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314B1 - 전기레인지 - Google Patents

전기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314B1
KR102426314B1 KR1020180026558A KR20180026558A KR102426314B1 KR 102426314 B1 KR102426314 B1 KR 102426314B1 KR 1020180026558 A KR1020180026558 A KR 1020180026558A KR 20180026558 A KR20180026558 A KR 20180026558A KR 102426314 B1 KR102426314 B1 KR 102426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base
jaw
pedestal
rad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5888A (ko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6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314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레인지의 발열체를 설치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레인지는 바닥을 구비하는 베이스, 전기를 이용하여 발열할 수 있는 발열체 및 복수 개로 설치되어 상기 발열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발열체의 하면을 떠받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는 상기 안착부에 상기 발열체의 둘레 방향의 양측에서 각각 접하는 제1 턱, 상기 안착부에 상기 발열체의 반경 방향의 외측에서 접하는 제2 턱 및 상기 안착부에 상기 발열체의 반경 방향의 내측에서 접하는 제3 턱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유동을 방지하며, 상기 제2 턱은 상기 베이스의 바닥 중 일부분이 절개되어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대해 상기 발열체의 반경 방향의 내측을 향해 예각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것 또는 상기 제3 턱은 상기 베이스의 바닥 중 일부분이 절개되어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대해 상기 발열체의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예각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레인지 {ELECTRIC RANGE}
본 발명은 전기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레인지의 발열체를 설치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이라이트, 인덕션 등의 전기레인지는 가스가 유출되거나 화염이 번질 위험이 없어 가스레인지를 대체하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레인지에서 발열체가 상판에 긴밀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베이스상에 예컨대 판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데, 이를 위해 베이스에 판 스프링을 나사로 고정하고, 다시 판 스프링에 발열체를 나사로 고정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에 의하면 다수의 나사를 사용해야 되기 때문에 조립 과정이 복잡하고 불편하며, 관련 부품의 무게로 전기레인지 전체의 무게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전기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레인지는 바닥을 구비하는 베이스, 전기를 이용하여 발열할 수 있는 발열체 및 복수 개로 설치되어 상기 발열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발열체의 하면을 떠받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는 상기 안착부에 상기 발열체의 둘레 방향의 양측에서 각각 접하는 제1 턱, 상기 안착부에 상기 발열체의 반경 방향의 외측에서 접하는 제2 턱 및 상기 안착부에 상기 발열체의 반경 방향의 내측에서 접하는 제3 턱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유동을 방지하며, 상기 제2 턱은 상기 베이스의 바닥 중 일부분이 절개되어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대해 상기 발열체의 반경 방향의 내측을 향해 예각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것 또는 상기 제3 턱은 상기 베이스의 바닥 중 일부분이 절개되어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대해 상기 발열체의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예각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져, 끝단이 상기 베이스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발열체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며, 홀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체결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편의 홀에 삽입되는 체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두 개의 C자형이 동일 평면상에서 그 C자형의 끝단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형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착부에서 각 C자형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각각 연장된 형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안착부에서 각 C자형의 타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다가 서로 만나는 형태의 와이어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받침대가 결과적으로 복수 회 절곡된 단일의 와이어로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턱은 상기 베이스의 바닥 중 일부분이 절개되어 절곡됨으로써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턱은 상기 안착부를 덮도록 더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레인지는 받침대가 베이스의 바닥에 안착되어 발열체의 하면을 받치는데, 베이스의 바닥 중 일부분이 절개되어 절곡됨으로써 턱이 형성되어 받침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그 절곡되는 방향에 따라 받침대를 베이스의 바닥에서 특정한 방향으로 밀어 넣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체결편이 발열체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데, 체결편은 홀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에 받침대의 일부분이 체결편의 홀에 삽입됨으로써 발열체의 회전이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베이스에 받침대를 설치하고, 받침대에 발열체를 설치할 때 별도의 나사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립 과정이 단순하고 간편할 뿐만 아니라, 받침대와 발열체의 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베이스의 바닥 중 턱이 위치한 영역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에서 받침대를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100)의 사시도로서,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100)의 받침대(13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100)의 베이스(110)의 바닥 중 양측 턱(111), 외측 턱(112) 및 내측 턱(113)이 위치한 영역의 사시도로서, 도 3a는 각 턱(111, 112, 113)이 모두 형성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그 턱(111, 112, 113)이 형성되기 위한 절개선과 절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100)에서 받침대(130)를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전기레인지(100)는 베이스(110), 발열체(120), 받침대(130) 및 체결편(140)을 포함한다.
물론 그밖에 전기레인지(100)의 통상적인 작동을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들도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판,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들은 공지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그로부터 쉽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정도에 불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베이스(110)는 발열체(120), 받침대(130) 및 기타 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대체적으로 평평한 바닥을 구비한다.
발열체(120)는 전기 저항을 이용하여 발열할 수 있는 것으로, 흔히 원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도 생략한다.
받침대(130)는 베이스(110)의 바닥에 안착되어 발열체(120)의 하면을 떠받친다. 이때 받침대(130)는 복수 개로 설치되어 발열체(120)의 둘레 방향(CD)을 따라 배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더 참조하면 받침대(130)는 안착부(131), 지지부(132) 및 체결부(133)를 구비한다.
안착부(131)는 베이스(110)의 바닥에 전체적으로 안착된다.
도면에서 안착부(131)는 두 개의 각진 C자형이 동일 평면상에서 그 C자형의 끝단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형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지지부(132)는 안착부(13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데, 베이스(110)의 바닥에 대해 발열체(120)의 반경 방향(RD)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안착부(131)가 베이스(110)의 바닥에 안착되어 있을 때 지지부(132)의 끝단이 베이스(11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32)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32)는 발열체(120)의 하면을 떠받치는 역할을 하는데, 이에 의하면 발열체(120)를 탄성적으로 떠받침으로써 완충 효과를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열체(120)가 상판(미도시)의 저면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도면에서 지지부(132)는 안착부(131)에서 각 C자형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각각 연장된 형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체결부(133)는 안착부(131) 중 지지부(132)의 반대편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도면에서 체결부(133)는 안착부(131)에서 각 C자형의 타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다가 서로 만나는 형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전술한 예시에 의하면 받침대(130)는 결과적으로 복수 회로 절곡된 단일의 와이어로 일체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면 받침대(130)를 보다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더욱 경량화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110)의 바닥에는 턱(111, 112, 113)이 형성되어 받침대(130)의 유동을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더 참조하면 베이스(110)의 바닥에는 양측 턱(111), 외측 턱(112) 및 내측 턱(113)이 형성된다.
양측 턱(111)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30)의 안착부(131)에 둘레 방향(CD)의 양측에서 각각 접하도록 베이스(110)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된다. 이에 받침대(130)가 베이스(110)의 바닥에서 둘레 방향(CD)으로 유동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외측 턱(112)은 받침대(130)의 안착부(131)에 발열체(120)의 반경 방향의 외측에서 접하도록 베이스(110)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된다. 이에 받침대(130)가 베이스(110)의 바닥에서 반경 방향(RD)의 외측으로, 즉 발열체(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턱(113)은 받침대(130)의 안착부(131)에 발열체(120)의 반경 방향의 내측에서 접하도록 베이스(110)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된다. 이에 받침대(130)가 베이스(110)의 바닥에서 반경 방향(RD)의 내측으로, 즉 발열체(12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양측 턱(111), 외측 턱(112) 및 내측 턱(113)은 베이스(110)의 바닥 중 일부분이 도 3b의 실선을 따라 절개된 후 도 3b의 1점 쇄선을 따라 상방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양측 턱(111)은 안착부(131)를 덮도록 도 3b의 파선을 따라 더 절곡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받침대(130)가 베이스(11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외측 턱(112)은 베이스(110)의 바닥에 대해 반경 방향(RD)의 내측을 향해 예각으로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또는 내측 턱(113)이 베이스(110)의 바닥에 대해 반경 방향(RD)의 외측을 향해 예각으로 경사지게 절곡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후자의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30)를 베이스(110)의 바닥에서 양측 턱(111) 사이를 통해 반경 방향(RD)의 외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설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받침대(130)를 반경 방향(RD)의 외측으로 밀어 넣으면 받침대(130)가 내측 턱(113)에 먼저 닿게 될 것이다. 하지만 내측 턱(113)은 반경 방향(RD)의 외측을 향해 예각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받침대(130)를 더욱 압박함에 따라 내측 턱(113)의 경사가 작아지게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이로써 내측 턱(113)이 수평하게 되면 받침대(130)가 내측 턱(113) 너머로 지나갈 수 있게 되며, 이후 받침대(130)가 완전히 통과하고 나면 내측 턱(113)이 다시 원위치로 경사지게 복원되어 받침대(130)가 반경 방향(RD)의 내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체결편(140)은 발열체(12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데, 발열체(120)로부터 반경 방향(RD)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된다. 또한 체결편(140)은 수직으로 홀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체결편(140)은 받침대(130)에 상응하는 개수로 설치되어, 그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받침대(130)의 체결부(133)가 체결편(140)의 홀에 삽입됨으로써, 발열체(120)가 회전하거나 유동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구조에 의하면 받침대(130)를 설치하고 발열체(120)를 설치할 때 별도의 나사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립 과정이 단순하고 간편한 이점이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진다. 한편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하게 개량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이나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6)

  1. 바닥을 구비하는 베이스,
    전기를 이용하여 발열할 수 있는 발열체 및
    복수 개로 설치되어 상기 발열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발열체의 하면을 떠받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는 상기 안착부에 상기 발열체의 둘레 방향의 양측에서 각각 접하는 제1 턱, 상기 안착부에 상기 발열체의 반경 방향의 외측에서 접하는 제2 턱 및 상기 안착부에 상기 발열체의 반경 방향의 내측에서 접하는 제3 턱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유동을 방지하며,
    상기 제2 턱은 상기 베이스의 바닥 중 일부분이 절개되어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대해 상기 발열체의 반경 방향의 내측을 향해 예각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것 또는 상기 제3 턱은 상기 베이스의 바닥 중 일부분이 절개되어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대해 상기 발열체의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예각으로 경사지게 절곡되고,
    상기 발열체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발열체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며, 홀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체결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편의 홀에 삽입되는 체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안착부는 두 개의 C자형이 동일 평면상에서 그 C자형의 끝단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형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착부에서 각 C자형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각각 연장된 형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안착부에서 각 C자형의 타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다가 서로 만나는 형태의 와이어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받침대가 결과적으로 복수 회 절곡된 단일의 와이어로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져, 끝단이 상기 베이스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전기레인지.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턱은 상기 베이스의 바닥 중 일부분이 절개되어 절곡됨으로써 각각 형성되는 전기레인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턱은 상기 안착부를 덮도록 더 절곡되는 전기레인지.
KR1020180026558A 2018-03-06 2018-03-06 전기레인지 KR102426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558A KR102426314B1 (ko) 2018-03-06 2018-03-06 전기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558A KR102426314B1 (ko) 2018-03-06 2018-03-06 전기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888A KR20190105888A (ko) 2019-09-18
KR102426314B1 true KR102426314B1 (ko) 2022-07-28

Family

ID=68070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558A KR102426314B1 (ko) 2018-03-06 2018-03-06 전기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3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521Y1 (ko) * 2004-02-13 2004-05-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콘 실외열교환기의 베이스조립구조
KR100771628B1 (ko) * 2006-05-11 2007-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레인지
KR200484443Y1 (ko) * 2016-04-15 2017-09-19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의 버너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521Y1 (ko) * 2004-02-13 2004-05-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콘 실외열교환기의 베이스조립구조
KR100771628B1 (ko) * 2006-05-11 2007-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레인지
KR200484443Y1 (ko) * 2016-04-15 2017-09-19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의 버너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888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2611B (fi) Elkokplatta med temperaturbegraensare
EP1444933B1 (en) Cooking apparatus
KR102426314B1 (ko) 전기레인지
TWI227771B (en) Grate
MX2008014352A (es) Estufa tipo parrilla, dispositivo de soporte de calentador de la estufa tipo parrilla y resorte de soporte de calentador de la estufa tipo parrilla.
KR101238105B1 (ko) 전기 오븐
KR100658839B1 (ko) 가열부재의 설치구조
US2274348A (en) Heating device
WO2016082894A1 (en) Framework for installing built-in type cooking appliance
JP5425125B2 (ja) 加熱調理器
US3171947A (en) Electric heater assemblies
US3042785A (en) Electric heating unit
US20080163859A1 (en) Adjustable quick install/remove stove guard
KR101651209B1 (ko) 이중 탄소히터를 가진 전기 레인지
US3482079A (en) Self-adjusting hinge for surface heating unit
EP2746672B1 (fr) Table de cuisson comprenant un unique moyen de détection de température
EP0142452B1 (fr) Couvercle de cuisinières ou appareils de chauffage
CN209782818U (zh) 地暖储热水箱安装支架
US2001995A (en) Electric resistance heating element
KR100705071B1 (ko) 가열부재의 설치구조
US3042784A (en) Electric heating unit
KR960002819Y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내솥 가이드 장치
WO2017168376A1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y
US20230010723A1 (en) Cooking plate and a procedure for mounting a cooking plate
KR20060013773A (ko) 가열부재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