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113B1 -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113B1
KR102424113B1 KR1020200013578A KR20200013578A KR102424113B1 KR 102424113 B1 KR102424113 B1 KR 102424113B1 KR 1020200013578 A KR1020200013578 A KR 1020200013578A KR 20200013578 A KR20200013578 A KR 20200013578A KR 102424113 B1 KR102424113 B1 KR 102424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terminal device
image
us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9789A (ko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이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호 filed Critical 이근호
Priority to KR1020200013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113B1/ko
Publication of KR20210099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6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the same content streams on multiple devices, e.g. when family members are watching the same movie on differ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6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language selection, e.g. for the menu or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는,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공공장소의 정당 사용자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근거로 사용자 단말장치로 시청하는 영상의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mart Thea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공원이나 철도역사 대합실 등의 공공장소에 적용 가능하며 소리없는 스마트 영화제 등을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화를 감상하는 것은 어둡고 밀폐된 극장의 실내공간에서 영화를 감상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내의 답답함에서 탈피하여 넓고 탁 트인 야외에서의 영화감상을 추구하게 되었고 그에 부응하여 자동차 전용 극장 등의 야외극장이 개발되어 가족단위의 관람객이나 연인들에 각광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영화 관람의 형태는 모바일 기술의 발전 및 영화제 등의 활성화에 따라 꾸준히 진화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스마트폰을 활용한 OTT(Over The Top)를 들 수 있다.
종래의 야외 영화 감상 유형은 크게 스마트폰 VoD, 자동차 극장, 뒷뜰 프로젝션 및 야외 영화제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스마트폰 VoD는 컨텐츠 및 감상위치의 자유도가 높은 장점이 있으며, 자동차 극장은 차 안의 몰입된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뒷뜰 프로젝션은 가족 맞춤형 프로젝션이라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야외 영화제의 경우에는 시민 맞춤형 영화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익하다.
그런데, 종래의 스마트폰 VoD는 감상 중 보행 안전의 위험이 있고, 개인화된 감상으로 감동의 공유가 제한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 극장의 경우는 제약적인 컨텐츠 선택이나 2인 감상에 적합한 형태로만 제공되고 있다는 점에서 제약이 있다. 나아가, 뒷뜰 프로젝션의 경우에는 설치 및 철거의 번거로움이 있으며, 영화 사운드로 인해 소음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야외 영화제의 경우에는 감상 위치에 따른 음질 저하가 발생하며, 영화 사운드로 인한 소음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07888호(2019.07.3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41038호(2013.12.26)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1-0088686(2001.09.28)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공원이나 철도역사 대합실 등의 공공장소에 적용 가능하며 소리없는 스마트 영화제 등을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는,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공공장소의 정당 사용자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시청하는 영상의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공장소에서 발매하는 티켓상의 코드정보에 대한 인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정당 사용자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드정보가 인식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공공장소의 극장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공장소에서 복수의 영상이 동시에 재생될 때,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선택되는 영상의 채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이어폰 또는 헤드폰의 연결 상태를 더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영상에 동기화되어 음성이 출력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선택되는 언어정보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공장소를 방문하는 사용자들의 유형 분석에 따른 광고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광고 영상의 음성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공공장소의 정당 사용자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시청하는 영상의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시키는 단계는, 상기 공공장소에서 발매하는 티켓상의 코드정보에 대한 인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정당 사용자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시키는 단계는, 상기 코드정보가 인식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공공장소의 극장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시키는 단계는, 상기 공공장소에서 복수의 영상이 동시에 재생될 때,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선택되는 영상의 채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이어폰 또는 헤드폰의 연결 상태를 더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시키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영상에 동기화되어 음성이 출력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선택되는 언어정보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시키는 단계는, 상기 공공장소를 방문하는 사용자들의 유형 분석에 따른 광고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광고 영상의 음성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외 공연/영상의 개인화된 고품질 사운드 체험 및 맞춤형 타겟 광고를 위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변의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소리는 없고 음질은 최상인 나만의 사운드를 감상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 결과 소리 없는 스마트 영화제 등의 개최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다수의 스크린에 동시에, 그리고 다수의 언어를 동시에 전송 공유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극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스마트 극장 시스템의 설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화제에서의 UX 시나리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역에서의 UX 시나리오,
도 5는 도 1의 영상처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극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스마트 극장 시스템의 설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극장 시스템(90)은 디스플레이장치(101, 103), 영상처리장치(110), 사용자 단말장치(120), 통신망(130) 및 영상서비스제공장치(1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영상처리장치(11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스마트 극장 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영상서비스제공장치(14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3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혹은 스크린)(101, 103)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멀티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지만, 독립 스크린을 구성하여도 무관하다. 디스플레이장치(101, 103)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공원이나 철도 역사, 버스 대합실 등의 공공장소(97)에 설치되어 영상표시가 가능한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1, 103)는 가정에 구비되는 LCD나 OLED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스크린을 설치하고 빔프로젝터를 통해 영상을 구현하는 스크린장치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공원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101, 103)를 보여주고 있다. 만약 야외에 장기적으로 설치되는 경우라면, 디스플레이장치(101, 103)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방습 등을 위한 다양한 장치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령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1, 103)는 사일런트무비 즉 조용한 극장(혹은 영화)을 구성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드림시어터'라 명명할 수 있다. 고요한 공원 속 나만의 영상을 나만의 채널로 감상하는 최첨단 야외 멀티 플렉스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1, 103)는 각 스크린이나 무대별로 채널을 지정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1, 103)에서 상영되는 영화 등은 외부에서 제어되기보다는 공원이나 영화제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영상서비스제공장치(140)를 통해 중앙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서울에 위치하는 '서울숲'에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1, 103)를 설치하여 드림시어터 즉 사일런트스마트시어터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멀티채널 스트리밍이 가능하고, 소리없는 스마트 영화제를 개최할 수도 있다. 다수의 스크린을 동시에 운용하고, 다수의 언어를 동시에 전송 및 공유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주변의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소리는 없고 음질은 최상인 나만의 사운드 감상이 가능할 수 있다. 칸막이 없는 인터랙티브 멀티 플렉스를 통해 다양한 동시 다발적 컨텐츠 운영 및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세대와 언어를 초월하는 멀티 스낵 컬쳐 문화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령, 영화제가 개최되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1, 103)를 통해 영화가 상영되고 있다면, 사용자들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1, 103)를 통해 영화를 감상하면서, 동시에 해당 영화와 관련한 음성은 자신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20)를 통해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일런트스마트시어터를 구현하게 된다. 물론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1, 103)는 음성출력이 가능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외부에서의 제어를 통해 음성이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화면상에 상영되고 있는 영상의 음성은 사용자 단말장치(120)를 통해서만 청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장치(120)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일 수 있지만, 서비스 운영업체 등에서 제공하는 전용단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전용단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후에 다시 설명하겠지만, 사용자들은 가령, 공원에서 개최되는 영화제에 입장하고자 할 때 티켓을 구매할 수 있으며, 해당 티켓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림시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코드정보로서 QR 코드 등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자신이 소지하는 가령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장치(120)를 통해 카메라를 작동시킨 후 이를 통해 QR 코드를 인식하여 영상서비스제공장치(140)에 접속하여 앱을 내려받기할 수 있고, 내려받은 앱을 실행시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110)는 가령, 영상중계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물론 스탠드얼론 형태로 작동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장치(110)는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01, 103)마다 설치되느냐 아니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1, 103)를 동시에 관할하느냐에 따라 동작(예: 데이터 처리 방식)은 다소 상이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01, 103)에 구현되는 영상에 동기화되어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20)로 음성 데이터를 제공해야 하는 것은 분명하다. 예를 들어, 영상서비스제공장치(140)를 통해 영상처리장치(110)로 영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영상처리장치(110)가 현재 특정 채널에 접속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120)를 파악하고, 이에 근거하여 음성 데이터를 분리 혹은 복사하여 전송할 수 있다. 통상, 영상 컨텐츠는 화면에 구현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스피커로 출력되는 오디오(audio) 데이터로 구분된다. 이는 물론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이다. 영상 컨텐츠는 영상 신호라 명명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10)는 현재 특정 채널에 접속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120)의 식별 정보를 근거로 어떠한 사용자 단말장치(120)가 접속하고 있는지 판단하고, 영상서비스제공장치(140)가 영상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때,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한 후 비디오 데이터는 각 디스플레이장치(101, 103)로 제공하고, 오디오 데이터는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원활한 서비스를 위하여 영상처리장치(110)는 영상서비스제공장치(140)에서 전체 컨텐츠를 수신하여 내부에 저장한 후 영상 컨텐츠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영상 컨텐츠에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처리하기에는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오디오 데이터만 복사하여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110)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1, 103)로는 광케이블 등과 같이 유선으로 비디오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지만,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20)로는 와이파이, 지그비,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1, 103)와 같은 경우에도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한 후 단위 프레임 영상을 화면에 구현할 때, 기술의 구성상 라인 스캔 방식으로 영상을 구현하여 단위 프레임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1, 103)의 내부적으로 영상 처리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반면 오디오 데이터의 경우에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등의 동작을 위해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1, 103)로부터 단위 프레임 영상이 구현될 때, 가령 영상이 구현되기 직전에 해당 정보가 영상처리장치(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120)로 제공되어 두 장치간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1, 103)가 1초에 60장의 단위 프레임을 영상을 구현하는 경우, 어떠한 단위 프레임 영상이 현재 화면에 구현되고 있고, 또 어떠한 단위 프레임 영상이 화면에 앞으로 구현될지에 대한 정보를 영상처리장치(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120)로 제공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장치(120)는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기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영상처리장치(110)는 디스플레이장치(101, 103)와 사용자 단말장치(120)의 동기화를 위하여 동기화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영상처리장치(110)는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2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은 별도로 구성되어 무선통신장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영상처리장치(1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은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장치(120)에서 앱을 실행시키는 경우, 이를 근거로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20)를 인식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110)는 신호의 수신 세기가 일정 정도 이상인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120)의 통신을 관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장치(110)는 사용자 단말장치(120)에서 앱을 실행한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장치(101, 103)에서 어떤 채널의 영상이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지를 사용자 단말장치(120)에 알릴 수 있다. 이는 UI 형태의 이미지로 화면에 구현될 수 있다. 가령 도 1에서와 같이 무대에 2개의 디스플레이장치(101, 103)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2개의 사용자 단말장치(120)는 제1 디스플레이장치(101)의 영상(예: 제1영상, 채널1)과 관련한 음성을 수신하고 있고, 나머지 2개의 사용자 단말장치(120)는 제2 디스플레이장치(103)의 영상(예: 제2영상, 채널2)과 관련한 음성을 수신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11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1, 103) 및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20)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영상처리장치(110)는 디스플레이장치(101, 103)와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20)간에 동기화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분명하며, 또한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20)로 디스플레이장치(101, 103)에 구현되는 영상, 가령 영화 등과 관련한 오디오 데이터가 전송되어 실행되어야 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또한, 도 1과 같이 영상처리장치(110)가 근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1, 103)를 제어해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신하는 언어를 선택하고 있고, 그에 상응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하는 것은 분명하다.
더 나아가, 영상처리장치(110)는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20)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이 연결되어 있는지 등의 음성 출력 환경을 점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장치(120)에 이어폰이나 헤드폰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연결하라는 지시를 통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장치(120)에서는 관련 메시지가 팝업될 수 있다. 가령, 영상처리장치(110)는 이어폰이나 헤드폰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만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해 줄 수도 있지만, 이는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20)는 사용자들이 개별적으로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나, 국내 S사의 갤*시기어와 같은 웨어러블장치, 태블릿PC, 랩탑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처리장치(11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장치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스피커나 인공지능(AI) 스피커를 소지한 경우, 이를 통해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연결하여 음성 청취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운영업체 등에서 별도로 제공하는 전용단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어폰이나 헤드폰 중에서도 영상처리장치(110)로부터 다이렉트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블루투스 헤드폰이나 이어폰 등은 스마트폰 등의 개입이 없이도 얼마든지 오디오 재생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장치(120)를 어느 하나의 장치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20)는 소위 조용한 극장 앱(Silent Theater App.)에서 도 1에서와 같이 화면상에서 원하는 채널 확인이 가능하며, 개인용 이어폰 등을 이용한 광장내 청취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광장내 자유로운 이동 후 관심있는 채널 선택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어폰을 벗으면 일상의 조용한 광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통신망(13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3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5G 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3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3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3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30)은 액세스포인트(AP)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통신사의 자원일 수 있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디스플레이장치(101, 103), 영상처리장치(110), 사용자 단말장치(12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디스플레이장치(101, 103), 영상처리장치(110), 사용자 단말장치(12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영상서비스제공장치(14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영상서비스제공장치(140)는 영화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업체나 방송국 등에서 운영하는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공원에서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 관리자 컴퓨터 등의 관리자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영상서비스제공장치(140)는 공원 등에서 영화제를 위해 설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1, 103)로, 더 정확하게는 그에 연결되는 영상처리장치(11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관하다. 다시 말해, 시스템 설계자가 모든 컨텐츠를 영상서비스제공장치(140)에서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도록 설계한 경우라면 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다만, 영상서비스제공장치(140)가 굳이 구성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영상처리장치(110) 내의 이이피롬(EEPROM) 등의 메모리에 컨텐츠를 기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의 구성 결과, 가령 실외 공연/영상의 개인화된 고품질 체험이 가능할 수 있으며, 맞춤형 타겟 광고를 위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도메인을 확대하여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통한 홍보, 멀티 채널을 통한 경쟁과 시민 참여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엔터테인먼트, 지자체 행사, 정책 홍보, 스포츠 경기장, 스키장/해수욕장, 역사/공항 등으로 서비스의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맞춤형 타겟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서울숲이나 야구장과 같이 특정 장소에 방문하는 시민들의 유형을 분석하여 집단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컨텐츠 라이브러리를 확보할 수 있다. 장소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차별화할 수 있으며(예: 30초, 2분, 5분, 20분), 장애우를 위한 장벽 없는(Barrier Free)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1, 103)는 도 1에 도시된 바 있는 영상처리장치(110)를 내부에 탑재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1에서는 개별 장치로 구성되어 연동 즉 서로 통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01, 103)가 도 1에서와 같은 영상처리장치(110)를 내부에 탑재하는 경우, 통신망(130)과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10)는 통신망(130)의 일부를 구성하는 액세스포인트(AP)와 같은 통신장치에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사 등에서 운영하는 액세스포인트라기보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운영 업체에서 별도로 제작한 통신장비일 수 있다. 소형의 셋탑박스 형태로 제작한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느냐, 아니면 무선통신 장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1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화제에서의 UX 시나리오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3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도 1의 스마트 극장 시스템(90)이 영화제(예: 서울숲 영화제 등)에서 운영되는 경우, 사용자가 영화제 관람비를 납입시 커피/아이스 음료 등을 제공하고, 동시에 앱 다운로드용 QR 코드(300)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QR 코드(300)는 티켓에 함께 제공할 수 있지만, 별도의 티켓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QR 코드(300)는 판매소에서만 찍을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의 과정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 등을 미소지한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사용자에게는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전용단말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의 경우에는 QR 코드(300)가 인쇄된 별도의 티켓을 제공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내부에 앱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를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가 사용자들이 소지하는 블루투스 스피커나, 태블릿 PC, 다시 말해서 QR 코드(300)를 인식할 수는 없지만, 음성 청취가 가능한 장치를 소지한 경우에는 이의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등의 동작을 통해 해당 장치가 도 1의 영상처리장치(110)에서 인식될 수 있도록 조처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 스마트폰과 이어폰으로 원하는 채널 1의 영상(혹은 제1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물론 영상 시작시 광고가 상영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른 영화로 이동한 경우에도 개인 스마트폰과 이어폰으로 원하는 채널 2의 영상(혹은 제2 영상) 감상이 가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다른 영화로 이동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특정 채널을 선택하여 이동하는 것이지만, 위치 이동을 통해 다른 영화로 이동하게 될 수 있으며, 이의 경우에는 수신되는 영상 채널의 음성이 자동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이는 가령, 도 1의 영상처리장치(110)가 통신 반경 내에서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20)가 감지되는 경우 이를 근거로 영상 채널의 음성을 전환하도록 요청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역에서의 UX 시나리오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도 4는 도 1의 스마트 극장 시스템(90)이 철도역사(예: 서울역 등)에서 운영될 수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는 역사에 도착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20)로 철도 티켓 등에 인쇄되어 있는 QR 코드(300)를 인식하여 앱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대합실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과 관련되는 음성을 사용자 단말장치(1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지만, 도 4에서는 복수의 채널 영상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영상을 사용자 단말장치(120)에서 함께 재생할 수도 있다. 가령, 개인 스마트폰과 이어폰으로 원하는 채널 6의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컨텐츠 종료 후에는 채널 맞춤형 광고를 시청하도록 할 수 있으며, 현재 채널에서 다른 컨텐츠를 이어서 감상할 수 있다. 물론 이의 과정에서 타 채널로 변경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도 3과 비교해 볼 때, 도 4는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 등을 통해 영상과 음성을 동시에 재생시킬 수 있고, 채널별 스폰서 광고를 노출시키며, 광고 컨텐츠 노출시간에 따른 광고비를 차별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3과 좀더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영상처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상처리장치(1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제어부(510), 스마트극장서비스처리부(520) 및 저장부(5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101, 103),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20) 및 통신망(130)을 경유하여 영상서비스제공장치(140)와 각각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변조/복조, 인코딩/디코딩, 먹싱/디먹싱, 스케일링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영상서비스제공장치(140)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화제와 같은 곳에서 활용되는 경우에는, 영상서비스제공장치(140)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내부에 저장한 후 이를 재생시킬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101, 103)와 통신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한다.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는 관리자에 의해 지정되어 제공될 수 있다. 가령, 영화제에서 영화를 상영하는 경우 지정된 영화가 각 디스플레이장치(101, 103)에서 상영될 수 있다. 또한, 전송되는 영상 컨텐츠는 오디오 데이터가 제거된 상태의 비디오 데이터만을 의미할 수 있지만, 오디오 데이터가 함께 제공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디스플레이장치(101, 103) 내에서 오디오 데이터가 음소거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20)로 디스플레이장치(101, 103)에 재생되는 영상에 관계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한다.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장치(120)가 디스플레이장치(101, 103)와 지정된 거리, 가령 통신 반경 내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1, 103)에서 재생되는 영상, 가령 영화를 보고 사용자 단말장치(120)에서 실행되는 앱 화면에서 특정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510)는 도 5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스마트극장서비스처리부(520) 및 저장부(530)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담당한다. 대표적으로 제어부(510)는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20)에서 영상의 시청을 위해 요청한 영상에 대한 영상 정보(혹은 영상 채널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120)의 식별정보와 매칭시켜 저장부(530)에 저장시킨 후 이를 서비스 제공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그룹의 사용자 단말장치(120)는 도 1의 제1 디스플레이장치(101)의 영상을 시청하고 있고, B 그룹의 사용자 단말장치(120)는 제2 디스플레이장치(103)의 영상을 시청하고 있다는 것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별로 사용자 단말장치(120)의 식별정보와 영상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시킬 수 있다. 검색 인자는 영상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분류된 정보를 근거로 해당 영상과 관련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서로 연계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과 사용자 단말장치(120)로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의 음성 출력이 동기화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하며, 이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스마트극장서비스처리부(520)는 제어부(510)의 제어하에 내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극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영상서비스제공장치(140)에서 스트리밍으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어떠한 방식으로 영상을 처리하여 주변의 디스플레이장치(101, 103)와 사용자 단말장치(120)로 전송하느냐가 문제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 내의 영상 컨텐츠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통상, 영상 컨텐츠는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영상 신호라 명명되기도 한다. 즉 영상 신호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구분된다. 따라서, 스마트극장서비스처리부(520)는 가령 멀티플렉서 등을 통해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분리될 때,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장치(101, 103)로 전송하고, 오디오 데이터는 주변의 다수의 사용자 단말장치(120)로 복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과정이 아니라 하더라도 스마트극장서비스처리부(520)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101, 103)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1, 103)에서 처리되도록 하고, 다만 이의 경우 오디오 데이터는 음소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20)로는 오디오 데이터를 복사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영상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 지연(time delay)에 관련되므로 시스템 설계자가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전반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동기화 동작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마트극장서비스처리부(520)는 영상 컨텐츠를 어떠한 방식으로 처리하느냐에 관련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극장서비스처리부(520)는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자 단말장치(120)와 통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20)에 이어폰이나 헤드폰이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해 줄 수도 있다. 물론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 후 사용자 단말장치(120)는 가령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앱을 통해 이어폰이나 헤드폰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여 미연결 상태인 경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사용자 단말장치(120)는 스피커를 탑재하여 이를 통해 외부로 음성을 출력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 중인 것으로 판단될 때에는, 물론 이는 다운로드받은 앱을 실행하는지에 따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어폰이나 헤드폰이 연결된 상태에서만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사용자 단말장치(120)를 제어하게 된다.
이외에도 스마트극장서비스처리부(520)는 광고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영상서비스제공장치(140)와 연계하여 광고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할 수 있지만, 영상서비스제공장치(140)에서 특정 광고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스마트극장서비스처리부(520)는 프로그램적으로 기설정된 곳에 광고를 삽입하여 제공할 수 있다. 물론 광고 영상은 디스플레이장치(101, 103)에서 TV 영상이나 영화의 상영중에 광고되거나 다른 영화나 채널로 이동할 때 광고될 수 있으며, 물론 이의 경우에도 광고 영상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장치(120)로 제공되어 출력된다.
저장부(530)는 제어부(5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정보나 데이터는 룩업테이블(LUT) 형태로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530)는 영상 정보와 해당 영상 정보의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20)의 식별정보를 매핑(mapping)하여 저장한 후 이를 근거로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장치(120)로 전송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매핑은 각각의 영상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장치(120)의 식별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며, 검색 인자(index)는 영상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의 제어부(51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CPU와 메모리는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 동작을 담당하고, 연산부는 2진 비트 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명령어해석부는 기계어의 명령어를 해석하여 어떠한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계된다. 이에 따라 제어회로는 영상처리장치(110)의 초기 구동시 또는 필요시 스마트극장서비스처리부(5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연산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상처리장치(110)는 공공장소(예: 공원, 철도역사 등)(97)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101, 103) 및 디스플레이장치(101, 103)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20)와 통신을 수행한다(S600).
또한, 영상처리장치(110)는 공공장소(97)의 정당 사용자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근거로 사용자 단말장치(120)로 시청 중인 영상의 오디오 즉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S610).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영상처리장치(11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1, 103: 디스플레이장치(혹은 스크린) 110: 영상처리장치
120: 사용자 단말장치 130: 통신망
140: 영상서비스제공장치 300: QR 코드
500: 통신 인터페이스부 510: 제어부
520: 스마트극장서비스처리부 530: 저장부

Claims (9)

  1.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공공장소의 정당 사용자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시청하는 영상의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공장소에서 발매하는 티켓상의 코드정보에 대한 인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정당 사용자를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이어폰 또는 헤드폰의 연결 상태를 더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이어폰 또는 상기 헤드폰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이어폰이나 상기 헤드폰을 연결하라는 지시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통지하여 메시지가 팝업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 또는 상기 헤드폰이 미연결 상태인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공장소를 방문하는 사용자들의 유형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른 광고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광고 영상의 음성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드정보가 인식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공공장소의 극장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실행시키는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공장소에서 복수의 영상이 동시에 재생될 때,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선택되는 영상의 채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상에 표시되는 영상에 동기화되어 음성이 출력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를 제어하는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선택되는 언어정보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8. 삭제
  9.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공공장소의 정당 사용자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시청하는 영상의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공장소에서 발매하는 티켓상의 코드정보에 대한 인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정당 사용자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이어폰 또는 헤드폰의 연결 상태를 더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이어폰 또는 상기 헤드폰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이어폰이나 상기 헤드폰을 연결하라는 지시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통지하여 메시지가 팝업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어폰 또는 상기 헤드폰이 미연결 상태인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공장소를 방문하는 사용자들의 유형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른 광고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광고 영상의 음성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00013578A 2020-02-05 2020-02-05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24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578A KR102424113B1 (ko) 2020-02-05 2020-02-05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578A KR102424113B1 (ko) 2020-02-05 2020-02-05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789A KR20210099789A (ko) 2021-08-13
KR102424113B1 true KR102424113B1 (ko) 2022-07-21

Family

ID=77313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578A KR102424113B1 (ko) 2020-02-05 2020-02-05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113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686A (ko) 2001-08-21 2001-09-28 허석진 야외극장용 스크린장치 겸용 무대장치
KR20070017456A (ko) * 2004-05-19 2007-02-1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KR20090028155A (ko) * 2007-09-14 2009-03-18 주식회사 카서 존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94264A (ko) * 2011-02-16 2012-08-2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
KR20130141038A (ko) 2012-06-15 2013-12-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노마드를 위한 개인형 자동차 극장 시스템
KR102007888B1 (ko) 2018-07-24 2019-08-06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스마트 극장 시스템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789A (ko) 2021-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5236B1 (en) Interaction of user devices and servers in an environment
US20150296247A1 (en) Interaction of user devices and video devices
US20160249096A1 (en) Methods and systems enabling access by portable wireless handheld devices to audio and other data associated with programming rendering on flat panel displays
AU20062795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message delivery
CN102867525B (zh) 一种多路音频处理方法、音频播放终端及音频接收装置
KR100955082B1 (ko) 레이어 화면을 이용하여 멀티화면이 구현된 표시장치를갖는 전자게시판.
US20150067726A1 (en) Interaction of user devices and servers in an environment
US20170092274A1 (en) Captioning system and/or method
US116835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dio description content
CN105898503A (zh) 移动终端的播放控制方法、装置和系统
WO2016104672A1 (ja) 情報配信システム、放音装置、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2424113B1 (ko)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1897202B1 (ko) 청각장애인용 영화 관람 시스템
US20120033825A1 (en) Captioned Audio and Content Delivery System with Localizer and Sound Enhancement
WO2014027382A1 (ja) 端末装置、表示装置、端末装置連動システム、端末装置連動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20150015233A (ko) 영상처리장치, 개인화서비스 제공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609755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의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023334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140304749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edia data
US10917451B1 (en)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selective dialogue presentation
US116016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dio and video within an acceptable delay tolerance
KR102484276B1 (ko) 시각 효과를 지원하는 공연 컨텐츠 제작 시스템
US11546673B2 (en) Automatic video augmentation
WO2023045687A1 (zh) 投屏方法、设备及系统
ES2695398A1 (es) Sistema de emisión de audio multilengu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