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313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313B1
KR102426313B1 KR1020170044721A KR20170044721A KR102426313B1 KR 102426313 B1 KR102426313 B1 KR 102426313B1 KR 1020170044721 A KR1020170044721 A KR 1020170044721A KR 20170044721 A KR20170044721 A KR 20170044721A KR 102426313 B1 KR102426313 B1 KR 102426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 tray
connection part
discharge pipe
main body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326A (ko
Inventor
강동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4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313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의 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코크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코크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은 물을 받을 수 있도록 개방되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그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이 형성되는 물받이 및 상기 본체 상에 거치되어 상기 배출관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물받이가 상기 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배출관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본체에 대해 소정의 유격이 허용되도록 설치되는 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정수기는 물탱크와 코크를 구비하는 본체 및 물받이를 포함한다. 물탱크의 물은 코크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며, 물받이는 본체에 결합되어 코크로부터 떨어지는 잔수를 받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물받이에는 그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이 형성되고, 배출관에는 배수관이 삽입되어 적절한 장소로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물받이의 물이 배출관과 배수관을 따라 흘러 정해진 장소에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물받이가 본체에 결합될 때 배출관과 배수관이 제대로 연결되지 않으면, 그 사이의 틈으로 의도치 않은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예컨대 제조나 조립상 오차 또는 사용상 변형에 기인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출관과 배수관 사이에 상기 틈을 보상할 수 있을 정도로 큰 실링 부재를 설치하는 방안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에 의하면 배출관과 배수관 간의 과도한 억지 끼워 맞춤으로 인해 오히려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물받이가 결합될 때 의도치 않은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받이가 결합될 때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코크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코크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은 물을 받을 수 있도록 개방되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그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이 형성되는 물받이 및 상기 본체 상에 거치되어 상기 배출관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물받이가 상기 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배출관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본체에 대해 미리 정해진 유격이 허용되도록 설치되는 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은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는 밑판 및 상기 밑판 중 상기 물받이 측에 이웃하게 되는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거치대를 구비하여, 상기 측벽의 상단에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가 상기 지지부 상에 거치되되, 상기 연결부의 유격이 허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보다 상기 지지부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후크 또는 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후크 또는 상기 홀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연결부가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되, 상기 연결부의 유격이 허용될 수 있도록 상기 후크보다 상기 홀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측벽 중 상기 물받이에 가까운 일면에 접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물받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저지할 수 있는 걸림 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측벽 중 상기 물받이로부터 먼 일면에 접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물받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저지할 수 있는 걸림 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돌기 또는 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에는 상기 돌기 또는 상기 홈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물받이가 상기 본체에 결합될 수 있되, 상기 물받이가 상기 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돌기와 상기 홈 간의 삽입보다 상기 배출관과 상기 배수관 간의 연결이 먼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 또는 상기 배수관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배출관과 상기 배수관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관은 그 관의 반경 방향으로 유격이 허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물받이가 본체에 결합될 때, 물받이의 배출관과 본체 상에 거치되는 배수관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배수관이 본체에 대해 소정의 유격이 허용됨으로써, 물받이와 배출관이 서로 정확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배수관의 위치가 일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이로써 배출관과 배수관 사이에 무리하게 큰 실링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조립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본체와 물받이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상태를 그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물받이와 배수관 및 거치대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와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배수관의 연결부가 거치대의 지지부 상에 거치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를 그 위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본체(100)와 물받이(200)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상태를 그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정수기는 본체(100), 물받이(200) 및 배수관(30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물탱크(미도시)와 코크(110)를 구비하여, 상기 물탱크의 물이 코크(110)를 통해 외부로 공급된다. 다만 이를 위한 전체적인 구성은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체(100)는 배수관(300)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120)를 더 구비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물받이(200)는 코크(110)의 하측에 위치하여, 본체(100)에 결합된다. 물받이(200)는 코크(110)로부터 떨어지는 잔수를 받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쓰고 남은 물을 버리면 이를 받는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물받이(20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여, 상면(200a)이 개방된다. 또한 물받이(200)에는 그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이어져, 상기 내부 공간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210)이 형성된다.
또한 물받이(200)는 전술한 역할상 물기로 인해 각종 세균이 증식하거나 물때가 끼기 쉽다. 따라서 물받이(200)는 오염 시 본체(100)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물받이(200) 중 본체(100)에 결합되는 방향의 일면(200b)에는 돌기(220)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100)에는 그 돌기(220)에 대응되는 홈(130)이 형성된다. 이에 돌기(220)가 홈(130)에 삽입됨으로써 물받이(200)와 본체(1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반대로 물받이(200)에 홈이 형성되고, 본체(100)에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200)에 돌기(220)가 형성되고, 본체(100)에 홈(130)이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배수관(300)은 연결부(310)와 연장부(320)로 이루어진다.
연결부(310)는 물받이(200)의 배출관(210)에 연결되기 위한 부분으로서, 관 형상으로 성된다. 이때 배출관(210)이 연결부(310)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연결부(310)가 배출관(210)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310)와 배출관(210) 사이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 부재(S)가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배출관(210)의 외주면에 실링 부재(S)가 설치되어, 배출관(210)이 연결부(310)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310)에는 후크(311), 전방 걸림 턱(312) 및 후방 걸림 턱(313)이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연장부(320)는 연결부(310)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이다. 이로써 배수관(300)은 물받이(200)의 배출관(210)을 통해 배출된 물을 적절한 장소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연장부(320)는 별도의 저수조나 하수도로 이어질 수 있다. 이때 연장부(320)는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하도록, 즉 다소 휘어지거나 일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탄성 소재나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결부(310)로부터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배출관(210)을 통해 배출된 물이 그 위치 에너지에 의해 저절로 흘러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배수관(300)은 정수기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내부에 매설된다. 이를 위해 배수관(300)은 본체(100) 중 물받이(200)가 결합되는 일면(100a)으로부터 타면(100b)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310)는 물받이(200)의 돌기(220)가 본체(100)의 홈(130)에 삽입될 때 배출관(210)이 위치하게 되는 지점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체(100)와 물받이(200)가 돌기(220)와 홈(130)을 통해 서로 결합되면, 연결부(310)와 배출관(210)도 자연스럽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때 만약 제조나 조립상 오차 또는 사용상 변형으로, 물받이(200)의 돌기(220)가 본체(100)의 홈(130)에 삽입될 때 배출관(210)과 연결부(310)의 중심이 서로 어긋나게 되면, 배출관(210)과 연결부(310)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그 틈으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만약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실링 부재(S)의 직경을 더 크게 형성한다면, 배출관(210)과 연결부(310) 간의 과도한 억지 끼워 맞춤으로, 일반 사용자가 물받이(200)를 본체(100)에 결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배수관(300)은 본체(100)에 대해 소정의 유격이 허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연결부(310)와 배출관(210)이 제대로 연결될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물받이(200)와 배수관(300) 및 거치대(120)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와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배수관(300)의 연결부(310)가 거치대(120)의 지지부(122'-1) 상에 거치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은 도 5의 상태를 그 위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나타낸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체(100)는 배수관(300)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120)를 구비한다.
거치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121)과 그 밑판(121)의 둘레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측벽(122)으로 이루어진다. 측벽(122)은 밑판(121)의 전체적인 둘레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밑판(121) 중 물받이(200)에 이웃하는 모서리를 포함하는 일부 둘레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밑판(121) 중 물받이(200) 측에 이웃하게 되는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을 도면 부호로 구별하여 측벽(122')이라 한다.
이때 측벽(122')의 상단에는 대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배수관(300)의 연결부(3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22'-1)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단지 연결부(310)를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지지부(122'-1) 상에 놓는 단순한 방식으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벽(122')에는 홈 또는 홀(122'-2)이 형성되고, 연결부(310)에는 그 홀(122'-2)에 체결될 수 있는 후크(311)가 형성된다. 이에 후크(311)가 홀(122'-2)에 체결됨으로써 연결부(310)가 지지부(122'-1)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후크(311)가 후방 걸림 턱(313)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전방 걸림 턱(312)이나 연결부(310)의 외주면 상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와 반대로 측벽(122')에 후크가 형성되고, 연결부(310)에 홀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이때 지지부(122'-1)는 연결부(310)보다 크게 형성된다. 가령 지지부(122'-1)의 하부가 반원 형상이라면, 그 반원의 직경은 연결부(3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측벽(122')의 홀(122'-2)은 후크(311)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측벽(122')에 나란한 평면에 의한 단면을 가상해 본다면, 홀(122'-2)의 면적은 후크(311)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310)가 지지부(122'-1)에 의해 지지되어 후크(311)가 홀(122'-2)에 체결된 상태에서, 거치대(120)에 대해 상하좌우로 소정의 유격이 허용될 수 있다. 즉 연결부(310)가 지지부(122'-1)에 의해 제한되는 공간 내에서 유동할 수 있는 범위 또는 후크(311)가 홀(122'-2)에 의해 제한되는 공간 내에서 유동할 수 있는 범위만큼의 유격이 허용된다.
연결부(310)의 전방 걸림 턱(312)은 측벽(122') 중 물받이(200)를 바라보는 일면(122'a)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전방 걸림 턱(312)은 연결부(310)가 지지부(122'-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물받이(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없도록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후방 걸림 턱(313)은 측벽(122') 중 그 반대편의 타면(122'b)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후방 걸림 턱(313)은 연결부(310)가 지지부(122'-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물받이(2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없도록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물받이(200)가 본체(100)에 결합될 때(도 2 참조), 본체(100)의 홈(130)과 물받이(200)의 돌기(220) 간의 거리보다 물받이(200)의 배출관(210)과 배수관(300)의 연결부(310) 간의 거리가 더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홈(130)의 입구 부분과 연결부(310)의 끝단이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돌기(220)의 끝단보다 배출관(210)의 끝단이 더 길게 돌출됨으로써, 배출관(210)과 연결부(310) 간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형성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정수기의 구성에 기초하여, 이하 물받이(200)를 본체(100)에 결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물받이(200)를 본체(100)에 결합하기 위해 물받이(200)를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받이(200)의 돌기(220)의 끝단보다 배출관(210)의 끝단이 더 길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기(220)가 본체(100)의 홈(130)에 삽입되기 이전에 배출관(210)이 배수관(300)의 연결부(310)의 내부로 먼저 삽입된다. 이후 물받이(200)를 화살표 방향으로 더 움직이면, 이제 돌기(220)가 홈(130)에 삽입된다.
이때 제조나 조립상 오차 또는 사용상 변형으로, 배출관(210)과 배수관(300)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홈(130)과 돌기(220)의 중심이 서로 어긋나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연결부(310)가 본체(100)에 대해 소정의 유격이 허용될 수 있으므로, 배출관(210)과 연결부(310)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홈(130)과 돌기(220)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도록, 결과적으로 물받이(200)가 본체(100)에 제대로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부(31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310)의 위치가 변하는 양상에 따라 연장부(320)가 휘어지거나 줄어들거나 늘어나는 등으로 대응하여 변형될 것이다.
반면 연결부(3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방 걸림 턱(312)에 의하여, 거치대(120)에 대해 물받이(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는 유동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물받이(200)를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일 때, 연결부(310)가 뒤로 밀려가지 않도록 하여, 배출관(210)이 연결부(310)의 내부로 제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10)는 후방 걸림 턱(313)에 의하여 거치대(120)에 대해 물받이(2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도 유동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물받이(200)를 본체(1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도 1의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때, 연결부(310)가 앞으로 딸려 나오지 않도록 하여, 배출관(210)과 연결부(310)가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연장부(320)에 과도한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진다. 한편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하게 개량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이나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물을 공급하기 위한 코크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코크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은 물을 받을 수 있도록 개방되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그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이 형성되는 물받이 및
    상기 본체 상에 거치되어 상기 배출관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물받이가 상기 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배출관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본체에 대해 미리 정해진 유격이 허용되도록 설치되는 배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는 밑판 및 상기 밑판 중 상기 물받이 측에 이웃하게 되는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거치대를 구비하여, 상기 측벽의 상단에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가 상기 지지부 상에 거치되되,
    상기 연결부의 유격이 허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보다 상기 지지부가 더 크게 형성되는 정수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후크 또는 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후크 또는 상기 홀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연결부가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되,
    상기 연결부의 유격이 허용될 수 있도록 상기 후크보다 상기 홀이 더 크게 형성되는 정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측벽 중 상기 물받이에 가까운 일면에 접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물받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저지할 수 있는 걸림 턱이 형성되는 정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측벽 중 상기 물받이로부터 먼 일면에 접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물받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저지할 수 있는 걸림 턱이 형성되는 정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정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정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돌기 또는 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에는 상기 돌기 또는 상기 홈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물받이가 상기 본체에 결합될 수 있되,
    상기 물받이가 상기 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돌기와 상기 홈 간의 삽입보다 상기 배출관과 상기 배수관 간의 연결이 먼저 이루어지는 정수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 또는 상기 배수관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배출관과 상기 배수관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관은 그 관의 반경 방향으로 유격이 허용되는 정수기.
KR1020170044721A 2017-04-06 2017-04-06 정수기 KR102426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721A KR102426313B1 (ko) 2017-04-06 2017-04-06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721A KR102426313B1 (ko) 2017-04-06 2017-04-06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326A KR20180113326A (ko) 2018-10-16
KR102426313B1 true KR102426313B1 (ko) 2022-07-28

Family

ID=64132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721A KR102426313B1 (ko) 2017-04-06 2017-04-06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3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08Y1 (ko) * 2009-03-26 2009-10-08 (주)현대큐시스 급수대 커버가 장착된 정수기
KR200454051Y1 (ko) * 2010-11-19 2011-06-15 김정인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084B1 (ko) * 2012-09-17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08Y1 (ko) * 2009-03-26 2009-10-08 (주)현대큐시스 급수대 커버가 장착된 정수기
KR200454051Y1 (ko) * 2010-11-19 2011-06-15 김정인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326A (ko)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8580B2 (en) Foam dam for appliance
JP6454110B2 (ja) 防振クランプ
JP6200097B2 (ja) 弁ケースの取付構造
CN101443505B (zh) 用于将软管固定到家用器具的构件上的组件
CN105552623A (zh) 插座
JP6433011B2 (ja) 燃料供給装置
KR102426313B1 (ko) 정수기
JP7010651B2 (ja) 燃料タンク用弁装置
JP6260865B2 (ja) 燃料供給装置
KR20190056022A (ko) 오버슬램범퍼
KR101181245B1 (ko) 차량용 배수플러그
JP6415075B2 (ja) 燃料供給装置
CN107084522B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101059559B1 (ko) 체크밸브
KR101425358B1 (ko) 수도계량기 박스유닛
KR200483910Y1 (ko)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장치 설치 구조
KR100975893B1 (ko) 가스 계량기 지지대
AU2010246459B2 (en) Downlight Housing
JP2017031703A (ja) 排水ソケット
KR101660124B1 (ko) 덕트 고정 장치
CN208541882U (zh) 滤芯与水路板的连接结构及其净水器
KR100527146B1 (ko) 연료 주입구 장착용 고무커버
WO2019228460A1 (zh) 支架及具有该支架的洗衣机
KR102573991B1 (ko) 건축용 누수방지창틀
CN210351954U (zh) 变频器及其微通道散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