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927B1 - ICU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 Google Patents

ICU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927B1
KR102425927B1 KR1020200093893A KR20200093893A KR102425927B1 KR 102425927 B1 KR102425927 B1 KR 102425927B1 KR 1020200093893 A KR1020200093893 A KR 1020200093893A KR 20200093893 A KR20200093893 A KR 20200093893A KR 102425927 B1 KR102425927 B1 KR 102425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nitoring
vital sign
imaging
re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8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14464A (en
Inventor
남경원
황영준
김건호
윤성욱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3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927B1/en
Publication of KR20220014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4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9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61B5/1117Fall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61M5/16881Regulat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8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for measuring fluid flow rate, i.e. flow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3Intensive ca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2005/1420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with a programmable infusion control system, characterised by the infusion progr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ultimedia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ritical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ursing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중환자실에 구비된 의료 장치들, 그리고 감시 대상을 촬영하고, 활력 징후 데이터, 설정 데이터, 저장 용량 데이터 및 환자 감시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된 데이터들을 기준 데이터들과 비교함으로써 중환자실 감시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imaging device to photograph medical devices and monitoring objects provided in an intensive care unit, extract vital sign data, setting data, storage capacity data, and patient monitoring data, and use the extracted data with reference data By comparison, it relates to a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intensive care unit surveillance.

Description

촬영 장치를 이용한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ICU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ICU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본 발명은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중환자실에 구비된 의료 장치들, 그리고 감시 대상을 촬영하고, 활력 징후 데이터, 설정 데이터, 저장 용량 데이터 및 환자 감시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된 데이터들을 기준 데이터들과 비교함으로써 중환자실 감시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imaging device to photograph medical devices and monitoring objects provided in an intensive care unit, extract vital sign data, setting data, storage capacity data, and patient monitoring data, and use the extracted data with reference data By comparison, it relates to a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intensive care unit surveillance.

중환자실(ICU) 입원 환자들의 경우, 신체 상태에 따라 다양한 의료기기들이 동시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신체활력(심전도, 혈압, 호흡 등) 감시를 위한 환자 감시 장치(Patient Monitor) 및 개별 신체활력 감시 장치, 자가호흡 곤란자를 위한 인공호흡기, 처방약제투여 및 영양약제 주입을 위한 약물 주입 장치, 체온 유지를 위한 온도 조절 장치, 수술 후 신체 내부에 남은 혈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음압통, 환자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을 보관하기 위한 배뇨백 등이 환자 1명에 상시 사용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In the case of inpatients in an intensive care unit (ICU), various medical devices are used at the same time depending on their physical condition. For example, Patient Monitor and individual physical vitality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physical vitality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respiration, etc.) A device,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to maintain body temperature, a negative pressure tube for discharging the blood remaining inside the body after surgery, and a voiding bag for storing urine discharged from the patient are frequently used by one patient at all times. do.

대부분의 중대형 의료기관에서는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신체활력 변화양상의 감시를 위해 개인 감시 장치와 중앙 감시 장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중앙감시형 환자 감시 체계를 도입하여 운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환자 감시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개인 감시 장치 및 개인용 의료 장치의 경우 이러한 중앙감시형 감시 체계가 운용되지 아니하였다.Most of the medium and large medical institutions have introduced and operated a central monitoring type patient monitoring system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a personal monitoring device and a central monitoring device to monitor changes in physical vitality of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However, in the case of personal monitoring devices and personal medical devices other than the patient monitoring device, such a central monitoring type monitoring system was not operated.

특히, 중앙 관리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 기능이 구비된 의료 장치도 존재하지만, 상기 통신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의료 장치(배뇨백, 수액백, 음압통 등)도 다양하게 존재하며, 의료 장치 제조 회사 간에 통신 기능이 서로 호환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들 모두를 아우르는 단일 감시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In particular, there are medical device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capable of exchanging data with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but there are also various medical devices (urination bag, fluid bag, negative pressure tube, etc.) that are not equipped with the communication function. Since communication functions between device manufacturers are often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it has been recognized as a very difficult problem to establish a single monitoring system that covers them all.

또한,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인력이 수행하는 업무의 상당부분은 주기적으로 담당 환자들을 방문하여 수액백 교체 필요 여부를 확인하고 교체하고, 개별 수액백 내 약제 주입 상태를 확인하고, 개별 의료 장치의 모니터에 출력되는 값들(설정 정보, 측정 정보, 구동 정보)의 적절성을 확인하고 이를 수기로 기록하며, 수기로 기록된 정보의 전산 입력 등이 차지하게 된다. 현재의 중환자실 관리체계 하에서 주기적 방문, 확인, 기록, 처치 업무는 간호인력의 수작업 노동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어 간호인력들의 업무량 과다 및 이로 인한 피로 누적의 직접적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는 또다시 과로, 피로에 시달리는 간호인력들의 집중력 저하로 인한 환자 오인 실수 및 기기 설정 실수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환자에 큰 위해가 가해지는 사건, 사고로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중환자실 내 입원환자의 안전 강화 및 간호인력의 업무량 경감을 위해, 기존의 신체 활력 중앙감시체계와 함께 환자에 사용 중인 나머지 의료 장치들에 대한 중앙감시체계를 함께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In addition,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tasks performed by nursing personnel work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visit the patients in charge periodically to check and replace the need for replacement of the infusion bag, check the drug injection status in the individual infusion bag, and check the status of individual medical devices. The appropriateness of the values output to the monitor (setting information, measurement information, driving information) is checked and recorded by hand, and the computerized input of the handwritten information is occupied. Under the current intensive care unit management system, periodic visits, confirmations, records, and treatment tasks depend entirely on the manual labor of nursing personnel, which is a direct cause of excessive workload and fatigue accumulation of nursing personnel. The reduced concentration of nursing staff suffering from this leads to mistakes in patient misidentification and equipment setting errors, which in turn leads to events and accidents that cause great harm to patients. Therefore, in order to strengthen the safety of in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reduce the workload of nursing personne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entral monitoring system for the rest of the medical devices used in patients together with the existing central monitoring system for physical vitality.

미국공개특허문헌 제2018/0122506호(2018.05.03)US Patent Publication No. 2018/0122506 (2018.05.03) 미국등록특허문헌 제10,643,446호(2020.05.05)US Registered Patent Document No. 10,643,446 (May 2020)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788034호(2017.11.15)Korean Patent Document No. 10-1788034 (2017.11.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구체적으로, 중환자실에 구비된 의료 장치, 그리고 감시 대상을 촬영한 결과인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활력 징후 데이터, 설정 데이터, 저장 용량 데이터 및 환자 감시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들을 기준 데이터들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충족할 경우 알람이 출력되게 함으로써, 간호 인력의 수작업 노동이 아닌 하나의 시스템 상에서의 중환자 자동 감시를 수행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Specifically, vital sign data, setting data, storage capacity data, and patient monitoring data are extracted from the monitoring result, which is a result of photographing a medical device provid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a monitoring target, and comparing the extracted data with reference data.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vention capable of performing automatic monitoring of critically ill patients in one system rather than manual labor of nursing personnel by outputting an alarm when a preset criterion is satisfi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감시 대상(1)의 활력 징후가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 상기 활력 징후의 개선을 위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 및 상기 감시 대상(1)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감시 대상(1)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유체 저장 장치(30)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40), 상기 의료 장치(40)와 상기 감시 대상(1)을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50), 상기 촬영 장치(50)의 상기 의료 장치(40)를 촬영한 결과인 제1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에서 출력되는 활력 징후 데이터(D1), 상기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에서 설정된 설정 데이터(D2) 및 상기 유체 저장 장치(30)에서의 저장 용량 데이터(D3)를 추출하는 연산 장치(60), 감시 대상 각각마다 일대일 매칭되어 미리 결정되는 기준 활력 징후 데이터(D1_ref),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 및 기준 저장 용량 데이터(D3_ref)가 저장되는 저장 장치(70) 및 상기 연산 장치(60)에서 추출된 상기 활력 징후 데이터(D1)를 상기 기준 활력 징후 데이터(D1_ref)와 비교하거나, 상기 설정 데이터(D2)를 상기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와 비교하거나, 상기 저장 용량 데이터(D3)를 상기 기준 저장 용량 데이터(D3_ref)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하는 경고 장치(80)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를 이용한 중환자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t least on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that outputs the vital signs of the monitored object 1, and one or more vital signs installed to improve the vital signs. Medical care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group consisting of an improvement device 20 and one or more fluid storage devices 30 connecte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monitoring target 1 to store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monitoring target 1 One or more imaging devices 50 for imaging the device 40 , the medical device 40 and the monitoring target 1 , and a first monitoring that is a result of imaging the medical device 40 of the imaging device 50 . Using the results, the vital sign data D 1 output from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 the setting data D 2 set by the vital sign improving device 20 , and storage in the fluid storage device 30 . The arithmetic unit 60 for extracting the capacity data (D 3 ), the reference vital sign data (D 1 _ref), the reference setting data (D 2 _ref) and the reference storage capacity data (D 3 _ref)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ital sign data D 1 _ref, or the setting data D 2 )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setting data D 2 _ref, or the storage capacity data D 3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storage capacity data D 3 _ref,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 first warning signal S 1 ) It provides a critical patient monitoring system using an imaging device, including a warning device 80 for generating a.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에서 상기 감시 대상(1)의 심전도, 혈압, 호흡수, 혈중산소포화도 및 심박수를 포함하는 활력 징후 데이터(D1)가 활력 징후 감시 장치 모니터(11)를 통해 출력되고, 상기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에서 약제 주입 속도, 약제 주입량, 약제 잔여량, 설정 온도, 인공호흡 구동 모드, 인공호흡 설정 정보, 인공호흡 오류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 데이터(D2)가 활력 징후 개선 장치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며, 상기 연산 장치(60)는 상기 제1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각각의 의료 장치 모니터에서 출력되는 상기 활력 징후 데이터(D1) 및 상기 설정 데이터(D2)를 추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the vital sign data (D 1 ) including the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respiration rate, blood oxygen saturation and heart rate of the monitoring target 1 is monitored by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Setting data ( D 2 ) is output through the vital sign improving device monitor, and the computing device 60 uses the first monitoring result to output the vital sign data D 1 and the setting data from each medical device monitor. (D 2 ) can be extrac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는 상기 감시 대상(1)에 약제를 주입하는 약제 주입 펌프(21)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 주입 펌프(21)는, 시린지(28)에 저장된 약제가 배출되도록 상기 시린지(28)에 결합되어 상기 약제를 가압하는 푸셔(P)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시린지(28)로부터의 상기 약제 주입 속도를 제어하는 시린지 펌프(23)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 장치(60)는, 상기 시린지(28)와 상기 푸셔(P)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실제 약제 주입 속도 및 상기 약제 잔여량을 더 추출하고, 상기 경고 장치(80)는, 상기 추출된 실제 약제 주입 속도와 상기 시린지 펌프(28)의 모니터에서 출력된 상기 약제 주입 속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하고, 상기 추출된 약제 잔여량이 기준 약제 잔여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vital sign improving device 20 includes a medicament infusion pump 21 for injecting a medicament into the monitored object 1 , and the medicament infusion pump 21 is connected to the syringe 28 . and a syringe pump 23 for controlling the drug injection rate from the syringe 28 by driving a pusher P coupled to the syringe 28 so that the stored medicament is discharged, and the arithmetic operation The device 60 further extracts the actual drug injection rate and the drug residual amount from the first monitoring result including the syringe 28 and the pusher P, and the warning device 80 further extracts the extracted By comparing the actual drug injection rate and the drug injection rate output from the monitor of the syringe pump 28,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the extracted drug residual amount is the reference drug residual amount If less,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may be genera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산 장치(60)는, 상기 제1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상기 시린지(28)의 선단과 상기 푸셔(P)의 선단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약제 잔여량을 추출하고, 상기 제1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상기 푸셔(P)의 이동 속도, 상기 푸셔(P)를 구동시키는 상기 시린지 펌프(23)의 구동부(23a)의 이동 속도 또는 상기 구동부(23a)에 부착된 마커(23c)의 이동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실제 약제 주입 속도를 추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rithmetic device 60 extract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drug u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of the syringe 28 and the tip of the pusher P from the first monitoring result, and 1 From the monitoring result, the moving speed of the pusher P, the moving speed of the driving unit 23a of the syringe pump 23 for driving the pusher P, or the moving of the marker 23c attached to the driving unit 23a The actual drug injection rate may be extracted using the velocit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린지(28)의 배출구에 연결된 배출 라인(22a)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 라인(22a)을 가압하는 클램프(22e)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 장치(80)가 상기 실제 약제 주입 속도와 상기 시린지 펌프(23)의 모니터에서 출력된 상기 약제 주입 속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경고 신호(S1)가 생성된 경우, 상기 경고 장치(80)는 상기 배출 라인(22a)을 폐쇄하도록 상기 클램프(22e)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t further comprises a clamp 22e installed on the discharge line 22a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syringe 28 to press the discharge line 22a, the warning device 80 is the actual When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by comparing the drug injection rate and the drug injection rate output from the monitor of the syringe pump 23, the warning device 80 is the discharge The operation of the clamp 22e can be controlled to close the line 22a.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고 장치(80)는, 상기 추출된 저장 용량 데이터(D3)가 상기 기준 저장 용량 데이터(D3_ref)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warning device 80 generates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when the extracted storage capacity data D 3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storage capacity data D 3 _ref. ca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고 장치(80)는, 상기 환자 감시 데이터(D4)가 의료 장치 비정상 착용 또는 낙상 위험 있음을 포함하거나, 상기 통증 레벨이 기준 통증 레벨보다 높거나, 상기 의식 레벨이 기준 의식 레벨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2 경고 신호(S2)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rning device 8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atient monitoring data D 4 includes that the medical device is abnormally worn or there is a risk of falling, the pain level is higher than a reference pain level, or the consciousness level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pain level. When it is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of consciousness, the second warning signal S 2 may be genera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 장치(70)에는, 상기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 및 상기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 각각의 제조사 및 모델에 매칭되는 형상 데이터(DS)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산 장치(60)는 상기 저장 장치(70)에 저장된 형상 데이터(DS)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모니터링 결과에 포함된 상기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 및 상기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의 제조사 및 모델을 특정하고, 상기 저장 장치(70)에는, 상기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의 각 제조사 및 모델마다 상기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의 모니터 상에서 출력되는 상기 활력 징후의 표시 패턴들과, 상기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의 모니터 상에서 출력되는 설정 데이터의 표시 패턴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산 장치(60)는 특정된 모델에 매칭되는 표시 패턴에 따라 상기 제1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상기 활력 징후 데이터(D1) 및 상기 설정 데이터(D2)를 추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storage device 70,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and the vital sign improving device 20, respectively, shape data matching the manufacturer and model ( DS ) is stored in advance, , the arithmetic device 60 uses the shape data D 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70 ,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and the vital sign improving device 20 included in the first monitoring result. specify the manufacturer and model of the vital sign, and in the storage device 70, display patterns of the vital signs outputted on the monitor of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for each manufacturer and model of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And, display patterns of the setting data output on the monitor of the vital sign improving device 20 are stored in advance, and the calculating device 60 receives the information from the first monitoring result according to the display pattern matching the specified model. The vital sign data (D 1 ) and the setting data (D 2 ) may be extrac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는, 상기 감시 대상(1)에 약제를 주입하는 약제 주입 펌프(21), 상기 감시 대상(1)의 인공 호흡을 위한 인공호흡기(24) 및 상기 감시 대상(1)의 체온을 미리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는 체온 유지 장치(25)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 주입 펌프(21)의 모니터에서 상기 약제 주입 속도 및 상기 약제 주입량이 출력되고, 상기 인공호흡기(24)의 모니터에서 상기 인공호흡 구동 모드, 상기 인공호흡 설정 정보 및 상기 인공호흡 오류 정보가 출력되며, 상기 체온 유지 장치(25)의 모니터에서 상기 설정 온도가 출력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ital sign improving device 20 includes a medicament infusion pump 21 for injecting a medicament into the monitored object 1, and a ventilator 24 for artificial respiration of the monitored object 1 . and a body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25 for maintaining the body temperature of the monitoring target 1 at a preset temperature, wherein the drug injection rate and the drug injection amount are output from the monitor of the drug infusion pump 21, and the artificial The artificial respiration driving mode, the artificial respiration setting information, and the artificial respiration error information may be output from the monitor of the respirator 24 , and the set temperature may be outputted from the monitor of the body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25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제 주입 펌프(21)는, 약제가 저장되는 약제 저장백(27)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출 라인(22a)에 설치되어, 상기 약제 저장백(27)로부터의 상기 약제 주입 속도를 제어하는 인퓨전 펌프(22)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 장치(60)는, 상기 약제 저장백(27)과, 상기 약제 저장백(27)에 연결된 드립 챔버(22b)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실제 약제 주입 속도 및 상기 약제 잔여량을 더 추출하고, 상기 경고 장치(80)는, 상기 추출된 실제 약제 주입 속도와 상기 인퓨전 펌프(22)의 모니터에서 출력된 상기 약제 주입 속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하고, 상기 연산된 약제 잔여량이 기준 잔여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dicament infusion pump 21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line 22a fluidly connected to the medicament reservoir 27 in which the medicament is stored, and an infusion pump 22 for controlling the drug injection rate, wherein the calculating device 60 includes the drug reservoir 27 and a drip chamber 22b connected to the drug reservoir 27 The actual drug injection rate and the drug remaining amount are further extracted from the first monitoring result, and the warning device 80, the extracted actual drug injection rate and the drug injection rate output from the monitor of the infusion pump 22 to generate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when the calculated residual amount of the drug is less than the reference residual amount,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first warning signal (S1).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산 장치(60)는, 상기 제1 모니터링 결과를 상기 약제 저장백(27)를 포함하는 제1 부분 영상과, 상기 드립 챔버(22b)를 포함하는 제2 부분 영상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부분 영상으로부터 상기 약제 잔여량을 추출하고, 상기 제2 부분 영상으로부터 상기 실제 약제 주입 속도를 추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rithmetic unit 60 converts the first monitoring result into a first partial image including the medicament storage bag 27 and a second partial image including the drip chamber 22b. segmentation, extrac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drug from the first partial image, and extracting the actual drug injection rate from the second partial imag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산 장치(60)는, 상기 드립 챔버(22b)의 내부 상단의 유체 낙하구(22c)에 맺혀 있는 유체 방울의 부피가 증가하다가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 감소하는 경우 1회의 드랍(drop)으로 판단하고, 드랍과 드랍 사이의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상기 실제 약제 주입 속도를 추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rithmetic device 60, when the volume of the fluid drop formed on the fluid drop port 22c at the upper end of the drip chamber 22b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by more than a preset ratio, one drop (drop),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actual drug injection rate using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drop and the drop.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 라인(22a)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 라인(22a)을 가압하는 클램프(22e)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 장치(80)가 상기 실제 약제 주입 속도와 상기 인퓨전 펌프(22)의 모니터에서 출력된 상기 약제 주입 속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경고 신호(S1)가 생성된 경우, 상기 경고 장치(80)는 상기 배출 라인(22a)을 폐쇄하도록 상기 클램프(22e)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t is installed on the discharge line (22a) further comprising a clamp (22e) for pressing the discharge line (22a), the warning device 80 is the actual drug injection rate and the infusion pump ( 22) by comparing the drug injection rate output from the monitor, and when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warning device 80 closes the discharge line 22a. The operation of the clamp 22e can be controll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의료 장치(40)가 설치된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50)가 설치되어 상기 촬영 장치(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R)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50)는 상기 공간에 구비된 상기 의료 장치(40) 각각에 일대일 매칭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dical device 40 is provided in the installed space, the one or more imaging devices 50 are installed further comprising a guide rail (R)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imaging device 50, , the one or more imaging devices 50 may be provided in one-to-one matching number to each of the medical devices 40 provided in the spac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니터링 결과는 상기 의료 장치(40) 중 통신 기능이 구비된 의료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의료 장치만을 촬영한 결과이고, 상기 통신 기능이 구비된 의료 장치의 상기 활력 징후 데이터(D1) 및 상기 설정 데이터(D2)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연산 장치(60)에 전송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monitoring result is a result of photographing only the remaining medical devices except for the communication function-equipped medical device among the medical devices 40 , and the vital sign data of the communication function-equipped medical device (D 1 ) and the setting data (D 2 )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puting device 60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산 장치(60)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상기 활력 징후 데이터(D1), 상기 설정 데이터(D2) 및 상기 저장 용량 데이터(D3)를 추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uting device 60, the vital sign data (D 1 ), the setting data (D 2 ) and the storage capacity data (D 3 ) from the first monitoring result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 can be extrac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산 장치(60) 및 상기 경고 장치(80)와 통신 연결되며, 상기 연산 장치(60)에 의해 추출된 상기 활력 징후 데이터(D1), 상기 설정 데이터(D2) 및 상기 저장 용량 데이터(D3)가 전송되어 전송된 데이터들이 출력되고, 상기 경고 장치(80)에 의해 생성된 경고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미리 결정된 알람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감시 단말기(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rithmetic device 60 and the warning device 80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and the vital sign data (D 1 ) and the setting data (D 2 ) extracted by the computing device ( 60 ) and one or more monitoring terminals 90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alarm when the storage capacity data D 3 is transmitted and transmitted data is output, and a warning signal generated by the warning device 80 is transmitted may include

또한, 본 발명은 감시 대상(1)의 활력 징후가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 상기 활력 징후의 개선을 위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 및 상기 감시 대상(1)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감시 대상(1)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유체 저장 장치(30)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40), 상기 의료 장치(40)와 상기 감시 대상(1)을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50), 상기 촬영 장치(50)의 상기 의료 장치(40)를 촬영한 결과인 제1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에서 출력되는 활력 징후 데이터(D1), 상기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에서 설정된 설정 데이터(D2) 및 상기 유체 저장 장치(30)에서의 저장 용량 데이터(D3)를 추출하고, 상기 촬영 장치(50)의 상기 감시 대상(1)을 촬영한 결과인 제2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의료 장치 정상 착용 여부, 낙상 위험 여부, 통증 레벨 및 의식 레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환자 감시 데이터(D4)를 추출하는, 연산 장치(60), 감시 대상 각각마다 일대일 매칭되어 미리 결정되는 기준 활력 징후 데이터(D1_ref),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 및 기준 저장 용량 데이터(D3_ref)가 저장되는 저장 장치(70) 및 상기 연산 장치(60)에서 추출된 상기 활력 징후 데이터(D1)를 상기 기준 활력 징후 데이터(D1_ref)와 비교하거나, 상기 설정 데이터(D2)를 상기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와 비교하거나, 상기 저장 용량 데이터(D3)를 상기 기준 저장 용량 데이터(D3_ref)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하거나, 상기 환자 감시 데이터(D4)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제2 경고 신호(S2)를 생성하는 경고 장치(80)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를 이용한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t least on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that outputs the vital signs of the monitored object 1 , one or more vital sign improving devices 20 installed to improve the vital signs, and the monitored object 1 ) and a medical device 40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group consisting of one or more fluid storage devices 30 in which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monitoring object 1 is store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medical device 40, the medical device 40 and one or more imaging devices 50 for imaging the monitoring object 1, and a first monitoring result that is a result of imaging the medical device 40 of the imaging device 50 to monitor the vital signs monitoring device 10 ) extracted from the vital sign data D 1 , the setting data D 2 set in the vital sign improving device 20 , and the storage capacity data D 3 from the fluid storage device 30 , and the Patient monitoring data (D) including at least one of whether the medical device is normally worn, whether there is a risk of a fall, a pain level, and a consciousness level using the second monitoring result, which is a result of photographing the monitoring target 1 of the imaging device 50 4 ), the arithmetic unit 60 extracts, the reference vital sign data (D 1 _ref), the reference setting data (D 2 _ref), and the reference storage capacity data (D 3 _ref) that are determined in one-to-one matching for each monitoring target Compares the vital sign data (D 1 ) extracted from the storage device ( 70 ) and the computing device ( 60 ) in which is stored with the reference vital sign data ( D 1 _ref ), or compares the setting data ( D 2 ) to the By comparing with reference setting data D 2 _ref, or comparing the storage capacity data D 3 with the reference storage capacity data D 3 _ref, a first warning signal S 1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r , The patient monitoring data (D 4 ) When the preset criteria are met, the second warning signal (S 2 ), including a warning device 80 for generating a, intensive care unit feeling using the imaging device city system.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고 장치(80)는, 상기 환자 감시 데이터(D4)가 의료 장치 비정상 착용 또는 낙상 위험 있음을 포함하거나, 상기 통증 레벨이 기준 통증 레벨보다 높거나, 상기 의식 레벨이 기준 의식 레벨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2 경고 신호(S2)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rning device 8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atient monitoring data D 4 includes that the medical device is abnormally worn or there is a risk of falling, the pain level is higher than a reference pain level, or the consciousness level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pain level. When it is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of consciousness, the second warning signal S 2 may be genera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감시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nitoring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감시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execute the monitoring method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중환자실에 구비된 다양한 의료 장치, 그리고 감시 대상에 대한 실시간 감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응급 상황, 의료 장치 교체 등의 요구가 실시간으로 감시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어, 실제 의료 현장에서 간호 인력의 단순 업무량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과로 예방 및 아전사고 최소화 등의 효과가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al-time monitoring of various medical devices and monitoring targets provid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can be performed using a photographing device, and requests such as emergency situations and medical device replacemen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terminal in real tim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simple workload of nursing personnel in the actual medical field, and through this, effects such as prevention of overwork and minimization of safety accidents are achieved.

또한, 네트워킹 감시가 가능한 새로운 환자 적용 의료 장치를 새로이 제작할 필요 없이, 기존에 널리 사용 중인 의료 장치들에 대한 딥러닝 학습 모델만을 새로이 생성하여 추가하는 것만으로 중환자실 감시가 가능하기에, 의료 기관 입장에서는 전체 의료 장치를 모두 교체해야 하는 비용적 부담이 없고, 의료 장치 제조 업체 입장에서도 초기에 제안 시스템에 대한 시판허가만 받은 후, 추가되는 감시 장치들에 대한 인공지능 모델만 추가로 소프트웨어에 업데이트하는 의료 장치 감시가 이루어질 수 있기에, 비용 경제적이다.In addition, without the need to create a new patient-applied medical device capable of networking monitoring,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is possible only by newly creating and adding only deep learning learning models for medical devices that are widely used. In , there is no cost burden of replacing all medical devices, and medical device manufacturers only receive marketing approval for the proposed system in the beginning, and then only ad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for additional monitoring devices to the software. Because medical device monitoring can be done, it is cost-effecti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촬영 장치가 중환자실에 구비된 시린지 펌프를 촬영하는 모습과, 촬영 결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촬영 장치가 중환자실에 구비된 수액백 및 드립 챔버를 촬영하는 모습과, 촬영 결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촬영 장치의 중환자실에 구비된 활력 징후 감시 장치 촬영 결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촬영 장치의 중환자실에 구비된 인퓨전 펌프 및 약제 저장백 촬영 결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촬영 장치의 중환자실에 구비된 인공호흡기 촬영 결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촬영 장치의 중환자실에 구비된 체온 유지 장치 촬영 결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촬영 장치의 중환자실에 구비된 유체 저장 장치 촬영 결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촬영 장치의 감시 대상 촬영 결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14는 중환자실에 촬영 장치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더 구비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3는 하나의 촬영 장치가 적용된 실시예이고, 도 14는 촬영 장치가 중환자실에 구비된 의료 장치에 일대일 매칭되도록 다수의 촬영 장치가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of FIG. 1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imaging device photographs a syringe pump provid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data that can be extracted from the imaging result.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extracting data of FIG. 3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imaging device photographs an infusion bag and a drip chamber provid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data that can be extracted from the imaging result.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extracting data of FIG. 5 .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data that can be extracted from imaging results of a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provided in an intensive care unit of the imaging device.
8 is a view for explaining data that can be extracted from the results of the infusion pump and drug storage bag provid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of the imaging device.
9 is a view for explaining data that can be extracted from a ventilator imaging result provid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of the imaging device.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data that can be extracted from a photographing result of a body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provided in an intensive care unit of the imaging device.
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data that can be extracted from an imaging result of a fluid storage device provided in an intensive care unit of the imaging device.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data that can be extracted from a monitoring target photographing result of a photographing device.
13 and 14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an imaging device is further provid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FIG. 13 is an embodiment to which one imaging device is applied, and FIG. It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imaging devices are applied so as to be matched one-to-one with a medical device provided in a roo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시스템은 "물건"으로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a system is to be understood as a "thing".

이하에서, 용어 "활력 징후 데이터"는 감시 대상의 신체 활력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모든 생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the term “vitality sign data”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ll biometric data that can directly or indirectly represent the physical vitality of a monitored object.

이하에서, 용어 "설정 데이터"는 중환자실에 구비된 의료 장치의 구동 설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the term “setting data”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driving setting data of a medical device provided in an intensive care unit.

이하에서, 용어 "저장 용량 데이터"는 유체가 저장되는 장치에서의 유체 저장 용량, 유체 저장 용량에 따른 교체/비움 주기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the term “storage capacity data”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data such as a fluid storage capacity in a device in which a fluid is stored, a replacement/empty cycle according to the fluid storage capacity, and the like.

이하에서, 용어 "환자 감시 데이터"는 의료 장치 정상 착용 여부, 낙상 위험 여부, 통증 레벨 및 의식 레벨 등의 감시 대상의 행동, 심리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the term “patient monitoring data”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data related to the behavior and psychological information of the monitoring target, such as whether the medical device is normally worn, whether there is a risk of a fall, pain level and consciousness level.

이하에서, 용어 "활력 징후 감시 장치"는 감시 대상의 활력 징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활력 징후가 모니터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the term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ll devices capable of real-time monitoring of the vital signs of a monitoring target and outputting the monitored vital signs through the monitor.

이하에서, 용어 "활력 징후 개선 장치"는 감시 대상의 활력 징후를 적어도 유지시키거나 개선하기 위한 모든 의료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the term “vital sign improving device”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ll medical devices for at least maintaining or improving the vital signs of a monitored subject.

이하에서, 용어 "유체 저장 장치"는 수액백, 약제 저장부와 같이 유체가 저장되는 모든 의료 장치, 또는 배뇨백, 음압통과 같이 감시 대상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저장되는 모든 의료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the term "fluid storage device" refers to any medical device in which fluid is stored, such as an infusion bag or a drug storage unit, or any medical device in which fluid discharged from a monitoring object is stored, such as a urination bag and negative pressure box. should understand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1 and 2, the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 하나 이상의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 및 하나 이상의 유체 저장 장치(30)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40), 촬영 장치(50), 연산 장치(60), 저장 장치(70), 경고 장치(80) 및 감시 단말기(90)를 포함한다.An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dical care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group consisting of at least on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 at least one vital sign improving device 20 , and at least one fluid storage device 30 . It includes a device 40 , a photographing device 50 , an arithmetic device 60 , a storage device 70 , a warning device 80 , and a monitoring terminal 90 .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는 감시 대상(1)의 감시 대상의 활력 징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활력 징후가 모니터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환자 모니터(Patient Monitor)가 여기에 해당할 수 있다.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is a device capable of monitoring the vital signs of the monitoring target 1 in real time, and outputting the monitored vital signs through the monitor. For example, a Patient Monitor may correspond to this.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의 모니터에서는 심전도, 혈압, 호흡수, 혈중산소포화도, 심박수 등의 감시 대상(1)의 활력 징후(D1)가 출력된다.The monitor of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outputs vital signs D 1 of the monitoring target 1 such as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respiration rate, blood oxygen saturation, and heart rate.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는 감시 대상(1)의 활력 징후를 적어도 유지시키거나 개선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감시 대상(1)에 약제를 주입하는 약제 주입 펌프(21), 자가 호흡이 어려운 감시 대상(1)의 인공 호흡을 보조하는 인공호흡기(24), 감시 대상(1)의 체온을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는 체온 유지 장치(25), 감시 대상(1)에 수액을 주입하기 위한 수액백(26), 감시 대상(1)에 주입되는 약제가 저장되는 약제 저장백(27) 및 시린지(28)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tal sign improving device 20 is a device for at least maintaining or improving the vital signs of the monitored object 1 . For example, a drug infusion pump 21 for injecting a drug into the monitoring target 1, a ventilator 24 for assisting artificial respiration of the monitoring target 1 that is difficult to breathe by itself, and the body temperature of the monitoring target 1 A body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25 for maintaining a set temperature, an infusion bag 26 for injecting an infusion into the monitoring object 1, a medicine storage bag 27 in which the medicine injected into the monitoring object 1 is stored, and a syringe ( 28) may be included.

약제 주입 펌프(21)의 모니터를 통해 약제 주입 속도, 약제 주입량, 약제 잔여량 등의 설정 데이터(D2)가 출력된다.Through the monitor of the drug infusion pump 21, setting data (D 2 ) such as the drug injection rate, the drug injection amount, and the drug residual amount is output.

약제 주입 펌프(21)는 인퓨전 펌프(22) 및 시린지 펌프(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퓨전 펌프(22)는 약제 저장백(27)에 저장된 약제의 주입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인퓨전 펌프(22)는 약제 저장백(27)과 감시 대상(1)을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배출 라인(22a)에 설치되어, 배출 라인(22a)의 가압에 의해 약제 저장백(27)에 저장된 감시 대상(1)에의 약제 주입 속도를 제어한다.The medicament infusion pump 21 may include an infusion pump 22 and a syringe pump 23 , and the infusion pump 22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injection of the medicament stored in the medicament storage bag 27 . The infusion pump 22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line 22a that fluidly connects the medicine storage bag 27 and the monitoring object 1 to the medicine storage bag 27 by pressurizing the discharge line 22a. Controls the drug injection speed to the stored monitoring target (1).

시린지 펌프(23)는 시린지(28)에 저장된 약제의 주입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시린지 펌프(23)에 구비된 구동부(23a)가, 시린지(28)의 후단에 결합되어 시린지(28)에 저장된 약제를 가압하는 푸셔(P)를 구동시킴으로써, 시린지(28)로부터의 약제 주입 속도를 제어한다.The syringe pump 23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injection of the medicament stored in the syringe 28 . The driving unit 23a provided in the syringe pump 23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syringe 28 and drives the pusher P that presses the drug stored in the syringe 28, thereby speeding the drug injection from the syringe 28 control

약제 주입 펌프(21)의 모니터와, 시린지 펌프(23)의 모니터 각각에서 약제 주입 속도와 약제 주입량, 약제 잔여량 등의 설정 데이터가 출력된다.Setting data, such as a drug injection rate, a drug injection amount, and a drug residual amount, are output from the monitor of the drug infusion pump 21 and the monitor of the syringe pump 23, respectively.

인공 호흡기(24)는 감시 대상(1)의 인공 호흡을 보조하는 장치로, 인공 호흡 마스크가 감시 대상(1)의 코와 입을 덮도록 감시 대상(1)에 설치되며, 인공 호흡의 설정 데이터(D2)가 인공 호흡기(24) 모니터를 통해 출력된다.The ventilator 24 is a device that assists artificial respiration of the monitored object 1, and is installed on the monitored object 1 so that a ventilation mask covers the nose and mouth of the monitored object 1, and the artificial respiration setting data ( D 2 ) is output through the ventilator 24 monitor.

예를 들어, 인공 호흡 구동 모드(HFO/CPAP/IMV), 인공호흡 설정 정보(흡기 시간(inspiration time), 흡기 압력(inspiration pressure), 부피(volume), 속도(flow), FiO2, 트리거(trigger) 등), 인공호흡 오류 정보(low gas supply, power failure, paw high/low 등)의 설정 데이터(D2)가 인공 호흡기(24) 모니터를 통해 출력된다.For example, ventilation actuation mode (HFO/CPAP/IMV), ventilation setup information (inspiration time, inspiration pressure, volume, flow, FiO 2 , trigger ( trigger), setting data (D 2 ) of ventilation error information (low gas supply, power failure, paw high/low, etc.) are output through the ventilator 24 monitor.

체온 유지 장치(25)는 감시 대상(1)의 체온을 설정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로, 체온 유지 장치(25)의 모니터를 통해 설정 온도의 설정 데이터(D2)가 출력된다.The body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25 is a device for maintaining the body temperature of the monitoring target 1 at a set temperature, and setting data D 2 of the set temperature is output through the monitor of the body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25 .

유체 저장 장치(30)는 감시 대상(1)으로부터 배출되는 혈액이 저장되는 음압통(31), 감시 대상(1)으로부터 배출된 소변이 저장되는 소변백(32)과 같이 감시 대상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저장되는 장치이다.The fluid storage device 30 is a fluid discharged from the monitoring target, such as a negative pressure container 31 in which blood discharged from the monitoring target 1 is stored, and a urine bag 32 in which urine discharged from the monitoring target 1 is stored. is the storage device.

유체 저장 장치(30)는 전술한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 및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와 달리 데이터가 출력되는 모니터가 구비되지 않으며, 촬영 장치(50)의 촬영에 의한 촬영 결과 분석에 의해 유체 저장 장치(30)에 저장된 유체의 저장 용량과, 교체 주기, 교체 잔여 시간 등의 저장 용량 데이터(D3)가 추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Unlike the above-described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and vital sign improving device 20 , the fluid storage device 30 is not provided with a monitor for outputting data, and is performed by analyzing the imaging results obtained by imaging by the imaging device 50 . Storage capacity data D 3 such as the storage capacity of the fluid stored in the fluid storage device 30, the replacement period, and the remaining replacement time may be extract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촬영 장치(50)는 감시 대상(1)과 의료 장치(40)가 놓인 공간에 설치되어, 감시 대상(1)과 의료 장치(40)를 촬영한다. 촬영 장치(50)에 의한 촬영 결과는 영상으로 변환되어 연산 장치(60)에 전송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카메라, 보다 구체적으로는 야간에도 촬영이 가능한 적외선 카메라일 수 있다.The imaging device 50 is installed in a space where the monitoring target 1 and the medical device 40 are placed, and photographs the monitoring target 1 and the medical device 40 . The photographing result by the photographing device 50 may be converted into an image and transmitted to the computing device 60 , and may be, for example, a camera, more specifically, an infrared camera capable of photographing even at nigh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의 경우, 촬영 시스템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imaging system are possible.

일 실시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의 천정면에 고정 장치(2)가 설치되고, 고정 장치(2)에 설치된 지지 장치(3)에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구동 암(4)이 설치되며, 구동 암(4)의 말단에 촬영 장치(50)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 암(4)의 회전에 의해 촬영 장치(50) 역시 촬영 각도와 촬영 시야를 달리하면서 공간에 구비된 모든 의료 장치(40), 그리고 감시 대상(1)의 촬영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 the fixing device 2 is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space, and the freely rotatable driving arm 4 is installed on the supporting device 3 installed in the fixing device 2 . and a photographing device 50 may be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driving arm 4 . Due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arm 4 , the imaging device 50 may also perform imaging of all the medical devices 40 and the monitoring object 1 provided in the space while changing the imaging angle and the imaging field of view.

다른 실시예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의 천정면에 고정 장치(2)가 설치되고, 고정 장치(2)에 가이드 레일(R)이 설치되며, 가이드 레일(R)을 따라 촬영 장치(50)가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촬영 장치(50)는 가이드 레일(R)을 따라 이동하면서 촬영 각도와 촬영 시야를 달리하면서 공간에 구비된 모든 의료 장치(40), 그리고 감시 대상(1)의 촬영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13 , the fixing device 2 is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space, the guide rail R is installed in the fixing device 2 , and the photographing device is installed along the guide rail R (50) may be movable. The imaging device 50 may perform imaging of all the medical devices 40 and the monitoring target 1 provided in the space while moving along the guide rail R while changing the imaging angle and the imaging field of view.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R)이 구비되되, 공간에 존재하는 모든 의료 장치(40)에 일대일 매칭되는 개수의 촬영 장치(50)가 구비될 수 있다. 촬영 장치(50)가 모든 의료 장치(40)에 일대일 매칭되기 때문에, 촬영 장치(50)의 이동이 최소화되고, 모든 의료 장치(40)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14 , the guide rail R is provided, and the number of imaging devices 50 matching all the medical devices 40 existing in the space one-to-one may be provided. Since the imaging device 50 is matched to all medical devices 40 one-to-one, movement of the imaging device 50 is minimized and real-time monitoring of all medical devices 40 is possible.

연산 장치(60)는 촬영 장치(50)의 촬영 결과인 제1 모니터링 결과 및 제2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활력 징후 데이터(D1), 설정 데이터(D2), 저장 용량 데이터(D3) 및 환자 감시 데이터(D4)를 추출한다.The computing device 60 uses the first monitoring result and the second monitoring result, which are the imaging results of the imaging device 50 , in a predetermined method for vital sign data D 1 , setting data D 2 , and storage capacity data ( D 3 ) and patient monitoring data (D 4 ) are extracted.

여기서, 제1 모니터링 결과는 촬영 장치(50)가 의료 장치(40)를 촬영한 영상을 의미하고, 제2 모니터링 결과는 촬영 장치(50)가 감시 대상(1)을 촬영한 영상을 의미한다.Here, the first monitoring result means an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medical device 40 by the photographing device 50 , and the second monitoring result indicates an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monitoring object 1 b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50 .

연산 장치(60)는 데이터 연산, 처리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프로세서(MCU, Micro Controller Unit)나 컴퓨터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공지능 알고리즘, DNN(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CNN(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SSD(Single Shot Detector), MLP (Multi-layer Perceptron) 또는 어텐션 메커니즘(Attention Mechanism)을 기반으로 한 인공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데이터 연산,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omputing device 60 may be a microprocessor (MCU, Micro Controller Unit) or a computer having data operation and processing functions, and more specifically,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a deep neural network (DNN),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CNN),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RBM), Deep Belief Network (DBN), Single Shot Detector (SSD), Multi-layer Perceptron (MLP) or Attention Mechanism Data calculation and processing can be performed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based on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저장 장치(70)에는 감시 대상(1) 각각마다 일대일 매칭되어 미리 결정된 기준 활력 징후 데이터(D1_ref),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 기준 저장 용량 데이터(D3_ref)가 저장된다.The storage device 70 stores predetermined reference vital sign data (D 1 _ref), reference setting data (D 2 _ref), and reference storage capacity data (D 3 _ref) that are matched one-to-one for each monitoring target 1 .

여기서, 감시 대상(1) 마다 기준 활력 징후 데이터(D1_ref),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 기준 저장 용량 데이터(D3_ref)는 상이할 수 있다.Here, the reference vital sign data D 1 _ref, the reference setting data D 2 _ref, and the reference storage capacity data D 3 _ref may be different for each monitoring target 1 .

또한, 저장 장치(70)에는 각 의료 장치(40)의 제조사 및 모델마다의 형상 데이터(DS)가 저장된다. 의료 장치(40)의 제조사 및 모델에 따라 형상이 상이하며, 이들 형상 데이터(DS)가 미리 저장되어, 형상 데이터(DS)와의 비교를 통해, 이후 연산 장치(60)에 의한 데이터 추출 시 의료 장치(40)의 종류, 제조사 및 모델을 특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torage device 70 stores shape data DS for each manufacturer and model of each medical device 40 . The shap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and model of the medical device 40 , and these shape data DS are stored in advance, compared with the shape data DS , and then when data is extracted by the calculation device 60 . It becomes possible to specify the type, make and model of the medical device 40 .

또한, 저장 장치(70)에는 각 의료 장치(40)의 제조사 및 모델마다 의료 장치(40)의 모니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들의 표시 패턴들이 저장된다.Also, the storage device 70 stores display patterns of data output from the monitor of the medical device 40 for each manufacturer and model of each medical device 40 .

의료 장치(40), 환자 모니터의 경우를 예로 들면, 다양한 제조사로부터 제조된 다양한 모델이 존재한다. 제조사, 모델이 달라짐에 따라 모니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들의 표시 패턴 또한 다르다. 저장 장치(70)에는 의료 장치(40)의 제조사 및 모델마다 데이터들의 표시 패턴이 모두 저장되어 있으며, 이들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추후 연산 장치(60)에 의한 데이터 추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medical device 40 and the patient monitor, there are various models manufactured by various manufacturers. As manufacturers and models change, the display pattern of data output from the monitor is also different. All display patterns of data for each manufacturer and model of the medical device 40 ar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70 , and data extraction by the arithmetic device 60 may be easily performed later by using these data.

경고 장치(80)는 연산 장치(60)에 의해 추출된 활력 징후 데이터(D1)를 저장 장치(70)에 저장된 해당 감시 대상(1)의 기준 활력 징후 데이터(D1_ref)와 비교하고, 설정 데이터(D2)를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와 비교하며, 저장 용량 데이터(D3)를 기준 저장 용량 데이터(D3_ref)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한다. 경고 장치(80) 역시 연산 장치(60)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연산, 처리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프로세서(MCU, Micro Controller Unit)일 수 있다.The warning device 80 compares the vital sign data D 1 extracted by the computing device 60 with the reference vital sign data D 1 _ref of the corresponding monitoring target 1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70, The setting data D 2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setting data D 2 _ref, the storage capacity data D 3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storage capacity data D 3 _ref,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 is created. The warning device 80 may also be a microprocessor (MCU, Micro Controller Unit) having data calculation and processing functions, like the calculation device 60 .

예를 들어, 활력 징후 데이터(D1) 중 혈압을 기준 활력 징후 데이터(D1_ref) 중 기준 혈압과 비교하여, 혈압과 기준 혈압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 차이나는 경우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설정 데이터(D2) 중 약제 주입 속도를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 중 기준 약제 주입 속도와 비교하여, 약제 주입 속도와 기준 약제 주입 속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 차이나는 경우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저장 용량 데이터(D3) 중 유체 저장 용량을 기준 저장 용량 데이터(D3_ref) 중 기준 유체 저장 용량과 비교하여, 유체 저장 용량이 기준 유체 저장 용량보다 큰 경우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blood pressure in the vital sign data D 1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blood pressure in the reference vital sign data D 1 _ref and the blood pressure and the reference blood pressure differ by more than a preset value,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can create As another example, by comparing the drug injection rate in the setting data (D 2 ) with the reference drug injection rate in the reference setting data (D 2 _ref), the first warning when the drug injection rate and the reference drug injection rate differ by more than a preset value A signal S 1 may be generated. As another example, a first warning signal ( S 1 ) can be created.

저장 장치(7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데이터들은 해당 감시 대상(1)의 활력 징후를 개선하기 위한 최적의 값이거나, 유체 저장 장치(30)를 교체 또는 비워야 하는 임계값에 해당하는데, 이 값들과 많은 차이가 나거나, 벗어나는 경우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하여 후술하는 감시 단말기(90)에 알림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reference data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70 is an optimal value for improving the vital signs of the monitoring target 1 or corresponds to a threshold value for replacing or emptying the fluid storage device 30. These values and When there is a large difference or deviation,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 is generated so that a notification is output to the monitoring terminal 9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경고 장치(80)는 연산 장치(60)에 의해 추출된 환자 감시 데이터(D4)가 미리 설정된 기준에 충족된 경우 제2 경고 신호(S2)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warning device 80 generates a second warning signal (S 2 ) when the patient monitoring data (D 4 ) extracted by the arithmetic device ( 60 ) meets a preset criterion.

예를 들어, 연산 장치(60)에 의해 추출된 환자 감시 데이터(D4)가 의료 장치 비정상 착용 또는 낙상 위험을 포함하거나, 추출된 통증 레벨이 기준 통증 레벨 이상이거나, 추출된 의식 레벨이 기준 의식 레벨 이하인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제2 경고 신호(S2)를 생성한다.For example, the patient monitoring data D 4 extracted by the computing device 60 includes the medical device abnormal wearing or risk of falling, the extracted pain leve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pain level, or the extracted consciousness level is the reference consciousness A second warning signal (S 2 ) is generated when the criterion of being below the level is met.

상기 기준은 응급 상황을 가정한 것으로, 제2 경고 신호(S2)가 생성되었다는 의미는, 감시 대상(1)과 관련된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제2 경고 신호(S2)를 생성하여 후술하는 감시 단말기(90)에 알림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criterion assumes an emergency situation, meaning that the second warning signal S 2 is generated, since it can be seen that an emergency situation related to the monitoring target 1 has occurred, the second warning signal S 2 . It is to generate and output a notification to the monitoring terminal 90 to be described later.

감시 단말기(90)는 병원 내부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간호 인력이 휴대하거나, 간호 스테이션에 구비될 수 있으며, 감시 단말기(90)를 통해 제1 모니터링 결과, 제2 모니터링 결과, 그리고 활력 징후 데이터(D1), 설정 데이터(D2), 저장 용량 데이터(D3) 및 환자 데이터(S4)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A plurality of monitoring terminals 90 are installed inside the hospital to be carried by nursing personnel, or may be provided in nursing stations, and the first monitoring result, the second monitoring result, and vital sign data (D) through the monitoring terminal 90 . 1 ), setting data (D 2 ), storage capacity data (D 3 ) and patient data (S 4 ) can be monitored.

또한, 경고 장치(80)에 의해 생성된 제1 경고 신호(S1)와 제2 경고 신호(S2)가 발생하는 경우 감시 단말기(90)에 음향, 깜빡임 등을 통한 알람이 출력될 수 있으며, 알람을 통해 해당 감시 대상(1)에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간호 인력이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 and the second warning signal (S 2 ) generated by the warning device 80 are generated, an alarm through sound, blinking, etc. may be output to the monitoring terminal 90, , the nursing personnel can recognize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in the monitoring target 1 through the alarm.

이러한 감시 단말기(90)는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중환자 감시 시스템과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통신 연결된 감시 시스템에서 감시되는 감시 대상(1)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응급 상황 모니터링이 가능하다.The monitoring terminal 90 enable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multiple critical care monitoring system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enables real-time monitoring and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of the monitoring target 1 monitored by the communication-connected monitoring system.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12를 참조하여, 연산 장치(60)에 의해 활력 징후 데이터(D1), 설정 데이터(D2), 저장 용량 데이터(D3) 및 환자 감시 데이터(D4)를 추출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2 , vital sign data D 1 , setting data D 2 , storage capacity data D 3 , and patient monitoring data D 4 are extracted by the computing device 60 . The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촬영 장치(50)의 시린지 펌프(23)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연산 장치(60)가 설정 데이터(D2)를 추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a process in which the arithmetic device 60 extracts the setting data D 2 using the syringe pump 23 imaging result of the imaging device 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촬영 장치(50)의 시린지 펌프(23) 촬영 결과인 제1 모니터링 결과는 시린지 펌프(23), 시린지 펌프(23)에 설치된 시린지(28)와, 시린지(28)에 결합된 푸셔(P)를 포함한다.The first monitoring result, which is the result of shooting the syringe pump 23 of the imaging device 50, is the syringe pump 23, the syringe 28 installed in the syringe pump 23, and the pusher P coupled to the syringe 28. include

연산 장치(60)는 제1 모니터링 결과에 포함된 시린지 펌프(23)의 형상을 저장부(70)에 저장된 형상 데이터(DS)들과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형상 데이터를 갖는 시린지 펌프의 제조사 및 모델을 제1 모니터링 결과에 포함된 시린지 펌프(23)의 제조사 및 모델로 특정할 수 있다.The calculation device 60 compares the shape of the syringe pump 23 included in the first monitoring result with the shape data D S stored in the storage unit 70, and the manufacturer of the syringe pump having the most similar shape data and The model may be specified as the manufacturer and model of the syringe pump 23 included in the first monitoring result.

또한, 연산 장치(60)는 특정된 시린지 펌프(23)의 제조사 및 모델에 매칭되고 저장 장치(7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표시 패턴으로부터 시린지 펌프(23)의 모니터(23b)에서 약제 주입 속도와 약제 잔여량, 약제 주입량 등의 설정 데이터(D2)를 추출하게 된다. 도 3에서는 약제 주입 속도가 1ml/s이고, 약제 잔여량이 20ml인 설정 데이터(D2)가 추출된다.In addition, the arithmetic unit 60 matches the manufacturer and model of the specified syringe pump 23 and matches the drug injection rate in the monitor 23b of the syringe pump 23 from the data display pattern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70 and Setting data (D 2 ) such a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drug and the amount of injecting the drug is extracted. In Figure 3, the drug injection rate is 1ml / 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drug 20ml setting data (D2) is extracted.

연산 장치(60)는 또한, 제1 모니터링 결과에 포함된 시린지(28), 푸셔(P), 또는 시린지 펌프(23)의 구동부(23a)로부터 실제 약제 주입 속도와 실제 약제 잔여량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The arithmetic unit 60 also extracts the data of the actual drug injection rate and the actual drug remaining amount from the syringe 28, the pusher P, or the driving unit 23a of the syringe pump 23 included in the first monitoring result. can

도 4를 참조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4 ,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일 실시예에서, 연산 장치(60)는 푸셔(P)의 선단(P1) 이동 속도(이동 속도는 도 4(a)의 d로부터 연산될 수 있음)를 이용하여 실제 약제 주입 속도를 추출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연산 장치(60)는 구동부(23a)의 이동 속도(이동 속도는 도 4(b)의 d로부터 연산될 수 있음)를 이용하여 실제 약제 주입 속도를 추출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연산 장치는 구동부(23a)에 부착된 태그(23c)의 이동 속도(이동 속도는 도 4(c)의 d로부터 연산될 수 있음)를 이용하여 실제 약제 주입 속도를 추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lculating device 60 extracts the actual drug injection speed using the tip (P 1 ) moving speed of the pusher (P) (the moving speed can be calculated from d of FIG. 4(a)). In another embodiment, the calculating device 60 may extract the actual drug injection speed using the moving speed of the driving unit 23a (the moving speed can be calculated from d of FIG. 4(b)), In another embodiment, the calculating device may extract the actual drug injection speed using the moving speed (the moving speed can be calculated from d of FIG. 4(c)) of the tag 23c attached to the driving unit 23a. have.

또한, 연산 장치(60)는 시린지(28)의 선단과 푸셔(P1)의 선단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시린지(28)에서의 실제 약제 잔여량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lculating device 60 may extract data of the actual drug remaining amount in the syringe 28 u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of the syringe 28 and the tip of the pusher P 1 .

또한, 연산 장치(60)는 시린지 용량, 약제 주입량의 데이터를 더 추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rithmetic device 60 may further extract the data of the syringe dose and the drug injection amount.

경고 장치(80)는, 모니터(23b)에서 추출된 약제 주입 속도 및 약제 잔여량과, 시린지(28)에서 추출된 실제 약제 주입 속도 및 실제 약제 잔여량을 각각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한다.The warning device 80 compares the drug injection rate and the drug residual amount extracted from the monitor 23b with the actual drug injection rate and the actual drug residual amount extracted from the syringe 28, respectively,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 first warning signal (S 1 ) is generated.

예를 들어, 약제 주입 속도와 실제 약제 주입 속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으며, 약제 잔여량과 실제 약제 잔여량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으며, 실제 약제 잔여량이 기준 잔여량보다 적은 경우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ug injection rate and the actual drug injection rat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a first warning signal (S 1 ) may be generated, an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ug remaining amount and the actual drug remaining am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the first A warning signal (S 1 ) may be generated, and when the actual remaining amount of the drug is less than the reference remaining amount, a first warning signal (S 1 ) may be generated.

제1 경고 신호(S1)가 생성된 경우, 배출 라인(22a)에 설치되어 배출 라인(22a)을 가압하는 클램프(22e)가 작동하여 배출 라인(22a)을 폐쇄하여 추가의 약제 주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감시 단말기(90)에서 알람이 출력됨으로써 간호 인력이 응급 상황임을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 is generated, a clamp (22e) installed in the discharge line (22a) to press the discharge line (22a) operates to close the discharge line (22a) so that additional drug injection is made It is possible not to lose it, and by outputting an alarm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90, it is possible for the nursing personnel to recognize that it is an emergency situation.

다음,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촬영 장치(50)의 수액백(26)(또는 약제 저장백(27))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연산 장치(60)가 설정 데이터(D2)를 추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the arithmetic device 60 extracts the setting data D 2 by using the infusion bag 26 (or the drug storage bag 27) photographing result of the imaging device 50 .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촬영 장치(50)의 수액백(26) 촬영 결과인 제1 모니터링 결과는 수액백(26) 및 드립 챔버(22b)를 포함한다.The first monitoring result, which is a result of photographing the infusion bag 26 of the imaging device 50 , includes the infusion bag 26 and the drip chamber 22b.

연산 장치(60)는 먼저, 제1 모니터링 결과를 수액백(26)(또는 약제 저장백(27))을 포함하는 제1 부분 영상과, 드립 챔버(22b)를 포함하는 제2 부분 영상으로 분할한다. 하지만, 제1 모니터링 결과의 분할 없이 제1 모니터링 결과를 그대로 이용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The computing device 60 first divides the first monitoring result into a first partial image including the infusion bag 26 (or the drug storage bag 27) and a second partial image including the drip chamber 22b. do. However, an embodiment in which data is extracted by using the first monitoring result as it is without division of the first monitoring result is also possible.

연산 장치(60)는 제1 부분 영상으로부터 수액백(26)(또는 약제 저장백(27))에서의 약제 잔여량을 추출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수액백(26)에 저장된 약제의 높이(h)를 이용하여 약제 잔여량을 추출할 수 있다(도 6 참조).The arithmetic device 60 extract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drug in the infusion bag 26 (or the drug storage bag 27) from the first partial image, specifically, the height (h) of the drug stored in the infusion bag 26 can be used to extrac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drug (see FIG. 6 ).

경고 장치(80)는 연산 장치(60)에 의해 추출된 약제 잔여량이, 저장 장치(70)에 저장되어 해당 감시 대상(1)에 매칭되는 기준 약제 잔여량보다 적은 경우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한다.The warning device 80 is a first warning signal (S 1 ) when the residual amount of the drug extracted by the arithmetic device 60 is less than the reference drug residual amount that i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70 and matches the corresponding monitoring target (1) create

제1 경고 신호(S1)가 생성된 경우, 배출 라인(22a)에 설치되어 배출 라인(22a)을 가압하는 클램프(22e)가 작동하여 배출 라인(22a)을 폐쇄함으로써, 에어가 감시 대상(1)으로 주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감시 단말기(90)를 통해 알람이 출력되어 간호 인력이 수액백을 교체하여야 하는 상황임을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is generated, a clamp 22e installed in the discharge line 22a to press the discharge line 22a operates to close the discharge line 22a, so that air is monitored ( 1) can be prevented, and an alarm is output through the monitoring terminal 90, so that it is possible for nursing personnel to recognize that the infusion bag needs to be replaced.

또한, 연산 장치(60)는 제2 부분 영상으로부터 약제 주입 속도를 추출한다.In addition, the computing device 60 extracts the drug injection rate from the second partial image.

드립 챔버(22b)는 일단이 수액백(26)(또는 약제 저장백(27))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배출 라인(22a)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내부에는 소정 부피의 유체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 공간(22d) 형성되며, 중력에 의해 또는 인퓨전 펌프(22)의 펌핑에 따라 수액백(26)(또는 약제 저장백(27))에서 배출되는 약제가 상기 저장 공간(22d)으로 투입된다.The drip chamber 22b has one end connecte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fusion bag 26 (or the drug storage bag 27) and the other end connecte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line 22a. A storage space 22d in which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can be stored is formed therein, and the drug discharged from the infusion bag 26 (or the drug storage bag 27) by gravity or by pumping of the infusion pump 22 is input into the storage space 22d.

저장 공간(22d)의 상단에는 유체 낙하구(22c)가 형성될 수 있다. 유체 낙하구(22c)는 수액백(26)과 연결되어, 수액백(26)으로부터 배출된 약제가 유체 낙하구(22c)에서 유체 방울을 이루고, 약제의 표면장력보다 유체 방울에 인가되는 중력의 크기(약제 방울의 무게에 비례함)가 클 경우 저장 공간(22d)으로 드랍(drop)된다.A fluid drop port 22c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torage space 22d. The fluid drop port 22c is connected to the infusion bag 26, and the drug discharged from the infusion bag 26 forms a fluid droplet at the fluid drop port 22c, and the gravity applied to the fluid droplet is greater than the surface tension of the drug. If the size (proportional to the weight of the drug drop) is large, it is dropped into the storage space 22d.

드랍된 약제 방울은 배출 라인(22a)을 따라 감시 대상(1)에 주입되며, 약제 방울의 드랍은 유체 낙하구(22c)에 맺혀 있는 약제 방울의 부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 갑자기 감소하는 경우(드랍이 이루어지면 유체 낙하구에 맺혀 있는 약제 방울의 부피가 급감하게 됨) 이를 1회의 드랍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dropped drug drop is injected into the monitoring target 1 along the discharge line 22a, and the drop of the drug drop causes the volume of the drug drop condensed on the fluid drop port 22c to continuously increase and then abruptly decreases over a preset ratio. (If the drop is made, the volume of the drug drop formed on the fluid drop port will decrease sharply), this can be judged as a single drop.

연산 장치(60)는 1회의 드랍까지 소요된 시간(t)을 이용하여 실제 약제 주입 속도를 추출할 수 있다.The arithmetic unit 60 may extract the actual drug injection rate by using the time t taken until one drop.

연산 장치(60)에 의해 추출된 실제 약제 주입 속도와, 저장 장치(70)에 저장되어 해당 감시 대상(1)에 매칭되는 약제 주입 속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경고 장치(80)는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한다.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drug injection rate extracted by the arithmetic device 60 and the drug injection rat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70 and matched to the corresponding monitoring target 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the warning device 80 is Generates a first warning signal (S 1 ).

제1 경고 신호(S1)가 생성된 경우, 배출 라인(22a)에 설치되어 배출 라인(22a)을 가압하는 클램프(22e)가 작동하여 배출 라인(22a)을 폐쇄함으로써, 의도치 않은 주입 속도로 약제가 감시 대상(1)으로 주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감시 단말기(90)를 통해 알람이 출력되어 간호 인력이 약제 주입 속도를 체크하여야 하는 상황임을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is generated, a clamp 22e installed in the discharge line 22a to press the discharge line 22a operates to close the discharge line 22a, thereby causing an unintentional injection spee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ug from being injected into the monitoring target 1 , and also, an alarm is output through the monitoring terminal 90 , so tha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nursing personnel needs to check the drug injection rate.

다음 도 7을 참조하여, 촬영 장치(50)의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연산 장치(60)가 활력 징후 데이터(D1)를 추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7 , a process in which the computing device 60 extracts vital sign data D 1 using the imaging results of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of the imaging device 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촬영 장치(50)의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 촬영 결과인 제1 모니터링 결과는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의 모니터를 포함한다.The first monitoring result, which is the imaging result of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of the imaging device 50 , includes a monitor of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

연산 장치(60)는 제1 모니터링 결과에 포함된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의 형상을 저장부(70)에 저장된 형상 데이터(DS)들과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형상 데이터를 갖는 활력 징후 감시 장치의 제조사 및 모델을 제1 모니터링 결과에 포함된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의 제조사 및 모델로 특정할 수 있다.The computing device 60 compares the shape of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included in the first monitoring result with the shape data DS stored in the storage unit 70 to monitor vital signs having the most similar shape data. The make and model of the device may be specified as the make and model of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included in the first monitoring result.

또한, 연산 장치(60)는 특정된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의 제조사 및 모델에 매칭되고 저장 장치(7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표시 패턴으로부터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의 모니터에서 심전도, 혈압, 호흡수, 혈중산소포화도, 심박수 등의 활력 징후 데이터(D1)를 추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rithmetic device 60 matches the specified manufacturer and model of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and receives an electrocardiogram and blood pressure from the monitor of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from a data display pattern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70 . , vital signs data (D 1 ) such as respiration rate, blood oxygen saturation, and heart rate are extracted.

연산 장치(60)에 의해 추출된 활력 징후 데이터(D1) 각각을 해당 감시 대상(1)에 매칭되는 기준 활력 징후 데이터(D1_ref)와 비교하여, 활력 징후 데이터(D1)와 기준 활력 징후 데이터(D1_ref)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경고 장치(80)는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Each of the vital sign data D 1 extracted by the computing device 60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ital sign data D 1 _ref matching the corresponding monitoring object 1, and the vital sign data D1 and the reference vital sign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ata D 1 _ref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the warning device 80 may generate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

제1 경고 신호(S1)가 생성된 경우, 감시 단말기(90)를 통해 알람이 출력되어 간호 인력이 응급 상황임을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 is generated, an alarm is output through the monitoring terminal 90, so tha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nursing personnel are in an emergency situation.

다음 도 8을 참조하여, 촬영 장치(50)의 인퓨전 펌프(22)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연산 장치(60)가 설정 데이터(D2)를 추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8 , a process in which the calculation device 60 extracts the setting data D 2 using the imaging result of the infusion pump 22 of the imaging device 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촬영 장치(50)의 인퓨전 펌프(22) 촬영 결과인 제1 모니터링 결과는 인퓨전 펌프(22)와 약제 저장백(27), 그리고 드립 챔버(22b)를 포함한다.The first monitoring result, which is a photographing result of the infusion pump 22 of the photographing device 50 , includes an infusion pump 22 , a drug storage bag 27 , and a drip chamber 22b.

연산 장치(60)는 제1 모니터링 결과에 포함된 인퓨전 펌프(22)의 형상을 저장부(70)에 저장된 형상 데이터(DS)들과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형상 데이터를 갖는 인퓨전 펌프의 제조사 및 모델을 제1 모니터링 결과에 포함된 인퓨전 펌프(22)의 제조사 및 모델로 특정할 수 있다.The calculation device 60 compares the shape of the infusion pump 22 included in the first monitoring result with the shape data D S stored in the storage unit 70, and the manufacturer of the infusion pump having the most similar shape data and The model may be specified as a manufacturer and model of the infusion pump 22 included in the first monitoring result.

또한, 연산 장치(60)는 특정된 인퓨전 펌프(22)의 제조사 및 모델에 매칭되고 저장 장치(7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표시 패턴으로부터 인퓨전 펌프(22)의 모니터에서 약제 주입 속도, 약제 주입량, 약제 잔여량 등의 설정 데이터(D2)를 추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rithmetic unit 60 matches the specified manufacturer and model of the infusion pump 22 and monitors the infusion pump 22 from the data display pattern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70, the drug injection rate, the drug injection amount, Setting data (D 2 ) such a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drug is extracted.

연산 장치(60)는 약제 저장백(27)과 드립 챔버(22b)를 포함하는 제1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약제 저장백(27)에 저장된 약제 잔여량과 실제 약제 주입 속도의 설정 데이터(D2)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과정은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alculation device 60 extracts the setting data (D 2 ) of the remaining amount of the drug stored in the drug reservoir 27 and the actual drug injection rate from the first monitoring result including the drug reservoir 27 and the drip chamber 22b can do. Since the process for this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연산 장치(60)에 의해 추출된 실제 약제 주입 속도와, 인퓨전 펌프(22)의 모니터에서 추출된 약제 주입 속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경고 장치(80)는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으며, 추출된 약제 잔여량이 기준 잔여량보다 적은 경우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drug injection rate extracted by the arithmetic unit 60 and the drug injection rate extracted from the monitor of the infusion pump 22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the warning device 80 generates a first warning signal S 1 ) may be generated, and when the extracted residual amount of the drug is less than the reference residual amount,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may be generated.

제1 경고 신호(S1)가 생성된 경우, 배출 라인(22a)에 설치되어 배출 라인(22a)을 가압하는 클램프(22e)가 작동하여 배출 라인(22a)을 폐쇄함으로써, 의도치 않은 주입 속도로 약제가 감시 대상(1)으로 주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감시 단말기(90)를 통해 알람이 출력되어 간호 인력이 약제 저장백(27)을 교체 또는 제거하여야 하는 상황임을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is generated, a clamp 22e installed in the discharge line 22a to press the discharge line 22a operates to close the discharge line 22a, thereby causing an unintentional injection spe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ug from being injected into the monitoring target (1), and an alarm is output through the monitoring terminal (90), so tha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nursing personnel needs to replace or remove the drug storage bag (27). .

다음 도 9를 참조하여, 촬영 장치(50)의 인공 호흡기(24)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연산 장치(60)가 설정 데이터(D2)를 추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9 , a process in which the arithmetic device 60 extracts the setting data D 2 using the photographing result of the ventilator 24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촬영 장치(50)의 인공 호흡기(24) 촬영 결과인 제1 모니터링 결과는 인공호흡기(24)의 모니터를 포함한다.The first monitoring result, which is a photographing result of the ventilator 24 of the imaging device 50 , includes a monitor of the ventilator 24 .

연산 장치(60)는 제1 모니터링 결과에 포함된 인공 호흡기(24)의 형상을 저장부(70)에 저장된 형상 데이터(DS)들과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형상 데이터를 갖는 인공 호흡기의 제조사 및 모델을 제1 모니터링 결과에 포함된 인공 호흡기(24)의 제조사 및 모델로 특정할 수 있다.The arithmetic device 60 compares the shape of the ventilator 24 included in the first monitoring result with the shape data DS stored in the storage unit 70, and the manufacturer of the ventilator having the most similar shape data and The model may be specified as the manufacturer and model of the ventilator 24 included in the first monitoring result.

또한, 연산 장치(60)는 특정된 인공 호흡기(24)의 제조사 및 모델에 매칭되고 저장 장치(7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표시 패턴으로부터 인공 호흡기(24)의 모니터에서 인공호흡 구동 모드, 인공호흡 설정 정보, 인공호흡 오류 정보 등의 설정 데이터(D2)를 추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rithmetic device 60 matches the manufacturer and model of the specified ventilator 24 and performs ventilation driving mode, ventilation in the monitor of the ventilator 24 from the data display pattern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70 . Setting data (D 2 ) such as setting information and ventilation error information is extracted.

연산 장치(60)에 의해 추출된 설정 데이터(D2) 각각을 해당 감시 대상(1)에 매칭되는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와 비교하여, 설정 데이터(D2)와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경고 장치(80)는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경고 장치(80)는 추출된 설정 데이터(D2)가 인공호흡 오류 정보를 포함할 경우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할 수도 있다.By comparing each of the setting data (D 2 ) extracted by the arithmetic unit 60 with the reference setting data (D 2 _ref) matching the corresponding monitoring target (1), the setting data (D 2 ) and the reference setting data (D) 2 _ref)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warning device 80 may generate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 In addition, the warning device 80 may generate a first warning signal (S 1 ) when the extracted setting data (D 2 ) includes ventilation error information.

제1 경고 신호(S1)가 생성된 경우, 감시 단말기(90)를 통해 알람이 출력되어 간호 인력이 응급 상황임을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 is generated, an alarm is output through the monitoring terminal 90, so tha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nursing personnel are in an emergency situation.

다음 도 10을 참조하여, 촬영 장치(50)의 체온 유지 장치(25)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연산 장치(60)가 설정 데이터(D2)를 추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0 , a process in which the computing device 60 extracts the setting data D 2 using the photographing result of the body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25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촬영 장치(50)의 체온 유지 장치(25) 촬영 결과인 제1 모니터링 결과는 체온 유지 장치(25)의 모니터를 포함한다.The first monitoring result, which is a photographing result of the body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25 of the imaging device 50 , includes a monitor of the body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25 .

연산 장치(60)는 제1 모니터링 결과에 포함된 체온 유지 장치(25)의 형상을 저장부(70)에 저장된 형상 데이터(DS)와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형상 데이터를 갖는 체온 유지 장치의 제조사 및 모델을 제1 모니터링 결과에 포함된 체온 유지 장치(25)의 제조사 및 모델로 특정할 수 있다.The calculation device 60 compares the shape of the body temperature maintenance device 25 included in the first monitoring result with the shape data D S stored in the storage unit 70, and the manufacturer of the body temperature maintenance device having the most similar shape data. and the model may be specified as the manufacturer and model of the body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25 included in the first monitoring result.

또한, 연산 장치(60)는 특정된 체온 유지 장치(25)의 제조사 및 모델에 매칭되고 저장 장치(7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표시 패턴으로부터 체온 유지 장치(25)의 모니터에서 설정 온도 등의 설정 데이터(D2)를 추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rithmetic unit 60 matches the manufacturer and model of the specified body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25 and sets a set temperature in the monitor of the body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25 from a data display pattern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70 . The data D 2 is extracted.

연산 장치(60)에 의해 추출된 설정 데이터(D2)를 해당 감시 대상(1)에 매칭되는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와 비교하여, 설정 데이터(D2)와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경고 장치(80)는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By comparing the setting data (D 2 ) extracted by the arithmetic unit 60 with the reference setting data (D 2 _ref) matching the monitoring target (1), the setting data (D 2 ) and the reference setting data (D 2 ) _ref)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warning device 80 may generate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

제1 경고 신호(S1)가 생성된 경우, 감시 단말기(90)를 통해 알람이 출력되어 간호 인력이 응급 상황임을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 is generated, an alarm is output through the monitoring terminal 90, so tha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nursing personnel are in an emergency situation.

다음 도 11을 참조하여, 촬영 장치(50)의 음압통(31) 또는 소변백(32)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연산 장치(60)가 저장 용량 데이터(D3)를 추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1 , a process in which the computing device 60 extracts the storage capacity data D 3 using the negative pressure tube 31 or the urine bag 32 photographing result of the photographing device 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do.

연산 장치(60)는 제1 모니터링 결과에 포함된 음압통(31) 또는 소변백(32) 각 의료 장치의 바닥면으로부터 혈액 또는 소변의 최상면까지의 높이를 이용하여 저장 용량, 교체 주기, 교체 잔여 시간 등의 저장 용량 데이터(D3)를 추출할 수 있다.The calculating device 60 uses th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each medical device to the top surface of the blood or urine of the negative pressure tube 31 or urine bag 32 included in the first monitoring result to determine the storage capacity, replacement cycle, and replacement remaining. The storage capacity data D 3 , such as time, may be extracted.

경고 장치(80)는 연산 장치(60)에 의해 추출된 저장 용량 데이터(D3)가 기준 저장 용량 데이터(D3_ref)를 비교하여, 예를 들어 음압통(31)의 혈액 저장 용량이 기준 혈액 저장 용량보다 큰 경우, 또는 음압통(31)의 교체 잔여 시간이 기준 교체 잔여 시간보다 작은 경우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The warning device 80 compares the storage capacity data D 3 extracted by the arithmetic unit 60 with the reference storage capacity data D 3 _ref, for example, the blood storage capacity of the negative pressure tube 31 is the reference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may be generated when it is greater than the blood storage capacity or when the remaining replacement time of the negative pressure tube 31 is less than the reference replacement remaining time.

제1 경고 신호(S1)가 생성된 경우, 감시 단말기(90)를 통해 알람이 출력되어 간호 인력이 음압통(31) 또는 소변백(32)을 교체하여야 하는 상황임을 인지할 수 있다.When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 is generated, an alarm is output through the monitoring terminal 90 so that the nursing personnel can recognize the situation in which the negative pressure tube 31 or the urine bag 32 must be replaced.

다음 도 12를 참조하여, 촬영 장치(50)의 감시 대상(1)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연산 장치(60)가 환자 감시 데이터(D4)를 추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2 , a process in which the computing device 60 extracts the patient monitoring data D 4 using the imaging result of the monitoring target 1 of the imaging device 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연산 장치(60)는 인공지능망 모델을 이용하여 의료 장치 정상 착용 여부, 낙상 위험 여부, 통증 레벨 및 의식 레벨 등의 환자 감시 데이터(D4)를 추출할 수 있다.The computing device 60 may extract patient monitoring data D 4 such as whether the medical device is normally worn, whether there is a risk of a fall, a pain level, and a consciousness level by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network model.

일 예로 인공 호흡기의 감시 대상(1) 안면에의 위치 추적 등을 통해 정상 착용 여부를 추출할 수 있고, 감시 대상(1)에 놓여진 베드와 감시 대상(1)의 위치 상관 관계 추적을 통해 낙상 위험 여부를 추출할 수 있으며, 감시 대상(1)의 안면 인식을 통해 표정을 추출하여 통증 레벨을 추출할 수 있고, 감시 대상(1)의 움직임 인식을 통해 의식 레벨을 추출할 수 있다.As an example, it is possible to extract whether the ventilator is worn normally by tracking the location on the face of the monitoring target (1), etc. Whether or not it can be extracted, the pain level can be extracted by extracting the facial expression through the facial recognition of the monitoring target 1, and the consciousness level can be extracted through the motion recognition of the monitoring target 1 .

경고 장치(80)는 연산 장치(60)에 의해 추출된 환자 감시 데이터(D4)가 의료 장치 비정상 착용 또는 낙상 위험 있음을 포함하거나, 통증 레벨이 감시 대상(1)에 매칭되어 저장 장치(70)에 미리 저장된 기준 통증 레벨보다 높거나, 의식 레벨이 감시 대상(1)에 매칭되어 저장 장치(70)에 미리 저장된 기준 의식 레벨보다 낮은 경우 제2 경고 신호(S2)를 생성할 수 있다.The warning device 80 includes the patient monitoring data D 4 extracted by the computing device 60 that the medical device is abnormally worn or there is a risk of falling, or the pain level matches the monitoring target 1 to the storage device 70 ) higher than the reference pain level stored in advance, or when the consciousness level matches the monitoring target 1 and is lower than the reference consciousness level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device 70 , the second warning signal S 2 may be generated.

제2 경고 신호(S2)가 생성된 경우, 감시 단말기(90)를 통해 알람이 출력되어 간호 인력이 응급 상황임을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second warning signal ( S 2 ) is generated, an alarm is output through the monitoring terminal 90 , so tha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nursing personnel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촬영 장치(50)가 통신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의료 장치(40)만을 촬영하여 연산 장치(60)가 데이터를 추출하고, 통신 기능이 구비된 의료 장치(40)들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산 장치(60)에 각각의 활력 징후 데이터(D1) 및 설정 데이터(D2)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ing device 50 captures only the medical device 40 that is not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the arithmetic device 60 extracts data, and the medical devices 40 equipped with the communication function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the respective vital sign data (D 1 ) and setting data (D 2 ) to the computing device ( 60 )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이에 따르면, 하나의 감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촬영 장치(50)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의료 장치(40)의 제조사 및 모델에 따른 통신 기능 유무와 독립적으로 감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According to this, the number of imaging devices 50 required to implement one monitoring system can be reduced, which is economical, and the monitoring system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and model of the medical device 40 . effective in that respect.

위 설명한 본 발명의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감시 방법,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onitoring method using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carry out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출원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application,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 활력 징후 감시 장치
20: 활력 징후 개선 장치
21: 약제 주입 펌프
22: 인퓨전 펌프
22a: 배출 라인
22b: 드립 챔버
22c: 유체 낙하구
22d: 저장 공간
22e: 클램프
23: 시린지 펌프
23a: 구동부
23b: 모니터
23c: 태그
24: 인공 호흡기
25: 체온 유지 장치
26: 수액백
27: 약제 저장백
28: 시린지
30: 유체 저장 장치
31: 음압통
32: 소변백
40: 의료 장치
50: 촬영 장치
60: 연산 장치
70: 저장 장치
80: 경고 장치
90: 감시 단말기
10: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20: Vital Sign Improvement Device
21: pharmaceutical infusion pump
22: infusion pump
22a: discharge line
22b: drip chamber
22c: fluid droplet
22d: storage space
22e: clamp
23: syringe pump
23a: drive unit
23b: monitor
23c: tag
24: respirator
25: body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26: sap bag
27: medicine storage bag
28: syringe
30: fluid storage device
31: negative pressure pain
32: urine bag
40: medical device
50: shooting device
60: arithmetic unit
70: storage device
80: warning device
90: monitoring terminal

Claims (22)

감시 대상(1)의 활력 징후가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 상기 활력 징후의 개선을 위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 및 상기 감시 대상(1)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감시 대상(1)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유체 저장 장치(30)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40);
상기 의료 장치(40)를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50);
상기 촬영 장치(50)의 상기 의료 장치(40)를 촬영한 결과인 제1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에서 출력되는 활력 징후 데이터(D1), 상기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에서 설정된 설정 데이터(D2) 및 상기 유체 저장 장치(30)에서의 저장 용량 데이터(D3)를 추출하는 연산 장치(60);
감시 대상 각각마다 일대일 매칭되어 미리 결정되는 기준 활력 징후 데이터(D1_ref),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 및 기준 저장 용량 데이터(D3_ref)가 저장되는 저장 장치(70); 및
상기 연산 장치(60)에서 추출된 상기 활력 징후 데이터(D1)를 상기 기준 활력 징후 데이터(D1_ref)와 비교하거나, 상기 설정 데이터(D2)를 상기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와 비교하거나, 상기 저장 용량 데이터(D3)를 상기 기준 저장 용량 데이터(D3_ref)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하는 경고 장치(80);를 포함하고,
상기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에서 상기 감시 대상(1)의 심전도, 혈압, 호흡수, 혈중산소포화도 및 심박수를 포함하는 활력 징후 데이터(D1)가 활력 징후 감시 장치 모니터(11)를 통해 출력되고,
상기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에서 약제 주입 속도, 약제 주입량, 약제 잔여량, 설정 온도, 인공호흡 구동 모드, 인공호흡 설정 정보, 인공호흡 오류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 데이터(D2)가 활력 징후 개선 장치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며,
상기 연산 장치(60)는 상기 제1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각각의 의료 장치 모니터에서 출력되는 상기 활력 징후 데이터(D1) 및 상기 설정 데이터(D2)를 추출하는,
촬영 장치를 이용한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
One or mor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s 10 outputting vital signs of the monitored object 1 , one or more vital sign improving devices 20 installed for improving the vital signs, and capable of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monitored object 1 . a medical device 40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group consisting of one or more fluid storage devices 30 connected to each other to store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monitoring object 1;
one or more imaging devices 50 for imaging the medical device 40;
Vital sign data D 1 output from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using a first monitoring result that is a result of imaging the medical device 40 of the imaging device 50, the vital sign improving device ( 20) a setting data (D 2 ) set in the arithmetic unit 60 for extracting the storage capacity data (D 3 ) in the fluid storage device (30);
a storage device 70 for storing predetermined reference vital sign data (D 1 _ref), reference setting data (D 2 _ref), and reference storage capacity data (D 3 _ref) by matching one-to-one for each monitoring target; and
The vital sign data D 1 extracted by the computing device 60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ital sign data D 1 _ref, or the setting data D 2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setting data D 2 _ref. a warning device 80 for comparing or comparing the storage capacity data (D 3 ) with the reference storage capacity data (D 3 _ref) and generating a first warning signal (S 1 )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outputs vital sign data D 1 including the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respiration rate, blood oxygen saturation and heart rate of the monitoring target 1 through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monitor 11 . become,
In the vital sign improving device 20, setting data (D 2 ) including drug injection rate, drug injection amount, drug residual amount, set temperature, ventilation driving mode, ventilation setting information, and ventilation error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vital sign improvement device output through the monitor,
The computing device 60 uses the first monitoring result to extract the vital sign data (D 1 ) and the setting data (D 2 ) output from each medical device monitor,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는 상기 감시 대상(1)에 약제를 주입하는 약제 주입 펌프(21)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 주입 펌프(21)는,
시린지(28)에 저장된 약제가 배출되도록 상기 시린지(28)에 결합되어 상기 약제를 가압하는 푸셔(P)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시린지(28)로부터의 상기 약제 주입 속도를 제어하는 시린지 펌프(23)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 장치(60)는, 상기 시린지(28)와 상기 푸셔(P)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실제 약제 주입 속도 및 상기 약제 잔여량을 더 추출하고,
상기 경고 장치(80)는,
상기 추출된 실제 약제 주입 속도와 상기 시린지 펌프(23)의 모니터에서 출력된 상기 약제 주입 속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하고,
상기 추출된 약제 잔여량이 기준 약제 잔여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하는,
촬영 장치를 이용한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vital sign improving device 20 includes a drug infusion pump 21 for injecting a drug into the monitored object 1,
The drug infusion pump 21,
A syringe pump 23 for controlling the drug injection rate from the syringe 28 by driving the pusher P coupled to the syringe 28 to press the drug so that the drug stored in the syringe 28 is discharged. includes,
The arithmetic device 60 further extracts the actual drug injection rate and the drug residual amount from the first monitoring result including the syringe 28 and the pusher P,
The warning device 80,
Comparing the extracted actual drug injection rate and the drug injection rate output from the monitor of the syringe pump 23, and generating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When the extracted drug residual amount is less than the reference drug residual amount, generating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장치(60)는,
상기 제1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상기 시린지(28)의 선단과 상기 푸셔(P)의 선단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약제 잔여량을 추출하고,
상기 제1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상기 푸셔(P)의 이동 속도, 상기 푸셔(P)를 구동시키는 상기 시린지 펌프(23)의 구동부(23a)의 이동 속도 또는 상기 구동부(23a)에 부착된 마커(23c)의 이동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실제 약제 주입 속도를 추출하는,
촬영 장치를 이용한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rithmetic unit 60,
Extrac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drug u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of the syringe 28 and the tip of the pusher (P) from the first monitoring result,
From the first monitoring result, the moving speed of the pusher (P), the moving speed of the driving unit (23a) of the syringe pump (23) for driving the pusher (P), or a marker (23c) attached to the driving unit (23a) Extracting the actual drug injection speed using the moving speed of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린지(28)의 배출구에 연결된 배출 라인(22a)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 라인(22a)을 가압하는 클램프(22e)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 장치(80)가 상기 실제 약제 주입 속도와 상기 시린지 펌프(23)의 모니터에서 출력된 상기 약제 주입 속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경고 신호(S1)가 생성된 경우,
상기 경고 장치(80)는 상기 배출 라인(22a)을 폐쇄하도록 상기 클램프(22e)의 동작을 제어하는,
촬영 장치를 이용한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clamp (22e) installed on the discharge line (22a)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syringe (28) pressurizes the discharge line (22a),
When the warning device 80 compares the actual drug injection rate with the drug injection rate output from the monitor of the syringe pump 23, and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warning device (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lamp (22e) to close the discharge line (22a);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장치(80)는, 상기 추출된 저장 용량 데이터(D3)가 상기 기준 저장 용량 데이터(D3_ref)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하는,
촬영 장치를 이용한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warning device 80 generates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when the extracted storage capacity data D 3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storage capacity data D 3 _ref.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장치(70)에는,
상기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 및 상기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 각각의 제조사 및 모델에 매칭되는 형상 데이터(DS)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산 장치(60)는 상기 저장 장치(70)에 저장된 형상 데이터(DS)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모니터링 결과에 포함된 상기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 및 상기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의 제조사 및 모델을 특정하고,
상기 저장 장치(70)에는,
상기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의 각 제조사 및 모델마다 상기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의 모니터 상에서 출력되는 상기 활력 징후의 표시 패턴들과, 상기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의 모니터 상에서 출력되는 설정 데이터의 표시 패턴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산 장치(60)는 특정된 모델에 매칭되는 표시 패턴에 따라 상기 제1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상기 활력 징후 데이터(D1) 및 상기 설정 데이터(D2)를 추출하는,
촬영 장치를 이용한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orage device 70,
Shape data D S matching each manufacturer and model of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and the vital sign improving device 20 are stored in advance,
The computing device 60 uses the shape data D 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70 to control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and the vital sign improving device 20 included in the first monitoring result. specify the make and model;
In the storage device 70,
Display patterns of the vital signs output on the monitor of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for each manufacturer and model of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and settings output on the monitor of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20 Data display patterns are stored in advance,
The computing device 60 extracts the vital sign data (D 1 ) and the setting data (D 2 ) from the first monitoring result according to a display pattern matching a specified model,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는, 상기 감시 대상(1)에 약제를 주입하는 약제 주입 펌프(21), 상기 감시 대상(1)의 인공 호흡을 위한 인공호흡기(24) 및 상기 감시 대상(1)의 체온을 미리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는 체온 유지 장치(25)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 주입 펌프(21)의 모니터에서 상기 약제 주입 속도 및 상기 약제 주입량이 출력되고,
상기 인공호흡기(24)의 모니터에서 상기 인공호흡 구동 모드, 상기 인공호흡 설정 정보 및 상기 인공호흡 오류 정보가 출력되며,
상기 체온 유지 장치(25)의 모니터에서 상기 설정 온도가 출력되는,
촬영 장치를 이용한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vital sign improving device 20 includes a drug infusion pump 21 for injecting a drug into the monitored object 1, a ventilator 24 for artificial respiration of the monitored object 1, and the monitored object 1 ) including a body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25 for maintaining the body temperature at a preset temperature,
The medicament injection rate and the medicament injection amount are output from the monitor of the medicament infusion pump 21,
The ventilation driving mode, the ventilation setting information, and the ventilation error information are output from the monitor of the ventilator 24,
The set temperature is output from the monitor of the body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25,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주입 펌프(21)는,
약제가 저장되는 약제 저장백(27)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출 라인(22a)에 설치되어, 상기 약제 저장백(27)으로부터의 상기 약제 주입 속도를 제어하는 인퓨전 펌프(22)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 장치(60)는, 상기 약제 저장백(27)과, 상기 약제 저장백(27)에 연결된 드립 챔버(22b)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실제 약제 주입 속도 및 상기 약제 잔여량을 더 추출하고,
상기 경고 장치(80)는,
상기 추출된 실제 약제 주입 속도와 상기 인퓨전 펌프(22)의 모니터에서 출력된 상기 약제 주입 속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하고,
상기 연산된 약제 잔여량이 기준 잔여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하는,
촬영 장치를 이용한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rug infusion pump 21,
It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line (22a) connecte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medicament storage bag (27) in which the medicament is stored, and includes an infusion pump (22) for controlling the drug injection rate from the medicament storage bag (27) ,
The calculating device 60 further calculates the actual drug injection rate an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drug from the first monitoring result including the drug storage bag 27 and the drip chamber 22b connected to the drug storage bag 27 . extract,
The warning device 80,
By comparing the extracted actual drug injection rate and the drug injection rate output from the monitor of the infusion pump 22,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When the calculated residual amount of the drug is less than the reference residual amount, generating the first warning signal (S1),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장치(60)는,
상기 제1 모니터링 결과를 상기 약제 저장백(27)를 포함하는 제1 부분 영상과, 상기 드립 챔버(22b)를 포함하는 제2 부분 영상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부분 영상으로부터 상기 약제 잔여량을 추출하고, 상기 제2 부분 영상으로부터 상기 실제 약제 주입 속도를 추출하는,
촬영 장치를 이용한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arithmetic unit 60,
The first monitoring result is divided into a first partial image including the drug storage bag 27 and a second partial image including the drip chamber 22b, an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drug is extracted from the first partial image and extracting the actual drug injection rate from the second partial image,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장치(60)는,
상기 드립 챔버(22b)의 내부 상단의 유체 낙하구(22c)에 맺혀 있는 유체 방울의 부피가 증가하다가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 감소하는 경우 1회의 드랍(drop)으로 판단하고, 드랍과 드랍 사이의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상기 실제 약제 주입 속도를 추출하는,
촬영 장치를 이용한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arithmetic unit 60,
When the volume of the fluid droplet formed on the fluid drop opening 22c at the upper end of the drip chamber 22b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by more than a preset ratio, it is determined as one drop, and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drop and the drop to extract the actual drug injection rate using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라인(22a)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 라인(22a)을 가압하는 클램프(22e)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 장치(80)가 상기 실제 약제 주입 속도와 상기 인퓨전 펌프(22)의 모니터에서 출력된 상기 약제 주입 속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경고 신호(S1)가 생성된 경우,
상기 경고 장치(80)는 상기 배출 라인(22a)을 폐쇄하도록 상기 클램프(22e)의 동작을 제어하는,
촬영 장치를 이용한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clamp (22e) installed on the discharge line (22a) for pressing the discharge line (22a),
When the warning device 80 compares the actual drug injection rate with the drug injection rate output from the monitor of the infusion pump 22, and the first warning signal S 1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warning device (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lamp (22e) to close the discharge line (22a);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감시 대상(1)의 활력 징후가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 상기 활력 징후의 개선을 위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 및 상기 감시 대상(1)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감시 대상(1)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유체 저장 장치(30)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40);
상기 의료 장치(40)를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50);
상기 촬영 장치(50)의 상기 의료 장치(40)를 촬영한 결과인 제1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에서 출력되는 활력 징후 데이터(D1), 상기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에서 설정된 설정 데이터(D2) 및 상기 유체 저장 장치(30)에서의 저장 용량 데이터(D3)를 추출하는 연산 장치(60);
감시 대상 각각마다 일대일 매칭되어 미리 결정되는 기준 활력 징후 데이터(D1_ref),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 및 기준 저장 용량 데이터(D3_ref)가 저장되는 저장 장치(70);
상기 연산 장치(60)에서 추출된 상기 활력 징후 데이터(D1)를 상기 기준 활력 징후 데이터(D1_ref)와 비교하거나, 상기 설정 데이터(D2)를 상기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와 비교하거나, 상기 저장 용량 데이터(D3)를 상기 기준 저장 용량 데이터(D3_ref)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하는 경고 장치(80); 및
상기 의료 장치(40)가 설치된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50)가 설치되어 상기 촬영 장치(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R);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50)는 상기 공간에 구비된 상기 의료 장치(40) 각각에 일대일 매칭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촬영 장치를 이용한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
One or mor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s 10 outputting vital signs of the monitored object 1 , one or more vital sign improving devices 20 installed for improving the vital signs, and capable of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monitored object 1 . a medical device 40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group consisting of one or more fluid storage devices 30 connected to each other to store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monitoring object 1;
one or more imaging devices 50 for imaging the medical device 40;
Vital sign data D 1 output from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using a first monitoring result that is a result of imaging the medical device 40 of the imaging device 50, the vital sign improving device ( 20) the setting data (D 2 ) set in the arithmetic unit 60 for extracting the storage capacity data (D 3 ) in the fluid storage device (30);
a storage device 70 for storing predetermined reference vital sign data (D 1 _ref), reference setting data (D 2 _ref), and reference storage capacity data (D 3 _ref) by matching one-to-one for each monitoring target;
The vital sign data D 1 extracted by the computing device 60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ital sign data D 1 _ref, or the setting data D 2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setting data D 2 _ref. a warning device 80 for comparing or comparing the storage capacity data D 3 with the reference storage capacity data D 3 _ref and generating a first warning signal S 1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and a guide rail (R) provided in the space where the medical device 40 is installed, and the one or more imaging devices 50 are install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imaging device 50;
The one or more imaging devices 50 are provided in one-to-one matching number to each of the medical devices 40 provided in the space,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감시 대상(1)의 활력 징후가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 상기 활력 징후의 개선을 위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 및 상기 감시 대상(1)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감시 대상(1)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유체 저장 장치(30)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40);
상기 의료 장치(40)를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50);
상기 촬영 장치(50)의 상기 의료 장치(40)를 촬영한 결과인 제1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에서 출력되는 활력 징후 데이터(D1), 상기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에서 설정된 설정 데이터(D2) 및 상기 유체 저장 장치(30)에서의 저장 용량 데이터(D3)를 추출하는 연산 장치(60);
감시 대상 각각마다 일대일 매칭되어 미리 결정되는 기준 활력 징후 데이터(D1_ref),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 및 기준 저장 용량 데이터(D3_ref)가 저장되는 저장 장치(70); 및
상기 연산 장치(60)에서 추출된 상기 활력 징후 데이터(D1)를 상기 기준 활력 징후 데이터(D1_ref)와 비교하거나, 상기 설정 데이터(D2)를 상기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와 비교하거나, 상기 저장 용량 데이터(D3)를 상기 기준 저장 용량 데이터(D3_ref)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하는 경고 장치(8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니터링 결과는 상기 의료 장치(40) 중 통신 기능이 구비된 의료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의료 장치만을 촬영한 결과이고,
상기 통신 기능이 구비된 의료 장치의 상기 활력 징후 데이터(D1) 및 상기 설정 데이터(D2)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연산 장치(60)에 전송되는,
촬영 장치를 이용한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
One or mor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s 10 outputting vital signs of the monitored object 1 , one or more vital sign improving devices 20 installed for improving the vital signs, and capable of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monitored object 1 . a medical device 40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group consisting of one or more fluid storage devices 30 connected to each other to store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monitoring object 1;
one or more imaging devices 50 for imaging the medical device 40;
Vital sign data D 1 output from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using a first monitoring result that is a result of imaging the medical device 40 of the imaging device 50, the vital sign improving device ( 20) the setting data (D 2 ) set in the arithmetic unit 60 for extracting the storage capacity data (D 3 ) in the fluid storage device (30);
a storage device 70 for storing predetermined reference vital sign data (D 1 _ref), reference setting data (D 2 _ref), and reference storage capacity data (D 3 _ref) by matching one-to-one for each monitoring target; and
The vital sign data D 1 extracted by the computing device 60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ital sign data D 1 _ref, or the setting data D 2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setting data D 2 _ref. a warning device 80 for comparing or comparing the storage capacity data (D 3 ) with the reference storage capacity data (D 3 _ref) and generating a first warning signal (S 1 )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
The first monitoring result is a result of photographing only the remaining medical devices except for the medical device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among the medical devices 40,
The vital sign data (D 1 ) and the setting data (D 2 ) of the medical device equipped with the communication function are transmitted to the computing device 60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장치(60)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상기 활력 징후 데이터(D1), 상기 설정 데이터(D2) 및 상기 저장 용량 데이터(D3)를 추출하는,
촬영 장치를 이용한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rithmetic unit 60,
Extracting the vital sign data (D 1 ), the setting data (D 2 ), and the storage capacity data (D 3 ) from the first monitoring result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감시 대상(1)의 활력 징후가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 상기 활력 징후의 개선을 위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 및 상기 감시 대상(1)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감시 대상(1)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유체 저장 장치(30)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40);
상기 의료 장치(40)를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50);
상기 촬영 장치(50)의 상기 의료 장치(40)를 촬영한 결과인 제1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에서 출력되는 활력 징후 데이터(D1), 상기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에서 설정된 설정 데이터(D2) 및 상기 유체 저장 장치(30)에서의 저장 용량 데이터(D3)를 추출하는 연산 장치(60);
감시 대상 각각마다 일대일 매칭되어 미리 결정되는 기준 활력 징후 데이터(D1_ref),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 및 기준 저장 용량 데이터(D3_ref)가 저장되는 저장 장치(70);
상기 연산 장치(60)에서 추출된 상기 활력 징후 데이터(D1)를 상기 기준 활력 징후 데이터(D1_ref)와 비교하거나, 상기 설정 데이터(D2)를 상기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와 비교하거나, 상기 저장 용량 데이터(D3)를 상기 기준 저장 용량 데이터(D3_ref)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하는 경고 장치(80); 및
상기 연산 장치(60) 및 상기 경고 장치(80)와 통신 연결되며, 상기 연산 장치(60)에 의해 추출된 상기 활력 징후 데이터(D1), 상기 설정 데이터(D2) 및 상기 저장 용량 데이터(D3)가 전송되어 전송된 데이터들이 출력되고, 상기 경고 장치(80)에 의해 생성된 경고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미리 결정된 알람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감시 단말기(90);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를 이용한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
One or mor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s 10 outputting vital signs of the monitored object 1 , one or more vital sign improving devices 20 installed for improving the vital signs, and capable of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monitored object 1 . a medical device 40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group consisting of one or more fluid storage devices 30 connected to each other to store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monitoring object 1;
one or more imaging devices 50 for imaging the medical device 40;
Vital sign data D 1 output from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using a first monitoring result that is a result of imaging the medical device 40 of the imaging device 50, the vital sign improving device ( 20) the setting data (D 2 ) set in the arithmetic unit 60 for extracting the storage capacity data (D 3 ) in the fluid storage device (30);
a storage device 70 for storing predetermined reference vital sign data (D 1 _ref), reference setting data (D 2 _ref), and reference storage capacity data (D 3 _ref) by matching one-to-one for each monitoring target;
The vital sign data D 1 extracted by the computing device 60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ital sign data D 1 _ref, or the setting data D 2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setting data D 2 _ref. a warning device 80 for comparing or comparing the storage capacity data D 3 with the reference storage capacity data D 3 _ref and generating a first warning signal S 1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The arithmetic device 60 and the warning device 80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and the vital sign data D 1 , the setting data D 2 and the storage capacity data extracted by the arithmetic device 60 ( D 3 ) is transmitted and transmitted data is output, and one or more monitoring terminals 90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alarm when a warning signal generated by the warning device 80 is transmitted; including;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제1항에 따른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감시 방법.
Using the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monitoring method.
제17항에 따른 감시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execute the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program.
감시 대상(1)의 활력 징후가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 상기 활력 징후의 개선을 위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 및 상기 감시 대상(1)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감시 대상(1)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유체 저장 장치(30)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40);
상기 의료 장치(40)와 상기 감시 대상(1)을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50);
상기 촬영 장치(50)의 상기 의료 장치(40)를 촬영한 결과인 제1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활력 징후 감시 장치(10)에서 출력되는 활력 징후 데이터(D1), 상기 활력 징후 개선 장치(20)에서 설정된 설정 데이터(D2) 및 상기 유체 저장 장치(30)에서의 저장 용량 데이터(D3)를 추출하고, 상기 촬영 장치(50)의 상기 감시 대상(1)을 촬영한 결과인 제2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의료 장치 정상 착용 여부, 낙상 위험 여부, 통증 레벨 및 의식 레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환자 감시 데이터(D4)를 추출하는, 연산 장치(60);
감시 대상 각각마다 일대일 매칭되어 미리 결정되는 기준 활력 징후 데이터(D1_ref),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 및 기준 저장 용량 데이터(D3_ref)가 저장되는 저장 장치(70); 및
상기 연산 장치(60)에서 추출된 상기 활력 징후 데이터(D1)를 상기 기준 활력 징후 데이터(D1_ref)와 비교하거나, 상기 설정 데이터(D2)를 상기 기준 설정 데이터(D2_ref)와 비교하거나, 상기 저장 용량 데이터(D3)를 상기 기준 저장 용량 데이터(D3_ref)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경고 신호(S1)를 생성하거나, 상기 환자 감시 데이터(D4)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제2 경고 신호(S2)를 생성하는 경고 장치(80);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를 이용한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
One or mor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s 10 outputting vital signs of the monitored object 1 , one or more vital sign improving devices 20 installed for improving the vital signs, and capable of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monitored object 1 . a medical device 40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group consisting of one or more fluid storage devices 30 connected to each other to store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monitoring object 1;
one or more imaging devices 50 for imaging the medical device 40 and the monitoring target (1);
Vital sign data D 1 output from the vital sign monitoring device 10 using a first monitoring result that is a result of imaging the medical device 40 of the imaging device 50, the vital sign improving device ( 20), which is the result of extracting the setting data D 2 and the storage capacity data D 3 in the fluid storage device 30, and capturing the monitoring target 1 of the imaging device 50 2 The computing device 60, which extracts patient monitoring data (D 4 ) including one or more of whether the medical device is normally worn, whether there is a fall risk, a pain level, and a consciousness level using the monitoring result;
a storage device 70 for storing predetermined reference vital sign data (D 1 _ref), reference setting data (D 2 _ref), and reference storage capacity data (D 3 _ref) by matching one-to-one for each monitoring target; and
The vital sign data D 1 extracted by the computing device 60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ital sign data D 1 _ref, or the setting data D 2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setting data D 2 _ref. or by comparing the storage capacity data (D 3 ) with the reference storage capacity data (D 3 _ref) to generate a first warning signal (S 1 )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r the patient monitoring data (D 4 ) A warning device 80 for generating a second warning signal (S 2 ) when satisfies a preset criterion; including;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장치(80)는, 상기 환자 감시 데이터(D4)가 의료 장치 비정상 착용 또는 낙상 위험 있음을 포함하거나, 상기 통증 레벨이 기준 통증 레벨보다 높거나, 상기 의식 레벨이 기준 의식 레벨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2 경고 신호(S2)를 생성하는,
촬영 장치를 이용한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warning device 80 is, when the patient monitoring data D 4 includes that the medical device is abnormally worn or there is a risk of falling, the pain level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pain level, or the consciousness level is lower than the reference consciousness level generating the second warning signal (S 2 ),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제19항에 따른 중환자실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감시 방법.
Using the intensive care uni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9,
monitoring method.
제21항에 따른 감시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execute the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21;
program.
KR1020200093893A 2020-07-28 2020-07-28 ICU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KR1024259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893A KR102425927B1 (en) 2020-07-28 2020-07-28 ICU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893A KR102425927B1 (en) 2020-07-28 2020-07-28 ICU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464A KR20220014464A (en) 2022-02-07
KR102425927B1 true KR102425927B1 (en) 2022-07-28

Family

ID=80253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893A KR102425927B1 (en) 2020-07-28 2020-07-28 ICU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92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101B1 (en) 2022-06-27 2023-11-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atient status analysis system in the intensive care unit based on deep neural network and method therefor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446B1 (en) 2006-04-04 2006-11-13 삼일제지 주식회사 A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neuter gender rice paper
WO2014116832A1 (en) * 2013-01-28 2014-07-31 Smiths Medical Asd, Inc. Medication safety devices and methods
KR101576900B1 (en) * 2014-04-04 2015-12-14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Patient monitoring apparatus and kidney monitoring apparatus
KR101788034B1 (en) * 2015-12-24 2017-11-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monitoring
KR102527452B1 (en) 2017-05-02 2023-05-04 기웅정보통신 주식회사 A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insurance requesting services based on scraping and an appratus using it
JP2021500647A (en) * 2017-10-19 2021-01-07 バクスタ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axter International Incorp0Rated Optimized bedside safety protoc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464A (en)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6318B2 (en) Medical module including automated dose-response record system
US11654234B2 (en) Respiratory parameter guided automated IV administration and IV tube clamp activation
US2012027296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a ventilator patient with a capnometer
CN113924626A (en) Nutritional support feeding efficiency
US20220409127A1 (en) Remote aggregation of data for drug administration devices
KR102425927B1 (en) ICU Monitoring System using Imaging Device
WO2021236319A1 (en) Medical module including automated dose-response record system
US20210386291A1 (en) Wearable device with cloud-based monitoring software
US11986627B1 (en) Intelligent pharmaceutical delivery system with non-concentric pumping mechanism to reduce flow anomaly and method of using
CN105209099A (en) Pressure support system for breath stacking therapy
US20210345952A1 (en) Controlling operation of drug administration devices using surgical hubs
EP3383463B1 (en) Device for treating ataxic breathing
JP5628301B2 (en) Method including pump assembly and co-prescription of first and second drug and sedation administration system
KR102367388B1 (en) System for Monitoring Fluid Injection
KR1020930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amount of liquid injected into a human body
CN112915316A (en) Infusion control system
DE102020121044A9 (en) nasal applicator
Kumar et al. Hybrid approach for automatic drug dispensing and control
KR102598894B1 (en) Medication Error Prevention and Monitoring System
EP4023276A1 (en) Nasal appl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