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793B1 -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793B1
KR102424793B1 KR1020200083636A KR20200083636A KR102424793B1 KR 102424793 B1 KR102424793 B1 KR 102424793B1 KR 1020200083636 A KR1020200083636 A KR 1020200083636A KR 20200083636 A KR20200083636 A KR 20200083636A KR 102424793 B1 KR102424793 B1 KR 102424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upled
valve body
plung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899A (ko
Inventor
이형훈
이민형
이기세
Original Assignee
이형훈
이민형
이기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훈, 이민형, 이기세 filed Critical 이형훈
Priority to KR1020200083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7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4Moulds having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53Cleaning or purging, e.g. of the inject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8Closure devices therefor
    • B29C45/2806Closure devices therefor consisting of needle valve systems
    • B29C45/281Drive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3Venting or dega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7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velocity or pressure of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8Closure devices therefor
    • B29C45/2806Closure devices therefor consisting of needle valve systems
    • B29C45/281Drive means therefor
    • B29C2045/2824Needle valves driven by an 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내용은 저면에 성형홈이 형성된 상부금형과, 상부금형과 결합되며 상기 성형홈에 통하도록 결합되며 성형홈 내의 가스를 배출토록 하는 가스배출기가 구비된 하부금형;을 포함하고, 가스배출기는 하부금형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며,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공에는 밸브시트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프링 장착홈이 형성된 밸브몸체; 밸브몸체의 통로에 결합되며, 일단부가 밸브시트에 밀착 또는 해제되는 밸브마개가 구비되어 개폐작동되는 플런져; 밸브몸체의 스프링 장착홈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져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결합되고 성형홈의 내부에 성형 수지가 충진될때 잔류하는 가스를 신속히 배출시킴으로써 성형품의 불량발생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Gas Discharge Device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된 상,하부금형의 내부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하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료와 금형기술의 발전으로 사출성형(射出成形)의 기술은 날로 발전하고 있으며, 제품 역시 다양하고 높은 정밀도를 요하고 있다.
사출성형기의 작동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금형을 장착한 형반이 두 개가 있으며, 한쪽은 고정이며 다른 한 부분이 열리고 닫힌다.
즉, 금형을 닫고 여는 것을 형개폐라 한다.
닫겨진 금형 내로 용융된 플라스틱 원재료를 사출기 실린더와 스크류를 통하여 투입하는 것을 사출이라하며, 사출성형기 실린더 내에서 스크류가 회전하면서 플라스틱 원재료를 전단력인 마찰과 열로 녹이면서 다음 사출을 위한 원하는 양의 녹은 원재료를 준비하는 것을 계량이라 한다.
사출된 원재료는 금형 내로 투입되어서 일정의 모양을 가지는 사출제품이 성형되며, 소정의 냉각 시간을 소모한 후에 형개되고 이후에 금형 내에 있는 제품을 떼어내는 작업을 에젝팅이라 한다.
즉 사출성형기의 일반적 동작 순서는 형폐, 사출, 계량, 형개, 에젝팅의 순서로 반복하면서 양산 제품을 생산한다.
한편 사출성형기의 금형이 내부에서 생성된 고압의 가스로 인해 밀폐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누설이 발생되고, 불량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특허출원 10-2005-0067713호
개시되는 내용은 사출성형기를 구성하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결합되고 내부의 성형홈에 성형 수지가 충진될때 잔류하던 가스를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개시되는 내용은, 저면에 성형홈이 형성된 상부금형과, 상부금형과 결합되며 상기 성형홈에 통하도록 결합되며 성형홈 내의 가스를 배출토록 하는 가스배출기가 구비된 하부금형을 포함하고, 가스배출기는, 하부금형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며,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공에는 밸브시트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프링 장착홈이 형성된 밸브몸체; 밸브몸체의 통로에 결합되며, 일단부가 밸브시트에 밀착 또는 해제되는 밸브마개가 구비되어 개폐작동되는 플런져; 밸브몸체의 스프링 장착홈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져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시트는 경사면을 갖도록 테이퍼진 형상이고, 밸브마개는 상기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외주연에 접촉면이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플런져는 밸브몸체의 통로 내주면과 이격되어 틈새가 형성되도록 하여 유체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플런져는 밸브몸체의 통로 내주면과 밀착되고, 일부분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통로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직경이 축소된 이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몸체의 측면에는 상기 이격부에 대응되는 부위에 배기홀이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성형홈 내에 주입된 수지의 가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감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스배출기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부는 하부금형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작동핀과, 상기 작동핀의 일단에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작동핀의 후단이 접촉되도록 형성된 센서 및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를 전송받는 제어회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는 제어회로에 연결되어 신호를 받아 온오프 구동되는 모터일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결합되고 성형홈의 내부에 성형 수지가 충진될때 잔류하는 가스를 신속히 배출시킴으로써 성형품의 불량발생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르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르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르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실시예에 따르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가 적용된 사출성형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실시예에 따르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르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르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실시예에 따르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가 적용된 사출성형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기는, 저면에 성형홈(M12)이 형성된 상부금형(M1)과, 상부금형(M1)과 맞결합되는 하부금형(M2) 및 상부금형(M1)의 개폐작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금형(M1)은 상하방향으로 승강작동되면서 하부금형(M2)과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상부금형(M1) 또는 하부금형(M2)에는 각기 가스배출기(A)가 결합되고, 가스배출기(A)는 성형홈(M12)에 통하도록 형성되어 가스 배출 작용을 하도록 한다.
가스배출기(A)에 의해 성형홈(M12) 내에 수지 주입 전 또는 수지 주입 과정에서 성형홈(M12)에 차있던 가스를 배출시켜 성형 과정에서 성형품에 기포가 형성되어 불량품이 발생될 소지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성형홈(M12)에 수지 등의 유체를 공급하는 캐비티, 수지 주입구 등의 요소들은 공지의 기술 사상이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하부금형(M2)에는 가스배출기(A)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금형(M1)이 하부금형(M2)과 결합된 후 성형홈(M12)에 수지가 충진될때 성형홈(M12) 내에 채워져있던 공기 및 수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가 가스배출기(A1,A2)의 개방작동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스배출기(A1,A2)는 상,하부금형(M1,M2)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거나 또는 모두 다 장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금형(M2)에 형성된 결합공(M23)에 결합되는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기(A1)는,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통로(120)가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공(102)에는 밸브시트(14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프링 장착홈(170)이 형성된 밸브몸체(100); 밸브몸체(100)의 통로(120)에 결합되며, 일단부가 밸브시트(140)에 밀착 또는 해제되는 밸브마개(220)가 구비되어 개폐작동되는 플런져(200); 밸브몸체(100)의 스프링 장착홈(170)에 결합되며 플런져(20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밸브시트(140)는 경사면(141)을 갖도록 테이퍼진 형상이다. 즉 밸브몸체(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어 나팔 형상으로 밸브시트(140)가 형성된다.
밸브마개(220)는 밸브시트(140)의 경사면(141)에 밀착되도록 외주연에 접촉면(222)이 형성된다.
즉, 접촉면(222)은 테이퍼진 형상이며, 상부에는 팁(230)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팁(230)은 수지가 먼저 접촉됨으로써 밸브마개(220)의 폐쇄 1단계 작동을 유발할 수 있게 되고, 수지가 더 많이 흘러서 밸브마개(220)의 외면 전체에 접촉되면 폐쇄 2단계의 작동을 유발하게 된다.
플런져(200)는 밸브몸체(100)의 통로(120) 내주면과 이격되어 틈새가 형성되도록 하여 유체, 즉 가스가 배출되도록 이송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기(A2에 해당)에 따르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져(200)가 밸브몸체(100)의 통로(120) 내주면과 밀착되고, 일부분에는 단턱(240)이 형성되어 통로(120)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직경이 축소된 이격부(24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밸브몸체(100)의 측면에는 상기 이격부(242)에 대응되는 부위에 배기홀(15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100)의 외주면에는 돌출부(106)가 원통형상으로 돌출되어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06)가 각 금형(M1,M2) 각각의 결합홈(M26)에 꼭맞게 결합되어 기밀성을 갖도록 한다.
한편 밸브몸체(100)의 돌출부(106)의 외주면에 직선방향으로 절개되어 평평한 절개부(107)가 형성된다.
따라서, 밸브몸체(100)의 돌출부(106)가 금형의 결합홈(M26)에 끼움결합되었을때 절개부(107)가 결합홈(M26)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하여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로(H)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홀(150)과 통하는 배기로(M24)가 하부금형(M2) 내에 형성됨으로써 더 빨리 더 대량의 가스가 배출될 수 있고, 아울러 절개부(107)에 의해 배출로(H)를 통해서도 가스 배출이 촉진될 수 있다(도 4 및 도 7 참조).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홈(M12) 내에 주입된 수지의 가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400)가 포함된다.
또한 감지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가스배출기(A)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부(500)를 더 포함한다.
감지부(400)는, 하부금형(M2)의 결합홈(M25)에 결합되는 작동핀(420)과, 상기 작동핀(420)의 일단에 탄성지지하는 스프링(440)과, 상기 작동핀(420)의 후단이 접촉되도록 형성된 센서(460) 및 상기 센서(460)의 감지신호를 전송받는 제어회로(4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460)는 리미트 스위치가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핀(420)이 하부금형(M2)의 결합공(M23)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작동핀(420)의 하단에 센서(460)가 배치된다.
작동핀(420)의 하단과 센서(460)는 미세하게 이격되어 있다.
스프링(440)의 탄성에 의해 작동핀(420)을 밀고 있기 때문에 미세하게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 거리만큼 작동핀(420)의 상단이 상부로 돌출되어 하부금형(M2)의 상면보다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며, 작동핀(420)의 상단은 성형홈(M12)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작동핀(420)이 압력을 받게 되면, 즉 수지가 성형홈(M12) 내에 유입되어 작동핀(420)의 상단을 가압하게 되면 작동핀(420)이 하강하게 되고, 작동핀(420)의 후단이 센서(460)에 접촉되면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신호는 제어회로에 전달되며, 제어회로는 구동부의 작동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구동부(500)는 제어회로에 연결되어 신호를 받아 온-오프 구동되는 모터(520)가 사용된다. 모터(520)는 솔레노이드 방식이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기(A3)는,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통로(120)가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공(102)에는 밸브시트(14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프링 장착홈(170)이 형성된 밸브몸체(100); 밸브몸체(100)의 통로(120)에 결합되며, 일단부가 밸브시트(140)에 밀착 또는 해제되는 밸브마개(220)가 구비되어 개폐작동되는 플런져(200); 밸브몸체(100)의 스프링 장착홈(170)에 결합되며 플런져(20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밸브몸체(100)는 스프링(260)이 삽입되는 부위에 대응하여 외향 돌출되고 내부에 스프링 장착홈(170)을 갖는 환형돌부(130)가 형성되고, 환형돌부(130)에 배기공(132)이 형성되며 내부의 통로(120)와 직각 방향을 연결되어 통하도록 한다.
스프링 장착홈(170)은 내측에 스프링(260)이 삽입되고, 스프링(260)을 수용하여 구속하도록 결합되는 캡(262)과, 이 캡(262)의 하부에 지지되며 스프링 장착홈(170)의 내측에 결합되는 플랜지(264)가 구비된다.
밸브마개(220)는 밸브몸체(100)의 개구공 보다 돌출되게 형성되어 닫힌 상태에서도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한다.
즉, 밸브마개(220)의 외주 경사면의 길이가 밸브시트(14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밸브마개(22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밸브시트(140)는 경사면(141)을 갖도록 테이퍼진 형상이다. 즉, 밸브몸체(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어 나팔 형상으로 밸브시트(140)가 형성된다.
밸브마개(220)는 밸브시트(140)의 경사면(141)에 밀착되도록 외주연에 접촉면(222)이 형성된다.
즉, 접촉면(222)은 테이퍼진 형상이며, 상부에는 팁(230)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팁(230)은 수지가 먼저 접촉됨으로써 밸브마개(220)의 폐쇄 1단계 작동을 유발할 수 있게 되고, 수지가 더 많이 흘러서 밸브마개(220)의 외면 전체에 접촉되면 폐쇄 2단계의 작동을 유발하게 된다.
플런져(200)는 밸브몸체(100)의 통로(120) 내주면과 이격되어 틈새(t)가 형성되도록 하여 틈새(t)를 통해 유체, 즉 가스가 배출되도록 이송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부금형(M2)에 본 실시예에 따르는 가스배출기(A2)가 장착된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시일뿐이면 반드시 하부금형(M2)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금형(M1)에도 가스배출기(A1)가 장착될 수 있다.
가스배출기(A2)는, 밸브몸체(100)를 하부금형(M2)의 결합공(M23)에 결합시키고, 밸브시트(140)가 스프링(260)의 탄성력에 의해 인출되어 하부금형(M2)의 상면보다 돌출되도록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밸브마개(220)의 상단이 밸브시트(140) 보다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되 약 0.3mm 가량 밸브시트(140)가 돌출되도록 한다.
한편 하부금형(M2)의 소정의 위치, 즉 가스배출기(A1)와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감지부(400)가 장착된다.
즉, 감지부(400)의 작동핀(420)의 상단이 하부금형(M2)의 상면보다 약 0.5mm 가량 돌출된 상태로 장착된다(도 7의 확대도 참조).
이후 상부금형(M1)과 하부금형(M2)이 결합된 후 상부금형(M1)의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로부터 수지가 주입되기 시작한다.
성형홈(M12) 내에 주입된 수지가 작동핀(420)의 상단과 접촉되면 작동핀(420)은 수지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작동핀(420)의 하단이 센서(460)에 접촉됨으로써 온(ON) 신호가 발생된다.
발생된 온(ON) 신호가 구동부(500)에 전달되어 모터(520)가 구동되기 시작한다. 모터(520)는 솔레노이드가 적용된다.
모터(520)의 구동에 의해 플런져(200)가 이동, 즉 하강하게 되고, 밸브마개(220)가 밸브시트(140)와 접촉되어 밀폐상태가 된다.
따라서 수지가 주입된 후 성형홈(M12) 내의 가스는 밸브마개(220)가 닫히기 전까지 계속 밸브몸체(100)의 통로(1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수지가 주입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밸브마개(220)가 닫힐때까지의 시간은 수지의 주입구와 작동핀(420)까지의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수지의 점도 또는 포함된 가스의 량을 감안하여 설정된다.
따라서 성형홈(M12) 내에 잔류되었던 가스를 가스배출기(A)를 통해 배출시킴으로써 성형물에 가스가 함입되지 않게 되어 양질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M1 : 상부금형 M2 : 하부금형
M12 : 성형홈 M23 : 결합공
100 : 밸브몸체 120 : 통로
140 : 밸브시트 170 : 스프링장착홈
200 : 플런져 220 : 밸브마개
260 : 스프링 242 : 이격부
150 : 배기홀 M24 : 배기로
400 : 감지부 420 : 작동핀
440 : 스프링 460 : 센서
480 : 제어회로 500 : 구동부
520 : 모터

Claims (9)

  1. 저면에 성형홈이 형성된 상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과 결합되며 상기 성형홈에 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성형홈 내의 가스를 배출토록 하는 가스배출기가 구비되는 하부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배출기는
    상기 하부금형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며,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공에는 밸브시트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프링 장착홈이 형성된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의 통로에 결합되며, 일단부가 밸브시트에 밀착 또는 해제되는 밸브마개가 구비되어 개폐작동되는 플런져; 및
    상기 밸브몸체의 스프링 장착홈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져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시트는 경사면을 갖도록 테이퍼진 형상이고,
    상기 밸브마개는 상기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외주연에 테이퍼진 형상의 접촉면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마개의 상부에는 팁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져는 밸브몸체의 통로 내주면과 이격되어 틈새가 형성되도록 하여 유체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성형홈 내에 주입된 수지의 가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스배출기의 플런져를 구동시켜 밸브마개가 밸브시트와 밀착 또는 해제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하부금형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작동핀과, 상기 작동핀의 일단에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작동핀의 후단이 접촉되도록 형성된 센서 및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를 전송받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마개는 외주 경사면의 길이가 상기 밸브시트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밸브마개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시 돌출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져는 밸브몸체의 통로 내주면과 밀착되고, 일부분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통로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직경이 축소된 이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의 측면에는 상기 이격부에 대응되는 부위에 배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제어회로에 연결되어 신호를 받아 온오프 구동되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는 스프링이 삽입되는 부위에 대응하여 외향 돌출되고 내부에 스프링 장착홈을 갖는 환형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돌부에 배기공이 형성되며 내부의 통로와 직각 방향을 연결되어 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
  9. 삭제
KR1020200083636A 2020-07-07 2020-07-07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 KR102424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636A KR102424793B1 (ko) 2020-07-07 2020-07-07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636A KR102424793B1 (ko) 2020-07-07 2020-07-07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899A KR20220005899A (ko) 2022-01-14
KR102424793B1 true KR102424793B1 (ko) 2022-07-25

Family

ID=7934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636A KR102424793B1 (ko) 2020-07-07 2020-07-07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7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069B1 (ko) 2023-10-13 2024-05-14 주식회사 예일 사출금형기 내의 가스 제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8253A (ja) * 2004-12-17 2006-06-2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成形金型、タイヤ成形金型用のプラグ、及びこのタイヤ成形金型を用いて製造したタイヤ
JP2016512798A (ja) 2013-03-22 2016-05-09 ダヴリューデー レーシング オイ 通気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2262A (ja) * 1983-10-11 1985-05-10 Aisin Seiki Co Ltd 金型用ガス抜き装置
GB9708584D0 (en) * 1997-04-29 1997-06-18 Sp Tyres Uk Ltd Mould vents
KR20050067713A (ko) 2003-12-29 2005-07-05 이영민 메일과 자료실을 통합한 파일관리 방법
KR20110023652A (ko) * 2009-08-31 2011-03-08 이옥성 플라스틱 사출 금형의 자동 가스 빼기 제어 기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8253A (ja) * 2004-12-17 2006-06-2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成形金型、タイヤ成形金型用のプラグ、及びこのタイヤ成形金型を用いて製造したタイヤ
JP2016512798A (ja) 2013-03-22 2016-05-09 ダヴリューデー レーシング オイ 通気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899A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4793B1 (ko) 사출성형기의 가스배출장치
US6435855B1 (en) Resin-molding mold unit and resin-mold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resin-molding mold unit
CN104924612A (zh) 一种针阀调节喷嘴
US20120263820A1 (en) Cooling sleeve with support element
KR20190110813A (ko) 보조 가스배출수단을 가지는 다이캐스팅 고진공 금형장치
KR102332858B1 (ko) 사출성형기의 상,하형 자동 결합장치
KR102309396B1 (ko) 사출성형기의 에어벤트장치
JP5074486B2 (ja) 成形品圧縮成形装置
KR101933862B1 (ko) 사출 금형 장치
US6056537A (en) Injection moulding device having temperature control to prevent vulcanization
KR102056136B1 (ko) 충전 장치
KR20190110812A (ko) 추가 진공형성수단을 가지는 다이캐스팅 고진공 금형장치
JP5420615B2 (ja) 射出成形機
KR101426548B1 (ko) 사출 성형장치
US11820059B2 (en) Ultrasonic device for a polymer injector apparatus
JP3974962B2 (ja) インサート成形装置
US20060008550A1 (en) Gas internal-pressure plastic injection device
JP2002292694A (ja) 射出成形用金型のガス抜き状態検出方法
JPH0361448A (ja) 糖菓用成形型
US20230302697A1 (en) Manufacturing apparatus, manufactur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JP7421428B2 (ja) 射出成形品
JP4425344B1 (ja) 樹脂成形方法、および樹脂成形装置
JPS5940191Y2 (ja) 射出成形品の肉欠検知装置
JPH05212757A (ja) スプルーレスディスク金型
KR100583770B1 (ko) 스프루 방지를 위한 사출성형기용 밸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