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073B1 - Smart Planter System Using Alternant Moss Tray for Reduction Fine Dust of City - Google Patents

Smart Planter System Using Alternant Moss Tray for Reduction Fine Dust of C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073B1
KR102425073B1 KR1020210177710A KR20210177710A KR102425073B1 KR 102425073 B1 KR102425073 B1 KR 102425073B1 KR 1020210177710 A KR1020210177710 A KR 1020210177710A KR 20210177710 A KR20210177710 A KR 20210177710A KR 102425073 B1 KR102425073 B1 KR 102425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s
tray
growing
smar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7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1020210177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0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0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0Mo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lanter system using a replaceable moss tray for reducing fine dust in the city, wherein the smart plant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ate-shaped moss mat for replacement (110); trays for moss growth (200, 300); a moss planter frame (120); a water storage unit (130); and a water supply and circulation device unit (140).

Description

도시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교체형 이끼트레이를 이용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Smart Planter System Using Alternant Moss Tray for Reduction Fine Dust of City}Smart Planter System Using Alternant Moss Tray for Reduction Fine Dust of City

본 발명은 도시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교체형 이끼트레이(Moss Tray)를 이용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Smart Planter System)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태류(이끼식물) 식물을 활용하여 도시의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예를 들어, 이산화황(SO2), 황산염, 질소산화물(NO, NO2, N2O, N2O3, …) 등)을 저감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lanter System using a replaceable Moss Tray for reducing fine dust in the c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planter system using bryophytes (moss plants) plants to reduce fine dust in the city and pollutants (eg, sulfur dioxide (SO2), sulfate, nitrogen oxides (NO, NO2, N2O, N2O3, ...), etc.)

오늘날, 도시화 및 산업화가 진행되고 차량의 운행이 증가하면서 배기가스와 같은 기존의 대기오염 물질에 더하여 미세먼지와 같은 새로운 유해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중국의 급속한 산업화로 인하여 중국에서 유입되는 황사 이외에 중국으로부터 유입되는 미세먼지가 환경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Today, as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progress and vehicle operation increases, interest in new harmful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in addition to existing air pollutants such as exhaust gas is increasing. Besides yellow dust from China, fine dust from China is being raised as an environmental problem.

미세먼지는, 지름이 10㎛ 이하인 입자상 물질로서 미세먼지(PM10), 극미세먼지(PM2.5), 초극미세먼지(PM1) 등으로 분류되고, 이는 각각 입자의 지름이 대략 10㎛, 2.5㎛, 1㎛ 이상인 입자상 물질을 의미한다.Fine dust is a particulate matter with a diameter of 10 µm or less, and is classified into fine dust (PM10), ultra-fine dust (PM2.5), and ultra-fine dust (PM1), which have particle diameters of approximately 10 µm and 2.5 µm, respectively. , means a particulate matter of 1 μm or more.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미세하여 사람이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인체에 침투하여 폐에서 걸러지지 않고 축적됨으로써 호흡기 질환 등의 각종 질병을 유발하고 면역기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리고, 미세먼지는 단순한 먼지가 아니라 황산화물, 질소산화물과 같은 유해성분 및 카드뮴이나 납과 같은 중금속이 섞여 있으므로 가능한 한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다.Fine dust is so fine that it is invisible to the naked eye and penetrates into the human body without being recognized by the human eye and accumulates without being filtered in the lungs, causing various diseases such as respiratory diseases and lowering the immune function. In addition, fine dust is not just dust, but harmful components such as sulfur oxides and nitrogen oxides, and heavy metals such as cadmium and lead, so it is better to avoid contact as much as possible.

하지만, 도시의 경우 고층건물로 인해 미세먼지가 도시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도시 안에 갇히는 정체 현상이 발생되어 도시의 환경오염을 더욱 심화시키게 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cities, high-rise buildings prevent fine dust from escaping out of the city and cause stagnation in the city, further exacerbat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of the city.

이러한 환경오염으로 인해 도시주변지역에 비해 여러가지 현상으로 도심의 온도가 높아지는 도시열섬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열섬현상으로 여러가지 환경적지표가 나빠져서 도시의 공기오염, 에너지과다소비의 원인이 되고 있다.Due to such environmental pollution,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in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city center rises due to various phenomena compared to the surrounding areas, is occurring. Various environmental indicators deteriorate due to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causing air pollution and excessive energy consumption in cities.

이에, 정부나 지자체에서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예를 들어, 질산염, 황산염 등)을 감축하기 위해 도시숲을 조성하고 있으나 녹지 공간 마련과 예산 등의 이유로 추가조성에 어려움이 있다. Accordingly,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are creating urban forests to reduce fine dust and pollutants (eg, nitrates, sulfates, etc.), but it is difficult to create additional green spaces for reasons such as provision of green space and budget.

한편, 종래기술로 이끼식물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연구도 일부 실시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some studies on devices and methods for removing fine dust using moss plants have been conducted in the prior art.

그 예로, 국내 등록특허 제10-0858993호(등록일자: 2008.09.10)의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함)과, 국내 등록특허 제10-2114591호(등록일자: 2020.05.18.)의 이끼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함)와, 국내 등록특허 제10-2227576호(등록일자: 2021.03.08.)의 미세먼지가 저감되는 실내용 이끼식재 천연공기정화시스템(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함)과, 국내 공개특허 제10-2021-0061794호(공개일자: 2021.05.28.)의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모듈형 수직 녹화장치(이하, '선행기술문헌 4'라 함)와, 국내 공개특허 제10-2019-0135717호(공개일자: 2019.12.09.)의 이끼를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와 이의 제어방법(이하, '선행기술문헌 5'라 함) 등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an indoor garden system for air cleaning using a moss wall and indoor plants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58993 (registration date: September 10, 200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1') and a domestic registered patent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moss plants of No. 10-2114591 (registration date: May 18, 20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2'), and 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2227576 (registration date: March 2021). 08.) natural air purification system for indoor moss planting that reduces fine dus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3')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61794 (published on May 28, 2021) A modular vertical record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4') having a fine dust reduction function of A dust reduction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5') and the like are disclosed.

위에서 언급한 종래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5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해 상용 전압(전기)으로 모터나 펌프를 작동시켜 공기를 강제로 흡배기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지비용면에서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생산성과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설치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끼식물을 수직으로 배치하여 선형 및 높이 등으로 확장가능성이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간을 추가로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면적과 설치장소 등에 많은 제약이 있다.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s 1 to 5 are difficult in terms of maintenance cost because they have a structure in which air is forcibly intake and exhausted by operating a motor or a pump with commercial voltage (electricity) in order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air. There is this. In addition, since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oductiv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are lowered, and installation cost is high. In addition, it has a structure that is difficult to expand in terms of linearity and height by arranging moss plants vertically, and since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secure a space for inhaling air containing fine dust,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the installation area and installation location. have.

따라서,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지않고 녹지가 부족한 곳에 녹화시설물을 설치하여 오염원을 줄이고,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예를 들어, 질산염, 황산염, 질소산화물 등)을 저감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can reduce pollution sources and reduce fine dust and pollutants (eg, nitrate, sulfate, nitrogen oxide, etc.) is in ne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8993호(등록일자: 2008.09.10.)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58993 (Registration Date: 2008.09.1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4591호(등록일자: 2020.05.18.)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14591 (Registration Date: 2020.05.18.)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태류(이하, '이끼식물'이라고도 함) 등의 식물을 활용하여 대기오염(미세먼지 등)과 오염물질(질산염, 황산염, 질소산화물 등)을 저감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to utilize plants such as bryophyte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moss plants') and air pollution (fine dust, etc.) and pollutants (nitrates, sulfates, nitrogen oxides) The purpose is to present an eco-friendly smart planter system that can reduce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이끼식물에 흡착하여 물로 씻겨 제거함으로써 도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planter system that can purify city air by adsorbing fine dust and pollutants in the air to moss plants and washing them off with water.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끼식물이 식재된 매트를 이끼생육용 트레이에 탈부착으로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planter system that can be installed by replacing and attaching a mat planted with moss plants to a tray for growing moss by detachment.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몸체로 구성하여 압출 공정으로 한번에 형성할 수 있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planter system that can be formed at once by an extrusion process by configuring it as a single body.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끼생육용 트레이를 측면에서 바라볼때 상부에서 하부로 곡선지게 형성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planter system that is curv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when the tray for growing moss is viewed from the side.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끼생육용 트레이의 몸체 상부에 소정 높이의 격벽을 소정 간격으로 수직으로 설치하여 격벽과 격벽 사이에 물 저장공간을 형성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planter system in which a water storag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and the partition wall by vertically installing partition walls of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of the tray for growing moss. but it ha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끼생육용 트레이의 몸체 하부에 공기 순환 및 와류 형성부를 돌출 형성하여 유입되는 바람이 와류현상을 일으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식물에 최대한 효율적으로 흡착시키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n air circulation and vortex forming part protrudingly under the body of the moss growing tray, and the inflowing wind causes a vortex phenomenon, so that fine dust and pollutants are adsorbed to plants as efficiently as possible. Shiki aims to present a smart planter system.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끼생육용 트레이의 상단에 설치된 관수용 배관의 핀홀을 통해 물을 분무하여 이끼식물에 흡착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아래로 배수시키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planter that drains down fine dust and pollutants adsorbed on moss plants by spraying water through a pinhole of a irrigation pipe installed at the top of a moss growing tray. The purpose is to present the system.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끼생육용 트레이의 물 저장공간에서 배수관을 통해 배수된 물을 물 저장 장치부에 모아서 저장하고 수중펌프를 이용하여 이끼생육용 트레이의 관수용 배관으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llect and store the water drained through the drain pipe in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moss growing tray in the water storage unit, and use a submersible pump to irrigate the moss growing tray. The purpose is to present a smart planter system that supplies and circulates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실내 또는 실외 환경요소들을 측정하고 이를 분석하는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이용해 이끼의 생육에 최적화된 모드로 작동함으로써, 미세먼지와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녹화장치 주변의 공기질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fine dust and harmful substances and record by operating in a mode optimized for the growth of moss using a big data analysis technique that measures and analyzes indoor or outdoor environmental factors. The purpose is to present a smart planter system that can keep the air quality around the device clean.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실내 또는 실외 공기의 센서에서 측정된 빅데이터 정보를 관제 서버로 전송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제할 수 있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sent a smart planter system that can control the big data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of indoor or outdoor air to the control serv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re is this.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끼생육용 트레이의 몸체를 2개로 분리하여 각각 압출 제작한 후 2개의 몸체를 본딩 또는 몰딩 또는 용접으로 접합하여 하나로 형성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parate the body of the moss growing tray into two and extrude each, and then connect the two bodies by bonding, molding or welding to form a smart planter system. but it has a purpos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은, 매트에 이끼를 부착 및 생육하여 공중의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판상 구조의 교체용 이끼매트(110); 단면이 곡선 모양을 갖는 몸체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격벽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과 격벽 사이에 물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 상에 상기 교체용 이끼매트(110)를 배치하고 상기 몸체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곡선 형상에 의해 기류를 유도하여 와류를 형성시키는 이끼생육용 트레이(200,300);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300)를 수직 방향 또는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층으로 설치하는 이끼 플랜터 프레임(120); 상기 이끼 플랜터 프레임(12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300)의 물 저장공간에서 아래로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장치부(130);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에 저장된 물을 필터로 정화시킨 후 펌프를 통해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300) 상부에 각각 설치된 관수용 배관의 구멍을 통해 이끼에 물을 분무하여 순환시키는 물 공급 및 순환 장치부(140);을 포함하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300)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며 단면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수직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측벽의 내측 상부에 배관 삽입구(211,311)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 삽입구(211,311)의 하부에 체결구멍(212,312)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 중간에 보호망 삽입구(213,313)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후면 설치부(214,314)가 형성되고,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격벽(216,316)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216,316)과 격벽(216,316) 사이의 공간에 물 저장공간(217,317)이 형성된 상부몸체(210,310); 상기 상부몸체(210,3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본딩 또는 용접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며,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며 단면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하부에 공기 순환 및 와류 형성부(226,325)가 곡선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수직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측벽의 내측 중간에 보호망 삽입구(221,322)가 형성되고,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격벽(224,316)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224,316)과 격벽(224,316) 사이에 물 저장공간(225,317)이 형성된 하부몸체(220,320); 상기 상부몸체(210,310)의 보호망 삽입구(213,313)와 상기 하부몸체(220,320)의 보호망 삽입구(221,322)에 삽입하여 배치되며, 상기 상부몸체(210,310)의 격벽(216,316)과 상기 하부몸체(220,320)의 격벽(224,316) 상에 배치된 상기 교체용 이끼매트(110)를 보호하는 보호망(250); 공기 중의 이산화황, 질소산화물,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를 포함한 오염물질 농도와 미세먼지 농도를 각각 측정하여 공기 질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160); 및 상기 센서부(160)에서 감지된 공기 질 정보에 따라 상기 물 공급 및 순환 장치부(140)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300)는, 상기 상부몸체(210,310)와 상기 하부몸체(220,320)를 하나의 몸체로 구성하여 압출 공정으로 한번에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몸체(210,310)와 상기 하부몸체(220,320)를 분리하여 각각 압출 제작한 후 분리된 2개의 몸체를 본딩 또는 몰딩 또는 용접으로 접합하여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300)는 상기 하부몸체(220,320)의 수직 측벽의 하단부에 조명 삽입부(324)가 내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각각의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기상 정보와, 이끼 식물의 관리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및 상기 센서부(160)에서 감지한 공기 질 정보를 포함하는 현황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관리된 현황 정보에 대응하는 유지 관리 프로그램(410); 및 상기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각각의 위치 정보와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기상 정보에 따라 상기 유지 관리 프로그램(410)에 의해 상기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제하는 시스템 관제 서버(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 관제 서버(40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통신 모듈(170); 및 상기 통신 모듈(170)과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을 상기 유지 관리 프로그램(410)에 의해 관제하는 스마트폰(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smart plant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placement moss mat 110 of a plate-like structure for adsorbing fine dust in the air by attaching and growing moss to the mat; A partition wall is vertically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having a curved cross-section, a water storag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and the partition wall, and the replacement moss mat 110 is disposed on the partition wall, and integrally at the bottom of the body Trays for growing moss (200,300) for inducing an airflow by a curved shape formed to form a vortex; a moss planter frame 120 for installing the moss growing trays 200 and 300 in a plurality of layers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vertical direction or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 water storage unit 13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moss planter frame 120 and configured to store water drained from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moss growing trays 200 and 300; After purify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30 with a filter, water is supplied to circulate by spraying water on the moss through the holes of the irrigation pip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moss growing trays 200 and 300 through a pump, and In the smart planter system comprising a circulation device unit 140, the moss growing tray (200,30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 vertical side wall is formed at one end, and Pipe insertion holes 211 and 311 are formed in the upper inner portion of the vertical sidewall, fastening holes 212 and 312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ipe insertion holes 211 and 311, and protection net insertion holes 213 and 313 are formed in the inner middle of the sidewall, and the outer side of the sidewall The rear installation parts 214 and 314 ar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urved body, and the partition walls 216 and 316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part of the curved body. The formed upper body (210,310);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210,310 or is formed by bonding or welding,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has a curved cross-section, and an air circulation and vortex forming uni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urved body (226,325) is formed to protrude in a curved shape, a vertical sidewall is formed at the other end, and protection net insertion holes (221,322) are formed in the inner middle of the vertical sidewall, and partition walls (224,316)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rved body. a lower body (220, 320) formed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having a water storage space (225, 317)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224, 316) and the partition walls (224, 316); The upper body (210, 310) of the protection net insertion holes (213, 313) and the lower body (220, 320) is inserted into the protection net insertion holes (221, 322), the upper body (210, 310) of the partition walls (216, 316) and the lower body (220, 320) a protective net 250 for protecting the replacement moss mat 110 disposed on the partition walls 224 and 316; a sensor unit 160 that detects air quality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cluding sulfur dioxide, nitrogen oxide, carbo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in the air and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respectively; and a control unit 150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and circulation unit 140 according to the air quality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160 .
The tray for growing moss (200,300) consists of the upper body (210,310) and the lower body (220,320) as one body and is formed at one time by an extrusion process, or the upper body (210,310) and the lower body (220,320) After separating and extruding each, the two separated bodies can be joined by bonding, molding, or welding to form one.
In the moss growing trays 200 and 300 , a lighting insertion part 324 may be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idewalls of the lower bodies 220 and 320 .
The smart planter system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smart planter systems, wea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tate information including a management state of a moss plant, and air quality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60 . a maintenance program 410 that manages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nd corresponds to the managed status information; and a system control server 400 for controlling the smart planter system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the maintenance program 410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smart planter systems and wea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The smart planter system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70 for communicating with the system control server 4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mart phone 500 for controlling the smart planter system by the maintenance program 41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예를 들어, 이끼식물 등)을 이용하여 대기오염(미세먼지 등)과 오염물질(예를 들어, 질산염, 황산염 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air pollution (fine dust, etc.) and pollutants (eg, nitrate, sulfate, etc.) using plants (eg, moss plants, etc.).

그리고, 미세먼지저감, 탄소중립, 빗물활용 제품의 활성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achieve fine dust reduction, carbon neutrality, and activation of rainwater utilization products.

또한,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질산염, 황산염 등)의 저감으로 보행자 및 보행로 주변 생활자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보행로의 쾌적성으로 도시미감 향상과 상권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duction of fine dust and pollutants (nitrates, sulfates, etc.) can improve the health of pedestrians and people living around the pedestrian path, and it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city and revitalize the commercial area through the comfort of the pedestrian path.

또한, 이끼 및 관련 제품의 활성화로 인한 경제적 효과가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유지관리비의 저감으로 가격경쟁력이 있으며 경제적 녹화가 가능하다. In addition, there is an economic effect due to the activation of moss and related products, and it is easy to maintain and has price competitiveness by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and economical greening is possible.

또한, 이끼 및 관련 제품의 활성화로 인한 일자리 창출효과가 있으며, 관련제품의 기술수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job creation due to the activation of moss and related products, and there is an effect of technology export of related products.

또한, 도심지의 가로변, 도로변, 도로의 중앙분리대 등 대규모 녹지의 설치가 어려운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건물의 내부 및 외부, 지하철, 공항, 철도역, 고속버스 터미널, 버스정류장 등에 설치하여 대기오염(미세먼지 등)과 오염물질(질산염, 황산염 등)을 줄이고 산소를 공급하며 녹시율 향상으로 쾌적한 환경과 도시의 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can be easily installed in places where it is difficult to install large-scale green spaces such as roadside, roadside, and road median in downtown areas, and can be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buildings, subways, airports, railway stations, express bus terminals, bus stops, etc. to pollute the air.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fine dust, etc.) and pollutants (nitrate, sulfate, etc.), supplying oxygen, and improving the rust rate to increase the pleasant environment and aesthetics of the city.

또한, 녹화를 통해 대기오염(미세먼지 등) 및 오염물질(질산염, 황산염 등)을 줄이고 산소를 공급하며 녹시율 향상으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air pollution (fine dust, etc.) and pollutants (nitrate, sulfate, etc.) through greening, supply oxygen, and provide a pleasant environment by improving the rust rat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1은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물 공급 및 순환 장치부(140)의 구성도이고,
도3은 도1에 도시된 센서부(160)의 구성도이고,
도4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에서 물의 순환 과정이 반복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5 내지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5는 이끼생육용 트레이(200)가 설치된 모습의 측단면도이고,
도6은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에 햇빛 가림막(260)이 설치된 모습의 측단면도이고,
도7은 이끼생육용 트레이(200) 상부에 타공판(230), 부직포(240), 이끼식물(101) 및 보호망(250)이 설치된 모습의 측단면도이고,
도8은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단면도이고,
도9는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사시도이고,
도10 내지 도11은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2 내지 도1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12는 트레이 측면 고정판(180)에 이끼생육용 트레이(200)가 설치된 측단면도이고,
도13은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측단면도이고,
도14는 햇빛 가림막(260)이 설치된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측단면도이고,
도15는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사시도이고,
도16은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7 내지 도19는 본 발명에 의한 이끼생육용 트레이(300)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17은 이끼생육용 트레이(300)의 평면도이고,
도18은 이끼생육용 트레이(300)의 단면도이고,
도19는 트레이 측면 고정판(330)에 이끼생육용 트레이(300)가 설치된 측단면도이다.
도20은 이끼의 미세먼지 흡수 효과를 수목과 비교하여 나타낸 도표이다.
도2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의 적용 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1 to 4 are views showing a smart planter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planter system 100,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water supply and circulation device 140 shown in Figure 1,
3 is a block diagram of the sensor unit 160 shown in FIG. 1,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circulation process is repeated in the smart planter system 100 .
5 to 11 are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ss growth tray 200 is installed,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unlight screen 260 is installed on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erforated plate 230, a nonwoven fabric 240, a moss plant 101 and a protective net 250 installed on the moss growing tray 200,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y 200 for growing moss,
10 to 11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12 to 16 are views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is installed on the tray side fixing plate 180,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1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tray 200 for growing moss installed with a sunlight screen 260;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y 200 for growing moss,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17 to 19 are views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tray 300 for growing m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lan view of a tray 300 for growing moss,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ray 300 for growing moss,
1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the tray 300 for growing moss is installed on the tray side fixing plate 330 .
20 is a chart showing the fine dust absorption effect of moss compared to trees.
21 is a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smart planter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specific technical contents to be practic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의 실시예An embodiment of the smart planter system 100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1은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물 공급 및 순환 장치부(140)의 구성도이고, 도3은 도1에 도시된 센서부(160)의 구성도이고, 도4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에서 물의 순환 과정이 반복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 to 4 are views showing a smart planter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block diagram of the smart planter system 100, and FIG. 2 is the water supply and circulation shown in FIG.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evice unit 140 ,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nsor unit 160 shown in FIG. 1 , and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circulation process is repeated in the smart planter system 100 . .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체용 이끼매트(110), 이끼 플랜터 프레임(120), 물 저장 장치부(130), 물 공급 및 순환 장치부(140), 이끼생육용 트레이(200), 제어부(150), 센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smart planter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placement moss mat 110, a moss planter frame 120, a water storage unit 130, water supply and circul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pparatus unit 140 , a tray for growing moss 200 , a control unit 150 , and a sensor unit 160 .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는 상기 구성외에 통신 모듈(170), 시스템 관제 서버(400), 유지 관리 프로그램(410) 및 스마트폰(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planter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170 , a system control server 400 , a maintenance program 410 and a smart phone 500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

상기 교체용 이끼매트(110)는 판상 구조의 매트에 이끼식물(bryophytes)(101)을 부착 및 생육하여 공중의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 상부에 탈부착으로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eplacement moss mat 110 has a function of adsorbing fine dust in the air by attaching and growing bryophytes 101 to the mat of the plate-like structure,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moss growing tray 200 It may be configured to allow for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본 발명에서는 도시의 미세먼지 저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미세먼지 흡착, 흡수 기능이 타 식물류보다 탁월한 이끼식물을 활용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reduction of fine dust in the city, a moss plant, which has superior fine dust adsorption and absorption functions than other plants, was used.

이끼식물(bryophytes)'은 이끼류(-類) 또는 선류(蘚類)에 속하는 작고 부드러운 식물을 의미한다. 선류(蘚類)·태류(苔類)를 포함하여 약 2만 3000종으로 이루어진 최초로 육상생활에 적응한 식물군으로 흔히 이끼식물이라고 한다. 이끼식물은 관다발 조직이 없고, 배우체가 광합성을 수행하면서 살아가는 선태식물이다. 줄기, 잎, 헛뿌리를 갖고 있으며 포자를 통해 번식한다. 이끼류는 육상에서 자라며 습한 땅, 바위 위, 썩은 나무, 나무줄기 등에 산다.'Bryophytes' means small, soft plants belonging to the lichens (-類) or the genus (蘚類). It is the first plant group to adapt to terrestrial life, consisting of about 23,000 species including seonryu (蘚類) and algae (苔類), and is often referred to as a moss plant. Moss plants have no vascular tissue and are bryophytes that live while gametophytes perform photosynthesis. It has stems, leaves, and flat roots and reproduces through spores. Mosses grow on land and live in moist soil, on rocks, on rotting trees, and on tree trunks.

이끼식물은 전체 표면을 통해 공기 중의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하며, 공기 중의 영양분 흡수를 위해 이온교환방식을 사용한다. 이 과정에서 미세먼지가 표면에 흡착되고 흡착된 미세먼지는 비산되지 않는다.Moss plants absorb moisture and nutrients from the air through their entire surface, and use ion exchange to absorb nutrients from the air. In this process, fine dust is adsorbed to the surface, and the adsorbed fine dust does not scatter.

이끼는 공기질 개선 효과가 탁월한 천연 공기 청정기로서, 일반적인 공기정화 식물과 비교했을 때 단위면적당 산소배출량이 800~1,000배에 이를 정도로 뛰어나며, 오염물질 제거 능력도 우수하고, 수분 저장 능력도 뛰어나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가습, 여름철에는 제습 기능을 발휘한다.Moss is a natural air purifier with excellent air quality improvement effect. Compared with general air purifying plants, moss emits 800 to 1,000 times more oxygen per unit area. Humidifying in summer and dehumidifying in summer.

식물 종류별 톨루엔 제거효율을 보면 평균적으로 허브류(19.48), 관엽류(9.41), 자생식물(16.16), 선인장(12.00), 다육식물(27.61), 이끼류(74.38)로 단연 이끼가 제거효율 면에서 월등하다.When looking at the toluene removal efficiency by plant type, on average, herbs (19.48), houseplants (9.41), native plants (16.16), cacti (12.00), succulents (27.61), and lichens (74.38), moss is far superior in terms of removal efficiency. .

또한, 음이온 발생량(개/mL)으로도 평균적으로 허브류(478.1), 관엽류(423.3), 양치류(311.5), 다육식물(91.6), 난류(311.5), 선인장(91.6), 자생식물(273.7), 이끼류(555.6)로 원예식물 종류별에서도 음이온 발생량에서 이끼가 탁월하다.In addition, in terms of the amount of anion generated (pieces/mL), herbs (478.1), houseplants (423.3), ferns (311.5), succulents (91.6), eggs (311.5), cacti (91.6), native plants (273.7), As moss (555.6), moss is excellent in the amount of negative ions generated by horticultural plant types.

상대습도(%) 증가량에서도 허브류(25.3), 관엽류(16.2), 자생식물(19.6), 양치류(14.8), 선인장(1.73), 다육식물(4.51), 난류(15.46), 이끼류(34.5)로 이끼가 제습 역할로도 뛰어나다.Even in the increase in relative humidity (%), herbs (25.3), houseplants (16.2), native plants (19.6), ferns (14.8), cacti (1.73), succulents (4.51), warm currents (15.46), lichens (34.5) It is also excellent as a dehumidifier.

이끼식물은 상록수의 잎보다 3∼51배 많은 중금속을 축적할 수 있으며, 생산의 용이성, 공급의 용이성, 가격의 경쟁력이 있고, 건조에 강하고 온도에 대한 적응력이 높은 장점이 있다.Moss plants can accumulate 3 to 51 times more heavy metals than evergreen leaves, have the advantages of easy production, easy supply, competitive price, strong drying resistance and high adaptability to temperature.

이끼식물(1.0㎡)은 수목 15그루의 미세먼지 흡수 효과가 있음이 연구결과 보고되었다(도20 참조).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reported that moss plants (1.0 m2) have the effect of absorbing fine dust from 15 trees (see Fig. 20).

이때, 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 물질을 말하며,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태울 때나 공장, 자동차 등의 배출가스에서 많이 발생한다.At this time, fine dust refers to particulate matter that floats or is blown down in the atmosphere, and is generated a lot when burning fossil fuels such as coal and petroleum, or from exhaust gases such as factories and automobiles.

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50㎛ 이하인 총먼지(TSP)와 입자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PM)로 구분한다. 미세먼지는 다시 지름이 10㎛보다 작은 미세먼지(PM10)와 지름이 2.5㎛보다 작은 미세먼지(PM2.5)로 나뉜다. PM10이 사람의 머리카락 지름(50∼70㎛)보다 약 1/5∼1/7 정도로 작은 크기라면, PM2.5는 머리카락의 약 1/20∼1/30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작다.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dust is divided into total dust (TSP) with a particle size of 50 μm or less and fine dust (PM) with a very small particle size. Fine dust is further divided into fine dust with a diameter of less than 10 μm (PM 10 ) and fine dust with a diameter of less than 2.5 μm (PM 2.5 ). If PM 10 is about 1/5 to 1/7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a human hair (50 to 70 μm), PM 2.5 is so small that it is only about 1/20 to 1/30 of a human hair.

이처럼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 중에 머물러 있다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하여 들어감으로써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As such, fine dust is so small that it is invisible to the naked eye, so it stays in the air and then penetrates the lungs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or moves into the body through blood vessels, thereby adversely affecting health.

계속해서 설명하면,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는 상기 교체용 이끼매트(110)를 상부에 탈부착으로 교체 가능하게 설치하고, 내부에 물 저장공간(217,225)이 형성되고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곡선 형상에 의해 기류를 유도하여 와류를 형성시키게 된다. Continuing to describe, the moss growth tray 200 is installed with the replacement moss mat 110 detachably replaceable on the upper part, water storage spaces 217 and 225 are formed therein, and the curved formed integrally on the lower part. The shape induces airflow to form a vortex.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5 내지 도16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moss growing tray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embodiments of FIGS. 5 to 16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이끼 플랜터 프레임(120)은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를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층으로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끼 플랜터 프레임(120)은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를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층으로 설치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ss planter frame 120 may be configured by installing the moss growing tray 200 in a plurality of layers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moss planter frame 120 may be configured by installing the moss growing tray 200 in a plurality of layers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는 상기 이끼 플랜터 프레임(12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물 저장공간(217,225)에서 배수관(145)을 통해 아래로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에는 필터(141), 펌프(142), 수위센서(146)가 설치되고 물 공급관(143)과 배수관(145)이 연결되어 있다.The water storage unit 13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moss planter frame 120, and water drained downward through the drain pipe 145 in the water storage spaces 217 and 225 of the moss growing tray 200. serves to store A filter 141 , a pump 142 , and a water level sensor 146 are install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30 , and a water supply pipe 143 and a drain pipe 14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물 공급 및 순환 장치부(140)는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에 저장된 물을 상기 필터(141)로 정화시킨 후 상기 펌프(142)를 통해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 상부에 각각 설치된 관수용 배관(144)의 구멍을 통해 상기 이끼식물(101)에 물을 분무하여 상기 이끼식물(101)에 흡착된 미세먼지를 물로 씻겨서 아래로 배수하고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물 저장공간(217,225)에 저장된 물을 배수관(145)을 통해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로 배수시킴으로써 물의 순환 과정을 통해 공기 중의 미세먼지나 오염물질을 상기 이끼식물(101)을 활용하여 제거하게 된다.The water supply and circulation unit 140 purifie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30 with the filter 141 and then through the pump 142 to the top of the moss growing tray 200, respectively. By spraying water on the moss plant 101 through the hole of the installed watering pipe 144, the fine dust adsorbed on the moss plant 101 is washed with water and drained downward, and the moss growing tray 200 By drain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s 217 and 225 to the water storage unit 130 through the drain pipe 145 , fine dust or contaminants in the air are removed using the moss plant 101 through the water circulation process. will do

상기 물 공급 및 순환 장치부(140)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필터(141), 상기 펌프(142), 상기 물 공급관(143), 상기 관수용 배관(144), 상기 배수관(145), 상기 수위센서(14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수용 배관(144)은 파이프 또는 호스의 구멍을 통해 이끼에 물을 분무하거나 스프레이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water supply and circulation device unit 140 includes the filter 141 , the pump 142 , the water supply pipe 143 , the irrigation pipe 144 , and the drain pipe 145 . , the water level sensor 146 may be included. Here, the water pipe 144 may be configured to spray or spray water on the moss through the hole of the pipe or hose.

상기 펌프(142)는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의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 공급관(143)을 통해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상단에 설치된 관수용 배관(144)으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펌프(142)는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의 물을 필터를 통해 정화시킨 다음 상기 물 공급관(143)을 통해 상기 관수용 배관(144)으로 공급하게 된다.The pump 142 is configured inside the water storage unit 130 and transfer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3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43 to the upper end of the moss growing tray 200 . Water is supplied to the irrigation pipe 144 installed in the . At this time, the pump 142 purifies the water of the water storage unit 130 through a filter and then supplies it to the water supply pipe 144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43 .

상기 수위센서(146)는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의 수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수위센서(146)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펌프(142)의 작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위센서(146)의 측정값에 의해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에 물이 부족하거나 없을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펌프(142)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The water level sensor 146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unit 130 .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ump 142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water level sensor 146 . For example, when there is insufficient or no water in the water storage unit 130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water level sensor 146 ,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ump 142 .

계속해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센서부(160)에서 감지된 공기 질 정보에 따라 상기 물 공급 및 순환 장치부(140)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and circulation unit 140 according to the air quality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160 .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센서부(160)에서 감지된 공기 질 정보에 따라 상기 펌프(142)의 온(ON)/오프(OFF) 동작을 제어하거나 상기 펌프(142)의 작동시간, 동작세기(예, 전압 또는 전류의 세기 조절)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이끼식물(101)에 분무되는 물의 양과 세기, 물의 분무 시간 등이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an ON/OFF operation of the pump 142 or an operation of the pump 142 according to the air quality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160 . Time and operation strength (eg, adjustment of voltage or current strength)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hereby, the amount and intensity of the water sprayed to the moss plant 101, the spraying time of water, etc. can be adjusted.

상기 센서부(160)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 농도와 미세먼지 농도를 각각 측정하여 공기 질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160)는 공기 중의 이산화황(SO2), 질소산화물(NO, NO2, N2O, N2O3 등),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소(CO)를 포함한 오염물질 농도와 미세먼지 농도를 각각 측정하여 공기 질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160 may include a sensor that detects air quality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 the air and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60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cluding sulfur dioxide (SO2), nitrogen oxides (NO, NO2, N2O, N2O3, etc.) in the air, carbon dioxide (CO2), and carbon monoxide (CO) and fine dust concentration. It may be composed of a group of sensors that measure each to detect air quality information.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는 태양전지판(미도시)이나 풍력 발전기(미도시)를 이용하여 발생된 배터리(미도시)의 전기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태양전지판이나 풍력 발전기와 더불어 상용 전력을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용 전력만을 사용하여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smart planter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drive using electric energy of a battery (not shown) generated using a solar panel (not shown) or a wind power generator (not shown) as a power source, It may be configured to use commercial power together with a solar panel or a wind generator, or it may be configured to drive using only commercial power.

여기서, 태양전지판은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전기를 발생하는 장치로서, 태양전지판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는 배터리에 저장되어 상기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으로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Here, the solar panel is a device for generating electricity by converting light energy of the sun into electrical energy, and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from the solar panel is stored in a battery to supply necessary power to the smart planter system 100 .

또한, 상기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는 태양전지판을 이용하여 1차로 전원을 공급하고, 태양전지판의 배터리의 전원이 부족할 경우 상용 전력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mart planter system 100 may be configured to primarily supply power using a solar panel, and to use commercial power when the battery power of the solar panel is insufficient.

상기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는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배수관(145)을 통해 배수된 물과 우수(빗물)를 모을 수 있는 물 저장 장치부(130)를 포함하고 있다.The smart planter system 100 includes a water storage unit 130 capable of collecting water drained through the drain pipe 145 of the moss growing tray 200 and rainwater (rainwater).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는 다단으로 구성된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최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펌프(142)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142)는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에 저장된 물을 물 공급관(143)을 통해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상단에 배치된 상기 관수용 배관(144)으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에서는 필터(141)로 정화시킨 물을 상기 펌프(142)를 통해 상기 관수용 배관(144)으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펌프(142)는 예를 들어, 12V 고효율의 모터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water storage unit 13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ray for growing moss 200 configured in multiple stages and includes a pump 142 therein. The pump 142 supplies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30 to the water supply pipe 144 disposed at the top of the moss growth tray 200 through a water supply pipe 143 . do. At this time, in the water storage unit 130 , the water purified by the filter 141 is supplied to the irrigation pipe 144 through the pump 142 . The pump 142 may be configured using, for example, a 12V high-efficiency motor.

상기 통신 모듈(170)은 상기 스마트 이끼 플랜터 시스템(100) 내부에 설치되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스템 관제 서버(400) 및/또는 상기 스마트폰(500)과 데이터 통신을 연결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is installed inside the smart moss planter system 100 and connect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ystem control server 400 and/or the smart phone 5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시스템 관제 서버(400)는 상기 스마트 이끼 플랜터 시스템(100) 각각의 위치 정보와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기상 정보에 따라 유지 관리 프로그램(410)에 의해 상기 스마트 이끼 플랜터 시스템(100)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제한다.The system control server 400 wired the smart moss planter system 100 by the maintenance program 410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smart moss planter system 100 and the wea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r it is controll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여기서, 상기 스마트 이끼 플랜터 시스템(100)의 위치 정보는 각각의 식별번호(ID)와 GPS 신호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기상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연계된 기상청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이끼 플랜터 시스템(100)이 위치한 지역의 기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moss planter system 100 can be obtained using each identification number (ID) and a GPS signal, and the wea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Meteorological Agency link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area where the smart moss planter system 100 is located.

상기 유지 관리 프로그램(410)은 상기 시스템 관제 서버(400)에 설치 및 구동되며, 상기 스마트 이끼 플랜터 시스템 각각의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기상 정보와, 이끼 식물의 관리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공기 질 정보를 포함하는 현황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관리된 현황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다.The maintenance program 410 is installed and driven in the system control server 400, and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smart moss planter systems, wea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management status of moss plants It is a program that manages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state information and air quality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corresponds to the managed status information.

또한, 상기 스마트 이끼 플랜터 시스템(100)은 상기 통신 모듈(170)을 통해 상기 스마트 이끼 플랜터 시스템(100)을 무선 통신망(인터넷망 포함)을 통해 관제하는 스마트폰(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moss planter system 100 further includes a smart phone 500 for controlling the smart moss planter system 1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can be configured.

상기 스마트폰(500)은 상기 시스템 관제 서버(400)에 접속하여 상기 유지 관리 프로그램(410)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한다. 상기 스마트폰(500)은 상기 시스템 관제 서버(400)와 마찬가지로, 상기 스마트 이끼 플랜터 시스템(100) 각각의 위치 정보와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기상 정보에 따라 상기 유지 관리 프로그램(410)에 의해 상기 스마트 이끼 플랜터 시스템(100)을 통신망을 통해 관제하게 된다.The smart phone 500 connects to the system control server 400 and downloads and installs the maintenance program 410 . The smart phone 500, like the system control server 400, by the maintenance program 410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smart moss planter system 100 and wea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smart moss planter system 100 is controll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제1실시예The first embodiment of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도5 내지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5는 이끼생육용 트레이(200)가 설치된 모습의 측단면도이고, 도6은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에 햇빛 가림막(260)이 설치된 모습의 측단면도이고, 도7은 이끼생육용 트레이(200) 상부에 타공판(230), 부직포(240), 이끼식물(101) 및 보호망(250)이 설치된 모습의 측단면도이고, 도8은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단면도이고, 도9는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사시도이고, 도10 내지 도11은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분해 사시도이다.5 to 11 are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installed, and FIG.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unlight screen 260 installed on the tray 200 for the moss, and FIG. 7 is a perforated plate 230, a nonwoven fabric 240, a moss plant 101 and a protection net 250 on the moss growing tray 200. )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installe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ss growing tray 200,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ss growing tray 200, and FIGS. 10 to 11 are the moss growing tray 20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본 발명에 의한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제1실시예는 도5 내지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몸체(210)와 상기 하부몸체(220)는 각각 분리되어 구성되며 각각 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후, 분리하여 제조된 상기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를 본딩 또는 몰딩 또는 용접으로 접합하여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an upper body 210 and a lower body 220, as shown in FIGS. 5 to 11, and the upper body 210 and the lower body 220 are each configured separately and may be manufactured by extrusion, respectively. Thereafter, the upper body 210 and the lower body 220 manufactured separately may be joined by bonding, molding, or welding to form one.

본 발명에 의한 이끼생육용 트레이(200)는 상기 상부몸체(210)와 상기 하부몸체(220)가 각각 분리하여 제작한 후 하나로 결합된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상부몸체(210)와 상기 하부몸체(220)가 일체로 하나의 몸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at the upper body 210 and the lower body 220 ar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then combined into one, but the upper body 210 and the lower body ( 220)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as one body.

그러면, 상기 상부몸체(210)와 상기 하부몸체(22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n, each configuration of the upper body 210 and the lower body 22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상기 상부몸체(210)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며 단면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수직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 상부에 배관 삽입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 삽입구(211)의 하부에 체결구멍(212)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 중간 부분에 보호망 삽입구(213)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후면 설치부(214)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설치부(214)의 하부에 햇빛 가림막 설치구(2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격벽(216)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216)과 격벽(216) 사이에 물 저장공간(217)이 형성되며, 타측 단부에 단차부(218)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부(218) 인근의 격벽(216) 하부에 체결구멍(219)이 형성된다.First, the upper body 2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 vertical sidewall is formed at one end, a pipe insertion hole 211 is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sidewall, and the pipe insertion hole A fastening hole 212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211, a protection net insertion hole 213 is formed in an inner middle portion of the side wall, a rear installation part 214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and the rear installation part 214 A sunlight screen installation hole 215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 addition, partition walls 216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rved body, a water storage space 217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216 and the partition wall 216, and a step portion 218 is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 fastening hole 219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216 near the step portion 218 .

여기서, 상기 체결구멍(212,219)은 상기 트레이 측면 고정판(180)에 체결나사(미도시)로 고정되며, 상기 배관 삽입구(211)에는 상기 관수용 배관(144)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망 삽입구(213)에는 상기 보호망(250)이 삽입되어 하부에 설치된 이끼식물(101)을 보호한다.Here, the fastening holes 212 and 219 are fixed to the tray side fixing plate 180 with fastening screws (not shown), and the watering pipe 144 is inserted into the pipe insertion hole 211 and installed. In addition, the protection net 250 is inserted into the protection net insertion hole 213 to protect the moss plant 101 installed below.

상기 후면 설치부(214)에는 이끼식물을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면 설치부(214)에 타공판, 부직포, 이끼식물 및 보호망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설치부(214)에는 광고판이나 LED 광고판 등을 설치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A moss plant may be vertically installed in the rear installation part 214 . For example, it can be configured by vertically installing a perforated plate, a nonwoven fabric, a moss plant and a protective net on the rear installation part 214 . In addition, the rear installation part 214 may be configured by installing an advertisement board, an LED advertisement board, or the like.

상기 상부몸체(210)의 상부에는 격벽(216)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격벽과 격벽 사이에 물 저장공간(217)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격벽(216)은 수직 형태 또는 소정의 각도를 가진 경사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t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210, partition walls 216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water storage space 217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and the partition wall. In this case, the partition wall 216 may be configured in a vertical shape or an inclin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하부몸체(220)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며 단면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하부에 공기 순환 및 와류 형성부(226)가 곡선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상부몸체(210)의 단차부(218)와 대향되는 단차부(227)가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 단부에 수직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에 보호망 삽입구(221)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 하부에 햇빛 가림막 설치구(222)가 형성되고 상기 햇빛 가림막 설치구(222)의 하부에 체결구멍(223)이 형성되며,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격벽(224)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224)과 격벽(224) 사이에 물 저장공간(225)이 형성된다.The lower body 22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has a curved cross-section, and an air circulation and vortex forming part 226 is formed to protrude in a curved shape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urved body, and at one end A stepped portion 227 opposite to the stepped portion 218 of the upper body 210 is formed. And, a vertical side wall is formed at the other end, a protection net insertion hole 221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wall, a sunlight shield installation hole 222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side of the side wall, and the sunlight screen installation hole 222 is in the lower part of the A fastening hole 223 is formed, and partition walls 224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rved body, and a water storage space 225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224 and the partition wall 224 .

상기 하부몸체(220)는 일측 단부에 형성된 단차부(227)가 상기 상부몸체(210)의 단차부(218)에 본딩 또는 몰딩 또는 용접으로 접합되어 상기 상부몸체(210)와 하나의 몸체를 이룸으로써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를 구성하게 된다.The lower body 220 has a step portion 227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body 210 joined to the step portion 218 of the upper body 210 by bonding, molding or welding to form a single body with the upper body 210. This constitutes the tray 200 for growing the moss.

여기서, 상기 체결구멍(223,228)은 상기 트레이 측면 고정판(180)에 체결나사(미도시)로 고정되며, 상기 보호망 삽입구(221)에는 상기 보호망(250)이 삽입되어 하부에 설치된 이끼식물(101)을 보호한다.Here, the fastening holes 223 and 228 are fixed to the tray side fixing plate 180 with a fastening screw (not shown), and the protective net 250 is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net insertion hole 221 and the moss plant 101 installed below. to protect

상기 하부몸체(220)의 상부에는 격벽(224)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격벽과 격벽 사이에 물 저장공간(225)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격벽(224)은 수직 형태 또는 소정의 각도를 가진 경사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t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220, partition walls 224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water storage space 225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and the partition wall. In this case, the partition wall 224 may be configured in a vertical shape or an inclin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격벽(216,224)의 상부에는 상기 교체용 이끼매트(1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교체용 이끼매트(110)는 타공판(230), 부직포(240), 이끼식물(101) 및 보호망(250)으로 구성될 수 있다(도7 참조). The replacement moss mat 11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partition walls 216 and 224 . The replacement moss mat 110 may be composed of a perforated plate 230 , a nonwoven fabric 240 , a moss plant 101 , and a protective net 250 (see FIG. 7 ).

상기 관수용 배관(144)의 핀홀에서 분무된 물은 상기 이끼식물(101)에 흡착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물로 씻겨 아래로 배수하여 상기 물 저장공간(217,225)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물 저장공간(217,225)에 저장된 물은 상기 이끼식물(101)이 자랄 수 있도록 수분을 공급하고, 배수관을 통해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로 배수되어 저장되고,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에 저장된 물이 필터와 배수관(145)를 통해 미세먼지와 오염물질 및 슬러지가 제거된 다음 상기 펌프(142)에 의해 식물에 흡착된 물질들이 다시 씻겨지는 과정이 반복되는 순환체계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대기 중에 떠돌아다니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e water sprayed from the pinhole of the irrigation pipe 144 washes the fine dust and contaminants adsorbed on the moss plant 101 with water, drains it down, and stores it in the water storage spaces 217 and 225 . At this tim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s 217 and 225 supplies moisture so that the moss plant 101 can grow, and is drained and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30 through a drain pipe, and the water storage unit The water stored in 130 has a circulation system in which fine dust, contaminants and sludge are removed through the filter and drain pipe 145, and then the process of washing again the substances adsorbed to the plant by the pump 142 is repeated. do.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remove fine dust and pollutants floating in the air.

상기 공기 순환 및 와류 형성부(226)는 단면이 곡선 모양을 갖는 상기 하부몸체(220)의 하부에 곡선 모양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 및 와류 형성부(226)는 유입되는 바람이 와류현상을 일으켜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하여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질산염, 황산염 등)이 이끼식물(101)에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늘려줌으로써,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이 이끼식물(101)에 부착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The air circulation and vortex forming part 226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curved shape below the lower body 220 having a curved cross-section. The air circulation and vortex forming part 226 causes the inflow of wind to circulate inside the moss growing tray 200 by causing a vortex phenomenon, so that fine dust and contaminants (nitrate, sulfate, etc.) are removed from the moss plant 101 . By increasing the chance of contact with the , it serves to induce the fine dust and contaminants to adhere to the moss plant ( 101 ).

상기 햇빛 가림막 설치구(215,222)에는 햇빛 가림막(26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햇빛 가림막(260)은 아래에 설치된 이끼식물(101)에 햇빛을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햇빛 가림막(260)는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거나 단면이 곡선을 갖는 형태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A sunlight shield 260 may be installed in the sunlight shield installation holes 215 and 222 . The sunlight screen 260 serves to block sunlight on the moss plant 101 installed below. The sunlight shield 260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or may have a curved cross-section or a polygonal shape, and may be made of a translucent or opaque plastic or metal material.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물 저장공간(217,225)는 우수(빗물)나 상기 관수용 배관(144)에서 분무되는 물이 상기 이끼식물(101)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물 저장공간(217,225)에 저장된 물은 상기 이끼식물(101)로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도 한다.The water storage spaces 217 and 225 of the moss growing tray 200 store rainwater (rainwater) or water sprayed from the irrigation pipe 144 through the moss plant 101 . Also,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s 217 and 225 serves to supply moisture to the moss plant 101 .

또한, 상기 물 저장공간(217,225)는 축적된 슬러지와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torage spaces 217 and 225 may include an outlet (not shown) for discharging accumulated sludge and water.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는 상기 하부몸체(220)의 하부에 곡선 형태의 공기 순환 및 와류 형성부(202)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바람의 통과 및 접촉 면적을 늘리고 아랫 방향으로 공기가 순환되도록 가이드하고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The tray for growing moss 200 protrudes a curved air circulation and vortex forming part 202 i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body 220, thereby increasing the passage and contact area of wind and circulating air in the downward direction. guide and form a vortex.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는 상기 상부몸체(210)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배관 삽입구(211)에 관수용 배관(144)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관수용 배관(144)에는 물을 분무하기 위한 핀홀(미도시) 또는 스프레이(spray)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The moss growing tray 200 may be provided with a pipe 144 for irrigation in a pipe insertion hole 211 formed at an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upper body 210 . A pinhole (not shown) or a spray hole for spraying water is formed in the water pipe 144 .

상기 관수용 배관(144)은 상기 핀홀을 통해 물을 분무하여 아래에 설치된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이끼식물(101)에 고착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질산염, 황산염 등)을 세척하여 아랫쪽에 있는 물 저장공간(217,225)으로 흘러보내게 된다. 이때,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물 저장공간(217,225)에 저장된 물은 배수관(미도시)을 통해 제일 아랫쪽에 있는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로 배수되어 저장되게 된다.The irrigation pipe 144 sprays water through the pinhole to wash fine dust and contaminants (nitrate, sulfate, etc.) adhering to the moss plant 101 of the moss growing tray 200 installed below. It flows to the water storage space (217,225) at the bottom. At this tim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s 217 and 225 of the moss growth tray 200 is drained and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30 located at the bottom through a drain pipe (not shown).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는 상기 이끼식물(101)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이끼식물(101) 상부에 고정용 매트나 메쉬(mesh)망으로 된 보호망(250) 또는 와이어 또는 피아노선을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용 매트나 메쉬(mesh)망은 부식방지와 내구성이 확보되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fix the moss plant 101, the moss growing tray 200 installs a protective net 250 or a wire or a piano wire made of a fixing mat or a mesh net on the upper part of the moss plant 101. can be configur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mat or mesh network is made of a stainless material that prevents corrosion and ensures durability.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는 가볍고 녹이 슬지않으며 비용이 저렴한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압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플라스틱 재질이나 다른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body 210 and the lower body 220 of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may be formed by extruding using aluminum, which is light, rust-resistant and inexpensive. However, it may be formed using a plastic material or other metal.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는 트레이 측면 고정판(180)을 양쪽 측면에 설치하여 고정될 수 있다(도7 참조). The moss growing tray 200 may be fixed by installing the tray side fixing plates 180 on both sides (see FIG. 7 ).

상기 트레이 측면 고정판(180)은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에 체결구멍(182)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 상단에 배관 삽입구(183)가 형성되어 있다.The tray side fixing plate 18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fastening holes 182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and a pipe insertion hole 183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one side.

상기 트레이 측면 고정판(180)에는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측면이 체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는 상기 트레이 측면 고정판(18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끼 플랜터 프레임(120) 사이에 수직으로 소정 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A side of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may be fastened to the tray side fixing plate 180 . The moss growth tray 200 may be installed in plurality at a predetermined or predetermined interval vertically between the moss planter frames 120 in a state in which it is installed on the tray side fixing plate 180 .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제1실시예는 단면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된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가 본딩 또는 몰딩 또는 용접으로 접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의 상부에는 격벽(216,224)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격벽과 격벽 사이에 물 저장공간(217,225)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210)의 일측 상부에 배관 삽입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220)의 하부에 공기 순환 및 와류 형성부(226)가 곡선 모양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may be configured by bonding the upper body 210 and the lower body 220 having a curved cross-section to each other by bonding, molding, or welding.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upper body 210 and the lower body 220, partition walls 216 and 224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water storage spaces 217 and 225 between the partition wall and the partition wall, and on one side of the upper body 210, A pipe insertion hole 211 may be formed, and an air circulation and vortex forming unit 226 may protrude in a curved shape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220 .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제2실시예The second embodiment of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도12 내지 도1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12는 트레이 측면 고정판(180)에 이끼생육용 트레이(200)가 설치된 측단면도이고, 도13은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측단면도이고, 도14는 햇빛 가림막(260)이 설치된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측단면도이고, 도15는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사시도이고, 도16은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12 to 16 are views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the tray for growing moss 200 is installed on the tray side fixing plate 180, 1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moss growing tray 200, FIG. 1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ss growing tray 200 provided with a sunlight screen 260, and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ss growing tray 200 , Figure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본 발명에 의한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제2실시예는 도12 내지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가 각각 분리되어 구성되며 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후, 각각 분리하여 제조된 상기 상부몸체(210)와 상기 하부몸체(220)를 본딩 또는 몰딩 또는 용접으로 접합하여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S. 12 to 16, the upper body 210 and the lower body 220 are each configured separately and can be manufactured by extrusion. have. Thereafter, the upper body 210 and the lower body 220 manufactured separately may be joined together by bonding, molding, or welding to form one.

본 발명에 의한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도5 내지 도11)와 비교하면, 몸체 하부에 공기 순환 및 와류 형성부(226)가 형성되지 않은 점이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 FIGS. 5 to 11 ), the air circulation and vortex forming part 226 is not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Other than that,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그러면, 상기 상부몸체(210)와 상기 하부몸체(22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n, each configuration of the upper body 210 and the lower body 22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상기 상부몸체(210)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며 단면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수직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 상부에 배관 삽입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 삽입구(211)의 하부에 체결구멍(212)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 중간 부분에 보호망 삽입구(213)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후면 설치부(214)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설치부(214)의 하부에 햇빛 가림막 설치구(2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격벽(216)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216)과 격벽(216) 사이에 물 저장공간(217)이 형성되며, 타측 단부에 단차부(218)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부(218) 인근의 격벽(216) 하부에 체결구멍(219)이 형성된다.The upper body 2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 vertical side wall is formed at one end, a pipe insertion hole 211 is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side wall, and the pipe insertion hole 211 ), a fastening hole 212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 protective net insertion hole 213 is formed in an inner middle portion of the side wall, a rear installation part 214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and the lower part of the rear installation part 214 The sunlight screen installation hole 215 is formed. In addition, partition walls 216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rved body, a water storage space 217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216 and the partition wall 216, and a step portion 218 is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 fastening hole 219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216 near the step portion 218 .

여기서, 상기 체결구멍(212,219)은 상기 트레이 측면 고정판(180)에 체결나사(미도시)로 고정되며, 상기 배관 삽입구(211)에는 상기 관수용 배관(144)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망 삽입구(213)에는 상기 보호망(도7의 250)이 삽입되어 하부에 설치된 이끼식물(101)을 보호한다.Here, the fastening holes 212 and 219 are fixed to the tray side fixing plate 180 with fastening screws (not shown), and the watering pipe 144 is inserted into the pipe insertion hole 211 and installed. And, the protection net (250 in FIG. 7) is inserted into the protection net insertion hole 213 to protect the moss plant 101 installed below.

상기 후면 설치부(214)에는 이끼식물을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면 설치부(214)에 타공판, 부직포, 이끼식물 및 보호망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설치부(214)에는 광고판이나 LED 광고판 등을 설치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A moss plant may be vertically installed in the rear installation part 214 . For example, it can be configured by vertically installing a perforated plate, a nonwoven fabric, a moss plant and a protective net on the rear installation part 214 . In addition, the rear installation part 214 may be configured by installing an advertisement board, an LED advertisement board, or the like.

상기 상부몸체(210)의 상부에는 격벽(216)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격벽과 격벽 사이에 물 저장공간(217)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격벽(216)은 수직 형태 또는 소정의 각도를 가진 경사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t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210, partition walls 216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water storage space 217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and the partition wall. In this case, the partition wall 216 may be configured in a vertical shape or an inclin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하부몸체(220)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며 단면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상부몸체(210)의 단차부(218)와 대향되는 단차부(227)가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 단부에 수직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에 보호망 삽입구(221)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 하부에 햇빛 가림막 설치구(222)가 형성되고 상기 햇빛 가림막 설치구(222)의 하부에 체결구멍(223)이 형성되며,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격벽(224)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224)과 격벽(224) 사이에 물 저장공간(225)이 형성된다.The lower body 22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a step portion 227 opposite to the step portion 218 of the upper body 210 is formed at one end. And, a vertical side wall is formed at the other end, a protection net insertion hole 221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wall, a sunlight shield installation hole 222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side of the side wall, and the sunlight screen installation hole 222 is in the lower part of the A fastening hole 223 is formed, and partition walls 224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rved body, and a water storage space 225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224 and the partition wall 224 .

상기 하부몸체(220)는 일측 단부에 형성된 단차부(227)가 상기 상부몸체(210)의 단차부(218)에 본딩 또는 몰딩 또는 용접으로 접합되어 상기 상부몸체(210)와 하나의 몸체를 이룸으로써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를 구성하게 된다.The lower body 220 has a step portion 227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body 210 joined to the step portion 218 of the upper body 210 by bonding, molding or welding to form a single body with the upper body 210. This constitutes the tray 200 for growing the moss.

여기서, 상기 체결구멍(223,228)은 상기 트레이 측면 고정판(180)에 체결나사(미도시)로 고정되며, 상기 보호망 삽입구(221)에는 상기 보호망(도7의 250)이 삽입되어 하부에 설치된 이끼식물(101)을 보호한다.Here, the fastening holes 223 and 228 are fixed to the tray side fixing plate 180 with a fastening screw (not shown), and the protective net (250 in FIG. Protect (101).

상기 하부몸체(220)의 상부에는 격벽(224)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격벽과 격벽 사이에 물 저장공간(225)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격벽(224)은 수직 형태 또는 소정의 각도를 가진 경사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t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220, partition walls 224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water storage space 225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and the partition wall. In this case, the partition wall 224 may be configured in a vertical shape or an inclin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제2실시예는 단면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된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가 본딩 또는 몰딩 또는 용접으로 접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의 상부에는 격벽(216,224)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격벽과 격벽 사이에 물 저장공간(217,225)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210)의 일측 상부에 배관 삽입구(211)가 형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tray 200 for growing moss, the upper body 210 and the lower body 220 having a curved cross-section may be joined by bonding, molding, or welding.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upper body 210 and the lower body 220, partition walls 216 and 224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water storage spaces 217 and 225 between the partition wall and the partition wall, and on one side of the upper body 210, A pipe insertion hole 211 may be formed.

이끼생육용 트레이(300)의 제3실시예The third embodiment of the tray 300 for growing moss

도17 내지 도19는 본 발명에 의한 이끼생육용 트레이(300)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17은 이끼생육용 트레이(300)의 평면도이고, 도18은 이끼생육용 트레이(300)의 단면도이고, 도19는 트레이 측면 고정판(330)에 이끼생육용 트레이(300)가 설치된 측단면도이다.17 to 19 are views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tray 300 for growing m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plan view of the tray 300 for growing moss, and FIG. 18 is a tray 300 for growing moss. ), and FIG. 1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the tray 300 for growing moss is installed on the tray side fixing plate 330 .

본 발명에 의한 이끼생육용 트레이(300)는 교체용 이끼매트(도1의 110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교체용 이끼매트(110)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판상 구조의 매트에 이끼식물(bryophytes)(101)을 부착 및 생육하여 공중의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300) 상부에 탈부착으로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ray 300 for growing m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placement moss mat (refer to 110 in FIG. 1).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replacement moss mat 110 has a function of adsorbing fine dust in the air by attaching and growing bryophytes 101 to the mat having a plate-like structure, and the moss It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installed and replaced on the upper tray 300 for growth.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300)는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며, 압출 공정으로 한번에 제작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300)는 설명의 편의상 상부몸체(310)와 하부몸체(320)로 구분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상부몸체(310)와 상기 하부몸체(320)가 하나의 몸체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tray 300 for growing moss is composed of a single body, and may be manufactured at a time by an extrusion process. Hereinafter, the tray 300 for growing moss is described as being divided into an upper body 310 and a lower body 32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upper body 310 and the lower body 320 are integrated into one body. is formed with

그러면, 상기 상부몸체(310)와 상기 하부몸체(32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n, each configuration of the upper body 310 and the lower body 32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상기 상부몸체(310)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며 단면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수직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 상부에 배관 삽입구(311)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 삽입구(311)의 하부에 체결구멍(312)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 중간 부분에 보호망 삽입구(313)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후면 설치부(314)가 형성되고 하단에 체결구멍(3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상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격벽(316)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316)과 격벽(316) 사이의 공간에 물 저장공간(317)이 형성되어 있다.First, the upper body 3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 vertical side wall is formed at one end, and a pipe insertion hole 311 is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side wall, and the pipe insertion hole A fastening hole 312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311, a protective net insertion hole 313 is formed in an inner middle part of the side wall, a rear installation part 314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and a fastening hole 315 is formed at the bottom. this is formed In addition, partition walls 316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rved body, and a water storage space 317 is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partition walls 316 and the partition wall 316 .

상기 상부몸체(310)와 상기 하부몸체(320)의 중간 부분의 하단에 체결구멍(318)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320)의 타측 단부에도 체결구멍(321,323)이 형성되어 있다. A fastening hole 318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iddle portion between the upper body 310 and the lower body 320 , and fastening holes 321 and 323 are also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lower body 320 .

상기 하부몸체(320)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며 단면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하부에 공기 순환 및 와류 형성부(325)가 곡선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타측 단부에 수직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 상부에 체결구멍(32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321)의 하부에 내측 방향으로 보호망 삽입구(322)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 하단부에 조명 삽입부(324)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 삽입부(324)의 일측 상부에 체결구멍(323)이 형성되며,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격벽(316)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316)과 격벽(316) 사이에 물 저장공간(317)이 형성된다.The lower body 32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has a curved cross-section, and an air circulation and vortex forming unit 325 is formed to protrude in a curved shape under the curved body. Then, a vertical side wall is formed at the other end, a fastening hole 321 is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side wall, and a protection net insertion hole 322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hole 321 in the inner direction, and the inner lower end of the side wall A lighting insertion part 324 is formed in the light insertion part 324, a fastening hole 323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lighting insertion part 324, and a partition wall 316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rved body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water storage space 317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316 and the partition wall 316 .

여기서, 상기 체결구멍(312,315,318,321,323)은 상기 트레이 측면 고정판(330)에 체결나사(미도시)로 고정되며, 상기 배관 삽입구(311)에는 상기 배관 삽입용 절개부(333)를 통해 상기 관수용 배관(144)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망 삽입구(313)에는 상기 보호망(250)이 삽입되어 하부에 설치된 이끼식물(101)을 보호한다.Here, the fastening holes (312, 315, 318, 321, 323) are fixed to the tray side fixing plate 330 with a fastening screw (not shown), and the pipe insertion hole 311 has the pipe insertion cutout 333 through the irrigation pipe ( 144)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addition, the protection net 250 is inserted into the protection net insertion hole 313 to protect the moss plant 101 installed below.

상기 후면 설치부(314)에는 이끼식물을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면 설치부(314)에 타공판, 부직포, 이끼식물 및 보호망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설치부(314)에는 광고판이나 LED 광고판 등을 설치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A moss plant may b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rear installation part 314 .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by vertically installing a perforated plate, a nonwoven fabric, a moss plant and a protective net on the rear installation part 314 . In addition, the rear installation unit 314 may be configured by installing an advertisement board or an LED advertisement board.

상기 상부몸체(310)의 상부에는 격벽(316)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격벽과 격벽 사이에 물 저장공간(317)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격벽(316)은 수직 형태 또는 소정의 각도를 가진 경사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t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310, partition walls 316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water storage space 317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and the partition wall. In this case, the partition wall 316 may be configured in a vertical shape or an inclin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격벽(316)의 상부에는 상기 교체용 이끼매트(1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교체용 이끼매트(110)는 타공판(230), 부직포(240), 이끼식물(101) 및 보호망(250)으로 구성될 수 있다(도7 참조). The replacement moss mat 11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316 . The replacement moss mat 110 may be composed of a perforated plate 230 , a nonwoven fabric 240 , a moss plant 101 , and a protective net 250 (see FIG. 7 ).

상기 관수용 배관(도7의 144 참조)의 핀홀에서 분무된 물은 상기 이끼식물(101)에 흡착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물로 씻겨 아래로 배수하여 상기 물 저장공간(317)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물 저장공간(317)에 저장된 물은 상기 이끼식물(101)이 자랄 수 있도록 수분을 공급하고, 배수관을 통해 상기 물 저장 장치부(도1의 130)로 배수되어 저장되고,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에 저장된 물이 필터와 배수관(도2의 145)를 통해 미세먼지와 오염물질 및 슬러지가 제거된 다음 상기 펌프(도2의 142)에 의해 식물에 흡착된 물질들이 다시 씻겨지는 과정이 반복되는 순환체계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대기 중에 떠돌아다니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e water sprayed from the pinhole of the irrigation pipe (see 144 in FIG. 7) washes the fine dust and contaminants adsorbed on the moss plant 101 with water, drains it down, and stores it in the water storage space 317. . At this tim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317 supplies moisture so that the moss plant 101 can grow, and is drained and stored to the water storage unit (130 in FIG. 1) through a drain pipe, and the water Fine dust, contaminants and sludge are removed from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through the filter and drain pipe (145 in FIG. 2), and then the substances adsorbed to the plant are washed again by the pump (142 in FIG. 2). It has a circulatory system in which the process of losing is repea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remove fine dust and pollutants floating in the air.

상기 공기 순환 및 와류 형성부(325)는 단면이 곡선 모양을 갖는 상기 하부몸체(320)의 하부에 곡선 모양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 및 와류 형성부(325)는 유입되는 바람이 와류현상을 일으켜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300)의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하여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질산염, 황산염 등)이 이끼식물(101)에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늘려줌으로써,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이 이끼식물(101)에 부착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The air circulation and vortex forming unit 325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curved shape below the lower body 320 having a curved cross-section. The air circulation and vortex forming unit 325 causes the incoming wind to vortex and circulate inside the moss growing tray 300 so that fine dust and contaminants (nitrate, sulfate, etc.) are removed from the moss plant 101 . By increasing the chance of contact with the , it serves to induce the fine dust and contaminants to adhere to the moss plant ( 101 ).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300)의 물 저장공간(317)는 우수(빗물)나 상기 관수용 배관(144)에서 분무되는 물이 상기 이끼식물(101)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물 저장공간(317)에 저장된 물은 상기 이끼식물(101)로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도 한다.The water storage space 317 of the moss growth tray 300 stores rainwater (rainwater) or water sprayed from the irrigation pipe 144 through the moss plant 101 . In additio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317 also serves to supply moisture to the moss plant 101 .

또한, 상기 물 저장공간(317)는 축적된 슬러지와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water storage space 317 may include an outlet (not shown) for discharging accumulated sludge and water.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300)는 상기 하부몸체(320)의 하부에 곡선 형태의 공기 순환 및 와류 형성부(325)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바람의 통과 및 접촉 면적을 늘리고 아랫 방향으로 공기가 순환되도록 가이드하고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The moss growth tray 300 protrudes a curved air circulation and vortex formation part 325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320, thereby increasing the passage and contact area of wind and circulating air in the downward direction. guide and form a vortex.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300)는 상기 상부몸체(310)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배관 삽입구(311)에 관수용 배관(도7의 144)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관수용 배관(144)에는 물을 분무하기 위한 핀홀(미도시) 또는 스프레이(spray)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In the tray 300 for growing moss, a pipe for irrigation (144 in FIG. 7 ) may be installed in a pipe insertion hole 311 formed at an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upper body 310 . A pinhole (not shown) or a spray hole for spraying water is formed in the water pipe 144 .

상기 관수용 배관(144)은 상기 핀홀을 통해 물을 분무하여 아래에 설치된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300)의 이끼식물(101)에 고착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질산염, 황산염 등)을 세척하여 아랫쪽에 있는 물 저장공간(317)으로 흘러보내게 된다. 이때,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300)의 물 저장공간(317)에 저장된 물은 배수관(미도시)을 통해 제일 아랫쪽에 있는 상기 물 저장 장치부(도1의 130)로 배수되어 저장되게 된다.The irrigation pipe 144 sprays water through the pinhole to wash fine dust and contaminants (nitrate, sulfate, etc.) adhering to the moss plant 101 of the moss growing tray 300 installed below. It flows to the water storage space 317 at the bottom. At this tim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317 of the moss growth tray 300 is drained and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30 in FIG. 1) located at the bottom through a drain pipe (not shown).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300)는 상기 이끼식물(101)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이끼식물(101) 상부에 고정용 매트나 메쉬(mesh)망으로 된 보호망(도7의 250) 또는 와이어 또는 피아노선을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용 매트나 메쉬(mesh)망은 부식방지와 내구성이 확보되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ss growing tray 300 is a protective net (250 in FIG. 7) made of a mat or mesh net for fixing on the moss plant 101 in order to fix the moss plant 101, or a wire or a piano It can be configured by installing a lin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mat or mesh network is made of a stainless material that prevents corrosion and ensures durability.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300)의 상부몸체(310)와 하부몸체(320)는 가볍고 녹이 슬지않으며 비용이 저렴한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압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플라스틱 재질이나 다른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body 310 and the lower body 320 of the tray 300 for growing moss may be formed by extruding using aluminum, which is light, rust-resistant and inexpensive. However, it may be formed using a plastic material or other metal.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300)는 트레이 측면 고정판(330)을 양쪽 측면에 설치하여 고정될 수 있다(도19 참조). The moss growth tray 300 may be fixed by installing the tray side fixing plates 330 on both sides (see FIG. 19).

상기 트레이 측면 고정판(330)은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에 체결구멍(332)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 상단에 배관 삽입용 절개부(3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 측면 고정판(330)에는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300)의 측면이 체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300)는 상기 트레이 측면 고정판(3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끼 플랜터 프레임(120) 사이에 수직으로 소정 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The tray side fixing plate 33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fastening holes 332 are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and a cutout 333 for pipe insertion is formed at one upper end. The side of the tray 300 for growing the moss may be fastened to the tray side fixing plate 330 . The moss growing tray 300 may be installed in plurality at a predetermined or predetermined interval vertically between the moss planter frames 120 in a state in which the tray side fixing plate 330 is install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300)의 제3실시예는 단면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된 하나의 몸체를 압출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310)와 하부몸체(320)의 상부에는 격벽(316)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격벽과 격벽 사이에 물 저장공간(317)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310)의 일측 상부에 배관 삽입구(31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320)의 하부에 공기 순환 및 와류 형성부(325)가 곡선 모양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tray 300 for growing moss, a single body having a curved cross-section may be manufactured by an extrusion process.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upper body 310 and the lower body 320, partition walls 316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 water storage space 317 between the partition wall and the partition wall, and on one side of the upper body 310, The pipe insertion hole 311 is formed, and the air circulation and vortex forming part 325 may protrude in a curved shape at the lower part of the lower body 320 .

다른 실시예another embodim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는 온습도 센서(미도시),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발광소자(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mart planter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not shown), a display panel (not shown), and a light emitting device (not shown).

상기 온습도 센서는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온습도 센서와 오염 물질과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한 센서부(160)의 측정값과 현재 기상정보, 날짜정보 등을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LED 화면을 포함한다.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is a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he display panel display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and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sensor unit 160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and fine dust, current weather information, date information, etc. on the screen. 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in real time. In this case, the display panel includes an LED screen.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온습도 센서, 상기 센서부(160), 상기 수위센서(146)의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상기 이끼식물(101)의 생장 조건을 모니터링하고 년/월/일/시 별로 측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control unit 150 receives the measurement values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the sensor unit 160, and the water level sensor 146 in real time, monitors the growth conditions of the moss plant 101, and performs year/month/day/year/month/day/ Save the measurement data for each hour.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측정값과 기준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펌프(142)의 강약을 조절하여 상기 관수용 배관(144)에서 분무되는 물의 세기와 작동시간 등을 자동으로 조절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automatically adjusts the strength and operating time of the water sprayed from the irrigation pipe 144 by adjusting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pump 142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measured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

예를 들어, 상기 온습도 센서의 온도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높거나 습도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낮을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관수용 배관(144)에서 분무되는 물의 세기가 정상치보다 강하게 분무되도록 펌프(142)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분무 시간을 증가시켜 제어한다. 반대로, 상기 온습도 센서의 온도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낮거나 습도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관수용 배관(144)에서 분무되는 물의 세기를 정상치보다 약하게 분무되도록 상기 펌프(142)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분무 시간을 감소시켜 제어한다.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of the temperature-humidity sensor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or the humidity measurement valu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150 pumps ( 142) or by increasing the spray time. Conversely, when the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of the temperature-humidity sensor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or the humidity measurement valu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intensity of the water sprayed from the irrigation pipe 144 to be sprayed weaker than the normal value. ) or by reducing the spray time.

또한, 상기 센서부(160)의 오염 물질의 측정값과 미세먼지의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관수용 배관(144)에서 분무되는 물의 세기가 정상치보다 강하게 분무되도록 펌프(142)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분무 시간을 증가시켜 제어한다. 반대로, 상기 센서부(160)의 오염 물질의 측정값과 미세먼지의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낮을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관수용 배관(144)에서 분무되는 물의 세기를 정상치보다 약하게 분무되도록 상기 펌프(142)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분무 시간을 감소시켜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pollutant and the measured value of fine dust of the sensor unit 160 are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150 pumps the pump so that the intensity of the water sprayed from the irrigation pipe 144 is stronger than the normal value. Control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142 or by increasing the spray time. Conversely,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pollutant and the measured value of fine dust of the sensor unit 160 are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intensity of the water sprayed from the irrigation pipe 144 to be sprayed weaker than the normal valu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ump 142 or by reducing the spray time.

상기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는 다양한 각도, 크기, 간격,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제품의 형태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침강 및 재비산을 방지하고, 다양한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다.The smart planter system 100 can control various angles, sizes, intervals, and heights, prevent fine dust from subsidence and re-scattering by using the shape of the product, and can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상기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는 공간이 협소한 띠녹지, 녹지조성이 어려운 보행로, 담장 등에 이끼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The smart planter system 100 may be manufactured by using moss in a green belt with a narrow space, a walking path in which it is difficult to create a green area, a fence, and the like.

한편, 상기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는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하부에 상기 이끼식물(101)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소자는 LED 소자를 포함하며, 단일의 색을 발광하거나 여러가지 색을 한번에 연출하여 발광하거나 복수의 색을 순차적으로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mart planter system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ight emitting device (not shown)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moss plant 101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oss growing tray 200 .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n LED device, and may be configured to emit a single color or produce multiple colors at once to emit light or sequentially emit a plurality of colors.

본 발명의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는, 선태류(이끼식물)가 식재된 이끼생육용 트레이(200)를 다단으로 구성하고, 하부에 설치된 물 저장 장치부(130)의 펌프(142)를 작동시켜 물 공급관(143)을 통해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상단에 설치된 관수용 배관(144)를 통해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이끼식물(101)로 분무시켜 아래로 배수되고, 상기 이끼식물(101)에서 배수된 물이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물 저장공간(217,225)에 저장된 후 배수관(145)을 통해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로 배수되어 저장되고,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에 저장된 물이 필터를 통해 미세먼지와 공해물질 및 슬러지가 제거된 다음 상기 펌프(142)에 의해 물이 다시 순환되면서 상기 이끼식물(101)에 흡착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질산염, 황산염 등)이 물로 씻겨 배수하여 대기 중의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smart planter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e moss growing tray 200 in which bryophytes (moss plants) are planted in multiple stages, and operates the pump 142 of the water storage unit 130 installed in the lower part.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43 through the irrigation pipe 144 installed at the top of the moss growth tray 200, the moss plant 101 of the moss growth tray 200 is sprayed down to drain, After the water drained from the moss plant 101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s 217 and 225 of the moss growing tray 200, it is drained and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30 through the drain pipe 145, and the water Fine dust, pollutants, and sludge are removed from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through the filter, and then the water is circulated again by the pump 142 and fine dust and pollutants adsorbed to the moss plant 101 (Nitrate, sulfate, etc.) can be washed with water and drained to remove fine dust and pollutants in the air.

적용 예Application example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의 적용 예를 나타낸 그림이다.21 is a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smart planter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는 다양한 각도, 크기, 간격,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제품의 형태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침강 및 재비산을 방지하고, 다양한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다.The smart planter system 100 can control various angles, sizes, intervals, and heights, prevent fine dust from subsidence and re-scattering by using the shape of the product, and can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상기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100)는 공간이 협소한 띠녹지 및 도로중앙띠녹지, 녹지조성이 어려운 보행로, 도로변 미세먼지제거를 위한 선형설치, 도로변의 옹벽, 담장, 통학로 주변, 옥상녹화, 인공지반녹화시설물 등에 적용 가능하다. The smart planter system 100 is a green belt with a narrow space and a green belt in the middle of the road, a pedestrian path where green is difficult to create, a linear installation for removing fine dust on the roadside, a retaining wall on the roadside, a fence, around a school road, a roof greening, artificial ground It can be applied to recording facilities, etc.

또한, 도로형, 벽면녹화형, 단면형, 양면형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road type, wall recording type, single-sided type, and double-sided type are possib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은, 선태류(이끼식물)가 식재된 이끼생육용 트레이(200)를 다단으로 구성하고, 하부에 설치된 물 저장 장치부(130)의 펌프(142)를 작동시켜 물 공급관(143)을 통해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상단에 설치된 관수용 배관(144)를 통해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이끼식물(101)로 분무시켜 아래로 배수되고, 상기 이끼식물(101)에서 배수된 물이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의 물 저장공간(217,225)에 저장된 후 배수관을 통해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로 배수되어 저장되고,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에 저장된 물이 필터(141)를 통해 미세먼지와 오염물질 및 슬러지가 제거된 다음 상기 펌프(142)에 의해 식물에 흡착된 물질들이 다시 씻겨지는 과정이 반복되는 순환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기 중에 떠돌아다니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지속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mart plant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ulti-stage moss growing tray 200 in which bryophytes (moss plants) are planted, and the pump 142 of the water storage unit 130 installed in the lower part. )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43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43 through the irrigation pipe 144 installed at the top of the moss growing tray 200 to the moss plant 101 of the moss growing tray 200 by spraying downward After being drained and the water drained from the moss plant 101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s 217 and 225 of the moss growing tray 200, it is drained and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30 through the drain pipe, and the A circulation system in which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30 is removed from fine dust, contaminants and sludge through the filter 141, and then the process in which the substances adsorbed to the plant are washed again by the pump 142 is repeated. By continuously removing fine dust and pollutants floating in the atmosphere because it has,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olv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dditions, etc.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possible,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following claims.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에는, 도시의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식물과 해당 식물을 고정하는 금속 장치, 장치를 측정하는 센서 등 다양한 재료와 부품들이 사용되기 때문에 식물 생산 분야, 금속 제조 분야, 센서 개발 및 제조 분야, 센서 활용 분야, 조경 시설물 분야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서 핵심적으로 활용되는 이끼 등 선태류의 활용가치는 점차 증대하고 있으나 생산량이 극히 적은 실정이므로 본 발명으로 인해 선태류 생산분야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In the smart plant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aterials and parts such as plants that can reduce urban fine dust, a metal device for fixing the plant, and a sensor for measuring the device are used, so plant production field, metal manufacturing field , sensor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field, sensor application field, landscape facility field, etc. can be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In particular, the utilization value of bryophytes such as moss, which is used as a core i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gradually increasing, but the production is very small, so it can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bryophyte production field due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101 : 선태류 또는 이끼식물 102 : 물(H2O)
110 : 교체용 이끼매트
120 : 이끼 플랜터 프레임
130 : 물 저장 장치부
140 : 물 공급 및 순환 장치부
141 : 필터 142 : 펌프
143 : 물 공급관 144 : 관수용 배관
145 : 배수관 146 : 수위센서
150 : 제어부 160 : 센서부
170 : 통신 모듈
180 : 트레이 측면 고정판
181 : 몸체 182 : 체결구멍
183 : 배관 삽입구
200 : 이끼생육용 트레이
210 : 상부몸체 211 : 배관 삽입구
212 : 체결구멍 213 : 보호망 삽입구
214 : 후면 설치부 215 : 햇빛 가림막 설치구
216 : 격벽 217 : 물 저장공간
218 : 단차부 219 : 체결구멍
220 : 하부몸체 221 : 보호망 삽입구
222 : 햇빛 가림막 설치구 223 : 체결구멍
224 : 격벽 225 : 물 저장공간
226 : 공기 순환 및 와류 형성부
227 : 단차부 228 : 체결구멍
230 : 타공판 240 : 부직포
250 : 보호망 또는 고정용 매트 260 : 햇빛 가림막
300 : 이끼생육용 트레이
310 : 상부몸체 311 : 배관 삽입구
312 : 체결구멍 313 : 보호망 삽입구
314 : 후면 설치부 315 : 체결구멍
316 : 격벽 317 : 물 저장공간
318 : 체결구멍 320 : 하부몸체
321 : 체결구멍 322 : 보호망 삽입구
323 : 체결구멍 324 : 조명 삽입부
325 : 공기 순환 및 와류 형성부
330 : 트레이 측면 고정판
331 : 몸체 332 : 체결구멍
333 : 배관 삽입용 절개부
400 : 시스템 관제 서버
410 : 유지 관리 프로그램
500 : 스마트폰
100: smart planter system
101: bryophytes or moss plants 102: water (H 2 O)
110: replacement moss mat
120 : Moss Planter Frame
130: water storage unit
140: water supply and circulation device unit
141: filter 142: pump
143: water supply pipe 144: irrigation pipe
145: drain pipe 146: water level sensor
150: control unit 160: sensor unit
170: communication module
180: tray side fixing plate
181: body 182: fastening hole
183: pipe insertion port
200: tray for growing moss
210: upper body 211: pipe insertion port
212: fastening hole 213: protection net insertion hole
214: rear installation part 215: sunlight screen installation hole
216: bulkhead 217: water storage space
218: step 219: fastening hole
220: lower body 221: protection net insertion hole
222: sunlight shield installation hole 223: fastening hole
224: bulkhead 225: water storage space
226: air circulation and vortex forming part
227: step 228: fastening hole
230: perforated plate 240: non-woven fabric
250: protective net or mat for fixing 260: sun screen
300: tray for growing moss
310: upper body 311: pipe insertion port
312: fastening hole 313: protection net insertion hole
314: rear installation part 315: fastening hole
316: bulkhead 317: water storage space
318: fastening hole 320: lower body
321: fastening hole 322: protection net insertion hole
323: fastening hole 324: lighting insertion part
325: air circulation and vortex forming part
330: tray side fixing plate
331: body 332: fastening hole
333: cutout for pipe insertion
400: system control server
410: maintenance program
500: Smartphone

Claims (8)

매트에 이끼를 부착 및 생육하여 공중의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판상 구조의 교체용 이끼매트(110); 단면이 곡선 모양을 갖는 몸체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격벽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과 격벽 사이에 물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 상에 상기 교체용 이끼매트(110)를 배치하고 상기 몸체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곡선 형상에 의해 기류를 유도하여 와류를 형성시키는 이끼생육용 트레이(200,300);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300)를 수직 방향 또는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층으로 설치하는 이끼 플랜터 프레임(120); 상기 이끼 플랜터 프레임(12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300)의 물 저장공간에서 아래로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장치부(130); 상기 물 저장 장치부(130)에 저장된 물을 필터로 정화시킨 후 펌프를 통해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300) 상부에 각각 설치된 관수용 배관의 구멍을 통해 이끼에 물을 분무하여 순환시키는 물 공급 및 순환 장치부(140);을 포함하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300)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며 단면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수직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측벽의 내측 상부에 배관 삽입구(211,311)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 삽입구(211,311)의 하부에 체결구멍(212,312)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 중간에 보호망 삽입구(213,313)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측에 후면 설치부(214,314)가 형성되고,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격벽(216,316)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216,316)과 격벽(216,316) 사이의 공간에 물 저장공간(217,317)이 형성된 상부몸체(210,310);
상기 상부몸체(210,3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본딩 또는 용접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며,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며 단면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하부에 공기 순환 및 와류 형성부(226,325)가 곡선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수직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측벽의 내측 중간에 보호망 삽입구(221,322)가 형성되고, 상기 곡선 모양의 몸체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격벽(224,316)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224,316)과 격벽(224,316) 사이에 물 저장공간(225,317)이 형성된 하부몸체(220,320);
상기 상부몸체(210,310)의 보호망 삽입구(213,313)와 상기 하부몸체(220,320)의 보호망 삽입구(221,322)에 삽입하여 배치되며, 상기 상부몸체(210,310)의 격벽(216,316)과 상기 하부몸체(220,320)의 격벽(224,316) 상에 배치된 상기 교체용 이끼매트(110)를 보호하는 보호망(250);
공기 중의 이산화황, 질소산화물,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를 포함한 오염물질 농도와 미세먼지 농도를 각각 측정하여 공기 질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160); 및
상기 센서부(160)에서 감지된 공기 질 정보에 따라 상기 물 공급 및 순환 장치부(140)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50);
를 포함하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Replacement moss mat 110 of plate-shaped structure that attaches and grows moss on the mat to adsorb fine dust in the air; A partition wall is vertically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having a curved cross section, a water storag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and the partition wall, and the replacement moss mat 110 is disposed on the partition wall, and integrally with the lower part of the body Trays for growing moss (200,300) for inducing an airflow by a curved shape formed to form a vortex; a moss planter frame 120 for installing the moss growing trays 200 and 300 in a plurality of layers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vertical direction or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 water storage unit 13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moss planter frame 120 and configured to store water drained from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moss growing trays 200 and 300; After purify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30 with a filter, water is supplied to circulate by spraying water on the moss through the holes of the irrigation pip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moss growing trays 200 and 300 through a pump, and In the smart planter system including; circulation unit 140,
The moss growth tray (200,30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 vertical sidewall is formed at one end, a pipe insertion hole (211,311) is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sidewall, and a fastening hole (211,311)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pipe insertion hole (211,311) 212 and 312) are formed, protective net insertion holes 213 and 313 are formed in the inner middle of the side wall, rear installation parts 214 and 314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ide wall, and partition walls 216 and 316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rved body. an upper body (210, 310) formed and having a water storage space (217, 317)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partition wall (216, 316) and the partition wall (216, 316);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210,310 or is formed by bonding or welding,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has a curved cross-section, and an air circulation and vortex forming uni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urved body (226,325) is formed to protrude in a curved shape, a vertical sidewall is formed at the other end, and protection net insertion holes (221,322) are formed in the inner middle of the vertical sidewall, and partition walls (224,316)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rved body. a lower body (220, 320) formed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having a water storage space (225, 317)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224, 316) and the partition walls (224, 316);
The upper body (210, 310) of the protection net insertion holes (213, 313) and the lower body (220, 320) is inserted into the protection net insertion holes (221, 322), the upper body (210, 310) of the partition walls (216, 316) and the lower body (220, 320) a protective net 250 for protecting the replacement moss mat 110 disposed on the partition walls 224 and 316;
a sensor unit 160 that detects air quality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cluding sulfur dioxide, nitrogen oxide, carbo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in the air and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respectively; and
a control unit 150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and circulation unit 140 according to the air quality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160;
A smart planter system that includ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300)는,
상기 상부몸체(210,310)와 상기 하부몸체(220,320)를 하나의 몸체로 구성하여 압출 공정으로 한번에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몸체(210,310)와 상기 하부몸체(220,320)를 분리하여 각각 압출 제작한 후 분리된 2개의 몸체를 본딩 또는 몰딩 또는 용접으로 접합하여 하나로 형성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ss growth tray (200,300),
The upper body (210,310) and the lower body (220,320) are configured as one body and formed at one time by an extrusion process, or the upper body (210,310) and the lower body (220,320) are separated and extruded, respectively, and then separated A smart planter system formed by joining two bodies by bonding, molding, or weld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끼생육용 트레이(200,300)는
상기 하부몸체(220,320)의 수직 측벽의 하단부에 조명 삽입부(324)가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ss growing tray (200, 300) is
A smart planter system in which a lighting insertion part 324 is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idewall of the lower body 220 and 320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각각의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기상 정보와, 이끼 식물의 관리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및 상기 센서부(160)에서 감지한 공기 질 정보를 포함하는 현황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관리된 현황 정보에 대응하는 유지 관리 프로그램(410); 및
상기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각각의 위치 정보와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기상 정보에 따라 상기 유지 관리 프로그램(410)에 의해 상기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제하는 시스템 관제 서버(400);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planter system,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smart planter systems, wea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management status of moss plants, and air quality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60 a maintenance program 410 that manages and corresponds to the managed status information; and
a system control server 400 for controlling the smart planter system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the maintenance program 410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smart planter systems and wea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 smart planter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 관제 서버(40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통신 모듈(170); 및
상기 통신 모듈(170)과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을 상기 유지 관리 프로그램(410)에 의해 관제하는 스마트폰(500);
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mart planter system,
a communication module 170 for communicating with the system control server 4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mart phone 500 for controlling the smart planter system by the maintenance program 41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A smart planter system further comprising a.




KR1020210177710A 2021-12-13 2021-12-13 Smart Planter System Using Alternant Moss Tray for Reduction Fine Dust of City KR1024250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710A KR102425073B1 (en) 2021-12-13 2021-12-13 Smart Planter System Using Alternant Moss Tray for Reduction Fine Dust of C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710A KR102425073B1 (en) 2021-12-13 2021-12-13 Smart Planter System Using Alternant Moss Tray for Reduction Fine Dust of C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073B1 true KR102425073B1 (en) 2022-07-28

Family

ID=8260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710A KR102425073B1 (en) 2021-12-13 2021-12-13 Smart Planter System Using Alternant Moss Tray for Reduction Fine Dust of C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073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993B1 (en) 2007-04-27 2008-09-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ir purifying interior garden system with using moss wall and indoor plants
KR20160008909A (en) * 2014-07-15 2016-01-25 심의성 Apparatus for wreath
KR101789165B1 (en) * 2016-02-29 2017-10-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flowerpot based on internet of th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the same
KR102114591B1 (en) 2019-11-13 2020-05-22 함승원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moss
KR20200143018A (en) * 2019-06-14 2020-12-23 배승환 Cyclone air purifier using plant and soil
KR102227576B1 (en) * 2020-09-09 2021-03-15 (주)미래에스앤에스넷 A Indoor moss planting natural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reduces fine dust3
KR102271415B1 (en) * 2021-01-04 2021-07-01 주식회사 바이오크래프트 Indoor air purifying device using green plant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993B1 (en) 2007-04-27 2008-09-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ir purifying interior garden system with using moss wall and indoor plants
KR20160008909A (en) * 2014-07-15 2016-01-25 심의성 Apparatus for wreath
KR101789165B1 (en) * 2016-02-29 2017-10-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flowerpot based on internet of th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the same
KR20200143018A (en) * 2019-06-14 2020-12-23 배승환 Cyclone air purifier using plant and soil
KR102114591B1 (en) 2019-11-13 2020-05-22 함승원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moss
KR102227576B1 (en) * 2020-09-09 2021-03-15 (주)미래에스앤에스넷 A Indoor moss planting natural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reduces fine dust3
KR102271415B1 (en) * 2021-01-04 2021-07-01 주식회사 바이오크래프트 Indoor air purifying device using green pla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818B1 (en) Vertical Type Modular Planter Capable of Fine Dust Removing Function
CN102934588B (en) Multifunctional indoor decontaminating plant wall
KR20200004487A (en) Air purifying Industrial Vertical Garden
CN103004573A (en) Ecological integrated decoration unit and use method thereof
CN202958271U (en) Multifunctional plant wall for cleaning indoor pollution
KR102136364B1 (en) Air Cleaning System and Method having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Vegetation Filters
CN108678296A (en) It is a kind of to irrigate roof rainwater collection device for cleansing and recycling certainly
KR102466022B1 (en) Air-flow type plant greening tray having fine particle reduction function and modular plant fence system
KR102466021B1 (en) Air circulation and virtule type plant tray for reducing fine in city and its smart planter fence device
CN203261868U (en) Ecological greening system for house and indoor ecological greening system
CN103004574B (en) Air conditioning ecological section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2425073B1 (en) Smart Planter System Using Alternant Moss Tray for Reduction Fine Dust of City
KR102425074B1 (en) Smart Moss Planter System for Reduction Fine Dust of City
KR102418649B1 (en) Plant tray capable of Fine Dust Removing Function and Vertical Type Modular Planter using thereof
KR102418650B1 (en) Plant tray provided forming part vortex and air circulation and Vertical Type Modular Planter using thereof
KR102419685B1 (en) Planting Module for Reducing Fine Dust and Solid Smart Planter Apparatus using thereof
KR102419684B1 (en) Planting Module for Reducing Fine Dust and Module Type Planter Apparatus using thereof
CN201565254U (en) Deodorization device of biological filter
CN110318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tical and inclined plane soilless culture
KR102418227B1 (en) Module Type Recording Planter System Based on IoT Smart for Reduction Fine Dust
CN102696421B (en) Three-dimensional fast-growing root plant device and using method thereof
CN208108394U (en) One kind exempting from the green window water supply ventilating system of daily maintenance
KR102602932B1 (en) Fine dust reduction type air purification plant cultivation system
CN103017276B (en) Ecological building energy-saving system and use method thereof
KR102602933B1 (en) A three-dimensional smart planter system that reduces fine du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