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264A -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264A
KR20120094264A KR1020110013648A KR20110013648A KR20120094264A KR 20120094264 A KR20120094264 A KR 20120094264A KR 1020110013648 A KR1020110013648 A KR 1020110013648A KR 20110013648 A KR20110013648 A KR 20110013648A KR 20120094264 A KR20120094264 A KR 20120094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information
portable device
user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환
심근호
윤태섭
김종근
조미화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3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4264A/ko
Publication of KR20120094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2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events or environment, e.g. weather or festiv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47Characters composed of bars, e.g. CMC-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를 통해 동시에 접속하여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벤트 안내 정보 및 이벤트의 결과 정보를 화면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부는 이벤트 안내 정보가 화면표시장치로 출력되는 동안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복수의 사용자의 이벤트 수행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사전에 설정된 당첨 기준과 일치하는 사용자를 선택한다. 통신부는 복수의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로부터 이벤트 수행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부로 전달하고, 선택된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로 이벤트 상품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영관에서 영화 상영 전 관객이 소지한 휴대용 기기와의 통신에 의해 관객이 광고와 관련된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 양방향 광고를 제공할 수 있으며,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advertisement us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고의 소비자가 휴대용 기기를 사용하여 광고 제공 서버에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양방향 광고를 실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개선된 화질과 음질을 제공하며, 인터랙티브(interactive) 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서비스 영역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는 영화 상영의 영역에서는 필름 영사 방식으로부터 변화된 디지털 파일 영사 방식으로, 광고의 영역에서는 인터랙티브 광고의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광고의 영역에서 디지털 시네마 광고는 전체 옥외광고 시장의 10%를 차지할 만큼 주요 영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런데 디지털 시네마 광고에 대한 노출 효과와 기억 효과는 타 매체를 이용한 광고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 반면, 상업적 메시지에 대한 거부감 등으로 인해 관객들로 하여금 부정적 반응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객 참여형 광고 방식을 영화 상영관에 도입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디지털 시네마 스크린 장면에서의 캐릭터와 관객 사이의 연출을 통한 광고기법 및 상영관에 설치된 모션센서를 사용한 인터랙티브 광고기법이 있다. 이러한 참여형 광고 방식은 관객들의 광고 회피를 방지하고 집중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나, 관련 장비를 상영관에 설치하기 위한 비용 부담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영관 내의 관객이 소지한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스크린을 통해 관객 참여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영관 내의 관객이 소지한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스크린을 통해 관객 참여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는, 복수의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를 통해 동시에 접속하여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벤트 안내 정보 및 상기 이벤트의 결과 정보를 화면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가 상기 화면표시장치로 출력되는 동안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이벤트 수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사전에 설정된 당첨 기준과 일치하는 사용자를 선택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로부터 상기 이벤트 수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선택된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로 이벤트 상품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구비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방법은, (a) 복수의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를 통해 동시에 접속하여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벤트 안내 정보를 화면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가 상기 화면표시장치로 출력되는 동안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이벤트 수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사전에 설정된 당첨 기준과 일치하는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이벤트의 결과 정보를 화면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된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로 이벤트 상품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상영관에서 영화 상영 전 관객이 소지한 휴대용 기기와의 통신에 의해 관객이 광고와 관련된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 양방향 광고를 제공할 수 있으며,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데이터 처리부 및 통신부가 구현된 극장 서버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이벤트에 참여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상영관 내의 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광고 이벤트 프레임 및 상영관 내 관객의 스마트폰을 통한 이벤트 수행 동작의 일 실시예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도면,
도 5는 상영관 내의 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광고 이벤트 프레임 및 상영관 내 관객의 스마트폰을 통한 이벤트 수행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가 스크린을 구비한 극장에 설치됨으로써 상영관 내의 관객들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이벤트에 참여하는 경우를 대표적인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나, 그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가 모이는 공공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는 상영관에서 하나의 영화가 상영되기 이전에 상영되는 광고 데이터와 함께 이벤트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관객들이 영화 상영 이전에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집중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영관 내의 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이벤트 소개 데이터나 이벤트 시작 데이터, 이벤트 수행 데이터와 이벤트 결과 데이터, 그리고 디지털 광고 영상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데이터 단위를 '버킷(bucket)'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킷을 포함하는 데이터 단위를 '프레임(frame)'이라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데이터 처리부(120) 및 통신부(130)를 구비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지털 영상 파일을 재생하여 스크린(200)에 투사하는 디지털 콘텐츠 프로젝터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통신부(130)는 극장 서버에 구현되어 상영관 내의 관객이 가진 휴대용 통신기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3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이때 스마트폰(300)을 소지한 관객들 중에서 극장 서버에 접속한 스마트폰(300)과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20)는 통신부(130)와 마찬가지로 극장 서버에 구현되며, 스크린(200)을 통해 출력될 데이터 및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할 데이터의 관리 및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분석 과정을 수행한다.
도 2는 데이터 처리부(120) 및 통신부(130)가 구현된 극장 서버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 매니저, 버킷 매니저, 이벤트 매니저 및 QR 매니저는 데이터 처리부(120)의 구성요소이며, 소켓 매니저는 통신부(130)의 구성요소이다.
프레임 매니저는 하나의 영화가 상영되기 이전에 적어도 1회 이상의 양방향 광고가 상영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버킷으로 구성된 광고 이벤트 프레임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광고 이벤트 프레임은 스마트폰(300)이 극장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QR 코드와 이벤트 참여 방법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이벤트 소개 버킷,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광고 영상으로 이루어진 광고 버킷, 관객들이 스마트폰(300)을 통해 극장 서버로 접속한 후 이벤트가 개시됨을 알리는 이벤트 개시 버킷, 현재 진행중인 이벤트의 수행 상태와 관객들의 이벤트 참여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이벤트 수행 버킷, 그리고 이벤트가 종료된 후 이벤트의 결과를 보여줄 이벤트 결과 버킷으로 구성된다.
버킷 매니저는 이벤트 파일, 디지털 광고 파일 및 상영될 디지털 영화 파일의 재생순서를 배치하고, 영화파일의 자막을 파싱한다. 또한 이벤트 매니저는 양방향 광고를 위한 이벤트 파일 및 이벤트에 대한 결과를 생성하며, QR 매니저는 극장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 및 관객들의 이벤트 참여 결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통신부(130)로서 구현된 소켓 매니저는 관객의 스마트폰(300)과 연결되어 이벤트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영관 내의 관객들이 스마트폰(300)을 사용하여 극장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300)에 자체적으로 구비된 QR 코드의 인식모듈 또는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개발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러한 수단을 사용하여 QR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극장 서버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웹페이지로 연결된다.
한편, 양방향 광고를 통해 제공되는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300)에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극장 서버와의 소켓 통신을 통해 이벤트에 참여할 수도 있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이벤트에 참여하도록 되어있으나 스마트폰(300)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다른 프로그램을 통해 QR 코드를 인식한 경우에는 극장 서버로 즉시 연결되지 않고,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모바일 웹페이지로 연결된다.
도 3은 이벤트에 참여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스마트폰(300)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QR 매니저, 통신 매니저, 이벤트 매니저 및 이벤트 히스토리 매니저로 구성된다. QR 매니저는 스크린(200)에 표시된 QR 코드를 스캐닝하고 분석 및 관리하며, 통신 매니저는 극장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벤트 매니저는 이벤트 문제 모듈과 이벤트 수행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이벤트 문제 모듈은 스마트폰(300)에 설치되지 않고, 도 2의 극장 서버의 이벤트 매니저에 구현될 수 있다. 즉, 이벤트에 참여하기 위한 문제는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으며, 극장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스마트폰(300)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이벤트 히스토리 매니저는 해당 스마트폰(300)을 소지한 관객이 기존에 참여했던 이벤트의 정보 및 참여한 이벤트의 결과를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100)가 상영관 내의 스크린(200) 및 관객이 소지한 스마트폰(300)을 통해 관객 참여형 광고를 제공하는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디스플레이부(110)는 관객이 소지한 스마트폰(300)을 통해 극장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접속 정보를 포함한 QR 코드를 스크린(200)을 통해 출력한다. QR 코드가 스크린(200)에 출력되는 시간은 사전에 설정될 수 있으며, 약 15초로 설정될 수 있다. 상영관 내의 관객들 중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스마트폰(300)을 소지한 관객은 QR 코드가 스크린(200)에 표시되는 동안 전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별도의 QR 코드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스크린(200)에 표시된 QR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극장 서버에 접속한다.
다만,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110)는 관객들이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만 스크린(200)을 통해 출력하고, 관객들은 안내 메시지가 스크린(200)에 표시되어 있는 동안 영화 티켓에 인쇄된 QR 코드를 스마트폰(300)으로 인식하여 극장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스마트폰(300)이 극장 서버에 성공적으로 접속하면 스마트폰(300)의 화면에는 이벤트의 개시 시간과 이벤트 수행 준비완료 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스크린(200)에 표시된 QR 코드를 인식하여 극장 서버에 접속한 경우에는 이벤트 참여를 위해 관객의 위치정보, 즉 상영관 내의 좌석번호를 입력하도록 한 후 이벤트의 개시 시간과 이벤트 수행 준비완료 화면이 표시된다. 그러나 영화 티켓에 인쇄된 QR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에는 극장 서버에 접속함과 함께 관객의 좌석번호가 극장 서버로 전송되기 때문에 별도로 입력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극장 서버로의 접속을 위한 QR 코드 또는 이벤트 안내 메시지의 출력 시간이 종료하면 이어서 광고 버킷을 데이터 처리부(120)로부터 입력받아 스크린(200)으로 출력하며, 광고 버킷에는 1개 이상의 광고가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모든 광고의 출력이 완료되면 이벤트의 개시를 알리는 메시지를 스크린(200)으로 출력하고, 통신부(130)는 극장 서버에 접속한 관객들의 스마트폰(300)으로 이벤트의 개시를 알리는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벤트 개시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300)은 관객이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정답을 입력하거나 스마트폰(300)을 흔들거나 스마트폰(300)의 화면을 터치하는 등의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되며, 관객은 제공되는 이벤트 문제를 보고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이벤트 문제는 데이터 처리부(120)의 이벤트 매니저에 의해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부(110)에 의해 스크린(200)에 표시될 수도 있고,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이벤트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매니저에 의해 생성되어 스마트폰(300)의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관객이 이벤트 문제에 따라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면, 스마트폰(300)에서는 그에 대응하는 이벤트 수행 신호가 발생하여 통신부(130)로 전송된다. 데이터 처리부(120)는 수신된 이벤트 수행 신호에 포함된 이벤트 수행 정보를 기초로 사전에 설정된 당첨 기준에 일치하는 관객을 선정하고, 선정된 관객의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할 이벤트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생성한다. 다만, 상품 정보는 QR 코드 외에 이미지 쿠폰 형태로 생성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벤트의 당첨 기준은 이벤트 문제의 정답과 일치하는 이벤트 수행 정보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벤트 문제에서 요구하는 동작과 일치하는 동작을 수행한 관객이 당첨 기준에 일치하는 관객으로 선정된다. 또한 사전에 설정된 숫자의 관객만이 상품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선착순의 선정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20)는 관객의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이벤트 수행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당첨 기준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 후, 이벤트 수행 정보가 당첨 기준과 일치하고 현재 당첨된 관객의 수가 사전에 설정된 상품의 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해당 관객을 당첨자 대기열에 추가한다. 여기서 당첨자 대기열은 큐(queue) 형태의 자료구조이다. 또한 이벤트 수행 정보와 당첨 기준이 일치하지 않거나 현재 당첨된 관객의 수가 상품의 수에 도달한 경우에는 해당 관객을 불합격자 대기열에 추가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처리부(120)는 당첨 관객을 선정하는 한편, 연결된 관객들의 이벤트 수행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수행 버킷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로 전송함으로써 스크린(200)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스크린(200)에 표시되는 이벤트 수행 정보는 상영관 내의 자리배치와 유사한 매트릭스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사전에 설정된 이벤트 수행 시간 동안 관객의 이벤트 참여가 종료된 후, 데이터 처리부(120)는 이벤트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결과 버킷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부(110)는 이벤트의 수행 결과를 스크린(200)으로 출력한다. 또한 통신부(130)는 생성된 이벤트 상품 정보의 QR 코드를 당첨자 대기열에 포함된 관객의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한다.
이벤트에 당첨된 관객의 스마트폰으로 상품 정보의 QR 코드가 모두 전송되면 한 번의 관객 참여형 광고의 이벤트가 종료되며, 디스플레이부(110)는 영화 상영 시각 이전까지 또 다른 관객 참여형 광고가 가능하면 이를 출력하고, 영화 상영 시각이 된 경우에는 디지털 영화 파일을 스크린(200)을 통해 출력하여 영화 상영을 개시한다.
도 4는 상영관 내의 스크린(200)을 통해 출력되는 광고 이벤트 프레임 및 상영관 내 관객의 스마트폰(300)을 통한 이벤트 수행 동작의 일 실시예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영관의 스크린(200)에는 이벤트 안내 버킷과 광고 버킷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며, 상영관 내의 관객들은 이때 QR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극장 서버에 접속한다. 광고 버킷이 모두 출력되면 이벤트 개시 버킷이 스크린(200)에 표시되고, 스마트폰(300)의 화면은 이벤트 수행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스마트폰(300)으로 이벤트 개시 신호가 전송되어 스마트폰(300)의 진동 등에 의해 이벤트가 개시되었음을 알린다.
이벤트가 개시되면 스크린(200)에는 이벤트 문제가 표시되고, 관객들이 스마트폰(300)을 사용하여 이벤트에 참가하면 이벤트 수행 상황이 스크린(200)에 표시된다. 관객들의 이벤트 수행이 완료되면 이벤트 결과 버킷이 스크린(200)을 통해 출력되며, 이벤트에 참가한 관객들의 스마트폰(300)으로는 이벤트 결과 정보가 전송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은 영화 상영 개시 여부에 따라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상영관 내의 스크린(200)을 통해 출력되는 광고 이벤트 프레임 및 상영관 내 관객의 스마트폰(300)을 통한 이벤트 수행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이벤트 진행 과정은 도 4와 대부분 일치하며,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벤트 문제가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매니저에 의해 생성되어 스마트폰(300)의 화면에 표시된다는 점에서 도 4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100)는 극장 서버에 구현되며, 상영관 내의 스크린(200) 및 상영관 내 관객의 스마트폰(300)을 통해 이벤트를 진행한다. 먼저 디스플레이부(110)는 극장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스크린(200)을 통해 출력하고(S1010), 스마트폰(300)은 스크린(200)에 표시된 QR 코드를 인식하여 극장 서버에 접속한다(S1015). 이때 극장 서버로의 접속은 스크린(200)에 표시된 QR 코드 대신 영화 티켓에 인쇄된 QR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스마트폰(300)의 접속이 완료되고 이벤트가 개시되면(S1020) 디스플레이부(110)는 데이터 처리부(120)에 의해 생성된 이벤트 문제를 스크린(200)을 통해 출력하고(S1025), 스마트폰(300)은 관객이 이벤트 문제에 따라 수행한 동작에 대응하는 이벤트 수행 정보를 통신부(130)로 전송한다(S1030).
데이터 처리부(120)는 수신된 이벤트 수행 정보를 기초로 당첨 기준에 일치하는 당첨 관객을 선정하며(S1035), 이때 당첨 여부는 사전에 설정된 상품의 개수에 따라 선착순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와 함께 데이터 처리부(120)는 당첨 관객에게 제공될 상품 정보의 QR 코드를 생성하고(S1040), 디스플레이부(110)는 관객들의 이벤트 수행 상황을 스크린(200)에 출력한다(S1045).
설정된 이벤트 수행 시간이 종료되면(S1050) 데이터 처리부(120)는 이벤트 결과 버킷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110)는 이벤트 결과를 스크린(200)을 통해 출력한다(S1055). 또한 통신부(130)는 생성된 상품 정보의 QR 코드를 당첨 관객의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한다(S106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데이터 처리부
130 - 통신부
200 - 스크린
300 - 스마트폰

Claims (16)

  1. 복수의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를 통해 동시에 접속하여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벤트 안내 정보 및 상기 이벤트의 결과 정보를 화면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가 상기 화면표시장치로 출력되는 동안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이벤트 수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사전에 설정된 당첨 기준과 일치하는 사용자를 선택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로부터 상기 이벤트 수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선택된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로 이벤트 상품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는 상기 통신망을 통한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와의 통신이 개시되면 상기 이벤트를 수행하기 위한 이벤트 문제를 상기 화면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이벤트 수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이벤트 수행 상황을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태의 이벤트 수행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벤트 수행 데이터를 상기 화면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사전에 설정된 당첨자 수에 따라 상기 당첨 기준과 일치하는 사용자를 선착순으로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이벤트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를 상기 선택된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로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로 상기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상기 휴대용 기기에 설치하기 위한 웹페이지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표시장치는 영화 상영관 내에 설치된 스크린이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안내 버킷, 상기 영화 상영관에서 영화 상영 이전에 상영되는 광고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고 버킷, 상기 이벤트의 개시를 알리는 이벤트 개시 버킷, 상기 이벤트의 수행을 위한 이벤트 문제를 포함하는 이벤트 문제 버킷, 상기 사용자들의 이벤트 수행 상황을 알리는 이벤트 수행 버킷 및 상기 이벤트의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이벤트 결과 버킷을 포함하는 이벤트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벤트 프레임에 포함된 버킷들을 사전에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스크린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9. (a) 복수의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를 통해 동시에 접속하여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벤트 안내 정보를 화면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가 상기 화면표시장치로 출력되는 동안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이벤트 수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사전에 설정된 당첨 기준과 일치하는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이벤트의 결과 정보를 화면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된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로 이벤트 상품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고 제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는 상기 통신망을 통한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고 제공방법.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와의 통신이 개시되면 상기 이벤트를 수행하기 위한 이벤트 문제를 상기 화면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고 제공방법.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이벤트 수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이벤트 수행 상황을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태의 이벤트 수행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화면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고 제공방법.
  13.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사전에 설정된 당첨자 수에 따라 상기 당첨 기준과 일치하는 사용자를 선착순으로 결정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이벤트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선택된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고 제공방법.
  14.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로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고 제공방법.
  15.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로 상기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상기 휴대용 기기에 설치하기 위한 웹페이지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고 제공방법.
  16.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기재된 양방향 광고 제공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10013648A 2011-02-16 2011-02-16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 KR20120094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648A KR20120094264A (ko) 2011-02-16 2011-02-16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648A KR20120094264A (ko) 2011-02-16 2011-02-16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264A true KR20120094264A (ko) 2012-08-24

Family

ID=46885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648A KR20120094264A (ko) 2011-02-16 2011-02-16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42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889A (ko) * 2016-09-23 2018-04-02 모테가 이노베이티브 인크 전자 다트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KR20210099789A (ko) * 2020-02-05 2021-08-13 이근호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889A (ko) * 2016-09-23 2018-04-02 모테가 이노베이티브 인크 전자 다트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KR20210099789A (ko) * 2020-02-05 2021-08-13 이근호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3269B2 (ja) コンテンツ視聴確認装置及びその方法
CN102308313B (zh) 用户产生的定向广告
WO2016202116A1 (zh) 信息处理方法、客户端、服务器和计算机存储介质
US87890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interactive dynamic movies
JP2019511135A (ja) ビデオ再生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KR101991188B1 (ko) 홍보 정보의 처리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매체
CN106717008A (zh) 用于创建具有嵌入式用户内容的视频广告的方法和系统
CN105847433A (zh) 基于虚拟影院的视频播放方法、装置及系统
JP2008533608A (ja) グループ応答イベントのホスティング方法及び装置
CN105933790A (zh) 基于虚拟影院的视频播放方法、设备及系统
CN109729367A (zh) 提供直播媒体内容信息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120094264A (ko)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
KR20200122040A (ko) 스마트폰과 디지털 사이니지를 연동한 지능형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9640119B (zh) 用于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US20170249654A1 (en) Information apparatus, server, method of posting advertisements, method of providing special bonuse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WO2017165253A1 (en) Modular communications
CN106157123A (zh) 一种标记在线选座的方法及装置
KR20140016714A (ko) 종교 생방송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5187934A (zh) 一种电视互动系统的终端平台
JP7485509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端末
JP7167629B2 (ja) ガイドシステム
JP7026900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KR102476115B1 (ko) 세컨드 스크린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콘텐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25090A (ko) 마이폴더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방법
CN111434119B (zh) 内容提供服务器、内容提供方法及系统、内容数据播放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