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106B1 -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 및 그의 피킹 방법 - Google Patents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 및 그의 피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106B1
KR102425106B1 KR1020200042044A KR20200042044A KR102425106B1 KR 102425106 B1 KR102425106 B1 KR 102425106B1 KR 1020200042044 A KR1020200042044 A KR 1020200042044A KR 20200042044 A KR20200042044 A KR 20200042044A KR 102425106 B1 KR102425106 B1 KR 102425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icking
item
article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4695A (ko
Inventor
박명규
Original Assignee
평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평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42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106B1/ko
Publication of KR20210124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의 피킹 방법은, 출고 지시 확정부를 이용하여 물품에 대한 출고 지시를 확정하는 출고 지시 확정 단계와, 출고 지시 확정된 대로 박스 카트에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를 로딩시키는 물품 박스 로딩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가 로딩된 상기 박스 카트에 출고 지시를 할당하는 출고 지시 할당 단계 및 상기 출고 지시 할당 단계에 의해서 할당된 대로 물품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에 피킹(picking)하는 피킹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 및 그의 피킹 방법{SYSTEM AND METHOD TO PICK GOODS FOR FULFILLMENT DISTRIBUTION CENTER}
본 발명은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 및 그의 피킹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킹 알고리즘(picking algorithm)에 의해서 물품에 대한 효율적인 피킹 업무를 지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적 경로를 확보할 수 있는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 및 그의 피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창고 관리 시스템(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이란 물류 센터 내에서 물류를 관리하면서 발생되는 모든 활동에 대한 것으로, 주문 및 입출고 최적화와, 실시간 재고 관리와, 공간과 장비 최적화 등 물류 흐름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조절하는 시스템이다. 최근에는 상기 요소들 외에 보안 등의 요소도 포함된다.
창고 관리 시스템에서 물류의 입고, 적치, 재고, 피킹 및 출고 등 프로세스 전체를 통합 관리하여 예를 들면 고객이 되는 기업의 물류 관리 및 운영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경영 자원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고객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최신 클라우드 기반 WMS가 대두되고 있다.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이 고객의 구매 방식을 변화시킴으로써 클라우드로 전환되면서 창고 관리 시스템은 실시간 가시성, 확장성 및 시장 반응성을 제공하는 인터넷에 연결된 주문 이행 솔루션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소비자들에 적절히 반응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창고 관리 시스템의 피킹 공정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고객의 주문에 따라 존(zone) 별로 상품을 일관되게 보관해야 하는데, 상품의 피킹 업무 시 같은 고객사 또는 존별 피킹 지시 때문에 동선의 최적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효율적인 피킹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물류의 동선을 단축시킬 수 있으면서도 출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물류센터 전용 피킹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10-1889928호, 발명의 명칭: 물류 이동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킹 알고리즘에 의해서 물품에 대한 효율적인 피킹 업무를 지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적 경로를 확보할 수 있으며, 피킹 업무를 작업자 정보에 맞춰 효율적으로 재분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품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표시하여 정확하고 빠른 피킹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피킹 시스템 및 그의 피킹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의 피킹 방법은, 출고 지시 확정부를 이용하여 물품에 대한 출고 지시를 확정하는 출고 지시 확정 단계와, 출고 지시 확정된 대로 박스 카트에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를 로딩시키는 물품 박스 로딩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가 로딩된 상기 박스 카트에 출고 지시를 할당하는 출고 지시 할당 단계 및 상기 출고 지시 할당 단계에 의해서 할당된 대로 물품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에 피킹(picking)하는 피킹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출고 지시 확정 단계에서 확정된 물품들을 상기 출고 지시 할당 단계에서 종류별로 집계한 다음, 상기 피킹 단계 시 종류별로 집계된 상기 물품 중 한 종류의 물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에 할당된 대로 피킹되고 다른 종류의 물품이 있는 경우 상기 다른 종류의 물품들 중 다른 한 종류의 물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에 피킹되는 알고리즘을 통해 할당된 상기 물품 모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에 각각 피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물품 박스 로딩 단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박스 카트의 바코드를 스캐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의 바코드를 각각 스캐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출고 지시 할당 단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박스 카트에 로딩된 상기 물품 박스의 스캐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고 지시 확정 단계 시 확정된 물품의 출구 요청건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피킹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박스 카트의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상기 박스 카트를 대기 상태에서 사용 상태로 변경시키는 카트 바코드 스캐닝 단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박스 카트에 로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에 피킹할 물품의 위치를 확인하는 물품 위치 확인 단계와, 상기 물품의 위치로 상기 박스 카트를 이동시키는 카트 이동 단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 박스에 피킹할 물품이 로딩된 선반의 바코드를 스캐닝하고 상기 선반에 놓인 물품을 스캐닝하는 물품 스캐닝 단계 및 상기 물품을 해당되는 상기 물품 박스에 피킹하는 물품 피킹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 박스에 출고 지시 할당된 물품들이 모두 피킹될 때까지 상기 물품 위치 확인 단계 내지 상기 물품 피킹 단계는 반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피킹 단계는, 상기 물품 피킹 단계에 이어서 상기 물품 박스가 로딩된 상기 박스 카트를 패킹부의 검수대로 이동시키는 패킹부 이동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킹부를 이용하여 상기 피킹 단계가 완료된 상기 물품 박스를 패킹(packing)하는 패킹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킹 단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피킹 단계를 마친 상기 박스 카트의 바코드를 스캐닝한 후 상기 물품 박스를 상기 박스 카트로부터 상기 패킹부의 검수대에 언로딩시킨 후 상기 물품 박스를 패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패킹 단계 시 피킹이 완료된 상기 물품 박스를 상기 박스 카트로부터 상기 검수대에 언로딩한 후 다른 빈 물품 박스를 상기 박스 카트에 로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패킹 단계 시, 상기 박스 카트로부터 상기 검수대로의 상기 물품 박스의 이동은 상기 박스 카트를 상기 검수대까지 가져온 작업자 또는 상기 검수대에서 상기 박스 카트를 패킹하는 작업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은, 물품에 대한 출고 지시를 확정하는 출고 지시 확정부와, 상기 출고 지시 확정부에 의해 출고 지시 확정된 대로 상기 물품이 피킹(picking)될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가 로딩 또는 언로딩되는 박스 카트와, 상기 물품 박스에 피킹될 물품에 대하여 출고 지시를 할당함으로써 상기 물품 박스에 대한 상기 물품이 설정된 피킹 알고리즘에 의해서 피킹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피킹 완료된 상기 물품 박스에 대한 패킹(packing)을 실행하는 검수대를 구비한 패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출고 지시 확정부에 의해 확정된 상기 물품들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할당되어 상기 박스 카트 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에 피킹되며, 상기 출고 지시 확정부에 의해 종류별로 집계된 상기 물품 중 한 종류의 물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에 할당된 대로 피킹되고 다른 종류의 물품이 있는 경우 상기 다른 종류의 물품들 중 다른 한 종류의 물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에 피킹되는 알고리즘을 통해 할당된 상기 물품 모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에 각각 피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박스 카트의 바코드를 스캐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의 바코드를 각각 스캐닝하고, 상기 물품 박스의 스캐닝 정보에 기초하여 출구 지시 확정된 상기 물품의 출구 요청건을 확정하여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킹 알고리즘에 의해서 물품에 대한 효율적인 피킹 업무를 지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적 경로를 확보할 수 있으며, 피킹 업무를 작업자 정보에 맞춰 효율적으로 재분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품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표시하여 정확하고 빠른 피킹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의 피킹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피킹 방법에 따라 물품을 그룹 피킹하는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피킹 방법 중 출고 지시 확정 단계 내지 출고 지시 할당 단계까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피킹 방법 중 피킹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피킹 방법 중 패킹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패킹 단계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의 피킹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피킹 방법에 따라 물품을 그룹 피킹하는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피킹 방법 중 출고 지시 확정 단계 내지 출고 지시 할당 단계까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피킹 방법 중 피킹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피킹 방법 중 패킹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피킹 시스템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160)에 대한 출고 지시를 확정하는 출고 지시 확정부(110)와, 출고 지시 확정부(110)에 의해 출고 지시 확정된 대로 물품(160)이 피킹(picking)될 복수 개의 물품 박스(130)가 로딩(loading) 또는 언로딩(unloading)되는 박스 카트(120)와, 물품 박스(130)에 피킹될 물품(160)에 대하여 출고 지시를 할당함으로써 물품 박스(130)에 대한 물품(160)이 설정된 피킹 알고리즘, 즉 후술할 피킹 방법에 의해서 피킹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140)와, 피킹 완료된 물품 박스(130)에 대한 패킹(packing)을 실행하는 패킹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고 지시 확정부(110)는 PC(Personal Computer)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40)는 스캐너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또는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일 수 있다. 다만, 출고 지시 확정부(110) 및 휴대용 단말기(140)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기기 또는 방식으로 출고 지시 확정 또는 할당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구성의 피킹 시스템에 의해서, 도 1의 피킹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물품 피킹 시스템의 피킹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물품(160)에 대한 출고 지시를 확정하는 출고 지시 확정 단계(S100)와, 출고 지시 확정된 대로 박스 카트(120)에 복수 개의 물품 박스(130)를 로딩시키는 물품 박스 로딩 단계(S200)와, 복수 개의 물품 박스(130)가 로딩된 박스 카트(120)에 출고 지시를 할당하는 출고 지시 할당 단계(S300)와, 물품 박스(130)에 물품(160)을 피킹하는 피킹 단계(S400)와, 피킹 완료된 물품 박스(130)를 패킹하는 패킹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피킹 방법의 알고리즘에 의해서 물품(160)에 대한 효율적인 피킹 업무를 지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적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피킹 시스템에 비해 물류의 동선을 절반 정도로 단축할 수 있고, 따라서 물류 운영 비용을 20% 정도 절감할 수 있으며, 노동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아울러 물류 센터의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즉, 창고 관리 시스템(WMS)으로부터 취합된 출고 정보를 후술할 피킹 방법의 알고리즘을 통해 최적의 동성을 확보할 수 있고, 피킹 업무를 작업자 정보에 맞춰 효율적으로 재분배할 수 있으며, 또한 물품(160)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표시하여 정확하고 빠른 피킹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출고 지시 확정 단계(S100)에서 확정된 물품(160)들을 출고 지시 할당 단계(S300)에서 종류별로 집계한 다음, 피킹 단계(S400) 시 종류별로 집계된 물품(160) 중 한 종류의 물품(160)이 물품 박스(130)들에 할당된 대로 피킹되고 다른 종류의 물품(160)이 있는 경우 다른 종류의 물품(160)들 중 다른 한 종류의 물품(160)이 물품 박스(130)에 할당된 대로 피킹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할당된 물품(160) 모두가 물품 박스(130)에 각각 피킹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A, B, C, D 물품에 대한 출고요청번호가 8개가 있는데, 먼저 이를 물품 종류 단위로 집계할 수 있다. 그러면, 피킹 지시에 따라 총 4개의 군(A, B, C, D 상품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휴대용 단말기(140)를 이용하여 상품군들 중 A 상품을 스캐닝하여 각각의 물품 박스(130)에 넣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B, C, D 상품에 대하여서도 같은 과정을 통해 물품 박스(130)에 피킹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물품 박스(130)에 할당된 모든 출고 지시를 완료할 때까지 피킹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피킹을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피킹 방법, 즉 그룹 피킹 방법은, 같은 종류의 여러 물품을 한 자리에서 피킹하여 집품할 수 있고, 일괄 집품한 물품을 출고지시번호 단위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비교적 주문수가 적고 공통된 상품이 많을 경우, 즉 상품 종류가 2종 이상인 합포장 주문 시에 적합할 수 있다. 이러한 그룹 피킹 방법은 작업자의 보행 거리를 단축시켜 효율적인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피킹 원리는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피킹 방법에 의해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피킹 시스템의 피킹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출고 지시 확정 단계(S1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출고 지시 확정부(110), 예를 들면 PC를 이용하여 물품(160)에 대한 출고 지시를 확정하는 단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출고 지시 확정 단계(S100)에서 물품(160)들에 대한 출고요청번호를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보다 휴대용 단말기(140) 등에 입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물품 박스 로딩 단계(S2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준비된 박스 카트(120)에 복수 개의 물품 박스(130)를 로딩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물품 박스 로딩 단계(S200) 시, 휴대용 단말기(140)를 이용하여 박스 카트(120)의 바코드(121)를 스캐닝하고 복수 개의 물품 박스(130)의 바코드(131)를 각각 스캐닝함으로써 박스 카트(120)에 대한 물품 박스(130)의 할당을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출고 지시 할당 단계(S300) 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휴대용 단말기(140)를 이용하여 박스 카트(120)에 로딩된 물품 박스(130)의 스캐닝 정보에 기초하여 출구 지시 확정된 물품(160)의 출구 요청건이 할당될 수 있다. 즉, 대기 중인 출고 지시 확정된 물품(160)들을 확정하여 할당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피킹 단계(S40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출고 지시 할당된 대로 물품(160)을 복수 개의 물품 박스(130)에 피킹하는 단계로서, 카트 바코드 스캐닝 단계(S410)와, 물품 위치 확인 단계(S420)와, 카트 이동 단계(S430)와, 물품 스캐닝 단계(S440)와, 물품 피킹 단계(S450)와, 패킹부 이동 단계(S4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카트 바코드 스캐닝 단계(S410) 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40)의 스캐너에 의해서 박스 카트(120)의 바코드(121)를 스캐닝하여 박스 카트(120)를 대기 상태에서 사용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물품 위치 확인 단계(S420) 시, 휴대용 단말기(140)를 이용하여 박스 카트(120)에 로딩된 복수 개의 물품 박스(130)에 피킹할 물품(160)의 위치를 확인한 후, 카트 이동 단계(S430)를 통해 물품(160)의 위치로 박스 카트(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물품 스캐닝 단계(S440) 시, 휴대용 단말기(140)를 이용하여 물품 박스(130)에 피킹할 물품(160)이 로딩된 선반(150)의 바코드(151)를 스캐닝하고 선반(150)에 놓인 물품(160)을 스캐닝할 수 있다. 이어서, 물품 피킹 단계(S450)를 통해 해당되는 물품 박스(130)에 스캐닝 완료된 물품(160)을 피킹할 수 있다.
다만, 물품 박스(130)에 출고 지시 할당된 물품(160)들이 모두 피킹될 때까지 전술한 물품 위치 확인 단계(S420) 내지 물품 피킹 단계(S450)는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들을 거쳐 피킹이 완료되면, 패킹부 이동 단계(S460)를 통해서 물품 박스(130)가 로딩된 박스 카트(120)를 패킹부(170)의 검수대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패킹 단계(S500)는, 피킹 완료된 물품 박스(130)를 패킹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패킹 단계(S500) 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휴대용 단말기(140)를 이용하여 피킹 단계(S400)가 완료된 박스 카트(120)의 바코드(121)를 스캐닝한 후 물품 박스(130)를 패킹부(170)의 검수대(171)에 언로딩시킨 다음 물품 박스(130)에 대한 패킹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패킹 단계(S500) 시, 피킹이 완료된 물품 박스(130)를 박스 카트(120)로부터 검수대(171)에 언로딩한 후 다른 빈 물품 박스(130)를 박스 카트(120)에 로딩시킬 수 있다. 새로이 세팅된 박스 카트(120)는 전술한 물품 박스) 로딩 단계(S200)부터 다시 거침으로써 피킹 작업이 새로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패킹 단계(S500) 시, 피킹 작업을 수행한 작업자(101)가 피킹 완료된 물품 박스(130)를 패킹부(170)의 검수대로 옮길 수 있고, 이후 빈 물품 박스(130)를 박스 카트(120)에 올리는 것도 피킹 작업을 수행한 작업자(101)가 실행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패킹 단계(S500)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이에 도시된 것처럼, 피킹 단계(S400)가 완료된 물품 박스(130)는 패킹부(170)에서 작업하는 작업자(105)에 의해 검수대로 옮겨질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피킹 담당 작업자(101)가 패킹 단계에서의 언로딩 과정을 실행할 수도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패킹 담당 작업자(105)가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작업 효율이 최대화된다면, 피킹 담당 작업자(101) 및 패킹 담당 작업자(105)가 박스 언로딩 과정을 같이 실행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킹 알고리즘에 의해서 물품(160)에 대한 효율적인 피킹 업무를 지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적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창고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취합된 출고 정보를 후술할 피킹 방법의 알고리즘을 통해 최적의 동성을 확보할 수 있고, 피킹 업무를 작업자 정보에 맞춰 효율적으로 재분배할 수 있으며, 또한 물품(160)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표시하여 정확하고 빠른 피킹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부연하면, 다양한 실내 및 실외 피킹 환경에서 추가적인 장치 없이 작업자에게 정확하고 최적화된 피킹 동선을 지시해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복합적인 출고 주문에 대해서도 정확환 위치와 최적화된 피킹 동선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상품이 같은 공간에 존재하는 물류 센터의 환경 및 다양한 변수에서도 복수의 고객사 및 출고 주문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피킹이 가능하도록 설정을 할 수 있다. 아울러 가령 재고 부족과 같은 결품에 대한 변수까지도 고려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최적화된 피킹 동선을 확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1: 피킹 담당 작업자
105: 패킹 담당 작업자
110: 출고 지시 확정부
120: 박스 카트
121: 박스 카트의 바코드
130: 물품 박스
131: 물품 박스의 바코드
140: 휴대용 단말기
150: 선반
151: 선반의 바코드
160: 물품
170: 패킹부
171: 검수대

Claims (12)

  1. 출고 지시 확정부를 이용하여 물품에 대한 출고 지시가 확정되는 출고 지시 확정 단계;
    출고 지시 확정된 대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박스 카트에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가 로딩되는 물품 박스 로딩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가 로딩된 상기 박스 카트에 출고 지시가 할당되는 출고 지시 할당 단계; 및
    상기 출고 지시 할당 단계에 의해서 할당된 대로 물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에 피킹(picking)되는 피킹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출고 지시 확정 단계에서 확정된 물품들이 상기 출고 지시 할당 단계에서 종류별로 집계된 다음, 상기 피킹 단계 시 종류별로 집계된 상기 물품 중 한 종류의 물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에 할당된 대로 피킹되고 다른 종류의 물품이 있는 경우 상기 다른 종류의 물품들 중 다른 한 종류의 물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에 피킹되는 알고리즘을 통해 할당된 상기 물품 모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에 각각 피킹되며,
    상기 피킹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박스 카트의 바코드가 스캐닝되어 상기 박스 카트가 대기 상태에서 사용 상태로 변경되는 카트 바코드 스캐닝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박스 카트에 로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에 피킹할 물품의 위치가 확인되는 물품 위치 확인 단계;
    상기 물품의 위치로 상기 박스 카트가 이동되는 카트 이동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 박스에 피킹될 물품이 로딩된 선반의 바코드가 스캐닝되고 상기 선반에 놓인 물품이 스캐닝되는 물품 스캐닝 단계; 및
    상기 물품이 해당되는 상기 물품 박스에 피킹되는 물품 피킹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 박스에 출고 지시 할당된 물품들이 모두 피킹될 때까지 상기 물품 위치 확인 단계 내지 상기 물품 피킹 단계는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의 피킹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박스 로딩 단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박스 카트의 바코드가 스캐닝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의 바코드가 각각 스캐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의 피킹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고 지시 할당 단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박스 카트에 로딩된 상기 물품 박스의 스캐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고 지시 확정 단계 시 확정된 물품의 출고 요청건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의 피킹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킹 단계는,
    상기 물품 피킹 단계에 이어서 상기 물품 박스가 로딩된 상기 박스 카트가 패킹부의 검수대로 이동되는 패킹부 이동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의 피킹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패킹부를 이용하여 상기 피킹 단계가 완료된 상기 물품 박스가 패킹(packing)되는 패킹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킹 단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피킹 단계를 마친 상기 박스 카트의 바코드가 스캐닝된 후 상기 물품 박스가 상기 박스 카트로부터 상기 패킹부의 검수대에 언로딩된 후 상기 물품 박스가 패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의 피킹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단계 시 피킹이 완료된 상기 물품 박스가 상기 박스 카트로부터 상기 검수대에 언로딩된 후 다른 빈 물품 박스가 상기 박스 카트에 로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의 피킹 방법.
  9. 삭제
  10. 물품에 대한 출고 지시를 확정하는 출고 지시 확정부;
    상기 출고 지시 확정부에 의해 출고 지시 확정된 대로 상기 물품이 피킹(picking)될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가 로딩 또는 언로딩되는 박스 카트;
    상기 물품 박스에 피킹될 물품에 대하여 출고 지시를 할당함으로써 상기 물품 박스에 대한 상기 물품이 설정된 피킹 알고리즘에 의해서 피킹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피킹 완료된 상기 물품 박스에 대한 패킹(packing)을 실행하는 검수대를 구비한 패킹부;
    를 포함하며,
    상기 출고 지시 확정부에 의해 확정된 상기 물품들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할당되어 상기 박스 카트 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에 피킹되며,
    상기 출고 지시 확정부에 의해 종류별로 집계된 상기 물품 중 한 종류의 물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에 할당된 대로 피킹되고 다른 종류의 물품이 있는 경우 상기 다른 종류의 물품들 중 다른 한 종류의 물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에 피킹되는 알고리즘을 통해 할당된 상기 물품 모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에 각각 피킹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박스 카트의 바코드를 스캐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박스의 바코드를 각각 스캐닝하고, 상기 물품 박스의 스캐닝 정보에 기초하여 출고 지시 확정된 상기 물품의 출구 요청건을 확정하여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042044A 2020-04-07 2020-04-07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 및 그의 피킹 방법 KR102425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044A KR102425106B1 (ko) 2020-04-07 2020-04-07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 및 그의 피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044A KR102425106B1 (ko) 2020-04-07 2020-04-07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 및 그의 피킹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695A KR20210124695A (ko) 2021-10-15
KR102425106B1 true KR102425106B1 (ko) 2022-07-26

Family

ID=7815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044A KR102425106B1 (ko) 2020-04-07 2020-04-07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 및 그의 피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1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3415A (ko) 2022-11-03 2024-05-10 주식회사 트위니 태스크를 할당하는 서버 및 할당된 태스크에 따라 배송을 수행하는 로봇을 포함하는 피킹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01641A (ja) * 2017-06-19 2019-01-10 ユニパルス株式会社 物品搬送作業システム及び物品搬送作業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7617A (ja) * 1997-11-28 1999-06-15 Hitachi Eng Co Ltd 物流システム用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物流システム
KR20170045796A (ko) * 2015-10-20 2017-04-28 주식회사 글로벨 상품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01641A (ja) * 2017-06-19 2019-01-10 ユニパルス株式会社 物品搬送作業システム及び物品搬送作業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3415A (ko) 2022-11-03 2024-05-10 주식회사 트위니 태스크를 할당하는 서버 및 할당된 태스크에 따라 배송을 수행하는 로봇을 포함하는 피킹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695A (ko) 202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rásek An overview of warehouse optimization
Manzini et al. Decision models for the design, optimization and management of warehousing and material handling systems
KR102380775B1 (ko) 고속 전자상거래 주문 풀필먼트를 위한 분류 장치 셀 할당 시스템 및 방법
JP6650508B2 (ja) 倉庫管理システム及び倉庫管理方法
KR102660940B1 (ko) 물류 관리 방법 및 이의 전자 장치
CN109878959A (zh) 拣选调度方法、装置、仓储系统及可读存储介质
KR102297955B1 (ko) 컴퓨터 구현 인공 지능 배치 픽업 최적화 및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Vasili et al.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a review on travel time models and control policies
KR20200106323A (ko) 피킹셀 통합 피킹 기능을 구비한 물류 관리 시스템
WO2021167187A1 (ko) 재고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wlewski DES/ABS approach to simulate warehouse operations
KR20220092837A (ko) 다수의 컴퓨팅 시스템 사이에서 워크로드를 밸런싱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및 방법
Ahmed et al. Storage assignment in the steel manufacturing industry: Mathematical modeling and a priority-based heuristic approach
KR102425106B1 (ko)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 및 그의 피킹 방법
Rimiene THE DESIGN AND OPERATION OF WAREHOUSE.
WO2023182560A1 (ko) 주문 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Schaupp et al. Evaluating relevant factors for developing an optimal tool storage strategy
CN114612009A (zh) 拣货路径的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23533621A (ja) 製品割当て検証を使用したインバウンド製品のインテリジェントな分配による製品在庫の最適化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実装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218284B1 (ko) 적응적 로케이션 설정 기능을 구비한 물류 관리 시스템
Pereira et al. An integrated approach for warehouse design and planning
KR102210662B1 (ko) 가입고 기능을 구비한 물류 관리 시스템
Pawlewski Simulation Model To Optimize Picking Operations In A Distribution Center,„
KR20200020527A (ko) 동적 선별 기반 주문 제품 포장 시스템 및 방법
KR102559162B1 (ko) 물류 센터에서 박스 단위의 상품을 분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