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358B1 - 수도계량기 박스유닛 - Google Patents

수도계량기 박스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358B1
KR101425358B1 KR1020140012532A KR20140012532A KR101425358B1 KR 101425358 B1 KR101425358 B1 KR 101425358B1 KR 1020140012532 A KR1020140012532 A KR 1020140012532A KR 20140012532 A KR20140012532 A KR 20140012532A KR 101425358 B1 KR101425358 B1 KR 101425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ox
water
vibratio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밸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밸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밸브
Priority to KR1020140012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2Arrangement of flowme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 박스유닛에 관한 것으로, 마주하는 양측 하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박스(11), 상기 박스의 내부에서 관통홀에 근접하여 대향 배치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인입관(IN) 및 출수관(OUT)과 연결되어 용수의 흐름을 전환시키는 이음관(12,13), 용수 계량을 위한 부속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이음관의 각 상단부와 연결되어 인입관 및 출수관의 연통을 매개하는 연결관(14), 및 상기 이음관 또는 연결관의 위치를 고정시켜 이음관 및 연결관의 진동을 억제하는 진동저감부재(100;200;30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계량기 등의 부속장치가 장착되는 관의 진동 및 소음을 억제하고 견고한 설치 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수도계량기 박스유닛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수도계량기 박스유닛{Box unit for water-meter}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 박스유닛에 관한 것으로, 계량기 등의 부속장치가 장착되는 이음관 및 연결관의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억제하고 견고한 설치 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수도계량기 박스유닛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용수는 인입관과 출수관을 통하여 공급되는데, 이러한 인입관과 출수관 사이에는 계량기가 장착된 연결관 및 조립 엘보가 차례로 설치되며, 상기 계량기 및 연결 부분은 박스에 의해 보호된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가정용 수도계량기 박스유닛에 대해 국내등록특허 제10-1015169호를 통해 제시한 바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된 국내등록특허 제10-1015169호에 개시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도계량기 박스유닛(1)은 내부 설치공간을 갖는 중공형 박스(11)와, 상기 박스(11)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위치 고정되는 이음관(12,13)과, 계량기(15)가 장착되고 상기 이음관(12,13) 사이에 연장되는 연결관(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박스(11)의 마주하는 양측 하단부에는 관통 홀(16)이 형성되어, 이 관통 홀을 통하여 용수 인입관(IN) 및 출수관(OUT)의 단부와 각 이음관(12,13)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관(14)을 포함하여 급수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수도계량기 박스유닛(1)에 있어서, 이음관(12,13)은 하측 수평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고정편(22)이 구비되며, 상기 박스(11) 바닥면(11a)에는 상기 고정편(22)에 대응하는 고정용 마운트(17a,17b)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용 마운트(17a,17b) 중의 한쪽(인입관측) 마운트(17a)는 고정편(22)이 유동가능하게 안착되는 레일 구조를 이루고, 나머지 다른 쪽(출수관측) 마운트(17b)는 고정편(22)을 관통한 고정핀이 끼워지게 복수의 장착공이 일렬로 배치된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이음관(12,13) 및 연결관(14)의 연결 시공 시, 인입관(IN)과 출수관(OUT)과의 위치 편차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조립의 완성도 및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계량기용 박스유닛은 상술한 바와 같은 조립 및 설치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원활한 급수를 위해 소정 압의 용수를 이동시키게 되는 급수라인은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진동으로 인해 각종 연결부분(급수라인의 마운트 부분 및 이음관, 연결관의 조인트 부분)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크게는 마운트 혹은 연결부분이 헐거워져 누수의 문제가 있다.
특히 용수의 급격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이음관(12,13)과 계량기, 감압밸브, 앵글밸브 등의 부속장치들의 무게 및 조작력이 집중되는 연결관(14)에는 과도한 진동발생이 야기된다.
(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5169호(2011.02.17)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계량기, 감압밸브, 앵글밸브 등의 부속장치를 장착하기 위해 인입관 및 출수관으로부터 방향전환 연결되는 이음관 및 연결관에서의 진동 발생을 차단하여 급수라인의 견고한 조립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계량기의 박스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주하는 양측 하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박스(11);
상기 박스의 내부에서 관통홀에 근접하여 대향 배치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인입관(IN) 및 출수관(OUT)과 연결되어 용수의 흐름을 전환시키는 이음관(12,13);
용수 계량을 위한 부속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이음관의 각 상단부와 연결되어 인입관 및 출수관의 연통을 매개하는 연결관(14); 및
상기 이음관 또는 연결관의 위치를 고정시켜 이음관 및 연결관의 진동을 억제하는 진동저감부재(100;200;30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진동저감부재(100;200;300)는, 상기 박스의 바닥면 또는 내측벽에 결합되게 양쪽 끝단에는 결합부가 구비되며, 이음관 또는 연결관의 하단부가 안착되게 중앙 수평부에는 복수의 제1 지지홈이 구비되는 지지부재(110;210;310); 및 이음관 또는 연결관의 상단부에 밀착되게 상기 제1 지지홈과 대응하는 제2 지지홈이 구비되며, 고정핀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 결합되는 복수의 홀딩부재(120;220;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부를 관통한 고정핀이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상기 박스의 바닥면에는 관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형 마운트(1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부에는 압입핀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압입핀이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상기 박스의 바닥면에는 관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형 마운트(2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부재측 결합부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수직레일이 형성된 고정형 마운트(35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진동저감부재를 이용하여 급수라인(이음관, 연결관)을 박스의 바닥면 또는 내측면에 견고히 서포트하여 줌으로써, 박스유닛을 지나면서 용수의 급격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급수라인의 진동, 소음을 견고히 잡아주고, 더불어 급수라인 상에 설치되는 계량기, 감압밸브, 앵글밸브의 위치불량을 견고히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인입관 및 출수관의 위치편차와 무관하게 박스유닛의 유연한 조립이 가능한 것은 물론 급수라인(이음관, 연결관)의 위치편차와 급수라인 상에 설치되는 계량기, 감압밸브, 앵글밸브의 조립위치와 무관하게 진동저감부재의 유연한 조립을 신속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수도계량기용 박스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계량기용 박스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진동저감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진동저감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진동저감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관의 지지 상태를 보이는 부분 횡단면도.
위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히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계량기용 박스유닛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도계량기 박스유닛(10)은 내부 설치공간을 갖는 박스(11)와, 상기 박스(11)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서 위치 고정되는 이음관(12,13)과, 상기 이음관(12,13)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계량기(15), 감압밸브, 앵글밸브 등의 부속장치가 장착되는 연결관(14)을 포함한다.
결국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도계량기 박스유닛(10)과 마찬가지 용수 인입관(IN) 및 출수관(OUT)의 경로 상에 박스(11)를 배치하고, 인입관(IN)과 출수관(OUT)을 이음관(12,13)과 연결관(14)으로 연결하여서 급수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박스(11)는 내부 설치공간을 갖도록 중공 구조를 이루면서 마주하는 양측 하단부에 복수의 관통홀(16)이 형성된다. 또한 박스(111)는 측벽에 형성된 단턱(11c) 치합 구조를 통하여 2단 이상으로 분해 조립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박스(11)에는 바닥면(11a)과 덮개(1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덮개(11b)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박스(11)는 외부에서 내부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고 관리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박스(11)의 실질적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박스 구성과 크게 구별되지 않는다.
이음관(12,13)은 계량기(15), 감압밸브(18:도 2참조) 및 앵글밸브(19:도 2참조) 등 부속장치들의 설치공간을 박스(11)내에 마련하기 위해 인입관(IN)과 출수관(OUT)으로부터 급수라인을 방향 전환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하단 개구가 박스(11)의 관통홀(16)을 통해 내부로 삽입된 인입관(IN) 및 출수관(OUT)과 각각 연결된다. 도면부호 21은 인입관(IN), 출수관(OUT) 및 연결관(14)의 연결을 위하여 이음관(12,13)의 하단 개구 및 상단 개구에 각기 제공되는 너트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관(12,13)은 하단 개구가 인입관(IN) 및 출수관(OUT)과 연결된 다음 수직 상부로 절곡하여 연장되고, 재차 서로 마주하게 수평으로 절곡하여 연장하여서, 전체적으로 S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확히 인입관(IN)측 이음관(12)은 L형을 유지하고 있으나 앵글밸브(19)를 포함하여 볼 때 전체적으로 출수관(OUT) 측 이음관(13)과 마찬가지의 S형의 구조를 만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이음관(12,13)의 서로 마주하는 상단 개구를 연결하는 연결관(14)은 인입관(IN) 및 출수관(OUT)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연결관(14)상에 계량기(15), 감압밸브(18) 및 앵글밸브(19) 부속장치들의 설치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감압밸브(18)는 급수라인에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완화시켜 주기 위해 적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관(12,13)은 인입관(IN) 및 출수관(OUT)과 연결되는 하측 수평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고정편(22)이 구비되며, 박스(11) 바닥면(11a)에는 상기 고정편(22)에 대응하는 마운트(17a,17b)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마운트(17a,17b) 중 한쪽(인입관측) 마운트(17a)는 고정편(22)이 관 길이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안착되는 레일 구조를 이루고, 나머지 다른 쪽(출수관측) 마운트(17b)는 고정편(22)을 관통한 고정핀이 끼워지게 관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장착공이 일렬로 배치된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인입관(IN)과 출수관(OUT)의 위치 편차와 무관하게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이음관(12,13)과 연결관(14)을 포함한 수도박스의 시공을 유연하게 완성시킬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이음관(12,13)의 고정편(22) 및 바닥면(11a)의 마운트(17a,17b) 구조에도 불구하고, 용수의 급격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이음관(12,13)과 계량기(15), 감압밸브(18), 앵글밸브(19) 부속장치들의 무게 및 조작력이 집중되는 연결관(14)에는 여전히 진동 및 소음 현상이 야기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수도계량기 박스유닛(10)에는 이음관(12,13) 및 연결관(14)에서 야기되는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진동저감부재(100;200;30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저감부재(100;200;300)는 이음관(12,13) 또는 연결관(14)의 수평부를 박스(11)에 서포트하여 줌으로써, 용수의 급격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고 계량기, 감입밸브, 앵글밸브 부속장치의 무게 및 조작력이 집중되는 이음관(12,13) 및 연결관(14)에서의 진동, 소음 및 급수라인의 위치불량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진동저감부재(100;200;300)는 관의 길이방향(수평방향) 또는 높이방향(수직방향)으로의 조립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인입관(IN)과 출수관(OUT)의 위치 편차와 무관하게 이음관(12,13)과 연결관(14)의 유연한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진동저감부재(100;200;300)는 이음관(12,13)의 상부 수평부에 결합될 수 있고, 또는 수평 구조의 연결관(14)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음관(12,13)과 연결관(14)이 갖는 길이에 따라서 하나 혹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해 진동저감부재에 대해 설명하여 본다.
도 4는 진동저감부재의 제1 실시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제1 실시 예에 의한 진동저감부재(100)는 지지부재(110)와 홀딩부재(12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10)는 이음관(12,13) 또는 연결관(14)의 수평부 하단을 상기 박스(11) 바닥면(11a)으로부터 일정높이를 유지시키는 부재로써, 결합대(112)와 수평대(115)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역 U자형으로 이루어진다. 수평대(115)에는 이음관(12,13) 또는 연결관(14)의 수평부 하단이 안착되어 밀착되게 복수의 제1 지지홈(116)이 길이방향으로 등 간격을 유지하면서 구비되며, 각 제1 지지홈(116)을 중심으로 양쪽에는 고정핀을 매개로 홀딩부재(120)와 결합되게 관통홀이 형성된 체결부(11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지지홈(116)의 형상은 원형 단면 구조의 관의 하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상응하는 반원 단면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관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그 양쪽 하단을 밀착할 수 있게 양쪽 경사면에 의한 홈 구조를 이루도록 함이 좋다. 결국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관(12,13) 또는 연결관(14)의 직경과 무관하게 관의 하단부를 안정적으로 밀착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평대(115)의 양쪽에서 하방으로 절곡하여 연장되는 결합대(112)의 하단에는 박스(11) 바닥면(11a)과 연결하기 위해 고정핀을 관통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된 결합부(113)가 구비된다.
상기 홀딩부재(120)는 이음관(12,13) 또는 연결관(14)을 사이에 두고 고정핀을 매개로 상기 지지부재(110)와 결합되는 부재로써, 상기 지지부재(110)의 제1 지지홈(116)과 대응하는 제2 지지홈(12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지지홈(121)의 양쪽에는 고정핀을 매개로 지지부재(110)와 결합되게 관통홀이 형성된 체결부(117)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홀딩부재(120)는 지지부재(110)측 제1 지지홈(116)의 개수와 상응하도록 복수의 개수로 마련되어 박스유닛(10)에 배치된 급수라인의 개수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되어 진다.
한편 박스(11)의 바닥면(11a)에는 지지부재(110)의 결합부(113)를 관통한 고정핀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형 마운트(150)가 구비된다. 이로 인해 진동저감부재(100)는 계량기, 감압밸브, 앵글밸브 등의 부속장치를 피해서 진동이 야기되는 특정 지점에 유연한 조립 설치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진동저감부재(100)는 금속성의 급수라인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게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됨이 좋다.
또한 금속성 급수라인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제1,2 지지홈(116,121)에는 탄성이 부여된 시트(미 도시)가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진동저감부재의 제2 실시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제2 실시 예에 의한 진동저감부재(200) 역시 지지부재(210)와 홀딩부재(22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부재(210)의 수평대(215)의 구성과 홀딩부재(220)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다.
다만 박스(11)와 연결되는 지지부재(210)측 결합부(213)의 조립 및 마운트 구조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제2 실시 예에 의한 지지부재(210)의 결합부(213)에는 압입핀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실시 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고정핀을 구성할 필요 없이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형 마운트(250)의 선택된 체결공을 향해 지지부재(210)의 결합부(213)를 압입하여 조립시킬 수 있음으로써, 진동저감부재(200)의 조립을 매우 신속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진동저감부재의 제3 실시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제3 실시 예에 의한 진동저감부재(300) 역시 지지부재(310)와 홀딩부재(32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부재(310)의 수평대(315)의 구성과 홀딩부재(320)의 구성은 전술한 제1,2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다.
다만 제1,2 실시 예와 다르게 제3 실시 예에 의한 진동저감부재(300)는 박스(11)의 높이방향(수직방향)으로 승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박스(11)의 내측면에는 지지부재(310)측 결합부(313)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수직레일이 형성된 고정형 마운트(350)가 구비되어 있다.
결국 제3 실시 예에 의한 진동저감부재(300)는 박스(11) 내측면에 구비된 고정형 마운트(350)의 수직레일을 따라 승강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급수라인의 수직 높이 편차와 무관하게 자유로운 조립과 설치가 가능해진다.
물론 제3 실시 예에 의한 진동저감부재(300)는 박스(11)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급수라인의 수직방향에 대한 진동저감의 특성은 제1,2 실시 예에 비하여 비효율적일 수 있으나, 양쪽 결합부(313)가 고정형 마운트(350)의 수직레일에 결속되어 있음으로써, 급수라인의 수평방향 진동특성을 저감하는 것으로 만족할 정도의 진동저감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도계량기 박스유닛(10)은 진동저감부재(100;200;300)를 이용하여 급수라인(이음관, 연결관)을 박스(11)의 바닥면(11a) 또는 내측면에 견고히 서포트하여 줌으로써, 박스유닛(10)을 지나면서 용수의 급격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급수라인의 진동, 소음을 견고히 잡아주고, 이로써 급수라인 상에 설치되는 계량기, 감압밸브, 앵글밸브의 위치불량을 견고히 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된다.
또한 인입관(IN) 및 출수관(OUT)의 위치편차와 무관하게 박스유닛(10)의 유연한 조립이 가능한 것은 물론, 급수라인(이음관, 연결관)의 위치편차 및 급수라인 상에 설치되는 계량기, 감압밸브, 앵글밸브의 조립위치와 무관하게 진동저감부재(100;200;300)의 유연한 조립을 신속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박스유닛 11: 박스
11a: 바닥면 11b: 덮개
11c: 단턱 IN: 인입관
OUT: 출수관 12: (인입관측) 이음관
13: (출수관측) 이음관 14: 연결관
15: 계량기 16: 관통홀
17a: (레일형) 마운트 17b: (고정용) 마운트
18: 감압밸브 19: 앵글밸브
21: 너트부재 22: 고정편
100,200,300: 진동저감부재 110,210,310: 지지부재
120,220,320: 홀딩부재 150,250,350: 고정형 마운트

Claims (5)

  1. 마주하는 양측 하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박스(11); 상기 박스의 내부에서 관통홀에 근접하여 대향 배치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인입관(IN) 및 출수관(OUT)과 연결되어 용수의 흐름을 전환시키는 이음관(12,13); 용수 계량을 위한 부속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이음관의 각 상단부와 연결되어 인입관 및 출수관의 연통을 매개하는 연결관(14); 및 상기 이음관 또는 연결관의 위치를 고정시켜 이음관 및 연결관의 진동을 억제하는 진동저감부재(100;200;300)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저감부재(100;200;300)는, 상기 박스의 바닥면 또는 내측벽에 결합되게 양쪽 끝단에는 결합부가 구비되며, 이음관 또는 연결관의 하단부가 안착되게 중앙 수평부에는 복수의 제1 지지홈이 구비되는 지지부재(110;210;310); 및 이음관 또는 연결관의 상단부에 밀착되게 상기 제1 지지홈과 대응하는 제2 지지홈이 구비되며, 고정핀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 결합되는 복수의 홀딩부재(120;220;320)로 구성되되,
    상기 박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부재측 결합부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수직레일이 형성된 고정형 마운트(3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박스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12532A 2014-02-04 2014-02-04 수도계량기 박스유닛 KR101425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532A KR101425358B1 (ko) 2014-02-04 2014-02-04 수도계량기 박스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532A KR101425358B1 (ko) 2014-02-04 2014-02-04 수도계량기 박스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358B1 true KR101425358B1 (ko) 2014-08-05

Family

ID=5174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532A KR101425358B1 (ko) 2014-02-04 2014-02-04 수도계량기 박스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3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686A (ko) 2017-01-23 2018-08-01 (주)태양테크 수도계량기함용 배관 지지대
KR20180086707A (ko) 2017-01-23 2018-08-01 (주)태양테크 수도계량기함용 배관 지지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768A (ko) * 2003-08-29 2005-03-08 김내윤 수도미터기 다수개 장착장치.
KR101015169B1 (ko) * 2010-05-28 2011-02-17 주식회사 신흥밸브 수도계량기 박스유닛
KR20120029180A (ko) * 2010-09-16 2012-03-26 이영우 파이프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768A (ko) * 2003-08-29 2005-03-08 김내윤 수도미터기 다수개 장착장치.
KR101015169B1 (ko) * 2010-05-28 2011-02-17 주식회사 신흥밸브 수도계량기 박스유닛
KR20120029180A (ko) * 2010-09-16 2012-03-26 이영우 파이프 고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686A (ko) 2017-01-23 2018-08-01 (주)태양테크 수도계량기함용 배관 지지대
KR20180086707A (ko) 2017-01-23 2018-08-01 (주)태양테크 수도계량기함용 배관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562B1 (ko) 에어 댐핑 마운트
JP3816486B2 (ja) 振動遮断燃料ポンプアッセンブリ
KR102478146B1 (ko) 댐퍼 내장형 엔진마운트
KR101425358B1 (ko) 수도계량기 박스유닛
US20160146167A1 (en) Sealing device
WO2015118809A1 (ja) ガス流量計
WO2015146336A1 (ja) 燃料供給装置
JP6260865B2 (ja) 燃料供給装置
KR101703234B1 (ko) 플렉시블 서포트
JP2015175502A (ja) 流体制御装置および流体制御装置用継手部材
JP2012177349A (ja) エアクリーナの吸気ダクト接続構造
KR101038557B1 (ko) 연료펌프모듈의 진동감쇄구조
KR20090129170A (ko) 에어 댐핑 엔진 마운트
KR102173026B1 (ko) 통신케이블 보호용 맨홀
KR20160001026U (ko) 이중 파이프
KR101272272B1 (ko) 배관의 수축팽창을 흡수하는 내진형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KR20210065893A (ko) 진동-방지 모듈을 위한 분리 요소, 및 상기 분리 요소가 창작된 유압식 진동-방지 모듈
JP6415075B2 (ja) 燃料供給装置
CN203231373U (zh) 油烟机及其水泵组件
KR101015169B1 (ko) 수도계량기 박스유닛
KR101479121B1 (ko) 수격 방지 장치
FR2999666B1 (fr) Dispositif pour amortir les oscillations de pression et absorber la pression de la glace dans un volume de liquide
JP2009185677A (ja) オイルレベル給油ゲージ取付構造
KR20130020157A (ko) 틸팅체크밸브
KR102426313B1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