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703B1 - 진공 절연 부재용 복합 부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진공 절연 부재용 복합 부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703B1
KR102425703B1 KR1020177011205A KR20177011205A KR102425703B1 KR 102425703 B1 KR102425703 B1 KR 102425703B1 KR 1020177011205 A KR1020177011205 A KR 1020177011205A KR 20177011205 A KR20177011205 A KR 20177011205A KR 102425703 B1 KR102425703 B1 KR 102425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core
composite member
vacuum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1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127A (ko
Inventor
베르너 비그만
마르크 프리케
외르크 크로그만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70060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7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artial melting of at least on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52Testing, e.g. testing for the presence of pin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65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91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in particular atmosphe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0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04B1/803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with vacuum spaces included in the sl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2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29K2995/0015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65Permeability to gases
    • B29K2995/0067Permeability to gases 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2037/009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 which absence of adhesives is explicitly presented as an advan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8Closed cell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12Gel
    • B32B2266/126Aerogel, i.e. a supercritically dried g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12Gel
    • B32B2266/128Xerogel, i.e. an air dried g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32B2305/022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4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5/00Polyureas;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2Slab shaped vacuum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 맞춤 조합으로 있는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 및 엔벨로프를 포함하는 복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의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를 제공하는 단계, 코어를 엔벨로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엔벨로핑하여 복합 부재 전구체를 얻는 단계, 및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 및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의 적어도 부분 연화를 유도하는 시간 동안 복합 부재 전구체를 처리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거나 얻을 수 있는 복합 부재, 및 또한 본 발명의 복합 부재를 진공 절연 패널 또는 단열재로서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 절연 부재용 복합 부재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ELEMENT FOR VACUUM INSULATION ELEMENTS}
본 발명은 압력 맞춤 조합(force fit combination)으로 있는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 및 엔벨로프를 포함하는 복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진공 처리 가능한(evacuable) 유기 재료의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를 제공하는 단계, 코어를 엔벨로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엔벨로핑하여 복합 부재 전구체를 얻는 단계로서,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이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인 단계, 및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 및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의 적어도 부분 연화를 유도하는 시간 동안 복합 부재 전구체를 처리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거나 얻을 수 있는 복합 부재, 및 또한 본 발명의 복합 부재를 진공 절연 패널 또는 단열재로서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어 및 엔벨로프를 조합한 복합 부재는 원론적으로 선행 기술로부터 절연 부재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특히, 진공 처리된 복합 시스템이 절연 재료로서 채용되고 있으며, 이것은 진공 절연 패널로서 공지되어 있다.
진공 절연 패널과 같은 복합 부재들은 단열용으로 점점 더 사용되고 있다. 이들의 적용 분야로는 냉장고 캐비넷, 냉장 차량용 컨테이너, 아이스박스, 냉각 셀 또는 지역 난방 배관이 있다. 이들은 열 전도도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종래의 절연체에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독립 기포형 경질 폴리우레탄 폼에 있어서 이들의 에너지 절약 잠재력은 일반적으로 3 ∼ 7 배에 이른다. 상기 진공 절연 패널은 항상, 단열 코어 재료, 예를 들어 고밀도 또는 저밀도 건식 실리카, 습식 실리카, 연속 기포형 경질 폴리우레탄(PU) 폼, 연속 기포형 압출 폴리스티렌 폼, 실리카 겔, 유리 섬유, 저밀도 폴리머 입자들의 상(bed), 경질 또는 반경질 PU 폼 유래의 고밀도 재분쇄물, 기체 기밀 호일 내에 패킹되고 진공 처리되어 공기 기밀로 밀봉된 펄라이트로 이루어진다. 진공은 일반적으로 100 mbar 미만이다. 이 진공에서는, 패널에 있어서 코어 재료 구조 및 공극 크기에 따라 10 mW/m*K 미만의 열 전도도가 달성 가능하다.
사용되는 코어 재료로는, 특히, 건식 실리카의 압축 분말 시트 및 유리 섬유 시트가 있다. 유용한 코어 재료는, 일정한 안정성을 갖고 요구된 특정 형상에 부합하는 크세로겔 및 경질 폼을 추가로 포함한다.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폼이 빈번히 사용되는데, 비진공 상태에서도 우수한 단열 효과를 제공하는 에어로겔도 마찬가지이다.
엔벨로프의 안정성은 복합 시스템의 기계적 안정성과 마찬가지로 과제이다. 진공은 엔벨로프가 기계적 손상을 입으면 소멸된다. 따라서 복합 부재는, 특히 건식 실리카 및 유리 섬유로 된 코어 재료의 경우에, 기계적 안정성을 잃고 단열 성능이 감소한다.
이 과제를 다루기 위해서, 복합 부재를, 예를 들어 접착제 층을 사용하여 제작한다. 그 결과로 호일과 폼 사이에 결합이 형성되기 때문에, 엔벨로프에 대한 작은 손상은 복합 부재 전체에 걸친 진공의 소실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WO 2012/119892 A1호에는 발포 재료 또는 다공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발포 재료로 된 코어, 이 코어에 적용된 피복층, 및 이 피복층 이외의 열가소성 폴리머 호일을 포함하는 복합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복합 부재를 냉장 장치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것 또한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DE 100 59 453호에는, 진공 절연 패널 중 코어 재료 및 호일을 조합한 복합 부재가 또한 기술되어 있다. DE 100 59 453호에는 연속 기포형 경질 폼을 호일에 결합하기 위한 접착제의 사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접착제 또는 추가 피복층의 사용은 더욱 성가신 제조 공정을 초래한다. 사전에 제조된 코어 재료를 단순히 엔벨로핑한 다음에 진공/밀봉하는 것은 상기 제조 공정에서 불가능하다. 제작이 한 층씩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비용 집약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된 복합 부재 및 그의 간소화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효율적으로 절연하는 복합 부재 및 그의 간소화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압력 맞춤 조합으로 있는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 및 엔벨로프를 포함하는 복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i)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의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를 제공하는 단계,
(ii) 코어를 엔벨로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엔벨로핑하여 복합 부재 전구체를 얻는 단계로서,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이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인 단계, 및
(iii)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 및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의 적어도 부분 연화를 유도하는 시간 동안 복합 부재 전구체를 처리하는 단계
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됨을 발견하였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방법이 복합 부재의 엔벨로프와 코어 사이에 압력 맞춤 결합을 제공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이것은, 코어에 대한 엔벨로프의 결합 덕분에 향상된 수준의 기계적 안정성을 갖고, 특히 복합 부재가 진공 처리되고 엔벨로프가 밀폐된 경우에, 보다 안정된 진공을 제공하는 복합 부재를 제조하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들 복합 부재는, 임의의 손상이 있는 경우에도, 엔벨로프가 코어로부터 층간 박리되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 무결성이 상당히 유지됨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복합 부재 전구체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 및 엔벨로프를 적어도 포함하지만 코어와 엔벨로프 사이에 지속성을 갖는 결합이 없는 조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처음에,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의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를 제공하고, 이어서 코어를 엔벨로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엔벨로핑하여 복합 부재 전구체를 얻는 단계 (ii)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의 오직 한 면을 피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코어가 실질적으로 완전히 엔벨로핑된 상태에 있되, 단계 (ii)에 따라 얻은 복합 부재 전구체를 둘러싸는 엔벨로프는 밀폐되지 않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은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 점에서, 본 발명은 엔벨로프가 완전히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가능성을 참작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맥락에서, 엔벨로프가 2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을 형성하는 층만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을 형성하는 층은 30 ㎛ 이상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의 두께, 더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의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는 하나 이상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면을 가져서, 엔벨로프가 코어에 밀접하게 덧붙는다.
이어서, 단계 (ii)에 따라 얻은 복합 부재 전구체는,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 및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가 적어도 부분 연화하도록, 단계 (iii)에 따라 처리한다. 이 공정에서, 결합은 본 발명에 따라 코어 재료와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 사이에서 발달한다. 처리 후에 얻어진 복합 부재는 엔벨로프와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 사이의 압력 맞춤 결합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칙적으로는,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 및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의 적어도 부분 연화를 유도하는 임의의 처리를 허용한다. 유용한 처리로는, 예를 들어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 및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의 다소의 가열 및 다소의 관련 연화를 유도하는 처리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은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엔벨로프는 호일, 특히 호일의 1 이상의 면이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진 호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진 엔벨로프 면은 코어에 덧붙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맥락에서는, 코어와 엔벨로프 사이에 추가의 층 또는 접착제가 사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원칙적으로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열원, 특히 엔벨로프 및 코어의 균일한 가열을 유도하는 열원이 사용 가능하다. 열의 적용은 바람직하게는 핫플레이트, 고온 램프(IR 조사기) 또는 초음파를 수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 실시양태에서,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서, 처리가 가열,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통한 열 처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엔벨로프는, 코어와 엔벨로프 사이의 균일한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서 코어에 밀접하게 덧붙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은, 적합한 방안, 예를 들어 엔벨로프를 팽팽하게 만들거나 엔벨로프를 압착하는 것에 의해, 엔벨로프를 코어와 접촉하게 한다. 엔벨로프를 팽팽하게 만들거나 압착하기에 적합한 장치는 당업자에게 자체 공지되어 있다. 코어가 실질적으로 평면인 면을 갖는 경우, 압착은 예를 들어 평판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서, 단계 (iii)에 따른 처리가 열 처리 및 코어에 대한 엔벨로프의 압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임의의 압착에 관련된 압력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되는 재료에 맞춰 조정될 것이 요구된다. 적합한 압력은, 예를 들어 1 ∼ 5 bar, 예컨대 1.25 bar ∼ 4 bar, 바람직하게는 1.5 bar ∼ 3 bar, 더 바람직하게는 1.75 bar ∼ 2 bar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의 2 이상의 측/표면이 엔벨로프에 압력 맞춤식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가지 가능성 있는 경우에서, 예를 들어, 코어는 엔벨로프에 의해 완전 피복되고, 본 발명의 방법은 코어와 엔벨로프 사이에 압력 맞춤 결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추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향상된 단열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서 코어 재료는, 예를 들어, 코어로서 사용되는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에 따르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한 가능한 실시양태에서, 예를 들어, 본 방법은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를 진공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우선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를 엔벨로프에 의해 실질적으로 완전 내포시키는 것이 유리하고, 그 다음에 진공 처리할 수 있다. 이의 이점은, 예를 들어, 엔벨로프가 2 이상의 측에서 밀폐되고 오직 하나의 개방 측을 가져서, 진공의 적용에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가 판형 구성을 갖는 경우, 예를 들어, 엔벨로프는 세 측에서 밀폐된 2겹 쉬스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가 개방 측을 통해 도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예를 들어 단계 (ii) 후에 및 단계 (iii) 전에, 진공 처리 단계 및 그 후속으로 엔벨로프를 밀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서, 단계 (ii) 후에 및 단계 (iii) 전에 하기 단계 (a) 및 단계 (b):
(a) 복합 부재 전구체를 진공 처리하는 단계, 및
(b) 엔벨로프를 밀폐하여 진공 처리된 복합 부재 전구체를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압력 맞춤 조합으로 있는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 및 엔벨로프를 포함하는 복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i)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의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를 제공하는 단계,
(ii) 코어를 엔벨로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엔벨로핑하여 복합 부재 전구체를 얻는 단계로서,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이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인 단계,
(a) 복합 부재 전구체를 진공 처리하는 단계,
(b) 엔벨로프를 밀폐하여 진공 처리된 복합 부재 전구체를 얻는 단계, 및
(iii)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 및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의 적어도 부분 연화를 유도하는 시간 동안 복합 부재 전구체를 처리하는 단계
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단계 (iii)에 따른 처리의 지속 시간은,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 및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의 적어도 부분 연화가 보장되는 한, 넓은 한도 내에서 변화할 수 있다. 적합한 처리는 예를 들어 2 초 ∼ 30 분 범위, 바람직하게는 10 초 ∼ 10 분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30 초 ∼ 1 분 범위의 지속 시간을 갖는다.
따라서,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서, 처리가 2 초 ∼ 30 분 범위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복합 부재는 임의의 원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형상은 본질적으로 코어의 형상에 의해 예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판형 복합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코어는 바람직하게는 판형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서,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가 판형 구성을 갖는 것인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코어로서 사용되는 성형품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5 ∼ 40 mm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코어는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단열재로서 사용되는 재료, 즉, 그 자체로 이미 효율적인 단열 성능을 갖는 재료가 특히 적합하다. 적합한 재료로는, 예를 들어, 경질 유기 폼 또는 유기 크세로겔 및 유기 에어로겔이 있다. 진공 처리 가능한 경질 유기 폼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를 기초로 하는 것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경질 유기 폼으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것은, 특히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를 기초로 하는, 연속 기포형 경질 유기 폼이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표면, 즉, 외피를 갖는 유기 에어로겔 및 유기 크세로겔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유형의 재료는, 엔벨로프와 코어 사이의 효율적인 결합을 얻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으로 효율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서,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가 유기 에어로겔, 유기 크세로겔 및 경질 유기 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는 더 바람직하게는 유기 에어로겔, 유기 크세로겔 및 연속 기포형 경질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양태에서,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는 유기 크세로겔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유기 에어로겔, 유기 크세로겔 및 경질 유기 폼은 특히 절연 재료로서 이용 가능한 것들이다. 당업자는 원칙적으로 적합한 재료에 대한 지식이 있다. 적합한 에어로겔은 예를 들어 WO 2012/059388 A1호 및 WO 2014/048778 A1호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한다. 특히 적합한 유기 크세로겔은 예를 들어 WO 2011/069959 A2호 및 WO 2012/059388 A1호에 개시되어 있다. 적합한 경질 유기 폼은 예를 들어 EP 2072548 A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은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엔벨로프는 호일이다.
종래의 진공 복합 부재용 엔벨로프를 특히 사용할 수 있다. 엔벨로프는 바람직하게는, 코어 재료에 대한 엔벨로프의 압력 맞춤 결합이 가능함을 보장하고 영구적인 진공을 제공할 수 있는 다층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확산 기밀형(diffusiontight) 엔벨로프가 선호된다.
확산 기밀형 엔벨로프가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 가능한데, 단, 엔벨로프 면 중 1 이상이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이 면이 코어와 접촉해야 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엔벨로프는 확산 기밀형이 아니다. 이 유형의 엔벨로프는 높은 단열 효과를 필요로 하지 않는 용도에, 또는 예를 들어 에어로겔이 코어 재료로서 채용되는 경우와 같이 코어에 의해 충분한 단열 효과를 갖는 복합 부재에 특히 적합하다.
엔벨로프로서 유용한 호일은, 예를 들어 용어 "배리어 호일"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 특히 적합한 호일은 특히 공기 불투과형 또는 기체 확산 기밀형이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엔벨로프는 1 cm3/(m2d) 미만의 기체 투과도 및/또는 1 g/(m2d) 미만의 수증기 투과도를 갖고, 이때 부피 데이터는 1 bar 압력 및 실온에 기초한 것이다. 달리 언급하지 않은 한, 기체 투과도는 DIN 53380에 따라 측정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서, 엔벨로프가 확산 기밀형인 방법을 또한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 실시양태에서, 엔벨로프는 1 cm3/(m2d) 미만의 DIN 53380 기체 투과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양태에서, 엔벨로프는 1 g/(m2d) 미만의 DIN 53380 수증기 투과도를 갖는다.
최종적으로,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서, 엔벨로프가 1 cm3/(m2d) 미만의 DIN 53380 기체 투과도 및 1 g/(m2d) 미만의 DIN 53380 수증기 투과도를 갖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서, 엔벨로프가 다층 구조를 갖는 것인 방법을 또한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벨로프가 2 이상의 플라이(ply) 또는 층으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중 1 이상이 확산 기밀형인 것 또한 가능하다. 엔벨로프는 예를 들어 2 플라이 또는 3 플라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벨로프는 예를 들어 다중-플라이 호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엔벨로프로서 금속 호일 또는 폴리머 호일이 유용하다. 금속 호일은 본 발명의 맥락에서 금속 층 및 1 이상의 열가소성 물질 층을 포함하는 다층 호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매우 다양한 폴리머 호일이 사용 가능한데, 단, 호일의 면 중 1 이상이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이 면이 코어와 접촉되어야 한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복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엔벨로프가 폴리머 호일 또는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복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엔벨로프가 확산 기밀형 폴리머 호일 또는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적합한 재료의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벨로프는 열가소성 물질,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1 이상의 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면은 코어에 덧붙어 있다.
따라서,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서,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 바람직한 엔벨로프는, 예를 들어 2 이상의 층, 예컨대 하나의 폴리에스테르 플라이 및 하나의 폴리에틸렌 플라이로 이루어지면서, 하나 이상의 층이 예를 들어, 증기 증착된 금속 층을 또한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 증착된 알루미늄 층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벨로프의 1 이상의 면은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표면 층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층이다. 여기서 엔벨로프는 또한 3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에 예를 들어 2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층이 또한 조합 가능하며, 예를 들어 한 폴리에스테르 층은 증기 증착된 금속을 갖고, 한 폴리에스테르 층은 증기 증착이 없는 것이다. 예를 들어, 폴리테레프탈레이트 층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 유용한 엔벨로프는, 예를 들어 시판의 배리어 호일, 예컨대 Hanita Coatings RCA Ltd로부터 상표명 V08621으로 입수 가능한 호일을 포함한다. 이 호일은, 예를 들어, 3겹의 알루미늄-금속화된 폴리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LLDPE 시일 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벨로프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층, 에틸렌-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층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가의 층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벨로프는 개개의 호일들의 조합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엔벨로프로서 유용한 호일 및 그의 제조 방법은 당업자에게 자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복합 부재는 엔벨로프와 코어 재료 사이에 압력 맞춤 결합을 갖는다. 이 맥락에서, 본 발명은 엔벨로프가 코어의 오직 일부를 피복하는 가능성을 참작한다. 이 경우에, 코어는 진공 처리되어 있지 않고 엔벨로프는 기본적으로 기계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코어가 엔벨로프에 의해 완전 내포되고 복합 부재가 진공 처리되어 있는 것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코어에 대한 엔벨로프의 압력 맞춤 결합의 강도는 예를 들어 DIN EN ISO 5271과 유사하게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은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와 직접 접촉해 있고, DIN EN ISO 5271과 유사하게 측정된 100 N ∼ 300 N 범위의 힘으로 그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에 부착된다.
추가 양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복합 부재 및 또한 그의 단열재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추가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 얻어지거나 얻을 수 있는 복합 부재를 또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가 양태에서, 본 발명은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의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 및 이 코어를 내포하는 1 이상의 밀폐된 엔벨로프를 포함하는 복합 부재로서,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이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와 직접 접촉해 있고, DIN EN ISO 5271과 유사하게 측정된 100 N ∼ 300 N 범위의 힘으로 그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에 부착되며, 밀폐된 엔벨로프 내에는 0.01 mbar ∼ 200 mbar 범위의 압력이 존재하는 것인 복합 부재를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복합 부재는 코어와 엔벨로프 사이에 추가 층을 갖지 않고, 특히 피복 층 또는 부착 촉진 층을 갖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복합 부재는 기계적으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단열을 제공한다. 코어에 대한 엔벨로프의 압력 맞춤 결합으로 인해, 엔벨로프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단열의 제공이 지속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복합 부재는 진공 절연 패널 또는 단열재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 얻어지거나 얻을 수 있는 복합 부재, 또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복합 부재를 진공 절연 패널로서 사용하는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따라서, 추가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 얻어지거나 얻을 수 있는 복합 부재, 또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복합 부재를 단열재로서 사용하는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양태들은 청구범위 및 실시예로부터 유추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방법/용도의 전술한 특징들 및 이하에 설명하는 특징들은 단지 언급된 특정 조합으로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일 없이 다른 조합으로도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특징과 특히 바람직한 특징의 조합, 또는 더 특성화되지 않은 특징과 특히 바람직한 특징의 조합 등등은 또한, 이 조합이 명확히 언급되지 않은 경우에도 함축적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양태를 이하에 기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하에 기재된 종속 인용으로부터 도출되는 실시양태들 및 그에 따른 조합들이 또한 이해된다.
1. 압력 맞춤 조합으로 있는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 및 엔벨로프를 포함하는 복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i)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의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를 제공하는 단계,
(ii) 코어를 엔벨로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엔벨로핑하여 복합 부재 전구체를 얻는 단계로서,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이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인 단계, 및
(iii)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 및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의 적어도 부분 연화를 유도하는 시간 동안 복합 부재 전구체를 처리하는 단계
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조 방법.
2. 실시양태 1에 있어서, 처리는 가열,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통한 열 처리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3. 실시양태 1 또는 2에 있어서, 단계 (iii)에 따른 처리는 열 처리 및 코어에 대한 엔벨로프의 압착을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4. 실시양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단계 (ii) 후에 및 단계 (iii) 전에, 방법은 하기 단계 (a) 및 단계 (b):
(a) 복합 부재 전구체를 진공 처리하는 단계, 및
(b) 엔벨로프를 밀폐하여 진공 처리된 복합 부재 전구체를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5. 실시양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처리는 2 초 ∼ 30 분 범위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제조 방법.
6. 실시양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는 판형 구성을 갖는 것인 제조 방법.
7. 실시양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는 유기 에어로겔, 유기 크세로겔 및 경질 유기 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조 방법.
8. 실시양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엔벨로프는 다층 구조를 갖는 것인 제조 방법.
9. 실시양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인 제조 방법.
10. 실시양태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엔벨로프는 확산 기밀형인 제조 방법.
11. 실시양태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엔벨로프는 1 cm3/(m2d) 미만의 DIN 53380 기체 투과도를 갖는 것인 제조 방법.
12. 실시양태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엔벨로프는 1 g/(m2d) 미만의 DIN 53380 수증기 투과도를 갖는 것인 제조 방법.
13. 실시양태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엔벨로프는 1 cm3/(m2d) 미만의 DIN 53380 기체 투과도 및 1 g/(m2d) 미만의 DIN 53380 수증기 투과도를 갖는 것인 제조 방법.
14. 실시양태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거나 얻을 수 있는 복합 부재.
15.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의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 및 이 코어를 내포하는 1 이상의 밀폐된 엔벨로프를 포함하는 복합 부재로서,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이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이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에 직접 접촉해 있으며, DIN EN ISO 5271과 유사하게 측정된 100 N ∼ 300 N 범위의 힘으로 그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에 부착되고, 그 밀폐된 엔벨로프 내에는 0.01 mbar ∼ 200 mbar 범위의 압력이 존재하는 것인 복합 부재.
16. 실시양태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거나 얻을 수 있는 복합 부재, 또는 실시양태 14 또는 15에 따른 복합 부재를 진공 절연 패널로서 사용하는 방법.
17. 실시양태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거나 얻을 수 있는 복합 부재, 또는 실시양태 14 또는 15에 따른 복합 부재를 단열재로서 사용하는 방법.
이어지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증하는 것이며,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의 주제를 한정하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제조예
하기 호일을 사용하였다:
Hanita Coatings RCA Ltd의 V08621 호일:
하나의 LLDPE 시일 층을 갖는 3겹의 금속화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실시예 1: 크세로겔의 제조
하기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성분:
- ASTM D-5155-96 A에 따르면 100 g당 31.5 g의 NCO 함량, 2.8 ∼ 2.9 범위의 작용도 및 DIN 53018에 따르면 25℃에서 550 mPa.s의 점도를 갖는 올리고머 MDI(Lupranat® M50)(이하 "화합물 M50").
- 3,3',5,5'-테트라에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이하 "MDEA")
촉매: 디메틸피페라진
56 g의 화합물 M50을 유리 비커 중 210 g의 아세톤에, 20℃에서 교반 하에 용해시켰다. 8 g의 화합물 MDEA, 1 g의 디메틸피페라진 및 2 g의 물을 제2 유리 비커 중 210 g의 아세톤에 용해시켰다. 단계 (a)의 두 용액을 혼합하여 저점도의 투명한 혼합물을 얻었다. 그 혼합물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경화하도록 두었다. 그 후, 그 겔을 유리 비커로부터 옮기고, 20℃에서 7 일간 건조함으로써 액체(아세톤)를 제거하였다.
수득된 크세로겔은 117 kg/m3의 밀도와 함께 0.202 N/mm2의 압축 강도를 가졌다.
그의 열 전도도는, 호일(Hanita V08621)을 밀봉하기 위해 가해진 압력인 3.6 * 10-4 mbar에서 5.5 mW/m*K였다.
1.2 실시예 2: 연속 기포형 경질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하기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 폴리올 A: 수크로오스, 글리세롤 및 산화프로필렌으로부터 생성된 폴리에테르 알코올, 히드록실가 490
- 폴리올 B: 프로필렌 글리콜 및 산화프로필렌으로부터 생성된 폴리에테르 알코올, 히드록실가 105
- 폴리올 C: 프로필렌 글리콜 및 산화프로필렌으로부터 생성된 폴리에테르 알코올, 히드록실가 250
- 첨가제 1: Evonik사의 Tegostab® B 8870 실리콘 안정화제
- 첨가제 2: Evonik사의 Ortegol® 501 기포 개방제
- 촉매제 1: Polycat® 58 (Air Products)
- 촉매제 2: 에틸렌 글리콜 중 아세트산칼륨 (BASF)
- 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 MDI (Lupranat® M70, BASF)
언급한 원료들을 사용하여 폴리올 성분을 제조하고, 이것을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켰다. 출발 물질의 사용량은 하기 표 1에서 확인된다. 혼합은 혼합 헤드에서 일어난다. 그 반응 혼합물을 측면 길이 418*700*455 mm를 갖는 실험 몰드 내로 옮기고 그 안에서 경화하도록 두었다.
출발 물질의 사용량
성분 중량부
폴리올 A 44.10
폴리올 B 44.10
폴리올 C 9.15
0.55
안정화제 0.90
촉매제 1 0.50
촉매제 2 0.70
기포 개방제 1.80
시클로펜탄 9.50
이소시아네이트 194
지수 244
치수가 19*19*2 cm인 시험 검편을 경질 폼 블록으로부터 잘라내고, 기체 기밀 호일(Hanita V08621) 내에 팩킹하고, 그 호일을 0.1 mbar 미만의 압력으로 진공 처리한 후에 밀봉하였다.
열 전도도는 호일(Hanita V08621)을 밀봉하기 위해 가해진 압력인 3.5 * 10-4 mbar에서 7.7 mW/m*K였다.
1.3 실시예 3: 에어로겔의 제조
하기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성분:
ASTM D-5155-96 A에 따르면 100 g당 30.9 g의 NCO 함량, 3 범위의 작용도 및 DIN 53018에 따르면 25℃에서 2100 mPa.s의 점도를 갖는 올리고머 MDI (Lupranat® M200)(이하 "화합물 M200").
- 3,3',5,5'-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이하 "MDMA")
촉매제: Dabco K15(디에틸렌 글리콜에 용해된 칼륨 에틸헥사노에이트(85%))
48 g의 화합물 M200를 유리 비커 중 210 g의 아세톤에, 20℃에서 교반 하에 용해시켰다. 12 g의 화합물 MDMA, 2 g의 Dabco K15 및 4 g의 물을 제2 유리 비커 중 210 g의 아세톤에 용해시켰다. 단계 (a)의 두 용액을 혼합하여 저점도의 투명한 혼합물을 얻었다. 그 혼합물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경화하도록 두었다. 그 겔 모놀리스를 유리 비커로부터 회수하고, 250 ml 오토클레이브에 옮긴 후, 밀폐하였다. 모놀리스를 CO2 스트림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압력(건조 시스템 내의 압력)은 115 ∼ 120 bar였고, 온도는 40℃였다. 종결시에 시스템 내의 압력을, 약 45 분 동안 제어된 방식으로 40℃의 온도에서 대기압으로 진공 처리하였다. 오토클레이브를 개방하고, 건조된 모놀리스를 회수하였다.
이렇게 얻은 에어로겔의 열 전도도는 10℃에서 17.5 mW/m*K였다.
2. 코어/호일 부착의 시험
코어에 대한 호일(Hanita V08621)의 밀봉/결합은, 호일의 열 처리 후 프레스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프레스 파라미터는 125℃ 핫플레이트 온도, 3 분 프레스 시간 및 2 bar 몰딩 압력이었다.
밀봉된 샘플들을 표준 상태(23℃, 50% rh) 하에서 24 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코어 상에 실링된 호일에 대한 박리 시험을 DIN EN ISO 527-1에 따라 실시하고, 하기의 최대 박리력을 가하였다:
실시예 1: 130 N
실시예 2: 249 N
실시예는, 코어 재료와 시일 층 사이의 부착이, 이 복합체를 불안정화하기 위해서는 힘이 가해져야 한다는 영향을 가짐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부재는 향상된 안정성을 나타낸다.

Claims (16)

  1. 압력 맞춤 조합(force fit combination)으로 있는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 및 엔벨로프를 포함하는 복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i) 진공 처리 가능한(evacuable) 유기 재료의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를 제공하는 단계,
    (ii) 코어를 엔벨로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엔벨로핑하여 복합 부재 전구체를 얻는 단계로서,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이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인 단계, 및
    (iii)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 및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의 적어도 부분 연화를 유도하는 시간 동안 복합 부재 전구체를 처리하는 단계
    를 적어도 포함하고,
    단계 (ii) 후에 및 단계 (iii) 전에, 하기 단계 (a) 및 단계 (b):
    (a) 복합 부재 전구체를 진공 처리하는 단계, 및
    (b) 엔벨로프를 밀폐하여 진공 처리된 복합 부재 전구체를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처리는 가열,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통한 열 처리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계 (iii)에 따른 처리는 열 처리 및 코어에 대한 엔벨로프의 압착을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처리는 2 초 ∼ 30 분 범위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제조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일 또는 복수 부분 코어는 판형 구성을 갖는 것인 제조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진공 처리 가능한 유기 재료는 유기 에어로겔, 유기 크세로겔 및 경질 유기 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조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엔벨로프는 다층 구조를 갖는 것인 제조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코어에 덧붙어 있는 엔벨로프 면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인 제조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엔벨로프는 확산 기밀형(diffusiontight)인 제조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엔벨로프는 1 cm3/(m2d) 미만의 DIN 53380 기체 투과도를 갖는 것인 제조 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엔벨로프는 1 g/(m2d) 미만의 DIN 53380 수증기 투과도를 갖는 것인 제조 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거나 얻을 수 있는 복합 부재.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거나 얻을 수 있는 복합 부재를 진공 절연 패널로서 사용하는 방법.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거나 얻을 수 있는 복합 부재를 단열재로서 사용하는 방법.
  16. 삭제
KR1020177011205A 2014-09-25 2015-09-22 진공 절연 부재용 복합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425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86310.0 2014-09-25
EP14186310 2014-09-25
PCT/EP2015/071670 WO2016046172A2 (de) 2014-09-25 2015-09-22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elements für vakuumdämmeleme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127A KR20170060127A (ko) 2017-05-31
KR102425703B1 true KR102425703B1 (ko) 2022-07-28

Family

ID=51610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205A KR102425703B1 (ko) 2014-09-25 2015-09-22 진공 절연 부재용 복합 부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336040B2 (ko)
EP (1) EP3197679B1 (ko)
JP (2) JP7009211B2 (ko)
KR (1) KR102425703B1 (ko)
CN (2) CN115816812A (ko)
CA (1) CA2962110C (ko)
HU (1) HUE048046T2 (ko)
LT (1) LT3197679T (ko)
MX (1) MX2017003924A (ko)
PL (1) PL3197679T3 (ko)
WO (1) WO201604617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19440A1 (en) 2016-03-29 2017-10-05 Basf Se Transport container with remote surveillance capabil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93186A1 (en) * 2010-02-17 2011-08-17 Sealed Air Corporation Alkaline and heat resistant foam composite and floor underlaymen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9814009A (pt) * 1998-01-19 2000-10-10 Huntsman Ici Chem Llc Processo para produzir um painel de isolamento evacuado, painel de isolamento, e, uso do painel de isolamento
JP3781598B2 (ja) * 1999-12-28 2006-05-31 日清紡績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の変形方法、真空断熱材の固定方法、冷凍・冷蔵容器及び断熱箱体
DE10059453B4 (de) 2000-11-30 2009-12-31 Puren-Schaumstoff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vakuierten Dämmelements
JP2004353687A (ja) * 2003-05-27 2004-12-16 Nisshinbo Ind Inc 断熱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45580A (ja) * 2006-08-11 2008-02-28 Hitachi Appliances Inc 真空断熱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機器
EP2072548B1 (de) 2007-12-19 2017-02-22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rethangruppen und Isocyanuratgruppen enthaltenden Hartschaumstoffen
MX2012006475A (es) 2009-12-11 2012-06-28 Basf Se Materiales porosos mejorados basados en aminas aromaticas.
RU2577862C2 (ru) 2010-11-04 2016-03-20 Басф Се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эрогелей или ксерогелей
RU2013144410A (ru) * 2011-03-04 2015-04-10 Басф Се Композитные элементы
GB2491414B (en) * 2011-06-03 2017-11-01 Acell Ind Ltd Composite Open-Cell Foam Insulating Panels
JP6483612B2 (ja) 2012-09-27 2019-03-13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多孔質材料の製造方法、多孔質材料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264912B1 (ko) * 2012-10-17 2013-05-16 도영에이치에스 주식회사 고온 성형용 단열 필름,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93186A1 (en) * 2010-02-17 2011-08-17 Sealed Air Corporation Alkaline and heat resistant foam composite and floor underlay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10102A1 (en) 2017-07-27
WO2016046172A2 (de) 2016-03-31
LT3197679T (lt) 2020-02-10
CN107000421A (zh) 2017-08-01
JP2021020463A (ja) 2021-02-18
US10336040B2 (en) 2019-07-02
MX2017003924A (es) 2017-06-30
KR20170060127A (ko) 2017-05-31
HUE048046T2 (hu) 2020-05-28
PL3197679T3 (pl) 2020-07-27
CN115816812A (zh) 2023-03-21
EP3197679B1 (de) 2019-11-06
CA2962110C (en) 2023-03-21
JP7009211B2 (ja) 2022-01-25
WO2016046172A3 (de) 2016-06-02
JP2017537273A (ja) 2017-12-14
EP3197679A2 (de) 2017-08-02
CA2962110A1 (en)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22852B2 (ja) 連続気泡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405858B (zh) 真空绝缘板
KR20080008382A (ko) 진공 단열 패널 제조 방법
JPH10509922A (ja) 断熱体
JP2006194559A (ja) 真空断熱材を用いた断熱箱体
EP2657278B1 (en) Core material for a vacuum insulation panel formed of a phenolic resin-cured foam and vacuum insulation panel u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1818595A1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vacuum insulation products
KR102425703B1 (ko) 진공 절연 부재용 복합 부재의 제조 방법
US20220195137A1 (en) A molding based on a monolithic organic aerogel
JP2004162914A (ja) 真空断熱材及びその製造方法
TWI593793B (zh) 真空絕熱材料用芯材和利用該真空絕熱材用芯材的真空絕熱材料及其製備方法
KR101525297B1 (ko)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용 심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진공단열재
CN101122359A (zh) 真空隔热板及制备方法
JP2012057745A (ja) 真空断熱材
EP2943620B1 (en) Production of a thermal insulation product
KR101808899B1 (ko) 진공단열재용 심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진공단열재
KR20130013145A (ko) 유리섬유 성형체를 단열심재로 한 진공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62590B1 (ko) 진공 단열재 및 이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및 이 진공 단열재를 적용한 냉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