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735B1 - 정리용 홀더 - Google Patents

정리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735B1
KR102423735B1 KR1020220025410A KR20220025410A KR102423735B1 KR 102423735 B1 KR102423735 B1 KR 102423735B1 KR 1020220025410 A KR1020220025410 A KR 1020220025410A KR 20220025410 A KR20220025410 A KR 20220025410A KR 102423735 B1 KR102423735 B1 KR 102423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holder
items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젠코리아
이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젠코리아, 이재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젠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25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735B1/ko
Priority to JP2023535288A priority patent/JP2024514734A/ja
Priority to PCT/KR2023/001341 priority patent/WO2023163396A1/ko
Priority to CN202380009322.XA priority patent/CN116963967A/zh
Priority to TW112106095A priority patent/TWI827470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7/00Kinds or types of packag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67/02Clips or clamps for holding articles together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1/00External frames or supports adapted to be assembled around, or applied to,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rod-shaped articles, e.g.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heet Holder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리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 타이, 일회용 봉지, 빨대 등의 피정리물을 쉽고 빠르게 자동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피정리물에 의해 가압될 시 슬라이딩 되면서 피정리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방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도어를 형성함으로써, 피정리물의 개수에 상관 없이 다양한 개수의 피정리물을 선택적으로 용이하고 간편하게 정리할 수 있고, 정리된 피정리물을 도어 방향으로 가압하여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면서도 피정리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추가로 보충할 수 있고, 고정된 피정리물을 인출할 시 남아있는 피정리물이 의도치 않게 인출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리용 홀더는, 내부에 피정리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피정리물을 수용공간에 인입 또는 인출시키기 위한 출입구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며, 상기 피정리물에 의해 가압될 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를 통과하여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피정리물을 상기 개폐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홀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리용 홀더{HOLDER FOR ORGANIZING}
본 발명은 케이블 타이, 일회용 봉지, 빨대 등의 피정리물을 쉽고 빠르게 자동으로 정리할 수 있는 정리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작업현장이나 가정, 사무실 등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피정리물을 한곳에 모아서 정리정돈 할 수 있고, 특히, 피정리물을 정리용 홀더에 원터치 방식으로 밀어서 넣어 홀딩 및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휴대를 용이하게 하여 작업현장에서는 케이블 타이를 작업에 필요한 양만큼 빠르게 고정시켜서 휴대함은 물론이고, 작업에 사용됨으로 인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케이블 타이를 휴대상태에서도 쉽게 보충할 수 있게 하여 작업시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줌으로써, 그 동안 불편했던 케이블 타이의 인입 방법을 해소하여 사용자의 스트레스와 번거로움을 줄이고,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정리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타이는 사이즈에 따라 폭과 길이가 다르고 종류 또한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보편적으로는 구조가 간단하고 체결 작업이 용이하도록 꼬리부가 살짝 휘어진 볼헤드 타입의 케이블 타이(도6 참고)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케이블 타이는 작업현장이나 가정 또는 사무실, 공장 등 다양한 장소에서 각종 산업용 장비의 배선 및 전기 또는 전자장비에 수반되는 케이블을 깔끔하게 정리하여 묶거나 고정할 때 사용한다.
그리고, 케이블 타이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다양한 피고정물을 정리하기 위해 서로 결속하거나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등 다양한 공간에서 다양한 목적에 맞게 사용하고 있다.
케이블 타이는 일반적으로 상품 출하시의 비닐 포장 상태를 개방하여 그 상태에서 필요한 만큼 꺼내서 사용하는데 이런 경우 실수로 개방한 것을 놓쳐서 바닥에 쏟아지는 난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작업현장의 경우 공구함이나 공구주머니에 넣어 놓고 사용하다가 쏟아져서 다른 공구들과 뒤섞여서 작업에 불편을 준다.
또한, 볼헤드 타입의 케이블 타이 및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케이블 타이는 아래 꼬리 부분이 케이블 타이의 헤드 부분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휘어져 있는 바, 사용한 후 남은 케이블 타이를 다시 포장 비닐에 넣을 경우 꼬리 부분이 포장 비닐의 입구측에 걸리기 때문에 한 번에 많은 양의 케이블 타이를 넣을 수 없고, 소량씩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려 사용하는 생활 아이디어로는 고무줄이나
한 개의 케이블타이로 다량의 케이블타이를 묶어서 보관하거나 작업현장에서 휴대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생활 아이디어는 작업현장에서 케이블타이를 사용하면서 끊어지거나 점진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조여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485377호, 명칭 : 휴대용 케이블 타이 고정구 및 등록특허 제10-2288861호, 명칭 : 케이블 타이 휴대용 홀더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들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케이블 타이의 꼬리 부분이 휘어져 있는 점을 감안하면 케이블 타이를 인입할 때 고정구나 홀더 본체에 걸리는 이유로 인해 한 번에 필요한 양만큼 인입 하기가 어렵고, 특히, 작업에 사용하면서 줄어드는 케이블 타이를 보충할 할 때 또한 필요한 보충량을 한 번에 보충하지 못하고 남아 있는 케이블 타이 사이 사이에 낱개로 꽂아 넣어야 한다. 이로 인해 작업 현장에서 사용 중에는 부족해진 케이블 타이를 보충하기가 거의 불가능하고, 보충한다고 하더라도 케이블 타이를 낱개로 1~2개씩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5377호 등록특허 제10-228886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케이블 타이, 일회용 봉지, 빨대 등의 피정리물을 쉽고 빠르게 자동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피정리물에 의해 가압될 시 슬라이딩 되면서 피정리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방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도어를 형성함으로써, 피정리물의 개수에 상관 없이 다양한 개수의 피정리물을 선택적으로 용이하고 간편하게 정리할 수 있고, 정리된 피정리물을 도어 방향으로 가압하여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면서도 피정리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추가로 보충할 수 있고, 고정된 피정리물을 인출할 시 남아있는 피정리물이 의도치 않게 인출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리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리용 홀더는, 내부에 피정리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피정리물을 수용공간에 인입 또는 인출시키기 위한 출입구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며, 상기 피정리물에 의해 가압될 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를 통과하여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피정리물을 상기 개폐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홀더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 중 출입구의 일측과 타측에는 레일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레일부에 각각 탑재된 상태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출입구를 개폐시킨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서로 마주하는 면이 접촉되고, 상기 레일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개폐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개폐부가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시 상기 개폐부를 원위치 시키는 복귀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피정리물에 가압되어 상기 개폐부가 출입구의 개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부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본체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바; 상기 본체부 및 가압바들에 공동으로 관통설치되어, 상기 가압바들이 회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회동축;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가압바를 탄성적으로 상기 출입구 방향으로 밀어,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한 피정리물에 대한 상기 가압바의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력 발생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가압바의 일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한 피정리물에 접촉되는 마찰부; 및 상기 가압바를 연결하며 상기 개폐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가압바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회동제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리용 홀더는, 케이블 타이, 일회용 봉지, 빨대 등의 피정리물을 작업현장에서는 작업에 필요한 양 만큼 쉽고 빠르게 고정시켜 휴대할 수 있으며, 피정리물의 개수에 상관 없이 다양한 개수의 피정리물을 선택적으로 용이하고 간편하게 정리 및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정리된 피정리물을 가압하여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면서도 보충하고자 하는 새로운 피정리물을 원터치로 밀어 넣어 빠르게 보충함으로써, 보충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주면서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정된 피정리물을 인출할 시 남아있는 피정리물이 의도치 않게 인출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리용 홀더를 도시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리용 홀더를 도시한 상면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리용 홀더를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리용 홀더에 적용된 본체부와, 레일부와, 개폐부 및 복귀부를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리용 홀더를 통해 케이블 타이를 정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리용 홀더에 케이블 타이가 정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리용 홀더를 도시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리용 홀더를 도시한 상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리용 홀더를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리용 홀더에 적용된 본체부와, 레일부와, 개폐부 및 복귀부를 도시한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리용 홀더를 통해 케이블 타이를 정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리용 홀더에 케이블 타이가 정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리용 홀더(1)는, 피정리물(2)을 한 곳에 정렬하여 정리할 수 있으며, 특히, 피정리물(2)의 상측이나 하측부터 밀어 넣는 방식이 아닌 피대상물의 상측과 하측 사이 영역을 밀어 넣는 방식을 채택하여, 피대상물을 정리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시키고, 그 정리 과정이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리용 홀더(1)는, 본체부(10)와, 개폐부(20) 및 홀더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내부에 피정리물(2)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0a)이 형성되고, 일측면은 절개되어 출입구(10b)가 형성된다.
출입구(10b)를 통해 피정리물(2)을 수용공간(10a)에 인입 시키거나 또는 수용공간(10a)에 인입된 피정리물(2)을 인출할 수 있다.
도면에는 본체부(10)가 'ㄷ'자 단면 형상으로, 샤클 구조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체부(10)는 피정리물(2)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피정리물(2)은 케이블 타이, 일회용 봉지, 빨대, 기타 다양한 것일 수 있으며, 도면에는 피정리물(2)이 케이블 타이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개폐부(20)는 출입구(10b)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개폐부(20)는 피정리물(2)에 의해 가압될 시 출입구(10b)를 개방하여, 피정리물(2)을 수용공간(10a)으로 통과시킨다.
이를 위해 본체부(10) 중 출입구(10b)의 일측과 타측에는 레일부(11)가 각각 형성되고, 개폐부(20)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레일부(11)에 각각 탑재된다.
개폐부(20)는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레일부(11)가 수용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일 예로, 각각의 개폐부(20)는 레일부(11)를 공동으로 감싸는 제1 부재(21) 및 제2 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21) 및 제2 부재(2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부재(21) 및 제2 부재(22)는 서로 볼팅 결합될 수 있다.
제1 부재(21) 및 제2 부재(22)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개폐부(20)를 레일부(11)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개폐부(20)는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출입구(10b)를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2개의 개폐부(20)는 서로 마주하면 면이 접촉된 상태로 출입구(10b)를 폐쇄시킨다.
즉, 어느 하나의 개폐부(20)는 출입구(10b)의 약 1/2 영역을 개방 또는 폐쇄하고, 다른 하나의 개폐부(20)는 출입구(10b)의 나머지 영역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나아가, 개폐부(2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피정리물(2)에 가압되어 개폐부(20)가 출입구(10b)의 개방 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부(20a)가 각각 형성된다.
경사면부(20a)는 개폐부(20)의 20~30%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부(20a)는 서로 마주하는 끝단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커지게 형성된다.
나아가, 레일부(11)에는 개폐부(20)가 출입구(10b)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시 원위치 즉, 폐쇄 위치로 자동 복귀 시키기 위한 복귀부가 각각 설치된다.
복귀부(4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개폐부(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그 예로, 복귀부(40)는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복귀부(40)가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복귀부(40)는 일단이 레일부(11)에 고정되고, 타단은 개폐부(20)의 내벽면에 고정된다.
복귀부(40)는 개폐부(2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시 압축된다.
그리고, 복귀부(40)는 개폐부(20)에 외력이나 가압력이 소멸될 경우 팽창되면서 개폐부(20)를 원위치 시킨다. 따라서, 개폐부(20)는 본체부(10)의 출입구(10b)를 자동으로 폐쇄하게 된다.
한편, 홀더부(30)는 개폐부(20)를 통과하여 수용공간(10a)에 수용되는 피정리물(2)을 개폐부(20)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홀더부(30)는 가압바(31)와, 회동축(32)과, 가압력 발생부(33)와, 및 마찰부(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바(31)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본체부(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가압바(31)는 수용공간(10a)의 폭을 가로지르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바(31)의 좌측과 우측은 입구측에서 본체부(10)의 좌측 및 우측과 각각 마주할 수 있다.
가압바(31) 중 수용공간(10a)으로 인입된 피정리물(2)과 마주하는 면은 곡선 형상, 직선과 곡선 및 사선이 조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바(31)의 피정리물(2)과 마주하는 면의 형상은 피정리물(2)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면에는 피정리물(2)이 케이블 타이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는바, 가압바(31)의 피정리물(2)과 마주하는 면은 한 곳에 모인 케이블 타이들을 효율적으로 가압하도록 곡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바(31)는 하나의 회동제한부(36)를 통해 연결된다.
회동제한부(36)는 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동제한부(36)는 일측과 타측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가압바(31)에 각각 결합된다.
회동제한부(36)는 일측과 타측이 가압바(31)에 각각 매립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회동제한부(36)는 어느 하나의 개폐부(20)에 접촉되어 가압바(31)의 회동각도를 제한한다.
회동제한부(36)는 가압바(31)가 출입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시 본체부(10)에 형성된 수용홈(10c)에 수용될 수 있다.
회동축(32)은 어느 하나의 가압바(31)와 본체부(10) 및 다른 하나의 가압바(31)를 공동으로 관통설치된다.
이때, 회동축(32)은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가압력 발생부(33)의 중앙 빈 공간을 관통한다.
가압바(31)의 일측과 본체부(10)의 일측에는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회동축(32)이 관통 설치되는 설치홀(10d,31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회동축(32)이 볼트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며, 회동축(32) 중 어느 하나의 가압바(31)의 설치홀에 위치한 회동축(32)의 끝단에 너트(321)가 체결됨으로 되면서 회동축(32)이 가압바(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가압바(31)와 회동축(32)은 함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되거나 또는, 가압바(31)가 회동축(32)을 기준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가압력 발생부(33)는 수용공간(10a)에 위치한 피정리물(2)에 대한 가압바(31)의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가압력 발생부(33)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가압바(31)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그 예로, 가압력 발생부(33)는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가압력 발생부(33)가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가압력 발생부(33)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본체부(10)와 가압바(31)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가압력 발생부(33)는 일정영역이 본체부(10)에 형성된 수용홈(10e)에 수용되고, 나머지 영역은 가압바(31)에 형성된 수용홈(31b)에 수용될 수 있다.
가압력 발생부(33)는 제1 결합편(331)과 제2 결합편(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편(331)은 가압력 발생부(33)와 함께 수용홈(10e)에 수용된 상태로 본체부(10)의 고정홀(10f)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결합편(332)은 가압바(31)에 형성된 수용홈(31b)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1 결합편(331)과 제2 결합편(332)을 통해 가압력 발생부(33)의 탄성력이 가압바(31)에 작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바(31)에 외력을 가해 출입구(10b)와 멀어지는 방향을 밀었다가 외력을 소멸시키게 되면 가압력 발생부(33)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바(31)가 다시 출입구(10b)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가압력 발생부(33)에 의해 가압바(31)가 피정리물(2)을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마찰부(35)는 가압바(31)의 일측면 즉, 피정리물(2)과 마주하는 면에 각각 설치되어, 수용공간(10a)에 위치한 피정리물(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접촉된다.
마찰부(35)는 마찰계수가 우수한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피정리물(2)이 수용공간(10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리용 홀더(1)의 사용예 및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한 손으로는 피정리물(2)인 케이블 타이를 일정량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본체부(10)를 파지한다.
이때, 도면에는 본체부(10)가 전도되어 있고, 피정리물(2)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출입구(10b)가 상측 또는 지면을 향하도록 본체부(10)를 수직으로 세우고, 피정리물(2)을 수평으로 전도시킨 다음 피정리물(2)을 정리해도 된다.
이후, 피정리물(2)의 중앙부분을 개폐부(20)들의 경사면부(20a)에 접촉시킨 다음 가압한다.
이때, 경사면부(20a)에 대한 피정리물(2)의 가압부분은 중앙부분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피정리물(2)의 중앙부분이 아닌 상단과 하단 사이 영역 중 아무 영역이나 경사면에 접촉시킨 다음 가압해도 된다.
피정리물(2)을 경사면부(20a)에 가압하면 한 쌍의 개폐부(2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출입구(10b)가 개방된다. 따라서, 피정리물(2)은 출입구(10b)를 통과하여 본체부(10)의 수용공간(10a)에 인입된다.
피정리물(2)이 수용공간(10a)에 인입되면 개폐부(20)는 복귀부(40)에 의해 원위치로 신속히 복귀되어 출입구(10b)를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바(31)는 수용공간(10a)에 인입되는 피정리물(2)들에 밀려 출입구(10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지만 가압력 발생부(33)에 의해 피정리물(2)들을 가압하게 된다.
이로 인해, 피정리물(2)들은 가압바(31)와 개폐부(20)의 사이에 가압되어 홀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리용 홀더(1)는, 피정리물(2)들을 상단과 하단 사이 영역 중 아무 영역으로 경사면부(20a)를 가압하여 수용공간(10a)에 인입시키기 때문에, 선행기술 문헌에 비해 한번에 많은 양의 피정리물(2)을 매우 쉽고 간편하게 정리할 수 있다.
특히, 케이블 타이의 경우 하측에 하향 경사진 돌출영역(2a)이 형성되는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리용 홀더(1)는, 돌출영역(2a)이 본체부(10), 개폐부(20), 가압바(31) 등 어떠한 구성에도 접촉되지 않도록 하면서 케이블 타이를 정리할 수 있어 선행기술문헌에 비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리용 홀더(1)는 일정량의 피정리물(2)을 본체부(10)의 수용공간(10a)에 정리 한 다음, 새로운 피정리물(2)을 용이하게 추가로 정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의 수용공간(10a)에 기 정리된 피정리물(2)들이 가압바(31)와 개폐부(20)의 사이에 가압되어 홀딩 된 상태를 유지하고, 개폐부(20)는 복귀부(40)에 의해 피정리물(2)이 통과하는 즉시 출입구(10b)를 폐쇄하면서 피정리물(2)을 지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새로운 하나 이상의 피정리물(2)을 경사면에 가압하면, 개폐부(20)는 피정리물(2)의 양이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슬라이딩되면서 출입구(10b)를 개방하였다가 폐쇄하면서 새로운 피정리물(2)을 지지하게 된다.
즉, 새로운 피정리물(2)은 수용공간(10a)에 인입되는 즉시, 개폐부(20)가 출입구(10b)를 폐쇄하고, 가압력 발생부(33)에 의해 가압바(31)에 가압력이 항상 작용함으로, 새로운 피정리물(2)은 가압바(31)의 가압력에 의해 기 정리된 피정리물(2)과 개폐부(20)의 사이에 가압되어 홀딩된다.
그리고, 출입구(10b)에 대한 개폐부(20)의 개폐작동이 복귀부(40)에 의해 순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 정리된 피정리물(2)이 수용공간(10a)에서 낙하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새로운 피정리물(2)을 수용공간(10a)에 더욱 추가할수록 가압바(31)가 출입구(10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리면서도 가압력 발생부(33)에 의해 기 정리된 피정리물(2)을 가압하기 때문에 한 번의 많은 양의 피정리물(2)을 수용공간(10a)에 홀딩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피정리물(2)을 소정량씩 추가하여 수용공간(10a)에 홀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개폐부(20)와, 복귀부(40)와, 가압력 발생부(33) 및 가압바(31)의 상호 작용에 의해 피정리물(2)에 대한 가압력이 항상 발생되기 때문에, 피정리물(2)을 수직으로 세우고 본체부(10)는 수평으로 전도시킨 상태, 피정리물(2)을 수평으로 전도시키고 본체부(10)는 수직으로 세운상태 등 다양한 상태에서 새로운 피정리물(2)을 추가하여 수용공간(10a)에 인입 시키더라도 기 정리된 피정리물(2)들이 수용공간(10a)에서 이탈 또는 낙하되는 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수용공간(10a)에 정리된 피정리물(2)을 도 6을 기준으로 하나씩 위로 당겨서 뽑아 쓰는 것도 가능하고, 수용공간(10a)에 정리된 피정리물(2)을 한번에 모두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가압바(31)를 출입구(10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긴 다음 피정리물(2)들을 당겨서 뽑아 쓰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정리용 홀더 10 : 본체부
10a : 수용공간 10b : 출입구
11 : 레일부 20 : 개폐부
20a : 경사면부 21 : 제1 부재
22 : 제2 부재 30 : 홀더부
31 : 가압바 32 : 회동축
321 : 너트 33 : 가압력 발생부
35 : 마찰부 36 : 회동제한부
40 : 복귀부

Claims (6)

  1. 내부에 피정리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피정리물을 수용공간에 인입 또는 인출시키기 위한 출입구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며, 상기 피정리물에 의해 가압될 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를 통과하여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피정리물을 상기 개폐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본체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바;
    상기 본체부 및 가압바들에 공동으로 관통설치되어, 상기 가압바들이 회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회동축;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가압바를 탄성적으로 상기 출입구 방향으로 밀어,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한 피정리물에 대한 상기 가압바의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력 발생부;를 포함하는 정리용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중 출입구의 일측과 타측에는 레일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레일부에 각각 탑재된 상태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정리용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서로 마주하는 면이 접촉되고,
    상기 레일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개폐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개폐부가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시 상기 개폐부를 원위치 시키는 복귀부;를 더 포함하는 정리용 홀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피정리물에 가압되어 상기 개폐부가 출입구의 개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부가 각각 형성된 정리용 홀더.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가압바의 일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한 피정리물에 접촉되는 마찰부; 및
    상기 가압바를 연결하며 상기 개폐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가압바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회동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정리용 홀더.
KR1020220025410A 2022-02-25 2022-02-25 정리용 홀더 KR102423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410A KR102423735B1 (ko) 2022-02-25 2022-02-25 정리용 홀더
JP2023535288A JP2024514734A (ja) 2022-02-25 2023-01-30 整理用ホルダー
PCT/KR2023/001341 WO2023163396A1 (ko) 2022-02-25 2023-01-30 정리용 홀더
CN202380009322.XA CN116963967A (zh) 2022-02-25 2023-01-30 整理用支架
TW112106095A TWI827470B (zh) 2022-02-25 2023-02-20 用於整理的支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410A KR102423735B1 (ko) 2022-02-25 2022-02-25 정리용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735B1 true KR102423735B1 (ko) 2022-07-22

Family

ID=82606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410A KR102423735B1 (ko) 2022-02-25 2022-02-25 정리용 홀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4514734A (ko)
KR (1) KR102423735B1 (ko)
CN (1) CN116963967A (ko)
TW (1) TWI827470B (ko)
WO (1) WO20231633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396A1 (ko) * 2022-02-25 2023-08-31 주식회사 이젠코리아 정리용 홀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8016A (ja) * 1998-11-02 2000-05-16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ハーネス組立用電線支持具
KR20170003673U (ko) * 2016-04-15 2017-10-25 김동필 휴대용 케이블타이 고정구
KR102288861B1 (ko) 2020-12-09 2021-08-11 석준열 케이블타이 휴대용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3175B1 (en) * 2003-01-30 2005-10-11 Jose Francisco Carrera Gated retainer
KR100866776B1 (ko) * 2008-05-20 2008-11-04 주식회사 탑이엔씨 변전소 및 배전선로의 가설용 전선 케이블 묶음장치
KR101508352B1 (ko) * 2013-08-26 2015-04-0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TW201514404A (zh) * 2013-10-01 2015-04-16 chao-qin Shi 重磅式管夾構造
KR102423735B1 (ko) * 2022-02-25 2022-07-22 주식회사 이젠코리아 정리용 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8016A (ja) * 1998-11-02 2000-05-16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ハーネス組立用電線支持具
KR20170003673U (ko) * 2016-04-15 2017-10-25 김동필 휴대용 케이블타이 고정구
KR200485377Y1 (ko) 2016-04-15 2017-12-29 김동필 휴대용 케이블타이 고정구
KR102288861B1 (ko) 2020-12-09 2021-08-11 석준열 케이블타이 휴대용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396A1 (ko) * 2022-02-25 2023-08-31 주식회사 이젠코리아 정리용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63967A (zh) 2023-10-27
JP2024514734A (ja) 2024-04-03
WO2023163396A1 (ko) 2023-08-31
TW202334005A (zh) 2023-09-01
TWI827470B (zh)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3735B1 (ko) 정리용 홀더
US7243734B2 (en) Power tool with battery power supply
US7900324B2 (en) Self-aligning handling or storing device having side or top actuation and methods of use therefor
US6332381B1 (en) Hex key gripping aid
DE10124537A1 (de) Freigabemechanismus für schnurloses Motorwerkzeug
CA2287845A1 (en) Tool holder
US6243928B1 (en) Cable and pipe clip
KR101155468B1 (ko) 케이블 타이
US20070054538A1 (en) Releasable Cord Coupler
US20220177207A1 (en) Adjustable Tightening Apparatus
CN215322976U (zh) 一种运载箱及具有其的机器人
KR101704697B1 (ko) 의류 수납기구
US20060037880A1 (en) Tool box
KR100617588B1 (ko) 카트
JPH02262972A (ja) ステープラーにおける紙綴り装置並びに該装置用フレームと針押具及び曲げ台
CN215076566U (zh) 一种财务专用收纳柜
CN219287053U (zh) 一种管式固定线卡
CN212333337U (zh) 一种ac/dc电源模块的存放装置
CN211280373U (zh) 一种用于盛放文件的改进型文件盒
CN213664731U (zh) 一种钥匙盒
KR20040072951A (ko)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타이
KR20100001454U (ko) 걸고리를 가진 서류 집게
US20230052884A1 (en) Unlockable Tie Apparatus
CN2301305Y (zh) 剪钳的简易闭锁装置
GB2422047A (en) Power tool with battery power supp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