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742B1 -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742B1
KR102423742B1 KR1020200119697A KR20200119697A KR102423742B1 KR 102423742 B1 KR102423742 B1 KR 102423742B1 KR 1020200119697 A KR1020200119697 A KR 1020200119697A KR 20200119697 A KR20200119697 A KR 20200119697A KR 102423742 B1 KR102423742 B1 KR 102423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arging
unit
battery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7126A (ko
Inventor
조영진
이명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콤
Priority to KR1020200119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742B1/ko
Publication of KR20220037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8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non-human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1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필라멘트를 예열하거나 또는 엑스선을 조사하는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조작부와, 충전이 수행되는 동안에 조작 신호가 생성되면 배터리 충전이 중단되도록 중단 신호를 생성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충전 코드가 연결된 상태에서 충전 코드를 분리하지 않고 엑스레이 촬영을 수행하여도 배터리의 안전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Portable X-ray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의 배터리 충전 중 엑스레이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자동으로 배터리 충전을 중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배터리 충전 중 엑스레이 촬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 폭발이나 고장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엑스레이(X-ray) 촬영 장치는 오늘날 의료 분야에서 인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중요한 수단으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엑스레이는 특정 파장대와 주파수대를 갖는 단파장 전자기파를 총칭하는 것으로, 엑스레이 촬영은 엑스레이가 지닌 높은 투과력을 이용하여 촬영대상의 내부를 투영 표시하는 방사선사진법(radiography)을 일컫는다.
알려진 바와 같이 엑스레이는 물체를 투과하면서 광전효과(photoelectric effect), 콤프턴산란(compton scattering) 등 물체의 재질, 밀도, 두께에 따른 감쇠 현상을 수반한다. 따라서 엑스레이 촬영은 대상물을 통과하는 과정 중에 누적된 엑스레이의 감쇠량을 근거로 대상물의 내부에 대한 투영 영상을 평면의 그레이스케일(gray scale)로 표시하고, 이를 위해 별도의 엑스레이 시스템이 사용된다.
한편, 이러한 엑스레이 촬영 장치는 일반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고정 거치형 이외에도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는 동물에 대한 엑스레이 이미지 촬영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의료용 또는 산업용으로 그 활용 범위가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는 통상적으로 휴대성을 위해 배터리가 내장되고 미사용시 충전 코드를 연결하여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엑스레이 촬영시에는 내장된 배터리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충전 코드를 분리 후 촬영해야 한다.
그러나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의 배터리 충전 중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충전 중인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엑스레이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를 일정한 장소에서 오랜 시간 사용하며 엑스레이 촬영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안에는 엑스레이 촬영을 중단하여야 하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후에 다시 엑스레이 촬영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충전 코드를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에 접속하고 배터리 충전이 완료된 후 다시 충전 코드를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에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 중에는 엑스레이 촬영을 중단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5515호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휴대영 엑스레이 촬영 장치의 배터리 충전 중 엑스레이 촬영을 수행하면 충전 중 배터리의 충전을 자동으로 중단하여 충전 중 배터리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배터리의 충전 중 엑스레이 촬영으로 인하여 배터리 충전이 일시 중단되는 경우 엑스레이 촬영 직후 즉시 배터리의 충전을 재개하지 않고 소정의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 배터리의 충전을 재개하여, 배터리 및 배터리의 충전 회로가 안정되기 전에 배터리의 충전이 재개되어 배터리 및 배터리의 충전 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는, 내장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엑스레이 촬영을 수행하는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충전 중지하는 충전부와, 사용자 조작에 의해, 필라멘트를 예열하거나 또는 엑스선을 조사하는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조작부, 그리고 배터리의 충전 중 조작 신호가 생성되는지 판단하며, 조작 신호의 생성 여부에 따라 충전부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신호를 생성하나 충전을 중단하기 위한 중단 신호를 생성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조작부는 필라멘트를 가열하여 예열하도록 가열 신호를 생성하는 가열 신호 생성부; 및
엑스선을 조사하도록 조사 신호를 생성하는 조사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는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 조작되는 제1 버튼과, 제1 버튼이 가압 조작된 상태에서 추가 가압력이 발생하면 함께 가압 조작되도록 제1 버튼 하단부를 둘러싼 상태로 배치되는 제2 버튼을 더 포함하고, 가열 신호 생성부는 제1 버튼이 가압 조작되면 가열 신호를 생성하고, 조사 신호 생성부는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함께 가압 조작되면 조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제어부는 배터리의 충전 중 가열 신호가 생성되는지 판단하며, 가열 신호가 생성되면 중단 신호를 생성하고 가열 신호 또는 조사 신호의 생성이 종료된 이후에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충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제어부는 가열 신호 또는 조사 신호의 생성이 종료된 시점에서 소정의 지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가열 신호가 추가 생성되지 판단하며, 가열 신호가 추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충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엑스레이 촬영 장치는 가열 신호가 생성되면 필라멘트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조사 신호가 생성되면 엑스선을 조사하는 조사부와, 필라멘트의 예열이 완료되면 예열 완료 신호를 생성하는 예열 완료 신호 생성부, 그리고 예열 완료 신호가 생성되면 필라멘트의 예열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알림부는 조작부에 배치되며 예열 완료 신호가 생성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전부에는 중단 신호에 의해 배터리의 충전을 중단하는 릴레이 소자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이 수행되는 동안에 엑스레이 촬영을 위해 조작 신호를 생성하면 배터리 충전이 중단되도록 중단 신호를 생성하여, 충전 코드가 연결된 상태로 엑스레이 촬영을 수행하여도 자동으로 충전이 중단되도록 함으로써, 충전 코드가 연결된 상태에서 충전 코드를 분리하지 않고 엑스레이 촬영을 수행하여도 배터리의 안전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라멘트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신호가 생성되면 중단 신호를 생성하고 가열 신호 생성이 종료된 이후에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충전 신호를 생성하되, 가열 신호 생성이 종료된 시점에서 충전 신호를 바로 생성하지 않고 가열 신호의 생성이 종료되는 시점 이후 소정의 지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가열 신호가 추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에 충전 신호를 생성하여, 배터리 및 배터리의 충전 회로가 안정되기 전에 충전이 재개되어 배터리 및 배터리의 충전 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에서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가압 조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 충전 제어부, 충전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충전 및 충전 중단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와 촬영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열 완료 신호 생성부와 알림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이하, '엑스레이 장치'라 한다.)는 휴대성을 위해 배터리(70)가 내장되고 배터리(70)를 충전하는 충전부(90)가 구비되는 엑스레이 장치로, 충전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로 엑스레이 촬영은 수행하면 자동으로 충전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장치는 조작부(10), 촬영부(30), 충전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작부(1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조작 신호를 생성한다. 촬영부(30)는 조작부(10)에서 조작 신호를 생성하면 필라멘트를 예열하거나 또는 엑스선을 조사하여 엑스레이 촬영이 수행되도록 한다. 충전 제어부(50)는 엑스레이 장치에 충전 코드를 연결한 상태에서 배터리(90)가 충전되도록 충전부(70)를 제어하되 사용자가 엑스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엑스레이 촬영을 수행할 때에는 배터리(90)의 충전이 중단되도록 충전부(7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충전 제어부(50)는 엑스레이 장치에 충전 코드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충전부(70)가 배터리(90)를 충전하도록 하는 충전 신호를 생성하되, 조작부(10)에서 조작 신호가 생성되면 충전부(70)가 배터리(90) 충전을 중단하도록 하는 중단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전 제어부(50)는 충전이 수행되는 동안 조작부(10)가 조작 신호를 생성하면 배터리(90) 충전이 중단되도록 중단 신호를 생성하여 엑스레이 장치에 충전 코드가 연결된 상태로 엑스레이 촬영을 수행하여도 자동으로 충전을 중단함으로써, 충전 코드가 연결된 상태에서 충전 코드를 분리하지 않고 엑스레이 촬영을 수행하여도 배터리(90)의 안전성이 보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에서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가압 조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 충전 제어부, 충전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작부(10)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10)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조작부(10)를 손에 파지한 상태로 가압 조작하도록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10)의 상단에는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 조작되는 제1 버튼(11)이 배치되고, 제1 버튼(11) 하단부를 둘러싼 형태로 제2 버튼(1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버튼(12) 역시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 조작 가능한데, 제2 버튼(12)을 가압 조작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도 3의 (a)와 같이 제1 버튼(11)을 가압 조작한 상태에서 도 3의 (b)와 같이 추가 가압력을 발생시켜 제2 버튼(12)을 가압할 수 있다. 즉, 제1 버튼(11)을 가압 조작한 상태로 가압력을 증가시키면 제2 버튼(12)이 제1 버튼(11)과 함께 가압 조작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조작부(10)에는 제1 버튼(11)이 가압 조작되면 필라멘트를 가열하여 예열하도록 가열 신호를 생성하는 가열 신호 생성부(13)와, 제2 버튼(12)의 가압 조작을 감지하여 제2 버튼(12)이 가압 조작되면 엑스선을 조사하도록 조사 신호를 생성하는 조사 신호 생성부(14)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조사 신호 생성부(14)는 제1 버튼(11)과 제2 버튼(12)이 동시에 가압 조작된 경우에 엑스선을 조사하도록 조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엑스선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필라멘트의 예열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1 버튼(11)이 가압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버튼(12)을 가압 조작하여도 엑스선이 조사될 수 없다. 따라서 제1 버튼(11)이 가압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버튼(12)이 가압 조작되었다고 하여 조사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무의미한 작동을 초래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조사 신호 생성부(14)는 제1 버튼(11)과 제2 버튼(12)이 동시에 가압 조작된 경우에만 조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버튼(11) 및 제2 버튼(12)의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사용자가 제1 버튼(11)의 가압 없이 제2 버튼(12)을 가압하는 것은 상당히 불편한 조작이므로 제1 버튼(11)의 가압 없이 제2 버튼(12)만 가압된 상태는 사용자가 의도한 조작이 아닌 외력에 의한 조작으로 판단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조사 신호 생성부(14)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한 조사 신호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제1 버튼(11)과 제2 버튼(12)이 동시에 가압 조작된 경우에 조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충전 제어부(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10)에서 조작 신호(가열 신호 또는 조사 신호)를 생성하면 충전부(70)가 배터리(90) 충전을 중단하도록 하는 중단 신호를 생성하는데, 구체적으로 충전 제어부(50)는 가열 신호가 생성되면 중단 신호를 생성하고, 가열 신호 또는 조사 신호의 생성이 종료된 이후에 배터리(90)가 충전되도록 충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충전부(70)에는 중단 신호에 의해 배터리(90)의 충전을 중단하고 충전 신호에 의해 배터리(90)의 충전 중단을 해제하는 릴레이 소자(71)가 구비될 수 있다. 릴레이 소자(71)는 충전 제어부(50)로부터 중단 신호가 생성되면 배터리(90)의 충전을 중단하고 충전 제어부(50)로부터 충전 신호가 생성되면 배터리(90)의 충전 중단을 해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충전 및 충전 중단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부(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 중에 가열 신호가 생성되면 중단 신호를 생성하여 릴레이 소자(71)에 의해 배터리(90) 충전이 중단되도록 하고, 가열 신호 또는 조사 신호의 생성이 종료되면 충전 신호를 생성하여 릴레이 소자(71)의 중단이 해제되도록 하여 배터리(90)의 충전을 재개할 수 있다.
하지만, 필라멘트의 가열 또는 엑스선 조사 과정에서 불안정해진 상태의 배터리(90) 및 배터리의 충전 회로가 안정되기 전에 충전이 재개되는 경우 배터리(90) 및 배터리의 충전 회로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부(50)는 엑스레이 촬영 직후 즉시 충전을 재개하지 않고 소정의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 배터리의 충전을 재개하여 배터리 및 배터리의 충전 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과정에서 배터리(90)가 충전되거나 충전이 중단되는 시점을 정리해 보면, 엑스레이 장치에 충전 코드가 연결되면 릴레이 소자(71)의 충전 중단이 해제되어 배터리(90)가 충전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엑스레이 촬영을 준비하기 위해 제1 버튼(11)을 가압 조작한 시점(T0)에서부터 배터리(90) 충전이 중단되는데, 이러한 충전 상태는 사용자가 엑스선 조사를 위해 제2 버튼(12)을 추가로 가압 조작한 시점(T1)에서도 유지된다. 또한, 사용자가 제1 버튼(11) 및 제2 버튼(12)의 가압 조작을 해제하여 엑스레이 촬영을 종료한 시점(T2)에서도 여전히 배터리(90)의 충전은 중단된 상태이며, 제1 버튼(11) 및 제2 버튼(12)의 가압 조작을 해제한 후 소정의 지연 시간이 경과한 시점(T3)에서부터 배터리(90)의 충전 중단이 해제되어 충전이 재개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와 촬영부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열 완료 신호 생성부와 알림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버튼(11)을 가압하여 가열 신호 생성부(13)에서 가열 신호를 생성하면 촬영부(30)는 필라멘트를 가열하여 예열하며, 필라멘트 예열이 충분하게 진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버튼(12)을 가압하여 조사 신호 생성부(14)에서 조사 신호를 생성하면 촬영부(30)는 엑스선을 조사하여 엑스레이 촬영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30)는 가열 신호 생성부(13)에서 가열 신호가 생성되면 필라멘트를 가열하는 가열부(31)와, 조사 신호 생성부(14)에서 조사 신호가 생성되면 엑스선을 조사하는 조사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부(30)는 엑스레이 촬영을 수행하기에 충분할 만큼의 필라멘트 예열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서, 필라멘트의 예열이 완료되면 예열 완료 신호를 생성하는 예열 완료 신호 생성부(33)와, 예열 완료 신호가 생성되면 필라멘트의 예열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열 완료 신호 생성부(33)는 필라멘트 가열 시작 후 기저장된 가열 시간이 경과하면 예열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알림부(34)의 알림 수단은 알림음과 같은 청각적 수단, 조명 또는 문자 출력을 통한 시각적 수단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알림부(34)가 알림음과 같은 청각적 수단만을 통해 필라멘트의 예열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경우 주변의 소음(예를 들면 동물의 울음 소리)에 의해 사용자가 알림음을 미처 듣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알림부(34)가 조명 또는 문자 출력과 같은 시각적 수단만을 통해 필라멘트의 예열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 경우 필라멘트의 예열 중에 사용자가 조명 또는 문자 출력이 이루어지는 부분만을 지속적으로 주시해야 하므로 필라멘트의 예열이 이루어지는 동안 아픈 동물 또는 환자를 주시할 수 없으며, 또한 다른 의료 행위를 수행하거나 지시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알림부(34)는 조작부(10)에 배치되며 예열 완료 신호가 생성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진동부(343)는 사용자가 필라멘트 예열을 위해 제1 버튼(11)을 가압 조작시 파지해야 하는 조작부(10)에 배치되어 필라멘트의 예열이 완료되면 조작부(10)에 진동을 발생시키므로, 사용자는 파지한 조작부(10)를 통해 진동을 감지함으로써 엑스레이 촬영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부(34)에는 예열 완료 신호가 생성되면 알림음을 출력하여 예열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소리 출력부(341)와, 예열 완료 신호가 생성되면 빛을 방출하여 예열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LED부(342), 그리고 상술한 진동부(343)를 동시에 구비하여, 필라멘트의 예열이 완료되면 알림음 출력과, 빛 방출과, 진동이 동시에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알림부(34)는 사용자에게 엑스레이 촬영이 준비되었음을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수단을 동시에 사용하여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필라멘트의 예열이 완료되었음을 더욱 확실하게 알 수 있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리 출력부(341)와 LED부(342) 역시 조작부(10)에 배치되어 사용자 주변에서 알림음 출력과 빛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LED부(342)는 제2 버튼(12)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조작부(10)를 파지한 상태에서도 방출되는 빛을 확인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제2 버튼(12)에서 빛이 방출되므로 제2 버튼(12)의 가압 조작을 통한 엑스레이 촬영이 준비되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조작부
11: 제1 버튼
12: 제2 버튼
13: 가열 신호 생성부
14: 조사 신호 생성부
30: 촬영부
31: 가열부
32: 조사부
33: 예열 완료 신호 생성부
34: 알림부
341: 소리 출력부
342: LED부
343: 진동부
50: 충전 제어부
70: 충전부
71: 릴레이 소자
90: 배터리

Claims (8)

  1. 내장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엑스레이 촬영을 수행하는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충전 중지하는 충전부;
    사용자 조작에 의해, 필라멘트를 예열하거나 또는 엑스선을 조사하는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조작부; 및
    배터리의 충전 중 조작 신호가 생성되는지 판단하며, 조작 신호의 생성 여부에 따라 상기 충전부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신호를 생성하거나 충전을 중단하기 위한 중단 신호를 생성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필라멘트를 가열하여 예열하도록 가열 신호를 생성하는 가열 신호 생성부와, 상기 엑스선을 조사하도록 조사 신호를 생성하는 조사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제어부는 배터리의 충전 중 상기 가열 신호가 생성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가열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중단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조사 신호의 생성이 종료되어 엑스레이 촬영이 종료되면, 엑스레이 촬영이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지연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상기 충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 조작되는 제1 버튼; 및
    상기 제1 버튼이 가압 조작된 상태에서 추가 가압력이 발생하면 함께 가압 조작되도록 상기 제1 버튼 하단부를 둘러싼 상태로 배치되는 제2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버튼이 가압 조작되면 상기 가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사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함께 가압 조작되면 상기 조사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가열 신호의 생성이 종료된 시점에서 소정의 지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가열 신호가 추가 생성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가열 신호가 추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충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레이 촬영 장치는
    상기 가열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필라멘트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조사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엑스선을 조사하는 조사부;
    상기 필라멘트의 예열이 완료되면 예열 완료 신호를 생성하는 예열 완료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예열 완료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필라멘트의 예열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조작부에 배치되며 상기 예열 완료 신호가 생성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에는 상기 중단 신호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중단하는 릴레이 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
KR1020200119697A 2020-09-17 2020-09-17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 KR102423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697A KR102423742B1 (ko) 2020-09-17 2020-09-17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697A KR102423742B1 (ko) 2020-09-17 2020-09-17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126A KR20220037126A (ko) 2022-03-24
KR102423742B1 true KR102423742B1 (ko) 2022-07-22

Family

ID=80935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697A KR102423742B1 (ko) 2020-09-17 2020-09-17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7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2132A (ja) 2007-04-27 2008-11-13 Toshiba Corp X線診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23275B1 (en) * 1997-12-11 2005-03-16 General Electric Company X-ray handswitch with integral indicator means
KR101780478B1 (ko) * 2013-10-25 2017-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76225B1 (ko) 2016-05-04 2023-09-08 주식회사 바텍 안전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KR102272055B1 (ko) * 2017-07-03 2021-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2132A (ja) 2007-04-27 2008-11-13 Toshiba Corp X線診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126A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9108B2 (en) Method and device for capturing and digitally storing images of a wound, fistula or stoma site
US10172586B2 (en) Mobile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WO2008120293A1 (ja) X線撮影装置
JP6618304B2 (ja) 乳房撮影装置
KR102576225B1 (ko) 안전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KR102423742B1 (ko)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
KR101211617B1 (ko) 엑스선 차폐구조를 구비한 휴대용 엑스선 장치
JP2019013672A (ja) 放射線撮影装置およ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CN102198006B (zh) 放射线成像系统、控制台和放射线成像程序
KR200471843Y1 (ko) 엑스레이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시스템
US10772598B2 (en) Radiation control device
US20150105649A1 (en) Subject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JPS6251623B2 (ko)
KR101839394B1 (ko)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용 레이저 지시장치
JP2017012448A (ja) 乳房撮影装置
JP5570351B2 (ja) コンソール、入力端末、および、x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18139722A (ja) 量子治療器
JP2008272132A (ja) X線診断装置
KR102423743B1 (ko) 엑스레이 장치
CN219536116U (zh) 一种通讯设备
KR20160031741A (ko) 착용식 엑스선 촬영장치 및 그 사용방법
JP6883707B2 (ja) X線管装置
JP2017012449A (ja) 乳房撮影装置
KR101754785B1 (ko) 엑스레이 촬영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
JP2017012447A (ja) 乳房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