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075B1 - Air classifier mill equipment - Google Patents
Air classifier mill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5075B1 KR102425075B1 KR1020210095859A KR20210095859A KR102425075B1 KR 102425075 B1 KR102425075 B1 KR 102425075B1 KR 1020210095859 A KR1020210095859 A KR 1020210095859A KR 20210095859 A KR20210095859 A KR 20210095859A KR 102425075 B1 KR102425075 B1 KR 1024250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pper
- pulverized
- disposed
- grind
- turnt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8—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 B07B7/083—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rotating vanes, discs, drums, or 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류분급을 이용한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균일한 입도를 갖도록 분쇄대상물인 원료를 분쇄한 후, 기류분급법을 이용하여 공기의 압력과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마모가 적으면서 균일한 입도를 갖는 분쇄물을 배출할 수 있는 기류분급을 이용한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verizing apparatus using air flow classification, and after pulverizing a raw material to be pulverized so as to have a uniform particle size, adjust the air pressure and air amount using the air stream classification method, thereby achieving a uniform particle size with little wear It relates to a pulverizing device using an air stream classifier capable of discharging pulverized products.
일반적으로, 광물 등의 원료를 적당한 크기(80 ~ 200메쉬)로 분쇄하기 위해서는 분쇄기를 사용할 수 있다.In general, a pulverizer may be used to pulverize raw materials such as minerals to an appropriate size (80 to 200 mesh).
예를 들어, 압착, 충격, 회전수단을 이용하여 원료를 원하는 정도의 크기로 분쇄하게 되는데, 이때 이용하게 되는 분쇄방식은 볼(ball), 롤러(roll), 해머(hammer), 회전(rotary)방식을 이용하여 분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aw material is crushed to a desired size using compression, impact, and rotation means. It can be crushed using the method.
통상적인 분쇄기는 비접촉식으로 충돌에 의해 원료를 분쇄하는 방식이어서 균일한 입도를 가지는 분쇄가 힘들며, 비중이 낮은 원료의 분쇄가 경우 충돌력이 떨어지므로 분쇄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Conventional pulverizer is a method of pulverizing raw materials by collision in a non-contact type, so it is difficult to pulverize having a uniform particle size.
또한, 원료의 비중에 따라 분쇄되는 입도가 균일하지 못하고, 생산율이 그만큼 저하된다.In addition, the particle size to be pulverized is not uniform depending o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raw material, and the production rate is lowered by that much.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을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the background art above are only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accepted as acknowledging that they correspond to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류분급을 이용한 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ushing device using air flow classific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류분급을 이용한 분쇄장치는, 분쇄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해 하우징의 상부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분쇄대상물을 공급관을 통해 호퍼로 이송하는 투입구; 상기 호퍼의 하부에 수직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호퍼와 일체로 형성된 이동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관을 통해 투입된 분쇄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의 하부에 배치되어 일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분쇄대상물을 분산시켜 분쇄공간을 이동시키는 분산임펠러; 상기 분쇄공간에 위치하는 분쇄대상물을 수평회전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과 교차하는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분쇄대상물을 분쇄하여 분쇄물을 생성하는 분쇄롤러;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분쇄공간에 유량을 이송하여 분쇄물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비산시키는 송풍기; 수직하게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비산된 분쇄물을 선택적으로 분급하는 회전식로터; 수평하게 배치된 수평축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식로터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분쇄물의 입자의 크기를 조절하는 판형상의 초경판; 및 균일한 입도를 갖는 분쇄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rushing device using the air flow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input the crushing object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nd the crushed object is transferred to the hopper through the supply pipe. feeding inlet; a transfer screw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pper and disposed inside a moving tu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pper, and transferring the crushed object input through the supply tube; a dispersing impeller disposed under the transfer screw and rotat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disperse the pulverized object to move the pulverizing space; a turntable that horizontally rotates the crushing object located in the crushing space, and a grinding roller that rotates in a vertical direction intersecting the turntable to crush the crushing object to generate a pulverized product; a blower that introduces external air and transfers a flow rate to the pulverizing space to move the pulverized material in a vertical direction and disperse i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 rotary rotor for selectively classifying the scattered pulverized material by rot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round a vertically arranged rotary shaft; a plate-shaped carbide plate supported on a horizontal axis arranged horizontally to control the size of the particles of the pulverized product discharged by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rotary rotor;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pulverized material having a uniform particle siz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로터는, 상기 회전축과 교차하는 수평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로터; 및 상기 수평축에 고정 지지되는 상판과 상기 로터의 끝단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초경판 측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상향경사지는 상향경사면과, 상기 상향경사면과 연결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는 오각형상의 제1 날개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스크류 측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하향경사지는 하향경사면과, 상기 하향경사면과 연결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는 오각형상의 상기 제1 날개부와 형상이 동일한 형상의 제2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rotor, a rotor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horizontal direction intersecting the rotation axis; and a rotary blade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fixedly supported on the horizontal axis and the end of the rotor, wherein the wing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disposed on the carbide plate side, and the body portion is centered on A pentagonal first wing portion comprising an upwardly inclined surface and a vertical surface connected to the upwardly inclined surface; and a pentagonal shap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disposed on the transfer screw side, the first wing portion having a pentagonal shape comprising a downwardly inclined surface sloping downward around the body portion and a vertical surface connected to the downwardly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wing portion;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경판은, 상기 상판과 상기 회전날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평축에 구비된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초경판과 상기 회전날개 사이의 이격거리를 넓게 조절하는 경우, 정밀도가 낮아져서 큰 입도를 갖는 분쇄물이 배출되고, 상기 수평축에 구비된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초경판과 상기 회전날개 사이의 이격거리를 좁게 조절하는 경우, 정밀도가 높아져서 작은 입도를 갖는 분쇄물이 배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ide plate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rotor blade, using an adjustment means provided on the horizontal axis to wide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arbide plate and the rotation blade In this case, the precision is lowered and the pulverized material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is discharged,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arbide plate and the rotary blade is adjusted to be narrow by using the adjusting means provided on the horizontal shaft, the precision is increased and the pulverization having a small particle size Water may be drain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격거리를 통과하지 못해 상기 호퍼로 낙하하는 분쇄물을 상기 이송스크류로 가이드하는 유도판;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판은, 상기 이동관을 중심으로 1/2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호퍼와 상기 공급관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30° 내지 50°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plate for guiding the pulverized material falling into the hoppe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paration distance with the transfer screw; includes, wherein the guide plate is 1/2 around the moving tube It has a smaller length, an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30° to 50° at a portion where the hopper and the supply pipe are connec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분쇄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분쇄공간으로 유량이 집중되도록 공기를 가이드하는 에어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가이드에 고정된 고정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분쇄공간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배치되는 스크래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턴테이블의 수평방향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고,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guide for guid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is concentrated into the grinding space located between the turntable and the grinding roller; further comprising; and a plurality of scrapers spaced apart from the fixed fixing unit at regular intervals to correspond to the crushing space, wherein the scraper rotates in response to the horizontal rotation of the turntable, and vertical height adjust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르면, 균일한 입도를 갖도록 분쇄대상물을 분쇄한 후, 기류분급법을 이용하여 공기의 압력과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마모가 적으면서 균일한 입도를 갖는 분쇄물을 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pulverizing an object to be pulverized to have a uniform particle size, the pulverized material having a uniform particle size with little wear can be discharged by adjusting the air pressure and air amount using an air flow classification method.
본 발명에 따르면, 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일측방향에서 경사지게 배치하고 투입구에 이송스크류를 부착하여 유입공기를 차단함으로써 기류의 역류를 방지하여 헛바람을 감소시킴으로써, 생선성을 높이면서, 원료가 과부하없이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rranging the inlet for inputting the raw material obliquely from one direction and attaching a transfer screw to the inlet to block the inlet air, thereby preventing the backflow of the airflow and reducing waste, thereby increasing productivity and overloading the raw material It can be inserted smoothly without
본 발명에 따르면, 턴테이블과 분쇄롤러의 회전에 의해 분쇄된 후 턴테이블 바닥에 잔존하는 잔여물을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긁어내는 쟁기 역할을 수행하여 분쇄물을 뒤집거나 흐트려뜨려 분쇄물을 기류에 노출시킴으로써, 분쇄물의 굳음을 방지하면서 분쇄물의 비산을 유도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분급기에 용이하게 분쇄물이 도달하도록 하여 작업의 더욱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being pulverized by the rotation of the turntable and the pulverizing roller, it serves as a plow to scrape the residue remaining on the bottom of the turntable using a scraper, inverting or disturbing the pulverized material, thereby exposing the pulverized material to the airflow. ,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work by inducing the scattering of the pulverized material while preventing the hardening of the pulverized material so that the pulverized material easily reaches the classifier located at the top.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류분급을 이용한 분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쇄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초경판의 높이조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pulverizing apparatus using air flow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crushing device shown in Figure 1.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rus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cr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lass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eight adjustment state of the carbide plat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류분급을 이용한 분쇄장치(이하, '분쇄장치'라 함)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쇄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crush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rushing device') using air flow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etailed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crushing device shown in FIG.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rus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cr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classification part which follow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장치는 하우징(1)의 적어도 일부분에 고정 및 배치되는, 분쇄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부(10)와,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분쇄대상물을 분쇄하는 분쇄부(20)와, 분쇄된 분쇄물을 기류를 이용하여 하우징(1)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송풍부(30)와, 공기의 압력과 공기량을 조절하여 상부로 이동된 분쇄물을 분급하는 분급부(40)와, 균일한 입도를 갖도록 분급된 분쇄물을 하우징(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crushing device is fixed and dispos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1), a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면, 분쇄대상물이 투입되는 공급부(10), 공기가 투입되는 송풍부(30) 및 분쇄물이 배출부(5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 , when the housing 1 has a predetermined shape, the
하우징(1)의 하부에는 분쇄장치를 전체 동작을 구동 및 제어하는 구동부(2)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2)는 감속기어, 유압 및 공압 등의 동력원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
공급부(10)는 하우징(1)의 상부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투입구(11), 공급관(12), 호퍼(13), 이동관(14), 이송스크류(15), 분산임펠러(16) 및 공급모터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급관(12), 호퍼(13), 이동관(14), 이송스크류(15) 및 분산임펠러(16)는 하우징(1)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투입구(11)는 하우징(1)의 상부의 일측면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공급관(12)은 투입구(11)와 연결되며, 소정의 지름을 갖는 관통형으로써, 하우징(1)의 상부의 일측면에서 하부로 하향경사지게 배치된 호퍼(13)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공급관(12)의 투입구(11)와 연결된 일부분은 하우징(1)의 상부의 일측면의 외부에 배치되고, 나머지부분은 하우징(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실시예에 따라, 공급관(12)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이와 같은 공급관(12)에 의해 분쇄대상물이 수직으로 직접 이동관(14)으로 투입되지 않아 이송스크류(15)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By such a
호퍼(13)는 공급관(12)을 통해 투입되는 분쇄대상물이 이동관(14)으로 정확하게 이동하기 위해 유도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유도판(130)은 이동관(14)을 중심으로 공급관(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유도판(130)은 호퍼(13)의 이동관(14)을 중심으로 1/2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호퍼(13)와 공급관(12)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30° 내지 50°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예를 들어, 유도판(130)은 호퍼(13)와 공급관(12)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이동관(14)의 공급관(12)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 및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도판(130)은 호퍼(13)와 공급관(12)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이동관(14)의 위치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와 같은 유도판(130)에 의해 분쇄대상물이 호퍼(13) 내부에서 유실되지 않고 직접 이동관(14)으로 투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Such a
이송관(14)은 소정의 지름을 갖는 관통형상으로써, 호퍼(13)의 하부에 수직하게 길이방향으로 호퍼(13)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이송스크류(15)는 이송축(150)을 중심으로 이송관(14)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 이송된 분쇄대상물을 분쇄부(20)로 이송시킬 수 있다.The
이와 같은 이송스크류(15)에 의해서 투입구(11)를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함으로써, 분쇄부(20)에 분쇄대상물이 중력과 기압에 의해 과다 이송되어 분쇄부(20)의 과부하가 걸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분쇄대상물을 공급할 수 있다.By blocking the air flowing through the
분산임펠러(16)는 이송스크류(15)의 하부에 배치되며, 이송스크류(16)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분산임펠러(16)의 회전방향은 이송스크류(16)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거나 반대일 수 있다.The
이와 같은 분산임펠러(16)에 의해 이송스크류(15)의 하부에 분쇄대상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분쇄대상물에 의한 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ushing object from accumulating on the lower part of the conveying
공급모터부(17)는 투입구(11)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분쇄부(20)는 도 3을 참조하면, 이송축(150)을 중심으로 하우징(1)의 내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턴테이블(21), 분쇄롤러(22) 및 스크래퍼(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턴테이블(21)은 구동부(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이송축(150)과 맞닿은 중심축(미도시)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턴테이블(21)이 중심축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함으로써, 좌우로 기울어지지 않아서 분쇄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The
분쇄롤러(22)는 턴테이블(21) 위를 자전하면서 압축력과 전단력으로 턴테이블(21)과 분쇄롤러(22) 사이에 위치하는 분쇄공간(24)에 위치하는 분쇄대상물을 분쇄할 수 있다.The crushing
분쇄롤러(22)는 턴테이블(2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분쇄롤러(22)는 무동력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rushing
스크래퍼(23)는 일방향으로 턴테이블(21)과 분쇄롤러(22) 사이에 위치하는 분쇄공간(24)의 상부에 에어가이드(33)에 고정된 고정부(230)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The
즉, 스크래퍼(23)는 턴테이블(21)의 수평방향의 회전에 따라 턴테이블(21)과 분쇄롤러(22) 사이에 위치하는 분쇄공간(24)을 턴테이블(21)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씬? 수 있다.That is, the
또한, 스크래퍼(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30)을 기준으로 고정부(230)의 결합수단을 통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the
예를 들어, 턴테이블(21)과 분쇄롤러(22) 사이에 위치하는 분쇄공간(24)에 분쇄물이 많이 적층된 경우, 고정부(230)을 기준으로 스크래퍼(23)의 끝단이 바닥에 닿도록 높이가 하강되도록 조절하고, 분쇄공간(24)에 분쇄물이 많이 적층되지 경우, 고정부(230)을 기준으로 스크래퍼(23)의 끝단이 바닥에서 일정간격으로 떨어지도록 높이가 상승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large amount of the pulverized material is stacked in the pulverizing
본 실시예에서, 스크래퍼(23)는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로 구성되도록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턴테이블(21)과 분쇄롤러(22) 사이에 위치하는 분쇄공간(24)에 대응하여 복수개 열로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와 같은 스크래퍼(23)를 이용하여 턴테이블(21)과 분쇄롤러(22)의 회전에 의해 분쇄대상물이 분쇄된 후 턴테이블(21)과 분쇄롤러(22) 사이에 위치하는 분쇄공간(24)의 바닥부분에 잔존하는 분쇄물을 긁어냄으로써, 분쇄물의 굳음을 방지하면서 작업의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fter the crushing object is crushed by the rotation of the
송풍부(30)는 송풍기(31), 송풍관(32), 에어가이드(33) 및 이탈방지가이드(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송풍기(31)는 하우징(1)의 외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하우징(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The
송풍관(32)은 소정의 지름을 갖는 관통형으로써, 송풍기(31)와 연결되어 송풍기(3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하우징(1)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에어가이드(33)는 송풍기(32)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분쇄부(20)로 집중적으로 공급되도록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에어가이드(33)에 의해 턴테이블(21)에 유량이 집중되어 분쇄대상물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분쇄된 분쇄물이 하우징(1)의 상부에 위치하는 분급부(40)로 용이하게 비산될 수 있다.The flow rate is concentrated on the
이탈방지가이드(34)는 에어가이드(33)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에 하우징(1)의 벽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가이드(34)는 턴테이블(21)과 분쇄롤러(22) 사이에 위치하는 분쇄공간(24)으로부터 이탈되는 분쇄대상물 또는 분쇄물이 턴테이블(21)의 하부로 낙하 또는 이탈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The
이탈방지가이드(34)에 잔존하는 분쇄대상물 또는 분쇄물은 송풍부(3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턴테이블(21)과 분쇄롤러(22) 사이에 위치하는 분쇄공간(24)으로 이동시켜 재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하우징(1)의 상부에 위치하는 분급부(40)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pulverized object or pulverized material remaining in the
분급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식로터(42)와, 상판(44), 초경판(46, were plate) 및 분급모터부(48)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classifying
회전식 로터(42)는 회전축(420), 로터(422), 회전날개(424) 및 수평축(426)을 포함할 수 있다.The
회전축(420)은 수직한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회전식로터(42)는 수직하게 배치된 회전축(420)을 중심으로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선택적으로 분쇄물을 분류할 수 있다.The
로터(422)는 회전축(420)과 교차하는 수평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로터(422)는 회전축(420)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회전날개(424)는 수평하게 배치된 수평축(426)에 의해 지지되는 상판(44)과 로터(4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날개(424)는 회전식로터(422)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회전날개(424)는 수직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사각형상의 몸체부(4240)과, 몸체부(4240)의 양쪽 끝단에 형성되는 날개부(4242)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날개부(4242)는 몸체부(4240)의 일측 끝단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수평축(426)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제1 날개부(4242-1)와, 몸체부(4240)의 타측 끝단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제2 날개부(424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날개부(4242-1) 및 제2 날개부(4242-2)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날개부(4242)는 몸체부(4240)를 중심으로 몸체부(4240)로부터 일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과, 경사면과 연결되는 수직면을 포함하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제1 날개부(4242-1)는 몸체부(4240)를 중심으로 상향 경사지는 상향경사면과, 상향경사면과 연결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는 오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날개부(4242-2)는 제1 날개부(4242-1)와 맞대응되도록 배치되며, 몸체부(4240)를 중심으로 하향 경사지는 하향 경사면과, 하향경사면과 연결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는 오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wing portion 4242-1 may be formed in a pentagonal shape including an upwardly inclined surface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이때, 날개부(4242)의 최대 폭(w2)은 몸체부(4240)의 최대 폭(w1)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ximum width w2 of the
예를 들어, 몸체부(4240)의 폭(w1)이 6mm인 경우, 날개부(4242)의 폭(w2)은 9mm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width w1 of the
다시 말하면, 회전날개(424)가 몸체부(4240)의 폭(w1) 보다 넓은 폭(w2)을 갖는 날개부(4242)를 몸체부(4240)의 양측 끝단에 구비함으로써, 회전식로터(42)가 더욱 빠르게 회전하여 회전식로터(42)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이와 같은 구조의 날개부(4242)를 구비함으로써, 회전식로터(42)의 회전에 의해 공기의 압력과 공기량을 증대시켜 송풍부(30)에 의해 상부로 이동된 분쇄물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고, 분쇄물과의 마찰 면적을 확대하여 높은 분급효과를 얻을 수 있다.By having the
상판(44)은 일측 끝단이 수평축(426)과 끝단이 연결되고, 타측 끝단의 하부에 초경판(46)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판(44)은 수평축(426)에 의해 고정되어 초경판(46)을 고정지지할 수 있다.The
초경판(46)은 얇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판(44)과 회전날개(4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 초경판(46)은 회전날개(424)의 사이로 이동하는 분쇄물에 의해 마모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초경판(46)은 조절수단(460)에 의해 회전날개(424)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분쇄물의 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구체적으로, 조절수단(460)을 조절하여 회전날개(424)와 초경판(46) 사이의 이격거리를 가깝게 조절하는 경우, 입자가 작은 분쇄물만이 회전날개(424)와 초경판(46) 사이로 배출되어 입자가 큰 분쇄물은 호퍼(13)로 낙하하여 재분쇄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djusting the adjusting means 460 to clos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이와 달리, 조절수단(460)을 조절하여 회전날개(424)와 초경판(46) 사이의 이격거리를 넓게 조절하는 경우, 회전날개(424)와 초경판(46) 사이로 입자가 큰 분쇄물이 배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이때, 초경판(46)의 폭(w3)은 날개부(432)의 최대 폭(w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dth w3 of the
예를 들어, 날개부(4242)의 폭(w2)이 9mm인 경우, 초경판(46)의 폭(w3)은 12mm일 수 있다. 이때, 초경판(46)의 두께는 25mm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width w2 of the
분급모터부(48)는 회전축(420)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회전식로터(42)에 동력을 제공하여 회전식로터(42)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The
배출부(50)는 분급부(40)를 통해 분급되어 균일한 입도를 분쇄물을 배출구(51)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The
실시예에 따라, 배출부(50)는 배출구(51)의 끝단에 흡입기(미도시)를 구비하여 배출되는 분쇄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류분급을 이용한 분쇄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6은 초경판의 높이조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6(a)는 회전날개와 초경판 사이의 이격거리가 가까운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b)는 회전날개와 초경판 사이의 이격거리가 넓은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The operation of the crushing apparatus using the airflow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is as follows.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eight adjustment state of the carbide plate, Figure 6 (a)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rotary blade and the carbide plate is close, Figure 6 (b) is a rotary blade and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se wher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arbide plates is wide.
우선,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되는 분쇄대상물이 이송스크류를(15)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호퍼(13)의 내부에 구비된 유도판(130)에 의해 분쇄대상물이 유실도지 않으면서, 분급부(40)에 의해 분급되어 회전날개(424) 또는 초경판(46)에 의해 호퍼(13)로 낙하되는 입자가 큰 분쇄물이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이송스크류(15)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First, the crushing object input through the
다음, 이송스크류(15)를 통해 이송된 분쇄대상물이 분산임펠러(16)의 회전에 의해 분산되어 턴테이블(21)과 분쇄롤러(22) 사이에 위치하는 분쇄공간(24)으로 이동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턴테이블(21)과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분쇄롤러(22)에 의해 분쇄될 수 있다. 이때, 분쇄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턴테이블(21)과 분쇄롤러(22)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Next, the pulverized object transferred through the
이때, 분쇄물이 턴테이블(21)과 분쇄롤러(22) 사이의 분쇄공간(24)에 쌓이는 경우, 스크래퍼(23)를 이용하여 잔존하는 분쇄물을 긁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쇄물의 굳음을 방지하면서 작업의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ulverized material is accumulated in the pulverizing
다음, 분쇄된 분쇄물은 송풍기(31)에 의해서 유입된 공기를 에어가이드(33)를 통해 분쇄공간(24)에서 분쇄된 분쇄물이 수직하게 이동하여 하우징(1)의 상부에 위치하는 분급부(40)로 비산함과 동시에 이탈방지가이드(34)를 이용하여 턴테이블(21)의 하부로 낙하 또는 이탈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Next, the pulverized pulverized pulverized pulverized pulverized pulverized pulverized material vertically moves in the pulverizing
마지막으로, 회전날개(424)와 초경판(46)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마모가 적으면서 균일한 입도를 갖는 분쇄물을 배출구(51)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이때, 회전날개(424)가 양측 끝단에 몸체부(4240)보다 넓은 날개부(4242)를 구비함으로써, 회전날개(424)가 회전하는 경우, 공기의 압력과 공기량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쇄물을 빠르게 분급하여 동일한 입자를 갖는 분쇄물을 빠르게 배출할 수 있다.Finally, by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구체적으로, 도 6(a)를 참조하면, 조절수단(460)에 의해 회전날개(424)와 초경판(46)의 이격거리(d1)를 가깝게 하는 경우, 정밀도가 높아져서 작은 입도를 갖는 분쇄물만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작은 입도를 갖는 분쇄물은 초경판(46)에 의해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이격거리(d1)를 통과하지 못한 분쇄물은 호퍼(13)로 낙하하여 유도판(1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재분쇄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6( a ),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d1 of the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조절수단(460)에 의해 회전날개(424)와 초경판(46)의 이격거리(d2)를 넓게 하는 경우, 정밀도가 낮아져서 큰 입도를 갖는 분쇄물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큰 입도를 갖는 분쇄물은 초경판(46)에 의해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6(b),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d2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부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부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as a software unit executed by hardware, or by a combination thereof. The software part is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reside in any type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 : 공급부
20 : 분쇄부
30 : 송풍부
40 : 분급부
50 : 배출부10: supply
20: crushing unit
30: blower
40: classification
50: discharge part
Claims (5)
상기 호퍼의 하부에 수직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호퍼와 일체로 형성된 이동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관을 통해 투입된 분쇄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의 하부에 배치되어 일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분쇄대상물을 분산시켜 분쇄공간을 이동시키는 분산임펠러;
상기 분쇄공간에 위치하는 분쇄대상물을 수평회전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과 교차하는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분쇄대상물을 분쇄하여 분쇄물을 생성하는 분쇄롤러;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분쇄공간에 유량을 이송하여 분쇄물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비산시키는 송풍기;
수직하게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비산된 분쇄물을 선택적으로 분급하는 회전식로터;
수평하게 배치된 수평축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식로터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분쇄물의 입자의 크기를 조절하는 판형상의 초경판; 및
균일한 입도를 갖는 분쇄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로터는,
상기 회전축과 교차하는 수평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로터; 및
상기 수평축에 고정 지지되는 상판과 상기 로터의 끝단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날개는,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사각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 끝단에 상기 몸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초경판 측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상향경사지는 상향경사면과, 상기 상향경사면과 연결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는 오각형상의 제1 날개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스크류 측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하향경사지는 하향경사면과, 상기 하향경사면과 연결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는 오각형상의 상기 제1 날개부와 형상이 동일한 형상의 제2 날개부;를 포함하는, 기류분급을 이용한 분쇄장치.an inle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input the crushed object and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 transport the crushed object to the hopper through the supply pipe;
a transfer screw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pper and disposed inside a moving tu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pper, and transferring the crushed object input through the supply tube;
a dispersing impeller disposed under the transfer screw and rotat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disperse the pulverized object to move the pulverizing space;
a turntable that horizontally rotates the crushing object located in the crushing space, and a grinding roller that rotates in a vertical direction intersecting the turntable to crush the crushing object to generate a pulverized product;
a blower that introduces external air and transfers a flow rate to the pulverizing space to move the pulverized material in a vertical direction and disperse i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 rotary rotor for selectively classifying the scattered pulverized material by rot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round a vertically arranged rotary shaft;
a plate-shaped carbide plate supported on a horizontal axis arranged horizontally to control the size of the particles of the pulverized product discharged by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rotary rotor; and
Including; outlet for discharging the pulverized material having a uniform particle size;
The rotary rotor is
a rotor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horizontal direction intersecting the rotation axis; and
Including; and a rotating blade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fixedly supported on the horizontal axis and the end of the rotor.
The rotary blade is
A long rectangular body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Includes; wing portion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portion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The wing portion,
a pentagonal first w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disposed on the carbide plate side, the first wing portion having a pentagonal shape including an upwardly inclined surface sloping upward around the body portion and a vertical surface connected to the upwardly inclined surface; and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disposed on the transfer screw side, the pentagonal shape of the first wing por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wing portion of the pentagonal shape consisting of a downwardly inclined surface sloping downward around the body portion, and a vertical surface connected to the downwardly inclined surface Grinding device using air flow classification, including; second wing portion.
상기 초경판은,
상기 상판과 상기 회전날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평축에 구비된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초경판과 상기 회전날개 사이의 이격거리를 넓게 조절하는 경우, 정밀도가 낮아져서 큰 입도를 갖는 분쇄물이 배출되고,
상기 수평축에 구비된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초경판과 상기 회전날개 사이의 이격거리를 좁게 조절하는 경우, 정밀도가 높아져서 작은 입도를 갖는 분쇄물이 배출되는, 기류분급을 이용한 분쇄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carbide plate is
It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rotary blad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arbide plate and the rotary blade is widely adjusted using the adjusting means provided on the horizontal shaft, the precision is lowered and the pulverized material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is discharg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arbide plate and the rotary blade is narrowed by using the adjusting means provided on the horizontal shaft, the precision is increased and the pulverized material having a small particle size is discharged.
상기 이격거리를 통과하지 못해 상기 호퍼로 낙하하는 분쇄물을 상기 이송스크류로 가이드하는 유도판;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판은,
상기 이동관을 중심으로 1/2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호퍼와 상기 공급관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30° 내지 50°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기류분급을 이용한 분쇄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Including; and a guide plate for guiding the pulverized material falling into the hoppe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paration distance to the transfer screw.
The guide plate is
Grinding device using airflow classification, having a length smaller than 1/2 around the moving pipe and inclined at 30° to 50° at a portion where the hopper and the supply pipe are connected.
상기 송풍기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분쇄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분쇄공간으로 유량이 집중되도록 공기를 가이드하는 에어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가이드에 고정된 고정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분쇄공간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배치되는 스크래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턴테이블의 수평방향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고,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기류분급을 이용한 분쇄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air guide further comprises;
Including; and a plurality of scrapers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part fixed to the air guide at regular intervals to correspond to the crushing space;
The scraper is
A grinding device using airflow classification, which rotates in response to the horizontal rotation of the turntable, and is capable of adjusting the vertical heigh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5859A KR102425075B1 (en) | 2021-07-21 | 2021-07-21 | Air classifier mill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5859A KR102425075B1 (en) | 2021-07-21 | 2021-07-21 | Air classifier mill equip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5075B1 true KR102425075B1 (en) | 2022-07-25 |
Family
ID=8260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5859A KR102425075B1 (en) | 2021-07-21 | 2021-07-21 | Air classifier mill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5075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9759B1 (en) | 2002-01-15 | 2005-02-02 | 진수곤 | Mill |
JP2010158637A (en) * | 2009-01-09 | 2010-07-22 | Ube Machinery Corporation Ltd | Vertical crusher |
JP2011235268A (en) * | 2010-05-13 | 2011-11-24 | Ihi Corp | Vertical roller mill |
KR101676664B1 (en) * | 2015-07-27 | 2016-11-16 | 대형환경 주식회사 | A Fines Classification Apparatus |
KR101951817B1 (en) | 2018-03-05 | 2019-02-25 | (주) 태흥산업 | Crusher for micor-powder |
-
2021
- 2021-07-21 KR KR1020210095859A patent/KR10242507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9759B1 (en) | 2002-01-15 | 2005-02-02 | 진수곤 | Mill |
JP2010158637A (en) * | 2009-01-09 | 2010-07-22 | Ube Machinery Corporation Ltd | Vertical crusher |
JP2011235268A (en) * | 2010-05-13 | 2011-11-24 | Ihi Corp | Vertical roller mill |
KR101676664B1 (en) * | 2015-07-27 | 2016-11-16 | 대형환경 주식회사 | A Fines Classification Apparatus |
KR101951817B1 (en) | 2018-03-05 | 2019-02-25 | (주) 태흥산업 | Crusher for micor-powd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676732B1 (en) | Method of feeding material to a horizontal shaft impact crusher, and a crushing device | |
CN205495769U (en) | Time delay feeding ore grinding system appearance equipment | |
CN108097406A (en) | Vertical crushing plant | |
WO2013167398A1 (en) | Disintegrating device | |
JP7358598B2 (en) | mill | |
CN112638539A (en) | Single-roller grinding machine | |
JP2008036599A (en) | Crusher for object to be crushed | |
JP6665547B2 (en) | Vertical crusher | |
KR102425075B1 (en) | Air classifier mill equipment | |
KR101065460B1 (en) | Crusher | |
JP4113222B2 (en) | Powder and granulator | |
CN102872944B (en) | Closed loop balance wheel pulse sand making machine and sand making method | |
KR100859018B1 (en) | Crusher for shearing soft material with inclined hopper | |
WO2003066220A1 (en) | Milling method | |
CN110152792A (en) | A kind of efficient axial-flow type mineral breaker | |
CN114192265B (en) | Cement grinding equipment and grinding process | |
CN205128092U (en) | Particle crushing machine reducing mechanism | |
DE1136189B (en) | Mill for fine grinding of solid, dry material | |
CN108405155A (en) | A kind of multistage grinding device of ball-type vertical efficient | |
US11759788B2 (en) | Grinding apparatus | |
RU2788632C1 (en) | Hammer crusher | |
JPH0226543B2 (en) | ||
CN219631440U (en) | Material crushing and screening device | |
CN107096609A (en) | It is a kind of directly to enter feeding type flour mill | |
KR20040087008A (en) | equipment for producing san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