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941B1 - 도우미로봇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우미로봇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941B1
KR102425941B1 KR1020200168031A KR20200168031A KR102425941B1 KR 102425941 B1 KR102425941 B1 KR 102425941B1 KR 1020200168031 A KR1020200168031 A KR 1020200168031A KR 20200168031 A KR20200168031 A KR 20200168031A KR 102425941 B1 KR102425941 B1 KR 102425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per
user
information
robot
helper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1851A (ko
Inventor
구승엽
황성택
이동욱
원보규
박동원
허준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Publication of KR20210071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 Liquid Crystal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도우미로봇; 및 상기 도우미로봇으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상태정보와 기설정한 기본정보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도우미로봇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도우미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도우미로봇을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미로봇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도우미 시스템을 이용하는 노인 등의 사용자들은, 사람 또는 동물형상의 도우미로봇과 소통하면서 외로움을 달랠 수 있음은 물론, 도우미로봇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맞춤형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받음으로써 생활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우미로봇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Helper system using helper robot}
본 발명은 도우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우미로봇을 이용하여 노인 등의 사용자를 케어할 수 있는 도우미로봇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 인원이 고령화됨에 따라, 노인 등의 고령층에 대한 관리 및 복지제공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국가 또는 지방단체가 고령층에 제공하는 복지서비스만으로는, 고령층의 케어가 충분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노인 등의 고령층을 효율적이고, 섬세하게 케어할 수 있는 보조 수단으로서 인공지능 로봇, 스피커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고가의 인공지능 로봇 또는 스피커 등을 쉽게 구입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인공지능 로봇 또는 스피커 등을 구입하더라도 설치 및 사용방법이 복잡하여 독거노인 등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고령층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친밀한 감정교류가 가능한 도우미로봇의 개발이 필요하며, 또한 도우미로봇 통해 수집된 정보를 사회 전반에 널리 보급된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도우미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19515(2018.11.2.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도우미로봇을 이용하여 노인 등의 사용자에 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상태정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우미로봇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가 거치되는 단말기거치대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단말기의 거치상태에 따라 도우미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도우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도우미로봇; 및 상기 도우미로봇으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상태정보와 기설정한 기본정보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도우미로봇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도우미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도우미로봇을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미로봇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우미로봇은, 터치센서 및 압력센서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부를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도우미로봇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접촉에 대한 접촉정보를 상기 상태정보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미로봇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도우미로봇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기본성향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미로봇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도우미로봇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상태정보와, 기설정한 상기 기본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상태정보와 상기 기본정보의 매칭률이 기설정한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를 이상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도우미로봇이 상기 이상상태의 조치를 위한 도우미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미로봇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우미 시스템을 이용하는 노인 등의 사용자들은, 사람 또는 동물형상의 도우미로봇과 소통하면서 외로움을 달랠 수 있음은 물론, 도우미로봇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맞춤형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받음으로써 생활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우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우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우미 시스템이 단말기거치대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우미 시스템이 단말기거치대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도우미 시스템에 다수의 도우미로봇 및 사용자단말기가 포함된 것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우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우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우미 시스템이 단말기거치대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우미 시스템이 단말기거치대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도우미 시스템에 다수의 도우미로봇 및 사용자단말기가 포함된 것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우미로봇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은,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를 수집하는 도우미로봇(100); 및 도우미로봇(100)으로부터 상태정보(i1)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태정보(i1)와 기설정한 기본정보(i3)에 따라 분석하여, 도우미로봇(100)이 사용자에게 상태정보(i1)에 대응하는 도우미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도우미로봇(100)을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우미로봇(100)은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를 수집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우미로봇(100)은 일예로 동물형상의 로봇이거나, 사람형상의 로봇일 수 있으며, 도우미로봇(100)은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를 수집하기 위한 정보수집모듈(110)을 구비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정보수집모듈(110)은 음성입력부(111), 영상/이미지입력부(113) 및 센서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음성입력부(111)는 일예로 마이크와 같은 장치로 구비되어 도우미로봇(100)에 내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도우미로봇(100)에게 음성에 의한 의사소통을 시도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상태정보(i1)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영상/이미지입력부(113)는 일예로 카메라와 같은 장치로 구비되어, 도우미로봇(100)에 내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도우미로봇(100)을 만지거나 소지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안면 등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대한 영상정보 또는 이미지정보를 상태정보(i1)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센서부(115)는 사용자의 신체가 도우미로봇(100)에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는 소정의 센서들로 구비되어, 도우미로봇(100)에 내장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우미로봇(100)은 터치센서(115-1) 및 압력센서(115-2)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부(115)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도우미로봇(100)에 접촉하는 경우, 접촉에 대한 접촉정보를 상태정보(i1)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15)는 도우미로봇(100)의 각 부위별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가 도우미로봇(100)의 각 부위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경우, 해당 부위의 접촉에 대한 접촉정보를 상태정보(i1)로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우미로봇(100)은 전술한 음성입력부(111), 영상/이미지입력부(113) 및 센서부(115)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우미로봇(100)이 사용자로부터 수집하는 상태정보(i1)는 사용자의 음성정보, 사용자의 영상정보, 사용자의 이미지정보 및 사용자의 접촉정보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우미로봇(100)에는 통신부(130)가 구비되어, 정보수집모듈(110)을 통하여 수집한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를 후술하는 사용자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는데, 통신부(130)는 일예로 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통신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도우미로봇(100)은 후술하는 사용자단말기(2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상태정보(i1)에 대응하는 도우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모듈(150)을 구비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출력모듈(150)은 음성출력부(151), 영상/이미지출력부(153) 및 구동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음성출력부(151)는 일예로 스피커와 같은 장치로 구비되어 도우미로봇(100)에 내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기(2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에 대응하는 도우미서비스로서 소정의 음성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어서, 영상/이미지출력부(153)는 일예로 영상/이미지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비되어 도우미로봇(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기(2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에 대응하는 도우미서비스로서 소정의 영상정보 또는 이미지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어서, 구동부(155)는 도우미로봇(100) 각 부위별로 구비되어, 도우미로봇(100)의 각 부위가 동작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서, 예컨대 도우미로봇(100)이 강아지형상의 로봇인 경우, 도우미로봇(100)의 목 부위나 꼬리 부위에 구동부(15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우미로봇(100)의 각 부위별로 제1구동부(155-1) 및 제2구동부(155-2)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155)는 사용자단말기(2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에 대응하는 도우미서비스로서 소정의 동작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55)는 도우미로봇(100)의 각 부위 중 전술한 센서부(115)가 구비되는 부위에 함께 구비될 수 있고, 도우미로봇(100)의 각 부위 중 어느 하나의 센서부(115)가 사용자의 접촉정보를 상태정보(i1)로 생성한 경우, 해당 부위에 함께 구비되는 구동부(155)가 상태정보(i1)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우미로봇(100)은 상태정보저장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정보수집모듈(110)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는 통신부(130)를 통하여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되거나, 상태정보저장부(170)에 저장될 수 있다.
도우미로봇(100)에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가 저장되는 상태정보저장부(170)가 구비됨에 따라, 도우미로봇(100)과 사용자단말기(200)가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단말기(200)가 상태정보(i1)를 전달받지 못한 경우에는, 추후 통신이 연결되었을 때 상태정보저장부(170)에 저장된 상태정보(i1)를 사용자단말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단말기(200)는 도우미로봇(100)으로부터 상태정보(i1)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태정보(i1)와 기설정한 기본정보(i3)에 따라 분석하여, 도우미로봇(100)이 사용자에게 상태정보(i1)에 대응하는 도우미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도우미로봇(100)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200)는 일예로 스마트폰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단말기는 통신부(210), 상태분석모듈(230) 및 데이터저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210)는 전술한 도우미로봇(100)에 구비된 통신부(130)와 WiFi,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도우미로봇(100)이 수집한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상태분석모듈(230)은 통신부(210)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태정보(i1)와 기설정한 기본정보(i3)에 따라 분석하여, 도우미로봇(100)이 사용자에게 상태정보(i1)에 대응하는 도우미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도우미로봇(100)을 제어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태분석모듈(230)은 기본대응부(231). 성향분석부(233) 및 이상상태분석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기본대응부(231)는 수신한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를 기설정되어 데이터저장부(250)에 저장된 기본정보(i3)와 비교하여, 도우미로봇(100)이 사용자에게 상태정보(i1)에 대응하는 도우미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제공신호(s)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는 사용자의 음성정보, 사용자의 영상정보, 사용자의 이미지정보 및 사용자의 접촉정보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정보(i3)는 상태정보(i1)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정보, 사용자의 영상정보, 사용자의 이미지정보 및 사용자의 접촉정보가 포함되어, 상태정보(i1)가 포함하는 사용자의 음성정보, 사용자의 영상정보, 사용자의 이미지정보 및 사용자의 접촉정보 중 1 이상을 식별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기본정보(i3)에는 식별한 사용자의 음성정보, 사용자의 영상정보, 사용자의 이미지정보 및 사용자의 접촉정보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도우미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기본대응부(231)는 상태정보(i1)와 기본정보(i3)와 비교하여, 식별한 상태정보(i1)에 대응하는 도우미서비스를 추출하고, 도우미로봇(100)이 해당 도우미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서비스제공신호(s)를 생성하여 도우미로봇(100)의 출력모듈(150)을 제어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도우미로봇(100)에게 “지금 기분이 어떻니?”라고 물어보는 경우, 도우미로봇(100)의 음성입력부(111)는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상태정보(i1)로서 생성하고, 사용자단말기(200)의 기본대응부(231)는 사용자의 음성정보에 관한 상태정보(i1)를 데이터저장부(250)에 저장된 기본정보(i3)와 비교하여, 상태정보(i1)가 사용자의 음성정보임을 식별하고, 해당 상태정보(i1)에 대응하는 도우미서비스인 음성 답변정보를 추출한다.
기본대응부(231)는 도우미서비스인 음성 답변정보를 추출한 후 해당 서비스제공신호(s)를 생성하여 도우미로봇(100)이 음성출력부(151)를 통해 “기분이 좋아요”라는 음성 답변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도우미로봇(100)에게 “살려줘” 등의 긴급메세지를 전달하는 경우, 기본대응부(231)는 사용자단말기(200)가 보호자단말기(미도시)로 긴급상태보고 연락을 취하거나, 기저장된 비상연락처로 연락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제공신호(s)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기(200)의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의 신체가 도우미로봇(100)의 각 부위 중 어느 하나의 부위에 접촉하는 경우(사용자가 도우미로봇을 쓰다듬는 경우 등),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하는 부위에 구비된 센서부(115)가 사용자의 접촉정보를 상태정보(i1)로 생성하고, 기본대응부(231)는 도우미서비스로서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하는 부위에 구비된 센서부(115)와 함께 구비되어 있는 구동부(155)가 동작하도록 하는 서비스제공신호(s)를 생성하여 도우미로봇(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어서, 성향분석부(233)는 도우미로봇(100)으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i1)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기본성향정보(i2)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는 사용자의 음성정보, 사용자의 영상정보, 사용자의 이미지정보 및 사용자의 접촉정보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가 사용자의 음성정보인 경우, 성향분석부(233)는 사용자의 억양,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단어, 사용자의 말 빠르기, 사용자 음성의 높낮이 중 1 이상을 사용자에 대한 기본성향정보(i2)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가 사용자의 영상/이미지 정보인 경우, 성향분석부(233)는 사용자의 안색, 사용자의 착용 의복, 사용자의 착용 악세서리 중 1 이상을 사용자에 대한 기본성향정보(i2)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가 사용자의 접촉정보인 경우, 성향분석부(233)는 도우미로봇의 각 부위 중 사용자가 주로 접촉하는 부위, 접촉강도 중 1 이상을 기본성향정보(i2)로 생성할 수 있다.
성향분석부(233)가 생성한 기본성향정보(i2)는 데이터저장부(25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저장부(250)는 전술한 기본정보(i3)를 기본성향정보(i2)에 따라 갱신하여, 사용자의 개인성향에 기초한 기본정보(i3)를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본대응부(231)는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를 기본정보(i3)와 더욱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으며, 종국적으로 사용자에 최적화된 도우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이상상태분석부(235)는 도우미로봇(100)으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i1)와, 기설정한 기본정보(i3)를 비교하여, 상태정보(i1)와 기본정보(i3)의 매칭률이 기설정한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를 이상상태로 판단하고, 도우미로봇(100)이 이상상태의 조치를 위한 도우미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이상상태의 조치를 위한 도우미서비스는, 사용자단말기(200)가 보호자단말기로 이상상태보고 연락을 취하거나, 기저장된 비상연락처로 연락을 취하거나, 도우미로봇(100)이 음성출력부(151)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묻는 음성메세지를 출력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우미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200)가, 사용자에 대한 소정의 행동가이드 컨텐츠(c)를 저장하는 컨텐츠저장부(270) 및 사용자가 소정의 행동가이드에 따라 수행한 행동을 평가하는 수행력분석부(2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저장부(270)는 일예로 사용자가 따라할 수 있는 운동동작에 관한 컨텐츠(c)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단말기(200)는 컨텐츠저장부(27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c)를 도우미로봇(100)에 전송하여, 도우미로봇(100)이 컨텐츠(c)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도우미로봇(100)은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c)를 음성출력부(151)를 통하여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영상/이미지출력부(153)를 통하여 영상 또는 이미지로 출력하거나, 구동부(155)를 통하여 동작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예로, 도우미로봇(100)이 사람형태의 다관절 로봇으로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운동동작에 관한 컨텐츠(c)를 제공받아, 각 관절에 구비되는 구동부(155)가 동작하여 컨텐츠(c)에 포함된 운동동작을 표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도우미로봇(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c)를 따라할 수 있고, 도우미로봇(100)은 정보수집모듈(110)의 영상/이미지입력부(113)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을 촬영하고, 사용자의 행동에 관한 상태정보(i1)를 사용자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행동에 관한 상태정보(i1)를 수신한 사용자단말기(200)는, 수행력분석부(237)가 사용자의 행동에 관한 상태정보(i1) 및 컨텐츠(c)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컨텐츠(c) 행동가이드에 따라 수행한 행동을 평가한다.
이때, 기본대응부(231)는 수행력분석부(237)의 평가결과에 따라 도우미로봇(100)이 사용자를 칭찬하거나, 격려하는 도우미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기본대응부(231)는 수행력분석부(237)의 평가에 따라, 출력모듈(150) 중 음성출력부(151)가 “정말 잘했어요”, “다음에는 더 잘하실거에요”라는 음성메세지를 출력하거나, 영상/이미지출력부(153)가 “정말 잘했어요”, “다음에는 더 잘하실거에요”라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거나, 구동부(155)가 박수를 치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파이팅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서비스제공신호(s)를 생성하여 도우미로봇(10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수행력분석부(237)는 사용자가 수행한 행동에 대한 평가결과를 점수로 산출할 수 있으며, 기본대응부(231)는 평가결과에 대한 점수가 도우미로봇(100)의 음성출력부(151)를 통한 음성출력 또는 영상/이미지출력부(153)를 통한 영상 또는 이미지로 출력되도록 도우미로봇(1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에게 도우미로봇(100)이 제공하는 컨텐츠(c)를 수행하게 하고, 그에 대한 평가에 따라 칭찬 또는 격려를 하는 도우미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c) 수행에 대한 흥미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특히 도우미로봇(100)이 출력하는 컨텐츠(c)가 운동동작에 관한 것인 경우 사용자의 건강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우미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200)를 거치하는 단말기거치대(300)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단말기(200)는, 사용자단말기(200)가 단말기거치대(300)에 거치되는 경우에 도우미로봇(100)이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단말기(200)가 단말기거치대(300)에 거치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200)는 도우미서비스 제공모드로 변경되어, 도우미로봇(100)이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를 수집하도록 도우미로봇(100)을 제어하고, 사용자단말기(200)가 단말기거치대(3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200)는 도우미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모드로 변경되어, 도우미로봇(100)이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 수집을 중단하도록 도우미로봇(10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거치대(300)는 충전부(310)를 포함하여, 거치된 사용자단말기(200)를 충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우미 시스템 또한 사용자단말기(200)를 거치하는 단말기거치대(300)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단말기(200)는, 사용자단말기(200)가 단말기거치대(300)에 거치되는 경우에 도우미로봇(100)이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에 따른 도우미 시스템은, 다수의 도우미로봇(100)들이 상호 상태정보를 주고받으며 소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도우미로봇(100a)은 연결된 제1 사용자단말기(200a)로부터 제어되어 소정의 도우미서비스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제2 도우미로봇(100b)은 제1 도우미로봇(100a)이 출력한 도우미서비스를 제1 도우미로봇(100a)에 대한 상태정보로서 수집할 수 있고, 제2 도우미로봇(100b)에 연결된 제2 사용자단말기(200b)는 제2 도우미로봇(100b)이 수집한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도우미서비스를 출력하도록 제2 도우미로봇(100b)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도우미로봇(100a)은 제2 도우미로봇(100b)이 출력한 도우미서비스를 제2 도우미로봇(100b)에 대한 상태정보로서 수집할 수 있고, 제1 도우미로봇(100a)에 연결된 제1 사용자단말기(200a)는 수집한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도우미서비스를 출력하도록 제1 도우미로봇(100a)을 제어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다수의 도우미로봇(100)들이 상호 상태정보를 주고받으며 소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가족 내 구성원이 각각 도우미로봇(100)을 소지하고, 소지한 도우미로봇(100)을 통하여 상호 의사소통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요양원과 같이 단체시설에 거주하는 다수의 구성원이 각각 도우미로봇(100)을 소지하고, 소지한 도우미로봇(100)을 통하여 상호 의사소통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물리적 거리에 무관하게 도우미로봇(100)을 소지한 사용자 간의 도우미로봇(100)을 이용하여 상호 의사소통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인 등의 사용자들은, 사람 또는 동물형상의 도우미로봇(100)과 소통하면서 외로움을 달랠 수 있음을 물론, 도우미로봇(100)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i1)를 기초로 사용자 맞춤형 도우미서비스를 제공받음으로써 생활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도우미로봇 110 : 정보수집모듈
130 : 통신부 150 : 출력모듈
170 : 상태정보저장부
200 : 사용자단말기 210 : 통신부
230 : 상태분석모듈 250 : 데이터저장부
270 : 컨텐츠저장부
300 : 단말기거치대

Claims (4)

  1. 사용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정보수집모듈과,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도우미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도우미로봇;
    상기 도우미로봇으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상태정보와 기설정한 기본정보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도우미로봇의 상기 출력모듈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도우미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도우미로봇을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거치하고, 거치된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충전하도록 구비되는 단말기거치대;
    를 포함하고,
    상기 도우미로봇의 상기 정보수집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음성정보를 상기 상태정보로서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음성입력부와,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영상정보 또는 이미지정보를 상기 상태정보로서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영상/이미지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우미로봇의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도우미서비스로서 소정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음성출력부와, 상기 도우미로봇 각 부위별로 구비되면서 상기 도우미로봇의 각 부위를 동작시키도록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도우미서비스로서 소정의 동작을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우미로봇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운동동작에 관한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운동동작에 관한 컨텐츠를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하여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구동부를 통하여 동작으로 출력하며,
    상기 도우미로봇은,
    상기 영상/이미지입력부를 통해 상기 운동동작에 관한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촬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행동에 관한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행동에 관한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행동에 관한 상태정보 및 상기 운동동작에 관한 컨텐츠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운동동작에 관한 컨텐츠의 행동가이드에 따라 수행한 행동에 대한 평가결과를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평가결과가 상기 도우미로봇의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도우미로봇을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단말기거치대에 거치되는 경우에 상기 도우미로봇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상태정보를 수집하도록 상기 도우미로봇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단말기거치대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우미로봇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상태정보 수집을 중단하도록 상기 도우미로봇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미로봇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우미로봇은,
    터치센서 및 압력센서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부를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도우미로봇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접촉에 대한 접촉정보를 상기 상태정보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미로봇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도우미로봇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기본성향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미로봇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도우미로봇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상태정보와, 기설정한 상기 기본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상태정보와 상기 기본정보의 매칭률이 기설정한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를 이상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도우미로봇이 상기 이상상태의 조치를 위한 도우미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미로봇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KR1020200168031A 2019-12-06 2020-12-04 도우미로봇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KR102425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61533 2019-12-06
KR1020190161533 2019-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851A KR20210071851A (ko) 2021-06-16
KR102425941B1 true KR102425941B1 (ko) 2022-07-28

Family

ID=76603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031A KR102425941B1 (ko) 2019-12-06 2020-12-04 도우미로봇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9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4270A (ko) * 2011-12-08 2013-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간로봇상호작용 통합 프레임워크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인간로봇상호작용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119515A (ko) 2017-04-25 2018-11-02 김현민 스마트 휴대 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와 로봇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851A (ko)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0826B2 (en) Separating and recombining audio for intelligibility and comfort
US20200016745A1 (en) Data Processing Method for Care-Giving Robot and Apparatus
IL229370A (en) Interfa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action with network entities
KR20020067669A (ko) 로봇 시스템 및 로봇
CN103561652A (zh) 用于辅助患者的方法和系统
JP2017021737A (ja) 筋電信号を用いてアプリケーションに感情識別子を付与するプログラム、端末及びシステム
KR101504699B1 (ko)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성대화방법 및 장치
CN106325113A (zh) 机器人控制引擎及系统
JP2015109040A (ja) 緊急通報装置および緊急通報システム
CN105049599A (zh) 一种智能通话方法及设备
CN111221495A (zh) 可视化交互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102425941B1 (ko) 도우미로봇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JP2012065178A (ja)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0587621A (zh) 机器人、基于机器人的病人看护方法和可读存储介质
US1110094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571549B1 (ko)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
JP6543891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補助装置、コミュニケーション補助システ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補助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39137A (ko) 센서입력에 반응하는 대화인형 및 그 운용 방법
CN106713641B (zh) 一种基于穿戴设备的报时方法及穿戴设备
KR20170013015A (ko) 스마트 완구 기반 감성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JP7113270B1 (ja) ロボット制御方法及び情報提供方法
US11928253B2 (en) Virtual space control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ntrol program
JP7409313B2 (ja) 情報管理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ケア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対話端末
EP4293646A1 (en) A bab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202309121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