동 면적 제한부는 감소된 유동 단면적을 제공하기 때문에, 유동 면적 제한부의 감소된 유동 단면적을 통과할 때 관주 유체의 속도는 증가한다. 관주 유체의 유속의 이와 같은 증가는 관주 유체가 개구를 지나서 샤프트의 원위 단부의 개구를 통해 흐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관주 유체의 유동이 보다 집중되고 유체가 특정 신체 부위에 정밀하고 제어된 방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유동 제한 면적(flow restriction area)이 인서트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실시예에서, 인서트는 개구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덮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공간이 흡인 중에 조직 손상으로부터의 완화가 가능하도록 인서트의 외벽과 개구 사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장치를 홀드하고 조작할 수 있게 하는 핸들부를 제공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샤프트를 장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의 근위 단부는 본체의 단자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2개 이상의 도관을 본체의 단자에 장착하기 위한 어댑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단자에 관주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관주 도관이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단자에 부압을 제공하기 위한 흡입 도관이다. 어댑터는 샤프트가 단자에 장착될 때 샤프트와 흡입 도관 사이뿐만 아니라 샤프트와 관주 도관 사이의 유체 연통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는 샤프트의 근위 단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2개의 단자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단자는 일반적으로 서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선호 및 상이한 적용에 적합하도록 2개의 다자 중 하나에 샤프트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장치는 2개의 단자 간을 연결하고 그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내부 도관을 제공할 수 있다. 내부 도관의 일 단부는 흡입 도관과 관주 도관과의 유체 연통을 위해 어댑터에 장착될 수 있다.
구동 메커니즘은 샤프트를 통해 흡입 또는 관주 기능을 제공하도록 흡입 도관 또는 관주 도관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동 메커니즘은 장치의 흡입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흡입 버튼, 및 장치의 관주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관주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입 버튼의 눌림이 흡입 도관이 개방되고 관주 도관이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유사하게, 관주 버튼의 눌림이 관주 도관이 열리고 흡입 도관이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구동 메커니즘은 흡인 및 누름(depression) 버튼의 각각의 누름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흡입 및 관주의 정도 및 압력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신체 부위에 전달되는 흡입 또는 관주의 양은 흡입 또는 관주 버튼의 누름의 정도를 감소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장치가 연기를 배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신체 부위에서 부드러운 흡입 작업이 필요하다. 부드러운 흡입을 제공하기 위해, 흡입 버튼은 사용자가 부드럽게 눌러서 흡입 버튼이 완전히 눌려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관주 버튼을 가볍게 누르면 신체 부위에 부드러운 관주를 전달할 수 있다.
각 버튼은 완전히 연장된 위치(fully extended position)로 스프링 장착되고 편향될 수 있다.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서, 본체의 내부 돌출부와 함께 각 버튼과 관련된 돌출부는 대응하는 도관을 폐쇄 상태로 압축(compress)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흡입 버튼과 관주 버튼이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해제되고 편향되면, 흡입 및 관주 도관이 모두 폐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흡입 및 관주 장치용 샤프트가 제공되며, 상기 샤프트는
신체 부위와의 병치를 위한 원위 단부, 및
그 원위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된 유동 제한부를 갖는다.
본 발명이 보다 쉽게 이해되고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만 설명될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일 실시예' 또는 '하나의 실시예'는 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양한 곳에서 나타나는 "일 실시예에서" 또는 "하나의 실시예에서"라는 문구는 모두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에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에 흡입 및 관주를 제공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조립된 장치의 사시도(내부 구성 요소를 도시)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c는 완전히 조립된 형태의 도 1a 및 도 1b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장치가 상이한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때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부분적으로 조립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c는 완전히 조립된 형태의 도 2a 및 도 2b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장치의 본체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샤프트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샤프트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인서트가 생략된 도 4b에 도시된 샤프트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서트가 개구를 부분적으로 덮는 샤프트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서트가 개구를 완전히 덮는 샤프트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샤프트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샤프트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 부위(도시되지 않음)에 흡입 및 관주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100)는 본체(102) 및 그에 부착된 샤프트(104)를 포함한다. 샤프트(104)는 본체(103)의 제 1 단자(108)에 장착하기 위한 근위 단부(106) 및 신체 부위와의 병치를 위한 원위 단부(110)를 갖는다.
본체(102)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기재되는 바와 같이 장치(100)의 다양한 내부 구성 요소를 덮기 위한 하우징(112)을 포함한다. 하우징(112)은 사용자가 장치(100)를 홀드하고 작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핸들 부(114)를 포함한다. 본체(102)는 샤프트(104)의 근위 단부(106)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제 1 단자(108) 및 제 2 단자(116)를 포함한다. 제 1 단자(108)는 제 2 단자(116)에 대체로 수직으로 배치된다.
도 3에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는 관주 유체를 샤프트(104)에 전달하기 위한 관주 도관(128)과 샤프트(104)에 부압을 제공하여 신체 부위에서 흡입이 수행되게 하는 흡입 도관(130)을 더 포함한다. 장치(100)는 제 1 단자와 제 2 단자(108, 116)를 연결하고 이들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내부 도관(132)을 더 포함한다. 완전히 조립되면, 도관(128, 130, 132)은 하우징(112)의 내부 도관(136a, 136b)에 의해 정 위치에 홀딩된다.
샤프트(104)가 제 1 단자(108)에 장착될 때, 제 1 단자(108)의 커넥터(129a, 129b)는 샤프트(104)와 내부 도관(132) 사이의 밀봉 유체 연통(sealing fluid communication)을 제공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작동 배향에서, 단자(116)는 폐쇄되고, 어댑터(134)는 내부 도관(132)과 흡입 도관(130)뿐만 아니라 내부 도관(132)과 관주 도관(128) 사이의 밀봉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도 1a, 도 1b 및 도 3을 참조하면, 장치(100)는 샤프트(104)를 통해 흡입 또는 관주 중 하나를 제공하도록 장치(100)의 선택적인 구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구성된 구동 메커니즘(118)을 포함한다. 구동 메커니즘(118)은 흡입 버튼(120) 및 관주 버튼(122)을 포함한다. 각각의 버튼(120, 122)이 각 연장부(124, 126)와 관련되므로, 각각의 버튼(120, 122)을 누르면 관련된 각 연장부(124, 126)가 폐쇄된 상태로 내부 돌출부(136a, 136b)의 일부로 각각의 흡입 또는 관주 도관(128)을 압축하기 위해 후방으로 푸시되어서 적절한 흡입 또는 관주 기능이 샤프트(104)를 통해 제공된다. 각각의 버튼(120, 122)은 스프링 장착되고(loaded)(도시되지 않음)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되고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편향되어서(biased), 각각의 버튼(120, 122)은, 사용자가 눌려진 상태에서 각 버튼(120, 122)을 더는 홀드하지 않으면 그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자동으로 돌아간다.
예컨대, 도 1b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관주 버튼(122)이 눌러지고 흡입 버튼(120)이 눌려 있지 않은 경우, 연장부(126)는 폐쇄 상태로 내부 돌출부(136a, 136b)에 대해 흡입 도관(130)을 압축하기 위해 후방으로 푸시되며, 관주 도관(128)은 개방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관주 버튼(122)이 눌려지면 관주 유체가 개방된 관주 도관(128) 및 내부 도관(132)을 통해 샤프트(104)로 전달될 수 있고 흡입 도관(130)의 압축에 의해 흡입이 차단된다.
유사하게, 흡인 버튼(120)이 눌려지고 관주 버튼(122)이 해제될 때, 연장부(124)는 닫힌 상태로 내부 돌출부(136a, 136b)에 대해 관주 도관(128)을 압축하기 위해 후방으로 푸시되며, 흡입 도관(130)은 개방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흡입 버튼(120)이 눌려지면, 개방된 흡입 도관(130) 및 내부 도관(132)을 통해 샤프트(104)에 부압이 전달되어 신체 부위에 흡입을 제공할 수 있으며, 관주 도관(128)의 압축에 의해 관주가 차단된다.
흡인 및 관주 버튼(120, 122)이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해제되고 편향될 때, 연관된 연장부(125, 127)의 각각의 후방부는 내부 돌출부(136a, 136b)를 푸시하여 두 도관(128, 130)은 닫힌 상태로 클램핑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해 양쪽 버튼(120, 122)이 해제되면, 장치(100)는 꺼진다.
이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이들은 상이한 배향에서의 장치(100)의 사용을 도시한다. 특히, 샤프트(104)는 내부 도관(132)을 바이패스하여 본체(112)의 제 2 단자(116)에 장착된다. 이러한 배향으로 작동할 때, 제 1 단자(108)는 폐쇄되고 제 2 단자(116)와 관련된 어댑터(134)는 샤프트(104)와 흡입 도관(130) 뿐만 아니라 샤프트(104)와 관주 도관(128) 사이의 밀봉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따라서, 도 1a, 도 1b 및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동 메커니즘(118)의 작동은 샤프트(104)를 통한 흡입 또는 관주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104)는 도 4a 내지 도 4c에서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104)는 샤프트의 근위 단부(106)를 갖고, 이는 장치(100)의 본체(102)에 장착되며, 원위 단부(110)는 신체 부위에 관주 또는 흡입을 전달한다.
도 4b에 더욱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04)의 원통형 측벽(400)은 그 원위 단부(110)에 근접한 복수의 개구(402)를 한정한다. 특히, 측벽(400)은 2개의 열로 배열된 8개의 균등하게 이격된 개구(402)를 한정한다. 개구(402)는 정확하고 제어된 방식으로 신체 부위에 부드러운 흡인력을 제공함으로써 키홀 수술 중에 조직 손상 및 복부 허탈을 피하기 위해 환형부(104)의 원위 단부(110)에서 흡입 중에 생성되는 힘을 약간 감소시킨다.
그러나, 관주를 제공할 때, 관주 유체가 개구(402)를 통해 흐를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게 관주 유체의 전달이 집중되지 않고 부정확해질 수 있다. 유동 면적 제한부(404)가 샤프트(104)의 원위 단부(110) 인근에 제공되어, 원위 단부(110)를 통해 흐르는 관주 유체의 속도를 증가시켜, 관주 유체가 개구를 지나서 흐르고, 보다 집중적이고 제어된 방식으로 단부 오프닝(end opening)(406)을 통해 샤프트(104)를 빠져나간다. 따라서, 유동 면적 제한부(404)는 정밀 수술 절차에서 중요할 수 있는 신체 부위에 대한 관주 유체의 전달에서 증가된 정확도를 제공한다.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동 면적 제한부(404)는 개구(402)에 근접한 샤프트(104) 내부에 위치한 슬리브 인서트(408)를 포함한다. 슬리브 인서트(408)는 샤프트(104)의 내벽과 맞닿는 확장된 단부(410)를 포함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414)은 확장된 단부(410)와 결합함으로써 슬리브 인서트(408)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샤프트(104)의 내벽에 제공된다. 인서트(408)는 감소된 유동 면적의 섹션을 제공하기 위해 샤프트(104)의 내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갖는 확장된 단부(410)에 근접한 협소 부분(narrowed portion)(412)을 포함한다.
슬리브 인서트(408)의 내경은 장치에 요구되는 성능 특성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크기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슬리브 인서트(408)의 내경은 샤프트(104)의 내경보다 약 10% 내지 15% 작다. 일 실시예에서, 샤프트(104)의 내경은 약 4.5mm이고, 인서트의 내경은 약 3.5mm이다.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서트(408)는, 개구(402) 중 어느 것도 인서트의 협소 부분(410)에 의해 덮이지 않도록 개구(402)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4d에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408)는 개구(402)의 일부가 인서트(408)에 의해 덮이거나 부분적으로 덮이도록 단부 오프닝(406)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4e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408)는, 모든 개구(402)가 인서트(408)에 의해 덮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인서트(408)와 샤프트(104)의 내벽 사이의 공간은 가스가 흡입 동안 커버된 또는 부분적으로 커버된 개구(402)를 통해 흐르게 한다. 이런 방식으로 인서트(408)를 사용하여 개구(402)를 부분적으로 덮음으로써 원하는 수준으로 전체 흡입 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면서, 연기, 유체 및/또는 파편을 감소시키기 위해 신체 부위에 충분한 흡입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500)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있다. 샤프트(500)는 또한 그 원위 단부(504)에 가까운 유동 면적 제한부(502)를 포함한다. 유동 면적 제한부(502)는 샤프트(500)(도 5b)의 내경과 비교하여 감소된 내경을 갖는 일체형 목부(506)를 포함한다. 내부 목부(506)는 개구(508)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유동 면적의 감소를 제공함으로써 도 4b의 슬리브 인서트(408)와 동일한 방식 및 작동 원리로 관주 유체에 대한 유속을 증가시킨다.
목부(506)의 내경은 장치(100)에 요구되는 성능 특성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크기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목부(506)의 내경은 샤프트(104)의 내경보다 약 10% 내지 15% 작다. 일 실시예에서, 샤프트(104)의 내경은 대략 4.5mm이고, 목부(506)의 내경은 대략 3.5mm이다.
바람직하게는, 개구(402)와 결합하여 샤프트(104)의 원위 단부(406)에 근접하고 약간 벗어난 유동 면적 제한부를 갖는 것은 개구(402)로 인해 압력 손실이 생성되기 전에 관주 유동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흡입 속도는 개구(402)에 의해 보존되어, 큰 입자가 장치(100)의 흡입 기능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동시에, 흡입 속도가 제어되고 과도하지 않아 조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샤프트(104)의 원통형 측벽(400) 및/또는 목부(506) 또는 인서트(408)의 내벽은 불균일할 수 있거나 샤프트(104)의 유효 유동 단면적(effective cross sectional flow area)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부 또는 모든 영역에서 돌출부 및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샤프트(104)에 의해 전달된 유동 품질은 다른 실시예보다 더 난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100)는 그 길이를 따라 하나 이상의 유동 면적 제한부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동 면적 제한부는 단면 형상이 대체로 원형으로부터 타원형으로 또는 감소된 유동 단면적을 갖는 다른 형상으로 변화하는 샤프트(104)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일체형 목부(506) 및 인서트(408)의 단면 형상은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쉽게 발생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식으로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서 실시되고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된 용어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제한적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용어 "포함" 및 "포함하는" 또는 "포함하여"와 같은 해당 용어의 변형은 본원에서 사용된 정수 또는 정수들의 포함을 나타내지만, 맥락 또는 그 사용에 있어서 그 용어의 독점적인 해석이 요구되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정수 또는 임의의 다른 정수들을 배제하지 않는 것을 표시하도록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선행 기술의 개시에 대한 언급은 그 개시가 공통적인 일반적 지식임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2)

  1. 신체 부위에 흡입 및 관주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a. 샤프트로서,
    i. 상기 신체 부위와의 병치를 위한 원위 단부;
    ii. 상기 원위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원위 단부로부터 오프셋되는 유동 면적 제한부 - 상기 유동 면적 제한부는 상기 유동 면적 제한부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일정한 단면은 상기 샤프트의 임의의 다른 부분의 단면보다 작음 - ; 및
    iii. 상기 유동 면적 제한부와 상기 원위 단부 사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개구 -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는 상기 유동 면적 제한부에 인접함 - 를 갖는, 샤프트; 및
    b. 상기 샤프트를 통해 흡입 기능 또는 관주 기능 중 하나를 제공하도록 상기 장치의 선택적인 구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작동가능하게 구성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 면적 제한부는 흡입 기능과 관주 기능을 위해 작동가능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샤프트 내부에 위치된 인서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는 상기 샤프트의 유동 단면적보다 작은 유동 단면적을 갖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측벽과 상기 인서트의 측벽 사이에 공간이 한정되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그 원위 단부에 근접한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를 한정하는 원통형 측벽을 갖는,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측벽은 상기 원위 단부에 근접한 개구들의 2개의 열을 한정하는,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8개의 균등하게 이격된 개구가 상기 샤프트의 원위 단부에 근접하게 제공되는,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샤프트를 장착하기 위한 제1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2개 이상의 도관을 상기 제1 단자에 장착하기 위한 어댑터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상기 제1 단자에 관주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관주 도관이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상기 제1 단자에 부압을 제공하기 위한 흡입 도관인,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샤프트가 상기 제1 단자에 장착될 때, 상기 샤프트와 상기 흡입 도관뿐만 아니라 상기 샤프트와 상기 관주 도관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샤프트의 근위 단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제2 단자를 가지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내부 도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도관의 일 단부는 상기 흡입 도관 및 상기 관주 도관과의 유체 연통을 위해 어댑터에 장착되는,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는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샤프트를 통한 흡입 기능 또는 관주 기능을 제공하도록 상기 흡입 도관 또는 상기 관주 도관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상기 장치의 흡입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한 흡입 버튼 및 상기 장치의 관주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한 관주 버튼을 포함하며,
    a. 상기 흡입 버튼의 눌림이 상기 흡입 도관을 개방되게 하고 관주 도관을 폐쇄되게하며,
    b. 상기 관주 버튼의 눌림이 상기 관주 도관을 개방되게 하고 상기 흡입 도관을 폐쇄되게 하는,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상기 흡입 버튼 및 관주 버튼의 각각의 누름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흡입 및 관주의 정도 및 압력이 제어되도록 하는,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각각의 버튼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편향되는,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 돌출부와 결합된 각 버튼과 관련된 돌출부가 대응하는 도관을 폐쇄 상태로 압축하여, 상기 흡입 버튼 및 관주 버튼이 모두 해제되고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편향될 때, 상기 흡입 도관 및 상기 관주 도관은 모두 클램핑되어 폐쇄되는,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흡입 기능 중일 때, 흡입 속도(suction rate)가 유지되는, 장치.
  17. 흡입 및 관주 장치를 위한 샤프트로서, 상기 샤프트는:
    a. 신체 부위와의 병치를 위한 원위 단부;
    b. 상기 샤프트의 원위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원위 단부로부터 오프셋되는 유동 면적 제한부 - 상기 유동 면적 제한부는 상기 유동 면적 제한부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일정한 단면은 상기 샤프트의 임의의 다른 부분의 단면보다 작음 - ; 및
    c. 상기 샤프트의 상기 유동 면적 제한부와 상기 원위 단부 사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개구 -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는 상기 유동 면적 제한부에 인접함 - 를 갖고,
    d. 상기 유동 면적 제한부는 흡입 기능과 관주 기능을 위해 작동가능한, 샤프트.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97002100A 2016-06-24 2017-06-06 흡입 및 관주 장치 KR102426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6902489A AU2016902489A0 (en) 2016-06-24 Suction and Irrigation Apparatus
AU2016902489 2016-06-24
PCT/AU2017/050556 WO2017219070A1 (en) 2016-06-24 2017-06-06 Suction and irriga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244A KR20190031244A (ko) 2019-03-25
KR102426392B1 true KR102426392B1 (ko) 2022-07-28

Family

ID=6078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100A KR102426392B1 (ko) 2016-06-24 2017-06-06 흡입 및 관주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336677A1 (ko)
EP (1) EP3474917A4 (ko)
KR (1) KR102426392B1 (ko)
CN (1) CN109414530A (ko)
AU (1) AU2017282721B2 (ko)
SG (1) SG11201811508WA (ko)
WO (1) WO20172190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07439A1 (de) * 2018-03-28 2019-10-02 Karl Storz Se & Co. Kg Medizinisches Instrument
KR102108736B1 (ko) * 2018-12-13 2020-05-08 대한민국 반추동물의 음경 흡입 장치
KR20210128426A (ko) 2019-02-15 2021-10-26 멀티게이트 메디컬 프로덕츠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핀치 밸브 메커니즘
KR102465601B1 (ko) * 2020-09-24 2022-11-1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흡인세척관 및 이를 포함하는 흡인세척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1467A1 (en) * 2004-01-30 2005-08-04 Jaime Landman Multiple function surgic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5840A (en) * 1992-10-09 1993-11-30 Symbiosis Corporation Pinch valve
SE505125C2 (sv) * 1995-10-10 1997-06-30 Gambro Ab Kateter, särskilt för peritonealdialys
US5827218A (en) * 1996-04-18 1998-10-27 Stryker Corporation Surgical suction pool tip
US6435183B1 (en) * 1998-09-23 2002-08-20 Brentwood Medical Technology Corp. Flow sensing device
DE102007039581A1 (de) * 2007-08-22 2009-02-26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Zugangs zu einem Patienten
ES2380303T3 (es) * 2008-07-29 2012-05-10 Carefusion 207, Inc. Ensamblaje de válvula para sistemas respiratorios
US9233195B2 (en) * 2008-09-24 2016-01-12 Art, Limited Composite irrigation/aspiration needle with ball tip
CN103391791A (zh) * 2010-11-26 2013-11-13 伯尔尼大学校长 抽吸冲洗装置
US20150025311A1 (en) * 2013-03-15 2015-01-22 Jeffrey S. Kadan Small single-port arthroscopic lavage, directed tissue drying, biocompatible tissue scaffold and autologous regenerated cell placement delivery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1467A1 (en) * 2004-01-30 2005-08-04 Jaime Landman Multiple function surg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811508WA (en) 2019-01-30
CN109414530A (zh) 2019-03-01
AU2017282721A1 (en) 2019-01-03
WO2017219070A1 (en) 2017-12-28
EP3474917A1 (en) 2019-05-01
KR20190031244A (ko) 2019-03-25
NZ749215A (en) 2020-11-27
US20190336677A1 (en) 2019-11-07
EP3474917A4 (en) 2020-02-19
AU2017282721B2 (en)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392B1 (ko) 흡입 및 관주 장치
EP1991288B1 (en) Endoscopic suction device
ES2599855T3 (es) Sistema de aspiración para dispositivos médicos oftálmicos
US6464498B2 (en) Irrigation and aspiration handpiece
US20190269845A1 (en) Combination Suction and Irrigation Hand Tool
US6478781B1 (en) Anterior chamber stabilizing device for use in eye surgery
EP1281377B1 (en) Surgical flow restrictor and filter
EP1389458A1 (en) Medical rinsing and sucking device
US20020022810A1 (en) Non-linear flow restrictor for a medical aspiration system
US20060173426A1 (en) Aspiration system for orthopedic medical devices
US20240139458A1 (en) Tracheal intubation device for delivery of apneic oxygenation and suction
EP2854728B1 (en) Surgical handpiece having directional fluid control capabilities
US20070016136A1 (en) Suction hand-piece device with variable control off/on valve
CN110740765A (zh) 真空辅助式冲洗泵
US8475402B2 (en) Aspiration system for medical devices
NZ749215B2 (en) Suction and irrigation apparatus
US202101004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ureteroscope irrigation device
CN111450375A (zh) 吸氧面罩
WO2006074257A2 (en) Aspiration system for orthopedic medical devices
JP2006230428A (ja) 医療用具
KR20210078988A (ko) 초음파 전달 장치를 역류방지장치 중심축에 포함한 콘돔형 스케일러팁
Drews A New Infusion-Aspiration System for Extracapsular Cataract Surg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